KR20080105396A - Voice coil module - Google Patents

Voice coil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396A
KR20080105396A KR1020070052928A KR20070052928A KR20080105396A KR 20080105396 A KR20080105396 A KR 20080105396A KR 1020070052928 A KR1020070052928 A KR 1020070052928A KR 20070052928 A KR20070052928 A KR 20070052928A KR 20080105396 A KR20080105396 A KR 20080105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leeve
voice coil
coi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41722B1 (en
Inventor
이석
차지범
최세영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2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722B1/en
Publication of KR2008010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3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7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The voice coil module including the connection element and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to perform smoothly the role of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voice coil module and the external circuit board. The voice coil module for the auto focusing comprises the lens barrel(150) in which one or more focus control lenses are equipped, the sleeve(142)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the coil(144) combin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sleeve, the magnet(146) which is arranged in the outer side of coil and forms the magnetic field, the yoke(148) with which magnet is combined, the first elastic member(131) restricting up and down motion of the lens barrel and sleeve, the printed circuit board(180) posted at the bottom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the connection element in which both end part contacts with the respective first elastic member and printed circuit board, the connecting member bind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on element(190).

Description

보이스 코일 모듈{Voice coil module}Voice coil module

도 1은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voice coil modu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보이스 코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voice coi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보이스 코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oice coil module of FIG. 2.

도 4는 도 2의 Ⅳ-Ⅳ의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V-IV of FIG. 2.

도 5는 도 2의 보이스 코일 모듈에 구비되는 제1 탄성 부재의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voice coil module of FIG. 2.

도 6은 도 2의 보이스 코일 모듈에 구비되는 체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member provided in the voice coil module of FIG. 2.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보이스 코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voice coil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2의 보이스 코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oice coil module of FIG. 2.

도 9는 도 7의 Ⅸ-Ⅸ의 단면도이다.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VIII-VII of FIG. 7.

도 10은 도 7의 보이스 코일 모듈에 구비되는 제1 탄성 부재의 사시도이다.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voice coil module of FIG. 7.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200: 보이스 코일 모듈 110, 210: 캡100, 200: voice coil module 110, 210: cap

120, 220: 커버 131, 132, 231, 232: 탄성 부재120, 220: cover 131, 132, 231, 232: elastic member

142, 242: 슬리브 144, 244: 코일142, 242: sleeve 144, 244: coil

146, 246: 마그네트 148, 248: 요크146, 246: Magnets 148, 248: York

150, 250: 렌즈 배럴 151, 251: 렌즈150, 250: lens barrel 151, 251: lens

170, 270: 홀더 180, 280: 인쇄회로기판170, 270: holder 180, 280: printed circuit board

190: 체결 부재190: fastening member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 등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내에 구비되는 자동 초점 조절용 보이스 코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coil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ice coil module for auto focus adjustment provided in a camera module installed in a mobile device or the like.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다수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으며 렌즈를 통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기계로서, 통상적으로 다수의 렌즈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카메라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기어 등을 통하여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화시키는 기계식 장치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계식 장치의 경우, 기어와 모터 사이의 마찰력 등으로 인하여 초점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곤란할 뿐 아니라 각 기계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 문제 등으로 인하여 소형화가 곤란하였다. In general, a camer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nses and a machine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through the lens, and is typically configured to adjust focus by adjusting a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Conventionally, as a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ocus of a camera, a mechanical device for changing the rotational motion of a motor into linear motion through a gear or the like has been used.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mechanical device, not only it is difficult to finely adjust the focus due to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gear and the motor, but also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due to the space problem occupied by each mechanical device.

특히, 최근에는 휴대폰, PDA 등의 모바일 통신기기 등에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어 정지화상 등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 등에서 요구되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화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영구자석 및 코 일의 유도자기력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초점을 맞추는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와 같은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camera module is installed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and is configured to take a still image.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like are required to meet the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and multifunctionality required by suc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mera modules, such as the camera's auto focusing device, which use the coil's induction magnetism to focus precisely, are being developed.

도 1은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voice coil modu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모바일 통신기기에 적용된 자동 초점 조절 장치(10)는 다수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유닛(미도시)이 나사 체결방식을 통하여 상단이 중공되어 있는 렌즈 배럴(14)의 내부에 수용된다. 렌즈 배럴(14)의 외주변으로는 마그네트(미도시), 코일(미도시)및 요크(13)가 배열되고, 렌즈 배럴(14)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판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하 왕복운동을 반복하는 렌즈 배럴(14)과 고정되어 있는 마그네트-요크-코일 사이를 체결하도록 구성되는데, 판 스프링은 코일의 양 끝단에 전류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렌즈 배럴(14)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 등의 구동부는 예를 들어 나사 결합 등을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하우징의 상단 내측으로는 커버 플레이트(11)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의 외측으로는 홀더(12)가 형성되고, 홀더(12)의 하측으로는 인쇄회로기판(15)이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모바일 통신기기 등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자동 초점 조절 장치에서는 CCD, CMOS와 같은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가 렌즈 배럴(14)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auto focusing apparatus 10 applied to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lens barrel 14 in which a lens unit (not shown)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nses has a hollow upper end through a screwing method. Housed inside. Magnets (not shown), coils (not shown), and yokes 13 are arranged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lens barrel 14, and leaf springs are provid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lens barrel 14, respectively, to perform vertical reciprocating motion. It is configured to engage between the repeating lens barrel 14 and the fixed magnet-yoke-coil, the leaf spring serves to supply current to both ends of the coil. In addition, the lens barrel 14 and a driving part such as a magnet for driving the same ar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hrough, for example, screwing, and a cover plate 11 is form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In addition, a holder 12 is formed outside the housing,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5 is formed below the holder 12. On the other hand, in the auto focusing apparatus of the camera module used for suc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 high resolution image sensor such as CCD and CMOS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ens barrel 14.

그런데, 점차 소형화되는 카메라 모듈의 광학계에서 우선적으로 피사체를 선명하게 보기 위해서는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거나 렌즈의 곡률을 변화시켜 피사체를 이미지 센서에 선명하게 결상시키는 포커싱(focusing) 기능이 요청된다. 이와 같은 포커싱 기능을 위해서 통상적으로 렌즈 유닛은 1개 이상, 통상적으로 다수의 렌즈로 구성되는데, 그 다수의 렌즈를 이동시켜 이미지 센서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포커싱을 구현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이 포커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렌즈가 광축을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However, in order to preferentially see a subject clearly in an optical system of a gradually miniaturized camera module, a focusing function that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or changes the curvature of the lens to accurately image the subject in the image sensor is required. do. For such a focusing function, a lens unit is typically composed of one or more lenses, and typically a plurality of lenses. Focusing is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relative distance to the image sensor by moving the plurality of lenses. Therefore, at least one lens must be able to move about an optical axis in order for the camera module to provide a focusing function.

다시 말하면, 포커싱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의 위치가 바뀌게 되는데, 즉 피사체와 렌즈와의 거리에 따라 상이 형성되는 위치가 바뀌게 되는데, 이미지 센서에 선명한 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1개 이상의 렌즈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렌즈에 있어서 포커싱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동원으로써 예를 들어 매뉴얼, 스텝 모터, 압전 소자, 보이스 코일 모듈(Voice Coil Module, VCM) 등이 요청되고 있는데, 특히 VCM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VCM 방식을 이용한 자동 초점 조절 장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자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와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을 대향적으로 배치하여 전류와 자기장의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로렌츠 힘을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렌즈 배럴을 구동시킨다. In other words, when the focusing function is implemented, the position of the image of the subject imaged on the image sens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bject, that is, the position at which the image is formed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ens. In order to implement the structure, one or more lenses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order to realize the focusing function in the le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a separate driving source, for example, a manual, a step motor, a piezoelectric element, a voice coil module (VCM), and the like are required. In particular, VCM is widely used. . In the case of the auto focusing device using the VCM method, the magnet that generates the magnetic force and the coil to which the current is supplied are generally disposed to move the position of the lens by using the Lorentz force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current and the magnetic field. To drive the lens barrel.

그런데, 모바일 통신기기 등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에서는 CCD, CMOS와 같은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가 제품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렌즈의 초소형화 및 고정밀화 경향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렌즈 조립체 또한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high resolution image sensors such as CCD and CMOS have been commercialized in camera modules applied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lens assembly of the camera module is also required to be miniaturized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and high precision of the corresponding lens. .

그런데 이와 같은 소형화, 경량화, 저가격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의 보이스 코일 모듈에서는 인쇄회로기판(15)과 보이스 코일 모듈(10)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접속부(16)가 별도로 구비되었다. 상기 접속부(16)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5) 및 보이스 코일 모듈(10)과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in order to meet such a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and low cost requirements, in the conventional voice coil module, the connection part 16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15 and the voice coil module 10 is provided. Was provided separately. The connection part 16 is formed of a metal plate, and is bond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5 and the voice coil module 10 by welding, respectively.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금속판으로 형성된 접속부(16)의 경우, 접속부(16)의 하단부가 인쇄회로기판(15)의 상측에 용접되었는데, 인쇄회로기판(15)과 접속부(16)의 두께는 매우 얇기 때문에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접속부(16)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용접 재료가 부족할 경우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접속부(16)가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벤딩(bending)에 취약하고, 접속부(16)가 벤딩(bending)되었을 경우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용접 시 가하여지는 고열로 인하여 보이스 코일 모듈의 하우징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portion 16 formed of such a conventional metal plate,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6 is weld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5, the thicknes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5 and the connecting portion 16 is ver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elding is not easy because it is thin.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16 is sho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welding is not properly performed when the welding material is insufficient.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part 16 is formed of a thin metal plate, it is vulnerable to bending,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welding is not performed properly when the connection part 16 is bent.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housing of the voice coil module is damaged due to the high heat applied during welding.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듈과 외부 회로기판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보이스 코일 모듈과 외부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점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접속 부재 및 체결 부재를 구비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Voice Coil Module, VCM)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ice coil module having a connection member and a fastening member for easily coupling a voice coil module and an external circuit board and smoothly serving as an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voice coil module and the external circuit board. , VCM).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용 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렌즈 배럴;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코일; 상 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 내부에 상기 마그네트가 결합되는 요크; 상기 슬리브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리브 및 상기 렌즈 배럴의 상하 운동을 구속하는 제1 탄성 부재;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하는 접속 부재;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ns barrel including one or more focusing lenses; A sleeve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therein; A coil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A magnet disposed outside the coil to form a magnetic field; A yoke to which the magnet is coupled;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low the sleeve to constrai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eeve and the lens barrel;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first elastic member; A connecting member whose both ends contact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form an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fastening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member to coupl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member.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보이스 코일 모듈과 외부 회로기판이 용이하게 결합되고, 보이스 코일 모듈과 외부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점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접속 부재 및 체결 부재를 구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voice coil module and the external circuit board can be easily coupled, and the effect of providing a connection member and a fastening member for smoothly performing the role of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voice coil module and the external circuit board can be obtained.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접속 부재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일 측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ember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si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클립(clip)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 may be formed in a clip shap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를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t is possible to closely bo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일 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 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의 측부에 끼워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is opened, and the opening side may be fitted to th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개구 측과 폐쇄 측의 폭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의 결합 구조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opening side and the closing sid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may be form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leaf spr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상측에서 상기 슬리브를 광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ide of the sleev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for pressing the slee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에는 함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pression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용 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렌즈 배럴;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슬리브;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코일;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 내부에 상기 마그네트가 결합되는 요크; 상기 슬리브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슬리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ns barrel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focusing lenses; A sleeve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therein; A coil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A magnet disposed outside the coil to form a magnetic field; A yoke to which the magnet is coupled;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under the sleeve; And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leev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connecting part extending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fastening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art and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provides a voice coil modu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일 측이 개구된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leaf spring with one side open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폐쇄 측에서 개구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opening side from the closing sid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에는 비아 홀(via hole)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via hol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 측이 상기 하프 비아 홀에 수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fastening part may be accommodated in the half via 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보이스 코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보이스 코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의 단면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voice coi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oice coil module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V-IV of FIG. 2.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보이스 코일 모듈(Voice coil module)(100)은, 제1 탄성 부재(131), 제2 탄성 부재(132), 슬리브(142), 코일(144), 마그네트(146), 요크(148), 렌즈 배럴(150), 인쇄회로기판(180) 및 체결 부재(190)를 포함한다. 또한, 캡(110), 커버(120), 홀더(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 to 4, the voice coi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131, a second elastic member 132, and a sleeve 142. , A coil 144, a magnet 146, a yoke 148, a lens barrel 150, a printed circuit board 180, and a fastening member 190. In addition, the cap 11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120 and a holder 170.

렌즈 배럴(15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151)로 구성되어 있는 렌즈 유닛이 내부에 수용된다.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렌즈(151)의 수는 임의로 조정될 수 있으며,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렌즈(151)는 각 렌즈(151)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렌즈 배럴(150)에 수용 조립된다. 렌즈 배럴(150)은 직선 운동하는 슬리브(142) 내부에 삽입 장착되어 슬리브(142)와 함께 직선 운동함으로써 초점을 조절하게 된다. The lens barrel 150 includes a lens unit composed of at least one lens 151 therein. The number of lenses 151 constituting the lens uni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nd the plurality of lenses 151 constituting the lens unit are housed in the lens barrel 150 so that the optical axes of the respective lenses 151 coincide. The lens barrel 150 is inserted into the sleeve 142 which moves linearly and adjusts the focus by linearly moving with the sleeve 142.

렌즈 배럴(150)의 외주변에는 렌즈 배럴(150)을 상하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슬리브(142), 코일(144), 마그네트(146) 및 요크(148)가 측설된다. The sleeve 142, the coil 144, the magnet 146, and the yoke 148 are staked outwardly of the lens barrel 150 to drive the lens barrel 150 up and down.

슬리브(142)는 내부에 렌즈 배럴(1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슬리브(142)의 내부에 렌즈 배럴(150)이 결합하여 슬리브(142)와 렌즈 배럴(150)이 일체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의 결합을 위하여, 렌즈 배럴(150)의 외주면과 슬리브(142)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에 각각 결합홀이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가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 사이의 결합 관계로서 나사결합 또는 볼트 결합 등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가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The sleeve 14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so that the lens barrel 150 can be accommodated therein. In addition, the lens barrel 15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leeve 142 such that the sleeve 142 and the lens barrel 150 are linearly integrat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uple the lens barrel 150 and the sleeve 142,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15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142, respectively. In addition,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lens barrel 150 and the sleeve 142, respectively, so that the lens barrel 150 and the sleeve 142 may be coupled by separate fastening members. In addition, although the screw coupling or the bolt coupling is illustrated a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ens barrel 150 and the sleeve 142,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ns barrel 150 and the sleeve 142 are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ous coupling forms that can be combined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슬리브(142)의 외측으로는 렌즈 배럴(15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의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코일(144)이 결합된다. 도면에는 코일(144)이 두 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보이스 코일 모듈(100)이 배치되는 전자 기기의 사양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코일의 개수 및 특성이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Outside the sleeve 142 is coupled to the coil 144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means to drive the lens barrel 150. Although the drawings show that two coils 144 are dispos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ils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or use environ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voice coil module 100 is disposed. Changeability is obvious.

슬리브(142) 및 슬리브(142)에 결합된 코일(144)의 외측으로는 마그네트(146)가 배치된다. 마그네트(146)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내에서 코일(144)의 유도자기력이 생성되어 슬리브(142), 코일(144) 및 렌즈 배럴(150)의 직선운동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마그네트(146)로는 영구자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마그네트(146)가 네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슬리브(142)를 감싸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설계 및 제조상의 편의성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마그네트(146)의 개수 및 특성이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A magnet 146 is disposed outside the sleeve 142 and the coil 144 coupled to the sleeve 142. Induced magnetic force of the coil 144 is generated in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 146 to cause linear movement of the sleeve 142, the coil 144 and the lens barrel 150. As the magnet 146, a permanent magnet or the like can be used. In the drawings, the magnet 146 is divided into four pieces to enclose the sleeve 142.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numb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gnets 146 can be changed.

이와 같은 배치를 갖는 마그네트(146) 및 코일(144)에 따른 유도자기력에 의하여 슬리브(142), 렌즈 배럴(150) 및 그 내부에 수용/조립되는 렌즈 유닛 역시 광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렌즈 배럴(15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144)로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44)과 대향적으로 형성된 마그네트(146)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서 코일(144)의 유도자기력이 로렌츠 힘으로 작용하여 렌즈 배럴(150)의 광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144)은 마그네트(146)로부터 형성되는 자력선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sleeve 142, the lens barrel 150, and the lens unit accommodated / assembled therein are also linearly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induction magnetic force along the magnet 146 and the coil 144 having such an arrangement. That is,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144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il 144 in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 146 formed opposite to the coil 144. The induced magnetic force of acts as a Lorentz force, causing a linear mo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barrel 150. Accordingly, the coil 144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serve to change the flow direction of the magnetic force lines formed from the magnet 146.

한편, 요크(148)는 속이 빈 상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중공부에 상술한 렌즈 배럴(150), 슬리브(142), 코일(144), 마그네트(146)가 수용된다. 그리고, 요크(148)의 상부에는 캡(110) 및 커버(1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캡(110)과 커버(120)는 요크(148) 내에 수용되는 슬리브(142), 코일(144), 마그네트(146), 렌즈 배럴(150) 등이 외부로 탈거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제1 탄성 부재(131)와 제2 탄성 부재(132)의 탄성 계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요크(148) 의 하부에는 홀더(170)가 형성되어 상술한 슬리브(142), 코일(144), 마그네트(146), 렌즈 배럴(150)을 지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yoke 148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box and a hollow portion is formed therein, and the lens barrel 150, the sleeve 142, the coil 144, and the magnet 146 described above are accommodated in the hollow portion. do. In addition, a cap 110 and a cover 12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yoke 148. The cap 110 and the cover 120 are supported so that the sleeve 142, the coil 144, the magnet 146, the lens barrel 150, etc. accommodated in the yoke 148 may be stably fixed without being removed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32 is maintained to be constant. A holder 170 is formed below the yoke 148 to support the sleeve 142, the coil 144, the magnet 146, and the lens barrel 150.

그리고, 홀더(170)의 하부에는 영상기억소자인 CCD 또는 CMOS 등의 이미지 센서(185)가 안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80)이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180)은 적어도 어느 한 측면으로 연장된 연장부(182)를 가질 수 있고, 연장부(182)의 일 단부에는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 또는 소켓(socket) 등의 외부연결부재(18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180)으로는 경질의 인쇄회로기판(hard printed circuit board; HPCB)이나 유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사용할 수 있다.A printed circuit board 180 on which an image sensor 185 such as a CCD or a CMOS, which is an image memory device, is mounted is disposed below the holder 170.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may have an extension part 182 extending to at least one side, and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182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such as a connector or a socket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The connection member 183 may be further formed. 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may be a hard printed circuit board (HPCB)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상술한 렌즈 배럴(150), 슬리브(142), 코일(144), 마그네트(146) 및 요크(148)의 상호 이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는 나사 결합을 하여 고정되고, 슬리브(142)의 외측에는 코일(144)이 끼워짐으로써, 렌즈 배럴(150)과 슬리브(142)와 코일(144)은 일체로 상하 이동을 한다. 한편, 최외곽의 하우징을 이루는 요크(148)의 내측에는 마그네트(146)가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되어 있는 요크(146) 및 마그네트(146)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서,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렌즈 배럴(150), 슬리브(142) 및 코일(144)이 함께 상하 이동을 하는 것이다. 이때, 렌즈 배럴(150), 슬리브(142) 및 코일(144)의 상하 이동은 코일(144)과 마그네트(146)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수행된다. The mutual movement relationship of the lens barrel 150, the sleeve 142, the coil 144, the magnet 146, and the yoke 148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irst, the lens barrel 150 and the sleeve 142 are fixed by screwing, and the coil 144 is fitted to the outer side of the sleeve 142, thereby the lens barrel 150, the sleeve 142, and the coil 144. ) Moves up and down integrally. On the other hand, the magnet 146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yoke 148 forming the outermost housing. Accordingly, the lens barrel 150, the sleeve 142, and the coil 144, which are integrally coupled, are vertically moved together at the hollow formed in the fixed yoke 146 and the magnet 146. will be. At this tim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ens barrel 150, the sleeve 142, and the coil 144 is performed by a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coil 144 and the magnet 146.

한편, 홀더(170)와 슬리브(142)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131)가 개재되어 있고, 커버(120)와 슬리브(142) 사이에는 제2 탄성 부재(132)이 개재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131)와 제2 탄성 부재(132)는 렌즈 배럴(150)과 결합하고 있는 슬리브(142)와 접촉하여 이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코일(144)과 마그네트(146)의 상호 작용에 따른 직선 운동에 의하여 슬리브(142) 및 렌즈 배럴(150)이 이동할 경우에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적당한 탄성 계수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종류로 제한되지 않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판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a first elastic member 131 is interposed between the holder 170 and the sleeve 142,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32 is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120 and the sleeve 142.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32 are for contacting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sleeve 142 which is coupled to the lens barrel 150, and the coil 144 and the magnet ( If the sleeve 142 and the lens barrel 150 have a suitable elastic modulus so that the sleeve 142 and the lens barrel 150 can b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146 by the interaction of the 146, it is not limited to a special kind, as shown Leaf springs can be used.

제1 탄성 부재(131)와 제2 탄성 부재(132)로서 2개의 판 스프링을 적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작동에 필요한 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로서 이들 판 스프링을 겸용함으로써 관련 부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131)와 제2 탄성 부재(132)로서 일반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면 슬리브(142)의 외측의 2개의 포인트에 스프링을 고정해야 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이드를 설치하여야하므로 소형화가 어려운 반면, 판 스프링(131)(132)은 슬리브(142)와 적은 점유면적을 가지고 면 접촉하므로 균일한 탄성에 의한 편심 방지와 소형화에 유용하다. In the case of applying two leaf springs as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32, by combining these leaf springs as a signal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voice coil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ed par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general coil spring is used as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32, the spring must be fixed to two points on the outside of the sleeve 142, and a guide must be installed to improve safety. While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leaf springs (131, 132) has a small occupied area and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sleeve 142, which is useful for preventing eccentricity and miniaturization due to uniform elasticity.

이하 제1 탄성 부재(131)와 인쇄회로기판(180)과 체결 부재(190)의 구조 및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and the fastening member 19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탄성 부재(131)의 사시도인 도 5를 참조하면, 제1 탄성 부재(131)는 슬리브(142)와 접촉하여 이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작동에 필요한 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탄 성 부재(131)과 인쇄회로기판(18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접속부(도 1의 14 참조)를 구비하여, 이 접속부가 제1 탄성 부재 및 인쇄회로기판과 각각 용접되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 탄성 부재(131)와 접속부(131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즉, 접속부(131a)가 제1 탄성 부재(131)의 일 측에서 인쇄회로기판(180)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제조 공정이 간결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131a)의 일 단은 일 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131b)를 형성한다. 이 절곡부(131b)가 인쇄회로기판(180)과 접촉되고, 후술할 체결 부재(190)에 의하여 절곡부(131b)와 인쇄회로기판(180)의 결합이 체결된다. Referring to FIG. 5,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is in contact with the sleeve 142 and elastically presses it, and at the same time, a signal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voice coil module 100. Can serve as a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In this case,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a separate connection part (see 14 of FIG. 1) is conventionally provided, and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printed circuit. Each was welded with the substrate. 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and the connecting portion 131a are integrally formed. That is, the connection part 131a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By such a structur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31a is bent to one side to form a bent portion 131b. The bent portion 131b is in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and the coupling of the bent portion 131b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19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체결 부재(190)의 사시도인 도 6을 참조하면, 체결 부재(190)는 클립(clip) 형상으로서, 대략 'ㄷ'자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체결 부재(190)의 일 측은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 수용부(190a)가 형성되어, 제1 탄성 부재(131)의 절곡부(131b)와 홀더(170)와 인쇄회로기판(180)은 수용부(190a)에 수용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6,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ing member 190, the fastening member 190 has a clip shape and is formed of a leaf spring having a substantially 'c' shape. One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190 is formed to be opened and the receiving portion 190a is formed therein, such that the bent portion 131b, the holder 17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are It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90a.

한편, 상기 체결 부재(190)는 개구측이 폐쇄측보다 일정 정도 폭이 좁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측의 양 단이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체결 부재(190)의 개구측의 폭(b)이 폐쇄측의 폭(a)보다 약간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 부재(190)가 상기 적층된 각 구성요소들에 체결되었을 경우, 상기 체결 부재(190)는 상기 적층된 각 구성요소들을 서로 밀착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체결구조가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member 190 is formed such that the opening side is narrower to a certain extent than the closing side, so that both ends of the opening side is formed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gathering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width b of the opening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190 is slightly narrower than the width a of the closing side.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member 190 is fastened to each of the stacked components, the fastening member 190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each of the stacked components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astening structure is further improved. There is a solidifying effect.

제1 탄성 부재(131)와 인쇄회로기판(180)과 체결 부재(190)가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인쇄회로기판(180) 상부에 홀더(170)가 안착되고, 홀더(170) 상부에 제1 탄성 부재(131)가 안착되면, 제1 탄성 부재(131)의 일 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접속부(131a) 일단의 절곡부(131b)와 인쇄회로기판(180)이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80)과 절곡부(131b)를 고정하기 위하여, 체결 부재(190)가 밖에서 안쪽으로 끼워진다. 이때, 인쇄회로기판(180)에는 소정의 함몰부(181)가 더 형성되어, 체결 부재(190)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접속부와 인쇄회로기판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지 아니하고, 체결 부재(190)에 의하여 간편하게 체결 가능해 짐으로써, 접속부와 인쇄회로기판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용접시 가하여지는 열에 의하여 보이스 코일 모듈이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ocess of coupling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and the fastening member 190 will be described. First, when the holder 170 is sea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is seated on the holder 170, the connection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One end of the bent portion 131b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n, in order to fix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and the bent portion 131b, the fastening member 190 is fitted inward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recessed portion 181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180,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190 may be stably fastened. That is,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not easily joined by welding, but can be easily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190, so that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easily coupled, and the voice coil is applied by heat applied during welding.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module from being damaged can be obtained.

이와 같은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voice coil module 100 as follows.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120)와 슬리브(142)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131)가 개재되어 있으며, 홀더(170)와 슬리브(142) 사이에는 제2 탄성 부재(132)가 개재되어, 슬리브(142)를 광축 방향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렌즈 조립체를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이 보이스 코일 모듈(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로 전달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고, 카메라 모듈 본체에 구비된 제어부로 전송되어 포커싱이 수행되고, 이 과정에서 렌즈 배럴(150)과 결합된 슬리브(142)가 광축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is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120 and the sleeve 142,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32 is interposed between the holder 170 and the sleeve 142. It is configured to press the sleeve 142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image of the subject passing through the lens assembly is transferred to an image sensor (not shown) disposed below the voice coil module 100 to be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a controller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main body so that focusing is performed. In this process, the sleeve 142 coupled with the lens barrel 150 may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optical axis.

즉,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듈(100)이 채택된 기기, 예컨대 모바일 통신기기의 사용자가 촬영 버튼을 누르면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작동되고, 렌즈 배럴(150)의 전방에 위치한 피사체의 상은 렌즈 배럴(150) 내의 렌즈(151)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카메라 모듈 내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된다. 제어부에서 이미지 센서로 전달된 피사체의 영상 신호가 흐릿하면, 렌즈 유닛의 포커싱 에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렌즈 배럴(150)이 결합된 슬리브(142)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류가 코일(144)로 인가된다. 코일(144)로 소정의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44)에 자기장이 발생하여 마그네트(146)로부터 전달된 자속과의 척력이나 인력에 의하여 렌즈 배럴(150)이 결합된 슬리브(142)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로렌츠의 힘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동력에 의하여 렌즈 배럴(150)은 그 중간에 개재된 제1 탄성 부재(131) 및 하단에 체결된 제2 탄성 부재(132)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광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a user of a device employing the voice coil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resses a shooting button, an image sensor (not shown) is operated, and the image of the su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lens barrel 150 is After passing through the lens 151 in the lens barrel 150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the image sensor and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in the camera module. If the image signal of the subject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to the image sensor is blurre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ocusing error of the lens unit, and a current for moving the sleeve 142 to which the lens barrel 150 is coupl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applied to the coil 144. Is applied. When a predetermined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144,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coil 144 and the optical axis of the sleeve 142 to which the lens barrel 150 is coupled by repulsive force or attraction with magnetic flux transmitted from the magnet 146 is attracted. The force of Lorentz to drive in the direction is generated. By such a driving force, the lens barrel 150 can reciprocat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32 fastened to the lower end thereof.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보이스 코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보이스 코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Ⅸ-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보이스 코일 모듈은 제1 탄성 부재와 체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voice coil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oice coil module of FIG. 2,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The voice coil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보이스 코일 모듈(Voice coil module)(200)은, 제1 탄성 부재(231), 제2 탄성 부재(232), 슬리 브(242), 코일(244), 마그네트(246), 요크(248), 렌즈 배럴(250) 및 인쇄회로기판(280)을 포함한다. 또한, 캡(210), 커버(220), 홀더(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 to 9, the voice coil modul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231, a second elastic member 232, and a sleeve 242. ), A coil 244, a magnet 246, a yoke 248, a lens barrel 25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280. In addition, the cap 210, the cover 220, the holder 270 may be further included.

렌즈 배럴(25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251)로 구성되어 있는 렌즈 유닛이 내부에 수용된다.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렌즈(251)의 수는 임의로 조정될 수 있으며, 렌즈 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렌즈(251)는 각 렌즈(251)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렌즈 배럴(250)에 수용 조립된다. 렌즈 배럴(250)은 직선 운동하는 슬리브(242) 내부에 삽입 장착되어 슬리브(242)와 함께 직선 운동함으로써 초점을 조절하게 된다. The lens barrel 250 includes a lens unit composed of at least one lens 251 therein. The number of lenses 251 constituting the lens unit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nd the plurality of lenses 251 constituting the lens unit are housed in the lens barrel 250 so that the optical axes of the respective lenses 251 coincide. The lens barrel 250 is inserted into the sleeve 242 which moves linearly and adjusts the focus by linearly moving with the sleeve 242.

렌즈 배럴(250)의 외주변에는 렌즈 배럴(250)을 상하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슬리브(242), 코일(244), 마그네트(246) 및 요크(248)가 측설된다. The sleeve 242, the coil 244, the magnet 246, and the yoke 248 are staked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lens barrel 250 to drive the lens barrel 250 up and down.

슬리브(242)는 내부에 렌즈 배럴(25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슬리브(242)의 내부에 렌즈 배럴(250)이 결합하여 슬리브(242)와 렌즈 배럴(250)이 일체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 배럴(250)과 슬리브(242)의 결합을 위하여, 렌즈 배럴(250)의 외주면과 슬리브(242)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렌즈 배럴(250)과 슬리브(242)에 각각 결합홀이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렌즈 배럴(250)과 슬리브(242)가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렌즈 배럴(250)과 슬리브(242) 사이의 결합 관계로서 나사결합 또는 볼트 결합 등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렌즈 배럴(250)과 슬리브(242)가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결합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The sleeve 24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so that the lens barrel 250 can be accommodated therein. In addition, the lens barrel 250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leeve 242 so that the sleeve 242 and the lens barrel 250 are linearly integrat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uple the lens barrel 250 and the sleeve 242,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25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242, respectively. In addition,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lens barrel 250 and the sleeve 242, respectively, so that the lens barrel 250 and the sleeve 242 may be coupled by separate fastening members. In addition, although the screw coupling or bolt coupling is illustrated as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ens barrel 250 and the sleeve 242,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ns barrel 250 and the sleeve 242 are It will be apparent that various coupling forms that can be combined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슬리브(242)의 외측으로는 렌즈 배럴(25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외부의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코일(244)이 결합된다. 도면에는 코일(244)이 두 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보이스 코일 모듈(200)이 배치되는 전자 기기의 사양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코일의 개수 및 특성이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Outside the sleeve 242 is coupled a coil 244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means to drive the lens barrel 250. Although the drawings show that two coils 244 are dispos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ils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or use environ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voice coil module 200 is disposed. Changeability is obvious.

슬리브(242) 및 슬리브(242)에 결합된 코일(244)의 외측으로는 마그네트(246)가 배치된다. 마그네트(246)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 내에서 코일(244)의 유도자기력이 생성되어 슬리브(242), 코일(244) 및 렌즈 배럴(250)의 직선운동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마그네트(246)로는 영구자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마그네트(246)가 네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슬리브(242)를 감싸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보이스 코일 모듈(200)의 설계 및 제조상의 편의성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마그네트(246)의 개수 및 특성이 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A magnet 246 is disposed outside the sleeve 242 and the coil 244 coupled to the sleeve 242. Induced magnetic force of the coil 244 is generated in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 246 to cause linear movement of the sleeve 242, the coil 244 and the lens barrel 250. As the magnet 246, a permanent magnet or the like can be used. In the drawings, the magnet 246 is shown as being divided into four pieces to surround the sleeve 242.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convenience of design and manufacturing of the voice coil module 200 or an environment of use, Accordingly,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numb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gnets 246 can be changed.

이와 같은 배치를 갖는 마그네트(246) 및 코일(244)에 따른 유도자기력에 의하여 슬리브(242), 렌즈 배럴(250) 및 그 내부에 수용/조립되는 렌즈 유닛 역시 광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렌즈 배럴(25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244)로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44)과 대향적으로 형성된 마그네트(246)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서 코일(244)의 유도자기력이 로렌츠 힘으로 작용하여 렌즈 배럴(250)의 광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244)은 마그네트(246)로부터 형성되는 자력선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sleeve 242, the lens barrel 250, and the lens unit accommodated / assembled therein are also linearly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induction magnetic force along the magnet 246 and the coil 244 having such an arrangement. That is,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244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il 244 is formed in a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 246 formed to face the coil 244. The induced magnetic force of acts as a Lorentz force to cause linear mo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barrel 250. Accordingly, the coil 244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serve to change the flow direction of the magnetic force lines formed from the magnet 246.

한편, 요크(248)는 속이 빈 상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중공부에 상술한 렌즈 배럴(250), 슬리브(242), 코일(244), 마그네트(246)가 수용된다. 그리고, 요크(248)의 상부에는 캡(210) 및 커버(2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캡(210)과 커버(220)는 요크(248) 내에 수용되는 슬리브(242), 코일(244), 마그네트(246), 렌즈 배럴(250) 등이 외부로 탈거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제1 탄성 부재(231)와 제2 탄성 부재(232)의 탄성 계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요크(248)의 하부에는 홀더(270)가 형성되어 상술한 슬리브(242), 코일(244), 마그네트(246), 렌즈 배럴(250)을 지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yoke 248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box to form a hollow portion therein, the lens barrel 250, the sleeve 242, the coil 244, the magnet 246 described above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portion do. In addition, a cap 210 and a cover 22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yoke 248. The cap 210 and the cover 220 are supported such that the sleeve 242, the coil 244, the magnet 246, the lens barrel 250, etc. accommodated in the yoke 248 are stably fixed without being removed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32 is maintained to be constant. A holder 270 is formed below the yoke 248 to support the sleeve 242, the coil 244, the magnet 246, and the lens barrel 250.

그리고, 홀더(270)의 하부에는 영상기억소자인 CCD 또는 CMOS 등의 이미지 센서(285)가 안착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280)이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80)은 적어도 어느 한 측면으로 연장된 연장부(282)를 가질 수 있고, 연장부(282)의 일 단부에는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or) 또는 소켓(socket) 등의 외부연결부재(28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280)으로는 경질의 인쇄회로기판(hard printed circuit board; HPCB)이나 유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280 on which an image sensor 285 such as CCD or CMOS, which is an image memory device, is mounted is disposed below the holder 270.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may have an extension part 282 extending to at least one side, and at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282 is an external part such as a connector or a socket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The connection member 283 may be further formed. Herein, a hard printed circuit board (HPCB)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may be used as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상술한 렌즈 배럴(250), 슬리브(242), 코일(244), 마그네트(246) 및 요크(248)의 상호 이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렌즈 배럴(250)과 슬리브(242)는 나사 결합을 하여 고정되고, 슬리브(242)의 외측에는 코일(244)이 끼워짐으로써, 렌즈 배럴(250)과 슬리브(242)와 코일(244)은 일체로 상하 이동을 한다. 한편, 최외곽의 하우징을 이루는 요크(248)의 내측에는 마그네트(246)가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되어 있는 요크(246) 및 마그네트(246)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에서,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렌즈 배럴(250), 슬리브(242) 및 코일(244)이 함께 상하 이동을 하는 것이다. 이때, 렌즈 배럴(250), 슬리브(242) 및 코일(244)의 상하 이동은 코일(244)과 마그네트(246)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수행된다. The mutual movement relationship of the lens barrel 250, the sleeve 242, the coil 244, the magnet 246 and the yoke 248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irst, the lens barrel 250 and the sleeve 242 are fixed by screwing, and the coil 244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sleeve 242, thereby the lens barrel 250, the sleeve 242, and the coil 244. ) Moves up and down integrally. On the other hand, the magnet 246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yoke 248 forming the outermost housing. Accordingly, the lens barrel 250, the sleeve 242, and the coil 244, which are integrally coupled, are vertically moved together in the hollow formed in the fixed yoke 246 and the magnet 246. will be. At this tim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ens barrel 250, the sleeve 242, and the coil 244 is performed by a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coil 244 and the magnet 246.

한편, 홀더(270)와 슬리브(242)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231)가 개재되어 있고, 커버(220)와 슬리브(242) 사이에는 제2 탄성 부재(232)이 개재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231)와 제2 탄성 부재(232)는 렌즈 배럴(250)과 결합하고 있는 슬리브(242)와 접촉하여 이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한 코일(244)과 마그네트(246)의 상호 작용에 따른 직선 운동에 의하여 슬리브(242) 및 렌즈 배럴(250)이 이동할 경우에 원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적당한 탄성 계수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종류로 제한되지 않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판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first elastic member 231 is interposed between the holder 270 and the sleeve 242, and a second elastic member 232 is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220 and the sleeve 242.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32 are for contacting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sleeve 242 coupled with the lens barrel 250. The coil 244 and the magnet ( If the sleeve 242 and the lens barrel 250 has a suitable elastic modulus so that the sleeve 242 and the lens barrel 250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moving by the interaction of the 246 is not limited to a special kind, as shown Leaf springs can be used.

제1 탄성 부재(231)와 제2 탄성 부재(232)로서 2개의 판 스프링을 적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보이스 코일 모듈(200)의 작동에 필요한 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로서 이들 판 스프링을 겸용함으로써 관련 부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231)와 제2 탄성 부재(232)로서 일반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면 슬리브(242)의 외측의 2개의 포인트에 스프링을 고정해야 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이드를 설치하여야하므로 소형화가 어려운 반면, 판 스프링(231)(232)은 슬리브(242)와 적은 점유면적을 가지고 면 접촉하므로 균일한 탄성에 의한 편심 방지와 소형화에 유용하다. In the case where two leaf springs are applied as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32, these leaf springs are used as the signal terminal and the ground terminal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voice coil modul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ed par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when a general coil spring is used as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32, a spring must be fixed to two points on the outside of the sleeve 242, and a guide must be installed to improve safety. While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leaf springs 231 and 232 have a small occupying area and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leeve 242, which is useful for preventing miniaturization and miniaturization due to uniform elasticity.

이하 제1 탄성 부재(231)와 인쇄회로기판(280)의 구조 및 결합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탄성 부재(231)의 사시도인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탄성 부재(231)는 슬리브(242)와 접촉하여 이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보이스 코일 모듈(200)의 작동에 필요한 신호 단자와 접지 단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 부재(231)와 인쇄회로기판(28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접속부(도 1의 14 참조)를 구비하여, 이 접속부가 제1 탄성 부재 및 인쇄회로기판과 각각 용접되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 부재(231)와 접속부(231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즉, 접속부(231a)가 제1 탄성 부재(231)의 일 측에서 인쇄회로기판(280)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제조 공정이 간결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contacts the sleeve 242 and elastically presses it, and at the same time, a signal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voice coil module 200. Can serve as a terminal and a ground terminal. At this time,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a conventional connection part (see 14 of FIG. 1) is conventionally provided, and th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with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welded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1a are integrally formed. That is, the connection part 231a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By such a structur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또한, 상기 접속부(231a)의 일 단에는 체결부(231b)가 형성된다. 체결부(231b)는 대략 'ㄷ'자 형상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체결부(231b)의 일 측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홀더(270)와 인쇄회로기판(280)이 수용된다. In addition, a fastening part 231b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31a. The fastening part 231b is composed of a leaf spring of approximately 'c' shape. One side of the fastening part 231b is formed to be opened to accommodate the holder 27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한편, 상기 체결부(231b)는 개구측이 폐쇄측보다 일정 정도 폭이 좁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측의 양 단이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231b)가 상기 적층된 각 구성요소들에 체결되었을 경우, 상기 체결부(231b)는 상기 적층된 각 구성요소들을 서로 밀착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체결구조가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portion 231b is formed so that the opening side is narrower to a certain extent than the closing side, so that both ends of the opening side is formed to receive th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gathering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part 231b is fastened to each of the stacked components, the fastening part 231b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each of the stacked components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by the fastening structure is further improved. There is a solidifying effect.

제1 탄성 부재(231)와 인쇄회로기판(280)이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인쇄회로기판(280) 상부에 홀더(270)가 안착된다. 그리고, 홀더(270) 상부에 제1 탄성 부재(231)가 안착된다. 이때, 제1 탄성 부재(231)의 체결부(231b)가 밖에서 안쪽으로 끼워진다. 따라서, 체결부(231b)의 상부 내측은 인쇄회로기판(28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클립 형상의 체결부(231b)에 의하여 제1 탄성부재(231)와 홀더(270)와 인쇄회로기판(280)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접속부와 인쇄회로기판이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지 아니하고, 체결부(231b)에 의하여 간편하게 체결 가능해 짐으로써, 접속부와 인쇄회로기판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용접시 가하여지는 열에 의하여 보이스 코일 모듈이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are coupled will be described. First, the holder 270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is mounted on the holder 270. At this time, the fastening portion 231b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is fitted inward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the upper inner side of the fastening part 231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in contact with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231, the holder 27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may be easily and firmly fastened by the clip-shaped fastening part 231b. That is,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not easily joined by welding, but can be simply fastened by the fastening part 231b, so that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easily coupled, and the voice coil is applied by heat applied during welding.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module from being damaged can be obtained.

이때, 인쇄회로기판(280)에는 소정의 하프 비아 홀(half via hole)(281)이 더 형성되어, 체결부(231b)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하프 비아 홀(half via hole)(281)은 인쇄회로기판(280)의 일 측에 반원형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프 비아 홀(half via hole)(281)의 반경은 체결부(231b)의 폭보다 약간 정도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부(231b)가 인쇄회로기판(280)에 체결될 때, 체결부(231b)는 하프 비아 홀(half via hole)(281) 내에 수용되게 된다. 즉, 체결부(231b)가 하프 비아 홀(half via hole)(281) 내에 수용되 어, 인쇄회로기판(28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보이스 코일 모듈(200)이 차지하는 공간이 감소하고,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half via hole 281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so that the fastening part 231b may be stably fastened. In detail, the half via hole 281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The radius of the half via hole 281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astening portion 231b.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part 231b is fasten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the fastening part 231b is accommodated in the half via hole 281. That is, the fastening part 231b is accommodated in the half via hole 281 so that the fastening part 231b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80, thereby reduc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voice coil module 200.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assembly becomes easy.

본 발명에 의해서,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부의 결합이 용이해짐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ng portion becomes easy,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reducing the defect rate of the produc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5)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용 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렌즈 배럴;A lens barrel having at least one focusing lens;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슬리브;A sleeve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therein;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코일;A coil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A magnet disposed outside the coil to form a magnetic field; 내부에 상기 마그네트가 결합되는 요크;A yoke to which the magnet is coupled; 상기 슬리브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슬리브 및 상기 렌즈 배럴의 상하 운동을 구속하는 제1 탄성 부재;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low the sleeve to constrai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leeve and the lens barrel;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first elastic member;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도록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하는 접속 부재; 및A connecting member whose both ends contact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form an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를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 A voice coil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member, the fastening member for coupl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접속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 모듈. The voice coil module,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connection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일 측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 모듈. The connection member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side voice coil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 부재는 클립(clip)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 모듈. The fastening member is a voice coil module is formed in a clip (clip)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 부재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를 밀착 결합시키는 보이스 코일 모듈.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the voice coil module to closely coupl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 부재는 일 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 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의 측부에 끼워지는 보이스 코일 모듈.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so that one side is opened, the opening side is fitted to th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member voice coil modul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체결 부재는 개구 측과 폐쇄 측의 폭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접속 부재의 결합 구조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 모듈.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opening side and the closing sid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voice coil module is form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And the first elastic member comprises a leaf spring.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리브의 상측에서 상기 슬리브를 광축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 The voice coil module further comprises a second elastic member for pressing the slee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sleev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에는 함몰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 모듈. A voice coil module having a depression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하나 이상의 초점 조절용 렌즈가 구비되어 있는 렌즈 배럴;A lens barrel having at least one focusing lens; 내부에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슬리브;A sleeve accommodating the lens barrel therein; 상기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코일;A coil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eeve; 상기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마그네트;A magnet disposed outside the coil to form a magnetic field; 내부에 상기 마그네트가 결합되는 요크;A yoke to which the magnet is coupled; 상기 슬리브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및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under the sleeve; And 상기 슬리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듈.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leev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connecting part extending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upling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art and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Voice coil module.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체결부는 일 측이 개구된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 모듈. The voice coil module of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f a leaf spring with one side opened.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체결부는 폐쇄 측에서 개구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 모듈. The fastening part is a voice coil modul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widt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pening side from the closing side.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 측에는 하프 비아 홀(half via hole)이 형성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 모듈. A voice coil module having a half via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체결부의 일 측이 상기 하프 비아 홀에 수용되는 보이스 코일 모듈. One side of the fastening portion is a voice coil module accommodated in the half via hole.
KR1020070052928A 2007-05-30 2007-05-30 Voice coil module KR1011417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928A KR101141722B1 (en) 2007-05-30 2007-05-30 Voice coi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928A KR101141722B1 (en) 2007-05-30 2007-05-30 Voice coil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396A true KR20080105396A (en) 2008-12-04
KR101141722B1 KR101141722B1 (en) 2012-05-04

Family

ID=4036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928A KR101141722B1 (en) 2007-05-30 2007-05-30 Voice coil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722B1 (e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341B1 (en) * 2009-11-06 2011-02-28 주식회사 하이소닉 Compact camera device
KR20160073843A (en) 2014-12-17 2016-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US9791713B2 (en) 2014-07-24 2017-10-1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20200079457A (en) * 2020-06-24 2020-07-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WO2020243989A1 (en) * 2019-06-04 2020-12-10 高瞻创新科技有限公司 Mini gimbal stabilizer and camera module
KR20210042876A (en) * 2020-06-24 2021-04-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220047231A (en) * 2021-04-08 2022-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1653078B2 (en) * 2018-06-18 2023-05-16 Aptiv Technologies Limited Optical device with a flexible heating element
US11757165B2 (en) 2020-12-22 2023-09-12 Aptiv Technologies Limited Folded waveguide for antenna
US11901601B2 (en) 2020-12-18 2024-02-13 Aptiv Technologies Limited Waveguide with a zigzag for suppressing grating lobes
US11949145B2 (en) 2021-08-03 2024-04-02 Aptiv Technologies AG Transition formed of LTCC material and having stubs that match input impedances between a single-ended port and differential ports
US11962085B2 (en) 2021-05-13 2024-04-16 Aptiv Technologies AG Two-part folded waveguide having a sinusoidal shape channel including horn shape radiating slots formed therein which are spaced apart by one-half waveleng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672B1 (en) * 2014-07-03 2021-1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Lens moving un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638B1 (en) * 2005-04-18 2006-11-27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Transfer Device of Improved Assembling Performance
JP4696790B2 (en) 2005-08-31 2011-06-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Camera actuator
KR101091919B1 (en) * 2007-03-09 2011-12-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voice coil module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341B1 (en) * 2009-11-06 2011-02-28 주식회사 하이소닉 Compact camera device
CN112198617A (en) * 2014-07-24 2021-01-08 Lg伊诺特有限公司 Lens moving device
US10007126B2 (en) 2014-07-24 2018-06-26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US9791713B2 (en) 2014-07-24 2017-10-1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US10564443B2 (en) 2014-07-24 2020-02-18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US11442286B2 (en) 2014-07-24 2022-09-13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US10216003B2 (en) 2014-07-24 2019-02-26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20210125458A (en) 2014-12-17 2021-10-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220121756A (en) 2014-12-17 2022-09-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60073843A (en) 2014-12-17 2016-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1653078B2 (en) * 2018-06-18 2023-05-16 Aptiv Technologies Limited Optical device with a flexible heating element
WO2020243989A1 (en) * 2019-06-04 2020-12-10 高瞻创新科技有限公司 Mini gimbal stabilizer and camera module
KR20200079457A (en) * 2020-06-24 2020-07-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210042876A (en) * 2020-06-24 2021-04-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1901601B2 (en) 2020-12-18 2024-02-13 Aptiv Technologies Limited Waveguide with a zigzag for suppressing grating lobes
US11757165B2 (en) 2020-12-22 2023-09-12 Aptiv Technologies Limited Folded waveguide for antenna
KR20220047231A (en) * 2021-04-08 2022-04-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1962085B2 (en) 2021-05-13 2024-04-16 Aptiv Technologies AG Two-part folded waveguide having a sinusoidal shape channel including horn shape radiating slots formed therein which are spaced apart by one-half wavelength
US11949145B2 (en) 2021-08-03 2024-04-02 Aptiv Technologies AG Transition formed of LTCC material and having stubs that match input impedances between a single-ended port and differential po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722B1 (en)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722B1 (en) Voice coil module
KR100662238B1 (en) Lens assembly having actuating means and auto-focusing control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944629B2 (en) Camera lens assembly
US8982221B2 (en) Photography device with a shake-correction structure
KR101566299B1 (en) Voice coil module
KR100649638B1 (en) Lens Transfer Device of Improved Assembling Performance
KR101091919B1 (en) voice coil module
WO2009145072A1 (en) Lens drive device
JP2012112489A (en) Leaf spring and lens driving device
KR100849306B1 (en) Lens drive device, imaging device, and lens position adjustment method for imaging device
KR101072404B1 (en) Yoke-free automatic focus control device for a camera
KR100703588B1 (en) Auto-focusing lens assembly
KR20100109831A (en) Voice coil module
KR20070062440A (en) Device for controlling auto convergence of small optical lens
KR100949091B1 (en) Auto-focusing Lens Assembly for Mobile Device of Magnet-Moving Type
KR20110008512A (en) Voice coil module
KR20100062657A (en) Lens actuator for image pickup apparatus
KR100783362B1 (en) Lens assembly having improved productivity and auto-focusing controll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184864B1 (en) Voice Coil Module
KR100817033B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focus of camera lens module
JP4527051B2 (en) LENS DRIVE DEVICE AND IMAGING DEVICE
KR20100062569A (en) Camera lens assembly
JP2008186000A (en) Focus adjustment actuator, imaging module, and imaging unit
KR20100068701A (en) Elastic member for lens actuator and lens actuator having the same
KR100919116B1 (en) Auto-focusing lens assembly with enhanced driving power for mobil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