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350A -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350A
KR20080105350A KR1020070052833A KR20070052833A KR20080105350A KR 20080105350 A KR20080105350 A KR 20080105350A KR 1020070052833 A KR1020070052833 A KR 1020070052833A KR 20070052833 A KR20070052833 A KR 20070052833A KR 20080105350 A KR20080105350 A KR 20080105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oice
voice message
message
specific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태욱
권승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5350A/ko
Publication of KR2008010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미리 음성 메시지를 설정한 후, 간단한 키 조작으로 PTx서비스의 상대방에게 자신의 대화가 끝났음을 알린다. 또한, 주변이 매우 시끄러운 상황 혹은 정숙해야 하는 상황에서, 간단하게 Key를 누르는 것만으로 상대방에게 적절한 응답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 이용의 편의를 높였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 문자, 숫자, 기능키의 입력을 수행하는 입력부와, 소정 절차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정의 음성 메시지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반이중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특정 키가 입력되면, 그 특정 키에 할당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출하여 상대 단말측에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TT서비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VOICE MESSAGE DEFINED BY USER IN MOBILE TERMINAL}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 생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05 : 전원관리 모듈 110 : 제어부(혹은 프로세스 유닛)
115 : 디스플레이부 120 : RF모듈
130 : 스토리지 유닛 135 : 심카드(SIM Card)
140 : 안테나 145 : 스피커
150 : 마이크 155 : 배터리
160 : 키입력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의 PTx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PTx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업자와 소비자 거래처들 간에 빠른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혹은 PTT(Push To Talk)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PTV(Push To View)와, 각종 데이터 전송을 위한 PTD(Push To Data)와 같이 서버를 통해 세션을 설정한 클라이언트들 중에서 발언권 또는 전송 권한이 할당된 하나의 클라이언트가 음성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세션에 참여한 나머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반이중 통신 서비스를 총칭한다.
PTx서비스는 음성, 영상, 데이터 등을 하나의 수신자(1-to-1) 또는 그룹대화 세션 설정된 수신자 그룹(1-to-many)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PTx서비스를 이용하여 통화할 때 미리 등록한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사용자 정 의 음성 송출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반이중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특정 키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특정 키에 할당된 음성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음성 메시지를 상대 단말측에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정 키에 음성 메시지를 할당하는 경우, 상기 입력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문자인 경우,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특정 키에 할당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 문자, 숫자, 기능키의 입력을 수행하는 입력부와, 소정 절차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정의 음성 메시지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반이중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특정 키가 입력되면, 그 특정 키에 할당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출하여 상대 단말측에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반이중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특정 키에 할당하는 음성 합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 절차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메시지가 문자인 경우,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특정 키에 할당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공사장이나 노래방과 같이 주변이 매우 시끄러운 상황에서 혹은, 도서관이나 영화관과 같이 정숙해야 하는 상황에서 필요한 기술로서, 사용자가 특정 키를 입력하면 입력된 키에 매핑되는 음성 메시지(예: '예', '아니오', '다시 말해 주세요', '크게 말해 주세요', '나중에 연락하겠습니다' 등)를 상대 단말측으로 송출하는 음성 메시지 송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사용자가 PTx서비스의 발언권 요청을 해지했을 때, 자동으로 상대 단말측으로 사용자의 발언이 끝났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예: '이상이다 오버', '발언 끝', '발언권을 넘깁니다' 등)를 송출하도록 하는 음성 메시지 송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의 음성송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이중 통신 서비스의 발언권 요청 시, 미리 정의된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기 위해, 본발명의 사용자는 먼저, 발언권 요청 버튼와 특정 키를 동시에(혹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누른다. (S10) 이때, 상기 특정 키로서, 숫자 키, 사이드 키, 기능 키 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이중 통신 서비스는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PTT(Push To Talk), PTV(Push To View), PTD(Push To Data)와 같은 PTx서비스들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PTT(Push To Talk)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과정(S10)의 수행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키(이하, '음성메시지 송출 키'라 한다)가 입력되면, 단말의 제어부(110)는 상기 음성메시지 송출 키에 할당된 음성 메시지를 메모리(130)에서 검출한다(S20, S30) 그리고, 상기 메모리(130)에서 검출된 음성 메시지를 상대 단말측으로 송출한다. (S40)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메시지의 생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의 생성을 위해 본 발명의 사용자는 먼저, 단말의 음성입력 수단(150)이나 문자입력 수단(160)을 통해 상기 음성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한다. (S110)
상기 입력되는 메시지가 문자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TTS(Text To Speech)엔진을 이용하여 입력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생성한다. (S120, S130) 그리고 상기 생성된 음성 메시지를 특정 키에 할당하고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S140)
만일, 상기 과정(S110)의 입력 메시지가 음성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그대로 녹음하여 음성 메시지를 생성한다. (S120, S150) 그리고 상기 생성된 음성 메시지를 특정 키에 할당하고 상기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S140)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정의 음성송출 방법을 설명한다.
반이중 통신 서비스에서, 발언권을 요청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우선, 발언권 요청 버튼을 누른다. (S210) 그리고 발언이 끝난 후, 상기 누르고 있던 발언권 요청 버튼에서 손을 떼는 것으로 자신의 발언권 요청을 해지한다. (S220, S23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송출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발언권 요청 버튼에서 손을 떼는 순간, 미리 설정된 음성 메시지를 상대 단말측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S240)
즉, 상기 발언권 요청의 해지를 의미하는 어떠한 신호가 입력(S230)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신호에 할당된 음성 메시지(예: '이상이다 오버', '발언 끝', '발언권을 넘깁니다' 등)를 상기 메모리(130)에서 검출하고, 상대 단말측으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성 메시지는 위의 도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되고 할당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스 유닛(110), RF모듈(120), 전원관리 모듈(105), 안테나(140), 배터리(155), 디스플레이부(115), 키입력부(160, 예: 키패드), 스토리지 유닛(130), SIM 카드(135)(옵션), 스피커(145) 및 마이크(150)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키입력부(160)나 마이크(150)를 이용하여, 각종 지시정보(예: 전화번호 등) 또는 음성 메시지의 내용에 해당하는 문자 메시지나 자신의 음성을 입력한다.
사용자로부터 음성 메시지에 관한 내용이 입력되면,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은, 소정의 과정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특정 키에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135) 혹은 스토리지 유닛(130)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PTT서비스와 관련된 특정 키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은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135) 혹은 스토리지 유닛(130)에서, 상기 특정 키에 매핑되는 음성 메시지 검출하여 상기 RF모듈(120)을 통해 상대 단말측으로 송출한다.
상기 RF모듈(120)은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기 또는 서버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통신은 음성, 화상 또는 데이터 통신 등이 될 수 있다. RF모듈(120)은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하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140)는 무선 신호들의 송수신을 용이하게 한다.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RF모듈(120)는 프로세스 유닛(110)의 처리를 위해,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들을 기저대역 주파수로 변환한다. 상기 무선신호들이 착신 호일 경우, 상기 변환된 신호들은 상기 스피커(145)를 통해 출력된 청취(audible) 및 독출 가능한(readable) 정보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5)는 프로세스 유닛(110)의 제어에 의해 단말기의 각종 상태정보 및 기능 수행 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스토리지 유닛(130)은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각종 음성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스토리지 유닛(130)은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관리 모듈(105)은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키 입력부(160)는 사용자의 키패드 조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스 유닛(110)에 인가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미리 음성 메시지를 설정한 후, 간단한 키 조작으로 PTx서비스의 상대방에게 자신의 대화가 끝났음을 알리거나 상대방에게 발언할 기회가 있음을 인식하도록 하는 음성 메시지(Voice Message)를 송출함으로써, 단말기 이용의 편의를 높였다.
또한, 공사장이나 노래방과 같이 주변이 매우 시끄러운 상황에서 혹은, 도서관이나 영화관과 같이 정숙해야 하는 상황에서, 간단하게 Key를 누르는 것 만으로 상대방에게 적절한 응답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 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반이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단말기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반이중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특정 키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특정 키에 할당된 음성 메시지를 메모리에서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음성 메시지를 상대 단말측에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이중 통신 서비스는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PTV(Push To View), 그리고 PTD(Push To Data)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과정에서의 특정 키는
    숫자 키, 사이드 키, 기능 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와 발언권 요청 버튼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과정에서의 특정 키는
    발언권 요청의 해지 시, 입력되는 키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과정에서의 특정 키는
    사용자가 발언권 요청 버튼에서 손을 떼는 순간 발생하는 키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대 단말로 송출되는 상기 음성 메시지는
    사용자의 발언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에 음성 메시지를 할당하는 경우, 상기 입력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문자인 경우,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특정 키에 할당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방법
  8. 반이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그룹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종 문자, 숫자, 기능키의 입력을 수행하는 입력부와;
    소정 절차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정의 음성 메시지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반이중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특정 키가 입력되면, 그 특정 키에 할당된 음성 메시지를 상기 메모리에서 검출하여 상대 단말측에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반이중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특정 키에 할당하는 음성 합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이중 통신 서비스는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PTV(Push To View), 그리고 PTD(Push To Data)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절차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메시지가 문자인 경우,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변환된 음성 메시지를 특정 키에 할당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 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KR1020070052833A 2007-05-30 2007-05-30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및 방법 KR20080105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833A KR20080105350A (ko) 2007-05-30 2007-05-30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833A KR20080105350A (ko) 2007-05-30 2007-05-30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350A true KR20080105350A (ko) 2008-12-04

Family

ID=40366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833A KR20080105350A (ko) 2007-05-30 2007-05-30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53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645B1 (ko) 푸시 투 토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검출 및 인식을이용한 발언권 관리 장치와 방법
KR100575978B1 (ko)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의 발언권자표시방법
EP2272266B1 (en) Method for dual channel monitoring on a radio device
US20060142036A1 (en) Handling talk burst denials in group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PTT service
KR20080081665A (ko) Ptt 이동 단말기와 ptt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발신자 위치 표시 방법
KR100700568B1 (ko) Ptt 단말기에서의 음성 데이터 재전송 방법
KR1006403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그룹 통화 방법
CN1328918C (zh) 在移动通信系统中使用即按即说方案进行通信的方法
US200903255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 conference call
KR10062621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피티티 통화중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60014299A (ko)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 실행방법
KR100566284B1 (ko) 체감 지연이 없이 음성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PoC이동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
US9088875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07249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PTT(Push―To―Talk)방식의 통화 알림 장치및 방법
KR20080105350A (ko) 휴대단말기의 사용자 정의 음성 송출장치 및 방법
KR100664192B1 (ko)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630125B1 (ko) Ptt콜 중재방법
JP2009278499A (ja) 携帯通信端末
KR100640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KR100605832B1 (ko) Ptt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상태 알림방법
KR100606019B1 (ko) Ptt휴대용 단말기의 자동 알림방법
KR1006774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언권 요청 처리 방법
KR101092366B1 (ko) 그룹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0890262B1 (ko) 휴대 단말기의 푸쉬 투 톡 통신 방법.
KR10064032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