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248A - Sampler for ultra-fine particles - Google Patents

Sampler for ultra-fine part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248A
KR20080105248A KR1020070052562A KR20070052562A KR20080105248A KR 20080105248 A KR20080105248 A KR 20080105248A KR 1020070052562 A KR1020070052562 A KR 1020070052562A KR 20070052562 A KR20070052562 A KR 20070052562A KR 20080105248 A KR20080105248 A KR 20080105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high voltage
particle sampler
ultrafine particle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85868B1 (en
Inventor
이승복
배귀남
황정호
박동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5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868B1/en
Publication of KR2008010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2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8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imp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66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electrical classif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is provided to charge particles included in the air and selectively adjust sizes of ultrafine particles collected using electrical mobility to easi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particles in a specific space.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100) includes an aerosol electric charging part(120) for charging particles included in the air, an electrostatic classifier(140) for classifying the charged particles using an electrical mobility difference according to sizes of the charged particles, and an impactor(130) for filtering particles having size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The internal space of the sampler is defined as an air flow path. The electrostatic classifier forms an electric field in the air flow path such that the electric field acts on the charged particles to separate relatively light particles from relatively heavy particles.

Description

극미세입자 샘플러{Sampler for ultra-fine particles}Sampler for ultra-fine partic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미세입자 샘플러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팩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팩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imp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미세입자 샘플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Figure 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극미세입자 샘플러의 사진.5 is a photograph of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극미세입자 샘플러의 각 부품의 사진.Figure 6 is a photograph of each part of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미세입자 샘플러를 이용하여 실제 극미세입자를 채취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llecting the actual ultrafine particles using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극미세입자 샘플러100: ultra fine particle sampler

101 : 공기 유로 102 : 공기 펌프101: air flow path 102: air pump

110 : 공기 흡입구 120 : 에어로졸 하전기110: air inlet 120: aerosol charge

121 : 제 1 고전압 발생기 122 : 제 1 고전압 전극봉121: first high voltage generator 122: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130 : 임팩터 131 : 노즐판130: impactor 131: nozzle plate

131a : 노즐 132 : 충돌판131a: nozzle 132: impingement plate

132a : 개구부 140 : 정전 분리부132a: opening 140: electrostatic separator

141 : 제 2 고전압 발생기 142 : 제 2 고전압 전극봉141: second high voltage generator 142: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143 : 여과 수단 143a : 헤파 필터143: filter means 143a: hepa filter

143b : 분리 홈 150 : 극미세입자 채취부143b: separation groove 150: ultra-fine particle collection unit

151 : 여과지151 filter paper

본 발명은 극미세입자 샘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 중 부유하는 극미세입자를 크기에 따라 정확하게 채취함과 함께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여 제반 장소에서의 극미세입자 농도 측정이 가능한 극미세입자 샘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capable of accurately collecting the ultra-fine particles suspended in the air according to their size and making it easy to carry. .

대기 중에 부유하는 입자 중 약 100nm 이하의 극미세입자들은 인간의 호흡기에 걸러지지 않고 폐 속의 폐포까지 도달하여 침착될 확률이 높고, 동일 질량의 입 자에 비해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매우 커 입자 내에 포함된 독성물질들이 쉽게 세포에 흡수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극미세입자들은 경유 자동차, 나노물질을 제조하는 산업 현장 등 다양한 배출원으로부터 발생된다. Ultrafine particles of less than about 100 nm in the air suspended particles are more likely to deposit and reach alveoli in the lungs without being filtered out of the human respiratory tract. The substances are likely to be easily taken up by the cells. These microparticles come from a variety of sources, including diesel vehicles, industrial sites that manufacture nanomaterials.

따라서, 극미세입자에의 노출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특정 공간, 장소에서의 대기 중 극미세입자를 용이하게 채취하여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극미세입자 샘플러가 요구된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exposure to the ultrafine particles, and for this purpose, a microfine particle sampler capable of easily collecting the fine particles in the air in a specific space and place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thereof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대기 중 부유하는 극미세입자를 크기에 따라 정확하게 채취함과 함께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여 제반 장소에서의 극미세입자 농도 측정이 가능한 극미세입자 샘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meet the above requirements, to provide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capable of measuring the ultra-fine particle concentration in various places by accurately collecting the ultra-fine particles suspended in the air according to the size and easy to carry. Its purpose is to.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극미세입자 샘플러는 다양한 크기의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극미세입자를 선택적으로 채취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에 있어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들을 대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에어로졸 하전부, 상기 대전된 입자들을 대전된 입자의 크기에 따른 전기적 이동도 차이를 이용하여 극미세입자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정전 분리부 및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들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임팩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극미세입자 샘플러의 내부 공간은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로 정의되며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 임팩터 및 정전 분리부는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정전 분리부는 정전 분리부가 구비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의 공간에 전기장을 형성하고,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힘이 각각의 대전된 입자에 작용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질량의 극미세입자와 상대적으로 큰 질량의 입자들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to selectively collect the ultrafine particles by inhaling air containing particles of various sizes, and serves to charge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n aerosol charged portion, an electrostatic separator that serves to separate the ultrafine particles by using the difference in electrical mobil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harged particles, and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aerosol charged portion, It comprises an impactor that primarily filters the particles, the inner space of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is defined as an ai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flows, the aerosol charge portion, the impactor and the electrostatic separator is provided along the air flow path The electrostatic separator is provided with an electrostatic separator An electric field is formed in the space of the air flow path corresponding to the tooth, and the force is applied to each charged particle by the electric field formed to separate the relatively small mass microparticles and the relatively large mass particles. .

상기 임팩터는 노즐판과, 상기 노즐판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충돌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판에는 입자들이 통과되는 복수개의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충돌판의 가장자리에는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판의 노즐과 상기 충돌판의 개구부는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노즐판의 노즐을 통과하는 입자들은 상기 충돌판에 의해 90도 꺾여 제트 유선을 형성하며, 상대적으로 큰 질량의 입자들은 상기 충돌판에 충돌,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질량의 입자들은 상기 제트 유선을 따라 이동하여 충돌판의 개구부를 따라 배출된다. 또한, 상기 충돌판의 표면에는 충돌된 입자들을 포집하는 역할을 하는 접착막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판의 노즐의 직경은 0.1∼1mm이다. The impactor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nozzle plate and a collision plat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ly from the nozzle plate, the nozzle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through which particles pass and an opening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impact plate. The nozzle of the nozzle plate and the opening of the impingement plate are not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At this time, th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nozzle of the nozzle plate is bent by 90 degrees by the impingement plate to form a jet streamline, the relatively large mass of particles collide with the impingement plate is collected, the relatively small mass of particles It travels along the jet streamline and is discharged along the opening of the impingement plate.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impingement plate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film which serves to collect the collided particles, the diameter of the nozzle of the nozzle plate is 0.1 to 1mm.

상기 정전 분리부는 제 2 고전압 발생기 및 제 2 고전압 전극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정전 분리부에 구비된 위치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의 내측벽이 접지 상태(ground)를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고전압 발생기에서 고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에 인가하여 상기 정전 분리부에 구비된 위치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의 공간에 전기장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은 공기 유로의 중앙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에는 1∼3kV의 전압이 인가된다. The electrostatic separator includes a second high voltage generator and a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wherein the second high voltage generator is in a state in which an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th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lectrostatic separator is in a ground state. Generates a high voltage at and applies it to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to form an electric field in the space of the air flow path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provided in the electrostatic separator. In this case,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air flow path, and a voltage of 1 to 3 kV is applied to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는 코로나 방전, 방사선, 자외선 및 X-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입자들을 대전시키며,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입자들을 대전시키는 경우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는 제 1 고전압 발생기 및 제 1 고전압 전극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가 구비된 위치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의 내측벽은 접지 상태를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고전압 발생기는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제 1 고전압 전극봉에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을 유도함으로써 입자들을 (+) 상태로 대전시킨다. 이 때, 상기 제 1 고전압 전극봉은 공기 유로의 내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고전압 전극봉에 인가되는 전압은 4∼6kV이다. The aerosol charge unit charges the particles using any one of corona discharge, radiation, ultraviolet rays and X-rays, and when the particles are charged using the corona discharge, the aerosol charge unit includes a first high voltage generator and a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And an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th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aerosol charge portion is provided is in a ground state, wherein the first high voltage generator generates a high voltage and is applied to the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to corona discharge. The particles are charged to the (+) state by inducing. At this time, the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th,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is 4 ~ 6kV.

상기 정전 분리부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질량의 극미세입자는 공기 유로의 내측벽으로 이동되고, 상대적으로 큰 질량의 입자들은 공기 유로의 중앙 부위에 머무른다. 또한, 상기 정전 분리부의 하단에 여과 수단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여과 수단은 상기 공기 유로의 내측벽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위에 상기 공기 유로의 내측벽으로 이동된 극미세입자들이 통과할 수 있는 분리 홈을 구비하고, 상기 여과 수단의 중앙 부위에 극미세입자들보다 큰 입자들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헤파 필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 홈의 직경은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와 비례 관계를 갖는다. Due to the electric field formed in the electrostatic separator, relatively small mass microparticles are moved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th, and relatively large mass particles sta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flow path. In addition, a filter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electrostatic separator, and the filtering means has a separation groove through which ultra-fine particles moved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passage can pass through a portion relatively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passage. And a hepa filter that serves to filter particles larger than the ultrafine particles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ltration means.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separation groove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미세입자 샘플러를 상 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미세입자 샘플러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팩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팩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Hereinafter,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operating principle of the imp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미세입자 샘플러(100)는 외부 환경과 격리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공기 유로(101)로 정의된다. 또한, 상단에 공기 흡입구(110)가 구비되고 하단에 극미세입자 채취부(150)가 구비되어 공기 중 포함되어 있는 극미세입자가 상기 공기 유로(101)를 따라 최종적으로 상기 극미세입자 채취부(150)에 의해 채취된다. First, as shown in FIG. 1,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nal space isolated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internal space is defined as an air flow path 101. In addition, the air inlet 110 is provided at the top and the ultra-fine particle collecting unit 15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ltra-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long the air passage 101 finally the ultra-fine particle collecting unit 150 Is taken by.

극미세입자 채취를 위해 상기 공기 흡입구(110)와 극미세입자 채취부(150) 사이에는 에어로졸 하전부(120), 임팩터(130) 및 정전 분리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 임팩터(130) 및 정전 분리부(140)는 상기 공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크기의 입자 중 극미세입자를 분리해 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각각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An aerosol charge unit 120, an impactor 130, and an electrostatic separator 140 are provided between the air inlet 110 and the micro fine particle collecting unit 150 to collect the micro fine particles.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the impactor 130 and the electrostatic separator 140 is a means for separating the ultra-fine particles of the particles of various siz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110, respectively It plays the following roles: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는 상기 공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들을 대전시켜 상기 정전 분리부(140)에 의한 극미세입자 분리가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는 제 1 고전압 발생기(121)와 제 1 고전압 전극봉(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고전압 발생기(121)는 4∼6kV의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제 1 고전압 전극봉(122)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고전압 전극봉(122)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코로나 방전이 유도되어 (+)이온이 생성되며, 이와 같은 (+)이온에 의 해 입자들이 (+) 상태로 대전되는 것이다. 이 때, 코로나 방전의 유도를 위해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101)의 내측벽은 접지 상태(ground)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고전압 전극봉(122)은 공기 유로(101)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공기의 흐름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전기장에 의해 극미세입자들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자를 대전시키는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의 구성으로서 제 1 고전압 발생기(121) 및 제 1 고전압 전극봉(122)을 통한 코로나 방전을 제시하였으나, 이와 같은 코로나 방전 이외에 입자를 하전시키는 수단으로서 방사선, 자외선, X-선 등을 발생시키는 장치 등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입자들의 대전 상태는 (-) 극성도 가능하다.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serves to facilitate the ultrafine particle separation by the electrostatic separator 140 by charging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110. To this end,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high voltage generator 121 and the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rod 122, the first high voltage generator 121 generates a high voltage of 4 ~ 6kV 1 serves to apply to the high voltage electrode 122.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122, corona discharge is induced to generate (+) ions, and the particles are charged to the (+) state by the (+) ions. At this time, the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th 101 corresponding to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maintains a ground to induce corona discharge. Here, the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122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th 101, which is to prevent the ultrafine particles from being lost by the electric field by minimizing contact with the flow of air.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ona discharge through the first high voltage generator 121 and the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122 is proposed as the configuration of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to charge the particles. In addition to the discharge, a device for generating radiation, ultraviolet rays, X-rays, or the like may also be used as a means for charging the particles. In addition, the charged state of the particles can also be negative polarity.

상기 임팩터(130)는 관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극미세입자보다 상대적으로 큰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들을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세부적으로 노즐판(131)과 충돌판(132)으로 구성된다. 참고로, 극미세입자의 크기가 50∼100nm라고 정의하면 상기 임팩터(130)에 의해 걸러지는 입자의 크기는 500nm 이상이라 할 수 있다. The impactor 130 filters the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than the ultrafine particles by using the difference of inertia. The impactor 130 includes a nozzle plate 131 and a collision plate 132 in detail. For reference, when the size of the ultrafine particles is defined as 50 to 100 nm, the size of the particles filtered by the impactor 130 may be 500 nm or more.

상기 노즐판(13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자들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개의 노즐(131a)을 구비하며, 상기 충돌판(132)은 상기 노즐판(131)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일측에 소정 형상의 개구부(132a)를 구비한다. 상기 충돌판(132)의 개구부(132a)는 충돌판(132)의 외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노즐판(131)의 노즐(131a)들은 노즐판(131)의 중앙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충돌판(132)의 개구 부(132a)와 상기 노즐판(131)의 노즐(131a)들이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노즐(131a)의 직경은 0.1∼1mm가 바람직하다.The nozzle plate 131 has a plurality of nozzles 131a through which particles can pass, as shown in FIG. 2, and the collision plate 132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nozzle plate 131. The opening 132a of a predetermined shape is provided at one side. The opening 132a of the impingement plate 132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outer side of the impingement plate 132, and the nozzles 131a of the nozzle plate 131 ar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nozzle plate 131 so that the collision is performed. The opening 132a of the plate 132 and the nozzles 131a of the nozzle plate 131 are preferably designed so as not to be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In addition, the diameter of each nozzle 131a is preferably 0.1 to 1 mm.

한편, 상기 노즐판(131)과 충돌판(132)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들이 걸러지는 원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노즐판(131)의 노즐(131a)에 유입되어 통과하게 되는 공기는 유입 전의 환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노즐(131a)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베르누이의 법칙). 상기 노즐(131a)에 의해 일정 속도로 가속된 공기는 상기 충돌판(132)에 부딪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이 90도로 꺾이게 되고 최종적으로, 충돌판(132)의 외곽에 형성된 개구부(132a)를 통해 배출된다. Meanwhile, the principle of filtering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by the nozzle plate 131 and the collision plate 132 is as follows. First, the air flowing into and passing through the nozzle 131a of the nozzle plate 131 is made to have a faster flow rate by the nozzle 131a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environment before the inflow (Bernui's law). Air accelerated by the nozzle 131a at a constant speed hits the collision plate 132 and the air flow is bent at 90 degrees as shown in FIG. 3, and finally, an opening formed at the outer side of the collision plate 132. Is discharged through 132a.

상기 충돌판(132)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90도 꺾임에 따라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들 역시 90도로 꺾이게 되는데, 이 때의 입자들의 흐름은 제트 유선(jet streamline)이라 정의된다. 상기 제트 유선을 따라 입자들이 흐르고 최종적으로 충돌판(132)의 개구부(132a)를 통해 배출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입자들은 제트 유선을 따라 이동하여 충돌판(132)의 개구부(132a)로 배출되나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입자들은 제트 유선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충돌판(132)에 충돌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들을 상기 충돌판(132)을 통해 걸러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충돌판(132)의 표면에는 접착막가 구비되어 상기 제트 유선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충돌판(132)에 충돌된 입자 즉, 일정 크기의 이상의 입자들을 포집한다. As the flow of air is bent by 90 degrees by the impingement plate 132,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re also bent by 90 degrees. In this case, the flow of particles is defined as a jet streamline. As the particles flow along the jet streamline and finally exit through the opening 132a of the impingement plate 132, particles of relatively small size move along the jet streamline to the opening 132a of the impingement plate 132. Particles of relatively large size that are discharged may not move along the jet streamline but collide with the collision plate 132, and ultimately, may filter particl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hrough the collision plate 132. Here, the surface of the impingement plate 132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film to collect the particles collided with the impingement plate 132, that is, particl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without moving along the jet streamline.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 및 임팩터(130)를 거쳐 일정 크기 이하로 1차적으로 걸러진 입자들은 상기 정전 분리부(140)로 전달되는데, 상기 정전 분리부(140)는 전달된 입자들 중 극미세입자만을 최종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articles primarily filtered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through the aerosol charge part 120 and the impactor 130 are delivered to the electrostatic separator 140, wherein the electrostatic separator 140 is ultrafine particles among the delivered particles. The role is to finally separate the bay.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 및 임팩터(130)를 거친 입자들 중에서 극미세입자를 분리하는 원리는, 상기 정전 분리부(140)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101)에 전기장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질량 큰 입자들과 상대적으로 질량이 작은 입자들 사이의 전기적 이동도 차이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질량이 작은 입자 즉, 극미세입자들을 분리하는 것이다. The principle of separating the ultrafine particles from the particles passed through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and the impactor 130 is to form an electric field in the air flow path 101 corresponding to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140 and in this state relative Therefore, by using the electrical mobility difference between the large mass particles and the relatively small mass particles to separate the relatively small particles, that is, the ultrafine particles.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정전 분리부(140)에는 제 2 고전압 발생기(141), 제 2 고전압 전극봉(14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142)은 입자의 대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공기 유로(101)의 중앙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142)는 상기 제 1 고전압 전극봉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봉의 두께가 두껍다. 상기 제 2 고전압 발생기(141)는 1∼3kV의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142)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에 의해 입자들이 대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정전 분리부(140)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101)의 내측벽은 접지 상태(ground)로 유지됨에 따라, 정전 분리부(140)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101)에는 전기장이 형성되며 대전된 입자들에는 전기장에 의한 힘이 작용되는데, 아래의 수식 1에 의해 대전된 입자의 질량이 클수록 전기적 이동도가 작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질량 의 입자 즉, 극미세입자들은 공기 유로(101)의 내측벽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큰 질량의 입자는 공기 유로(101)의 중앙 부위에 머물게 되어 극미세입자들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To implement this, the electrostatic separator 140 is provided with a second high voltage generator 141 and a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rod 142. Here,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142 is preferably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flow path 101 in order to uniformly charge the particles,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142 is the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In contrast, the rod is relatively thick. The second high voltage generator 141 serves to generate a high voltage of 1 to 3 kV and apply it to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rod 142. At this time, the particles are charged by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and the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th 101 corresponding to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140 is maintained in the ground (ground), the electrostatic An electric field is formed in the air flow path 101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ng unit 140, and a force caused by the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charged particles, and the greater the mass of the charged particles by Equation 1 below, the smaller the electrical mobility. . Therefore, the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small mass, that is, the microparticles, move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air passage 101, and the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large mass remain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passage 101 to separate the microparticles. Will be.

또한, 전기장의 크기는 아래의 수식 2와 같이 인가되는 전압에 비례됨에 따라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전기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전기장의 크기는 대전된 입자의 이동도와 관계됨에 따라 궁극적으로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142)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공기 유로(101)의 내측벽으로 이동되는 극미세입자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field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s it is proportional to the voltage applied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and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field ultimately depends on the mobility of the charged particles.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14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ize of the ultrafine particles that are moved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th 101.

<수식 1><Equation 1>

F = q·E = m·aF = qE = m

(F는 대전된 입자에 작용하는 힘, E는 전기장의 크기, m은 대전된 입자의 질량)(F is the force acting on the charged particles, E is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field, m is the mass of the charged particles)

<수식 2><Formula 2>

E = V/dE = V / d

상기 정전 분리부(140)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101) 하단부에는 상기 공기 유로(101)의 내측벽으로 이동된 극미세입자들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여과 수단(143)이 구비된다. 상기 여과 수단(143)은 중앙 부위에 극미세입자보다 큰 입자들을 걸러내기 위한 헤파(HEPA) 필터(143a)를 구비하고 외곽 부위 즉, 상기 공기 유로(101)의 내측벽에 상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공기 유로(101)의 내측벽으로 이동된 극미세입자들이 통과할 수 있는 분리 홈(143b)을 구비한다. 상기 여과 수 단(143)은 분리 홈(143b)은 극미세입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되는 극미세입자의 크기는 전압에 관계됨에 따라 분리 홈(143b)의 직경은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142)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air passage 101 corresponding to the electrostatic separator 140 is provided with filtration means 143 for selectively passing only the ultrafine particles moved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passage 101. The filtering means 143 includes a HEPA filter 143a for filtering particles larger than the ultrafine particles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air portion in the outer portion, that is,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passage 101.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groove 143b through which the micro fine particles moved to the inner wall of the flow path 101 can pass. The separation stage 143b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ltrafine particles. As described above, the diameter of the separating groove 143b may vary depending on the voltage.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142 may be selec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142.

이상, 상기 공기 흡입구(110)와 극미세입자 채취부(150)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로졸 하전부(120), 임팩터(130) 및 정전 분리부(1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참고로, 도 1 및 관련 설명에 있어서 임팩터(130)를 에어로졸 하전부(120)의 하단에 구비시키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임팩터(130)를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의 상단에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임팩터(130)를 통해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들을 걸러내고, 걸러진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들에 대해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를 통해 대전시키는 순서로 진행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the impactor 130, and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140 provided between the air intake port 110 and the ultrafine particle collection unit 150 has been described above. For reference, in FIG. 1 and related descriptions, the impactor 130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but the impactor 13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Do. In this case, the impactor 130 filters the particl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nd proceeds in an order of charging the filtered particles or more through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한편, 상기 정전 분리부(140)에 의해 걸러진 극미세입자들은 상기 극미세입자 채취부(150)에 구비된 여과지(151)에 의해 최종적으로 채취된다. 참고로, 상기 공기 펌프(102)는 공기의 흐름이 2~5ℓ/min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ultrafine particles filtered by the electrostatic separator 140 are finally collected by the filter paper 151 provided in the ultrafine particle collecting unit 150. For reference, the air pump 102 is preferably controlled so that the flow of air is 2 ~ 5L / min.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극미세입자 채취부(150)에 여과지(151)르 제거하고서 분석 수단을 구비시켜 상기 극미세입자 채취부(150)를 통과한 극미세입자들에 대해 질량 농도 및 성분 등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극미세입자 샘플러의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극미세입자 샘플러의 각 부품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고전압 발생기(141) 등은 포함되지 않았으며 상단은 맨 왼쪽부터 공기 흡입구(110), 에어로졸 하전부(120), 임팩터(130), 정전 분리부(140)(왼쪽에서 4번째 및 5번째 부품), 극미세입자 채취부(150)가 나열된 것이며 하단은 맨 왼쪽부터 제 1 고전압 전극봉(122), 충돌판(132), 제 2 고전압 전극봉(142), 여과 수단(143)이 나열된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lter paper 151 is removed from the ultrafine particle collection unit 150, and an analysis means is provided, such as the mass concentration and the component of the ultrafin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ultrafine particle collection unit 150. Properties can be measured. For reference, FIG. 5 is a photograph of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hotograph of each part of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the first and second high voltage generators 141 and the like are not include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the air inlet 110,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the impactor 130, and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unit 140. (4th and 5th parts from the left), the ultra-fine particle collecting unit 150 is listed and the bottom is the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122, the collision plate 132,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142, filtering means from the left most 143 is listed.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미세입자 샘플러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미세입자 샘플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Figure 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펌프(102)의 동작에 의해 공기 흡입구(110)에 공기가 흡입되며(S401), 이 때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은 2∼5ℓ/min가 바람직하다. 흡입된 공기 정확히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들은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에 의해 대전된다(S402). 상기 입자들의 대전은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거나 방사선, 자외선, X-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4, air is sucked into the air inlet 110 by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102 (S401), and at this time, the flow rate of the sucked air is preferably 2-5 L / min. Inhaled air, exactly,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re charged by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S402). The charging of the particles may use corona discharge or radiation, ultraviolet rays, X-rays, or the like.

이와 같은 상태에서 대전된 입자들은 상기 임팩터(130)의 노즐판(131) 및 충돌판(132)을 거치게 되고 이에 따라,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들은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S403). 구체적으로, 대전된 입자들은 상기 노즐판(131)의 노즐(131a)을 통해 가속되고 충돌판(132)에 의해 제트 유선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큰 질량의 입자들은 제트 유선에 따라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일정 크기 이하의 입자들만 상기 충돌판(132)의 개구부(132a)를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입자들에 대해 임팩터(130)를 먼저 거치 도록 하고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를 나중에 거치게 할 수도 있다. In this state, the charged particles pass through the nozzle plate 131 and the impingement plate 132 of the impactor 130. Accordingly, particl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re first filtered (S403). Specifically, the charged particles are accelerated through the nozzle 131a of the nozzle plate 131 and form a jet streamline by the impingement plate 132.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large mass cannot move along the jet streamline. Finally, only particl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are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132a of the impingement plate 132.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impactor 130 may first pass through the particles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110, and then pass through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later.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120) 및 임팩터(130)를 통해 1차적으로 걸러진 입자들은 정전 분리부(140)에 전달되며, 상기 정전 분리부(140)는 해당 정전 분리부(140)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101)의 공간에 전기장을 인가시켜 상대적으로 질량이 작은 입자와 큰 입자를 공간적으로 분리시킨다(S404). 즉, 상대적으로 질량이 작은 입자 즉, 극미세입자는 전기적 이동도가 상대적으로 커 공기 유로(101)의 내측벽으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입자는 전기적 이동도가 상대적으로 작아 공기 유로(101)의 중앙 부위에 머물게 된다. Particles primarily filtered through the aerosol charging unit 120 and the impactor 130 are delivered to the electrostatic separator 140, and the electrostatic separator 140 is an air flow path corresponding to the electrostatic separator 140.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space of 101 to spatially separate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small mass and particles having a large mass (S404). That is, relatively small particles, that is, ultrafine particles, move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th 101 due to their relatively high electrical mobility, and relatively large particles move to the air flow path 101 because their electrical mobility is relatively small. In the center of the box).

이와 같이 분리된 극미세입자는 최종적으로 여과 수단(143)의 분리 홈(143b)을 거쳐 상기 극미세입자 채취부(150)에 전달된다. The ultrafine particles thus separated are finally transferred to the ultrafine particle collecting unit 150 via the separation groove 143b of the filtration means 143.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미세입자 샘플러를 이용하여 실제 극미세입자를 채취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극미세입자를 선택적으로 채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X축은 극미세입자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며 Y축은 극미세입자의 크기에 따른 채취 확률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고전압 전극봉(142)에 인가되는 전압의 조절을 통해 채취되는 극미세입자 크기를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도 7의 극미세입자의 크기 및 그에 따른 채취 확률은 선택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actual ultrafine particles collected by using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ultrafine particles of various sizes can be selectively collected as shown in FIG. Can be. In FIG. 7, the X axis represents the size of the ultrafine particles and the Y axis represents the sampling probabil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ltrafine particles.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ultrafine particles collected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142 may be controlled, and thus the size of the ultrafine particles of FIG. 7 and the sampling probability thereof may be selectively varied. Can be.

본 발명에 따른 극미세입자 샘플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들을 대전시키고, 전기적 이동도를 이용하여 채취되는 극미세입자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제반 공간에서의 극미세입자 농도 등의 특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By charging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nd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ultra-fine particles collected by using the electrical mobility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particles in the various spaces.

Claims (18)

다양한 크기의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극미세입자를 선택적으로 채취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에 있어서, In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to selectively collect the ultra-fine particles by inhaling air containing particles of various sizes,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들을 대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에어로졸 하전부, 상기 대전된 입자들을 대전된 입자의 크기에 따른 전기적 이동도 차이를 이용하여 극미세입자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정전 분리부 및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어 일정 크기 이상의 입자들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임팩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An aerosol charging unit serving to charge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the electrostatic separator to serve to separate the ultrafine particles by using the electrical mobilit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harged particles in the charged particles and the aerosol It is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whole comprises an impactor that serves to filter the particle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상기 극미세입자 샘플러의 내부 공간은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로로 정의되며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 임팩터 및 정전 분리부는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구비되며, The inner space of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is defined as an air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and the aerosol charge portion, the impactor, and the electrostatic separator are provided along the air flow path. 상기 정전 분리부는 정전 분리부가 구비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의 공간에 전기장을 형성하고,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힘이 각각의 대전된 입자에 작용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질량의 극미세입자와 상대적으로 큰 질량의 입자들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 The electrostatic separator forms an electric field in the space of the air flow path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static separator is provided, and the force is applied to each charged particle by the formed electric field so that a relatively small mass of ultrafine particles and a relatively large mass Ultrafine particle sampler, characterized in that to separate the particles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터는 노즐판과, 상기 노즐판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충돌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pactor is made of a combination of a nozzle plate and a collision plat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nozzle plate, 상기 노즐판에는 입자들이 통과되는 복수개의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충돌판 외곽에 개구부가 구비되며, 상기 노즐판의 노즐과 상기 충돌판의 개구부는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The nozzle 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through which particles pass, and an opening is formed outside the collision plate, and the nozzle of the nozzle plate and the opening of the collision plate are not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판의 노즐을 통과하는 입자들은 상기 충돌판에 의해 90도 꺾여 제트 유선을 형성하며, 상대적으로 큰 질량의 입자들은 상기 충돌판에 충돌, 포집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질량의 입자들은 상기 제트 유선을 따라 이동하여 충돌판의 개구부를 따라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articles passing through the nozzle of the nozzle plate is bent 90 degrees by the impingement plate to form a jet streamline, the relatively large mass of particles impinge on the impingement plate is collected, the relatively small mass of Particles can move along the jet streamline and be discharged along the opening of the impingement pl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의 표면에는 충돌된 입자들을 포집하는 역할을 하는 접착막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of claim 2, wherein an adhesive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mpingement plate to collect collided particl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직경은 0.1∼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3.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nozzle has a diameter of 0.1 to 1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분리부는 제 2 고전압 발생기 및 제 2 고전압 전극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lectrostatic separator comprises a second high voltage generator and a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정전 분리부에 구비된 위치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의 내측벽이 접지 상태(ground)를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고전압 발생기에서 고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에 인가하여 상기 정전 분리부에 구비된 위치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의 공간에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In the state where the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th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provided in the electrostatic separator forms a ground, the second high voltage generator generates a high voltage and applies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to the electrostatic separator.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characterized in that an electric field can be formed in a space of an air flow path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은 공기 유로의 중앙 부위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 7.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is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passag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에는 1∼3kV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6.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voltage of 1 to 3 kV is applied to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는 코로나 방전, 방사선, 자외선 및 X-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입자들을 대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of claim 1, wherein the aerosol charge unit charges the particles using any one of corona discharge, radiation, ultraviolet rays, and X-rays. 제 9 항에 있어서,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입자들을 대전시키는 경우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는 제 1 고전압 발생기 및 제 1 고전압 전극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the case of charging the particles using a corona discharge, the aerosol charging unit comprises a first high voltage generator and a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상기 에어로졸 하전부가 구비된 위치에 상응하는 공기 유로의 내측벽은 접지 상태를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고전압 발생기는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제 1 고전압 전극봉에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을 유도함으로써 입자들을 (+) 상태 또는 (-) 상태의 단일 극성으로 대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In the state where the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th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aerosol charge part is provided is in a ground state, the first high voltage generator generates a high voltage and applies the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to the corroded discharge to induce corona discharge.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arged with a single polarity of +) or (-) sta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전압 전극봉은 공기 유로의 내측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is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air passag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전압 전극봉에 인가되는 전압은 4∼6k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high voltage electrode is 4 to 6 kV.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분리부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 은 질량의 극미세입자는 공기 유로의 내측벽으로 이동되고, 상대적으로 큰 질량의 입자들은 공기 유로의 중앙 부위에 머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croscopic particles of a relatively small mass is moved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th by the electric field formed in the electrostatic separator, and the relatively large mass of particles sta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flow path. Ultra-fine particle sampl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분리부의 하단에 여과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 15.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filtration means is furth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electrostatic separato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수단은 상기 공기 유로의 내측벽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위에 상기 공기 유로의 내측벽으로 이동된 극미세입자들이 통과할 수 있는 분리 홈을 구비하고, 상기 여과 수단의 중앙 부위에 극미세입자들보다 큰 입자들을 걸러내는 역할을 헤파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ltering means has a separation groove through which the fine particles moved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ssage in a portion relatively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flow passage,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ltering means An ultrafine particle samp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PA filter is provided to filter out particles larger than the ultrafine particle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홈의 직경은 상기 제 2 고전압 전극봉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와 비례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15. 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of claim 14, wherein a diameter of the separation groove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a magnitude of a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high voltage electrod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수단의 하단에 특정 크기 이상의 극미세입자를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여과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 16. The micro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claim 15, further comprising a filter paper that filters the microparticles having a specific size or more at a lower end of the filter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은 2∼5ℓ/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미세입자 샘플러.The ultrafine particle samp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ath is 2 to 5 L / min.
KR1020070052562A 2007-05-30 2007-05-30 Sampler for ultra-fine particles KR1008858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562A KR100885868B1 (en) 2007-05-30 2007-05-30 Sampler for ultra-fine part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562A KR100885868B1 (en) 2007-05-30 2007-05-30 Sampler for ultra-fine p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248A true KR20080105248A (en) 2008-12-04
KR100885868B1 KR100885868B1 (en) 2009-02-26

Family

ID=4036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562A KR100885868B1 (en) 2007-05-30 2007-05-30 Sampler for ultra-fine part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86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0860A (en) * 2014-03-12 2014-07-02 吉林大学 Sectional sampling system of particles with various particle sizes in engine exhaust gas
KR20210042798A (en) * 2019-10-10 2021-04-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article matter annlysis device, analysis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885729B2 (en) 2019-10-10 2024-01-3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isty Particle matter analysis device, analysis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303B1 (en) 2017-09-06 2019-07-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aerosol sampling appar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0610B2 (en) * 2003-08-19 2006-07-26 合資会社亀井鉄工所 Abrasiv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0860A (en) * 2014-03-12 2014-07-02 吉林大学 Sectional sampling system of particles with various particle sizes in engine exhaust gas
CN103900860B (en) * 2014-03-12 2016-02-24 吉林大学 Engine exhaust different-grain diameter particulate block sampling system
KR20210042798A (en) * 2019-10-10 2021-04-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article matter annlysis device, analysis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885729B2 (en) 2019-10-10 2024-01-3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isty Particle matter analysis device, analysis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868B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101B1 (en) Particle counter
KR101747666B1 (en) Sensor for sensing airborne particles
CN107921443B (en) Aerosol particle collecting device with nano particle concentration and particle size measuring device
EP2352008A2 (en) Differential mobility analyzer, particle measuring system, and particle sorting system
US10814335B2 (en) Selective aerosol particle collecting method and device, according to particle size
KR100885868B1 (en) Sampler for ultra-fine particles
WO2007072942A9 (en) Classifying system and fine particle measuring device
US6827761B2 (en) Particle concentrator
US69497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le size separation
US9550189B2 (en) Electronic fine dust separator
TW200502045A (en) Adjustable whirlpool electrostatic filter
JP2003337087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suspended particle
US10799883B2 (en) Method for the selective purification of aerosols
AU2003301954B2 (e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02537993A (en) Method and process for separating particles and / or droplets of a substance from a gas stream
Asbach et al. A low pressure drop preseparator for elimination of particles larger than 450 nm
Liao et al. Electrostatic precipitation of submicron particles with an enhanced unipolar pre-charger
WO2006098397A1 (en) Electrostatic concentration collector for ultrafine particle and submicron particle remover for use therein
Rezaei et al. Airborne Nanoparticles: Control and Detection
Brown et al. Theory and measurement of the capture of charged dust particles by electrets
Chua et al. Electrical mobility separation of airborne particles using integrated microfabricated corona ionizer and separator electrodes
Alonso et al. Electrostatic precipitation of ultrafine particles enhanced by simultaneous diffusional deposition on wire screens
KR20120064890A (en) Air filtering apparatus using non-powered cyclone structure with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09682648A (en) A kind of alternating electric field dust coagulation and effectiveness of explosion suppression test device and method
US11833527B2 (en) Apparatus for capturing bioaeros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