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966A - 풍력 터빈 - Google Patents

풍력 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966A
KR20080103966A KR1020087020057A KR20087020057A KR20080103966A KR 20080103966 A KR20080103966 A KR 20080103966A KR 1020087020057 A KR1020087020057 A KR 1020087020057A KR 20087020057 A KR20087020057 A KR 20087020057A KR 20080103966 A KR20080103966 A KR 2008010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cable
rim
fluid turbine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버트 엘. 윌리엄스
Original Assignee
허버트 엘. 윌리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버트 엘. 윌리엄스 filed Critical 허버트 엘. 윌리엄스
Publication of KR2008010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1/067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of th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6Air or water being indistinctly used as working fluid, i.e. the machine can work equally with air or water without any mo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풍력 터빈 또는 수력 터빈(hydro turbine)과 같은 유체 터빈(10)에 있어서, 상기 터빈(10)은 허브 부재(21), 림 부재(22) 및 신장된 복수의 케이블 부재(24)들을 가진 로터 어셈블리(2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복수의 경량 블레이드 부재(23)들을 생성시키도록 개별적인 스킨 부재(25)들을 위한 복수의 서포트(support)를 형성하기 위하여 수 셋트(set)들로 군을 이룬다.

Description

풍력 터빈{WIND TURBIN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풍력 터빈 또는 수력 터빈과 같은 유체로 구동되는 터빈 분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전력은 로터 블레이드를 가로지르는 물의 흐름 또는 공기흐름(airflow)으로부터 발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회전 중앙 허브 또는 샤프트 부재로부터 회전 환형 링 또는 림 부재로 연장되는 블레이드를 가진 터빈에 관한 것이다.
풍차(windmill), 풍력발전기(wind generator), 풍력기계(wind machine)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로 알려진 풍력 터빈은 바람의 힘을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 잘 알려져 있다.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사용되는 풍력 터빈은 수백 피트의 높이와 수백 피트로 연장되는 로터 블레이드를 가진 대형 구조물이며 상기 로터 블레이드들은 중앙 허브 또는 샤프트에 장착된다. 블레이드의 스윕 영역(sweep area)이 주어진 풍력 터빈에 의해 발생된 파워(power)에 비례하기 때문에, 길게 뻗은(elongated) 다수의 블레이드들이 요구된다. 각각의 블레이드가 길게 뻗은 블레이드를 지지할 수 있는 칸틸레 버(cantilever)로서 작동해야 하고 작동 동안에 블레이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들이 중앙 허브를 향하여 거대하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기 크기가 문제가 된다. 심지어 탄소 섬유와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첨단 기술의 복합재(composite)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한계에 도달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효율적인 설계에서 볼 수 있듯이 대부분의 대형 풍력 터빈은 3개의 블레이드를 가진다. 보다 많은 바람을 캡쳐(capture)하도록 블레이드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은 샤프트의 분당 회전수(rpm) 감소를 동반함으로써 상쇄된다(offset). 감소된 rpm은 상대적으로 많은 기어박스(gearbox)의 감소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rpm을 증가시키기 위해 블레이드 피치(pitch)를 감소시키는 것은 토크(torque)를 감소시키게 되며 이것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요인들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공지된 풍력 터빈 디자인은 항상 이들 중에서 상충된다.
대안의 풍력 터빈의 유형은 블레이드에 연결된 외부의 환형 링 또는 림을 일체 구성하며(incorporate) 상기 블레이드의 끝부분(tip)은 더 이상 자체-지지(self-supporting)되지 않아서 이에 따라 블레이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블레이드는 회전 중앙 허브 또는 샤프트로부터 환형 림으로 연장되며 이에 따라 양 단부(end)에서 지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환형 림이 훨씬 빠른 속도로 운동하기 때문에, 중앙 허브가 아닌 환형 림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된다. 롤러, 휠, 기어, 마그네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은 회전에너지를 림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전기 메커니즘(generator mechanism)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이동하도록 사용된다. 상기 터빈의 실례들은 Richard씨의 미국 특허 번호 4,319,865호, Smith씨의 미국 특허 번호 4,330,714호, Cook씨의 미국 특허 번호 4,350,895호, Storm씨의 미국 특허 번호 4,545,729호, Schmidt씨의 미국 특허 번호 4,729,716호 및 Vann씨의 미국 특허 번호 6,664,655호에 도시된다. 상기 풍력 터빈들은 종종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며, 바람을 포획하는 요소(wind catching element)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보다 날개(sail)를 이용하고, 이는 디자인에 있어서 환형 림의 중량(weight)이 설계(design)에 추가됨으로써 구조적인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가된 블레이드 길이, 증가된 블레이드의 개수, 감소된 블레이드 중량, 낮은 재료비용, 증가된 rpm, 증가된 토크, 감소된 소음 및 블레이드 피치(pitch)의 가변적인 제어 등과 같은 구조적인 특성들을 바람직하게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효율의 풍력 터빈 또는 수력 터빈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목적으로, 각각의 블레이드를 회전 중앙 허브 또는 샤프트로부터 외부의 환형 림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 부재들 위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경량의 스킨 또는 시트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블레이드의 중량이 감소된 터빈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블레이드의 피치가 바람의 흐름 조건들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터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풍력 터빈 또는 수력 터빈과 같이 유체로 구동되는 터빈에 관한 것이고, 공기흐름 또는 물의 흐름은 로터 요소를 중앙 샤프트 또는 허브 부재 주위로 회전시켜 이에 따라 전력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 상기 회전에너지에 의해 발생되며, 상기 로터 요소는 회전 중앙 허브 부재로부터 회전 환형 림 부재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들은 케이블 부재 위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경량의 시트 부재 또는 스킨 부재와 허브 부재로부터 림 부재로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 또는 이와 유사한 정지 부재들을 포함하고, 케이블 부재들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 부재는 상대적으로 큰 편향 표면 영역을 형성하여 이에 따라 바람 또는 흐르는 물이 상기 시트 부재들에 부딪칠 때(strike) 블레이드 부재, 림 부재 및 허브 부재들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시트 부재들은 유체를 편향시키는 작업을 하게 되고, 신장된(in tension) 케이블 부재들은 시트 부재들과 림 부재들을 지지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로터 요소에 의해 발생된 회전에너지는 중앙 허브 부재로부터 이동될 수 있으나 림 부재가 허브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환형 림 부재로부터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에너지는 롤러, 휠, 기어, 마그네트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수단들로 림 부재로부터 전기적인 발전기 수단(generator means)으로 이동된다.
케이블 부재들은 다양한 개수와 형상의 림 부재와 허브 부재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블은 림 부재와 허브 부재 상에서 선형, 만곡된 또는 3차원 패턴으로 부착될 수 있고 블레이드 부재의 피치와 표면 형상은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부재들을 위한 부착 지점(point)들은 이동될 수 있어서 이에 따라 대안의 형상들과 피치가 가변적인 바람 조건들에 대응하여 개별적이거나 또는 유닛(unit)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 또는 물에 의해 구동되는 유체 터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체 터빈은 회전 중앙 허브 부재와 회전 환형 림 부재를 가진 로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림 부재는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들에 의해 상기 허브 부재에 연결되고(joined),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들은 상기 블레이드 부재 위에 배열된 2개보다 많은 케이블 부재들과 스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부재들을 수용하며(encasing), 상기 케이블 부재들은 상기 허브 부재와 상기 림 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스킨 부재와 상기 케이블 부재는 서로 조합되어(in combination) 상기 블레이드 부재를 위한, 사전 결정되고 부피를 차지하는(volume-occupying) 3차원 형상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힘(force)은 상기 스킨 부재들을 편향시켜(deflect off) 상기 로터 어셈블리가 회전된다.
본 발명은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바람 또는 물에 의해 구동되는 유체 터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체 터빈은 타워 부재 위에 장착된 로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 어셈블리는 회전 중앙 허브 부재와 주변 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림 부재는 신장된 복수의 케이블 부재들에 의해 상기 허브 부재에 연결되며(joined), 상기 케이블 부재들은 복수의 서포트 어셈블리(support assembly)들을 형성하도록 군을 이루고(grouped), 각각의 서포트 어셈블리는 그 위에 배치된 스킨 부재를 지지하며 개별적인 블레이드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부재들을 수용하고(encasing), 상기 블레이드 부재들로 인해 상기 로터 어셈블리가 회전하여 상기 스킨 부재들에 대해 유체 운동(fluid movement)에 대응하여 회전에너지가 발생되며, 상기 유체 터빈은 상기 로터 어셈블리와 연결되어 통과하는(in communication) 발전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 어셈블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발전기 수단에 의해 전력이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빈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허브로부터 림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부재들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블레이드들 중 한 블레이드가 도시된다.
도 2는 로터 부재를 도시한 부분 전방도, 여기에서도 블레이드들 중 한 블레이드가 부분적으로 도시된다.
도 3은 선형 형상으로 허브에 부착된 케이블 부재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만곡된 형상으로 허브에 부착된 케이블 부재들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3차원 형상으로 허브에 부착된 케이블 부재들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조절가능한 케이블 장착 수단에 부착된 케이블 부재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조절가능한 케이블 장착 수단은 케이블 부재들의 위치와 그에 따라 플레이드 부재들의 피치가 바람 조건들에 대해 변경될 수 있도록 허브에 연결된다.
도 7은 조절가능한 케이블 장착 수단에 부착된 케이블 부재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조절가능한 케이블 장착 수단은 케이블 부재들의 위치와 그에 따라 플레이드 부재들의 피치가 바람 조건들에 대해 변경될 수 있도록 환형 림에 연결된다.
도 8은 도 3의 블레이드의 고정된 형태(fixed shape)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9는 도 4의 블레이드의 고정된 형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10은 도 5의 블레이드의 고정된 형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선호적인 실시예에 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풍력 터빈(wind turbine) 또는 수력 터빈(water turbine)과 같이 유체로 구동되는 터빈(fluid powered turbine)에 관한 것이고, 공기흐름(airflow) 또는 물의 흐름(water flow)은 로터 요소(rotor element)를 중앙 샤프트 또는 허브 부재(hub member) 주위로 회전시켜 이에 따라 전력(electrical power)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 상기 회전에너지에 의해 발생되며, 상기 로터 요소는 회전 중앙 허브 부재로부터 회전 환형 림 부재(annular rim member)로 연장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blade member)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간략하게 기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 매질(fluid medium)로서 바람(wind)을 사용하여 기술될 것이나, 본 발명이 물과 같이 흐르는 액체와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빈(10)은 베이스 부재(base member, 11)와 타워 부재(tower member, 12)를 가진 로터 어셈블리(rotor assembly, 20)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 어셈블리(20)는 고정된 지지수단(support means) 위에 장착되고 지면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바람을 캡쳐(capture)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수평 회전축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터빈(10)은 임의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구조는 초대형 터빈용으로 적합하고 로터 어셈블리(20)의 직경은 수 백 피트가 될 수 있다.
로터 어셈블리(20)는 타워 부재(12)에 장착된 중앙 회전 허브 또는 샤프트 부재(21)를 포함하여 상기 로터 어셈블리(20)는 고정된 지지수단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로터 어셈블리(20)는 외부 또는 주변 환형 링 또는 림 부재(22)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림 부재(22)는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23)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 부재(23)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블 부재(cable member, 24)에 의해 중앙 허브 부재(21)에 연결되고(joined), 상기 블레이드 부재(23)는 바람의 에너지를 캡쳐(capture)하고 그 에너지를 회전 운동(rotational movement)로 변환시키기(translate) 위한 수단이다.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23)들은 케이블 부재(24)들을 둘러싸거나(enclosing) 또는 수용하며(encasing) 상기 케이블 부재들 위에 배치된 상대적으로 경량의 시트(sheet) 부재 또는 스킨 부재(skin member, 25)와 허브 부재(21)로부터 림 부재(22)로 연장되는 신장된(tensioned) 2개의 케이블 또는 이와 유사한 정지 부재(stay member, 24)들보다 많은 군(grouping)들을 포함하고, 케이블 부재(24)들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스킨 부재(25)는 상대적으로 큰 편향 표면 영역(deflection surface area)을 가지며 공간에서(in space) 부피를 차지하는 3차원 블레이드 부재(23)의 사전 결정된 복합적인 호(complex curve)를 형성하여 이에 따라 바람 또는 흐르는 물이 스킨 부재(25)에 부딪칠 때(strike) 블레이드 부재(23), 림 부 재(22) 및 허브 부재(21)는 회전하게 된다. 블레이드 부재(23)의 형상(configuration)은 고정되고 제어되며 소용돌이(billow)에 대해 자유롭거나 또는 날개(sail)와 같이 안정적(relax)적이지 못하다. 케이블 부재(23)는 금속, 합성재(synthetics), 케블라(Kevlar)와 같은 비탄성(non-elastic) 성질과 적절한 인장강도를 가진 다양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스킨 부재(25)는 구조적인 서포트(structural support)를 로터 어셈블리(20)에 제공할 필요가 없고 단지 바람에 대해 편향 표면(deflection surface)으로만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스킨 부재(25)는 예를 들어 직물(fabric), 합성재 시트(synthetic sheet), 에폭시 복합재(epoxy composite) 등과 같은 경량의 다양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허브 부재(21)로부터 림 부재(22)로 연장되는 케이블 부재(24)는 다양한 형상들로 정렬되거나(aligned) 또는 배향될(oriented) 수 있으며, 케이블 부재(24)가 정렬되어 부착됨으로써(attachment alignment) 블레이드 부재(23)의 전체 형태를 결정하게 된다. 케이블 부재(24)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형상(linear configuration)으로,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된 형상(curved configuration)으로 또는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형상(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으로, 허브 부재(21) 상에 정렬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케이블 부재(24)들은 림 부재(22)의 내부에 부착된다. 케이블 부재(24)들이 허브 부재(21)와 림 부재(22)에 정렬되어 부착되는 것은 피치(pitch), 분리 거리(separation distance), 형상 등에 대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케이블 부재(24)의 부착 형상(attachment configuration)을 가변시킴으로써 블레이드 부재(23)를 위한 무한 개수의(infinite number) 복합적인 호의 횡단면 형상들이 얻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 부재(23)의 효율을 위한 최적의 형태는 로터 어셈블리(20)의 크기, 목표 바람 조건 등에 관하여 구현될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부재(23)들은 조절가능한 케이블 장착 수단(mounting means, 26)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장착 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부재(21)에 대해, 및/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 부재(22)에 대해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상기 조절가능한 케이블 장착 수단(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단순한 피벗팅 부재(pivoting member)가 될 수 있거나 또는 케이블 부재(24)를 개별적으로 또는 유닛(unit)으로서 이동하기 위하여 보다 복잡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가능한 케이블 장착 수단(26)을 사용함으로써, 블레이드 부재(23)의 피치와 형태는 바람 조건들을 기초로 하여 최적의 효율성을 위해 조절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로터 어셈블리(20)의 회전에너지는 회전 중앙 허브 부재(21)에 의해 발전기 수단(generator means, 30)으로 이동된다(transferred). 그러한 시스템들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어셈블리의 회전에너지가 회전 환형 림 부재(22)와 접촉하여 배열된 휠 부재(wheel member, 31)에 의해 발전기 수단(30)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 부재(31)들은 휠(wheel), 롤러(roller), 기어(gea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로터 어셈블리의 회전에너지는 마그네트(magnet)와 코일(coil)의 조 합(combination)을 통해 이동된다. 림 부재(22)의 운동 속도(travel speed)가 중앙 허브 부재(21)의 운동 속도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상기 림 부재(22)로부터 에너지가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림 부재(22) 상의 한 지점(point)이 허브 부재(21)의 한 지점보다 한 회전(revolution)당 훨씬 더 먼 거리를 운동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블레이드 부재(23)가 경량인 고유의 특성과 함께,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블레이드 부재(23)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캡쳐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된다. 추가적으로, 블레이드 부재(23)의 피치(pitch)는 블레이드의 목표 속도를 얻기 위하여 증가될 수 있거나(상대적으로 가파르게 되거나) 또는 감소될(상대적으로 평평하게 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특정 요소들을 위한 균등물(equivalent)과 대체물(substitution)들이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에게 자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청구항들에서 기술된 바에 따른다.

Claims (20)

  1. 바람 또는 물에 의해 구동되는 유체 터빈(fluid turbine, 10)에 있어서,
    -상기 유체 터빈은 회전 중앙 허브 부재(21)와 회전 환형 림 부재(22)를 가진 로터 어셈블리(20)를 포함하며, 상기 림 부재(22)는 상기 허브 부재(21)에 연결되고(joined)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23)들에 의해 지지되며(supported),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23)들은 상기 블레이드 부재 위에 배열된 2개보다 많은 케이블 부재(24)들과 스킨 부재(skin member, 25)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을 수용하며(encasing),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상기 허브 부재(21)와 상기 림 부재(22)에 부착되고, 상기 스킨 부재(25)와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서로 조합되어(in combination) 상기 블레이드 부재(23)를 위한, 사전 결정되고 부피를 차지하는(volume-occupying) 3차원 형상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힘(force)은 상기 스킨 부재(25)들을 편향시켜(deflect off) 상기 로터 어셈블리(20)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2. 제 1 항에 있어서, 발전기 수단(generator means, 3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회전력(rotational force)은 상기 허브 부재(21)로부터 상기 발전기 수단(30)으로 이동되는(transferr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3. 제 1 항에 있어서, 발전기 수단(30)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회전력은 상기 림 부재(22)로부터 상기 발전기 수단(30)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림 부재(22)와 접촉하는 휠 부재(31)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회전력은 상기 휠 부재(31)들을 통해 상기 림 부재(22)로부터 상기 발전기 수단(30)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상기 허브 부재(21) 상에서 선형 형상(linear configuration)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상기 림 부재(22) 상에서 선형 형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상기 허브 부재(21) 상에서 만곡된 형상(curved configuration)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상기 림 부재(22) 상에서 만곡된 형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상기 허브 부재(21) 상에서 3차원 형상(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상기 림 부재(22) 상에서 3차원 형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을 상기 허브 부재(21)에 부착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케이블 장착 수단(26)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허브 부재(21)에 대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의 위치(position)와 상기 블레이드 부재(23)들의 피치(pitch)는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을 상기 림 부재(22)에 부착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케이블 장착 수단(26)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림 부재(22)에 대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의 위치와 상기 블레이드 부재(23)들의 피치(pitch)는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13.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바람 또는 물에 의해 구동되는 유체 터빈(10)에 있어서,
    -상기 유체 터빈은 타워 부재(12) 위에 장착된 로터 어셈블리(20)를 포함하 며, 상기 로터 어셈블리(20)는 회전 중앙 허브 부재(21)와 주변 림 부재(22)를 포함하고, 상기 림 부재(22)는 상기 허브 부재(21)에 연결되고(joined) 신장된 복수의 케이블 부재(24)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복수의 서포트 어셈블리(support assembly)들을 형성하도록 군을 이루고(grouped), 각각의 서포트 어셈블리는 그 위에 배치된 스킨 부재(25)를 지지하며 개별적인 블레이드 부재(2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을 수용하고(encasing), 상기 블레이드 부재(23)들로 인해 상기 로터 어셈블리(20)가 회전하여 상기 스킨 부재(25)들에 대해 유체 운동(fluid movement)에 대응하여 회전에너지가 발생되며,
    -상기 유체 터빈은 상기 로터 어셈블리(20)와 연결되어 통과하는(in communication) 발전기 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 어셈블리(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발전기 수단(30)에 의해 전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어셈블리(20)의 회전에너지는 상기 림 부재(22)로부터 상기 발전기 수단(30)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림 부재(22)와 접촉하는 휠 부재(31)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림 부재(22)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휠 부재(31)들이 회전되고, 상기 로터 어셈블리(20)의 상기 회전에너지는 상기 휠 부재(31)들을 통해 상기 발 전기 수단(30)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선형 형상으로 하나 이상의 허브 부재(21)와 림 부재(2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만곡된 형상으로 하나 이상의 허브 부재(21)와 림 부재(2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은 3차원 형상으로 하나 이상의 허브 부재(21)와 림 부재(2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을 상기 허브 부재(21)에 부착하기 위하여 조절가능한 케이블 장착 수단(26)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허브 부재(21)에 대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의 위치와 상기 블레이드 부재(23)들의 피치는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을 상기 림 부재(22)에 부착하기 위하여 조절가능한 케이블 장착 수단(26)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림 부재(22)에 대한 상기 케이블 부재(24)들의 위치와 상기 블레이드 부재(23)들의 피치는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터빈(10).
KR1020087020057A 2006-01-17 2007-01-16 풍력 터빈 KR200801039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33,488 US7399162B2 (en) 2006-01-17 2006-01-17 Wind turbine
US11/333,488 2006-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966A true KR20080103966A (ko) 2008-11-28

Family

ID=38263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057A KR20080103966A (ko) 2006-01-17 2007-01-16 풍력 터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99162B2 (ko)
EP (1) EP1994279B1 (ko)
KR (1) KR20080103966A (ko)
AU (1) AU2007207703B2 (ko)
ES (1) ES2632643T3 (ko)
NZ (1) NZ570534A (ko)
RU (1) RU2426006C2 (ko)
WO (1) WO20070844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2444A1 (en) * 2006-07-05 2008-02-21 Johnson Timothy R Carriage wheel ocean turbine
US7675189B2 (en) * 2007-07-17 2010-03-09 Baseload Energy, Inc.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multiple motors/generators
WO2009154736A1 (en) * 2008-06-16 2009-12-23 Richards William R Banded turbine
MX2011000722A (es) 2008-07-18 2011-08-12 Baseload Energy Inc Manejo de cables retenedores para generadores de energia electrica en el aire.
US8134251B2 (en) * 2009-04-20 2012-03-13 Barber Gerald L Wind turbine
US8174142B2 (en) * 2009-04-20 2012-05-08 Barber Gerald L Wind turbine with paired generators
US8164212B2 (en) 2009-04-20 2012-04-24 Barber Gerald L Floating wind turbine with turbine anchor
US7825532B1 (en) * 2009-04-20 2010-11-02 Barber Gerald L Electrical generator for wind turbine
US8373298B2 (en) * 2009-04-20 2013-02-12 Gerald L. Barber Electrical generator for wind turbine
US8258645B2 (en) * 2009-04-20 2012-09-04 Barber Gerald L Wind turbine with sail extensions
US8109727B2 (en) 2009-04-20 2012-02-07 Barber Gerald L Wind turbine
US8328515B2 (en) * 2009-05-26 2012-12-11 Guirguis Saad Dawoud Wind power device
US10435145B1 (en) * 2009-07-02 2019-10-08 Alfred Finnell Vehicle with tension wing assembly
US11021243B1 (en) * 2009-07-02 2021-06-01 Alfred Finnell Tension airfoil assembly and implementation for power generation and aviation
US8556586B2 (en) * 2010-02-03 2013-10-15 Herbert Williams Turbine blade
US8430634B2 (en) * 2010-02-03 2013-04-30 Herbert Williams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wind turbine efficiency by adjusting blade pitch in response to localized wind speed
WO2011133419A1 (en) * 2010-04-22 2011-10-27 Delta T Corporation Fan blade retention system
US8801363B2 (en) 2010-11-12 2014-08-12 Herbert Williams Wind turbine with pulley transfer box apparatus
FR2980244B1 (fr) * 2011-09-19 2014-07-04 Sabella Pale d'hydrolienne
US9194363B2 (en) 2012-06-29 2015-11-24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erodynamic performance enhancement of a wind turbine
US10132290B2 (en) 2012-06-29 2018-11-20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erodynamic performance enhancement of a wind turbine
CN102900632A (zh) * 2012-11-08 2013-01-30 浙江风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带导风罩的风力发电机叶片装置
US9279414B2 (en) * 2013-03-15 2016-03-08 Gerald L. Barber Wind turbine with movable generator
IT202100002117A1 (it) * 2021-02-02 2022-08-02 Angelo Rampanti Innovativa centrale eolica
US20240117786A1 (en) * 2022-10-10 2024-04-11 Alfred Finnell Fluid flow driven electrical power generating tension turbin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169A (en) * 1881-06-21 Windmill
US2855179A (en) * 1955-01-05 1958-10-07 John K Brown High temperature ceramic turbine
US4220870A (en) 1978-06-22 1980-09-02 Kelly Donald A Wind conversion lattice array, with multiple mini-turbo-generator modules
US4204796A (en) * 1978-09-20 1980-05-27 Pack Howard Jr Wind powered apparatus
IE790335L (en) 1979-03-12 1980-09-12 Gilchrist Timothy M Wind turbine rotor
US4276033A (en) * 1979-06-18 1981-06-30 Krovina Peter G Sailing system
US4319865A (en) * 1979-06-20 1982-03-16 Richard Joseph G Windmill
US4350895A (en) 1980-03-03 1982-09-21 Windpowered Machines Ltd. Wind turbine and method for power generation
US4330714A (en) 1980-06-26 1982-05-18 Smith Otto J M Wind turbine system
US4545729A (en) 1983-07-28 1985-10-08 Joe Storm Wind turbine apparatus
US4729716A (en) 1986-02-25 1988-03-08 Montana Wind Turbine, Inc. Wind turbine
NL8902534A (nl) 1989-10-12 1991-05-01 Holec Projects Bv Windturbine.
DK23391D0 (da) 1991-02-12 1991-02-12 Soerensen Jens Richard Vindmoelle til selvforsyning og opbevaring af energi
US6664655B2 (en) 2001-12-31 2003-12-16 Charles S. Vann Multaxel windm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32643T3 (es) 2017-09-14
WO2007084447A2 (en) 2007-07-26
EP1994279A4 (en) 2015-12-09
RU2426006C2 (ru) 2011-08-10
EP1994279A2 (en) 2008-11-26
RU2008133707A (ru) 2010-02-27
EP1994279B1 (en) 2017-04-12
US20070166159A1 (en) 2007-07-19
US7399162B2 (en) 2008-07-15
AU2007207703A1 (en) 2007-07-26
WO2007084447A3 (en) 2008-10-30
NZ570534A (en) 2011-10-28
AU2007207703B2 (en)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9162B2 (en) Wind turbine
KR101651303B1 (ko) 림드 터빈
US8258645B2 (en) Wind turbine with sail extensions
CA2797070C (en) Lift-based vertical axis wind turbine
US8192140B2 (en) Apparatus for use of flow energy
US9188103B2 (en) Wind energy systems and methods of use
WO2010123812A1 (en) Electrical generator for wind turbine
US20130093191A1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US8790069B2 (en) Enclosed vertical axis fluid rotor
RU2419726C2 (ru) Парусный ветряк
WO2012007934A1 (en) Dual vertical wind turbine
US20130064644A1 (en) Variable partial wind wall
US20130121832A1 (en) Wind Turbine with Cable Supported Perimeter Airfoil
KR20180004713A (ko) 전기 발전기용 회전자
EP2394052A1 (en) Turbine annular axial rotor
US20030001393A1 (en) Linear motion wind driven power generator
US8556586B2 (en) Turbine blade
WO2013109133A1 (en) A wind turbine
GB2508814A (en) Concentric turbine arrangement
KR20110042452A (ko) 풍력 발전장치
RU2386856C1 (ru) Ве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агрег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