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1170A -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1170A
KR20080101170A KR20070047543A KR20070047543A KR20080101170A KR 20080101170 A KR20080101170 A KR 20080101170A KR 20070047543 A KR20070047543 A KR 20070047543A KR 20070047543 A KR20070047543 A KR 20070047543A KR 20080101170 A KR20080101170 A KR 20080101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ransmi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4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1170A/ko
Publication of KR2008010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170A/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할 파일의 파일정보를 엠엠에스 서버로, 상기 파일정보의 접속정보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엠엠에스 서버에 접속하고 엠엠에스 메일을 수신하고, 파일정보 허락신호가 수신되면,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채널의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고, 데이터 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활성화된 제2피디피를 이용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부터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일의 데이터 용량에 무관하게 파일을 송수신 할 수 있다.
MMS, 대용량, 데이터, 파일, 송수신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f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신방법을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수신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제2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제1 이동통신 단말기 200; 제2 이동통신 단말기
110, 210; 통신부 120, 220; 데이터 처리부
130, 230; 입력부 140, 240 ; 표시부
150, 250: 저장부 160, 260 ; 제어부
300; 기지국 제어기 400 ; MMS 서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방법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파일을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파일을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폰이나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또는 휴대용 피씨(Hand_held PC)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은 물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단문 서비스, 무선 데이터 통신, 카메라 기능 등 점점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해 종래에는 문자 메일 전송을 위한 단문문자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이라고 함), 음성 메일 전송을 위한 이엠에스(Enhanced Messaging Service, 이하 'EMS'이라고 함), 사진 메일 전송을 위한 엠엠에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이하 'MMS'이라고 함)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를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서비스 방법들은 SMS 센터, MMS 서버 등과 같은 별도의 응용서버를 필요로 하며, 상기 응용서버에서 정하는 크기의 파일만 전송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의 데이터 용량에 상관없이 파일을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수신할 파일의 파일정보를 열람한 후 선택적으로 파일을 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은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할 파일의 파일정보를 엠엠에스 서버로, 상기 파일정보의 접속정보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엠엠에스 서버에 접속하고 엠엠에스 메일을 수신하는 단계, 파일정보 허락신호가 수신되면,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채널의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데이터 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활성화된 제2피디피를 이용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부터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을 유럽에서는 유엠티에스(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이라고 한다. 이는 국제 통신연합의 IMT-2000 시스템의 일부이다. 그리고 지피알에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이하 'GPRS'라고함)은 패킷 교환형 환경 및 회선 교환형 환경에서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발전해왔다. 그리고 지지에스엔(Gateway GPRS Support Node, 이하 'GGSN'이라고 함)은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게이트 웨이(Gateway)이며, 이것은 GPRS의 라우팅 데이터 패킷들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비스하는 라우터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파일을 송신하는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1 이동통신 단말기라 정의하고, 파일을 수신하는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 이동통신 단말기인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 이동통신 단말기가 되는 경우,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파일을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파일의 송신 및 수신 중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1피디피는 파일정보와 파일전송 요청신호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이며, 제2피디피는 파일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 '파일정보'는 파일 이름, 파일 용량을 포함하며, 파일의 데이터 포맷을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부(110), 데이터 처리부(120), 입력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신부(110)는 파일정보 및 파일전송 요청신호가 첨부된 MMS 메일을 MMS 서버(도4의 400)로 전송하고, 상기 MMS 메일이 저장되어 있는 MMS 서버(400)의 접속정보 및 파일을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10)는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파일전송 허락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10)는 GGSN(미도시)에게 상기 제1피디피 및 제2피디피의 활성화를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10)는 기지국 제어기(300)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사이의 데이터 채널의 연결을 요청한다.
그리고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통신부(110)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MMS 서버(400)의 접속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MMS 서버(400)에 접속하여 파일정보 및 파일전송 요청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파일전송 허락신호를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파일을 수신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2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덱(CODEC)은 패킷 데이터(PACKET DATA)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DATA CODEC)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AUDIO CODEC)을 구비한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키패드(Key Pa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터 치패드(Touch Pad)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입력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30)는 파일 선택신호 및 제2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입력부(130)는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30)는 파일전송을 허락하는 파일전송 허락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그리고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와 동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4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130) 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표시부(140)는 파일 전송 요청 시,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파일 선택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표시부(140)는 파일정보 및 파일전송의 허락/거절을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저장부(150)는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할 각종 파일들을 저장한다. 상기 파일은 정지영상, 동영상, 텍스트 문서, MMS 메일, SMS, E- Mail(Electrical Mail), 응용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저장부(150)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파일정보, 접속정보 및 파일을 저장한다.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파일전송 요청 시, 전송할 파일을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된 파일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상기 파일의 파일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60)는 파일정보 생성부를(161)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제1피디피와 제2피디피를 활성화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60)는 피디피 활성화부를(16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파일정보 및 파일전송 요청신호를 MMS 메일에 첨부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MMS 메일 생성부(1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상기 파일정보 및 파일전송 요청신호가 첨부된 MMS 메일을 상기 활성화된 제1피디피를 이용하여 MMS 서버(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상기 MMS 서버(400) 및 MMS 메일과 관련한 정보인 접속정보(아이피 어드레스, 인증 아이디 및 인증 암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접속정보 생성부(16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생성한 접속정보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파일전송 허락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상기 선택된 파일을 제2피디피를 이용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로부터 접속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MMS 서버(400)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파일전송 요청신호 및 파일정보가 첨부된 MMS 메일을 MMS 서버(40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의 전송을 허락하는 신호가 입력부(130)를 통해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파일전송 허락신호를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통신부(110) 로부터 파일이 수신되면,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전송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파일전송 요청(S201) 시, 전송할 파일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화면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S203). 이때, 상기 파일은 저장부(150)에 저장되어있는 파일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제어부(160)는 전송할 파일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신호가 입력부(130)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5). 상기 S205의 판단결과 파일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S203로 복귀하여 파일 선택화면의 표시를 유지한다. 그리고 S205의 판단결과 파일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상기 파일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파일의 파일정보를 생성한다(S207). 상기 파일정보는 파일 이름, 파일의 용량을 포함하며, 파일의 포맷정보(예를 들면, jpeg, mpeg)를 더 포함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60)는 제1피디피와 제2피디피를 활성화한다(S209). 상기 S209의 제1피디피 및 제2피디피의 활성화 과정을 설명하면, 기지국 제어기(300)로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수신번호로 하여 무선링크 접속을 설정을 위한 패킷 데이터 콜을 전송한다.
그 후 제어부(160)는 GGSN(Gateway GPPS Support Nodes, GGSN)(미도시)로 제1피디피 및 제2피디피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제1피디피 및 제2피디피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GGSN(미도시)은 상기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아이피 어드레스(IP Address)를 할당하고 이를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1피디피와 제2피디피가 활성화된다.
그런 다음 제어부(160)는 상기 S207단계에서 생성한 파일정보와 파일 전송의 허락을 요청하는 파일전송 요청신호를 MMS 메일에 첨부한다(S211).
그런 다음 제어부(160)는 상기 파일정보 및 파일전송 요청신호가 포함된 MMS 메일을 상기 활성화된 제1피디피를 통해 MMS 서버(400)로 전송한다(S212).
그리고 제어부(160)는 접속정보를 생성(S213)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214). 상기 접속정보는 아이피 어드레스, 인증 아이디 및 인증 암호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60)는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파일의 전송을 허락하는 파일전송 허락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5). 상기 S215의 판단결과, 파일전송 허락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해당기능을 수행한다(S216). 상기 해당기능은 파일전송 허락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기능수행, 전화통화의 수신 및 문자메시지의 수신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S215의 판단결과, 파일전송 허락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파일전송을 허락한다는 내용의 파일전송 허락 메시 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S217). 그런 다음 제어부(160)는 데이터 채널 연결 요청신호를 기지국 제어기(300)로 전송한다(S219).
그런 다음 제어부(160)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300)로부터 데이터 채널 연결 응답신호를 수신한다(S221). 상기 S219 및 S221의 실행이후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사이에는 데이터 채널이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 채널이 연결된 후, 제어부(160)는 상기 S205단계에서 선택된 파일을 상기 S209단계에서 활성화된 제2피디피를 통해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223).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일 송수신 방법은 외부서버를 거치지 않고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사이에 연결된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직접 이루어지므로 파일의 용량에 무관하게 파일을 송수신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60)는 파일의 추가전송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5). 상기 S255단계의 판단결과, 파일의 추가전송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상기 S203단계로 복귀하여 표시부(140)에 파일 선택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S255단계의 판단결과, 파일의 추가전송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데이터 채널의 연결 해지를 요청하는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300)로 전송한다(S227). 그리고 제어부(160)는 기지국 제어기(300)로부터 데이터 채널의 연결 해지 응답신호를 수신한다(S229). 이로서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사이에 연결된 데이터 채널이 연결 해지된 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수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및 도3을 참조하면,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로부터 접속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1). 상기 S301의 판단결과 접속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상기 S301단계로 복귀하여 접속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기능수행, 전화통화의 수신 및 문자메시지의 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S301의 판단결과 접속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상기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MMS 서버(400)에 접속(S302)하여 파일전송 요청신호 및 파일정보를 수신한다(S303).
그리고 제어부(160)는 파일정보를 표시하고, 파일전송의 허락 또는 거절을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S304). 그리고 제어부(160)는 입력부(130)로부터 키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5).
상기 S305단계의 판단결과 키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상기 S303단계로 복귀하여 파일전송의 허락 또는 거절을 선택하는 화면의 표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S305단계의 판단결과 키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상기 키신호가 파일전송을 허락하는 신호인지, 파일전송을 거절하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7).
상기 S307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키신호가 파일전송을 거절하는 신호이면 제어부(160)는 파일전송 거절신호를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08). 그 리고 상기 S307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키신호가 파일전송을 허락하는 신호이면 제어부(160)는 파일전송 허락신호를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09).
그런 다음 제어부(160)는 통신부(110)로부터 파일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1). 상기 S311단계의 판단결과 파일이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해당기능을 수행한다(S315). 상기 해당기능은 파일이 수신될 때까지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기능수행, 전화통화의 수신 및 문자메시지의 수신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S311단계의 판단결과 파일이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상기 수신되는 파일을 저장부에 저장한다(S317).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파일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파일전송 요청(S401) 시, 파일 선택화면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S403). 그리고 파일이 선택되면,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선택된 파일의 파일정보를 생성한다(S405).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선택된 파일의 파일이름, 파일용량을 포함하며 상기 파일의 포맷정보를 더 포함한다.
그런 다음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1피디피 및 제2피디피를 활성화한다(S407). 그리고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파일정보 및 파일전송 요청신호를 MMS 메일에 첨부한다. 그리고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MMS 메일을 상기 활성화된 제1피디피를 이용하여 기지국 제어기(300)로 전송한다.(S409).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MMS 메일을 수신한 기지국 제어기(300)은 상기 MMS 메일을 MMS 서버(400)로 전송한다(S411). 그리고 기지국 제어기(300)로부 터 MMS 메일을 수신한 MMS 서버(400)는 상기 MMS 메일을 저장한다(S412).
그런 다음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MMS 메일의 접속정보를 생성(S413)하고, 상기 생성한 접속정보를 기지국 제어기(300)로 전송한다.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접속정보를 수신한 기지국 제어기(300)는 상기 접속정보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414).
기지국 제어기(300)로부터 접속정보를 수신(S415)한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MMS 서버(400)에 접속한다(S416). 그리고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MMS 서버(400)로부터 파일정보 및 파일전송 요청신호가 첨부된 MMS 메일을 수신한다(S417). 상기 MMS 메일을 수신한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파일정보 및 파일전송의 허락 또는 거절을 선택하는 화면을 표시부(140)에 표시한다(S418).
그리고 상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파일의 전송을 허락하는 신호를 수신하면(S419), 상기 파일전송 허락신호를 기지국 제어기(300)로 전송한다(S421). 그리고 파일전송 허락신호를 수신한 기지국 제어기(300)는 상기 파일전송 허락신호를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23).
그리고 상기 파일전송 허락신호를 수신한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표시부(140)에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파일 전송을 허락한다는 내용의 파일전송 허락 메시지를 표시한다(S425). 그런 다음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Temporary Block Flow )의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300)로 전송한다(S427).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 채널의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 제어기(300)는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29). 이로써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 사이에 데이터 채널이 연결된다. 데이터 채널이 연결되면,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파일선택정보에 해당하는 파일을 상기 활성화된 제2피디피를 이용하여 기지국 제어기(300)로 전송한다(S433).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파일을 수신한 기지국 제어기(300)는 상기 파일을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35). 그리고 제2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기지국 제어기(300)로부터 파일을 수신하고 이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S437).
그런 다음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데이터 채널의 연결 해지를 요청하는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300)로 전송한다(S439).
상기 데이터 채널의 연결을 해지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 기지국 제어기(300)는 데이터 채널 연결 해지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41). 상기 S439 및 S441단계 수행 후 데이터 채널의 연결이 해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데이터의 종류 및 크기에 상관없이 데이터의 공유 및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신할 파일의 파일정보를 열람한 후 선택적으로 파일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엠엠에스 메일 전송기능을 구비한 제1 이동통신 단말기, 제2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할 파일의 파일정보를 엠엠에스 서버로, 상기 파일정보의 접속정보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엠엠에스 서버에 접속하고 엠엠에스 메일을 수신하는 단계;
    파일정보 허락신호가 수신되면,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채널의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데이터 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활성화된 제2피디피를 이용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이동통신 단말기부터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정보의 접속정보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할 파일의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제1피디피와 제2피디피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파일정보 및 파일전송 요청신호를 엠엠에스 메일에 첨부하여 상 기 제1피디피를 이용하여 엠엠에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MMS 메일의 접속정보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활성화된 제2피디피를 이용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실행 후.
    제1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 채널 연결해지를 요청하는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데이터 채널 연결해지를 응답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디피는
    파일정보와 파일전송 요청신호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디피는
    상기 파일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아이피 어드레스, 인증 아이디 및 인증 암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파일의 이름, 용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파일의 데이터 포맷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9. 엠엠에스 메일 전송기능을 구비한 제1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신 방법에 있어서,
    파일 전송요청 시, 전송할 파일의 파일정보를 생성하고 제1피디피와 제2피디피를 활성화 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파일정보를 엠엠에스 메일에 첨부하고 상기 제1피디피를 통해 엠엠에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엠엠에스 메일의 접속정보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파일전송 허락신호가 수신 시, 데이터 채널의 연 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데이터 채널이 연결되면, 상기 선택된 파일을 상기 제2피디피를 이용하여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신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디피는
    파일정보와 파일전송 요청신호를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신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디피는
    상기 파일을 상기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제2 이동통신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acket Data Protoc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신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아이피 어드레스, 인증 아이디 및 인증 암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신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파일의 이름, 용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신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정보는
    상기 파일의 데이터 포맷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신방법.
KR20070047543A 2007-05-16 2007-05-16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KR20080101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7543A KR20080101170A (ko) 2007-05-16 2007-05-16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7543A KR20080101170A (ko) 2007-05-16 2007-05-16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170A true KR20080101170A (ko) 2008-11-21

Family

ID=4028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47543A KR20080101170A (ko) 2007-05-16 2007-05-16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11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73662A1 (en) Service mode display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EP1781002A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utomatic bluetooth connection with a short key
KR2006008609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불능 대처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US20030074412A1 (en)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for the same
KR10141633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001979A (ko)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배경화면 다운로드 시스템 및휴대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방법
KR2010002239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엠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10117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일 송수신 방법
KR100771160B1 (ko) 휴대 단말기의 스팸통화 제어 방법
KR20050053067A (ko) 메시지를 이용한 url 전송 방법
KR20110037240A (ko) 통신 시스템과 그의 호 상태 제공 장치 및 방법
JP4030271B2 (ja) 移動通信端末
KR20060071241A (ko) 단문메시지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94446B1 (ko) 수신자 부담요청 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3877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상대단말 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2007003372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수신 확인 방법
JPH11177713A (ja) 通信端末装置
KR200600228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문자메시지 수신 확인방법
KR20100057734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80059826A (ko) 휴대 단말기에서 화상통화 중 검색 정보 전송 장치 및 그방법
KR20080013112A (ko) Url을 포함하는 콜백 sms 메시지를 활용한 컨텐츠선물 방법
KR100625662B1 (ko)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32540B1 (ko) 다중 모드 무선 네트워크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28436A (ko) 단문전송을 이용한 이동무선 단말기의 송신기능 제한 방법
KR100613979B1 (ko) 통신망 내 일시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방법과 그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