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0665A -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 of brow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browsing markup page compri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 of brow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browsing markup page compri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0665A
KR20080100665A KR20070046651A KR20070046651A KR20080100665A KR 20080100665 A KR20080100665 A KR 20080100665A KR 20070046651 A KR20070046651 A KR 20070046651A KR 20070046651 A KR20070046651 A KR 20070046651A KR 20080100665 A KR20080100665 A KR 20080100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ser
markup page
markup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66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59821B1 (en
Inventor
박일수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7004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821B1/en
Publication of KR20080100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6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821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arkup page browsing system using plural browsers is provided to improve the whole browsing speed by making browsing performed according to the web site using pattern of a user. A markup page browsing system comprises a markup page providing server(4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10), and a conversion server(31).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provides a markup page written in the markup langua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browsing of the markup pag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The conversion server determines whether a browser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is the first browser or the second browser based on browser information included in a request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복수의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 브라우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 OF BROW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BROWSING MARKUP PAGE COMPRI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 OF BROW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BROWSING MARKUP PAGE COMPRI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마크업페이지 브라우징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arkup page brows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brow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고,2 is a schematic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마크업페이지 브라우징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고,3A to 3C are control flow diagrams of a markup page brows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brow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a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아이콘이 표시되는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icon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A,

도 5a 및 도 5b는 도 3a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웹페이지가 표시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A and 5B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a web page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A.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 : 이동통신 모듈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 : 제어부 13 : 저장부12 control unit 13 storage unit

14 : 키 입력부 15 : 디스플레이부14: key input unit 15: display unit

12_2 : 브라우저 실행부 20 : 기지국12_2: browser execution unit 20: base station

30 : 이동통신 패킷망 31 : 변환 서버30: mobile communication packet network 31: conversion server

40 : 인터넷망 41 : 마크업 제공서버40: Internet network 41: markup providing server

50 : 라우터50: rout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우저를 내장하여 마크업 페이지를 브라우징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method thereof, a system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browsing a markup page with a brows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통신환경의 발전으로 인해 휴대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많은 부가기능들이 추가되어왔다.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many additional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그 중에서 유선망을 통한 인터넷의 활성화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의 이용에 대한 욕구가 있어왔고, 이에 통신회사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무선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Among them, there has been a desire for the use of the Interne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Internet through a wired network. Accordingly, communication companies have added a function to enable the use of the wireless Intern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인터넷(INTERNET)은 원래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한 알파넷(ARPANET)에서 시작된 세계 최대 규모의 컴퓨터 통신망으로서, TCP/IP 프로토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는 전자우편(e-mail), 원격 컴퓨터 연결(telnet), 파일 전송(FTP), 유즈넷 뉴스(Usenet News), 인터넷 정보 검색(Gopher), 인터넷 대화와 토론(IRC), 전자 게시판(BBS), 하이퍼텍스트 정보 열람(WWW:World Wide Web),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한데, 요즘에 와서는 웹 사이트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웹 페이지 열람이 인터넷의 주 이용 분야가 되고 있다.INTERNET is the world's largest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RPANET, originally developed for military purposes. It is based on the TCP / IP protocol. Services available on the Internet include e-mail, remote computer connection (telnet), file transfer (FTP), Usenet News, Internet information search (Gopher), Internet conversation and discussion (IRC). ), Electronic bulletin boards (BBS), hypertext information browsing (WWW: World Wide Web), online games, and so on. Recently, with the rapid increase of web sites, viewing of web pages has become the main use of the Internet.

이처럼 유선망에서 이루어지던 인터넷 접속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환경 하에서도 가능하게 되었다.As such, the Internet connection made in a wired network is possible eve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함에 있어서, 초기에는 WAP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이동통신 별로 폐쇄적 구조를 갖는 무선망에 접속하여 제한적인 콘텐츠에만 접근할 수가 있었다. 이러한 패쇄적인 구조에서는 다른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접근할 수 없었고, 유선 인터넷망의 웹서버에도 직접 접속할 수 없었다.However, when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itially, only a limited content was accessed by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having a closed structure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using a WAP browser. In this closed structure, the contents provided by other mobile carriers could not be accessed, nor could they directly access the web server of the wired Internet network.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풀브라우저가 도입되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a full browser has been introduc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풀브라우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인터넷 망의 웹서버에 직접 연결하여 해당 웹서버로터 웹페이지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웹페이지에 포함된 마크업태그를 파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ull browser connects directly to the web server of the wired Internet network from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and receives a web page from the web server, parses the markup tag included in the web pag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view.

그러나 풀브라우저는 WAP브라우저에 비해 성능은 뛰어나지만, 그 프로그램 용량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격을 고려하여 하드웨어의 크기나 성능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러한 풀브라우저의 구동은 하드웨어 리소스 를 많이 필요로 하고, 그에 따라 웹페이지 처리 시간도 길어질 수밖에 없다.However, although the full browser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WAP browser, the full browser has a problem that its program capacity is larg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has limited hardware size or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price, driving of such a full browser requires a lot of hardware resources, and thus, web page processing time becomes long.

특히, 웹사이트들 중에는 사용자의 웹사이트 사용 패턴에 따라 웹사이트에 게재된 내용을 읽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사이트도 있고, 웹사이트의 게시판에 글을 작성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사이트도 있다.In particular, there are some websites whose main purpose is to read the content posted on the website according to the user's website usage pattern, and some sites whose main purpose is to write on the bulletin board of the website.

이러한 사용자의 웹사이트 사용 패턴을 무시하고, 웹브라우징 하고자 할 때마다 항상 풀브라우저를 실행시켜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은 하드웨어 리소스의 불필요한 낭비를 가져오고, 웹페이지 처리 시간이 길어져 사용자 불편을 초래한다.Ignoring the user's website usage pattern and accessing the website by running the full browser every time, whenever the user wants to browse the web, unnecessary waste of hardware resources is required and the processing time of the web page is long, resulting in user in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웹사이트 사용 패턴을 고려한 웹브라우징이 수행되도록 하여 웹페이지의 처리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 브라우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erform a web browsing in consideration of a user's website usage pattern, thereby improving a processing time of a web pa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markup page browsing system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마크업페이지 브라우징 시스템은,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마크업 페이지를 제공하는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와; 이미지 형태로 변환된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1브라우저와, 마크업 태그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2브라우저를 구비하고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브라우저와 상기 제2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실행된 브라우저 정보 및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마 크업페이지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마크업 페이지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기초로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에 마크업페이지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브라우저가 상기 제1브라우저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변환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arkup page brows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brow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a markup page written in a markup language; A first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converted into an image form, and a second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cluding a markup tag, and among the first browser and the second browser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executes any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ransmits a markup pag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executed browser information and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When the markup pag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arkup page request server is transmitted to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based on the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ased on the browser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rowser executed in the first browser, the conversion server for converting the markup page received from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into an image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마크업페이지 브라우징 방법은, 이미지 형태의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1브라우저와, 마크업 태그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2브라우저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브라우저와 상기 제2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실행된 브라우저 정보 및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마크업 페이지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기초로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에 마크업페이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가 상기 변환서버로부터의 마크업페이지의 전송 요청에 따라 마크업페이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서버가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브라우저가 상기 제1브라우저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변환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arkup page brows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brow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browser for processing the markup page in the form of an image, and the markup page including a markup ta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second browser, executing one of the first browser and the second brows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ransmit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arkup pag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executed browser information and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When the conversion server receives the markup page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to transmit a markup page based on the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a markup page according to a request for transmitting a markup page from the conversion server; Determining, by the conversion server, the type of browser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browser information; When the conversion server determines that the browser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browser, converting the markup page received from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into an image and transmitting the im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mage received from the conversion server on a display unit.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와; 무선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과; 이미지 형태의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1브라우저와, 마크업 태그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2브라우저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브라우저 정보와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상기 키 입력부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브라우저와 상기 제2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주소정보와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 요청신호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며, 그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brow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A display unit;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first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 an image form and a second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cluding a markup tag; At least one icon including browser information and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any one of the 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the key input unit, the icon is included in the selected icon. Executing either one of the first browser and the second browser based on the received browser information, and causing a markup pag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browser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 markup page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a request on the display unit.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브라우저 정보와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키 입력부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이미지 형태의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1브라우저와 마크업 태그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2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단계와; 상기 주소정보와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 요청신호가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brows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at least one icon including browser information and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on a display unit; Wow; Selecting one of the 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a key input unit; Executing any one of a first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 an image form and a second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cluding a markup tag based on the brow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icon; Transmitting a markup pag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browser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markup page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 on the display uni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마크업페이지 브라우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41), 이동통신 단말기(10), 변환 서버(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arkup page brows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brow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4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 conversion server 31 as shown in FIG. It is composed.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41)는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마크업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여기서, 마크업 언어는 소정의 텍스트에 태그라고 하는 일종의 꼬리표를 부착하여 특정 의미를 부가하는 것으로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41 is a server providing markup pages written in a markup language. Here, the markup language attaches a kind of tag called a tag to a predetermined text and adds a specific meaning. There are various kinds of markup languages such as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and WML (Wireless Markup Language). .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예를 들어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으로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마크업페이지의 브라우징을 수행한다. 여기서, 마크업페이지의 브라우징이란, 마크업페이지를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마크업페이지의 내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the like, and performs browsing of markup pages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Here, browsing of a markup page means a series of processes for requesting a markup page and displaying a markup page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 so that a user can view the contents of the markup page.

이러한 브라우징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모듈(11), 키 입력부(14), 디스플레이부(15), 저장부(13), 제어부(12)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For such brow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 a key input unit 14, a display unit 15, a storage unit 13, and a control unit 12 as shown in FIG. It is configured by.

이동통신 모듈(11)은 기지국(20)과의 무선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제어부(12)로 전달하고, 제어부(12)로부터 생성되는 신호를 기지국(20)으로 전달한다. 이때, 이동통신 모듈(11)은 통신 포맷에 맞도록 변조,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 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base station 20 to transmit a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20 to the control unit 12, and transmits a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12 to the base station 20. To pass.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 may perform modulation and demodu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mmunication format.

키 입력부(14)는 복수의 키 버튼(미 도시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특정 키 버튼을 누르면 해당하는 키 버튼의 신호를 제어부(12)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 버튼을 제어부(12)가 알도록 한다.The key input unit 14 includes a plurality of key buttons (not shown), and when a user presses a specific key button, the key input unit 14 transmits 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to the control unit 12, thereby controlling the key button selected by the user 12. Let's know.

디스플레이부(15)는 영상이 표시되는 장치로서, 전력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5)에는 마크업페이지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마크업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splay unit 15 is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may be configured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with low power consumption.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markup p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markup page.

저장부(13)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작동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하는 임시데이터가 저장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13)에는 이미지 형태의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1브라우저와, 마크업 태그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2브라우저가 저장되어 있다. 브라우저가 저장되는 저장부(13)는 전원 차단 시에도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unit 13 stores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emporary data generated during program execution.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rage unit 13 stores a first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 the form of an image and a second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cluding a markup tag. The storage unit 13 in which the browser is stored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nonvolatile memory in which data is not deleted even when the power is cut off.

제어부(12)는 브라우저 정보와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브라우저 정보와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가 아이콘에 포함된다는 것은 아이콘에 대응되는 브라우저 정보와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가 저장부(13)의 일 영역에 저장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12 causes the display unit 15 to display at least one icon including browser information and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Here, the inclusion of the browser information and the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in the icon includes a case where the browser information and the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are stored in one area of the storage unit 13.

아이콘에 포함되는 브라우저 정보와 마크업페이지 주소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4) 조작을 통해 설정 및 변경할 수 있고, 아이콘은 메뉴형식일 수도 있다.The browser information and markup page address included in the icon can be set and changed by the user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14, and the icon may be in a menu format.

이 상태에서 제어부(12)는 사용자의 키 입력부(14)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브라우저와 상기 제2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킨다. 즉, 제어부(12)는 저장부(13)에 저장된 제1브라우저와 제2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를 브라우저 실행부(12_2)에 적재(load)함으로써 적재된 브라우저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우저 실행부(12_2)는 일종의 RAM(Random Access Memory), 레지스터 등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In this state, if any one of the 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key input unit 14, the control unit 12 selects the first browser and the based on the brow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icon. Run any one of the second browsers. That is, the controller 12 may load the loaded browser into the browser execution unit 12_2 by loading any one of the first browser and the second brows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 The browser execution unit 12_2 may be a volatile memory such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or a register.

제어부(12)는 실행되는 브라우저에 상기 아이콘에 포함된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는 예를 들어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형식을 갖출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 delivers the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con to the executed browser. Here, the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may have, for example, a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or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format.

이에 따라 제어부(12)에서 실행되는 브라우저는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와 브라우저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 요청신호를 이동통신 모듈(11)을 통해 전송하고, 그 요청신호에 따라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용자가 마크업페이지를 열람함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browser executed by the controller 12 transmits a markup pag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browser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 and receives the markup page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 signa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 allows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view the markup page.

한편, 이동통신 패킷망(30)의 변환 서버(31)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상기 마크업 페이지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기초로 인터넷망(40)의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41)에 마크업페이지의 전송을 요청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패킷망(30)은 이동통신 단말기(10) 의 음성통화를 위한 호 처리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을 지원하는 망이고, 인터넷망(40)은 TCP/IP를 기반으로 하여 다수의 컴퓨터가 연결되는 망으로서, 이동통신 패킷망(30)과 인터넷망(40)은 라우터(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markup pag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conversion server 3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packet network 30 marks the markup page of the Internet network 40 based on the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Request for transmission of the markup page to the providing server 41. 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packet network 30 is a network that supports call processing and data communication for voice commun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internet network 40 is based on TCP / IP. As a network to which is conn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packet network 30 and the Internet network 40 may be connected via a router 50.

그리고 변환 서버(31)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요청신호에 포함된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실행된 브라우저가 제1브라우저인지, 제2브라우저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실행되는 브라우저가 제2브라우저라고 판단하는 경우, 변환 서버(31)는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41)로부터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를 그대로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실행되는 브라우저가 제1브라우저라고 판단하는 경우, 변환 서버(31)는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41)로부터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를 단일 이미지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단일 이미지는 단일 파일 형태의 이미지일 수도 있고, 이미지 스트림일 수도 있다.The conversion server 31 determines whether the browser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the first browser or the second browser, based on the brow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quest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rowser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the second browser, the conversion server 31 transmits the markup page received from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41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s it is.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rowser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the first browser, the conversion server 31 converts the markup page received from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41 into a single image and performs 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fer to the terminal 10. Here, the single image may be an image in the form of a single file or may be an image stream.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41)로부터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를 단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해서, 변환 서버(31)는 마크업페이지에 포함된 태그를 파싱하고 렌더링하여 마크업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등에 나타나는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convert the markup page received from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41 into a single image, the conversion server 31 parses and renders a tag included in the markup page and converts the markup page into a form that appears on a display or the like. Can be performed.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마크업페이지 브라우징 시스템의 제어과정을 상세히 설명 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저장부(13)에는 이미지 형태의 웹페이지를 처리할 수 있는 웹뷰어(Web Viewer)와, HTML 태그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처리할 수 있는 풀브라우저(Full Browser), 즉 두 개의 웹브라우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마크업 데이터 제공서버(41)는 웹서버(41)라고 가정한다.Hereinafter, a control process of a markup page browsing system using a plurality of brow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orage unit 13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an process a web page that can process a web page in the form of an image and a web page that includes HTML tags. A full browser, that is, a case where two web browsers are provid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markup data providing server 41 is a web server 41.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어부(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웹페이지 요청용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1).First,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causes a web page request ic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step S1).

도 4에는 4개의 아이콘이 표시되었는데, 각각의 아이콘에는 웹페이지 주소 즉, URL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네이버 아이콘(16_1)에는 "http://naver.com"이라는 URL이 포함되어 있다. 각각의 아이콘에 포함되는 이러한 URL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4, four icons are displayed, and each icon includes a web page address, that is, a URL. For example, the NAVER icon 16_1 includes a URL "http://naver.com". This URL included in each icon can be set by the user's key operation.

또한, 제어부(12)는 사용자의 키 입력부(14) 조작에 따라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브라우저 종류를 설정한다(단계 S2). 예를 들어 네이버 아이콘에는 웹뷰어를 설정하고, 블로그 아이콘에는 풀브라우저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2 sets the browser type corresponding to each icon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of the key input unit 14 (step S2). For example, you can set a web viewer for the Naver icon and a full browser for the blog icon.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접속하여 브라우징 하는 웹페이지는 활용 상태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Web pages that users generally access and browse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ir utilization status.

첫 번째는 웹브라우징을 하는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열람하기만 하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웹브라우징을 하는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포함된 링크에 연결요청을 하거나, 또는 웹페이지의 게시판 등에 글을 쓰는 경우이다.The first is when a web browsing user only browses a web page. The second is when a web browsing user requests a link to a link included in a web page, or writes on a bulletin board of a web page. to be.

첫 번째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웹페이지의 내용을 열람하기만 하면 되므로 굳이 브라우저가 웹페이지의 태그를 파싱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크업 태그 기능은 없고 이미지에 대한 처리만 가능한 웹뷰어를 웹페이지의 내용을 열람하기만 원하는 URL을 포함하는 아이콘에 할당함으로써,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에 보이기 위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즉, 태그 처리 기능이 없으므로 웹뷰어는 전체적인 용량이 작고 실행 시 빠르게 동작한다.In the first case, the user only needs to browse the content of the web page, so the browser does not have to have a function for parsing the tag of the web page. Therefore, a user can reduce the overhead of displaying a web page on a display by assigning a web viewer which does not have a markup tag function and can only process an image to an icon including a URL that only wants to view the contents of the web page. That is, since there is no tag processing function, the web viewer has a small overall capacity and runs fast at execution.

한편,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된 아이콘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단계 S3) 제어부(12)는 그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브라우저를 호출하여 실행시킨다(단계 S4). 이때, 제어부(12)는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URL을 실행되는 브라우저에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if any one of the 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 is selected by the user (step S3), the control unit 12 calls and executes the brows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step S4).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2 transmits the URL included in the selected icon to the executed browser.

만일 실행되는 브라우저가 웹뷰어인 경우(단계 S5), 웹뷰어는 이동통신 모듈(11)을 통해 웹페이지 요청신호를 전송하는데(단계 S6), 이러한 웹페이지 요청신호에는 제어부(12)로부터 전달받은 URL과 웹뷰어 브라우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웹페이지를 요청하고, 웹페이지를 수신하기 위한 여러 기능들(예를 들어 이동통신 모듈(11) 제어)은 제어부(1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웹브라우저가 직접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겠다. 브라우저 정보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경우에는 User-Agent 헤더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If the browser to be executed is a web viewer (step S5), the web viewer transmits a web page request signal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 (step S6), and the web pag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12. It contains the URL and web viewer browser information. Here, various functions (eg,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 for requesting a web page and receiving the web page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12, but the web browser directly func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 will explain by doing. Browser information may utilize User-Agent header information in the case of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웹페이지 요청신호를 수신한(단계 S7) 변환 서버(31)는 우선, 웹페이지 요청신호에 포함된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이동통신 단 말기(10)에서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종류를 추출한다(단계 S8). 여기서 웹페이지 요청신호에 웹뷰어 브라우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추출되는 브라우저의 종류는 웹뷰어가 된다.Receiving the web page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tep S7), the conversion server 31 first of all, based on the brow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eb page request signal, of the browser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kind is extracted (step S8). Since the web viewer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the web viewer browser information, the type of browser extracted is the web viewer.

그리고 변환 서버(31)는 웹페이지 요청신호에 포함된 URL을 기초로 웹서버(41)에 웹페이지를 요청한다(단계 S9).The conversion server 31 requests the web page from the web server 41 based on the URL included in the web page request signal (step S9).

변환 서버(31)로부터 웹페이지 요청을 수신한(단계 S10) 웹서버(41)는 수신한 URL을 분석하여(단계 S11) 요청받은 웹페이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웹페이지를 변환 서버(31)로 전송한다(단계 S12).Receiving a web page request from the conversion server 31 (step S10), the web server 41 analyzes the received URL (step S11), extracts the requested web page, and converts the extracted web page to the conversion server 31. (Step S12).

웹서버(41)로부터 웹페이지가 수신되면(단계 S13), 변환 서버(31)는 S8 단계에서 추출한 브라우저가 웹뷰어이므로(단계 S14), 웹뷰어에 맞게 웹페이지를 분석/해석하여(단계 S15) 단일의 이미지를 생성한다(단계 S16). 여기서 웹페이지를 분석/해석하는 것은 웹페이지에 포함된 마크업태그를 파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단일의 이미지는 웹페이지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될 때 보이는 상태의 이미지로서, 단일 파일 형태의 이미지일 수 있고, 단일 스트림 형태의 이미지일 수도 있다. 변환 서버(31)에서 생성되는 이미지는 jpg, png, gif 등 다양한 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다.When the web page i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41 (step S13), the conversion server 31 analyzes / interprets the web page according to the web viewer because the browser extracted in step S8 is the web viewer (step S14) (step S15). ) A single image is generated (step S16). Here, analyzing / interpreting the web page includes parsing markup tags included in the web page. The single image may be an image in a state where the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single image may be a single file or may be a single stream. The image generated by the conversion server 31 may be generated in various formats such as jpg, png, and gif.

즉, 웹페이지가 마크업태그를 포함하는 텍스트 형태에서, 이미지 파일 형태로 변환된다.That is, the web page is converted from the text form including the markup tag to the image file form.

변환 서버(31)에서 하나의 이미지 파일 형태의 웹페이지(예를 들어 JPG 확장자를 갖는 이미지 파일)를 생성하여 전송하면(단계 S17), 이를 수신한(단계 S18)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웹뷰어는 수신된 이미지 파일 형태의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한다(단계 S19). 이미지 파일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기술은 공지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the conversion server 31 generates and transmits a web page (for example, an image file having a JPG extension) in the form of one image file (step S17), the web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at receives it (step S18) is received. The viewer displays the web page in the form of a received image file on the display unit 15 (step S19). Since a technique of processing an image file and displaying it on a display unit is well known, its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처럼 웹뷰어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하는 기능만을 가지면 되므로 용량이 작고 실행속도도 빨라 사용자의 웹브라우징 속도록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웹페이지의 마크업 태그를 분석하여 표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마크업 태그를 기초로 한 하이퍼링크 연결 등은 제한될 수 있다.As such, the web viewer needs only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15, so that the capacity of the web viewer is small and the execution speed is fast, thereby improving the user's web browsing speed. However, since the markup tag of the web page is not analyzed and displayed, hyperlink connection based on the markup tag may be limited.

한편, 아이콘에 대응되는 브라우저의 종류가 풀브라우저인 경우, 사용자의 아이콘 선택에 따라 풀브라우저가 호출되어 구동되고(단계 S20), 풀브라우저는 제어부(12)에 의해 전달받은 URL을 기초로 웹페이지를 요청한다(단계 S21).On the other hand, if the type of browser corresponding to the icon is a full browser, the full browser is called and driven according to the user's icon selection (step S20), and the full browser is based on the URL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12 on the web page. Is requested (step S21).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웹페이지 요청신호를 수신한(단계 S7) 변환 서버(31)는 웹페이지 요청신호에 포함된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실행되는 브라우저의 종류를 추출한다(단계 S8). 여기서 브라우저의 종류는 풀브라우저가 된다.Upon receiving the web page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tep S7), the conversion server 31 extracts the type of the browser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based on the brow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eb page request signal. (Step S8). The type of browser is full browser.

그리고 변환 서버(31)는 웹페이지 요청신호에 포함된 URL을 기초로 웹서버(41)에 웹페이지를 요청한다(단계 S9).The conversion server 31 requests the web page from the web server 41 based on the URL included in the web page request signal (step S9).

변환 서버(31)로부터 웹페이지 요청을 수신한(단계 S10) 웹서버(41)는 수신한 URL을 분석하여(단계 S11) 요청받은 웹페이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웹페이지를 변환 서버(31)로 전송한다(단계 S12).Receiving a web page request from the conversion server 31 (step S10), the web server 41 analyzes the received URL (step S11), extracts the requested web page, and converts the extracted web page to the conversion server 31. (Step S12).

웹서버(41)로부터 웹페이지가 수신되면(단계 S13), 변환 서버(31)는 S8 단계 에서 추출한 브라우저가 웹브라우저이므로(단계 S22) 이미지 변환 작업 없이 웹페이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단계 S23).When the web page is received from the web server 41 (step S13), the conversion server 31 transmits the web p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without converting the image since the browser extracted in step S8 is a web browser (step S22). (Step S23).

변환 서버(31)로부터 웹페이지가 수신되면(단계 S24),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웹페이지에 포함된 마크업 태그를 파싱하고 렌더링하여(단계 S25)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한다(단계 S26).When the web page is received from the conversion server 31 (step S24),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parses and renders the markup tag included in the web page (step S25)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5 (step S25). S26).

이처럼 웹페이지의 마크업 태그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부(15)에 표시하는 경우에는, 태그 속성에 따라 새로운 하이퍼링크로 연결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게시판에 글을 작성할 수도 있다. 웹페이지를 파싱/렌더링하는 브라우저의 이러한 기능들은 이미 공지된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rkup tag of the web page is analyz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 the hyperlink may be connected to a new hyperlink according to the tag attribute, or the user may write on the bulletin board. These features of the browser parsing / rendering web pages are well known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 사용자는 브라우징하기를 원하는 사이트의 사용 패턴에 맞게 핫키 또는 아이콘을 설정함으로써, 브라우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shorten the browsing time by setting a hotkey or an icon in accordance with a usage pattern of a site desired to be browsed.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털 사이트의 특정 뉴스 제목만을 열람하기를 원한다면 해당 사이트에 대응되는 아이콘에는 웹뷰어를 설정하여 사용하면 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시판의 내용을 확인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글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이트에 대응되는 아이콘에 풀브라우저를 설정하여 사용하면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A, if a user wants to view only a specific news title of a portal site, a web viewer may be set and used for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ite, and the contents of the bulletin board may be checked as shown in FIG. 5B. At the same time, if you want to write as needed, you can use the full browser by setting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ite.

이처럼 열람만을 원하는 웹사이트에 대해서는 웹뷰어를 이용하여 단일 이미지 형태로 브라우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풀브라우저를 사용하는데 따른 하드웨어 리소스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을 수 있다. 그리고 태그 처리 등 풀브라우징이 필요 한 웹사이트에 대해서는 풀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사용함으로써,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예를 들어 게시판 글 작성 등)을 이용할 수 있다.As such, the website that only wants to be viewed can be browsed in the form of a single image using the web viewer,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waste of hardware resources using the full browser. And for websites that require full browsing such as tag processing, you can use the full browser to use all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website (for example, writing a bulletin board).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변환서버(31)는 이동통신 패킷망(30)에 있는 것을 일 예로 들었으나 변환서버(31)는 인터넷망(40)에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version server 31 is an example of be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packet network 30, but the conversion server 31 may be configured in the Internet network 40, of course.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bu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웹 브라우징을 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웹사이트 사용 패턴에 맞는 브라우징이 수행됨으로써 전체적인 브라우징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browses the web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row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website usage pattern,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browsing speed.

Claims (8)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마크업 페이지를 제공하는 마크업 페이지 제공서버와;A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a markup page written in a markup language; 이미지 형태로 변환된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1브라우저와, 마크업 태그를 포함하는 텍스트 형태의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2브라우저를 구비하고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브라우저와 상기 제2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실행된 브라우저 정보 및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 요청신호를 전송하며, 그 마크업 페이지 요청신호에 따라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A first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converted into an image form, and a second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 a text form including a markup tag, wherein the first browser and the first browser are selected by a user. 2 executes any one of the browsers, transmits a markup pag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executed browser information and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received markup page according to the markup page request signal on the display uni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마크업 페이지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기초로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에 마크업페이지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브라우저가 상기 제1브라우저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변환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마크업페이지 브라우징 시스템.When the markup pag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arkup page request server is transmitted to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based on the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ased on the browser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rowser executed in the first browser, the plurality of browse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version server for converting the markup page received from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into an image form and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rkup page browsing system u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변환서버는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브라우저가 상기 제2브라우저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 로부터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를 이미지로 변환하지 않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When the conversion server determines that the browser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browser, based on the browser information, the conversion server does not convert the markup page received from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into an image and converts the image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변환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마크업페이지의 마크업 태그를 해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마크업페이지 브라우징 시스템.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erprets the markup tag of the markup page transmitted from the conversion server and displays the markup tag on the display unit. 마크업페이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마크업페이지를 제공하는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 사이에 구비된 변환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ystem compri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the transmission of a markup page, a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a markup page, and a conversion server provid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a) 이미지 형태의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1브라우저와, 마크업 태그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2브라우저가 구비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브라우저와 상기 제2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단계와;(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irst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 the form of an image and a second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cluding a markup tag, the first brows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executing one of the second browsers;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실행된 브라우저 정보 및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b)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a markup pag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executed browser information and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c) 상기 변환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마크업 페이지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기초로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에 마크업페이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c) when the conversion server receives the markup page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transmission of a markup page to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based on the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d)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가 상기 변환서버로부터의 마크업페이지의 전송 요청에 따라 마크업페이지를 전송하는 단계와;(d) transmitting, by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a markup page according to a request for transmitting a markup page from the conversion server; (e) 상기 변환서버가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브라우저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e) determining, by the conversion server, the type of browser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browser information; (f) 상기 변환서버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브라우저가 상기 제1브라우저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f) when the conversion server determines that the browser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first browser, converting the markup page received from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into an image and transmitting the im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w; (g)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변환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 형태의 마크업페이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마크업페이지 브라우징 방법.and (g) display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arkup page in the form of an image received from the conversion server on a display uni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e) 단계의 결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된 브라우저가 상기 제2브라우저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변환서버가 상기 마크업페이지 제공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변환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의 마크업 태그를 해석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마크업페이지 브라우징 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rowser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second browser as a result of step (e), the conversion server transmits the markup page received from the markup page providing serv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erpreting the markup tag of the markup page received from the conversion server and displaying the markup tag on the display unit. 키 입력부와;A key input unit;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무선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과;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이미지 형태의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1브라우저와, 마크업 태그를 포함하는 텍스트 형태의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2브라우저가 저장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a first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 an image form and a second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 a text form including a markup tag; 브라우저 정보와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상기 키 입력부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브라우저와 상기 제2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고, 상기 주소정보와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 요청신호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며, 그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At least one icon including browser information and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any one of the 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the key input unit, the icon is included in the selected icon. Executing either one of the first browser and the second browser based on the received browser information, and causing a markup pag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browser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 markup page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n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reques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아이콘에 포함되는 상기 브라우저 정보와 상기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는 사용자의 상기 키 입력부 조작에 따라 설정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browser information and the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con are se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the key input unit and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이미지 형태의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1브라우저와, 마크업 태그를 포함하는 텍스트 형태의 마크업페이지를 처리하는 제2브라우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irst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 an image form and a second browser for processing a markup page in a text form including a markup tag, (a) 브라우저 정보와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a) displaying at least one icon including browser information and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on a display unit; (b) 사용자의 키 입력부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와;(b) selecting one of the ic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a key input unit; (c)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포함된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브라우저와 상기 제2브라우저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단계와;(c) executing one of the first browser and the second browser based on the brow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lected icon; (d) 상기 주소정보와 상기 브라우저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페이지 요청신호가 전송되는 단계와;(d) transmitting a markup pag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he browser information; (e)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마크업페이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and (e) causing the markup page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a) 단계 이전에,Before step (a) above, 상기 아이콘에 포함되는 상기 브라우저 정보와 상기 마크업페이지 주소정보가 사용자의 상기 키 입력부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브라우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And setting the browser information and the markup page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con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the key input unit.
KR1020070046651A 2007-05-14 2007-05-14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 of brow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browsing markup page compri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598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651A KR101359821B1 (en) 2007-05-14 2007-05-14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 of brow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browsing markup page compri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651A KR101359821B1 (en) 2007-05-14 2007-05-14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 of brow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browsing markup page compri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665A true KR20080100665A (en) 2008-11-19
KR101359821B1 KR101359821B1 (en) 2014-02-07

Family

ID=4028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651A KR101359821B1 (en) 2007-05-14 2007-05-14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 of brow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browsing markup page compri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8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387B1 (en) * 2008-12-04 2015-04-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and method for deciding browser type according to webp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5328B2 (en) * 2001-03-17 2005-07-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eb content format for mobile devices
KR100652159B1 (en) * 2004-07-21 2006-12-01 아이넥스네트워크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Internet Service by Using Mobile WAP Converting Library
KR100598489B1 (en) * 2004-11-23 2006-07-11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lecting Brow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387B1 (en) * 2008-12-04 2015-04-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and method for deciding browser type according to webp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821B1 (en)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6279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RL management method used therefor, and program thereof
US20100131594A1 (en) Web page access method and server
KR199900727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ing Navigation of Hypertext Pages Using Compound Requests
CN107124477A (e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the server of web site contents
CN102298599A (en)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web pages in offline state
JP5641690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display method
JP201002077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b page interface
CN100430919C (en) Bookmark frame and method for running browser using bookmark in Internet terminal
KR2008010059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mobile web data via blocking the specified data
CN110674444A (en) Method and terminal for downloading dynamic webpage
KR100312786B1 (en) A method of acting a object in a wireless terminal for internet connection
KR101001512B1 (en)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ents connected in link structure in internet p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browsing apparatus used in the system
KR101359821B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plural of brow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browsing markup page compri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28790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save World Wide Web site information and its method
JP2002073466A (en) Bulletin board system and posting method for small terminal
KR100936612B1 (en) Method for loading multimedia contents in the mobile internet brows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08904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brows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mobile station
KR100923406B1 (en) System for transmitting markup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the system
KR100919585B1 (en)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web cont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339832B1 (en) A method of displaying a anchor attribute in a wireless terminal for internet connection
KR100312785B1 (en) A method of acting a object in a wireless terminal for internet connection
JP2009048332A (en) Web page browsing device
KR20090037069A (en)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web p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93235A (en)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web cont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th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810882B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shortcut button equipped with display part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