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968A -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968A
KR20080097968A KR1020080093886A KR20080093886A KR20080097968A KR 20080097968 A KR20080097968 A KR 20080097968A KR 1020080093886 A KR1020080093886 A KR 1020080093886A KR 20080093886 A KR20080093886 A KR 20080093886A KR 20080097968 A KR20080097968 A KR 20080097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lient
location
data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윤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8009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7968A/ko
Publication of KR20080097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0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 and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위치별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위치별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 등록시키는 위치 등록부와,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현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기 저장된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확인된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비교하는 확인부와, 상기 확인부의 확인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통신수단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구비한다.
위치정보, 커뮤니케이션 수단

Description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the Selective Communication Means by Using Location Informations}
도1은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중계서버와 클라이언트, 이동통신사 및 기타 ASP(메일서비스업체, IM 서비스 업체 등)이 연결된 간단한 개념도이다.
도2는 중계서버를 구성하고 있는 각 모듈(부)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구현에 대한 개념 이해를 위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전체적인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5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한 후에, 이를 이용한 서비스가 실시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6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특정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간단한 예시도이다.
도7은 클라이언트가 지정한 특정 위치에 대한 세부적인 서비스를 추가 입력하는 간다한 웹 브라우저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중계서버 105 : 클라이언트
110 : 이동통신사 200 : 회원 관리부
205 : 회원 데이터 베이스 210 : 위치 등록부
215 :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 220 : 위치 인식부
225 : 정보 추출부 230 : 통신수단 확인부
235 : 데이터 전환부 240 : 제어부
245 : 데이터 송수신부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위치별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위치별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 등록시키는 위치 등록부와,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현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기 저장된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확인된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비교하는 확인부와, 상기 확인부의 확인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통신수단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구비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및 인터넷의 발달은 클라이언트간의 많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제공하게 되었고, 이것은 사회적 유대감 및 공감대 형성에 커다란 기여를 했다. 이동통신은 과거 일반 유선전화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모바일(Mobile)적 특성에 따라 그 수요가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났고, 또한 많은 인터넷 유저들(Users)은 On-line상에서 이메일이나 인스턴트 메신저(IM; Instant Messenger) 등이 보편화되어 이를 이용하여 서로간에 의사소통을 유지 및 발전시켜 나갈 수 있었다.
이메일은 PC(Personal Computer)나 기타 통신장비(이동통신장치, PDA 등) 등을 이용하여 유·무선 상에서 편지나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을 말하며, 주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이나 POP3(Post Office Protocol v3)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Outlook Express 등의 이메일 전용 브라우저 등을 통해 송·수신하는 방식과 메일 서버를 구비한 웹서버에 접속하여 공간적 제약에 구애받지 않는 웹 메일 방식이 있다.
인스턴트 메신저는 이메일과는 달리 실시간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그 사용자수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초기의 인스턴트 메신저는 단순한 쪽지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능이 전부였는데, 최근에는 일상생활은 물론, 기업활동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는 이메일과 차별화 되는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각종 부가 기능 등 및 이기종 간의 연동 등 을 토대로 더욱 발전할 전망이다.
그러나, 상술한 각종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은 그 효용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스팸이나 정크 등의 불필요한 메시지의 전달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A라는 클라이언트는 주로 외부 업무를 하며 가끔씩 회사에 들어오는데 A에게 이메일이나 인스턴트 메시지를 보낸다거나, 회사 내에서 회의를 주로 하는 B에게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통화나 문자메시지를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한다는 것은 여러 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위치별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위치별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 등록시키는 위치 등록부와,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현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기 저장된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확인된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비교하는 확인부와, 상기 확인부의 확인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 신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통신수단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구비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위치별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위치별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 등록시키는 위치 등록부와,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현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기 저장된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확인된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비교하는 확인부와, 상기 확인부의 확인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통신수단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위치별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수단 정보와 위치별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위치별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 등록시키는 위치 등록부와,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현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기 저장된 통신수단 정보와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확인된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비교하는 확인부와, 상기 확인부의 확인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클라이언트 통신수단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위치 등록부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특정 위치정보 등록과 동시에 상기 특정 위치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수단(이메일, 이동통신(문자서비스 포함), 인스턴트메신저를 포함하는 모든 통신수단) 및 수신 데이터의 제한을 포함하는 위치별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을 지정하여 등록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 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보다 더 충실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 수준의 변경이나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1은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중계서버(100)와 클라이언트(105), 이동통신사(110) 및 기타 ASP(메일서비스업체, IM 서비스 업체 등)이 연결된 간단한 개념도이다.
중계서버(100)는 클라이언트(105)로부터 특정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을 하고, 상기 클라이언트(105)에게 걸려오는 통화나 수신되는 이메일, 메시지 등의 정보를 확인(인터셉트)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5)의 위치에 적당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변경 또는 포워드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이동통신사(110) 및 메일서비스 업체 등을 구분하여 도시하였지만, 중계서버(100)와 연동 또는 중계서버(100) 내에 포함이 가능하다.
본 도면에서 클라이언트(105)는 기본적으로 무선통신장치를 소유한 클라이언트(105)를 의미하며, 상기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On-line 상태와 Off-line 상태로 클라이언트(105)의 상태를 구분할 수 있는데, On-line 상태의 경우는 클라이언트(105)가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위치(집, 회사 등)를 의미하고, Off-line 상태는 클라이언트(105)가 온라인 접속이 불가능한 또는 어려운 상기 위치 외의 장소를 나타낸다. 상기 클라이언트(105)는 상기 중계서버(100)에 On-line 상태가 가능한 위치(집, 회사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상태(온라인)에 위치하고 있을 시에는 통화는 물론 On-line 상태에서 가능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지 등)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오프라인) 통화나 문자 메시지(SMS, LMS 모두 포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을 통해 클라이언트(105)는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 입력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얻을 수 있다.
도2는 중계서버(100)를 구성하고 있는 각 모듈(부)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중계서버(100)는 회원 관리부(200), 위치 등록부(210), 위치 인식부(220), 정보 추출부(225), 통신수단 확인부(230), 제어부(240), 데이터 전환부(235), 데이터 송·수신부(245) 및 회원 데이터 베이스(205),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15)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클라이언트(105)로부터 본인의 특정 위치정보를 입력하게 하 여 유용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5)에게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한다.
회원 관리부(200)는 본인의 특정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클라이언트(105)에 대한 개인 정보(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인스턴트 메신저 아이디 등) 등을 관리 및 취급하며 이를 회원 데이터 베이스(205)에 저장시킨다.
위치 등록부(210)는 클라이언트(105)로부터 본인의 특정 위치에 따른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통화,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지 등)을 이용하고자 입력하는 특정 위치정보를 등록 받는 역할을 하며, 상기 특정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15)에 저장시킨다.
또한, 상기 위치 등록부(210)는 클라이언트(105)의 특정 위치정보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상기 특정 위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등의 속성 등을 추가로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속성이란, 이메일이라는 수단의 경우에 있어서 이메일을 수신할 수 있는 특정 위치에 있는 상기 클라이언트(105)가 허용하는 내용의 이메일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집이라는 특정 위치에서는 엔터테인먼트 관련 광고를 받고, 회사에서는 IT(Information Technology)관련 광고를 받겠다고 클라이언트(105)는 커뮤니케이션 속성을 등록할 수도 있다.
위치 인식부(2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연동 또는 셀단위 망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5) 소유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를 확인하여 클라이언트(105)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정보 추출부(225)는 상기 위치 인식부(220)를 통해 파악된 위치 데이터와 클라이언트(105)의 특정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15)를 참조하여 클라이언트(105)의 현재 위치가 기 등록되어 있는 특정 위치인지 판별하는 기능을 한다.
통신수단 확인부(230)는 특정 위치정보를 등록한 클라이언트(105)에게 수신되는 여러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이메일, 통화, 인스턴트 메시지, 문자 메시지 등)을 확인하는 역할을 하며, 확인 특정 커뮤니케이션 수단 정보를 데이터 전환부(235)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40)는 데이터 송·수신부(245)를 통해 수신된 외부 데이터 및 상기 중계서버(100) 내의 각 부들간의 데이터 흐름 등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데이터 전환부(235)는 상기 통신수단 확인부(230)를 통해 전송된 커뮤니케이 션 수단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105)가 기 등록한 특정 위치에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전환 또는 포워드 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중계서버(100)와 IM서버, 메일 서버, 이동통신사 등이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한 데이터 연동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중계서버(100)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105)로 수신되는 인스턴트 메시지, 이메일, 통화, 문자 메시지 등의 파악이나 제어가 가능하지만, 별도의 독립적인 메일 시스템이나 IM을 사용할 경우에는, 클라이언트(105) 시스템 내에 응용 프로그램 또는 에이전트를 탑재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05)의 위치정보가 상기 중계서버(100)에 등록한 특정지역(회사)이 아닐 경우에, 상기 클라이언트(105)에게 이메일이나 IM 메시지가 전송된다면, 이것을 간단한 문자 메시지(송신자 이름, 전송된 커뮤니케이션 수단, 시간 등) 등으로 전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5)의 무선통신장치로 보내줄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245)는 중계서버(100)를 유·무선망과 연결시키고, 각 종 데이터를 주고받는 일종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
회원 데이터 베이스(205)는 회원 클라이언트(105)의 관리를 위한 여러 개인 정보(이름, 주소, 이동통신번호, 이메일 등)를 포함하고 있으며, 회원 관리부(200)와 연동하여 운용된다.
위치 정보 데이터 베이스(215)는 클라이언트(105)가 지정하는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가 저장되며, 위치 등록부(210)와 위치 인식부(220)와 연동하여 그 기능을 수행한다.
클라이언트(105)는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계서버(100)에 등록시켜, 본인이 상기 특정 위치에 있을 때,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중계서버(100)는 상기 클라이언트(105)가 주로 활동하는 위치나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획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는 구체적인 위치정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축 및 제공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구현에 대한 개념 이해를 위한 간단한 블록도이다.
클라이언트(105)는 우선 본 발명이 구현하고자 하는 중계서버(100)에 특정 위치정보를 등록시키고(1), 상기 중계서버(100)는 클라이언트(105)가 입력한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15)를 구축한다(2). 상기 클라이언트(105)에게 통화, 메시지(메일, 인스턴트 메신저 등)가 있을 경우에(3) 상기 중계서버(100)는 GPS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5)의 위치를 추적하여 확인한 후(4), 상기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15)를 참조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5)가 기 등록한 특정 위치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그에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적용하 게 된다(5).
도4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전체적인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중계서버(100)는 클라이언트(105)로부터 특정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15)를 구축하고, 상기 클라이언트(105)에게 통화 또는 전송되는 메시지가 있을 때, 상기 클라이언트(105)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5)에게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전환 또는 포워드시켜서 상기 클라이언트(105)로 하여금 특정 위치에서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중계서버(100)는 기본적으로 회원 가입 등의 절차를 구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5)의 기본적인 정보(이름, 주소, 이메일, 무선통신번호 등)와 상기 클라이언트(105)가 입력하는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15)를 구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특정 위치정보는 다수 개가 될 수 있고, 각 위치에 따른 세부적인 제한 사항도 추가가 가능하다. 상기 세부적 제한 사항이란, 상기 도2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에 대한 분류 등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도5는 클라이언트(105)로부터 특정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한 후에, 이를 이용한 서비스가 실시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중계서버(100)에 접속한 클라이언트(105)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을 입력하여 본인의 인증을 실시하고(회원가입 및 인증절차)(500), 중계서버(100)는 상기 클라이언트(105)로부터 원하는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 및 위치별 선택(제한) 수신 여부를 입력받게 된다(505).
상기 특정 위치란 클라이언트(105)가 주로 활동하며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위치 등을 말하며, 특정 위치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클라이언트(105)가 이동중 또는 다른 임시적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클라이언트(105)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중계서버(100)는 상기 특정 위치정보에 대한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15)를 구축하여 저장하게 된다(510).
상기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15)는 본 발명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클라이언트(105)의 위치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유용하게 작용한다.
상기 클라이언트(105)에게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지 또는 통화 등이 있을 때(515), 상기 중계서버(100)는 GPS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105)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15)에 저장된 특정 위치인지를 판단하 게 된다(520).
중계서버(100)는 상기 클라이언트(105)의 현재 위치가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215)에 저장된 특정 위치로 판단되면(525),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선택하게 된다(530). 만약, 특정 위치가 아니거나, 특정 위치에 상관없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면(535) 그대로 전송이 된다(540).
도6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이언트(105)가 특정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간단한 예시도이다.
클라이언트(105)는 유·무선 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서버(100)에 접속하여 본인 지정하고자 하는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본 도면에서 클라이언트(105)는 `집`과 `회사`를 특정 위치로 선정하였고, 상기 특정 위치에서 이메일 수신, 전화통화, 인스턴트 메시지 등의 수신을 허락한 것을 알 수 있다.
도7은 도6에서 클라이언트(105)가 지정한 특정 위치에 대한 세부적인 서비스를 추가 입력하는 간다한 웹 브라우저 예시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도6을 통해 클라이언트(105)가 특정 위치로 선택한 지역(집)에서의 메일이나 메시지 수신에 있어서, 상기 메일이나 메시지가 광고성일 경우 영화, 도서, 음악 정보 등에 대한 광고성 메일만 수신하겠다는 입력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화 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주로 활동하는 위치에 패턴이나 분석을 용이하게 하여 그에 적당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위치 상황에 따른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위치별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위치별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 등록시키는 위치 등록부;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현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기 저장된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확인된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비교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부의 확인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통신수단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
  2.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와 위치별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수단 정보와 위치별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위치별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 등록시키는 위치 등록부;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현 위치정보와 연계 처리되어 기 저장된 통신수단 정보와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와 상기 확인된 수신 데이터 제한 정보 또는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 정보를 비교하는 확인부;
    상기 확인부의 확인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를 수신자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확인된 클라이언트 통신수단으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부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특정 위치정보 등록과 동시에 상기 특정 위치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수단(이메일, 이동통신(문자서비스 포함), 인스턴트메신저를 포함하는 모든 통신수단) 및 수신 데이터의 제한을 포함하는 위치별 선택 수신 데이터 항목을 지정하여 등록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
KR1020080093886A 2008-09-24 2008-09-24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 KR20080097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886A KR20080097968A (ko) 2008-09-24 2008-09-24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886A KR20080097968A (ko) 2008-09-24 2008-09-24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033A Division KR20030044320A (ko) 2001-11-29 2001-11-29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커뮤니케이션 수단 제공 방법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397A Division KR20090064356A (ko) 2009-05-06 2009-05-06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968A true KR20080097968A (ko) 2008-11-06

Family

ID=4028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886A KR20080097968A (ko) 2008-09-24 2008-09-24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79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0634B2 (en) Instant messaging account system
US8930479B2 (en) Processing cellular telephone subscription for E-mail threads
US8688152B2 (en) Method for creating a peer-to-peer immediate messaging solution without using an instant messaging server
US200501601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network messages
US8064934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otification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CN102347916B (zh) 一种网关、跨社区群组信息处理系统及方法
WO2007007962A1 (en) Messenger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synchronization server
CN103368818B (zh) 一种即时消息发送的方法
CN101098503A (zh) 一种消息昵称个性化显示的方法和装置
KR100981341B1 (ko) 복수의 통신 노드에의 자동 통지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0779012B1 (ko) 타 메신저간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A266616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name-based communication service
US100754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oice mails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environment
EP1305725B1 (en) Instant messaging account system
KR100586414B1 (ko)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서의 위치 찾기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31707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커뮤니케이션 수단 제공 방법및 시스템
CN102655484A (zh) 通过电子邮件添加联系人的方法、客户端及系统
KR20080097968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
KR20110088278A (ko) 그룹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20090064356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통신수단 제공 시스템
KR20030044320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커뮤니케이션 수단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0784225B1 (ko) 프리즌스 시스템에서의 폰북 어드레스(pba) 기반의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4719083B2 (ja) メッセージ送信システム、メッセージ中継サーバ、メッセージ送信方法
KR20100064386A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JP2004088336A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028

Effective date: 2011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