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3881A - 넥 유지 기능을 구비한 물품 캐리어 - Google Patents

넥 유지 기능을 구비한 물품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3881A
KR20080093881A KR1020080033512A KR20080033512A KR20080093881A KR 20080093881 A KR20080093881 A KR 20080093881A KR 1020080033512 A KR1020080033512 A KR 1020080033512A KR 20080033512 A KR20080033512 A KR 20080033512A KR 20080093881 A KR20080093881 A KR 20080093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article
base
main pane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식 유
Original Assignee
미드웨스트바코 패키징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드웨스트바코 패키징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미드웨스트바코 패키징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8009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넥 유지 기능을 갖는 물품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상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부를 연결하며 이들 보다 작은 크기의 넥을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물품 캐리어에 있어서,주 패널; 상기 주 패널에 부착되며, 상기 물품의 베이스를 수용하는 베이스 수용 구조; 상기 물품의 넥을 맞무는 맞물림 플랩을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플랩은 상기 주 패널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주 패널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맞물림 플랩은 상기 넥을 맞물지 않을 때 그대로 놓여지는 초기 평면 상태를 형성하며, 상기 맞물림 플랩은 넥 수용 개구부 및 상기 맞물림 플랩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초기 평면 상태로부터 변위되어 상기 넥이 상기 넥 수용 개구부내로 도입되는 통로를 개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넥 유지 기능을 구비한 물품 캐리어{ARTICLE CARRIER WITH NECK RETAINING FEATURE}
본 발명은 넥 유지 기능을 구비한 물품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넥을 갖는 물품을 수용하는 물품 캐리어의 문제점을 해소 및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상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부를 연결하며 이들 보다 작은 크기의 넥을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물품 캐리어에 있어서, 주 패널; 상기 주 패널에 부착되며, 상기 물품의 베이스를 수용하는 베이스 수용 구조; 상기 물품의 넥을 맞무는 맞물림 플랩을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플랩은 상기 주 패널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주 패널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맞물림 플랩은 상기 넥을 맞물지 않을 때 그대로 놓여지는 초기 평면 상태를 형성하며, 상기 맞물림 플랩은 넥 수용 개구부 및 상기 맞물림 플랩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초기 평면 상태로부터 변위되어 상기 넥이 상기 넥 수용 개구부내로 도입되는 통로를 개방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넥을 갖는 물품을 물품 캐리어내에 확실하게 유지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요청에 따라,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기술된 실시예는 다양하고 선택적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는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하여 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예시적인"은 예증, 견본, 모델 또는 패턴으로서 제공되는 실시예에 대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도면은 축적일 필요는 없으며, 일부 특징은 특정 구성요소를 상세하기 도시하기 위해 과장되거나 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지된 구성요소, 시스템, 재료 또는 방법은 본 발명을 불명확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기술된 특정 구성 및 기능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단지 청구범위를 위한 베이스 및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하기 위해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를 가르치기 위한 베이스로서 기술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부호는 다수의 관점을 통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도면은 물품 캐리어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양한 관점을 나타낸다.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비제한적 목적을 위한 용어 "물품 캐리어"는 물품 유지, 이송 및 분배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교시는 물품을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임의의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예시적인 물품 캐리어는 주 패널, 상기 주 패널에 연결된 베이스 수용 구조, 상기 주 패널에 연결된 넥 수용 구조, 및 상기 주 패널에 연결된 보조 구획 또는 저장 구조를 포함한다. 제 1 물품은 베이스 수용 구조 및 넥 수용 구조에 의해 유지되며, 제 2 물품은 보조 구획내에 수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블랭크(100)는 도 2-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물품 캐리어(200)를 형성하도록 접혀지고 고정될 수 있다. 바람 직하게는, 블랭크(100)는 적절한 기재의 단일 시트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적절한 기재"는 판지, 골판지, 카드보드, 플라스틱, 이들의 조합물 등을 포함하는 모든 접을 수 있는 시트 재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블랭크(100)는 물품 캐리어(20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일 블랭크이지만, 2개 또는 그 이상의 블랭크가 물품 캐리어(200)를 형성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블랭크(100)는 스프레이 병을 포장하기 위한 물품 캐리어를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블랭크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교시에 따른 다른 물품을 위한 물품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크기로 배치되거나 또는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블랭크(100)는 주 패널(110), 넥 수용 구조를 형성하는 패널과 구성요소, 베이스 수용 구조를 형성하는 패널 및 보조 구획을 형성하는 패널과 단부 플랩을 포함한다.
주 넥 링(120) 형태의 제 1 맞물림 플랩은 주 패널(100)로부터 형성된다. 주 넥 링(120)의 자유 외부 가장자리는 천공 또는 절개부(122)와 같은 단절선(severance line)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주 넥 링(120)은 주 패널(110)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가능하며, 주 넥 링(120)의 내부 가장자리는 접는선(124)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주 넥 링(120)이 주 패널(110)에 힌지연결된다. 주 넥 링(120)은 예시적인 물품(도 2 - 도 5 참조)의 넥을 수용하는 크기의 넥 수용 개구부(126) 및 단절선(122)과 넥 수용 개구부(126) 사이로 연장하는 절개부 또는 슬릿(128)과 같은 단절선 형태의 도입 수단(indroducing means)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 패널(130)은 접는선(132)을 따라 주 패널(110)에 힌지연결되며, 보강 넥 링(140) 형태의 제 2 맞물림 플랩은 보강 패널(130)로부터 형성된다. 보강 넥 링(140)의 자유 외부 가장자리는 천공 또는 절개부(142)와 같은 단속선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보강 넥 링(140)은 보강 패널(130)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가능하며, 보강 넥 링(140)의 내부 가장자리는 접는선(144)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보강 넥 링(140)은 보강 패널(130)에 힌지연결된다. 보강 넥 링(140)은 예시적인 물품의 넥을 수용하는 크기의 넥 수용 개구부(146) 및 단속선(142)과 넥 수용 개구부(146) 사이로 연장하는 절개부 또는 슬릿(148)과 같은 단속선 형태의 도입 수단을 포함한다.
주 및 보강 넥 링(120, 140)은 접는선(132)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며, 따라서 보강 패널(130)이 접는선(132)을 따라 주 패널(110)과 평면접촉으로 접혀질 때, 주 및 보강 넥 링(120, 14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합 넥 링(120/140)을 제공하도록 서로 협동하는 위치에 있다.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동일 간격으로 접는선(132)으로부터 각각 오프셋된 넥 수용 개구부(126, 146)는 접는선(14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추상적인 축(notional axis)을 따라 서로 정렬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동일 크기 또는 치수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 패널(130)과 보강 넥 링(140)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블랭크(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수용 구조를 제공하는 일련의 베이스 패널을 포함한다. 일련의 예시적인 베이스 패널은 관형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접혀질 수 있도록 하나가 다음 하나에 정렬되어 힌지연결되어 있다. 일련의 베이스 패널은 하부 베이스 패널(150), 측면 베이스 패널(152) 및 상부 베이스 패널(154)을 포함한다. 하부 베이스 패널(150)은 접는선(160)을 따라 주 패널(110)에 힌지연결되며, 측면 베이스 패널(152)은 접는선(162)을 따라 하부 베이스 패널(150)에 힌지연결되며, 상부 베이스 패널(154)은 접는선(164)을 따라 측면 베이스 패널(152)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또한, 블랭크(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수용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주 패널(110)에 고정될 수 있는 가장자리 플랩(156)을 포함한다. 가장자리 플랩(156)은 접는선(166)을 따라 상부 베이스 패널(154)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베이스 수용 개구부(168)는 상부 베이스 패널(154)내에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수용 개구부(16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물품의 베이스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치수로 위치되어 있다.
블랭크(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 구획을 제공하는 구획 패널 및 단부 플랩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획 패널은 일련으로 정렬되며 관형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접혀질 수 있도록 하나가 다음 하나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구획 패널은 제 1 구획 측면 패널(170), 제 2 구획 측면 패널(172) 및 제 3 구획 측면 패널(174)을 포함한다. 제 1 구획 측면 패널(170)은 접는선(180)을 따라 주 패널(110)에 힌지연결되며, 제 2 구획 측면 패널(172)은 접는선(182)을 따라 제 1 구획 측면 패널(170)에 힌지연결되며, 제 3 구획 측면 패널(174)은 접는선(184)을 따라 제 2 구획 측면 패널(172)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또한, 블랭크(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 구획을 형성하기 위해 주 패널(110)에 고정될 수 있는 가장자리 플랩(176)을 포함한다. 가장자리 플랩(176)은 접는선(186)을 따라 제 3 구획 측면 패널(174)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단부 플랩은 구획 측면 패널과 주 패널의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단부 플랩은 관형 구조체로서 배치될 때 구획의 각각의 개방 단부에서 단부밀봉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접혀지고 고정될 수 있다. 하단부 플랩(B1)은 접는선(F1)을 따라 주 패널(110)에 힌지연결되며, 하단부 플랩(B2)은 접는선(F2)을 따라 제 1 구획 측면 패널(170)에 힌지연결되며, 하단부 플랩(B3)은 접는선(F3)을 따라 제 2 구획 측면 패널(172)에 힌지연결되며, 하단부 플랩(B4)은 접는선(F4)을 따라 제 3 구획 측면 패널(174)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상단부 플랩(T1)은 접는선(F5)을 따라 주 패널(110)에 힌지연결되며, 상단부 플랩(T2)은 접는선(F6)을 따라 제 1 구획 측면 패널(170)에 힌지연결되며, 상단부 플랩(T3)은 접는선(F7)을 따라 제 3 구획 측면 패널(174)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가장자리 플랩(178)은 접는선(188)을 따라 상단부 플랩(T1)에 힌지연결되어 있다.
블랭크(100)로부터 물품 캐리어(200)를 조립하는 것은 후술하는 접는 조작으로 달성될 수 있다. 접는 조작은 자동조립기계 및,또는 수동으로 실시될 수 있다. 조립공정을 실시하는 방법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각 단계는 제조 요구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단계를 추가하거나 또는 생략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 재료의 표면은 테이프, 스태플, 상호록킹 폴드, VELCRO ®, 아교 또는 다른 접착제,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캐리어(200)의 넥 수용 구조를 형성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따르면, 접착제는 보강 패널(130)에 도포되며, 또한 보강 넥 링(140)에 도포된다. 블랭크(100)는 접는선(132)을 따라 접혀지며, 따라서 보강 패널(130)은 주 패널(110)에 고정되며, 보강 넥 링(140)은 주 넥 링(120)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주 패널(110)의 보강 또는 복합부(110/130)가 형성되며, 복합 넥 링(120/140)이 형성된다.
물품 캐리어(200)의 예시적인 베이스 수용 구조(250)를 형성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따르면, 접착제는 가장자리 플랩(156)의 내측면에 도포된다. 그 후, 블랭크(100)는 접는선(162)을 따라 접혀지며, 따라서 가장자리 플랩(156)의 내측면은 주 패널(110)과 평면접촉하며 고정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 수용 구조(250)의 베이스 패널은 물품 캐리어(200)의 적재 및 선적이 용이한 평면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수용 구조(250)는 관형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패널이 서로로부터 떨어져 끌어당겨질 때, 도 2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태로부터 기립될 수 있다. 각각의 상부 및 하부 베이스 패널(154, 150)은 각각의 측면 베이스 패널(152)과 주 패널(110)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예시적인 구획(270)을 형성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따르면, 가장자리 플랩(176)은 접는선(186)을 따라 접혀지며, 따라서 가장자리 플랩(176)의 내측면은 제 3 구획 측면 패널(174)의 내측면과 평면접촉한다. 접착제는 가장자리 플 랩(176)의 외측면에 도포된다. 그 후, 블랭크(100)는 접는선(182)을 따라 접혀지며, 따라서 가장자리 플랩(176)의 외측면은 주 패널(110)과 평면접촉하며 고정된다. 그 후, 구획(270)의 구획 패널은 물품 캐리어(200)의 적재 및 선적이 용이한 평면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구획(270)은 관형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패널이 서로로부터 떨어져 끌어당겨질 때, 도 2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태로부터 부분적으로 기립될 수 있다. 각각의 제 1 및 제 3 구획 측면 패널(170, 174)은 각각의 제 2 구획 측면 패널(172)과 주 패널(110)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또한, 하단부 플랩(B1, B2, B3, B4)은 하단부 밀봉 구조체(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접혀져 고정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단부 플랩(T1, T2, T3)은 상단부 밀봉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접혀져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물품 캐리어(200)는 예시적인 물품(300)을 수용하고 고정하고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인 물품(300)은 헤드 또는 상부(310), 베이스(320) 및 상기 상부(310)를 베이스(320)에 연결하는 넥(330)을 갖는다. 상부(310)와 베이스(320) 양쪽은 넥(330) 보다 더 큰 치수를 갖는다.
물품 캐리어(200)내의 물품(300)을 수용하고 고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기술한다. 도 2 - 도 4를 참조하면, 물품(300)은 물품(300)의 베이스(320)가 개구부(168)를 통해 삽입될 때 베이스 수용 구조(250)내에 수용되며, 하부 베이스 패널(150)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베이스 수용 구조(250)는 물품(300)이 베이스 수용 구조내에 수용될 때 기립 상태로 유지된다. 물품(300)은 복합 넥 링(120/140)이 단절선(122, 142)를 따라 주 패널(110)의 복합부(110/130)로부터 부분적으로 탈락 되고 물품(300) 쪽으로 접는선(124, 144)을 따라 접혀질 때 추가적으로 고정된다. 복합 넥 링(120/140)이 물품(300)을 접촉할 때 또는 접촉하기 전에, 복합 넥 링(120/140)은 슬릿(128/148)을 따라 쪼개지거나 또는 두 갈래로 나누어지며, 따라서 복합 넥 링(120/140)은 2개의 만곡 암(curved arm)(A1, A2)을 제공하며, 암의 말단 단부는 슬릿(128/148)에 의해 형성된다.
복합 넥 링(120/140)은 물품(300) 쪽으로 더 접혀지며, 따라서 물품(300)의 넥(330)은 서로로부터 암(A1, A2)을 편향시키거나 또는 분리시키도록 정합된 슬릿(128/148)을 통해 밀려지며, 이에 의해 넥(330)을 통하여 암(A1, A2) 사이에 형성된 통로가 개구부(126/146)내로 도입될 수 있다. 물품(300)의 넥(330)이 개구부(126/146)내에 수용되면, 암(A1, A2)은 그들 자신의 탄성에 의해 넥(330)을 둘러싸도록 서로 밀접하게 된다. 그 후, 물품(300)은 물품 캐리어(200)내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된다.
물품(300)의 상부(310) 및 베이스(320)의 치수는 개구부(126/146)의 크기 보다 더 크며, 따라서 상부(310)도 베이스(320)도 개구부(126/146)를 통해 슬라이딩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도입 수단은 단절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부(126/146)와 복합 넥 링(120/140)의 자유 외부 가장자리 양쪽을 개방시키는 갭, 슬롯, 노치 등과 같은 절개부(cutout)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물품 캐리어 블랭크(400)의 절개부의 예는 각각 절개부(428, 448)를 갖는 한쌍의 넥 링(420, 440)이 제공된 것을 도시한다. 링(420, 440)이 함께 고정되는 경우, 얻어진 복합 링(420/440)은 물품(300)의 넥(330)의 가로방향 크기 또는 직경 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폭을 갖는 단일 절개부(428/448)를 제공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주 패널(110)의 복합부(110/130)의 평면으로부터 복합 넥 링(120/140)을 접는 것은 물품 캐리어(200)를 이송하기 위한 핸들로써 사용되는 복합부(110/130)내의 개구부(H)를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부(H)는 물품(300)에 의한 방해 없이 개구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개구부(H)의 일부(P)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300)의 넥(330)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물품은 예를 들면 구획(270)내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원통형일 수 있다. 다른 소정 실시예에 있어서, 구획(270)은 생략될 수 있다. 물품 캐리어는 다수의 물품을 해제가능하게 맞물기 위한 다수의 넥 수용 구조 및 베이스 수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접는선(fold line)"은 서로에 대해 블랭크의 접는 부분을 용이하게 하고 또는 블랭크에 대한 최적 패널 접는위치를 나타내는 블랭크의 힌지 특성을 형성하는 모든 선 방식에 관한 것이다. 접는선은 전형적으로 새김눈선(scored line), 양각선(embossed line) 또는 음각선(debossed line)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취약선(frangible line), 절취선(tear line) 및 단절선(severance line)"은 서로에 대해 기재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또는 최적 패널 분리위치를 나타내는 모든 선 방식에 관한 것이다. 단절선, 절취선 및 취약선은 약화선(weakened line), 절개선(cut line) 또는 슬릿(slit)일 수 있다.
취약선, 절취선, 단절선 및 접는선은 천공, 천공선, 짧은 슬릿선, 반절개선, 단일 반절개, 절개선, 단속 절개선, 슬릿, 새김눈, 이들의 임의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블랭크의 기재내에 형성된 구성요소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소망 기능을 제공하는 치수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공선(line of perforation)은 접는선 및,또는 단절선을 형성하기 위한 취약도로 설계될 수 있다. 천공선은 접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찢어짐을 방지하고, 접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힘들게 찢어지거나 또는 쉽게 찢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한적으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대해 기술되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부", "베이스", "하부", "단부", "측면", "내부", "외부", "상부", "중간", "하부", "정면" 및 "후방"과 같은 방향은 카톤의 각각의 벽의 방향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서로로부터 이들 벽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힌지 연결부는 단일 힌지만을 포함하는 결합에 관한 필요로써 구성된 것이 아니며, 힌지 연결 재료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잠재적인 이질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는 힌지 연결부를 구상할 수 있다.
전술한 사항은 본 발명의 주안점을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설정된 적용을 단지 예시적인으로 기술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변경, 변형 및 조합이 가능하다. 이러한 모든 변경, 변형 및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특허청구범위내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물품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평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물품 캐리어의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블랭크 110 : 주 패널
120 : 주 넥 링 122, 142 : 단절선
126, 146 : 넥 수용 개구부 130 : 보강 패널
140 : 보강 넥 링 150 : 하부 베이스 패널
152 : 측면 베이스 패널 154 : 상부 베이스 패널
168 : 베이스 수용 개구부 170 : 제 1 구획 측면 패널
172 : 제 2 구획 베이스 패널 174 : 제 3 구획 측면 패널

Claims (6)

  1. 베이스, 상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부를 연결하는 넥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상부를 포함하는 물품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물품 캐리어에 있어서,
    주 패널;
    상기 주 패널에 부착되며, 상기 물품의 베이스를 수용하는 베이스 수용 구조;
    상기 물품의 넥을 맞무는 맞물림 플랩을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플랩은 상기 주 패널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주 패널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맞물림 플랩은 상기 넥을 맞물지 않을 때 그대로 놓여지는 초기 평면 상태를 형성하며,
    상기 맞물림 플랩은 넥 수용 개구부 및 상기 맞물림 플랩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초기 평면 상태로부터 변위되어 상기 넥이 상기 넥 수용 개구부내로 도입되는 통로를 개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플랩은 상기 주 패널내에 핸들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캐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수단은 상기 넥 수용 개구부로부터 상기 맞물림 플랩의 자유 가장자리로 연장하는 단절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캐리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플랩은 접는선을 따라 상기 주 패널의 상부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접는선으로부터 상기 넥 수용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위치에 배치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캐리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수단은 상기 넥 수용 개구부와 상기 맞물림 플랩의 양쪽을 개방시키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캐리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넥의 최소 가로방향 크기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캐리어.
KR1020080033512A 2007-04-17 2008-04-11 넥 유지 기능을 구비한 물품 캐리어 KR200800938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1229407A 2007-04-17 2007-04-17
US60/912,294 2007-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881A true KR20080093881A (ko) 2008-10-22

Family

ID=4014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512A KR20080093881A (ko) 2007-04-17 2008-04-11 넥 유지 기능을 구비한 물품 캐리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285230A (ko)
KR (1) KR20080093881A (ko)
CN (1) CN1013810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9013191A (es) * 2017-06-06 2020-01-13 Procter & Gamble Sistema de envase para producto de cuidado perso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85230A (ja) 2008-11-27
CN101381020A (zh)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4089B2 (en) Carton for packaging articles, blank and method for forming same
US20180141734A1 (en) Carton and carton blank
EP2361200B1 (en) Carrier for containers
KR101618479B1 (ko) 카톤용 체결 메커니즘
KR20150013769A (ko) 카톤 및 카톤 블랭크
US11084638B2 (en) Carton with tamper resistant features
US20150225155A1 (en) Carton and carton blank for forming a carton
AU2014260121B2 (en) Carton and carton blank
US20160130060A1 (en) Carton and carton blank
US20170225859A1 (en) Carton and carton blank and a handle structure therefore
CA2386594C (en) Carton and carton blank
US20120279961A1 (en) Dispensing container
EP3222552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EP3710376B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11192702B2 (en) Carton and carton blank
US20090008437A1 (en) Carton and Carton Blank with Access
KR20080093881A (ko) 넥 유지 기능을 구비한 물품 캐리어
US20220250820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20160122070A1 (en) Carton, carton blank and handle structure therefor
WO2015021351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articles from a carton
US20240067390A1 (en) Divider Construct For Cartons,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30034920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US20230032095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WO2010019870A1 (en) Clip style article carrier
US20220258941A1 (en) Carton and blank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