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137A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137A
KR20080092137A KR1020070035622A KR20070035622A KR20080092137A KR 20080092137 A KR20080092137 A KR 20080092137A KR 1020070035622 A KR1020070035622 A KR 1020070035622A KR 20070035622 A KR20070035622 A KR 20070035622A KR 20080092137 A KR20080092137 A KR 20080092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key
input
vowel
con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민
이진원
이민학
안신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2137A/en
Publication of KR20080092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1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seek the convenience of users in inputting Hangul by implementing a key input part which comprises consonant keys, vowel keys, and a function key to execute additional stroke input and fortis conversion input. A mobile terminal(1) comprises a display part(120), a key input part(110), and a control part(100). The key input part comprises consonant keys to input consonants, vowel keys to input vowels, and a function key to execute additional stroke input and fortis conversion input on the basis of inputted consonants and vowels. Based on the consonant keys, the vowel keys, and the function key, the control part displays inputted letters through the display part. 'Giyeok', 'nieun', 'mieum', 'siot', and 'ieung' respectively are allocated to the consonant keys. Among the vowel keys, 'i' and 'eu' are allocated to the first vowel key. 'A' and 'eo' are allocated to the second vowel key. 'O' and 'u' are allocated to the third vowel keys.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키입력부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to 4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the key input unit of FIG. 1.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문자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haracter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of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이동통신 단말기 100...제어부1.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control unit

110...키입력부 120...디스플레이부110 Key input unit 120 Display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 입력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hen inputting Hangul.

근래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개인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거나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메시지를 직접 작성하는 경우에, 메시지의 작성이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개인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Recently, personal portable multimedia devices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a function of storing or transmitting a message written or received by a user. In particular, when a user directly composes a messag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o facilitate the preparation of the message has become an important element in a personal portable multimedia device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한 개인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휴대성 때문에 컴퓨터의 키보드와 달리 숫자 및 문자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의 키의 개수가 한정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키입력부는 4X3 매트릭스 형태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키입력부의 키의 개수는 12개에 불과하게 되며, 숫자 및 문자 등의 메시지 작성시 어떠한 방식으로 12개의 키들을 조합하여 숫자 및 문자 등을 입력하느냐가 문제가 된다. 특히, 키입력부에서 한글 입력시 한글의 자음키들, 모음키들 및 특수 기능키들의 배치, 동작 및 기능 등이 중요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personal portable multimedia devices,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due to its portability, the number of keys of the key input unit that can directly enter numbers and letters, unlike the keyboard of a computer is limited. For example, a key input unit commonly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as a 4 × 3 matrix. In this case, the number of keys of the key input unit is only twelve, and the method of inputting numbers and letters by combining the twelve keys in creating a message such as numbers and letters becomes a problem. In particular, the arrangement, operation, and function of consonant keys, vowel keys, and special function keys of Hangul become important when inputting Hangul in the key input unit.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한글입력을 할 수 있도록, 자음키들과 모음키들에 기초하여 획이 추가된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거나 입력된 자음을 쌍자음으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기능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other objects, inputting consonant or vowel with consonant keys or vowels based on consonant keys and vowel keys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input Hangu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function key for converting and inputting a consonant into a consonan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된 자음을 입력하는 자음키들, 자판된 모음을 입력하는 모음키들, 및 입력된 자음 또는 모음에 기초하여 획 추가 입력과 쌍자음 변환 입력을 수행하는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자음키들, 모음키들 및 기능키에 기초하여 문자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aired with a stroke addition input based on a display unit, consonant keys for inputting a consonant consonant, vowel keys for inputting a consonant vowel, and input consonants or vowels for Korean input. A key input unit including a function key for performing consonant conversion input,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haracter to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consonant keys, vowel keys and function key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키입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1)는 디스플레이부(120), 키입력부(110) 및 제어부(100)와 함께 무선통신부(150), 음향처리부(130) 및 메모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 key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of FIG. 1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a sound processor 130, and a memory unit 140 together with a display unit 120, a key input unit 110, and a control unit 100. ) May be further included.

디스플레이부(120)는 동작 제어를 위한 메뉴, 통화 중 상대방의 신호 수신 상태 및 배터리 정보, 및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 등이 표시되며, 특히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 동작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ELD(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The display 120 displays a menu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signal reception status and battery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during a call,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by the user. Acts as a display that displays the characters entered. The display unit 12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ELD), an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키입력부(130)는 숫자키, 방향키, 기능키, 문자키(자음키, 모음키), 특수키, 통화키나 통화 종료키 등 다수의 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누른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동작 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키입력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에 일체로 장착된 키패드로 구성되는 것일 일반적이겠으나,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목되고 있는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 휠마우스 뿐만 아니라 향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목 가능한 여러 입력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key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s such as numeric keys, direction keys, function keys, character keys (consonant keys, vowel keys), special keys, call keys or call termination keys, and signals corresponding to keys pressed by the user.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00 to input the user's operation command and the like. The key input unit 110 may be generally configured as a keypad integrally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but may be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d a wheel mouse that are currently being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input means.

제어부(100)는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무선통신부(150)를 제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로 신호가 송수신되는 바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부(120) 등을 제어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받거나, 키입력부(110)의 동작에 기초하여 문자, 숫자 등을 디스플레이부(120)가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한다.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unit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to control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also provides the communication service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1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Or display,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110, a letter, a number, or the like.

무선통신부(150)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안테나에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주는 듀플렉서 필터,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 송신 경로의 주파수 상향 변환회로, 수신 경로의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등을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provides an interfa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 duplexer filter for separa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from an antenna, a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a transmission signal, a frequency upconversion circuit of a transmission path, and a reception path. Frequency down conversion circuit, and the like.

음향처리부(130)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거나,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한다.The sound processor 130 amplifies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0 and outputs the sound signal to the speaker, or converts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sound signal to the controller 100.

메모리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의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및 사용자가 저장하기를 원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부(140)에는 키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등의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140 stores programs or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various data that the user wants to store. In particular, the memory 140 may store codes such as letters and number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0.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키입력부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문자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to 4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the key input unit of FIG. 1,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aracter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FIG. 1.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키입력부(110)는 문자, 특히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자음키들(220,320,420), 모음키들(230,330,430) 및 기능키(240,340,4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음키들(220,320,420)은 자판된 자음을 입력하기위해 사용되며, 모음키들(230,330,430)은 자판된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 며, 기능키(240,340,440)는 자음키들(220,320,420) 및 모음키들(230,330,430)과 함께 사용되어 자음키들(220,320,420) 및 모음키들(230,330,430)에 자판되지 않는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Referring to FIGS. 2 to 5, the key input unit 110 may include consonant keys 220, 320, 420, vowel keys 230, 330, 430, and function keys 240, 340, 440 for inputting characters, particularly Korean. Consonant keys (220, 320, 420) are used to input the keyboard consonants, vowel keys (230, 330, 430) are used to input the keyboard vowels, function keys (240, 340, 440) are consonant keys (220, 320, 420) and vowel keys (230, 330, 430) It is used together with the consonant keys 220, 320 and 420 and the vowel keys 230, 330 and 430 to input consonants or vowels that are not keyboarded.

본 발명에서는 1개의 기능키를 사용하여 획 추가 입력과 쌍자음 변환 입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획 추가시와 쌍자음 변환시 서로 다른 기능키들을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oke addition input and the double consonant conversion input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by using one function key, so that the trouble of using different function keys when adding the stroke and converting the twin consonants can be solved. You can do it.

여기서, 기능키(240,340,440)의 획 추가 입력 기능과 쌍자음 변환 입력 기능은 기능키(240,340,440)의 동작 시간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키(240,340,440)의 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 제어부(100)는 획 추가 입력 기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기능키(240,340,440)의 동작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제어부(1)는 쌍자음 변환 입력 기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stroke addition input function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and the double consonant conversion input function may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time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440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stroke additional input func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 operation time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440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 ) May be determined to perform the di-consonant conversion input function.

또한, 기능키(240,340,440)의 획 추가 입력 기능과 쌍자음 변환 입력 기능은 기능키(240,340,440)의 동작 횟수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키(240,340,440)의 동작 횟수가 소정 횟수 미만인 경우 제어부(100)는 획 추가 입력 기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기능키(240,340,440)의 동작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제어부(1)는 쌍자음 변환 입력 기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능키의 상세한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troke addition input function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and the double consonant conversion input function may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stroke additional input func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controller 1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biconversion conversion input function is performed.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function key will be described later.

키입력부(110) 중 모음키들(230,330,430)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제1 모음키에 'ㅣ', 'ㅡ'가 함께 자판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음키에는 'ㅏ', ' ㅓ'가 제3 모음키에는 'ㅗ', 'ㅜ'가 함께 자판될 수 있다. 상기 모음키들(230,330,430)에는 각각 2 개의 모음이 자판될 수 있으며, 각 모음키에 2 개의 모음이 자판되는 경우에, 모음키의 동작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따라 2 개의 모음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음키가 1회 동작한 경우에 제어부(100)는 'ㅏ'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모음키가 2회 동작한 경우에 제어부(100)는'ㅓ'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모음키가 눌러지는 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 미만이면 제어부(100)는'ㅏ'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 시간 이상이면 제어부(100)는 'ㅓ'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e vowel keys 230, 330, and 430 of the key input unit 110, 'ㅣ' and 'ㅡ' may be keyboarded together in the first vowel key as shown in FIGS. 2 to 4. Also, 'ㅏ' and 'ㅓ' may be printed on the second vowel key, and 'ㅗ' and 'TT' may be printed together on the third vowel key. Two vowels may be typed on the vowel keys 230, 330, and 430, respectively. When two vowels are typed on each vowel key, one of two vowels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or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vowel key. Can be. For example, when the second vowel key is operated once,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ㅏ' is input, and when the second vowel key is operated twice,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ㅓ' is inpu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nput. As another example, when the operation time for which the second vowel key is pressed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ㅏ' is input, and if it is long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ㅓ' is input. Can be.

한편, 제1 모음키에도 2개의 모음이 자판되어 있으나, 이미 키입력부(110)를 통해 'ㄱ', 'ㄴ', 'ㄷ', 'ㄸ', 'ㅇ', 'ㅆ', 'ㅎ' 으로 이루어진 제1 자음군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먼저 입력된 경우에, 제1 모음키를 통해 입력되는 모음은 도 5와 같이'ㅣ', 'ㅡ', 'ㅢ' 가 된다. 상기 3 개의 모음 중 어느 하나의 선택 방법은 제1 모음키의 동작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제1 모음키가 1회 동작한 경우에 'ㅣ'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모음키가 2회 동작한 경우에 'ㅡ'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모음키가 3회 동작한 경우에는 'ㅢ'가 입력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00)는, 제1 모음키가 눌러지는 동작 시간이 제1 소정 시간 미만이면 ㅣ'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소정 시간 이상이고 제2 소정 시간 미만이면 'ㅡ'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소정 시간 이상이면, ㅢ'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제1 모음키의 동작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기초한 상기 3 개의 모음의 입력 순서는 'ㅣ', 'ㅡ', 'ㅢ'순서일 수 있으나, 다양한 설정에 의해 조정 가능할 것이다. Meanwhile, two vowels are also keyboarded on the first vowel key, but are already 'a', 'b', 'c', 'ㄸ', 'ㅇ', 'ㅆ', 'ㅎ'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0. When any one consonant among the first consonant groups consisting of the first vowels is input, the vowels input through the first vowel key become 'ㅣ', 'ㅡ', and 'ㅢ' as shown in FIG. 5. The selection method of any one of the three vowels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on time or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first vowel key. For example,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ㅣ' is input when the first vowel key is operated once, and determines that 'ㅡ' is input when the first vowel key is operated twice. When the first vowel key is operated three times, 'ㅢ' may be input.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hat the input is performed when the operation time for which the first vowel key is pressed is less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is input. May be determined to be input, and if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it may be determined that ㅢ 'is input. The order of input of the three vowels based on the operation time or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first vowel key may be 'ㅣ', 'ㅡ', 'ㅢ' order, but may be adjusted by various settings.

상기 제1 자음군에 속하지 않는 자음이 먼저 입력된 경우에는, 제1 모음키를 통해 입력되는 모음은 도 5와 같이 'ㅣ', 'ㅡ'가 된다. 이 경우는 제2 모음키 및 제3 모음키와 유사하게, 제1 모음키의 동작 횟수 또는 동작 시간에 기초하여 2 개의 모음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동작 횟수 또는 동작 시간에 따른 구체적인 예는 생략한다.When a consonant not belonging to the first consonant group is first inputted, the vowel input through the first vowel key becomes 'ㅣ' and 'ㅡ' as shown in FIG. 5. In this case, similar to the second vowel key and the third vowel key, one of the two vowels is selected based on the number of operations or the operation time of the first vowel key. Specific exampl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s or the time of operation are omitted.

상기 모음키들(230,330,430)의 동작에 의해 'ㅣ', 'ㅡ', 'ㅢ', 'ㅏ', 'ㅓ', 'ㅗ', 'ㅜ'가 입력된다. 그 외의 모음들은 상기 모음키들(230,330,430)과 상기 기능키(240,340,440)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 특히, 상기 기능키(240,340,440)의 획 추가 기능을 통해 'ㅏ'-> 'ㅑ', 'ㅓ'-> 'ㅕ', 'ㅗ' -> 'ㅛ', 'ㅜ' -> 'ㅠ'가 입력된다. 그 밖의 복모음들 예를 들어, 'ㅔ', 'ㅖ' 등은 모음키들(230,330,430)의 조합 또는 모음키들(230,330,430)과 기능키(240,340,440)의 조합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By the operation of the vowel keys 230, 330, 430, 'ㅣ', 'ㅡ', 'ㅢ', 'ㅏ', 'ㅓ', 'ㅗ', 'TT' are input. Other vowels are input by the combination of the vowel keys 230, 330, 430 and the function keys 240, 340, 440. In particular, through the stroke addition function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440 'ㅏ'-> 'ㅑ', 'ㅓ'-> 'ㅕ', '가'-> 'ㅛ', 'TT'-> 'ㅠ' Is entered. Other double vowels, for example, 'ㅔ', 'ㅖ', etc. may be input by a combination of vowel keys 230, 330, 430 or a combination of vowel keys 230, 330, 430 and function keys 240, 340, 440.

상기와 같이 모음키들(230,330,430) 각각에 2 개의 모음들을 자판함으로써, 모음키들의 개수를 줄 일 수 있으며, 줄어든 모음키들에 다른 기능을 할당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 도모가 증대할 수 있게 된다. By typing two vowels on each of the vowel keys 230, 330, and 430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vowel keys can be reduced and other functions can be assigned to the reduced vowel keys,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키입력부(110) 중 자음키들(220,320,42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ㄱ', 'ㄴ', 'ㅁ', 'ㅅ', 'ㅇ', 'ㄹ'이 각각 자판될 수 있다. 상기 자음키 들(220,320,4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자음들이 입력되게 된다. 상기 6개의 자음들 이외의 자음들은, 자음키들(220,320,420)과 기능키(240,340,440)의 조합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The consonant keys 220, 320, and 420 of the key input unit 110 may have a 'b', 'b', 'ㅁ', 'ㅅ', 'o', and 'r' as shown in FIGS. 2 to 4, respectively. The consonants are input by the operation of the consonant keys 220, 320, and 420. Consonants other than the six consonants may be input by a combination of the consonant keys 220, 320, and 420 and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기능키(240,340,440)의 동작 시간에 따라 획 추가 입력 기능과 쌍자음 변환 입력 기능이 기능키(240,340,440)의 구별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기능키(240,340,440)의 획 추가 입력 기능에 의해, 'ㄱ'-> 'ㅋ', 'ㄴ' -> 'ㄷ' 또는 'ㅌ', 'ㅁ'-> 'ㅂ' 또는 'ㅍ', 'ㅅ'-> 'ㅈ' 또는 'ㅊ', 'ㅇ'-> 'ㅎ' 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ㅈ' 와'ㅊ', 'ㄷ' 와 'ㅌ'은 기능키(240,340,440)의 동작 횟수에 따라 구별되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기능키(240,340,440)의 쌍자음 변환 입력 기능에 의해, 'ㄱ'-> 'ㄲ', 'ㄷ'-> 'ㄸ', 'ㅂ'-> 'ㅃ', 'ㅅ'-> 'ㅆ', 'ㅈ'-> 'ㅉ' 이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ase where the stroke addition input function and the dipole conversion conversion input function are distinguished from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By the stroke additional input function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440, 'ㄱ'-> 'ㅋ', 'ㄴ'-> 'ㄷ' or 'ㅌ', 'ㅁ'-> 'ㅂ' or 'ㅍ', 'ㅅ' '->' ㅈ 'or' ㅊ ',' ㅇ '->' ㅎ 'can be entered. Here, 'ㅈ' and 'ㅊ', 'ㄷ' and 'ㅌ' may be in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In addition, the bi-conversion conversion function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440), 'ㄱ'-> 'ㄲ', 'ㄷ'-> 'ㄸ', 'ㅂ'-> 'ㅃ', 'ㅅ'-> 'ㅆ' , 'ㅈ'-> 'ㅉ' can be entered. This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able.

기능키 소정시간 미만으로 1회 동작Function key operates once less than the specified time 기능키 소정시간 미만으로 2회 동작Function key operates twice less than the specified time 기능키 소정시간 이상으로 1회 동작Function key Operates once over a predetermined time 기능키 소정시간 미만으로 1회 동작 & 기능키 소정시간 이상으로 1회 동작One time operation for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and one function key for one time or more A Lol N C M S H D

기능키(240,340,440)의 동작 횟수에 따라 획 추가 입력 기능과 쌍자음 변환 기능이 기능키(240,340,440)의 구별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기능키(240,340,440)의 제1회 동작에 의해, 'ㄱ'-> 'ㅋ', 'ㄴ' -> 'ㄷ', 'ㅁ'-> 'ㅂ', 'ㅅ'-> 'ㅈ', 'ㅇ'-> 'ㅎ' 이 입력될 수 있다. 기능키(240,340,440)의 제2회 동작에 의해, 'ㅋ'-> 'ㄲ', 'ㄷ'-> 'ㅌ', 'ㅂ'-> 'ㅍ', 또는 'ㅈ'-> 'ㅊ'이 입력될 수 있다. 기능키(240,340,440)의 제3회 동작에 의해, 'ㅌ'-> 'ㄸ', 'ㅍ'-> 'ㅃ', 'ㅊ'-> 'ㅆ'이 입력될 수 있다. 기능키(240,340,440)의 제4회 동작에 의해, 'ㅆ'-> 'ㅉ'이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ase where the stroke additional input function and the consonant conversion function are distinguished from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By the first operation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440, 'ㄱ'-> 'ㅋ', 'b'-> 'ㄷ', 'ㅁ'-> 'ㅂ', 'ㅅ'-> 'ㅈ', ' ㅇ '->' ㅎ 'can be entered. By the second operation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ㅋ'-> 'ㄲ', 'ㄷ'-> 'ㅌ', 'ㅂ'-> 'ㅍ', or 'ㅈ'-> 'ㅊ' Can be entered. By the third operation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ㅌ'-> 'ㄸ', '' '->' ㅃ ',' ㅊ '->' ㅆ 'may be input. By the fourth operation of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ㅆ'-> 'ㅉ' may be input. This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able.

기능키 1회 동작1 function key 기능키 2회 동작2 function keys 기능키 3회 동작3 function keys 기능키 4회 동작4 function keys A Lol N C M S H D

한편, 키입력부(110)는 자음키들, 모음키들 및 기능키에 숫자를 매칭할 수 있다. 매칭되는 숫자들은 '0'에서 '9' 까지 10개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6개의 자음키들(220,320,420), 3 개의 모음키들(230,330,430) 및 1 개의 기능키(240,340,440)를 10개의 숫자키들(210,310,410)에 일대일 매칭하여 배치할 수 있다. 6 개의 자음키들(220,320,420)에 상기의 'ㄱ', 'ㄴ', 'ㅁ', 'ㅅ', 'ㅇ', 'ㄹ'이 각각 자판될 수 있으며, 3개의 모음키들(230,330,430)에 'ㅣ'와'ㅡ', 'ㅏ'와'ㅓ', 'ㅗ'와'ㅜ'가 각각 자판될 수 있다. 여기서 1개의 기능키(240,340,4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음 또는 모음에 획을 추가하는 획 추가 입력 기능과, 소정의 자음을 쌍자음으로 변환하는 쌍자음 변환 입력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key input unit 110 may match numbers to consonant keys, vowel keys, and function keys. The matching numbers may be 10 from '0' to '9'. 2 to 4, six consonant keys 220, 320, 420, three vowel keys 230, 330, 430, and one function key 240, 340, 440 may be arranged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en numeric keys 210, 310, and 410. The six consonant keys 220, 320, and 420 may be printed with the above 'a', 'b', 'ㅁ', 'ㅅ', 'ㅇ', and 'ㄹ', respectively, and the three vowel keys 230, 330, 430 'Wah'-', 'ㅏ' and 'ㅓ', 'ㅗ' and 'TT' can be typed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one function key 240, 340, and 440 may perform a stroke addition input function for adding a stroke to a consonant or a vowel and a twin consonant conversion input function for converting a predetermined consonant into a twin consonant.

한편, 상기 모음키들은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입력부(110)의 각 키들의 배치를 4X3 매트릭스 형으로 하는 경우에,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모음키들(230,330)을 3열에 나란히 배치할 수 있으며, 도 4와 같이 모음키들(430)을 1행에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임키들을 연속하여 배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문자 입력시의 편의성이 증대된다.On the other hand, the vowel keys can be arranged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arrangement of the keys of the key input unit 110 is 4 × 3 matrix type, the vowel keys 230 and 33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ree columns as shown in FIGS. 2 to 3, and the vowel keys as shown in FIG. 4. 430 may be placed side by side in one line. When the gathering keys are arranged in this way, the user's convenience in inputting the characters is increased.

키입력부(110)의 각 키들의 배치는 원형, 4X3 매트릭스 형, 3X4 매트릭스 형 등 다양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키입력부(110)의 각 키들을 4X3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하는 경우에, 기능키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상기 매트릭스의 2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숫자키들(210,310,410)의 일부('1'이 자판된 숫자키 내지 '9'가 자판된 숫자키)를 정방형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기능키(240,340,440)를 2행 2열 ('5'가 자판된 숫자키)에 즉, 정방형 매트릭스의 중앙에 배치한다. 도 2에서는, 상기 기능키(240,340,440)를 4행 2열 ('0'이 자판된 숫자키)에 배치한다. 이러한 기능키의 배치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The arrangement of the keys of the key input unit 110 may be arranged in various ways such as circular, 4 × 3 matrix, and 3 × 4 matrix types. When the keys of the key input unit 110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4 × 3 matrix as shown in FIGS. 2 to 4,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unction keys, the keys may be arranged in any one of the two columns of the matrix. 3 and 4,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are arranged in two rows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numeric keys 210, 310, and 410 (the numeric keys on which '1' are keyed to the numeric keys on which '9' are keypaded) are arranged in a square. It is placed in two rows (number keys with '5' keyboard), ie in the center of the square matrix. In FIG. 2, the function keys 240, 340, and 440 are arranged in four rows and two columns (number keys having '0' written on them). By arranging such function keys, the user's convenience of operation is increased.

상기 키입력부(110)는 특수 문자 입력을 위한 특수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특수 문자 입력이란, 외국어 입력, 다양한 기호 입력(예를 들어 '!', '@', '&', '?'), 줄 바꾸기 입력, 칸 띄우기 입력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key input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special key for inputting a special character. Here, the special character input includes a foreign language input, various symbol inputs (for example, '!', '@', '&', '?'), A line feed input, and a space input.

키입력부(110)의 각 키들의 배치를 4X3 매트릭스 형으로 하는 경우에, 특수키는 상기 매트릭스의 4행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특수키의 개수는 1 개 내지 2 개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2 개의 특수키(250,350,450)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 배치는 '*'이 자판된 4행 1열과 '#'이 자판된 4행 3열에 하고 있다. When the arrangement of the keys of the key input unit 110 is in the form of a 4X3 matrix, the special key may be arranged in any one of the four rows of the matrix. Meanwhile, the number of special keys may be one to two. 2 to 4 show two special keys 250, 350 and 450, the arrangement of which is in four rows and one column with '*' and four rows and three columns with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may be appl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음키들, 모음키들, 및 획 추가 입력과 쌍자음 변환 입력을 수행하는 1 개의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를 구현함으로써 한글입력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음키 중 'ㅡ'와'ㅣ' 를 1 개의 모음키로 통합 구현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입력부가 상기 자음키들, 모음키들 및 기능키 외에 특수문자 입력을 위한 특수키들을 더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수문자 입력을 더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mplements a key input unit including consonant keys, vowel keys, and one function key for performing a stroke addition input and a double consonant conversion inpu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lanned. In addition, the integrated vowel keys 'ㅡ' and 'ㅣ' are implemented as one vowel ke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Korean. 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further includes special keys for inputting special characters in addition to the consonant keys, vowel keys, and function keys, so that a user may easily input special characters.

Claims (10)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된 자음을 입력하는 자음키들, 자판된 모음을 입력하는 모음키들, 및 상기 입력된 자음 또는 모음에 기초하여 획 추가 입력 및 쌍자음 변환 입력을 수행하는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 및A key including a consonant key for inputting a consonant consonant, a vowel key for inputting a consonant vowel, and a function key for performing stroke addition input and double consonant conversion input based on the input consonant or vowel for Hangul input An input unit; And 상기 자음키들, 모음키들 및 기능키에 기초하여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 character to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consonant keys, vowel keys, and a function ke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음키들 중 제1 모음키에는 'ㅣ'와 'ㅡ'가 함께 자판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first vowel key of the vowel keys 'ㅣ' and 'ㅡ' are keyboarded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음키들 각각에 'ㄱ', 'ㄴ', 'ㅁ', 'ㅅ', 'ㅇ', 'ㄹ'가 자판되고, 상기 모음키들 중 제1 모음키에 'ㅣ'와 'ㅡ'가, 제2 모음키에 'ㅏ'와 'ㅓ'가, 제3 모음키에 'ㅗ'와 'ㅜ'가 함께 자판되는 이동통신 단말기.'A', 'b', 'ㅁ', 'ㅅ', 'ㅇ', 'ㄹ' are each assigned to the consonant keys, and 'ㅣ' and 'ㅡ' are assigned to the first vowel key among the vowel key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ㅏ' and 'ㅓ' on the second vowel key and 'ㅗ' and 'TT' on the third vowel key.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ㄱ', 'ㄴ', 'ㄷ', 'ㄸ', 'ㅇ', 'ㅆ', 'ㅎ' 으로 이루어진 제1 자음군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모음키의 동작 횟수 또는 동작 시간에 기초하여 'ㅣ', 'ㅡ', ' ㅢ'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n any one consonant of the first consonant group consisting of 'ㄱ', 'B', 'ㄷ', 'ㄸ', 'ㅇ', 'ㅆ', and 'ㅎ'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he first consonant A mobile terminal for selecting any one of 'ㅣ', 'ㅡ', and 'ㅢ' based on the number of operations or the time of the vowel key.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자음군에 속하지 않는 자음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모음키의 동작의 동작 횟수 또는 동작 시간에 기초하여 'ㅣ', '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n a consonant not belonging to the first consonant group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any one of 'ㅣ' and 'ㅡ' based on the number of operations or the operation time of the operation of the first vowel key. .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기능키의 동작 시간 또는 동작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획 추가 입력과 쌍자음 변환 입력을 구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dividing consonant conversion input from the stroke addition input based on an operation time or an operation number of the function key.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모음키들은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vowel keys are arranged in succession in on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입력부의 각 키들은 4X3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기능키는 상기 매트릭스의 2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s of the key input unit are arranged in a 4 × 3 matrix form, and the function keys are arranged in any one of two columns of the matrix.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입력부는 특수문자 입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특수키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key input un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pecial key for inputting a special character.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키입력부의 각 키들은 4X3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특수키는 각각은 상기 매트릭스의 4행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Each key of the key input unit is arranged in the form of a 4X3 matrix, and the special keys are each arranged in any one of four rows of the matrix.
KR1020070035622A 2007-04-11 2007-04-11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800921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622A KR20080092137A (en) 2007-04-11 2007-04-11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622A KR20080092137A (en) 2007-04-11 2007-04-11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137A true KR20080092137A (en) 2008-10-15

Family

ID=4015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622A KR20080092137A (en) 2007-04-11 2007-04-11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213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154B1 (en) * 2009-04-29 2011-09-16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for inputing let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154B1 (en) * 2009-04-29 2011-09-16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for inputing let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1750B2 (en) Data input system with multi-directional pointing device
JPWO2008029492A1 (en) Input device
KR20080092137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80092138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370427B1 (en)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station
KR20070012265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directional key
KR100810316B1 (en) Method for inputting the letter and the letter arrangement on the keypad in wireless terminal
KR100415728B1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pecific key-buttons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KR19990007518A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8280B1 (en) Method for inputting the hangul alphabet
JP2008052686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378650Y1 (en)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KR100672343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thereof
KR100391577B1 (en) Direction-type character inputting device
KR100990242B1 (en) Keypad Assembly
US9035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ingle and dual key press keypad
KR10111163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922990B2 (en) Key input device
KR100686701B1 (en) Alphabet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48250B1 (en) Letter arrangement structure and letter input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163067A (en) Operation button for cellular phone and the like
KR19990075540A (en) Character input method in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72287A (en) Korean alphabet inpu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10047807A (en) method for inputting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using addition techniques.
KR200290468Y1 (en)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826

Effective date: 2009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