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123A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trolling an operation in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trolling an operation in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123A
KR20080092123A KR1020070035599A KR20070035599A KR20080092123A KR 20080092123 A KR20080092123 A KR 20080092123A KR 1020070035599 A KR1020070035599 A KR 1020070035599A KR 20070035599 A KR20070035599 A KR 20070035599A KR 20080092123 A KR20080092123 A KR 20080092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display unit
display
size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96968B1 (en
Inventor
민지영
송유미
정계숙
장진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968B1/en
Publication of KR2008009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1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9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use a touch screen more efficiently by adjusting the size of usable keys larger than those of un-usable keys, and to promote the user's convenience. A first display part(110) displays at least one object. A second display part(120) is a touch screen type display for displaying a navigation key for highlight display moving of the object. A control part adjusts the size of the direction keys for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object. The first display part is one of LCD(Liquid Crystal Display) and touch screen. The first and the second display part are divided into each display area on one touch screen, in case of touch screen. In case of arranging the objects to one direction, the control part adjusts the size of the direction keys corresponding to one direction to be larger than the direction keys not corresponding to one direction. The control part enlarges the size of up/down/right/left direction keys, in case of arranging the objects with grid style.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동작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trolling an operation in thereof}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trolling an operation in Technical Fiel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부의 방향키 크기 조절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direction key size adjustment of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부의 방향키 크기 조절 제어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4A to 4C are explanatory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direction key size adjustment of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부의 각종 키들의 크기 조절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size adjustment of various keys of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부의 각종 키들의 크기 조절 제어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6A to 6B are explanatory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size adjustment of various keys of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10 : 제1 표시부 120 : 제2 표시부110: first display unit 120: second display unit

130 : 메모리 140 : 방송 수신부130: memory 140: broadcast receiving unit

150 : 통신부 160 : 제어부150: communication unit 160: control uni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을 위한 다수의 키들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on which a plurality of keys are displayed for a user's terminal operation.

오늘날 정보통신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정보 및 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데, 그와 같은 변화 중 이동 단말기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품으로 생각되어질 만큼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Today, 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eld, there is a rapid change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among such changes, mobile terminals are being used as much as they are considered essential in modern society.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저변확대에 따른 수요자들의 요구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일반적 음성통화 이외에도 동영상 촬영 및 재생, 방송 재생, MP3 파일 재생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Due to the demand of consumer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mobile terminal, various functions such as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broadcast playback, and MP3 file playback are ad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the general voice call.

상기와 같이 이동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새로운 방식의 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을 위한 키들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표시부가 많이 탑재되고 있다.As various functions are added to the mobi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ovide a new type of input device to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ype display unit on which keys for operating the user's terminal are displayed.

일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형태가 슬라이드 방식의 단말기이면, 상기 슬라이드 단말기의 전면에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상태 및 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와, 상기에서 언급된 단말기 조작을 위한 키들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제2 표시부가 탑재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type of the mobile terminal is a slide type terminal,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 and information of a general terminal and a touch for displaying the keys mentioned above are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slide terminal. The second display portion of the screen type is moun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터치스크린 타입의 제2 표시부는 각 키들의 크기가 고정이 되어 있다.However, the size of each key is fixed to the second display unit of the touch screen type as described above.

때문에, 이동 단말기가 특정한 기능을 수행 시에 현재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키들과 사용 불가한 키들의 크기가 동일하여, 터치 스크린의 터칭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the keys available in the current state and the keys unavailable in the current state are the sam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use the touch area of the touch screen more efficiently.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을 위한 다수의 키들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가 현재 수행 중인 기능내에서 사용 가능한 키들을 사용 불가한 키들보다 크도록 조절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ing a plurality of keys for manipulating a terminal of a user so that the keys available within a func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are greater than the unusable keys.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operation control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표시되는 제1 표시부와; 상기 객체의 하이라이트 표시 이동을 위한 네비게이션 키가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제2 표시부와; 상기 객체의 정렬 방식에 상응하게 상기 네비게이션 키를 구성하는 방향키들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display unit on which at least one object is displayed; A second display unit of a touch screen type on which a navigation key for moving the highlight display of the object is displayed;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direction keys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in accordance with the alignment method of the object.

이때, 상기 제1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인 점이다. 만약, 상기 제1 표시부가 터치 스크린이면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상에 각각 표시 영역이 분할되는 점이다.In this case, the first display unit is any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touch screen. If the first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may be divided into display regions on one touch scree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들이 일 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 상기 방향키들 중 상기 일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키들의 크기가 상기 일 방향에 해당하지 않는 방향키들보다 크도록 조절하는 점이다.In addition, when the objects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the controller adjusts the size of the direction keys corresponding to the one direction among the direction keys to be larger than the direction keys not corresponding to the one direction.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들이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면 상/하 방향키들의 크기를 확대시키고, 상기 객체들이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면 좌/우 방향키들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점이다.That is, the controller enlarges the size of the up / down direction keys when the objects are aligned in the up / down direction, and enlarges the size of the left / right direction keys when the objects are aligned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들이 그리드(Grid) 스타일로 정렬되면, 상/하/좌/우 방향키들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점이다.In addition, when the objects are arranged in a grid style, the controller enlarges the size of the up / down / left / right arrow key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 표시를 위한 제1 표시부와, 상기 객체의 하이라이트 표시 이동을 위한 네비게이션 키가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제2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정렬 방식을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파악된 정렬 방식에 상응하게 상기 제2 표시부의 네비게이션 키를 구성하는 방향키들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bjec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of the touch screen type to display a navigation key for moving the highlight display of the object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identifying an alignment method of the objects; 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direction keys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of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alignment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이벤트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제1 표시부와;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가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제2 표시부와;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2 표시부에서 상기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키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event-related information; A second display unit of a touch screen type on which at least one key for a user's terminal operation is displayed; When the event occurs, the second display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key associated with the generated event.

이때, 상기 제2 표시부에는 상기 객체들의 하이라이트 표시 이동을 위한 네비게이션 키와,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각종 기능키들, 및 문자 입력을 위한 키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display unit displays at least one of a navigation key for moving the highlight display of the objects, various function keys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and keys for text input.

또한, 상기 이벤트는, 호 수신, 메시지 수신, 방송 재생, 음향 재생, 게임, 알람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인 점이다.The event may be at least one of cal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broadcast reproduction, sound reproduction, game, and alarm outpu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들 중에서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서 사용 가능한 키들의 크기를 사용 불가한 키들보다 크도록 조절하는 점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size of the keys available in the generated event among the keys to be larger than the unavailable key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은, 이벤트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제1 표시부와 단말기 조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가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제2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표시부에서 상기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키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event related information and a second display unit of a touch screen type displaying at least one key for operating the terminal;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occurs; If the event occurs, the second display unit comprises the step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key associated with the generated event.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에서 거론되는 이동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 MP3, PDA, 휴대폰,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PMP와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discu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terminals such as game machines, digital cameras, PMPs, as well as terminals capable of receiving digital broadcasts, MP3s, PDAs, mobile phones, and smart phones.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본 발명이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표시부(110)는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표시 장치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들이 표시되 고, 제2 표시부(120)에는 터치 스크린 타입으로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을 위한 키들이 표시된다.1 and 2,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a display device which is generally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The operation state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re displayed,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is touched. Keys for operating the user's terminal are displayed in the screen type.

이때, 상기 제1 표시부(110)는 상기 이동 단말기 상에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표시부(120)와 같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display unit 110 may be provid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on the mobile terminal, or may be provided in the same touch screen form as the second display unit 120.

바람직하게, 제1 표시부(110)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비되면,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상에 각각 표시 영역이 분할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display areas are divided on one touch screen.

또한, 제1 표시부(110)에는 복수의 객체들이 표시되는데 상기 객체라 함은 메뉴 목록, 전화번호 목록, 통화 목록, 메시지 목록, 그림 파일, 음성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의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 대상이 되는 소정 이미지 형상을 의미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objects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objects are objects to be processe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enu list, a phone number list, a call list, a message list, a picture file, a voice file, a video file, and the like. It means a predetermined image shape.

이때,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객체들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미리 세팅된 정렬 방식에 의해 표시된다. 일 예를 들면, 상기 정렬 방식은 상/하 스크롤 방식, 좌/우 스크롤 방식, 그리고 그리드(Grid) 스타일의 정렬 방식 등이 있다.In this case,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re displayed by an alignment method preset in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alignment method may include an up / down scroll method, a left / right scroll method, and a grid style alignment method.

즉, 제1 표시부(110)에 상기 객체들이 상/하 진행 방식으로 정렬되면, 사용자는 제2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키(121)의 방향키들 중 상/하 방향키를 터치하여 상기 객체들을 스크롤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objects are aligned in the up / down progress manner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the user touches the up / down direction keys among the direction keys of the navigation key 121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0. You can scroll through them.

다시 설명하면, 제2 표시부(120)에는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객체들의 커서 이동 또는 하이라이트 표시(Highlight Indication) 이동을 위한 방향키들로 구성된 네비게이션 키(121)가 표시된다.In other words, the second display unit 120 displays a navigation key 121 composed of direction keys for cursor movement or highlight indication movement of object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도 1에서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121)를 구성하는 방향키들의 형상을 상/하/좌/우 라인 형태로 표시되나, 본 발명에 따른 방향키들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를 들면, 상기 네비게이션 키(121)의 방향키들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형상이 될 수도 있고, 상기 네비게이션 키(121) 자체가 조그 다이얼, 휠, 저그 셔틀, 스크롤 형상이 될 수도 있다.In FIG. 1, the shape of the direction keys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121 is displayed in the form of up / down / left / right lines, but the shape of the direction ke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irection keys of the navigation key 121 may each have an arrow shape indicating a different direction, and the navigation key 121 itself may be a jog dial, a wheel, a jug shuttle, or a scroll shape.

또한, 도 1에서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121)를 구성하는 방향키들이 상/하/좌/우 방향 이동을 위한 키들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에 대한 방향키들의 방향을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direction keys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121 are illustrated as keys for moving in up / down / left / right directions in FIG. 1,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keys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ly defined. To do this.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키(121)의 주위에는 소정의 기능 실행을 위한 각종 키들(122)이 표시된다. 일 예를 들면, 상기 키들(122)은 메뉴 불러들이기, 취소, 및 이전으로 이동 등을 위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keys 122 for execut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re displayed around the navigation key 121. For example, the keys 122 may execute functions for loading a menu, canceling, moving back to the menu, and the like.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표시부(120)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121) 및 키들(122)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위한 숫자 키들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second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not only the navigation key 121 and the keys 122, but also numeric keys for text input of a user.

메모리(13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 프로그램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The memory 130 stores a predetermine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various data input and output when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방송 수신부(140)는 방송센터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신호를 역 다중화 및 복호한다.The broadcast receiver 140 receives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center and demultiplexes and decodes the broadcast signal.

통신부(150)는 제어부(160)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무선 변조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복조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modulate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6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base station or demodulates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baseband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60.

제어부(16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60)의 네비게이션 키(121)의 방향키 크기 조절 및 기능키 크기 조절에 대한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operation process for adjusting the direction key size and function key size of the navigation key 121 of the control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do.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부의 방향키 크기 조절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direction key size adjustment of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부의 방향키 크기 조절 제어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4A to 4C are explanatory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direction key size adjustment of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는, 제1 표시부(110)와 제2 표시부(120)가 서로 연동이 되어, 제1 표시부(110)에서 커서 및 하이라이트 표시의 이동이 가능한 방향을 제2 표시부(120)의 네비게이션 키(121)가 인디케이팅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display unit 110 moves the cursor and highlight displa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display unit ( The navigation key 121 of 120 indicates an indicator.

즉, 제어부(160)는 상기 네비게이션 키(121)를 구성하는 방향키들 중 상기 커서 및 하이라이트 표시의 이동이 가능한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키들의 크기를 각각 조절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size of the direction keys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sor and the highlight display can be moved among the direction keys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12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객체들의 정렬 방식을 파악하고(S301), 상기 파악된 객체들의 정렬 방식에 따라 상기 제2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키(121)를 구성하는 각 방향키들의 크기를 조절한다(S302).3 and 4,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an arrangement method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S301), and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arrangement method of the objects. The size of each direction key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121 displayed on 120 is adjusted (S302).

즉, 제어부(160)는 상기 객체들이 일 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 상기 방향키들 중 상기 일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키들이 상기 일 방향에 해당하지 않는 방향키들보다 크도록 크기를 조절한다.That is, when the objects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the controller 160 adjusts the size so that the direction keys corresponding to the one direction among the direction keys are larger than the direction keys not corresponding to the one direction.

이하 도 4A 내지 도 4C를 예를 들어, 상기 객체들의 정렬 방식에 따라 방향키들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direction keys according to the alignment method of the objec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1. 객체들의 정렬 방식이 상/하 스크롤 방식인 경우.1. When the object is aligned up or down.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된 객체들의 정렬 방식이 상/하 스크롤 방식이면, 상기 네비게이션 키(121)를 구성하는 방향키들 중에 상/하 방향키(121a)의 터치 인식 영역의 크기를 좌/우 방향키의 터치 인식 영역보다 확대시킨다.As shown in FIG. 4A, when the alignment method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an up / down scroll method, the controller 160 may move up / down arrow keys among the direction keys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121. The touch recognition area of 121a) is enlarged than the touch recognition area of the left and right arrow keys.

즉, 제1 표시부(110)의 정렬 방식이 상기 상/하 스크롤 방식일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키(121)를 구성하는 방향키들 중에 상/하 방향키(121a)가 좌/우 방향키보다 많이 사용이 된다.That is, when the alignment method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the up / down scroll method, the up / down direction keys 121a are used more than the left / right direction keys among the direction keys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121. .

때문에, 상기 상/하 방향키(121a)의 크기를 좌/우 방향키보다 크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제1 표시부(110)에서 커서 및 하이라이트 표시의 이동이 가능한 방향을 인디케이팅할 수도 있다.Therefore,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up / down direction keys 121a to be larger than the left / right direction keys, the user may be able to indicate a direction in which the cursor and highlight display can be mov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또한 상기 이동이 가능한 방향키들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오류 입력 수를 줄일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the size of the movable direction keys increases, the number of touch error inputs of the user may be reduced.

2. 객체들의 정렬 방식이 좌/우 스크롤 방식인 경우.2. When the objects are sorted by left / right scrolling.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된 객체들 의 정렬 방식이 좌/우 스크롤 방식이면, 상기 네비게이션 키(121)를 구성하는 방향키들 중에 좌/우 방향키(121b)의 터치 인식 영역의 크기를 상/하 방향키의 터치 인식 영역보다 확대시킨다.As shown in FIG. 4B, when the alignment method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a left / right scrolling method, the control unit 160 may use the left / right arrow keys among the direction keys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121. The touch recognition area of 121b is enlarged than the touch recognition area of the up / down arrow keys.

3. 객체들의 정렬 방식이 그리드 스타일 방식인 경우.3. The object is arranged in a grid style.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된 객체들의 정렬 방식이 그리드 스타일(Grid Style) 방식이면, 상기 네비게이션 키(121)를 구성하는 방향키들 중에 상/하/좌/우 방향키의 터치 인식 영역의 크기를 확대시킨다.As shown in FIG. 4B, when the alignment method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a grid style, the controller 160 may move up / down among the direction keys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121. Increases the size of the touch recognition area of the / left / right arrow keys.

만약, 상기 네비게이션 키(121)가 상/하/좌/우 방향키로만 구성되어 있으면, 제2 표시부(120)에서 기능키들(122)의 크기를 조금 축소시키고, 상기 상/하/좌/우 방향키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f the navigation key 121 includes only up / down / left / right direction keys, the size of the function keys 122 is slightly reduced in the second display unit 120 and the up / down / left / right direction keys It would be desirable to enlarge the size of.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부의 각종 키들의 크기 조절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size adjustment of various keys of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표시부의 각종 키들의 크기 조절 제어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6A to 6B are explanatory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size adjustment of various keys of the second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제어부(160)는 대기 상태에서(S501),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되면(S502), 상기 제2 표시부(120)에 표시된 키들(122) 중 상기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키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다(S503).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S502) in the standby state (S501), the generated event among the keys 122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0 is generated. It is to adjust the size of the key associated with (S503).

즉, 제어부(160)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제2 표시부(120)에 표시된 키들(122) 중 상기 발생된 이벤트 상에서 사용 가능한 키를 사용 불가한 키보다 크도록 조절하는 것이다.That is,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60 adjusts the key available on the generated event among the keys 122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o be larger than the unavailable key.

이때, 상기 이벤트는, 호 수신, 메시지 수신, 방송 재생, 음향 재생, 게임, 알람 출력 등의 상기 이동 단말기가 대기 상태(Standby)에서 사용자 또는 외부에 의해 해당 기능이 출력된 상태를 뜻한다.In this case, the event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 call reception, a message reception, a broadcast playback, a sound playback, a game, an alarm output, or the like is output by a user or an external user in a standby state (Standby).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예를 들어,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각종 키들의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6A and 6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various keys according to the type of event, for example.

1. 이벤트의 종류가 호 수신 이벤트일 경우.1. The type of event is a call reception event.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통신부(150)를 통해 현재 호가 수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표시부(120)의 키들(122) 중 호 수신 이벤트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이 되는 통화 연결 기능키(122a)와 통화 종료 기능키(122b)의 터치 인식 영역 크기를 여타의 기능키(도면에는 메뉴 기능키와, 이전으로 이동을 위한 기능키가 도시됨.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보다 크게 확대시킨다.As shown in FIG. 6A, when the current call reception event occur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controller 160 is the most frequently used call on the call reception event among the keys 122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he size of the touch recognition area of the connection function key 122a and the call termination function key 122b is set to other function keys (the menu function keys and the function keys for moving to the previous are shown in the drawing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Zoom in larger.

2. 이벤트의 종류가 메시지 수신 이벤트일 경우.2. The event type is a message receiving event.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통신부(150)를 통해 현재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표시부(120)의 키들(122) 중 메시지 수신 이벤트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이 되는 메시지 내용 확인 기능키(122c)의 터치 인식 영역 크기를 여타의 기능키(도면에는 메뉴 기능키와, 이전으로 이동을 위한 기능키, 및 종료 기능키가 도시됨.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보다 크게 확대시킨다.As shown in FIG. 6B, when the current message reception event occur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controller 160 uses the message most frequently used on the message reception event among the keys 122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he touch recognition area size of the contents confirmation function key 122c is larger than other function keys (the menu function key, the function key for moving to the previous, and the end function key are shown in the drawing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Zoom in.

3. 이벤트 종류가 방송 재생 이벤트일 경우.3. The event type is a broadcast play event.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방송 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방송 재생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표시부(120)의 키들(122) 중 방송 채널 변경을 위한 기능키(122d)와 방송 볼륨 조절을 위한 기능키(122e)의 터치 인식 영역 크기를 여타의 기능키보다 크게 확대시킨다.As illustrated in FIG. 6C, when a broadcast reproduction event for reproduc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er 140 occurs, the controller 160 broadcasts one of the keys 122 of the keys 122 of the second display unit 120. The touch recognition area size of the function key 122d for changing and the function key 122e for adjusting the broadcast volume is enlarged larger than other function keys.

4. 이벤트 종류가 게임 이벤트일 경우.4. The event type is a game event.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게임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표시부(122)의 키들 중 게임상에서 유닛 컨트롤을 위한 네비게이션 키(121)의 각방향키들의 크기를 여타의 기능키보다 크게 확대시킨다.As shown in FIG. 6D, when a game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60 sets the size of each direction key of the navigation key 121 for unit control in the game among the keys of the second display 122. Zoom in larger.

또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키들로 상기 게임 이벤트상의 유닛을 콘트롤할 경우, 제어부(160)는 상기 숫자 키들 중 상/하/좌/우 위치에 해당하는 2번, 8번, 4번 6번 키(122e)들의 크기를 여타의 숫자 키들보다 크게 확대시킨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e, when controlling the unit on the game event with the numeric keys, the control unit 160 is 2, 8, 4 corresponding to the up / down / left / right position of the number keys The size of the sixth key 122e is enlarged larger than the other numeric keys.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전술한 실시예들을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매우 용이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will be very easy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s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동작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을 위한 키들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가 현재 수행 중인 기능내에서 사용 가능한 키들을 사용 불가한 키들보다 크도록 조절하여, 터치 스크린의 터칭 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mobile terminal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on which keys for operating the terminal of the user are displayed is adjusted so that the keys available in the func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are larger than the unavailable keys. Thus, the touch area of the touch screen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Claims (12)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표시되는 제1 표시부;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object; 상기 객체의 하이라이트 표시 이동을 위한 네비게이션 키가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제2 표시부; 및A second display unit of a touch screen type on which a navigation key for moving the highlight display of the object is displayed; And 상기 객체의 정렬 방식에 상응하게 상기 네비게이션 키를 구성하는 방향키들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And a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direction keys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object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first display unit is any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touch scree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표시부가 터치 스크린이면, 상기 제1 및 제2 표시부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상에 각각 표시 영역이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If the first display unit is a touch scr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are divided into display regions on one touch screen,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들이 일 방향으로 정렬되는 경우, 상기 방향키들 중 상기 일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키들의 크기가 상기 일 방향에 해당하지 않는 방향키들보다 크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When the objects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ize of the direction keys corresponding to the one direction among the direction keys to be larger than the direction keys not corresponding to the one directio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들이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면 상/하 방향키들의 크기를 확대시키고, 상기 객체들이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면 좌/우 방향키들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enlarge the size of the up / down arrow keys when the objects are aligned in the up / down direction, and increase the size of the left / right arrow keys when the objects are aligned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들이 그리드(Grid) 스타일로 정렬되면, 상/하/좌/우 방향키들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control unit, when the objects are arranged in a grid (Grid) style,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increasing the size of the up / down / left / right direction keys. 적어도 하나의 객체 표시를 위한 제1 표시부와, 상기 객체의 하이라이트 표시 이동을 위한 네비게이션 키가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제2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first display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bject and a second display of a touch screen type to display a navigation key for moving the highlight display of the object, 상기 객체의 정렬 방식을 파악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n alignment method of the object; And 상기 파악된 정렬 방식에 상응하게 상기 제2 표시부의 네비게이션 키를 구성하는 방향키들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And adjusting the size of the direction keys constituting the navigation key of the second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identified alignment method. 이벤트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제1 표시부;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event related information;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가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제2 표시부; 및A second display unit of a touch screen type on which at least one key for a user's terminal operation is displayed; And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2 표시부에서 상기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키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a size of a key associated with the generated event in the second display unit when an event occurs.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2 표시부에는, 상기 객체들의 하이라이트 표시 이동을 위한 네비게이션 키와,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각종 기능키들, 및 문자 입력을 위한 키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second display unit, at least one of a navigation key for moving the highlight display of the objects, various function keys for executing a specific function, and keys for text input is displayed.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이벤트는, 호 수신, 메시지 수신, 방송 재생, 음향 재생, 게임, 알람 출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event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cal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broadcast playback, sound playback, game, alarm output.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들 중에서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서 사용 가능한 키들의 크기를 사용 불가한 키들보다 크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keys available in the generated event among the keys to be larger than the unavailable keys. 이벤트 관련 정보가 표시되는 제1 표시부와 단말기 조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키가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타입의 제2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event-related information and a second display unit of a touch screen type to display at least one key for operating the terminal,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Determining whether an event occurs; And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표시부에서 상기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키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And adjusting the size of a key associated with the generated event in the second display unit when the event occurs.
KR1020070035599A 2007-04-11 2007-04-1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trolling an operation in thereof KR1013969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599A KR101396968B1 (en) 2007-04-11 2007-04-1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trolling an operation i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599A KR101396968B1 (en) 2007-04-11 2007-04-1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trolling an operation i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123A true KR20080092123A (en) 2008-10-15
KR101396968B1 KR101396968B1 (en) 2014-05-20

Family

ID=4015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599A KR101396968B1 (en) 2007-04-11 2007-04-11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trolling an operation in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96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7917A1 (en) * 2009-08-14 2011-02-17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Quick 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content o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5576A (en) * 2004-03-23 2005-10-06 Clarion Co Ltd Electronic equipment, navigation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7917A1 (en) * 2009-08-14 2011-02-17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Quick 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content o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968B1 (en)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29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59564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receiving input in the mobile terminal
US8907977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multiple zon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267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ouch event in a portable terminal
US860511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13490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rganizing a menu screen therein
US979203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o display memo content
US814526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on the same
EP2330802B1 (en) Mobile terminal having an image projec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in
US856583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3D images thereon
EP2610760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10250930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1027539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1635767A (en) Menu display method of mobile terminal
US20120306780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17652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used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o record program for same
JP576608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40675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39696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trolling an operation in thereof
KR10170950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70183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80106711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shortcut key in thereof
JP2012238267A (en) Processor,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