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037A -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92037A KR20080092037A KR1020070035338A KR20070035338A KR20080092037A KR 20080092037 A KR20080092037 A KR 20080092037A KR 1020070035338 A KR1020070035338 A KR 1020070035338A KR 20070035338 A KR20070035338 A KR 20070035338A KR 20080092037 A KR20080092037 A KR 200800920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t
- display
- arm
- swivel
- lim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동작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좌향 스위블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개략도.2 is a schematic top view of a display positioning device performing a leftward swivel operation;
도 3은 우향 스위블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개략도.3 is a schematic top view of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performing a rightward swivel operation;
도 4는 틸트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개략도.4 is a schematic view from the left of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that performs a tilt operation;
도 5는 익스텐션(extension)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개략도.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n extension opera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자동 캘리브레이션(auto calibration)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6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performing an auto calibration function of a display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자동 중앙 정렬(auto centering)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7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erforming an auto centering function of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좌향 스위블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leftward swivel function of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우향 스위블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rightward swivel function of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틸트 다운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tilt down function of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틸트 업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erforming a tilt up func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extens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데모 동작 수행 방법의 순서도.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demo operation of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고정체10: fixture
20 : 암20: cancer
30 : 틸트부재30: tilt member
40 : 연결부재40: connecting member
50 : 디스플레이50: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 플레이 장치를 3차원 공간 상에서 회동 동작 및 틸트(tilt)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for enabling a display operation and a tilt operation in a three-dimensional space.
LCD, PDP, LED 등이 적용된 TV나 모니터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브라운관 TV나 모니터를 대체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이러한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두께가 얇은 박형 타입으로 독자적으로 직립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벽체에 거치하기 위한 걸이장치가 개발되고 있다.Flat panel displays such as TVs and monitors with LCDs, PDPs, and LED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narrow spaces efficiently, replacing CRT TVs and monitors, and the demand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However, since such a flat panel display cannot be erected independently by a thin type of thin type, a hook device for mounting it on a wall has been developed.
그러나, 평판형 디스플레이를 벽체에 거치하기 위한 종래의 걸이장치는 디스플레이가 단순히 벽체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어 사용자가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최적의 시청각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anger for mounting a flat panel display on a wall has a problem in that the display is simply fixed to the wall so that the user cannot maintain an optimal audiovisual as the user changes positions.
또한, 벽체와 디스플레이가 일정 거리이상 이격되어 있어야 벽체의 방해없이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데, 종래의 걸이장치는 벽체와의 이격거리가 거의 없거나 좁아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우며, 별도의 부재를 결합하여 TV를 벽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하더라도 별도의 부재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벽체로부터 돌출되어 벽체에 부착되어 미려한 외관을 가지며, 실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는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장점이 사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wall and the display should be spaced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to rotate the display in the desired direction without obstruction of the wall, the conventional hanger is difficul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display because the distanc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 is little or narrow, separate Even if the TV is separated from the wall by combining the members, the display protrudes from the wall by a separate member and is attached to the wall to have a beautiful appearance, and the advantage of the flat panel display that the indoor space can be used widely is lost.
또한, 디스플레이 등의 중량체를 자동으로 틸팅(tilting)하는 경우 중량체의 무게에 따라 적절한 동력원이 필요로 한다. 그러나, 대형의 디스플레이의 경우 그 무게가 40kg 이상이므로 이를 틸팅하기 위해서는 큰 용량의 동력원이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공간적인 제약이나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utomatically tilting a weight such as a display (tilting) requires an appropriate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weight. However, in the case of a large display, since its weight is more than 40 kg, a large capacity power source is required to tilt i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space constraints or cost increase.
또한, 디스플레이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의 규격, 수요자의 사용환경이나 요구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회동 자유도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걸이장치는 회동 자유도의 선택의 기회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for positioning the display should be able to select the degree of freedom of rotation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of the display, the user's use environment or requirement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hanger does not have the opportunity to select the degree of freedom of rot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벽체의 방해없이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 및 틸팅시켜 최적의 시청각을 유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maintaining an optimal audio visual angle by rotating and tilting a display in a desired direction without obstruction of a wall.
또한, 본 발명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및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그 동작 범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its operating range according to a display to be mounted and a place to be installed.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탈부착가능하고 벽체에 고정되어 장착된 디스플레이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positioning device that is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 display that is detachably mounted and fixed to a wall.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는, 고정체; 일단이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체에 힌지결합하는 암; 일단이 상기 암의 타단에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결합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 제3 힌지축을 중심으 로 힌지결합하고, 디스플레이의 탈부착이 가능한 틸트부재; 및 상기 암,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틸트부재 중 하나 이상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includes a fixture; An arm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fixture about a first hinge axis; A connecting member whose one end is hinged around the second hinge axis at the other end of the arm; A tilt member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about a third hinge axis and which is detachable from the display;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by controlling one or more rotations of the arm,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tilt member.
여기서, 상기 제1 힌지축과 상기 제2 힌지축은 평행하고, 상기 제3 힌지축은 상기 제1 힌지축 및 상기 제2 힌지축과 수직일 수 있다.Here, the first hinge axis and the second hinge axis may be parallel, and the third hinge axis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hinge axis and the second hinge axis.
또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wherein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현재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 전원 온과 함께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현재 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가 위치되도록 상기 암,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틸트부재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storage means for stor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display according to a user input. Here, the control unit may cause the arm,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tilt member to operate so that the display is positioned at a current posi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ogether with the operating power of the display.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따른 상기 암,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틸트부재의 동작 범위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범위 내에서 상기 암,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틸트부재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 범위는 미리 설정되거나 상기 틸트 부재에 탈부착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And memory means for storing an operating range of the arm,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tilt me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wherei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arm,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tilt member within the operating range. You can do that. Here, the operation range may be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display which is preset or detached to the tilt member.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힌지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1 내지 제3 힌지축의 회전 정도를 감지하는 회전 감지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hinge shafts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wherein the driving motor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ensing device configured to detect a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to third hinge shafts.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좌향 스위블 동작, 우향 스위블 동작, 틸트 다운 동작, 틸트 업 동작, 익스텐션 동작, 자동 중앙 정렬 동작, 자동 캘리브레이션 동작 및 데모 동작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상기 암,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틸트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arm,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tilt to perform at least one of a leftward swivel operation, a rightward swivel operation, a tiltdown operation, a tilt up operation, an extension operation, an automatic center alignment operation, an automatic calibration operation, and a demo operation. It can be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ember.
여기서, 상기 자동 캘리브레이션 동작 수행에 의해 상기 암,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틸트부재의 동작 범위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 중앙 정렬 동작 수행에 의해 상기 고정체와 상기 틸트부재 간의 이격 거리가 최소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익스텐션 동작 수행시 상기 암 및 상기 연결부재가 서로 연동 동작하여 상기 고정체가 고정된 벽체와 평행한 평면 상으로 상기 틸트부재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블 동작 및 상기 틸트 동작은 동시에 수행이 가능하다. Here, the operating range of the arm,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tilt member may be determined by performing the automatic calibration operation. In additi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xture and the tilt member may be minimized by performing the automatic center alignment operation. In addition, when the extension operation is performed, the arm and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allow the tilt member to move on a plane parallel to the wall on which the fixture is fixed. In addition, the swivel operation and the tilt opera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그리고 상기 틸트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의해 상기 암,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틸트부재의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tilt member to perform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display. The rotation of the arm,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tilt member may be controlled by a signal input through the display.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 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동작 사시도이다. 도 2는 좌향 스위블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개략도이며, 도 3은 우향 스위블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를 위에서 내려다본 개략도이고, 도 4는 틸트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며, 도 5는 익스텐션(extension)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를 포지셔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당업자는 이해해야 할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ion of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from above of a display positioning device performing a leftward swivel opera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from above a view showing a display positioning device performing a rightward swivel operation,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positioning device performing a tilt operation.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left side, and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that performs an extension operation. Hereinafter, the positioning of the display for convenience of clear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는 고정체(10), 암(arm)(20), 틸트부재(30), 연결부재(4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고정체(10)는 벽체 등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며, 암(20)은 일단이 고정체(10)에 제1 힌지축(M1)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제2 힌지축(M2)을 중심으로 연결부재(40)와 힌지결합된다. 틸트부재(30)는 연결부재(40)와 제3 힌지축(M3)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고, 틸트부재(30)에는 디스플레이(50) 등 소정 위치에 포지셔닝하고자 하는 기기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규격의 디스플레이(5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 힌지축(M1)과 제2 힌지축(M2)은 실질적으로 평행이며, 제2 힌지축(M2)과 제3 회전축(M3)은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includes a
틸트부재(30)는 제3 힌지축(M3)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어 틸트 다운(tilt down) 또는 틸트 업(tilt up)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장착된 디스플레이(50)의 상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다. The
각 힌지축(M1, M2, M3)은 모터의 회전축과 기어 결합된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력을 각 힌지축(M1, M2, M3)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된 암(20), 연결부재(40), 틸트부재(30)에 제공하여 회전 동작, 틸트 동작이 가능케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힌지축(M1)을 중심으로 암(20)이 소정 각도 내에서 전진 또는 후진 회전이 가능하고, 제2 힌지축(M2)을 중심으로 연결부재(40)가 소정 각도 내에서 전진 또는 후진 회전이 가능하며(도 2 및 3 참조), 제3 회전축(M3)을 중심으로 틸트부재(30)가 소정 각도 내에서 상하 틸팅이 가능하다(도 4 참조). 제1 힌지축(M1) 또는 제2 힌지축(M2)을 중심으로 암(20) 또는 연결부재(40)가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50)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고(도 5 참조), 제3 회전축(M3)을 중심으로 틸트부재(30)가 틸팅됨에 따라 디스플레이(5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도 4 참조). Each hinge shaft M1, M2, M3 is gear-coupled with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ccordingl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provided to the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힌지축(M1)에 결합된 모터를 암 스위블 모터, 제2 힌지축(M2)에 결합된 모터를 바디 스위블 모터, 제3 힌지축(M3)에 결합된 모터를 틸트 모터라 한다. 그리고 제1 힌지축(M1)을 중심으로 고정체(10)와 암(20)이 이루는 각도 중 작은 값을 암 기어 각(도 2의 S1), 제2 힌지축(M2)을 중심으로 암(20)과 연결부재(40)가 이루는 각도 중 작은 값을 바디 기어 각(도 2의 S2, S2', 도 3의 S2"), 제3 힌지축(M3)을 중심으로 연결부재(40)와 틸트부재(30)가 이루는 각도 중 작은 값을 틸트 각(도 4의 S3)이라 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 motor coupled to the first hinge shaft M1 may be an arm swivel motor, and a motor coupled to the second hinge shaft M2 may include a body swivel motor and a third hinge shaft M3. The motor coupled to the motor is called a tilt motor. And the small value of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암 스위블 모터가 정회전하는 경우 암 기어 각이 증가하고 역회전하는 경우 암 기어 각이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바디 스위블 모터가 정회전하는 경우 바디 기어 각이 감소하고 역회전하는 경우 바디 기어 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틸트 모터가 정회전하는 경우 틸트 각이 감소하고 역회전하는 경우 틸트 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It is assumed that the arm gear angle increases when the arm swivel motor rotates forward, and decreases when the arm swivel motor rotates. It is assumed that the body gear angle decreases when the body swivel motor rotates forward and the body gear angle increases when the body swivel motor rotates in reverse.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tilt angle decreases when the tilt motor rotates forward and the tilt angle increases when the tilt motor rotates in reverse.
암 스위블 모터, 바디 스위블 모터 및 틸트 모터는 제어부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어된다. 암 스위블 모터, 바디 스위블 모터 또는 틸트 모터 등의 구동 모터는 회전 감지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센서(hall sensor) 및 자성 체(magnet)을 구비하는 경우에, 홀 센서 또는 자성체 중 어느 하나는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다른 하나는 구동 모터의 하우징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홀 센서에서 감지하는 자성체로부터의 자속 변화로부터 해당 구동 모터의 회전 각도를 알 수 있으며, 제어부는 자성체 및 홀 센서에 의한 회전 각도를 피드백 받아 구동 모터의 회전 각도를 필요로 하는 만큼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구동 모터는 1개 이상의 기어가 결합된 기어 박스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을 적절하게 조정(감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rotation angle of the arm swivel motor, the body swivel motor and the tilt moto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he drive motor, such as an arm swivel motor, a body swivel motor, or a tilt motor,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ensing elem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having a hall sensor and a magnet, either the hall sensor or the magnet is coupled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e motor, and the other is coupled to the housing of the drive motor. Its position is fixed. In this case, the rotation angle of the corresponding driving motor can be known from the change of magnetic flux from the magnetic body detected by the Hall sensor,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rotation angles by the magnetic body and the Hall sensor and controls only the rotation angle of the driving motor as necessary. It is possible. Here, the drive motor is connected to the gear box coupled to one or more gears, serves to properly adjust (deceleration) the rotation of the motor.
이상에서는 회전 감지 소자로 홀 센서 및 자성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외에 자기 저항 소자,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자이로 시스템(gyro system) 등 구동 모터에 의한 회전축의 회전 정도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자가 이용가능함을 당업자는 이해해야 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Hall sensor and the magnetic material are described as examples of the rotation sensing element. In addition, various elements capable of detect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by the driving motor, such as a magnetoresistive element, a potentiometer, and a gyro system, are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it is available.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으로는 좌향 스위블(left swivel), 우향 스위블(right swivel), 틸트 다운(tilt down), 틸트 업(tilt up), 익스텐션(extension) 동작 등이 있다. An operation of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Basic operations of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include a left swivel, a right swivel, a tilt down, a tilt up, an extension operation, and the like.
(1) 좌향 스위블 동작(1) leftward swivel motion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체(10)와 암(20)은 일정한 암 기어 각 S1을 유지하고 있다. 암(20)과, 연결부재(40)(틸트부재(30)는 스위블 동작시 연결부재(40)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음) 사이의 최초 바디 기어 각은 S2를 유지하던 중(SS 위치) 바디 스위블 모터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제2 힌지축(M2)을 중심으로 연결부재(40)가 좌 향으로 스위블된다(LS 위치). 2, the fixed
바디 스위블 모터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연결부재(40)가 정방향 회전함으로써 틸트부재(3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50)가 좌향 스위블된다. 좌향 스위블 한계(LSL)는 디스플레이(50)가 벽체에 의해 더 이상 좌향 스위블될 수 없는 경우의 바디 기어 각을 의미하며, 디스플레이(5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진다. 또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구조적 한계에 의해 더 이상 좌향 스위블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The forward rotation of the body swivel motor rotates the connecting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향 스위블 동작시 제2 힌지축(M2)을 중심으로만 연결부재(40)가 회전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힌지축(M1)을 중심으로 암(20)이 정방향 회전할 수도 있고, 제1 힌지축(M1)과 제2 힌지축(M2)을 중심으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암(20)과 연결부재(40)가 정방향 회전할 수도 있다.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2) 우향 스위블 동작(2) right swivel motion
도 3을 참조하면, 고정체(10)와 암(20)은 일정한 암 기어 각 S1을 유지하고 있다. 암(20)과, 연결부재(40)(틸트부재(30)는 스위블 동작시 연결부재(40)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음) 사이의 최초 바디 기어 각은 S2를 유지하던 중(SS 위치) 바디 스위블 모터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제2 힌지축(M2)을 중심으로 연결부재(40)가 우향으로 스위블된다(RS 위치). 3, the fixed
바디 스위블 모터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연결부재(40)가 역방향 회전함으로써 틸트부재(3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50)가 우향 스위블된다. 우향 스위블 한 계(RSL)는 디스플레이(50)가 벽체에 의해 더 이상 우향 스위블될 수 없는 경우의 바디 기어 각을 의미하며, 디스플레이(5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진다. 또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구조적 한계에 의해 더 이상 우향 스위블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The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향 스위블 동작시 제2 힌지축(M2)을 중심으로만 연결부재(40)가 회전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힌지축(M1)을 중심으로 암(20)이 역방향 회전할 수도 있고, 제1 힌지축(M1)과 제2 힌지축(M2)을 중심으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암(20)과 연결부재(40)가 역방향 회전할 수도 있다.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3) 틸트 동작(3) tilt movement
도 4를 참조하면, 틸트 동작에 있어서 고정체(10), 암(20) 및 연결부재(40)는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연결부재(40)와 제3 힌지축(M3)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된 틸트부재(30)가 상하 회전한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tilting operation, the fixing
틸트 각은 제3 힌지축(M3)을 중심으로 최초 위치(TS 위칭)에서의 디스플레이(50)가 장착된 틸트부재(30)와, 틸트 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의해 틸트 다운 또는 틸트 업된 틸트부재(30)의 위치(도 4에서는 틸트 업된 TU 위치) 사이의 각(S3)을 의미한다. 틸트 각은 틸트 모터가 정회전시 틸트 다운 동작에 의해 마이너스(-) 값을 가지고, 틸트 모터가 역회전시 틸트 업 동작에 의해 플러스(+) 값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The tilt angle is tilted down or tilted by the
틸트 모터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틸트부재(30)가 아래로 회전하여 틸트 다운 동작을 수행하며, 틸트 모터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틸트부재(30)가 위로 회전하여 틸트 업 동작을 수행한다. The
틸트 업 한계(TUL)는 디스플레이(50)가 벽체에 의해 더 이상 틸트 업 될 수 없는 경우의 틸트 각을 의미하며, 디스플레이(5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진다. 또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구조적 한계에 의해 더 이상 틸트 업 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틸트 다운 한계(TDL)는 디스플레이(50)가 벽체에 의해 더 이상 틸트 다운 될 수 없는 경우의 틸트 각을 의미하며, 디스플레이(5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진다. 또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구조적 한계에 의해 더 이상 틸트 업 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The tilt up limit TUL refers to the tilt angle when the
(4) 익스텐션(extension) 동작(4) Extension opera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는 디스플레이(500까 제1 익스텐션 위치(E1)에 위치하여 벽체 등과 최소한으로 이격되어 최소 공간을 차지하도록 고정체(10)와, 디스플레이(50)를 장착한 틸트부재(40)가 가장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at the first extension position E1 to the display 500 to be spaced apart from a wall and the like to minimize the space and occupy a minimum space.
벽체와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는 최소한으로 암 스위블 모터와 바디 스위블 모터, 즉 모터 2개를 필요로 하며, 암 스위블 모터와 바디 스위블 모터가 서로 연동하여 구동됨으로써 디스플레이(50)가 벽체와 충돌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회전, 틸트, 익스텐션 등이 되도록 한다. In order to minimize the distance from the wall,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requires at least two arm swivel motors and a body swivel motor, that is, two motors, and the
암 스위블 모터와 바디 스위블 모터를 동일하게 구동(암 기어 각과 바디 기 어 각이 동일하게 증가하도록 함)하여 디스플레이(50)가 벽체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도록 한다. The arm swivel motor and the body swivel motor are driven equally (so that the arm gear angle and the body gear angle increase equally) so that the
암 기어 각과 바디 기어 각이 최소(예를 들어, 0)이 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50)는 벽체와 D1만큼 최소한으로 이격되며, 암 스위블 모터와 바디 스위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암 기어 각과 바디 기어 각이 증가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50)는 벽체와 D2만큼 이격되어 디스플레이(50)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와 보다 근접한 거리를 제공한다. When the arm gear angle and the body gear angle are minimum (for example, 0), the
(5) 기타 (5) other
스위블 동작, 틸트 동작, 익스텐션 동작은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각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해야 할 것이다. 즉, 스위블과 틸트, 익스텐션과 스위블, 익스텐션과 틸트, 익스텐션과 스위블과 틸트 동작 등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Although the swivel operation, the tilt operation, and the extension opera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separatel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each operation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at is, swivel and tilt, extension and swivel, extension and tilt, extension and swivel and tilt operations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이하에서는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가 특정 위치에 포지셔닝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positioning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 specific posi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자동 캘리브레이션(auto calibration)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은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틸트 다운 한계(TDL: tilt down limit), 틸트 업 한계(TUL: tilt up limit), 좌향 스위블 한계(LSL: left swivel limit), 우향 스위블 한계(RSL: right swivel limit)를 갱신하여 새롭게 저장하기 위해 수행된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auto calibration function of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calibration function is based on the tilt down limit (TDL), tilt up limit (TUL), left swivel limit (LSL) and right swivel limit (RSL) of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 Is performed to update and save a new one.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는 틸트 다운 한계, 틸트 업 한계, 좌향 스위블 한계, 우향 스위블 한계가 서로 다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 한계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지만,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두어 현재 설치된 장소, 장착된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틸트 다운 한계, 틸트 업 한계, 좌향 스위블 한계, 우향 스위블 한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tilt down limit, the tilt up limit, the left swivel limit, and the right swivel limit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is installed, the size of the display mounted on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and the like. Thus, although the user may enter each limit directly, an automatic calibration feature allows the user to set the tilt down limit, tilt up limit, left swivel limit, and right swivel limit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currently installed location, mounted display.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 수행에 상응하는 입력이 입력되면 최초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는 기준 위치에 셋업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단계 S600). 여기서, 기준 위치는 암 기어 각(S1), 바디 기어 각(S2), 틸트 각(S3)이 모두 0도이다. 암 기어 각, 바디 기어 각, 틸트 각 등의 각도는 상술한 암 스위블 모터, 바디 스위블 모터, 틸트 모터 등의 구동 모터에 구비된 회전 감지 소자를 이용해 측정가능하다. If an input corresponding to performing the auto calibration function is input, it is assumed that the initial display positioning device is set up at the reference position (step S600). Here, in the reference position, the arm gear angle S1, the body gear angle S2, and the tilt angle S3 are all 0 degrees. The angles of the arm gear angle, the body gear angle, the tilt angle, and the like can be measured using the rotation sensing elements provided in the drive motors such as the arm swivel motor, the body swivel motor, the tilt motor, and the like.
암 기어 각(S1)이 45도인지 판단한다(단계 S602). 암 기어 각이 45도가 되지 않은 경우 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 구동하고(단계 S604). 암 기어 각이 45도인 경우 단계 S606으로 진행한다. 바디 기어 각(S2)이 45도인지 판단한다(단계 S606). 바디 기어 각이 45도가 되지 않은 경우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 구동하고(단계 S608). 바디 기어 각이 45도인 경우 단계 S610으로 진행한다.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rm gear angle S1 is 45 degrees (step S602). If the arm gear angle is not 45 degrees, the arm swivel motor is driven forward rotation (step S604). If the arm gear angle is 45 degrees, the flow proceeds to step S60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gear angle S2 is 45 degrees (step S606). If the body gear angle is not 45 degrees, the body swivel motor is driven forward (step S608). If the body gear angle is 45 degrees, the flow proceeds to step S610.
여기서, 단계 S602 및 S604와, 단계 S606 및 S608은 진행 순서가 반대로 되거나 혹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Here, steps S602 and S604 and steps S606 and S608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or simultaneously.
본 실시예에서는 암 기어 각과 바디 기어 각이 45도인 경우를 한계 측정 기준으로 틸트 다운 한계와 틸트 업 한계, 좌향 스위블 한계와 우향 스위블 한계를 측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경우(예를 들어 암 기어 각과 바디 기어 각이 30도 등)를 기준으로 틸트 다운 한계와 틸트 업 한계, 좌향 스위블 한계와 우향 스위블 한계를 측정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해야 할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lt angle, tilt up limit, leftward swivel limit and rightward swivel limit are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limit measurement criteria when the arm gear angle and the body gear angle are 45 degrees.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the tilt down and tilt up limits, the left swivel limit and the right swivel limit can be measured in various cases (eg 30 degrees for the female gear and the body gear angle). .
틸트 모터를 정회전시키고(단계 S610), 틸트 각(S3)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2). 틸트 각이 변화하는 경우 단계 S610 내지 S612를 반복하며, 틸트 각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 단계 S614로 진행하여 현재 틸트 각을 틸트 다운 한계(TDL)로 설정한다. 여기서, 틸트 각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는 (1)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가 기계적, 구조적으로 더 이상 틸트 다운이 되지 않거나 (2) 디스플레이가 벽체에 접촉하여 더 이상 틸트 다운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틸트 각을 틸트 다운 한계로 설정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 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틸트 다운 한계가 설정되거나 다른 방법에 의해 틸트 다운 한계가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tilt motor is rotated forward (step S610), and it is judg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ilt angle S3 (step S612). If the tilt angle changes, steps S610 to S612 are repeated. If the tilt angle does not change, the flow advances to step S614 to set the current tilt angle to the tilt down limit TDL. Here, the tilt angle does not change because (1)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is no longer mechanically and structurally tilted down, or (2) the display is in contact with a wall and no longer tilts down. Therefore, the tilt angle in this case is set to the tilt down limit. However, of course, the tilt down limit may be set by the user or the tilt down limit may be set by another method.
이후 틸트 모터를 역회전시키고(단계 S616), 틸트 각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18). 틸트 각이 변화하는 경우 단계 S616 내지 S618을 반복하며, 틸트 각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 단계 S620으로 진행하여 현재 틸트 각을 틸트 업 한계(TUL)로 설정한다. 여기서, 틸트 각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는 (1)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가 기계적, 구조적으로 더 이상 틸트 업이 되지 않거나 (2) 디스플레이가 벽체에 접촉하여 더 이상 틸트 업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틸트 각을 틸트 업 한계로 설정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 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틸트 업 한계가 설정되거나 다른 방법에 의해 틸트 업 한계가 설정될 수 있음 은 물론이다.Thereafter, the tilt motor is reversely rotated (step S616),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tilt angle (step S618). If the tilt angle changes, steps S616 to S618 are repeated. If the tilt angle does not change, the flow advances to step S620 to set the current tilt angle to the tilt up limit TUL. Here, the tilt angle does not change because (1)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is no longer mechanically and structurally tilted up, or (2) the display is in contact with a wall and no longer tilts up. Therefore, the tilt angle in this case is set to the tilt up limit. However, in addition to this, the tilt up limit may be set by the user or the tilt up limit may be set by another method.
이후 틸트 모터를 정회전시키고(단계 S622), 틸트 각이 0도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24). 틸트 각이 0도가 되지 않은 경우 단계 S622 내지 S624를 반복하고, 틸트 각이 0도가 된 경우를 기준으로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 좌향 스위블 한계와 우향 스위블 한계를 설정한다. After that, the tilt motor is rotated forward (step S622),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lt angle is 0 degrees (step S624). If the tilt angle is not 0 degrees, steps S622 to S624 are repeated, and when the tilt angle is 0 degrees,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to set the left swivel limit and the right swivel limit.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시키고(단계 S626), 바디 기어 각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28). 바디 기어 각이 변화하는 경우 단계 S626 내지 S628을 반복하고, 바디 기어 각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 단계 S630으로 진행하여 현재 바디 기어 각을 좌향 스위블 한계(LSL)로 설정한다. 여기서, 바디 기어 각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는 (1)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가 기계적, 구조적으로 더 이상 좌향 스위블이 되지 않거나 (2) 디스플레이가 벽체에 접촉하여 더 이상 좌향 스위블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바디 기어 각을 좌향 스위블 한계로 설정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 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좌향 스위블 한계가 설정되거나 다른 방법에 의해 좌향 스위블 한계가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ody swivel motor is rotated forward (step S626),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body gear angle (step S628). If the body gear angle changes, steps S626 to S628 are repeated. If the body gear angle does not chan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30 to set the current body gear angle to the left swivel limit LSL. Here, the case where the body gear angle does not change is because (1)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is no longer mechanically and structurally left swivel or (2) the display is no longer left swivel due to contact with the wall. Therefore, the body gear angle in this case is set to the leftward swivel limit. However, in addition to this, the left swivel limit may be set by the user or the left swivel limit may be set by another method.
이후 바디 스위블 모터를 역회전시키고(단계 S632), 바디 기어 각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34). 바디 기어 각이 변화하는 경우 단계 S632 내지 S634를 반복하고, 바디 기어 각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 단계 S636으로 진행하여 현재 바디 기어 각을 우향 스위블 한계(RSL)로 설정한다. 여기서, 바디 기어 각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는 (1)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가 기계적, 구조적으로 더 이상 우향 스위블이 되지 않거나 (2) 디스플레이가 벽체에 접촉하여 더 이상 우향 스 위블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의 바디 기어 각을 우향 스위블 한계로 설정하기로 한다. 하지만, 이 외에도 사용자에 의해 우향 스위블 한계가 설정되거나 다른 방법에 의해 우향 스위블 한계가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fter that, the body swivel motor is reversely rotated (step S632),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body gear angle (step S634). If the body gear angle changes, steps S632 to S634 are repeated. If the body gear angle does not chan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36 to set the current body gear angle to the rightward swivel limit RSL. Here, the case where the body gear angle does not change is because (1)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is no longer mechanically and structurally swiveled or (2) the display is in contact with the wall and is no longer swiveled. Therefore, the body gear angle in this case is set to the rightward swivel limit. However, in addition to this, the right swivel limit may be set by the user or the right swivel limit may be set by another method.
상술한 틸트 다운 한계와 틸트 업 한계, 좌향 스위블 한계와 우향 스위블 한계의 설정은 그 순서가 바뀔 수 있다. The order of setting the tilt down limit, the tilt up limit, the leftward swivel limit and the rightward swivel limit described above may be reversed.
상술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통해 현재 설치된 장소, 장착된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적합한 틸트 다운 한계, 틸트 업 한계, 좌향 스위블 한계, 우향 스위블 한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calibration func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tilt down limit, the tilt up limit, the left swivel limit, and the right swivel limit suitable for the currently installed place and the size of the mounted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는 메모리 등의 기억 수단을 구비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설정된 틸트 다운 한계, 틸트 업 한계, 좌향 스위블 한계, 우향 스위블 한계를 저장할 수 있다. 기억 수단에 저장된 틸트 다운 한계, 틸트 업 한계, 좌향 스위블 한계, 우향 스위블 한계를 추후 설명할 좌향 스위블, 우향 스위블, 틸트 다운, 틸트 업 동작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may include a storage means such as a memory to store the tilt down limit, the tilt up limit, the left swivel limit, and the right swivel limit set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tilt down limit, tilt up limit, leftward swivel limit, and rightward swivel limit stored in the storage means can be utilized in leftward swivel, rightward swivel, tiltdown, tiltup operation and the lik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자동 중앙 정렬(auto centering)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자동 중앙 정렬 기능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가 벽체에 최소한으로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auto centering function of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 centering is performed to ensure that the display is minimally spaced from the wall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display or does not want to use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사용자로부터 자동 중앙 정렬(AC)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한다(단계 S700). 이후 단계 S710과 S730이 동시에 진행된다. An input for instructing to perform the automatic center alignment (AC) func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step S700). Thereafter, steps S710 and S730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암 기어 각(S1)과 바디 기어 각(S2)이 동일한지 판단한다(단계 S710). 암 기 어 각이 바디 기어 각보다 더 작은 경우(S1<S2) 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시키고(단계 S712), 암 기어 각이 바디 기어 각보다 더 큰 경우(S1>S2) 암 스위블 모터를 역회전시킨다(단계 S714). 여기서, 단계 S712 및 S714는 암 스위블 모터 대신 바디 스위블 모터를 반대 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도 있다. 즉, 단계 S712에서 바디 스위블 모터를 역회전시키고, 단계 S714에서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시킨다. 암 스위블 모터 또는 바디 스위블 모터의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rm gear angle S1 and the body gear angle S2 are the same (step S710). If the arm gear angle is smaller than the body gear angle (S1 <S2), rotate the arm swivel motor forward (step S712), and if the arm gear angle is greater than the body gear angle (S1> S2), reverse the arm swivel motor. It rotates (step S714). Here, steps S712 and S714 may drive the body swivel motor in the opposite rotational direction instead of the arm swivel motor. That is, the body swivel motor is reversely rotated in step S712, and the body swivel motor is rotated forward in step S714. The selection of the arm swivel motor or the body swivel motor can be made manually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by the controller of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암 기어 각과 바디 기어 각이 동일한 경우(S1=S2) 틸트 각(S3)이 0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16). 틸트 각이 0도가 아닌 경우 0도가 될 때까지 단계 S716을 반복한다. If the arm gear angle and the body gear angle are the same (S1 = S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lt angle S3 is 0 degrees (step S716). If the tilt angle is not 0 degrees, step S716 is repeated until 0 degrees.
단계 S730에서 틸트 각이 0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30). 틸트 각이 0도보다 작은 경우(S3<0) 틸트 모터를 역회전시키고(단계 S732), 틸트 각이 0도보다 큰 경우(S3>0) 틸트 모터를 정회전시키며(단계 S734), 틸트 각이 0도인 경우 틸트 모터를 정지시킨다(단계 S736). In step S7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lt angle is 0 degrees (step S730). If the tilt angle is less than 0 degrees (S3 <0), the tilt motor is reversed (step S732). If the tilt angle is greater than 0 degrees (S3> 0), the tilt motor is rotated forward (step S734). If it is 0 degree, the tilt motor is stopped (step S736).
단계 S716에서 틸트 각이 0도가 된 경우 암 스위블 모터 및 바디 스위블 모터를 역회전시킨다(단계 S718). 암 기어 각이 0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720), 암 기어 각이 0도가 아닌 경우 암 스위블 모터를 계속 역회전시키며, 암 기어 각이 0도가 된 경우 암 스위블 모터를 정지시킨다(단계 S722). 그리고 바디 기어 각이 0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724), 바디 기어 각이 0도가 아닌 경우 바디 스위블 모터를 계속 역회전시키며, 바디 기어 각이 0도가 된 경우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지시킨다(단계 S726). 여기서, 단계 S718, S720 및 S722와, 단계 S718, S724 및 S726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tilt angle is 0 degrees in step S716, the arm swivel motor and the body swivel motor are rotated in reverse (step S71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rm gear angle is 0 degrees (step S720), and if the arm gear angle is not 0 degrees, the arm swivel motor is continuously rotated, and when the arm gear angle is 0 degrees, the arm swivel motor is stopped (step S722). ).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gear angle is 0 degrees (step S724), and if the body gear angle is not 0 degrees, the body swivel motor is continuously rotated, and when the body gear angle is 0 degrees, the body swivel motor is stopped (step S724). S726). Here, steps S718, S720 and S722, and steps S718, S724 and S726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상술한 자동 중앙 정렬 기능을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단계 S722 및 단계 S726을 마친 이후에 도 5에 도시된 E1 위치에 디스플레이가 위치하게 되며, 벽체와의 이격 거리가 최소가 된다. When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centering function is performed, the display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E1 shown in FIG. 5 after finally completing steps S722 and S726, and the distance from the wall is minimiz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좌향 스위블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좌향 스위블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한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leftward swivel function of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wiveling operation refers to the bar shown in FIG. 2.
사용자로부터 좌향 스위블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한다(단계 S800). 현재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02).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작은 경우 단계 S804로 진행하며, 45도 이상인 경우 단계 S814로 진행한다. An input for instructing to perform the leftward swivel func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step S8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arm gear angle is smaller than 45 degrees (step S802). If the arm gear angle is smaller than 45 degre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804. If the arm gear angle is smaller than 45 degre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814.
좌향 스위블 한계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left swivel lim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mounted to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작은 경우 단계 S804에서, 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 구동한다. 바디 기어 각(S2)가 좌향 스위블 한계(LSL)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06). 바디 기어 각이 좌향 스위블 한계보다 작은 경우(S2<LSL) 바디 스위블 모터를 역회전 구동시키고(단계 S808), 바디 기어 각이 좌향 스위블 한계와 동일한 경우(S2=LSL)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지시키며(단계 S810), 바디 기어 각이 좌향 스위블 한계보다 큰 경우(S2>LSL)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 구동시킨다(단 계 S812). 그리고 단계 S800으로 되돌아간다. If the arm gear angle is smaller than 45 degrees, in step S804, the arm swivel motor is driven forwar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gear angle S2 is smaller than the leftward swivel limit LSL (step S806). If the body gear angle is smaller than the left swivel limit (S2 <LSL), the body swivel motor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step S808), and if the body gear angle is equal to the left swivel limit (S2 = LSL), the body swivel motor is stopped ( In step S810, when the body gear angle is larger than the leftward swivel limit (S2> LSL), the body swivel motor is driven to forward rotation (step S812). Then return to step S800.
즉,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작은 경우 암 기어 각이 45가 되도록 암을 회전시키며, 바디 기어 각이 좌향 스위블 한계가 되도록 연결부재 및 이에 연결된 틸트부재와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킨다. That is, when the arm gear angle is smaller than 45 degrees, the arm is rotated so that the arm gear angle is 45, and the connecting member, the tilt member and the display connected thereto are rotated so that the body gear angle is the leftward swivel limit.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큰 경우 단계 S814에서, 암 스위블 모터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바디 기어 각(S2)이 좌향 스위블 한계에 좌향 마진(Δ)을 더한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16).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가 좌향 스위블할 수 있는 한계는 도 6에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설정된 좌향 스위블 한계와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좌향 마진(Δ)을 추가적으로 좌향 스위블 한계에 더한다. 여기서, 좌향 마진(Δ)은 양수, 0 또는 음수일 수 있으며, 암 기어 각와 바디 기어 각의 차이, 디스플레이의 크기, 틸트 정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If the arm gear angle is greater than 45 degrees, in step S814, the arm swivel motor is stopped.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ody gear angle S2 is smaller than the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leftward margin Δ to the leftward swivel limit (step S816). When the arm gear angle is greater than 45 degrees, the limit that the display can swivel left differs from the left swivel limit set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 FIG. Therefore, to correct this difference, the left margin Δ is additionally added to the left swivel limit. Here, the leftward margin Δ may be positive, zero or negative,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m gear angle and the body gear angle, the size of the display, and the degree of tilt.
바디 기어 각이 좌향 스위블 한계에 좌향 마진을 더한 값보다 작은 경우(S2<LSL+Δ) 바디 스위블 모터를 역회전 구동시키고(단계 S818), 동일한 경우(S2=LSL+Δ)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지시키며(단계 S820), 큰 경우(S2>LSL+Δ)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 구동시킨다(단계 S822). 그리고 단계 S800으로 되돌아간다.When the body gear angle is smaller than the left swivel limit plus left margin (S2 <LSL + Δ), the body swivel motor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step S818), and if the same (S2 = LSL + Δ), the body swivel motor is stopped. (Step S820), if large (S2> LSL + Δ), the body swivel motor is driven to rotate forward (step S822). Then return to step S800.
여기서, 암 기어 각의 기준값은 도 6에서 좌향 스위블 한계를 설정할 때의 한계 측정 기준으로 45도 이외에 다양한 값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reference value of the arm gear angle may be various values other than 45 degrees as the limit measurement reference when setting the leftward swivel limit in FIG. 6.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우향 스위 블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우향 스위블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한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rightward swivel function of a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htward swivel operation refers to the bar shown in FIG. 3.
사용자로부터 우향 스위블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입력을 수신한다(단계 S900). 현재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02).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작은 경우 단계 S904로 진행하며, 45도 이상인 경우 단계 S914로 진행한다. An input for instructing to perform a rightward swivel func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step S9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arm gear angle is smaller than 45 degrees (step S902). If the arm gear angle is smaller than 45 degre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04. If the arm gear angle is smaller than 45 degree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14.
우향 스위블 한계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rightward swivel lim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play size mounted in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작은 경우 단계 S904에서, 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 구동한다. 바디 기어 각(S2)이 우향 스위블 한계(RSL)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06). 바디 기어 각이 우향 스위블 한계보다 작은 경우(S2<RSL)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 구동시키고(단계 S908), 바디 기어 각이 우향 스위블 한계와 동일한 경우(S2=RSL)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지시키며(단계 S910), 바디 기어 각이 우향 스위블 한계보다 큰 경우(S2>RSL) 바디 스위블 모터를 역회전 구동시킨다(단계 S912). 그리고 단계 S900으로 되돌아간다. If the arm gear angle is smaller than 45 degrees, in step S904, the arm swivel motor is driven forwar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gear angle S2 is smaller than the rightward swivel limit RSL (step S906). If the body gear angle is smaller than the rightward swivel limit (S2 <RSL), the body swivel motor is driven forward (step S908), and if the body gear angle is equal to the rightward swivel limit (S2 = RSL), the body swivel motor is stopped ( In step S910, when the body gear angle is larger than the rightward swivel limit (S2> RSL), the body swivel motor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step S912). The process then returns to step S900.
즉,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작은 경우 암 기어 각이 45가 되도록 암을 회전시키며, 바디 기어 각이 우향 스위블 한계가 되도록 연결부재 및 이에 연결된 틸트부재와 디스플레이를 회전시킨다. That is, when the arm gear angle is less than 45 degrees, the arm is rotated so that the arm gear angle is 45, and the connecting member, the tilt member and the display connected thereto are rotated so that the body gear angle is the rightward swivel limit.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큰 경우 단계 S914에서, 암 스위블 모터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바디 기어 각(S2)이 우향 스위블 한계에 우향 마진(Δ)을 더한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16).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가 우향 스위블할 수 있는 한계는 도 6에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설정된 우향 스위블 한계와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우향 마진(Δ)을 추가적으로 우향 스위블 한계에 더한다. 여기서, 우향 마진(Δ)은 양수, 0 또는 음수일 수 있으며, 암 기어 각와 바디 기어 각의 차이, 디스플레이의 크기, 틸트 정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If the arm gear angle is larger than 45 degrees, in step S914, the arm swivel motor is stopped.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gear angle S2 is smaller than the value of adding the rightward margin Δ to the rightward swivel limit (step S916). If the arm gear angle is greater than 45 degrees, the limit that the display can swivel right differs from the right swivel limit set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 FIG. Therefore, to correct this difference, the rightward margin Δ is additionally added to the rightward swivel limit. Here, the rightward margin Δ may be positive, zero or negative,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arm gear angle and the body gear angle, the size of the display, and the degree of tilt.
바디 기어 각이 우향 스위블 한계에 우향 마진을 더한 값보다 작은 경우(S2<RSL+Δ)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 구동시키고(단계 S918), 동일한 경우(S2=RSL+Δ)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지시키며(단계 S920), 큰 경우(S2>RSL+Δ) 바디 스위블 모터를 역회전 구동시킨다(단계 S922). 그리고 단계 S900으로 되돌아간다.If the body gear angle is smaller than the rightward swivel limit plus the rightward margin (S2 <RSL + Δ), drive the body swivel motor forward (step S918), and if it is the same (S2 = RSL + Δ), stop the body swivel motor. (Step S920), if large (S2> RSL + Δ), the body swivel motor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step S922). The process then returns to step S900.
여기서, 암 기어 각의 기준값은 도 6에서 우향 스위블 한계를 설정할 때의 한계 측정 기준으로 45도 이외에 다양한 값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reference value of the arm gear angle may be various values other than 45 degrees as the limit measurement reference when setting the rightward swivel limit in FIG. 6.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틸트 다운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1은 틸트 업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틸트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한다.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erforming a tilt down function of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erforming a tilt up function. The tilt operation refers to the bar shown in FIG. 4.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틸트 다운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명령 입력을 수신한다(단계 S1000). 틸트 각(S3)이 틸트 다운 한계(TDL)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10). 틸트 각이 틸트 다운 한계보다 큰 경우(S3>TDL) 틸트 모터를 정회 전 구동시켜 틸트 다운되도록 하고(S1020), 틸트 각이 틸트 다운 한계와 동일한 경우(S3=TDL) 틸트 모터를 정지시킨다(S1030). Referring to FIG. 10, a command input for instructing to perform a tilt down function is received from a user (step S10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lt angle S3 is the tilt down limit TDL (step S1010). If the tilt angle is larger than the tilt down limit (S3> TDL), the tilt motor is driven before turning to tilt down (S1020). If the tilt angle is the same as the tilt down limit (S3 = TDL), the tilt motor is stopped (S1030). ).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틸트 업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명령 입력을 수신한다(단계 S1100). 틸트 각(S3)이 틸트 업 한계(TUL)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10). 틸트 각이 틸트 업 한계보다 작은 경우(S3<TUL) 틸트 모터를 역회전 구동시켜 틸트 업되도록 하고(S1120), 틸트 각이 틸트 업 한계와 동일한 경우(S3=TUL) 틸트 모터를 정지시킨다(S1130). Referring to FIG. 11, a command input for instructing to perform a tilt up function is received from a user (step S11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lt angle S3 is the tilt up limit TUL (step S1110). If the tilt angle is smaller than the tilt up limit (S3 <TUL), the tilt motor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to tilt up (S1120). If the tilt angle is the same as the tilt up limit (S3 = TUL), the tilt motor is stopped (S1130). ).
여기서, 틸트 다운 한계 또는 틸트 업 한계는 도 8 또는 도 9에서 좌향 스위블 한계 또는 우향 스위블 한계가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현재 상태에 따라서 좌향 마진 또는 우향 마진이 추가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틸트 다운 마진 또는 틸트 업 마진이 추가될 수 있다. Here, the tilt down limit or the tilt up limit is the tilt down margin or the tilt up margin as shown in FIG. 8 or 9 as the left swivel limit or the right swivel limit is added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Can be add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익스텐션 기능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익스텐션 동작은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한다.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extens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sion operation refers to the bar shown in FIG.
사용자로부터 익스텐션 기능 수행을 지시하는 명령 입력을 수신하고(단계 S1200), 단계 S1210과 S1220으로 진행한다. A command input for instructing extension function execu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step S1200),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s S1210 and S1220.
단계 S1210에서 암 기어 각(S1)이 45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10).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작은 경우 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 구동시키고(단계 S1212), 암 기어 각이 45도와 동일한 경우 암 스위블 모터를 정지시키며(단계 S1214), 암 기어 각이 45도보다 큰 경우 암 스위블 모터를 역회전 구동시킨다(단계 S1216). In step S12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rm gear angle S1 is 45 degrees (step S1210). When the arm gear angle is smaller than 45 degrees, the arm swivel motor is driven forward rotation (step S1212). When the arm gear angle is equal to 45 degrees, the arm swivel motor is stopped (step S1214), and when the arm gear angle is larger than 45 degrees. The female swivel motor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step S1216).
단계 S1220에서 바디 기어 각(S2)이 45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20). 바디 기어 각이 45도보다 작은 경우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회전 구동시키고(단계 S1222), 바디 기어 각이 45도와 동일한 경우 바디 스위블 모터를 정지시키며(단계 S1224), 바디 기어 각이 45도보다 큰 경우 바디 스위블 모터를 역회전 구동시킨다(단계 S1226).In step S12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gear angle S2 is 45 degrees (step S1220). When the body gear angle is smaller than 45 degrees, the body swivel motor is driven forward (step S1222), and when the body gear angle is equal to 45 degrees, the body swivel motor is stopped (step S1224), and the body gear angle is larger than 45 degrees The body swivel motor is driven in reverse rotation (step S1226).
본 실시예에서 단계 S1210 내지 S1216과, 단계 S1220 내지 S1226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teps S1210 to S1216 and steps S1220 to S1226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상술한 것과 같은 단계의 수행으로 인해 도 5에 도시된 E1 위치에서 E2 위치로 디스플레이(50)는 벽체로부터 D2만큼 이격되도록 수평 이동하여 사용자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above steps, th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데모 동작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데모 동작은 특정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데모 동작 수행에 의해 별도의 조작 없이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성능 검사가 가능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보여주어 구매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13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erforming a demo operation of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o operation means that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displays various operations in a predetermined order by a specific input. By performing a demo operation of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equipped with a display, the performance of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can be inspected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and the user can show various functions of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duce a purchase. It works.
사용자로부터 데모 기능을 지시하는 명령 입력을 수신한다(단계 S1300). 이 경우 미리 지정된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좌향 스위블, 우향 스위블, 틸트 다운, 틸트 업, 자동 중앙 정렬 순서로 데모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A command input indicating a demo func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step S1300). In this case,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performs various operations in a predetermined ord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mo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left swivel, right swivel, tilt down, tilt up, and automatic center alignment.
단계 S1302에서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좌향 스위블 동작을 수행한다. W좌향 스위블 동작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생략한다. 단계 S1304에서 바디 기어 각이 좌향 스위블 한계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바디 기어 각이 좌향 스위블 한계가 아닌 경우 단계 S1302 및 S1304를 반복한다. In operation S1302, a left swiveling operation of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is performed. The W-left swivel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and will be omitted. In step S130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gear angle is equal to the leftward swivel limit, and if the body gear angle is not the leftward swivel limit, steps S1302 and S1304 are repeated.
그리고 바디 기어 각이 좌향 스위블 한계와 동일한 경우 우향 스위블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306). 우향 스위블 동작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생략한다. 단계 S1308에서 바디 기어 각이 우향 스위블 한계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바디 기어 각이 우향 스위블 한계가 아닌 경우 단계 S1306 및 S1308을 반복한다. 그리고 바디 기어 각이 우향 스위블 한계와 동일한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If the body gear angle is equal to the leftward swivel limit, a rightward swivel operation is performed (step S1306). The rightward swivel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and will be omitted. In step S1308,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gear angle is equal to the rightward swivel limit, and if the body gear angle is not the rightward swivel limit, steps S1306 and S1308 are repeated. If the body gear angle is equal to the rightward swivel limit, proceed to the next step.
바디 기어 각이 45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1310), 바디 스위블 모터를 회전시켜(단계 S1312) 바디 기어 각이 45도가 되도록 한다.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gear angle is 45 degrees (step S1310), and the body swivel motor is rotated (step S1312) so that the body gear angle is 45 degrees.
그 후 틸트 다운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314). 틸트 다운 동작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생략한다. 단계 S1316에서 틸트 각이 틸트 다운 한계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틸트 각이 틸트 다운 한계가 아닌 경우 단계 S1314 및 S1316을 반복한다. 그리고 틸트 각이 틸트 다운 한계와 동일한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Then, the tilt down operation is performed (step S1314). The tilt down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and will be omitted. In step S1316,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lt angle is equal to the tilt down limit, and if the tilt angle is not the tilt down limit, steps S1314 and S1316 are repeated. If the tilt angle is equal to the tilt down limit, proceed to the next step.
그 후 틸트 업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318). 틸트 업 동작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생략한다. 단계 S1320에서 틸트 각이 틸트 업 한계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틸트 각이 틸트 업 한계가 아닌 경우 단계 S1318 및 S1320을 반복한다. 그리고 틸트 각이 틸트 업 한계와 동일한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 Then, the tilt up operation is performed (step S1318). The tilt up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and will be omitted. In step S13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lt angle is equal to the tilt up limit, and if the tilt angle is not the tilt up limit, steps S1318 and S1320 are repeated. If the tilt angle is equal to the tilt up limit, proceed to the next step.
데모 동작의 마지막 단계로 자동 중앙 정렬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1322). 자동 중앙 정렬 동작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생략한다. The automatic center alignment operation is performed as the last step of the demonstration operation (step S1322). The automatic center alignment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and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순서에 의해 데모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순서 내의 동작은 도 7 내지 도 11에 설명된 스위블 동작, 틸트 동작, 익스텐션 동작, 자동 중앙 정렬 동작 또는 그 외에 추가적인 동작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mo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orders, and the operations within each order may be the swivel operation, the tilt operation, the extension operation, the automatic center alignment operation, or other operations described in FIGS. 7 to 11. have.
도 6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각 기능들은 사용자로부터 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아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명령의 입력은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에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리모콘 등의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서 리모콘의 각 기능 키들의 눌림 여부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가 스위치, 터치 스크린, 키패드 등 별도의 입력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을 받을 수도 있다. Each function of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3 may be performed by receiving a command for performing each function from a user. The input of the user command may further include a receiver in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nd may be made according to whether each fun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is pressed through a remote control apparatus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lternatively,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input unit such as a switch, a touch screen, a keypad, and may directly receive an input from a user.
또는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수신부, 입력부 또는 OSD(On Screen Display)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기능 수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는 시리얼 통신을 통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 receiver, an input unit, or an OSD (On Screen Display) of a display mounted on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may additionally perform a function of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In this case, the display and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may transmit and receive a command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는 특정 동작 수행 중 방해물 또는 사람 등에 의한 과부하시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to the function that the power is automatically cut off when an overload caused by obstacles or people during the specific operation.
그리고 자동 중앙 정렬 기능은 디스플레이의 동작 전원 오프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And the automatic center alignment func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operating power off of the display.
또한,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디스플레이의 동작 전원 온과 함께 가장 최근 위치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복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별로 선호하는 위치를 별도로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를 읽어들여 해당 위치로 디스플레이를 위치시키는 사용자별 메모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storage means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can be restored to the most recent position with the operating power-on of the display. In addition, the user may separately store a preferred location for each user and perform a user-specific memory function of reading the stored location and placing the display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다양한 구동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의 다양한 구동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various driving methods of the above-described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can be created by a computer program.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In addition, the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and is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various driving methods of the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포지셔닝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벽체의 방해없이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 및 틸팅시켜 최적의 시 청각을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positioning devic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optimal viewing and hearing by rotating and tilting the display in a desired direction without obstruction of a wall.
또한,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및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그 동작 범위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set its operating range according to the display to be mounted and the place to be install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5338A KR100868266B1 (en) | 2007-04-11 | 2007-04-11 |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5338A KR100868266B1 (en) | 2007-04-11 | 2007-04-11 |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2037A true KR20080092037A (en) | 2008-10-15 |
KR100868266B1 KR100868266B1 (en) | 2008-11-11 |
Family
ID=4015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5338A KR100868266B1 (en) | 2007-04-11 | 2007-04-11 |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8266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4110B1 (en) * | 2008-08-12 | 2010-09-28 | 이남숙 | Anchor for angle control of display unit |
KR100985223B1 (en) * | 2009-09-01 | 2010-10-05 | 신석호 | Mounting apparatus for adjusting swivelling angle of display device |
CN109027627A (en) * | 2018-08-23 | 2018-12-18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Display device, rot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thereof and wall hanging rack |
US10221991B2 (en) | 2015-09-10 | 2019-03-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wiveling indicator for a display |
KR20230023469A (en) * | 2021-08-10 | 2023-02-17 | 이상준 | Display support and Display support control system |
WO2023128156A1 (en) * | 2022-01-03 | 2023-07-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Rotating device for rotating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6097A (en) * | 2003-05-07 | 2004-11-16 | 여단열 | Display apparatus of stand type |
KR200326988Y1 (en) | 2003-06-05 | 2003-09-19 | 김시연 | LCD monitor supporter |
KR200326987Y1 (en) | 2003-06-05 | 2003-09-19 | 김시연 | LCD monitor supporter |
-
2007
- 2007-04-11 KR KR1020070035338A patent/KR100868266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4110B1 (en) * | 2008-08-12 | 2010-09-28 | 이남숙 | Anchor for angle control of display unit |
KR100985223B1 (en) * | 2009-09-01 | 2010-10-05 | 신석호 | Mounting apparatus for adjusting swivelling angle of display device |
WO2011028014A3 (en) * | 2009-09-01 | 2011-07-07 | Seok Ho Shin | Mounting apparatus for adjusting swivelling angle of display device |
US10221991B2 (en) | 2015-09-10 | 2019-03-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wiveling indicator for a display |
CN109027627A (en) * | 2018-08-23 | 2018-12-18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Display device, rot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thereof and wall hanging rack |
CN109027627B (en) * | 2018-08-23 | 2024-05-10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Display equipment, rotation method, rotation device, rotation system and wall hanging frame thereof |
KR20230023469A (en) * | 2021-08-10 | 2023-02-17 | 이상준 | Display support and Display support control system |
WO2023128156A1 (en) * | 2022-01-03 | 2023-07-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Rotating device for rotating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8266B1 (en) | 2008-1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8266B1 (en) | Display positioning apparatus | |
US8638321B2 (en) | Display apparatus | |
JP5921173B2 (en) | In-vehicle device and rotation method | |
EP3588942B1 (en) | Display device | |
US8681113B1 (en) | Concept and operation mode for multi media AIO | |
JP6193561B2 (en) | Display system and mobile device | |
JP3958759B2 (en) | Slide-type switchgear for portable terminals | |
US20140118629A1 (en) | Video projection system for mobile device | |
KR20000057473A (en) | Display/monitor with orientation dependent rotatable image | |
JP6511178B1 (en) | Power-on device | |
TW201337509A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 motion detector | |
KR20170105865A (en) | Display apparatus | |
US20120325985A1 (en) | Rotary stand for tv screen or monitor | |
WO2012135356A2 (en) | Rotary stand for tv screen or monitor | |
US8118435B2 (en) | Multiple projector image overlay systems | |
TWI749574B (en) | Car central screen system and control method | |
JP2010074477A (en) | Electronic device | |
US20120086709A1 (en) | 3d/2d display device switching module | |
KR100838592B1 (en) | Display tilting apparatus and display rotation apparatus | |
JP2003069920A (en) | Panel device | |
US20210191680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r image | |
JP2007193120A (en) | Projector device and adjustable arm used in projector device | |
KR20170107354A (en) | Electrical fishing reel | |
JP2016159779A (en) | Image display device | |
US20050105173A1 (en) | Freely positionable display device for microscope data and/or image dat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