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548A - Method for selecting call mode in portab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lecting call mode in portab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548A
KR20080091548A KR1020070034519A KR20070034519A KR20080091548A KR 20080091548 A KR20080091548 A KR 20080091548A KR 1020070034519 A KR1020070034519 A KR 1020070034519A KR 20070034519 A KR20070034519 A KR 20070034519A KR 20080091548 A KR20080091548 A KR 20080091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de
voice level
input
cal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5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미애
김부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4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1548A/en
Publication of KR2008009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54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Abstract

A method for selecting a call mode in a portable terminal by using the voice recognition is provided to select the proper calling mode automatically through the conjecture of the surround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of the user. A control member recognizes the waiting mode of a portable phone(S201). The control member confirms whether a calling mode according to a voice level is set(S203). When a calling mode according to a voice level is set, the control member searches the coincided telephone number from a phone book of a memory member and selects a calling mode according to the inputted voice level(S209). Thereafter, the control member recognizes the selection of telephone number for performing a telephone call by a user and transmits a call to the selected number(S211). Thereafter, the control member confirms the call connection(S213). When connecting the call, a user performs the telephone call with the subscriber of the call connected telephone number(S215).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METHOD FOR SELECTING CALL MODE IN PORTAB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How to select the call mode of a mobile device using speech recognition {METHOD FOR SELECTING CALL MODE IN PORTAB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통화 모드 선택을 위한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for selecting a call mode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통화 모드 선택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selecting a call mode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음성 인식에 따른 통화 모드 선택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ll mode sel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voice recognition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 인식을 이용한 통화 모드 설정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setting a call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통화 모드 선택을 위한 휴대 단말기에 호 수신 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upon receiving a call to a mobile terminal for selecting a call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모드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통화 시, 또는 호 수신으로 통화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레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가 선택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lecting a call mode using a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when a call is made by using voice recognition or a call is received by a call, the call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input from the user. It relates to a call mode selection method.

휴대 단말기의 보급 및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서 휴대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할 때, 공연장이나 시장과 같이 외부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출력되는 수신음이 잘 들리지 아니하므로 수신 음량을 크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서관이나 사무실과 같이 외부 소음이 적은 곳에서는 수신음이 타인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음량을 줄여야 한다.As the spread and use of portable terminals increase, portable terminals are used in various places. When making a call using a mobile terminal, the reception sound is not heard well in places with high external noise such as a performance hall or a market, so the reception volume should be increased. And in places where there is little outside noise such as a library or office, the volume should be reduced so that the reception sound does not disturb others.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서 음량 조절 방법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음량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주변 환경에 따라 음량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the volume control method is for a user to manually adjust the volume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this reason, the user is inconvenient to adjust the volum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되는 음성 레벨에 따라 통화 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lecting a call mode of a mobi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in which a call mode is automatic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input in the voice recognition mo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 수신 시, 통화를 위해 입력되는 음성 레벨에 따라 통화 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l mode selec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in which a call mode is automatically selected according to a voice level input for a call when a call is receiv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으로서, 음성 인식 모드 시 통화를 원하는 가입자를 음성으로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가입자와 일치하는 전화번호 검색 및 상기 입력된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가 선택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of selecting a call mode of a mobi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subscriber to the call in the voice recognition mode by voice, and searching the phone number matching the input subscriber And selecting a call mode according to the input voice lev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으로서, 호 수신 시 상기 호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호 연결 시 입력되는 음성 레벨에 따라 통화 모드가 선택되는 과정을 포함한다.Another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of selecting a call mode of a mobi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call is connected when receiving a call, and the call mode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input at the call connection It includes the process of sele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화 모드"라는 용어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경우, 조절되는 마이크의 입력값과 스피커의 출력값에 따라 나누어지는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끄러운 환경에서 설정될 수 있는 스피커폰 모드, 조용한 환경에서 설정될 수 있는 도서관 모드, 일반 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all mode" refers to a mode that is divided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of the microphone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peaker when the call is mad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re may be a speakerphone mode that can be set in a noisy environment, a library mode that can be set in a quiet environment, a general mode, and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상 및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음성 인식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B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a user and enables voice recognition. Preferably,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a mobile phone, a wired / wireless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he like, and applications thereof.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통화 모드 선택을 위한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for selecting a call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RF 부(101), 오디오 처리부(103), 표시부(105), 키입력부(107), 메모리부(109), 및 제어부(11)의 구성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onfigurations of an RF unit 101, an audio processing unit 103, a display unit 105, a key input unit 107, a memory unit 109, and a control unit 11. Have

RF 부(101)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RF 부(10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The RF unit 101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101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RF 부(101)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음성으로 입력된 가입자에 해당하는 전화 번호로 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호를 송신한 가입자로부터 호 송신이 수락되면, 또는 특정 가입자로부터 호가 수신되면, RF 부(101)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와 상대방 가입자 간의 통화를 연결한다.The RF unit 101 transmits a call to a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a subscriber input by vo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call transmission is accepted from the subscriber who sent the call, or if a call is received from the specific subscriber, the RF unit 101 connects the call between the mobile terminal user and the counterpart subscriber.

오디오 처리부(103)는 제어부(111)의 오디오 코덱(CODEC)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로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udio processor 103 reproduces the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control unit 111 with the speaker or transmits the transmission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to the audio codec.

표시부(105)는 휴대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0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음성 인식 모드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가입자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05)는 호 수신 시, 사용자에게 호를 발신한 가입자의 정보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05 visually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e and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unit 105 displays the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ubscriber input from the user in the voice recogni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all is received, the display unit 105 displays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who has sent the call to the user.

키입력부(107)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키입력부(107)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음성 인식 모드 선택,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 설정, 통화 연결, 통화 종료 등의 조작을 수행한다.The key input unit 107 receives a user's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key input unit 107 performs operations such as selecting a voice recognition mode, setting a call mode according to a voice level, connecting a call, and ending a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메모리부(109)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09)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를 저장한다.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나타난다. 표 1에 나타난 통화 모드는 한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mory unit 109 stores programs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emory unit 109 stores the call mode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ll modes according to voice level are shown in Table 1 below. The call mode shown in Table 1 is one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음성 레벨Voice level 마이크MIC 스피커speaker 통화 모드Call mode Prize 30%30% 50%50% 스피커폰 모드Speakerphone mode medium 40%40% 40%40% 일반 모드Normal mode Ha 50%50% 30%30% 도서관 모드Library mode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 레벨은 상, 중, 하로 나누어질 수 있고, 그에 따른 마이크의 입력값과 스피커의 출력값이 정해진다. 그리고 그에 따른 통화 모드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 중, 하로 나누어지는 음성 레벨은 임의로 나누어지거나 사용자에 의해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이 a~b dB인 경우 음성 레벨을 상으로 설정하고, 음성이 c~d dB인 경우 음성 레벨을 중으로 설정하며, 음성이 e~f dB인 경우 음성 레벨을 하로 설정한다. 여기서, 통화 모드의 이름은 통화 모드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Table 1, the voice level of the user can be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and the input value of the microphone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peaker are determined accordingly. And the call mode is stored accordingly. Here, the voice level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may be arbitrarily divided or divided by the user. For example, if the voice is a ~ b dB, the voice level is set to upper, if the voice is c ~ d dB, the voice level is set to medium, and if the voice is e ~ f dB, the voice level is set to lower. Here, the name of the call mode is for indicating the features of the call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메모리부(109)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음성 인식 모드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과 일치하는 전화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한다.The memory unit 109 stores the phone number, and maps and stores the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voice input by the user in the voice recognition mode.

제어부(111)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1)는 본 실시예에 따라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111)는 사용자에 의해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표 1 참조)를 메모리부(109)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이 입력되면, 그에 따른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입력된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를 선택한다.The controller 111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111 controls the call mode selection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1 stores the call mode (see Table 1)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in the memory unit 109 by the user. When a voice is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111 searches for a phone number according to the input and selects a call mode according to the input voice level.

그리고 제어부(111)는 검색된 전화번호를 표시부(105)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그 전화번호로 호를 송신한다. 선택된 전화번호의 가입자와 통화가 연결되면, 제어부(111)는 선택된 통화 모드로 통화를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11 displays the retrieved telephone number on the display unit 105, and when a telephone number for a call is selected from the user, transmits a call to the telephone number. When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subscriber of the selected phone number, the control unit 111 performs the call in the selected call mode.

또한, 제어부(111)는 수신된 호를 연결하여 통화 시도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레벨을 인식한다. 그리고 입력된 음성 레벨에 따라 제어부(111)는 통화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통화 모드에서 통화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1 recognizes a voice level input from the user when a call is attempted by connecting the received call. The controller 111 selects a call mode according to the input voice level and performs a call in the selected call mo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통화 모드 선택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음성 인식에 따른 통화 모드 선택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selecting a call mode of a mobile terminal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selecting a call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selecting a call mode according to voice recognition of FIG. 2.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가 휴대 단말기의 대기 모드를 인지한다(S201).Referring to FIGS. 1 and 2, a call mode selec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s illustrated in FIG. 2, the controller 111 recognizes a standby mode of the mobile terminal (S201). ).

이어서, 제어부(111)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인식 모드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S203). 음성 인식 모드 선택 시, 제어부(111)는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205).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의 설정은 전술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는 단말 출고 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Subsequently, the controller 111 checks whether the voice recognition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S203). When the voice recognition mode is selected, the controller 111 checks whether a call mode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is set (S205). The call mode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may be set as shown in Table 1 above. The call mode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may be set at the time of shipment of the terminal or may be set by the user.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가 설정됨을 확인하면, 제어부(111)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통화를 원하는 가입자, 즉 가입자의 이름이 음성으로 입력됨을 인지한다(S207). 그리고 제어부(111)는 일치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부(109)의 폰북에서 검색하고, 입력된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를 선택한다(S209). 제어부(111)는 음성 인식 모드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레벨이 상, 중, 하 중 어느 레벨에 속하는지 확인하여 그에 맞는 통화 모드를 선택한다. 본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all mode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is set, the control unit 111 recognizes that the subscriber who wants to call from the user, that is, the name of the subscriber, is input by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S207). Then, the control unit 111 searches for a matching phone number in the phone book of the memory unit 109 and selects a call mode according to the input voice level (S209). The controller 111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level of the user input in the voice recognition mode belongs to an upper, middle, or lower level and selects a call mode according thereto. This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음성이 입력되면, 제어부(111)는 입력된 음성 레벨의 종류를 확인한다(S301). 입력된 음성 레벨이 상인 경우, 제어부(111)는 마이크의 입력값을 증가시키고, 스피커의 출력값을 감소 시켜, 스피커폰 모드를 선택한다(S303).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레벨이 크면, 제어부(111)는 사용자가 시끄러운 환경에 있음을 인지하고, 스피커폰 모드를 선택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a voice is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111 checks the type of the input voice level (S301). If the input voice level is higher, the control unit 111 increases the input value of the microphone, decreases the output value of the speaker, and selects the speakerphone mode (S303). That is, if the voice level input from the user is large, the controller 111 recognizes that the user is in a noisy environment and selects the speakerphone mode.

그리고 입력된 음성 레벨이 중인 경우, 제어부(111)는 마이크의 입력값과 스피커의 출력값을 초기화시켜, 일반 모드를 선택한다(S305). 또한, 입력된 음성 레벨이 하인 경우, 제어부(111)는 마이크의 입력값을 감소시키고, 스피커의 출력값을 증가시켜, 도서관 모드를 선택한다(S307).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 레벨이 적으면, 제어부(111)는 사용자가 조용한 환경에 있음을 인지하고, 도서관 모드를 선택한다.If there is an input voice level, the controller 111 initializes an input value of a microphone and an output value of a speaker to select a normal mode (S305). In addition, when the input voice level is lower, the control unit 111 selects the library mode by decreasing the input value of the microphone and increasing the output value of the speaker (S307). That is, if the voice level input from the user is small, the controller 111 recognizes that the user is in a quiet environment and selects the library mode.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사용자에 의해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가 선택됨을 인지하고, 선택된 전화번호로 호를 전송한다(S211). 그리고 제어부(111)는 호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S213).Next, the control unit 111 recognizes that the telephone number for the call is selecte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call to the selected telephone number (S211).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1 checks whether a call is connected (S213).

호 연결 시, 제어부(111)는 전술한 S209 과정에서 선택된 통화 모드로 선택된 전화번호에 호를 연결하여, 호 연결된 전화번호의 가입자와 통화를 수행한다(S215). 그리고 제어부(111)는 종료 여부를 확인하여(S217), 통화를 종료한다.When the call is connected, the control unit 111 connects the call to the selected phone number in the call mode selected in step S209, and performs a call with a subscriber of the call numb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1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terminate the call (S217).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음성 인식을 이용한 통화 모드 설정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setting a call mode of a mobile terminal using speec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setting a call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S203 과정에서 음성 인식 모드가 선택됨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S205 과정에서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인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11)는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 설정 요청 여부를 확인한다(S401).Referring to FIG. 4, if it is not recognized that the voice recognition mode is selected in step S203 described above, or does not recognize that the call mode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is set in step S205, the control unit 111 calls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Check whether the mode setting request (S401).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 설정이 요청됨을 확인되면, 제어부(111)는 음성 레벨의 종류를 선택받는다(S403).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all mode setting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is requested, the control unit 111 receives the type of the voice level (S403).

음성 레벨이 상인 경우, 제어부(111)는 마이크의 입력값을 증가시키고, 스피커의 출력값을 감소 시켜, 스피커폰 모드가 선택되도록 설정한다(S405). 그리고 음성 레벨이 중인 경우, 제어부(111)는 마이크의 입력값과 스피커의 출력값을 초기화시켜, 일반 모드가 선택되도록 설정한다(S407). 또한, 음성 레벨이 하인 경우, 제어부(111)는 마이크의 입력값을 감소시키고, 스피커의 출력값을 증가시켜, 도서관 모드가 선택되도록 설정한다(S409).If the voice level is higher, the control unit 111 increases the input value of the microphone, decreases the output value of the speaker, and sets the speakerphone mode to be selected (S405). If there is a voice level, the controller 111 initializes the input value of the microphone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peaker, and sets the normal mode to be selected (S407). In addition, when the voice level is low, the controller 111 sets the library mode to be selected by decreasing the input value of the microphone and increasing the output value of the speaker (S409).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전술한 도 2의 S201 과정으로 복귀한다.Next, the control unit 111 returns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S201 of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서 호 수신 시, 통화 모드 선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통화 모드 선택을 위한 휴대 단말기에 호 수신 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selecting a call mode when receiving a call in a mobi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when receiving a call in a mobile terminal for selecting a call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11)가 휴대 단말기의 대기 모드 중에(S501), 호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S503).Referring to FIG. 5, first, the control unit 111 checks whether a call is received during the standby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S501) (S503).

외부로부터 호가 수신됨을 확인하면, 제어부(111)는 사용자로부터 호 연결 여부를 확인한다(S505). 호 연결이 확인되면, 제어부(111)는 호 연결 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레벨의 종류를 확인한다(S507). When confirming that the cal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111 checks whether the call is connected from the user (S505). When the call connection is confirmed, the control unit 111 checks the type of the voice level of the user input when the call is connected (S507).

입력된 음성 레벨이 상인 경우, 제어부(111)는 마이크의 입력값을 증가시키고, 스피커의 출력값을 감소 시켜, 스피커폰 모드를 선택한다(S509). 그리고 입력된 음성 레벨이 중인 경우, 제어부(111)는 마이크의 입력값과 스피커의 출력값을 초기화시켜, 일반 모드를 선택한다(S511). 또한, 입력된 음성 레벨이 하인 경우, 제어부(111)는 마이크의 입력값을 감소시키고, 스피커의 출력값을 증가시켜, 도서관 모드를 선택한다(S513).If the input voice level is higher, the control unit 111 increases the input value of the microphone, decreases the output value of the speaker, and selects the speakerphone mode (S509). If there is an input voice level, the controller 111 initializes the input value of the microphone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peaker, and selects a normal mode (S511). In addition, when the input voice level is lower, the controller 111 selects the library mode by decreasing the input value of the microphone and increasing the output value of the speaker (S513).

이어서, 제어부(111)는 선택된 통화 모드로 호 연결된 전화번호의 가입자에 호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한다(S515). 그리고 제어부(111)는 종료 여부를 확인하여(S517), 통화를 종료한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11 connects the call to the subscriber of the call number connected in the selected call mode and performs a call (S515). The control unit 111 checks whether or not it ends (S517) and ends the call.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all mode selec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voic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인식 모드 또는 호 수신 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레벨에 따라 주변 환경을 추측하여 적절한 통화 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ppropriate call mode is automatically selected by gues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voice level of the user inputted upon receiving a call,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Claims (10)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에 있어서,In the call mode selec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using speech recognition, 음성 인식 모드 시, 통화를 원하는 가입자를 음성으로 입력하는 과정과,In the voice recognition mode, inputting a subscriber who wants to call by voice; 상기 입력된 가입자와 일치하는 전화번호 검색 및 상기 입력된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가 선택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And searching for a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subscriber and selecting a call mode according to the input voice level.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통화를 원하는 전화번호 선택 시, 상기 선택된 통화 모드로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의 가입자에 호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And selecting a call number desired for the call, connecting the caller to the subscriber of the selected phone number in the selected call mode. 제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입력 과정 이전에 수행하는 상기 음성 레벨에 따른 통화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And setting a call mode according to the voice level performed before the input proces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tting process, 상기 음성 레벨이 상(上)인 경우에 스피커폰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음성 레벨이 중(中)인 경우에 일반 모드로 설정하며, 상기 음성 레벨이 하(下)인 경우에 도서관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Set to speakerphone mode when the voice level is high, set to normal mode when the voice level is medium, and set to library mode when the voice level is low. Call mode selec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모드 선택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all mode selection process comprises: 상기 입력된 음성 레벨이 상이면 마이크의 입력값을 증가시키고 스피커의 출력값을 감소시키는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입력된 음성 레벨이 중이면 마이크의 입력값과 스피커의 출력값을 초기화로 설정하는 모드가 선택되며, 상기 입력된 음성 레벨이 하이면 마이크의 입력값을 감소시키고 스피커의 출력값을 증가시키는 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If the input voice level is higher, a mode for increasing the input value of the microphone and decreasing the output value of the speaker is selected. If the input voice level is in progress, a mode for setting the microphone input value and the speaker output value to initialization is selected. And selecting a mode for decreasing an input value of a microphone and increasing an output value of a speaker when the input voice level is high.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모드 선택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all mode selection process, 상기 입력된 음성 레벨이 상인 경우에 스피커폰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음성 레벨이 중인 경우에 일반 모드가 선택되며, 상기 음성 레벨이 하인 경우에 도서관 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The speakerphone mode is selected when the input voice level is higher, the normal mode is selected when the voice level is lower, and the library mode is selected when the voice level is lower. Way. 음성 인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에 있어서,In the call mode selec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using speech recognition, 호 수신 시, 상기 호 연결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When receiving a call, checking whether the call is connected; 상기 호 연결 시, 입력되는 음성 레벨에 따라 통화 모드가 선택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When the call is connected, selecting a call mode according to an input voice level. 제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선택된 통화 모드로 상기 호 연결된 가입자에 호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And connecting the call to the subscriber connected to the call in the selected call mod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모드 선택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all mode selection process comprises: 상기 입력된 음성 레벨이 상이면 마이크의 입력값을 증가시키고 스피커의 출력값을 감소시키는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입력된 음성 레벨이 중이면 마이크의 입력값과 스피커의 출력값을 초기화로 설정하는 모드가 선택되며, 상기 입력된 음성 레벨이 하이면 마이크의 입력값을 감소시키고 스피커의 출력값을 증가시키는 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If the input voice level is higher, a mode for increasing the input value of the microphone and decreasing the output value of the speaker is selected. If the input voice level is in progress, a mode for setting the microphone input value and the speaker output value to initialization is selected. And selecting a mode for decreasing an input value of a microphone and increasing an output value of a speaker when the input voice level is high.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모드 선택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all mode selection process comprises: 상기 입력된 음성 레벨이 상인 경우에 스피커폰 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음성 레벨이 중인 경우에 일반 모드가 선택되며, 상기 음성 레벨이 하인 경우에 도서관 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선택 방법.The speakerphone mode is selected when the input voice level is higher, the normal mode is selected when the voice level is lower, and the library mode is selected when the voice level is lower. Way.
KR1020070034519A 2007-04-09 2007-04-09 Method for selecting call mode in portab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KR200800915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519A KR20080091548A (en) 2007-04-09 2007-04-09 Method for selecting call mode in portab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519A KR20080091548A (en) 2007-04-09 2007-04-09 Method for selecting call mode in portab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548A true KR20080091548A (en) 2008-10-14

Family

ID=4015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519A KR20080091548A (en) 2007-04-09 2007-04-09 Method for selecting call mode in portab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154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927B1 (en) * 2008-11-13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927B1 (en) * 2008-11-13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20943A (en) Extended use of phones in noisy environments
JP2007221744A (en) Mobile device capable of regulating dynamically volume thereof and its related method
EP1170932B1 (en) Audible identification of caller and calle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2534774C (en) System and method of safe and automatic acoustic volume adjustment for handsfree operation
EP2119203A1 (en) Battery saving selective screen control
CN101616204B (en) Headset and handset system
US2011027633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ppending an Address List and Determining a Communication Profile
KR20080091548A (en) Method for selecting call mode in portable terminal using voice recognition
CN110392878B (en) Sound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040204033A1 (en)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a first and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s
KR20090027817A (en) Method for output background soun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10277726B2 (en) Mobile to landline dialer
KR20070080011A (en) Method and circuit for embodiment ear mike phone of stereo earphone i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8107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volume contro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566199B1 (en) Telephone control automatic telephone call volume and its method
KR20050095485A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phone remotely
KR10073656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203369Y1 (en) Telephone
EP0982914A2 (en) A telephone linked with an external audio set
KR200254448Y1 (en) Phone volume controller
KR101089193B1 (en) Control method of sound volume on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20020066032A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ringing up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KR1007901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file in a wireless mobile terminal
KR100452532B1 (en) Method of searching and calling telephone number by using hands-free earmicrophone
JP2013135462A (en)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