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071A -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071A
KR20080090071A KR1020070033093A KR20070033093A KR20080090071A KR 20080090071 A KR20080090071 A KR 20080090071A KR 1020070033093 A KR1020070033093 A KR 1020070033093A KR 20070033093 A KR20070033093 A KR 20070033093A KR 20080090071 A KR20080090071 A KR 20080090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cause
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initia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석
황순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0071A/ko
Publication of KR20080090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3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 G06F11/0742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functional embedded systems, i.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desig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ing a certain func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mbedded in a mobile device, e.g. mobile phones, handheld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66Error or fault reporting or s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오류 발생 시 최소한의 전화통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류 발생 시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은 파워 온 시에 정상 부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정상 부팅상태가 아니면 재부팅을 수행하고 상기 재부팅 횟수에 대하여 임계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부팅 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오류로 인식하여 상기 오류의 원인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오류의 원인을 해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휴대단말기, 시스템 복원, 오류 복구, 오류 삭제, 초기화

Description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restoring of system when error occur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벤트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와 휴대단말기의 대기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와의 대화 즉,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취향과 상황에 맞는 다양한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최단의 접속 경로로 제공하는 개인맞춤형서비스, 대화형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제공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를 사용하다보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지정하여 사용하던 대기화면에서는 발생하지 않던 오류로 인한 부팅의 불가능, 휴대단말기의 리셋과 부팅이 반복되는 무한리셋 등의 현상들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최소한의 전화통화 기능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현상들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서비스센터에 방문하여 수리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오류 발생 시 최소한의 전화통화 기능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기 위한 방법 및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오류 발생 시 상기 오류 발생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복구함으로써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기 위한 방법 및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오류 발생 시 상기 휴대단말기를 초기화하여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기 위한 방법 및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류 발생 시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은 파워 온 시에 정상 부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정상 부팅상태가 아니면 재부팅을 수행하고 상기 재부팅 횟수에 대하여 임 계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부팅 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오류로 인식하여 상기 오류의 원인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오류의 원인을 해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휴대단말기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파워 온 시에 정상 부팅여부를 판단하여 정상 부팅상태가 아니면 재부팅을 수행하고 상기 재부팅에 대한 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오류로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재부팅 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감지된 오류에 대한 원인을 해소하는 시스템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RF(Radio Frequency)부(101), 오디오처 리부(103), 입력부(105), 제어부(107), 시스템복원부(111), 메모리(113), 표시부(115)를 포함한다.
RF부(101)는 휴대단말기와 이동통신망과의 통상적인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RF부(101)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음성데이터의 송/수신, 문자메시지의 송/수신 및 멀티미디어메시지의 송/수신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처리부(103)는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7)로 제공한다. 오디오처리부(103)는 RF부(101)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107)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입력부(105)는 통상적인 키패드로 구성된다. 또한, 입력부(105)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또는 스크롤 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05)는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05)는 휴대단말기에 발생한 시스템 오류원인이 컨텐츠제공서비스의 제거/복구에 대한 신호를 발생하는 키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에 대한 신호를 발생하는 키를 포함한다.
제어부(107)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특히, 제어부(107)는 RF부(101)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변조화하는 송신수단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화/복호화하는 수신수단을 구비한다. 제어부(107)는 모뎀 및 코덱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07)는 휴대단말기 부팅 시 표시부(115)에 표시할 대기화면을 설정한다. 아울러, 제어부(107)는 컨텐츠제공서비스로 인한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오류 발생 시 상기 오류 발생의 원인을 제거/복구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복원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복원부(111)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로 인한 오류 발생의 원인은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를 표시하는 대기화면의 이미지파일 또는 리소스 파일 등의 파일에 대한 손상,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의 알고리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또는 상기 리소스 파일 제어에 대한 오류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부팅 시 사용자 부팅모드, 초기화모드, 시스템 부팅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부팅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부팅모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보가 독출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대기화면을 표시하는 모드이다. 즉, 이미지 대기화면 또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대기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화모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상태(공장출하상태 즉, 휴대단말기의 통신기능을 제외한 저장데이터 등의 초기화상태)에 해당하는 모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 부팅모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 오류발생 원인 제거/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수행 모드이다.
시스템복원부(111)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로 인한 오류 발생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 상기 오류 발생의 원인 제거/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 후, 상기 수행 결과를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제어부(107)가 휴대단말기의 부팅상태를 정상 부팅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부팅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모드를 사용자 부팅모드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정상 부팅은 상기 휴대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107)는 상기 사용자 부팅모드로 진입하여 기설정된 대기화면(이미지 대기화면 또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에 대한 대기화면)을 표시부(115)에 표시한다.
반대로, 제어부(107)가 휴대단말기의 부팅상태를 정상 부팅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07)는 휴대단말기의 재부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재부팅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파워 온 상태에서 파워 오프와 파워 온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제어부(107)는 메모리(113)에 저장된 프로그램에서 산출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재부팅 횟수를 수신하여 상기 산출결과와 임계치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산출결과가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면 컨텐츠제공서비스로 인하여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후, 제어부(107)는 시스템 부팅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오류의 원인을 검출한다. 상기 오류원인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보(즉,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의 리소스,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독출되지 않는 정보로 검출한다.
제어부(107)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복원을 나타내는 알림메시지를 표시부(115)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알림메시지는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표시하고, 상기 오류의 원인의 제거/복구 수행 및 휴대단말기의 초기화 수행에 대한 메시지가 목록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07)는 입력부(105)에서 입력되는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에 대한 제어신호를 시스템복원부(111)로 전송한다. 시스템복원부(111)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를 초기화하거나, 메모리(113)에 저장된 컨텐츠제공서비스의 삭제 또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에서 발생된 오류의 원인을 검색하여 상기 오류의 복구를 수행한다.
아울러, 시스템복원부(111)가 휴대단말기를 초기화한 후, 상기 초기화 결과를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아울러, 제어부(107)는 상기 부팅 시 초기화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모드를 설정한다. 이후, 제어부(107)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재부팅을 수행하고, 상기 설정된 초기화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초기화모드에 해당하는 대기화면을 표시부(115)에 표시한다.
반대로, 시스템복원부(111)가 휴대단말기의 오류발생 원인(즉,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을 제거한 후, 상기 제거 결과를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107)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부팅 시 사용자 부팅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모드를 설정한다. 이후, 제어부(107)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재부팅을 수행하고, 상기 설정된 사용자 부팅모드(이미지 대기화면)로 진입하여 상기 사용자 부팅모드에 해당하는 대기화면을 표시부(115)에 표시한다. 아울러, 시스템복원부(111)가 휴대단말기의 오류발생 원인을 복구하면, 제어부(107)는 사용자 부팅모드(이미지 대기화면 또는 컨텐츠제공서비스) 중에서 기설정된 대기화면을 표시부(115)에 표시한다.
메모리(113)는 제어부(107)의 제어에 의해 휴대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 그램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설정상태와 메뉴에 대한 정보 등)를 저장한다. 메모리(113)는 제어부(107)의 제어에 의해 컨텐츠제공서비스에 필요한 정보(이미지, 아이콘 등), 이미지 대기화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13)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재부팅 횟수를 산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표시부(115)는 제어부(107)의 제어를 받아 휴대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와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1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15)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발생한 오류를 제거/복구하거나, 상기 휴대단말기를 초기화하기 위한 알림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5)는 사용자 부팅모드, 초기화모드, 시스템 부팅모드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벤트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S201단계에서 제어부(107)는 휴대단말기의 파워 온(Power On)을 감지하고, S203단계에서 제어부(107)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정상 부팅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S20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부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제어부(107)는 S205단계에서 사용자 부팅모드로 진입하여 S206단계에서 제어부(107)는 기설정된 대기화면(이미지 대기화면 또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에 대한 대기화면)을 표시부(115)에 표시한다.
이후, S207단계에서 제어부(107)는 입력부(105)로부터 임의의 이벤트를 수행하기 위한 발생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07)는 S209단계에서 상기 이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이벤트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에 대한 이벤트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모든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S209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이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제어부(107)는 S211단계에서 상기 이벤트를 수행한다. 반대로, 상기 이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제어부(107)는 S219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S219단계에서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로 인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에 발생한 오류의 복원을 수행한다. 상기 시스템에 발생한 오류의 복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 3에서 설명한다.
이어서, S213단계에서 제어부(107)가 입력부(105)로부터 상기 수행중인 이벤트에 대한 종료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수행중인 이벤트의 수행이 종료됨을 판단하면, 제어부(107)는 S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벤트의 수행을 종료한다.
이어서, 상기 S203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부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제어부(107)는 S2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로 인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에 발생한 오류의 복원을 수행한다. 상기 시스템 복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의 도 3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7)의 판단결과 S203단계에서 상기 휴 대단말기의 부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거나, S209단계에서 상기 이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제어부(107)는 S301단계로 진행한다.
S301단계에서 제어부(107)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재부팅을 수행하고, S303단계에서 제어부(107)는 메모리(113)를 제어하여 메모리(113)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재부팅 횟수(N)를 산출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메모리(113)로부터 상기 산출된 재부팅의 횟수(N)를 수신한다. 이후, 제어부(107)는 S305단계에서 상기 재부팅 횟수(N)와 임계치(예컨대, 3)를 비교하여, 상기 재부팅 횟수(N)가 3을 초과하지 않으면 S307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제어부(107)는 상기 재부팅 횟수(N)에 1을 가산하여 재부팅 횟수(N)를 재산출하도록 메모리(113)를 제어한 후, S301단계로 회귀한다. 이때, 상기 임계치 즉, 3은 충분히 변경이 가능하다.
반대로, 제어부(107)는 메모리(113)에서 전송된 상기 휴대단말기의 재부팅 횟수(N)가 임계치(예컨대, 3)를 초과하면 제어부(107)는 S309단계에서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로 인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아울러, 제어부(107)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부팅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모드를 시스템 부팅모드로 설정한다.
이후, S311단계에서 제어부(107)는 시스템 부팅모드로 진입한다. 이때, 상기 시스템 부팅모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 오류발생 원인 제거/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수행 모드이다.
이어서, S312단계에서 제어부(107)는 상기 시스템에 발생한 오류의 원인을 검출한다. 상기 오류원인은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보(즉,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의 리소스,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독출되지 않는 정보로 검출한다. S312단계에서 오류원인을 검출하면 S313단계에서 제어부(107)는 상기 오류가 발생한 시스템의 복원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 또는 상기 오류원인 제거/복구를 선택할 수 있는 알림메시지를 표시부(115)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알림메시지는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표시하고, 상기 오류의 원인의 제거/복구 수행 및 휴대단말기의 초기화 수행에 대한 메시지가 목록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S315단계에서 제어부(107)가 입력부(105)로부터 상기 오류발생 원인 제거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07)는 상기 선택신호를 시스템복원부(111)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 (107)는 S317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113)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즉, 상기 시스템에 발생한 오류의 원인)를 제거하도록 시스템복원부(111)를 제어한다. 아울러, 시스템복원부(111)가 상기 오류발생 원인을 제거하고, 제어부(107)로 상기 완료결과를 전송한다. 제어부(107)는 상기 완료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부팅 시 휴대단말기 모드를 사용자 부팅모드로 설정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S319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상기 오류발생 원인 제거 상태를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재부팅을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107)는 S321단계에서 사용자 부팅모드로 진입하고 S323단계에서 제어부(107)는 표시부(115)에 상기 사용자 부팅모드에 해당하는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가 제거되었으므로 상기 대기화면은 이미지 화면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 제조업체의 로고 등일 수 있다.
반대로, S315단계에서 제어부(107)가 입력부(105)로부터 상기 오류발생 원인 복구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07)는 상기 선택신호를 시스템복원부(111)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S327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113)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즉, 상기 시스템에 발생한 오류의 원인)를 복구하도록 시스템복원부(111)를 제어한다. 아울러, 시스템복원부(111)가 상기 오류발생 원인을 복구하고, 제어부(107)로 상기 완료결과를 전송한다. 제어부(107)는 상기 완료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부팅 시 휴대단말기 모드를 사용자 부팅모드로 설정한다. 제어부(107)는 S319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에 상기 오류발생 원인 제거 상태를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재부팅을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107)는 S321단계에서 사용자 부팅모드로 진입하고 S323단계에서 제어부(107)는 표시부(115)에 상기 사용자 부팅모드에 해당하는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가 복구되었으므로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대기모드가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였으면 상기 서비스에 해당하는 대기화면을 표시부(115)에 표시한다.
또한, S315단계에서 제어부(107)가 입력부(105)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07)는 S3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공장출하상태)를 수행도록 시스템복원부(111)를 제어한다. 아울러, 시스템복원부(111)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를 수행하고 제어부(107)로 상기 수 행결과를 전송한다. 제어부(107)는 상기 수행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단말기 부팅 초기화모드로 진입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S333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상태를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재부팅을 수행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S335단계에서 초기화모드로 진입하고 S323단계에서 제어부(107)는 표시부(115)에 상기 초기화모드에 해당하는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초기화모드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초기화상태(공장출하상태 즉, 휴대단말기의 통신기능을 제외한 저장데이터 등의 초기화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초기화모드에 해당하는 대기화면은 상기 휴대단말기 제조업체의 로고 등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오류 발생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을 복원함으로써, 최소한의 전화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오류 발생 시 상기 오류 발생의 원인을 제거/복구하거나, 상기 휴대단말기를 초기화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을 복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오류 발생 시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파워 온 시에 정상 부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정상 부팅상태가 아니면 재부팅을 수행하고 상기 재부팅 횟수에 대하여 임계치 초과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부팅 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오류로 인식하여 상기 오류의 원인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오류의 원인을 해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복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의 원인을 해소하는 단계는
    시스템 부팅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검출된 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알림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복원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메시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 오류원인 제거/복구에 대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복원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의 원인을 해소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메시지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오류원인 제거/복구가 선택되면 상기 오류원인을 제거/복구하는 단계;
    상기 오류원인의 제거/복구 완료 시 재부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재부팅 후, 사용자 부팅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복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의 원인을 해소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메시지에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단말기를 초기화하는 단계;
    상기 초기화 완료 시 재부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재부팅 후, 초기화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초기화에 해당하는 대기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복원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정상 부팅상태이면 사용자 부팅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의 정상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정상수행 되지 않으면 오류로 감지하여 상기 오류의 원인을 해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복원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부팅모드는
    상기 알림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 오류원인 제거/복구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부팅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복원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의 원인을 검출하는 단계는
    파워 온 시에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보에서 독출되지 않는 정보를 상기 오류원인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복원 방법.
  9.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파워 온 시에 정상 부팅여부를 판단하여 정상 부팅상태가 아니면 재부팅을 수행하고 상기 재부팅에 대한 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오류로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재부팅 횟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감지된 오류에 대한 원인을 해소하는 시스템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정상 부팅상태가 아니면 상기 오류의 해소를 나타내는 알림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메시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 오류원인 제거/복구에 대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복원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초기화 또는 오류원인 제거/복구 중 선택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스템복원부에서 상기 초기화 또는 오류원인 제거/복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에 대한 수행완료 신호 수신 시 재부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상 부팅이 수행된 후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이벤트에 오류가 감지되어 상기 이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시스템복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오류의 원인을 해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70033093A 2007-04-04 2007-04-04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KR20080090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093A KR20080090071A (ko) 2007-04-04 2007-04-04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093A KR20080090071A (ko) 2007-04-04 2007-04-04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071A true KR20080090071A (ko) 2008-10-08

Family

ID=4015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093A KR20080090071A (ko) 2007-04-04 2007-04-04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00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41B1 (ko) * 2011-12-14 2012-05-25 (주)지란지교소프트 컴퓨팅 장치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이용한 문제상황 해결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332815B1 (ko) * 2012-02-29 2013-11-27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을 위한 재부팅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29713B1 (ko) * 2014-01-07 2015-06-17 주식회사 텔레칩스 비정상 전원절환에 대한 안드로이드 단말의 안정성 강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9343996A (zh) * 2018-10-30 2019-02-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重启定位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541B1 (ko) * 2011-12-14 2012-05-25 (주)지란지교소프트 컴퓨팅 장치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이용한 문제상황 해결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기록매체
KR101332815B1 (ko) * 2012-02-29 2013-11-27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을 위한 재부팅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29713B1 (ko) * 2014-01-07 2015-06-17 주식회사 텔레칩스 비정상 전원절환에 대한 안드로이드 단말의 안정성 강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9343996A (zh) * 2018-10-30 2019-02-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重启定位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8434B2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restoring firmware program
KR101668786B1 (ko)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163854B1 (en) Reduced notifications for same push messages
CN107193598B (zh) 一种应用启动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021735A (ko) 저장 공간을 절약하기 위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5988805B (zh) 一种应用程序的管理方法及移动终端
CN108509291B (zh) 应用程序运行异常修复方法及系统,以及移动终端
CN106776908B (zh) 数据清理方法、装置及终端
KR20080090071A (ko) 오류 발생 시 시스템을 복원하는 방법 및 휴대단말기
CN112214376A (zh) 存储空间提示方法及装置
CN106844057B (zh) 数据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8850264B2 (en)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0709822B (zh) 一种终端设备的故障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03209260B (zh) 一种基于移动终端待处理事件的处理方法和装置
CN111182153B (zh) 系统语言的设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1714355A (zh) 语音辨识功能启动系统及方法
JP5795405B2 (ja) 携帯端末、ロック解除プログラムおよびロック解除方法
CN108089837B (zh) 一种麦克风的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446188B (zh) 一种数据备份方法及移动终端
CN107766089B (zh) 一种系统启动的方法和装置
US10708405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CN107122266B (zh) 一种备份资料的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90672A (zh) 一种图像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1914148A (zh) 搜索引擎的切换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11443938B (zh) 系统更新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