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020A - Data storage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ata storage module - Google Patents

Data storage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ata storage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020A
KR20080090020A KR1020070032951A KR20070032951A KR20080090020A KR 20080090020 A KR20080090020 A KR 20080090020A KR 1020070032951 A KR1020070032951 A KR 1020070032951A KR 20070032951 A KR20070032951 A KR 20070032951A KR 20080090020 A KR20080090020 A KR 20080090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de
signal
storage module
data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9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64597B1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597B1/en
Publication of KR20080090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0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2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operating wavebands
    • H01Q5/25Ultra-wideband [UWB] systems, e.g. multiple resonance systems; Puls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data storage module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are provided to avoid additional installing of an SDIO card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 capturing by a digital camera an image of a subject and transmitting image data to a host. An interface(110) is connected to a digital processing device. A storage unit(140) stores data transferred from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A communication unit(151) transmits/receives the data from the storage unit to a host at UWB(Untra WideBand). A mode conversion unit(120a) converts the data in a storage mode in which the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r in a communication mode in which the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the communication unit. A mode conversion unit includes a mode conversion detecting unit(122) for detecting the first signal to control the conversion into the storage mode and the second signal to control conversion into the communication mode, and a mode conversion controller(123) for converting into the storage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signal and converting into the communication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signal.

Description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Data storage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ata storage module}Data storage module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Data storage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ata storage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저장모듈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network using a data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저장모듈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저장모듈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저장모듈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data storage module illustrated in FIG. 2.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저장모듈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data storage module illustrated in FIG. 3.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a, b: 데이터 저장모듈 110: 인터페이스100a, b: data storage module 110: interface

120a, b: 모드변환부 130: CPU120a, b: mode converter 130: CPU

140: 저장부 151: 통신부140: storage unit 151: communication unit

152: 신호 처리부152: signal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storage module for storing dat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블루투스,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 무선 LAN,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브로, 무선 Volp 등 다양한 무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기술은 디지탈카메라, DMB, PDA, MP3, PMP, 핸드폰 등의 다양한 디지털 처리장치에 적용되어 상기 디지털 처리장치와 호스트 간의 와이어리스(wireless)를 달성하고자 한다.  Various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ultra wideband (UWB),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Zigbee, wireless LAN,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iBro, and wireless Volp are being developed. Such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pplied to various digital processing devices such as a digital camera, a DMB, a PDA, an MP3, a PMP, a mobile phone, and the like, to achieve wireless between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and a host.

종래 디지털 처리장치의 일종인 디지털 카메라에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무선으로 호스트에 전송할 경우,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SDIO 카드를 추가로 장착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SDIO 카드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디바이스 및 관련 응용 프로그램 등을 디지털 카메라에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When transmitting image data generated by photographing a subject to a host in a digital camera, which is a type of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 SDIO card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hould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addition, it is cumbersome to install driver devices and related applications for driving the SDIO card in the digital camera.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그 밖의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를 호스트에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추가 장치 및 이를 위한 드라이버 디바이스, 응용 프로그램 없이 디지털 처리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various other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ditional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to a host, a driver device therefor, and data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from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without an application progra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modu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처리장치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디지털 처리장치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호스트로 초광대역 (Ultra wideband; UWB)으로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모드 또는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변환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o a digital processing device,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from the storage unit to a host in ultra wideband (UWB), It provides a data storage module including a mod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storage mode for storing the data or the communication m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있어서, 상기 모드변환부는 저장 모드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1 신호 또는 통신 모드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2 신호를 감지하는 모드변환 감지부와, 제1 신호에 동기하여 저장 모드로 변환하고, 제2 신호에 동기하여 통신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변환 제어부를 포함한다.In the data storage module, the mode converting unit detects a first signal for controlling to convert to a storage mode or a second signal for controlling to convert to a communication mode, and a storage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signal. And a mode conversion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o a communication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signal.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처리장치와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신호에 동기하여 저장 모드로 변환하며, 상기 저장 모드에서 디지털 처리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데이터 저장모듈에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신호에 동기하여 통신 모드로 변환하며, 통신 모드에서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초광대역 (Ultra wideband; UWB)으로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모듈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digital processing device to generate a first signal in the data storage module, converting to a storage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signal, and storing the data from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n the storage mode, Generating a second signal in the data storage module, converting to a communication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signal,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stored in the communication mode in ultra wideband (UWB); Provide a method.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데이터 저장모듈이 대기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제2 신호는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가 저장 완료된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data storage module, the first signal may b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ata storage module is in a standby state. The second signal may be a signal for notifying the data storage module that data has been stored.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저장모듈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network using a data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저장모듈로 메모리 카드(100)를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illustrates a memory card 100 as a data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디지털 처리장치로 디지털 카메라(200)를 예시하나, DMB, PDA, PMP, MP3, 핸드폰 등 다양한 디지털 처리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Although the digital camera 200 is exemplified as a digital processing device, various digital processing devices such as a DMB, a PDA, a PMP, an MP3, and a mobile phone may be used.

호스트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splay device 300 is illustrated as a host,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200)에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100)에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camera 200 generates image data, stores the generated image data in the memory card 100, and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the stored image data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Configure your network.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20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무선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용이하게 재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을 위한 추가 장치, 또는 드라이버 디바이스 및 관련 응용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Therefore,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digital camera 200 can be easily reproduced to the display apparatus 300 wirelessly without using a cable,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devic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or a driver device and related information. No application is requir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저장모듈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수동으로 데이터 저장 모드 및 통신 모드를 변환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모듈(100a)이다. Referring to FIG. 2, a data storage module 100a capable of manually converting a data storage mode and a communication mode.

본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저장모듈(100a)은 인터페이스(110), 모드변환부(120a), CPU(130), 저장부(140), 통신부(151), 및 신호 처리부(152)를 구비한다. The data storage module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terface 110, a mode conversion unit 120a, a CPU 130, a storage unit 140, a communication unit 151,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152.

상세하게, 인터페이스(110)는 데이터 저장모듈(100a)이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장치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접속부이다. 따라서 데이터 저장모 듈(100a)은 디지털 처리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저장모듈(100a)은 저장 모드로 설정된 것이다. In detail, the interface 110 is a connection unit to which the data storage module 100a is connected to a digital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to transmit data. Therefore, the data storage module 100a may receive and store data from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the interface 110. At this time, the data storage module 100a is set to the storage mode.

데이터 저장모듈(100a)은 통신 모드로 변환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모드 변환은 모드변환부(120a)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드변환부(120a)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저장 모드를 설정하는 제1 신호 및/또는 통신 모드를 설정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변환 입력부(121)를 포함한다. 모드면환 입력부(121)는 외부 입력, 예를 들어 키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여 상기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The data storage module 100a may also convert to a communication mode. Such a mode convers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mode conversion unit 120a. In this embodiment, the mode conversion unit 120a includes a mode conversion input unit 121 generating a first signal for setting a storage mode and / or a second signal for setting a communication mod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mode ring input unit 121 may generate the signals by inputting by a user through an external input, for example, a key button.

또한, 모드변환부(120a)는 상기 제1 신호에 동기하여 저장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신호에 동기하여 통신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변환 제어부(123)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ode conversion unit 120a includes a mode conversion control unit 123 for converting to a storage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signal and for converting to a communication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signal.

CPU(130)는 인터페이스(110), 저장부(140), 통신부(151), 및 신호 처리부(152) 등의 데이터 저장모듈(100a)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The CPU 1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s of the data storage module 100a such as the interface 110, the storage 140, the communication unit 151, and the signal processor 152.

저장부(140)는 제1 저장부(141), 제2 저장부(142), 및 제3 저장부(143)를 포함한다. 제1 저장부(141)는 디지털 처리장치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따라서, 제1 저장부(141)는 상기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소자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 소자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저장부(142)는 데이터 저장모듈(100a)을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으로, ROM(Read only memor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3 저장부(143)는 데이터 저장모듈(100a)의 구동시 필요한 기억 공간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 등 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141, a second storage unit 142, and a third storage unit 143. The first storage unit 141 stor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Therefore, the first storage unit 141 is made of a device capable of safely storing the data, and may be formed using, for example, a flash memory device. In addition, the second storage unit 142 stores a program for driving the data storage module 100a and may be configured as a read only memory (ROM). In addition, the third storage unit 143 is a storage space required for driving the data storage module 100a and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통신부(151)는 무선으로 제1 저장부(141)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호스트에 송수신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를 UWB로 호스트에 전송한다. UWB는 반경 10m 이내의 근거리에서 매우 넓은 대역에 걸쳐 저전력으로 기존의 무선 주파수를 공유하며, 480Mbps 이상의 초고속 무선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통신부(151)는 안테나를 통해 대용량의 데이터까지 저전력으로 호스트에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51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41 to an external host. At this time,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host by UWB. UWB shares existing radio frequencies with low power over very wide bands within a 10m radius and enables ultra-fast wireless transmissions of 480Mbps or mor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unit 151 can transmit and receive to a host at low power even a large amount of data through the antenna.

신호 처리부(152)는 상기 제1 저장부(141)에 저장된 데이터를 디지털 처리하여 호스트로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신호 처리부(152)는 상기 데이터를 검사 및 추출하는 맥(Media Access control; MAC), 상기 맥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도록 확장 변조, 동기 및 검파 등의 디지털화하여 조합 및 검사하는 베이스밴드(Baseband)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152 digitally processes the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41 and converts the data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a host. The signal processor 152 is a MAC for inspecting and extracting the data, and a baseband for digitizing, combining, and inspecting an extended modulation, synchronization, and detection such that data received from the MAC can be transmitted.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110), 모드변환부(120a), CPU(130), 저장부(140), 통신부(151), 및 신호 처리부(152) 등의 연결은 메인 버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버스와 각 구성 소자들 간에는 보조 버스를 통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terface 110, the mode converter 120a, the CPU 130, the storage 140, the communication unit 151, and the signal processor 152 are connected to the main bus. Signals and data can be transferred between the bus and its components via an auxiliary bus.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저장모듈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른 데이터 저장모듈(100b)은 수동으로 모드 변환되는 도 2의 데이터 저장모듈(100a)과 달리 자동으로 모드 변환을 수행한다. 이하, 도 3의 데이터 저장모듈(100b)에서 도 2의 데이터 저장모듈(100a)과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orag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storage module 100b according to FIG. 3 automatically performs mode conversion unlike the data storage module 100a of FIG. Hereinafter, the data storage module 100b of FIG. 3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data storage module 100a of FIG. 2.

본 실시예에서 모드변환부(120b)는 모드변환 감지부(122) 및 모드변환 제어부(123)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mode conversion unit 120b includes a mode conversion detection unit 122 and a mode conversion control unit 123.

모드변환 감지부(122)는 디지털 처리장치로부터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는 상태를 준비하도록 하는 제1 신호 및/또는 상기 데이터를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상태를 준비하도록 하는 제2 신호를 감지한다. 이전에, 데이터 저장모듈은 디지털 처리장치로부터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는 상태의 준비 단계에 있다면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모드변환 감지부(122)에서 상기 제1 신호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상태의 준비 단계에서 제2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드변환 감지부(123)에서 제2 신호를 감지한다.The mode conversion detector 122 detects a first signal for preparing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data to be stored from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nd / or a second signal for preparing a state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data. do. Previously, the data storage module generates a first signal when the data storage module is in a preparation step in which data to be stored from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can be received, and detects the first signal by the mode conversion detector 122. In addition, the second mode is detected by the mode conversion detector 123 by generating a second signal in a preparation step in which the data can be wirelessly communicated.

상기 제1 신호는 데이터 저장모듈(100b)이 대기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모듈(100b)을 상기 디지털 처리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디지털 처리장치에서 데이터 저장모듈(100b)을 인식하여, 디지털 처리장치로부터 데이터 저장모듈(100b)로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는 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제1 신호로 할 수 있다. The first signal may b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ata storage module 100b is in a standby state. For example, the data storage module 100b may be connected to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ata processing module 100b may be recognized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o receive data from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o the data storage module 100b. A signal indicating a state can be used as the first signal.

또한, 제2 신호는 데이터 저장모듈(100b)이 대기 상태 이외의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신호는 데이터 저장모듈(100b)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 완료된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저장모듈(100b)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통신 모드로 변환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호스트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ignal may be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ata storage module 100b is in a state other than the standby state. For example, the second signal may be a signal for notifying the data storage module 100b that the data is completely stored. Therefore, when data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100b, th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communication mode and transmitted to the external host.

모드변환 제어부(123)는 상기 제1 신호에 동기하여 저장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신호에 동기하여 통신 모드로 변환을 제어한다.The mode conversion control unit 123 converts to the storage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signal and controls the conversion to the communication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signal.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모듈(100b)은 모드변환 감지부(122) 및 모드변환 제어부(123)로 이루어진 모드변환부(120b)외에, 인터페이스(110), CPU(130), 저장부(140), 통신부(151), 및 신호 처리부(152)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소자들은 메인 버스로 서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버스와 각 구성 소자들 간에는 보조 버스를 통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module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e interface 110, the CPU 130, and the storage 140, in addition to the mode conversion unit 120b including the mode conversion detection unit 122 and the mode conversion control unit 123. ), A communication unit 151,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152. Th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main bus, and the main bus and each of the components may transmit signals and data through an auxiliary bus.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관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동 및 자동으로 모드 변환이 가능한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은 모드변환 감지부, 모드변환 제어부, 및 모드변환 입력부로 이루어진 모드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FIGS. 2 and 3, and may include a data storage module capable of manually and automatically changing modes, wherein the data storage module includes a mode conversion detector and a mode convers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mode conversion unit including a mode conversion input unit.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데이터 저장모듈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data storage module illustrated in FIG. 2.

도 4를 참조하면, 외부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데이터 저장모듈에 제1 신호를 입력하여 제1 신호가 생성되는지 판단한다(S110). 제1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은 저장 모드로 설정된다(S120). 그리고 디지털 처리장치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데이터 저장모듈에 저장한다(S130). 제1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외부에서 제2 신호가 입력되어 제2 신호가 생성되는지 판단한다(S140). 제2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은 통신 모드로 설정된다(S150). 그리고 데이터를 호스트로 무선 송수신한다(S160). 이때, 상기 데이터를 UWB로 호스트에 송수신한다. UWB는 반경 10m 이내의 근거리에서 매우 넓은 대역에 걸쳐 저전력으로 기존의 무선 주파수를 공유하며, 480Mbps 이상의 초고속 무선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UWB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대용량의 데이터까지 저전력으로 호스트에 송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externally, for example, the user may determine whether the first signal is generated by inputting the first signal to the data storage module (S110). When the first signal is generated, the data storage module is set to a storage mode (S120). Then, the desired data is received from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S130). If the first signal is not inpu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signal is input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second signal (S140). When the second signal is generated, the data storage module is set to the communication mode (S150). And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the host (S160). At this time, the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host by UWB. UWB shares existing radio frequencies with low power over very wide bands within a 10m radius and enables ultra-fast wireless transmissions of 480Mbps or more. Therefore,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relessly using UWB, even a large amount of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host at low power.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저장모듈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data storage module illustrated in FIG. 3.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저장모듈을 디지털 처리장치에 접속한다(S210). 상기 디지털 처리장치에서 데이터 저장모듈을 인식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준비된 상태를 알리는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신호를 감지한다(S220). 제1 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 저장모듈을 저장 모드로 변환한다(S230).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은 디지털 처리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한다(S240). 데이터 저장모듈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준비된 상태 이외의 상태를 알리는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신호를 감지한다(S250).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모듈에 데이터 저장이 완료된 상태를 알리는 제2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은 제2 신호에 동기하여 통신 모드로 변환하고(S260), 통신 모드에서 데이터 저장모듈은 무선으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한다(S270). 이때, 상기 데이터를 UWB로 호스트에 송수신한다. UWB는 반경 10m 이내의 근거리에서 매우 넓은 대역에 걸쳐 저전력으로 기존의 무선 주파수를 공유하며, 480Mbps 이상의 초고속 무선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UWB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대용량의 데이터까지 저전력으로 호스트에 송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data storage module is connected to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S210).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recognizes a data storage module, generates a first signal indicating a state ready to store data in the data storage module, and detects the first signal (S220). The data storage module is converted into the storage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signal (S230). The data storage module receives and stores data from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S240). The data storage module generates a second signal indicating a state other than a state ready to store data and detects the second signal (S250). For example, a second signal indicating a state in which data storage is completed in the data storage module may be detected. The data storage module converts to a communication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signal (S260), and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data storage module wirelessly transmits data to the host (S270). At this time, the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host by UWB. UWB shares existing radio frequencies with low power over very wide bands within a 10m radius and enables ultra-fast wireless transmissions of 480Mbps or more. Therefore,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relessly using UWB, even a large amount of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host at low power.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를 저장하며, 디지털 처리장치 또는 호스트와 분리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모듈로,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호스트로 무선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디지털 처리장치에 무선 통신기술을 위한 추가 장치 또는 이를 위한 드라이버 디바이스 및 관련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모듈을 이용하여 디지털 처리장치로부터 호스트에 상기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디지털 처리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storage module that stores data, and is a data storage module that can be separated from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or a host. The data storage module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the stored data to a hos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refore, the data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wirelessly transmit the data from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o the host using the data storag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 need to install an additional device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or a driver device and related application programs therefor. Can be sent. Therefore, the user's convenience of using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5)

디지털 처리장치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An interface for connecting with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상기 디지털 처리장치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A storage unit which stores data transferred from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nd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서 호스트로 초광대역 (Ultra wideband; UWB)으로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in ultra wideband (UWB) from the storage unit to a host; And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 모드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변환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모듈.And a mode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data into a storage mode for storing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or a communication m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변환부는 상기 저장 모드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1 신호 또는 상기 통신 모드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2 신호를 감지하는 모드변환 감지부; 및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ode conversion unit comprises: a mode conversion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sense the first signal for controlling conversion to the storage mode or a second signal for controlling conversion to the communication mode; And 상기 제1 신호에 동기하여 저장 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신호에 동기하여 통신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변환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모듈.And a mode conversion controller for converting to a storage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signal and for converting to a communication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signal. 디지털 처리장치와 접속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Generating a first signal in the data storage module by connecting to a digital processing device; 상기 제1 신호에 동기하여 저장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 Converting to a storage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signal; 상기 저장 모드에서 상기 디지털 처리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Storing data from the digital processing device in the storage mode;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Generating a second signal to the data storage module; 상기 제2 신호에 동기하여 통신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 및Converting to a communication mod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signal; And 상기 통신 모드에서 저장된 상기 데이터를 초광대역 (Ultra wideband; UWB)으로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모듈의 제어방법.And transmitting / receiving the data stored in the communication mode in ultra wideband (UWB).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이 대기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모듈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ignal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data storage module is in a standby st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 완료된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저장모듈의 제어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signal is a signal informing the data storage module that the data is completely stored.
KR1020070032951A 2007-04-03 2007-04-03 Data storage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ata storage module KR101164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951A KR101164597B1 (en) 2007-04-03 2007-04-03 Data storage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ata storag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951A KR101164597B1 (en) 2007-04-03 2007-04-03 Data storage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ata storage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020A true KR20080090020A (en) 2008-10-08
KR101164597B1 KR101164597B1 (en) 2012-07-10

Family

ID=4015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951A KR101164597B1 (en) 2007-04-03 2007-04-03 Data storage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ata storage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597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410B1 (en) 2004-11-04 2006-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D memory card for extension of function
KR200420921Y1 (en) 2006-04-04 2006-07-06 김인동 Wireless usb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597B1 (en)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22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ear channel evaluation suppor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ver multiple wireless protocols
US20130178163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EP2615870A1 (en) System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lated methods
CN111194057A (en) Resource exclusion method and terminal
JP20085200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selectively utilizing peripheral devices
CN110474744B (en) Transmission resource indication method, network equipment and terminal
CN110582109A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network access method and device
CN111278123B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equipment of unauthorized frequency band
US9762076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transmitting electric power, and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10545582A (en) random access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and terminal
EP3534660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JP3842500B2 (en) Wireless portable terminal device
CN115884253A (en) Backscattering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communication equipment
US20220394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buffered downlink data trame under multi-connection
US1064573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164597B1 (en) Data storage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ata storage module
CN112469014A (e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configuring Bluetooth connection parameters
CN116437383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request of multi-link communication
KR101781743B1 (en) Wi-Fi backscatter system and backscatter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9883330B2 (en) Device pairing using a secure zone
US20220141900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80087916A (en) Method and tag for backscatter signal synchronization in backscattering communication system
US20140187155A1 (en) Hearing device with power management and associated method
KR202000897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2077505A1 (en) Transmission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