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951A -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951A
KR20080089951A KR1020070032779A KR20070032779A KR20080089951A KR 20080089951 A KR20080089951 A KR 20080089951A KR 1020070032779 A KR1020070032779 A KR 1020070032779A KR 20070032779 A KR20070032779 A KR 20070032779A KR 20080089951 A KR20080089951 A KR 20080089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df
hop
unit
processing
process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완영
이영동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3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9951A/ko
Publication of KR2008008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각 대상자의 생리활동내역이 반영된 BD(Biological Data) 및 이의 멀티-홉(Multi-hop) 전송을 위한 멀티-홉 메시지가 결합된 생체 데이터 프레임(BDF:Biological Data Frame)을 생성·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자신에게 중간 전송된 타 디바이스 측 BDF의 멀티-홉 메시지를 분석하고, 이를 융통성 있게 멀티-홉 처리(상향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배치하여, 종래와 달리, 각 대상자의 BD가 상·하위로 줄지어 연결된 일련의 멀티-홉 라우팅 패턴을 통해, 하나의 단일 베이스 스테이션 측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 측에서, 하나의 단일 정보처리장치만으로도,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송된 BDF의 수신 및 이의 통합 관리를 융통성 있게 현실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처리장치(베이스 스테이션)를 다수 개 분산 배치함에 따른 종래의 각종 문제점들(이를테면, 각 대상자의 BD를 일목 요연하게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 정보처리장치 및 베이스 스테이션의 관리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 정보처리장치 및 베이스 스테이션의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Sensor device for wireless health care system}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서비스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채용한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서비스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의 저장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BDF의 생성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BDF 처리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 센서 디바이스 측 BDF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 BDF 처리모듈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센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각 대상자의 여러 생체 데이터(BD:Biological Data; 이하, "BD"라 호칭함)가 상·하위로 줄지어 연결된 일련의 멀티-홉 라우팅 패턴을 통해, 하나의 단일 베이스 스테이션 측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 측에서, 하나의 단일 정보처리장치만으로도,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송된 BDF의 수신 및 이의 통합 관리를 융통성 있게 현실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처리장치(베이스 스테이션)를 다수 개 분산 배치함에 따른 종래의 각종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전기 관련 기반 인프라가 급격한 성장을 이루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 대상자(M:예컨대, 환자, 일반인 등을 모두 포함)의 신체에 일련의 센서 디바이스(1)를 부착·설치하고, 이 센서 디바이스(1) 측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여러 BD, 이를테면, 심전도 데이터, 혈중산소포화도 데이터, 체온 데이터 등을 해당 센서 디바이스와 일대일 무선통신 연결되어 있는 외부 정보처리장치(3)를 통해 수신한 후, 수신된 BD를 토대로, 건강관리 대상자(M)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원격 관리하는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이 폭 넓게 개발 보급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은 이를테면, IEEE 802.15.4 표준 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WSN: Wireless Sensor Network; 이하, "WSN"이라 호칭함)를 기반으로 구현되며, 이 상황에서, 베이스 스테이션(2)은 각 외부 정보처리장치(3)와 예컨대, USB, 이더넷 등의 통신수단을 통해 상호 신호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센서 디바이스(1)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BD를 취합한 후, 취합 완료된 BD를 외부 정보처리장치(3)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각 센서 디바이스들(1)이 자신을 전담 관리하는 외부 정보처리장치(3)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무선 네트워킹 절차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자(M)의 신체에 설치된 각 센서 디바이스(1)는 자가 담당 외부 정보처리장치(3)와 일대일 무선 통신하는 구조를 개별적으로 취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자 측에서, 여러 센서 디바이스(1) 측으로부터 상향 전송되는 BD(즉, 여러 대상자의 BD)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각 센서 디바이스들(1)을 개별적으로 전담 관리하는 여러 대의 외부 정보처리장치(3) 및 베이스 스테이션(2)을 폭 넓게 분산 배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각 센서 디바이스(1)를 일대일 담당하는 여러 대의 베이스 스테이션(2) 및 외부 정보처리장치(3)가 불가피하게 분산 배치될 수밖에 없게 되는 경우, 관리자(이를테면, 의료기관) 측에서는 이를테면, 각 대상자(M)의 BD를 통합하여, 일목 요연하게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은 물론, 정보처리장치(3) 및 베이스 스테이션(2)의 분산 설치로 인해, 그들의 관리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 정보처리장치(3) 및 베이스 스테이션(2)의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 등을 불가피하게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유·무형의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대상자의 생리활동내역이 반영된 BD 및 이의 멀티-홉(Multi-hop) 전송을 위한 멀티-홉 메시지가 결합된 새로운 유형의 생체 데이터 프레임(BDF:Biological Data Frame; 이하, "BDF"라 호칭함)을 생성·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자신에게 중간 전송된 타 센서 디바이스 측 BDF의 멀티-홉 메시지를 분석하고, 이를 융통성 있게 멀티-홉 처리(상향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배치하여, 종래와 달리, 각 대상자의 BD가 상·하위로 줄지어 연결된 일련의 멀티-홉 라우팅 패턴을 통해, 하나의 단일 베이스 스테이션 측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 측에서, 하나의 단일 정보처리장치만으로도,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송된 BDF의 수신 및 이의 통합 관리를 융통성 있게 현실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처리장치(베이스 스테이션)를 다수 개 분산 배치함에 따른 종래의 각종 문제점들(이를테면, 각 대상자의 BD를 일목 요연하게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 정보처리장치 및 베이스 스테이션의 관리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 정보처리장치 및 베이스 스테이션의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건강관리 대상자의 신체에 부착되며, 상기 신체의 생리활동내역이 반영된 생체 데이터(BD:Biological Data)를 생성하여, 외부 출력하는 센서유닛과, 상기 센서유닛과 신호 연결되며, 상기 BD의 멀티-홉(Multi-hop) 전송을 위한 멀티-홉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멀티-홉 메시지를 상기 BD와 결합하여, 생체 데이터 프레임(BDF:Biological Data Frame)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BDF를 상위에 있는 타 디바이스로 상향 전송하여, 상기 BDF가 멀티-홉 통신패턴을 통해, 통합 정보처리장치 측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과 아울러, 또 다른 타 디바이스의 BDF를 중간 수신하여, 해당 BDF의 멀티-홉 메시지를 분석하고, 해당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를 해당 디바이스의 상위 디바이스로 상향 전송하여,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가 상기 멀티-홉 통신패턴을 이루면서, 상기 통합 정보처리장치 측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BDF 처리유닛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100), 이를테면, 센서 디바이스(100b: 도 3 참조)는 센서유닛(101) 및 이 센서유닛(101)과 연동하는 BDF 처리유닛(110)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센서유닛(101)은 건강관리 대상자(M), 예컨대, 건강관리 대상자(M1)의 신체에 부착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M1)의 신체 생리활동(생체활동) 내역이 반영된 일련의 BD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BD를 외부 정보처리장치(3: 도 3 참조) 측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BDF 처리유닛(110)은 센서유닛(101)과 신호로 상호 연결되는 구조(유/무선 신호연결이 모두 가능함)를 취하면서, BD의 멀티-홉(Multi-hop) 전송을 위한 멀티-홉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멀티-홉 메시지를 BD와 결합하여, 일련의 BDF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BDF를 상위에 있는 타 디바이스(100c)로 상향 전송하여, BDF가 타 센서 디바이스(100c)를 활용한 멀티-홉 통신패턴을 통해, 통합 정보처리장치(3) 측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BDF 처리유닛(110)은 또 다른 타 디바이스(100a)의 BDF를 중간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해당 BDF의 멀티-홉 메시지를 분석하고, 해당 분석결과에 따라,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를 해당 센서 디바이스(100a)의 상위 디바이스(100c)로 상향 전송하여,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가 일련의 멀티-홉 통신패턴을 이루면서, 통합 정보처리장치(3) 측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대상자의 BD를 담은 BDF는 상·하위 디바이스들(100)이 줄지어 연결된 일련의 멀티-홉 라우팅 패턴을 통해, 하나의 단일 베이스 스테이션(2) 측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관리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하나의 단일 정보처리장치(3)만으로도,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100) 측으로부터 전송된 BDF의 수신 및 이의 통합 관리를 융통성 있게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상황 하에서, 관리자 측에서는 정보처리장치(3:베이스 스테이션)를 다수 개 분산 배치함에 따른 종래의 각종 문제점들, 이를테면, 각 대상자의 BD를 일목 요연하게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 정보처리장치 및 베이스 스테이션의 관리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 정보처리장치 및 베이스 스테이션의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테면, 센서 디바이스(100b: 도 3 참조)에 소속된 본 발명의 BDF 처리유닛(110)은 BDF 처리 제어모듈(111)과, 이 BDF 처리 제어모듈(11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센서 드라이버(112), 운영정보 저장모듈(116), BD 수취모듈(113), BD 전처리모듈(115), BDF 처리모듈(120),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 타 BDF 수취모듈(119), 타 BDF 처리모듈(140)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BDF 처리 제어모듈(111)은 인터페이스 모듈(111a), 안테나모듈(118) 등을 매개로, 대상자(M1)의 신체에 부착된 센서유닛(101) 및 타 센서 디바이스들(100), 이를테면, 타 센서 디바이스들(100a,100c)과 일련의 무선 통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센서유닛(101)의 구동 및 관리절차, BD의 수취절차, BDF의 생성 및 멀티-홉 전송절차,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의 멀티-홉 처리절차 등을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BDF 처리 제어모듈(11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1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홉 전송·처리절차의 운영을 위한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이를테면, 자신을 포함한 주변의 각 센서 디바이스들이 어떠한 타 디바이스들을 자가 BDF의 상·하위 송·수신 경로로 라우팅 하고 있는가 하는 정보)를 비롯하여, BDF 처리유닛(110)의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들, 예컨대, 센서유닛(101)의 등록정보, 베이스 스테이션(2)의 등록정보, 외부 정보처리장치(3)의 등록정보, WSN의 접속·유지 및 운영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BDF 처리 제어모듈(111)에 의해 제어되는 센서 드라이버(112)는 인터페이스 모듈(111a)을 매개로, 대상자(M1)의 신체에 부착된 센서유닛(101)들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해당 센서유닛(101)들의 구동 상태(이를테면, 온/오프상태)를 융통성 있게 통제·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BDF 처리 제어모듈(111)에 의해 제어되는 BD 수취모듈(113)은 인터페이스 모듈(111a)을 매개로, 센서유닛(101)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해당 센서유닛(101)들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BD를 수취하고, 수취 완료된 BD를 프로세싱 버퍼(114)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BDF 처리 제어모듈(111)에 의해 제어되는 BD 전처리모듈(115)은 BD 수취모듈(113)의 기능 수행에 의해, 센서유닛(101) 측 BD가 프로세싱 버퍼(114) 내에 저장 완료되면, 해당 BD의 신호를 측정한 후, 이를 하드웨어 적으로 차동 증폭 및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완료된 BD를 프로세싱 버퍼(114)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 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BD 전처리모듈(115)의 기능 수행에 의해 프로세싱 버퍼(114) 내에 BD가 안정적으로 저장 완료되면, BDF 처리 제어모듈(111)에 의해 제어되는 BDF 처리모듈(120)은 운영정보 저장모듈(116)과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도 4 참조)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를 토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BD(201)의 멀티-홉 전송을 위한 멀티-홉 메시지(202)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멀티-홉 메시지(202)를 BD(201)와 함께 BDF(203)로 캡슐화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BDF 처리모듈(120)은 BDF 처리 제어부(121)와, 이 BDF 처리 제어부(121)에 의해 총괄 제어되는 링크 운영부(123), BD 접수부(124), 멀티-홉 메시지 생성부(126), BD 삽입부(127), BDF 생성부(128), BDF 출력부(129)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BDF 처리 제어부(121)는 정보교환부(122)를 매개로, 프로세싱 버퍼(114), 운영정보 저장모듈(116),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BDF(203)의 생성·출력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BDF 처리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링크 운영부(123)는 정보교환부(122)를 매개로, 운영정보 저장모듈(116),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네트워크의 자기 구성(Self organizing) 및 자기 유지(Self maintaining)를 위한 각종 기반절차, 이를테면, LLC 계층(Logical Link Control layer)의 유지 운영절차, MAC 계층(Medium Access Control layer)의 연결 및 해제를 위한 ACK 프레임 전송절차, 보정된 시간슬롯 관리절차, 외부 프레임 검증절차, LQ(Link Quality) 체크절차, 비컨 메시지(Beacon message) 관리절차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 하에서, BDF 처리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BD 접수부(124)는 정보교환부(122)를 매개로, 프로세싱 버퍼(114)와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이에 저장되어 있던 센서유닛 측 BD(201)를 수취·접수한 후, 접수 완료된 BD(201)를 버퍼부(130:물론, 상황에 따라, 이러한 버퍼부의 기능 수행은 프로세싱 버퍼에 의해 대체 수행될 수 있음)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5 참조).
또한, BDF 처리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멀티-홉 메시지 생성부(126)는 정보교환부(122)를 매개로, 운영정보 저장모듈(116)과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도 4 참조)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를 체크하여, 자가 BDF(203)의 수신이 요구되는 상위 디바이스(100c)를 결정하고, 예컨대, 결정 완료된 상위 디바이스(100c)의 식별정보(이를테면, 자가 BDF를 통합 베이스 스테이션 측으로 상향 전송할 상위 디바이스의 아이디 정보), 자신의 아이디 정보, 홉 한계 정보(이러한 홉 한계 정보는 외부 전송된 BDF가 무한루프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재함) 등이 포함된 멀티-홉 메시지(202)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멀티-홉 메시지(202)를 버퍼부(130)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BD(201)의 접수절차, 멀티-홉 메시지(202)의 생성절차 등이 처리 완료되면, BDF 처리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BD 삽입부(127)는 버퍼부(130)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BD(201), 멀티-홉 메시지(202) 등을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멀티-홉 메시지(202)의 페이로드 영역(202a:Payload area)에 BD 접수부(124)에 의해 접수된 센서유닛(101) 측 BD(201)를 삽입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5 참조).
또한, BDF 처리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BDF 생성부(128)는 BD 삽입부(127)에 의해 멀티-홉 메시지(202)의 페이로드 영역(202a)에 BD(201)가 삽입 완료되면, 예컨대, 헤더정보,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오스코프 메시지(Oscope message) 등이 기재된 소스 패킷(203b)을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소스 패킷(203b)의 페이로드 영역(203a)에 BD(201)가 삽입된 멀티-홉 메시지(202)를 추가 삽입하고, 이어, 멀티-홉 메시지(202)의 추가 삽입이 완료된 소스 패킷(203b)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캡슐화 함으로써, 완성된 형태의 BDF(203)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5 참조).
또한, BDF 처리 제어부(121)에 의해 제어되는 BDF 출력부(129)는 BDF 생성부(128)의 기능 수행에 의해, BDF(203)가 생성되면, 생성 완료된 BDF(203)를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 측으로 출력함으로써, BDF(203)가 멀티-홉 메시지(202)에 따라, 상위에 있는 타 디바이스(100c)로 전송되고, 이어, 일련의 멀티-홉 라우팅 패턴을 형성하면서, 베이스 스테이션(2), 외부 정보처리장치(3) 등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BDF 출력부(129)의 기능 수행에 의해, BDF(203)가 출력 완료되면, BDF 처리 제어모듈(111: 도 2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 측에서는 BDF 처리모듈(120)에 의해 캡슐화 완료된 BDF(203)를 RF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BDF(203)를 안테나모듈(118)을 통해, <멀티-홉 메시지에 따라, 상위에 있는 타 디바이스(100c)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안테나모듈(118)은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센서 디바이스(100b)의 주변으로 방사시키거나, 센서 디바이스(100b) 주변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들을 수신한 후, 수신된 데이터들을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안테나모듈(118)로는 예컨대, <2.4GHz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하게 설계된 기판 패턴 타입의 안테나>, <2.4GHz의 주파수 대역에 적합하게 설계된 세라믹 바 타입의 안테나> 등이 탄력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물론, 이러한 안테나모듈의 종류, 설계내역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 환경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대상자(M)의 BD를 담은 BDF는 상·하위 디바이스(100)들이 줄지어 연결된 일련의 멀티-홉 라우팅 패턴을 통해, 하나의 단일 베이스 스테이션(2) 측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관리자(이를테면, 의료기관)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하나의 단일 정보처리장치(3)만으로도,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송된 BDF의 수신 및 이의 통합 관리를 융통성 있게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된다(도 3 참조).
한편,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은 안테나모듈(118) 을 매개로, 자가 센서 디바이스(100b) 주변의 타 센서 디바이스들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이 안테나모듈(118)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RF 데이터 형식을 취하는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가 접수되는 경우(물론, 이 경우, 타 센서 디바이스 측 BDF(204) 역시, 자신의 페이로드 영역(204a)에 BD(201)를 삽입한 멀티-홉 메시지(202)를 삽입하고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 접수 완료된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를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를 BDF 처리 제어모듈(111)의 물리계층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완료된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를 BDF 처리 제어모듈(111)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BDF 처리 제어모듈(111)에 의해 제어되는 타 BDF 수취모듈(119)은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의 기능 수행에 의해,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가 수신·변경처리 완료되면, 이를 수취한 후, 수취 완료된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를 프로세싱 버퍼(114)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타 BDF 수취모듈(119)의 기능 수행 하에,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가 프로세싱 버퍼(114) 내에 저장 완료되면, BDF 처리 제어모듈(111)에 의해 제어되는 타 BDF 처리모듈(140)은 해당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에 기재된 멀티-홉 메시지(202)를 상술한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를 토대로 분석하여, 해당 타 센서 디바이스(100a)의 상위 센서 디바이스(100c)를 결정한 후, 앞의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를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을 통해, 해당 타 센서 디바이스(100a)와 연계된 상위 센서 디바이스(100c) 측으로 멀티-홉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타 BDF 처리모듈(1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BDF 처리 제어부와(141), 이 타 BDF 처리 제어부(141)에 의해 타 BDF 접수부(143), 멀티-홉 메시지 판독부(145), 타 BDF 처리경로 체크부(146), 타 BDF 폐기부(148), 타 BDF 출력부(147), BDF 처리경로 갱신부(149)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타 BDF 처리 제어부(141)는 정보교환부(142)를 매개로, 프로세싱 버퍼(114), 운영정보 저장모듈(116),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 등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타 디바이스(100a) 측 BDF(204)의 멀티-홉 처리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타 BDF 처리 제어부(141)에 의해 제어되는 타 BDF 접수부(143)는 정보교환부(142)를 매개로, 프로세싱 버퍼(114)와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타 BDF 수취모듈(119)의 기능 수행 하에,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가 프로세싱 버퍼(114) 내에 저장 완료되면, 프로세싱 버퍼(114)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를 추출·접수하고, 접수 완료된 타 센서 디바이스(100a0 측 BDF(204)를 버퍼부(144)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타 BDF 처리 제어부(141)에 의해 제어되는 멀티-홉 메시지 판독부(145)는 타 BDF 접수부(143)의 기능 수행에 의해,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가 버퍼부(144) 내에 저장 완료되면, 버퍼부(144)와 교신을 취하여, 해당 BDF(204)를 추출한 후, 이 BDF(204)의 페이로드 영역(204a)에 기재되어 있던 멀티-홉 메시지(202)를 스캔하여, 그 내역을 판독하고, 해당 판독결과를 타 BDF 처리 제어부(141)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타 BDF 처리 제어부(141)에 의해 제어되는 타 BDF 처리경로 체크부(146)는 정보교환부(142)를 매개로, 운영정보 저장모듈(116)과 교신을 취하면서, 이에 저장되어 있던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도 4 참조)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를 멀티-홉 메시지 판독부(145)에 의해 판독된 멀티-홉 메시지와 비교 체크하여,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의 수신이 요구되는 상위 디바이스(100c)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타 BDF 처리경로 체크부(146)의 기능 수행에 의해, 타 센서 디바이스 측 BDF(204)의 수신이 요구되는 상위 디바이스(100c)가 결정 완료되면, 타 BDF 처리 제어부(141)에 의해 제어되는 타 BDF 출력부(147)는 정보교환부(142)를 매개로,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과 교신을 취하여,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를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 측으로 출력하고, 결국, 해당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가 자가 기재된 멀티-홉 메시지(202)에 따라, 상위에 있는 타 센서 디바이스(100c)로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타 대상자의 BD를 담은 BDF(204)는 상·하위 디바이스들(100)이 줄지어 연결된 일련의 멀티-홉 라우팅 패턴을 통해, 하나의 단일 베이스 스테이션(2) 측으로 집중 전송되는 절차를 겪을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관리자(이를테면, 의료기관)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하나의 단일 정보처리장치(3)만으로도,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100) 측으로부터 전송된 BDF(203,204)의 수신 및 이의 통합 관리를 융통성 있게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된다(도 3 참조).
한편, 상술한 타 BDF 처리경로 체크부(141)의 기능 수행 하에서, 만약, 수신된 타 센서 디바이스(100a) 측 BDF(204)의 멀티-홉 메시지(202)에 기재된 상위 센서 디바이스(이를테면, 목적지 센서 디바이스)의 식별정보가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아니하면, 타 BDF 처리경로 체크부(141)는 <해당 BDF(204)를 전송한 센서 디바이스(100a)와 연계된 상위 센서 디바이스(100c)>가 자신과 통신 연결되지 않은 센서 디바이스라 판단하고, 해당 BDF(204)의 폐기를 결정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타 BDF 처리 제어부(141)에 의해 제어되는 타 BDF 폐기부(148)는 일련의 폐기루틴을 진행함으로써, 해당 타 BDF(204)가 융통성 있게 폐기처분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타 BDF 처리 제어부(141)에 의해 제어되는 BDF 처리경로 갱신부(149)는 정보교환부(142)를 매개로, BDF 처리모듈(120)의 링크 운영부(123), RF 데이터 송/수신모뎀(117) 등과 일련의 통신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일정 주기로, 이를테면, 비컨 메시지를 센서 디바이스(100b) 주변으로 전송하고, 이 비컨 메시지에 상응하는 리턴 메시지가 주변으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리턴 메시지의 LQI(Link Quality Indication) 정보 등을 체크하여, 링크효율이 좋은 상위 디바이스를 자가 센서 디바이스(100b)의 상위 센서 디바이스로 결정하는 조치를 취함으로써, 운영정 보 저장모듈(116)에 저장되어 있는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즉, BDF 처리경로)가 항상 최선의 갱신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대상자의 생리활동내역이 반영된 BD 및 이의 멀티-홉 전송을 위한 멀티-홉 메시지가 결합된 BDF를 생성·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자신에게 중간 전송된 타 디바이스 측 BDF의 멀티-홉 메시지를 분석하고, 이를 융통성 있게 멀티-홉 처리(상향전송)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배치하여, 종래와 달리, 각 대상자의 BD가 상·하위로 줄지어 연결된 일련의 멀티-홉 라우팅 패턴을 통해, 하나의 단일 베이스 스테이션 측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 측에서, 하나의 단일 정보처리장치만으로도, 다수의 센서 디바이스 측으로부터 전송된 BDF의 수신 및 이의 통합 관리를 융통성 있게 현실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 측에서, 정보처리장치(베이스 스테이션)를 다수 개 분산 배치함에 따른 종래의 각종 문제점들(이를테면, 각 대상자의 BD를 일목 요연하게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 정보처리장치 및 베이스 스테이션의 관리가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 정보처리장치 및 베이스 스테이션의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 등)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 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건강관리 대상자의 신체에 부착되며, 상기 신체의 생리활동내역이 반영된 생체 데이터(BD:Biological Data)를 생성하여, 외부 출력하는 센서유닛과;
    상기 센서유닛과 신호 연결되며, 상기 BD의 멀티-홉(Multi-hop) 전송을 위한 멀티-홉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멀티-홉 메시지를 상기 BD와 결합하여, 생체 데이터 프레임(BDF:Biological Data Frame)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BDF를 상위에 있는 타 디바이스로 상향 전송하여, 상기 BDF가 멀티-홉 통신패턴을 통해, 통합 정보처리장치 측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함과 아울러, 또 다른 타 디바이스의 BDF를 중간 수신하여, 해당 BDF의 멀티-홉 메시지를 분석하고, 해당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를 해당 디바이스의 상위 디바이스로 상향 전송하여,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가 상기 멀티-홉 통신패턴을 이루면서, 상기 통합 정보처리장치 측으로 집중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BDF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DF 처리유닛은 상기 BDF의 생성 및 멀티-홉 전송절차,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의 멀티-홉 처리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BDF 처리 제어모듈과;
    상기 BDF 처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멀티-홉 전송·처리절차의 운영을 위한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과;
    상기 BDF 처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운영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된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를 토대로, 멀티-홉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멀티-홉 메시지를 상기 BD와 함께 BDF로 캡슐화 하는 BDF 처리모듈과;
    상기 BDF 처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BDF 처리모듈에 의해 캡슐화 완료된 BDF를 RF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 완료된 BDF를 상기 멀티-홉 메시지에 따라, 상기 상위에 있는 타 디바이스로 전송함과 아울러, RF 데이터 형식을 취하는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를 수신한 후, 수신된 타 디바이스 측 BDF를 상기 BDF 처리 제어모듈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RF 데이터 송/수신모뎀과;
    상기 BDF 처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RF 데이터 송/수신모뎀에 의해 수신·변환된 타 디바이스 측 BDF에 기재된 멀티-홉 메시지를 상기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를 토대로 분석하여, 해당 타 디바이스의 상위 디바이스를 결정한 후,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를 상기 RF 데이터 송/수신모뎀을 통해, 상기 상위 디바이스 측으로 멀티-홉 처리하는 타 BDF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DF 처리모듈은 상기 BDF의 생성·출력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BDF 처리 제어부와;
    상기 BDF 처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센서유닛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BD를 접수 처리하는 BD 접수부와;
    상기 BDF 처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운영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던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를 체크하여, 상기 BDF의 수신이 요구되는 상위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결정 완료된 상위 디바이스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멀티-홉 메시지를 생성하는 멀티-홉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BDF 처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멀티-홉 메시지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멀티-홉 메시지의 페이로드 영역(Payload area)에 상기 BD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BD를 삽입하는 BD 삽입부와;
    상기 BDF 처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BD 삽입부에 의해 멀티-홉 메시지의 페이로드 영역에 상기 BD가 삽입 완료되면, 헤더정보가 기재된 소스 패킷을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상기 소스 패킷의 페이로드 영역에 상기 BD가 삽입된 멀티-홉 메시지를 추가 삽입하고, 상기 멀티-홉 메시지의 추가 삽입이 완료된 소스 패킷을 하나의 프레임으로 캡슐화 하여, 완성된 형태의 BDF를 생성하는 BDF 생성부와;
    상기 BDF 처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BDF 생성부에 의해 상기 BDF가 생성되면, 생성 완료된 상기 BDF를 상기 RF 데이터 송/수신모뎀 측으로 출력하여, 상기 BDF가 상기 멀티-홉 메시지에 따라, 상위에 있는 타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BDF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타 BDF 처리모듈은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의 멀티-홉 처리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타 BDF 처리 제어부와;
    상기 타 BDF 처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RF 데이터 송/수신모뎀과 교신을 취하여,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를 접수 처리하는 타 BDF 접수부와;
    상기 타 BDF 처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타 BDF 접수부에 의해 접수된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를 스캔하여,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에 기재된 멀티-홉 메시지를 판독하는 멀티-홉 메시지 판독부와;
    상기 타 BDF 처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멀티-홉 메시지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멀티-홉 메시지를 상기 운영정보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던 상·하위 디바이스 경로정보와 비교 체크하여,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의 수신이 요구되는 상위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타 BDF 처리경로 체크부와;
    상기 타 BDF 처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타 BDF 처리경로 체크부에 의해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의 수신이 요구되는 상위 디바이스가 결정되면,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를 상기 RF 데이터 송/수신모뎀 측으로 출력하여, 상기 타 디바이스 측 BDF가 자가 기재된 멀티-홉 메시지에 따라, 상위에 있는 타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타 BDF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
KR1020070032779A 2007-04-03 2007-04-03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 KR20080089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779A KR20080089951A (ko) 2007-04-03 2007-04-03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779A KR20080089951A (ko) 2007-04-03 2007-04-03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951A true KR20080089951A (ko) 2008-10-08

Family

ID=4015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779A KR20080089951A (ko) 2007-04-03 2007-04-03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99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804A2 (ko) * 2010-06-11 2011-12-15 전자부품연구원 메모리 기반 다중 생체정보의 통신 프레임 단일화 처리를 통한 실시간 피드백시스템
KR101298436B1 (ko) * 2009-03-04 2013-08-2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대한 개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436B1 (ko) * 2009-03-04 2013-08-2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신체 영역 네트워크에 대한 개선
WO2011155804A2 (ko) * 2010-06-11 2011-12-15 전자부품연구원 메모리 기반 다중 생체정보의 통신 프레임 단일화 처리를 통한 실시간 피드백시스템
WO2011155804A3 (ko) * 2010-06-11 2012-02-16 전자부품연구원 메모리 기반 다중 생체정보의 통신 프레임 단일화 처리를 통한 실시간 피드백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2100B9 (zh) 数据传送方法和系统、辅助服务器以及检查设备
US89033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identification in a remote monitoring system
CN102301814B (zh) 用于体上和离体通信的收发机设备
US8818260B2 (en) Wireless relay module for remote monitoring systems
US8923967B2 (en)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 bio-medical unit
US8897198B2 (en) Medical device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s
CN101099693B (zh) 用于发送活体感测装置中的标识数据的系统和方法
EP1289409B1 (en) Population monitoring system
US20070091813A1 (en) Automatic channel switching method for low-power communication devices
CN103889300A (zh) 天线连接单元、接收装置、接收强度校正装置、胶囊型内窥镜系统、校正方法以及程序
CN101262810B (zh) 接收装置
WO2013141491A1 (ko) 생체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 통신의 보안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5286880A (zh) 基于智慧云的血氧检测系统
JP2012064181A (ja) センサ内蔵無線通信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CN107071071A (zh) 一种基于移动终端和云计算的医疗健康系统
KR20080089951A (ko) 무선 건강관리 시스템용 센서 디바이스
KR102069305B1 (ko) 개체 정보 획득 시스템 및 방법
CN101579263A (zh) 一种口腔诊所数字化管理系统
US20090306934A1 (en) Instrument monitoring system
CN105825056A (zh) 一种智慧病区信息中心系统
CN105147267B (zh) 多参数生命体征检测仪
CN201533834U (zh) 一种具有多参数无线接入与显示的医疗监护装置
CN202060747U (zh) 一种胶囊内镜数据处理系统
CN205144569U (zh) 基于智慧云的血氧检测系统
CN102630103A (zh) 混合zigbee和蓝牙的无线网关数据记录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