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541A - System and method for synthesizing english voice using korean alphabet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synthesizing english voice using korean alphab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541A
KR20080087541A KR1020070029935A KR20070029935A KR20080087541A KR 20080087541 A KR20080087541 A KR 20080087541A KR 1020070029935 A KR1020070029935 A KR 1020070029935A KR 20070029935 A KR20070029935 A KR 20070029935A KR 20080087541 A KR20080087541 A KR 20080087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pronunciation
tongue
korea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균
Original Assignee
이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균 filed Critical 이정균
Priority to KR102007002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7541A/en
Publication of KR2008008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5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ynthesizing English voice by using Korean alphabets are provided to achieve three or more continuous consonant initial sound inputs, thereby achieving input of consonant bundle and synthesizing the English voice closer to a pronunciation of a native speaker. An apparatus(100) for synthesizing English voice by using Korean alphabets comprises the following. A Korean alphabet input unit(110) receives input of Korean alphabet. A voice converting unit(120) converts the Korean alphabet input into corresponding predetermined English voice. An English voice output unit(130) outputs the English voice. The Korean alphabet input unit performs an initial sound input formed with three or more continuous consonants.

Description

한글을 이용한 영어 음성 합성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ynthesizing English voice using Korean alphabet}System and method for synthesizing English voice using Korean alphab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을 이용한 영어 음성 합성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nglish speech synthesis apparatus using Hangu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무성 마찰음의 구강 내 반사점을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raoral reflection point of an unvoiced friction sound.

도 3은 무성 마찰음의 혀의 상대적 위치를 도시한 도면.Figure 3 show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tongue of the silent friction sound.

도 4는 'th' 발음의 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Figure 4 shows the position of the tongue of 'th' pronunciation.

도 5는 'ㄹ' 발음의 혀가 입천정에 닿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tongue of the 'ㄹ' pronunciation touches the palate.

도 6은 'l' 발음의 혀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Figure 6 shows the shape of the tongue of the 'l' pronunciation.

도 7은 'r' 발음의 혀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Fig. 7 shows the shape of the tongue of 'r' pronunciation.

도 8은 '어' 와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1
r' 발음의 혀의 중간선 위치를 도시한 도면.8 is' er 'and'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1
r 'pronunciation midline position of tongue.

도 9a는 '아'와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2
'의 상대적 발음 위치를 도시한 도면.9a shows ah and ah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2
A diagram showing the relative pronunciation position of '.

도 9b는 '오'와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3
'의 상대적 발음 위치를 도시한 도면.Figure 9b is' o 'and'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3
A diagram showing the relative pronunciation position of '.

도 10은 '어'와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4
',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5
'의 상대적 발음 위치를 도시한 도면.10 is' er 'and'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4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5
A diagram showing the relative pronunciation position of '.

도 11a는 '으'와 'u'의 발음 위치를 도시한 도면.Fig. 11A shows the pronunciation positions of 'u' and 'u'.

도 11b는 '우'와 'u'의 발음 위치를 도시한 도면.Fig. 11B shows the pronunciation positions of 'u' and 'u'.

도 12a는 'iy', 'uw'의 발음시 경직된 혀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12A illustrates the shape of a rigid tongue when pronounced 'i y ' and 'u w '.

도 12b는 우리말 '이'와 영어의 'I', 'iy'의 상대적 발음 위치를 도시한 도면. 12B is a view showing relative pronunciation positions of Korean 'I' and 'I' and 'i y ' in English.

도 13은 'tl'을 발음하는 경우 혀의 접착 부위를 도시한 도면.FIG. 13 is a view showing an adhesive site of a tongue when 'tl' is pronounced. FIG.

도 14는 'tn'을 발음하는 경우 혀의 접착 부위를 도시한 도면.14 is a view showing the adhesive portion of the tongue when pronounced 'tn'.

도 15a는 't'를 발음하는 경우 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15A illustrates the movement of the tongue when pronounced 't'.

도 15b는 'tr'을 발음하는 경우 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Fig. 15B shows the movement of the tongue when pronounced 'tr'.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기 방법에 따라 표기된 자음 표.16 is a consonant table written according to the not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기 방법에 따라 표기된 모음 표.17 is a vowel table marked according to the not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음성 합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의 자모를 이용하여 외국어의 발음에 근접한 발음을 생성할 수 있는 음성 합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ech synthesis apparatus and a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ech synthesis system and method that can generate a pronunciation close to the pronunciation of a foreign language using the Hangul alphabet.

음성 합성 장치는 전자공학적인 수단에 의해 음성 신호를 합성 및 발성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음성 응답 장치 등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문자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voice synthesizer refers to a device for synthesizing and uttering a voice signal by electronic means. The voice synthesizer is mainly used in a voice response device and the like, and generally receives text data and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voice data.

국제화 추세에 따라 일상 생활에 있어서 영어의 사용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에서도 영어 음성을 합성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With the trend of internationalization, the use of English is becoming more common in everyday life, an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synthesize English voices in Korea.

그런데 한글은 한국어를 발음하기 위해 최적화된 문자이기 때문에, 통상의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하여 영어를 합성하는 경우 발음이 어색하여 합성된 영어 음성의 의미를 원어민이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since Hangul is a character optimized for pronunciation of Korean, when a Korean is synthesized by inputting Korean in a conventional manner, a native speaker may not clearly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synthesized English voice due to awkward pronunciation. .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글을 이용하여 원어민의 발음에 보다 근접한 영어 음성을 합성할 수 있는 음성 합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n English voice closer to a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using Korean characte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한글을 이용한 영어 음성 합성 장치는 한글 입력부, 음성 변환부, 및 영어 음성 출력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nglish speech synthesizer using Kore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orean input unit, a speech converter, and an English speech output unit.

한글 입력부는 한글 입력을 받는데, 세자 이상의 연속적인 자음으로 형성되는 초성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변환부는 한글 입력을 대응하는 소정의 영어 음성으로 변환하고, 영어 음성 출력부는 변환된 영어 음성을 출력한다.The Hangul input unit receives a Hangul input, and may perform an initial input formed of three or more consecutive consonants. The voice converter converts the Hangul input into a predetermined English voice, and the English voice output unit outputs the converted English voice.

세자 이상의 연속적인 자음 초성 입력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영어에서와 같은 자음 뭉치의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원어민의 발음에 보다 근접한 영어 음성을 합성할 수 있게 된다.By being able to input three or more consonant initial consonants, it becomes possible to input a consonant bundle as in English, thereby synthesizing an English voice closer to the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또한, 한글 입력부는 주 모음과 구별되는 종속 모음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글을 이용하여 영어에서와 같이 종속 모음의 입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어민의 발음에 보다 근접한 영어 음성을 합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angul input unit may perform input of a dependent vowel distinct from the main vowel. By using Hangul, it is possible to input dependent vowels as in English, thereby synthesizing English voices closer to the pronunciation of native speakers.

아울러, 상기 장치 발명을 방법의 형태로 청구한 발명이 개시된다.In addition, an invention claiming the device invention in the form of a method is disclos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을 이용한 영어 음성 합성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nglish speech synthesis apparatus using Kore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음성 합성 장치(100)는 한글 입력부(110), 음성 변환부(120), 및 영어 음성 출력부(130)를 포함한다.In FIG. 1, the speech synthesis apparatus 100 includes a Hangul input unit 110, a voice converter 120, and an English voice output unit 130.

한글 입력부(110)는 한글 입력을 받는데, 세자 이상의 연속적인 자음으로 형성되는 초성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변환부(120)는 한글 입력을 대응하는 소정의 영어 음성으로 변환하고, 영어 음성 출력부(130)는 변환된 영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한글 입력부(110)는 주 모음과 구별되는 종속 모음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The Hangul input unit 110 receives a Hangul input and may perform an initial input formed of three or more consecutive consonants. The voice converter 120 converts the Hangul input into a predetermined English voice, and the English voice output unit 130 outputs the converted English voice. In addition, the Hangul input unit 110 may input a dependent vowel distinguished from the main vowel.

이와 같이, 한글을 이용하여서도 영어에서의 자음 뭉치와 종속 모음의 한글 입력이 가능해져 한글을 이용하여 원어민의 발음에 보다 근접한 영어 음성을 합성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Korean consonant bundle and the dependent vowel input in the English language can be input using the Korean language, so that the English voice can be synthesized closer to the pronunciation of the native speaker using the Korean language.

영어에는 40개 이상의 음소(자음과 모음)가 있으며 이 중에 한국어의 음소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불과 몇 개뿐이다. 또한, 낱말(단어)을 이루기 위한 음소의 결합 방법도 우리말과 큰 차이가 있다.There are more than 40 phonemes (consonants and vowels) in English, and only a few of them exactly match the phonemes in Korean. In addition, the phoneme combination method for forming a word (word) also has a big difference from Korean.

따라서, 영어를 비교적 정확하게 발음하기 위해서는 각 음소(자음과 모음)의 발음 위치와 발성법, 및 음소의 결합에 따른 발성법이 매우 중요하며, 액센트의 중요성 역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Therefore, in order to pronounce English relatively accurately, the pronunciation position and utterance of each phoneme (consonants and vowels), and the utteranc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phonemes are very important, and the importance of accent cannot be overemphasized.

이하에서는 먼저, 각 음소의 발음 위치와 발성법을 설명하고, 다음으로 음소의 결합에 따른 발성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first, the pronunciation position and the utterance method of each phoneme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pho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phonemes will be described.

무성 파열음 [k, p, t]Silent rupture [k, p, t]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음과 강모음(accent가 있는 모음) 바로 앞에 오는 파열음은 무성 강파열 발음을 한다. 그러나 (s + 파열음)일 경우는 무성 강파열이 불가능하다.In general, the burst sound immediately preceding the first and vowels (accent vowels) of the word is pronounced unvoiced. However, in case of (s + rupture sound), unvoiced rupture is impossible.

빠른 속도로 바람을 불어내어 발음하는 무성 마찰음 s를 발음하다가 강파열을 위해 순간적으로 공기를 압축하기가 너무 힘이 든다. 따라서, 약파열 발음을 하게 된다. 약파열 발음이란 강파열 발음과 같은 위치에 강파열 발음을 할 때보다 약하게 붙였다 파열하는 발음이다.It's too hard to pronounce the silent s, which is blown by the wind at high speed, and compress air instantly for a burst. Therefore, weak burst pronunciation is made. Weak burst pronunciation is a pronunciation that is weaker than the strong burst pronunciation and pronounc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strong burst pronunciation.

약파열 발음은 다시 무성 약파열 발음과 유성 약파열 발음으로 나뉜다. 약파열 발음 뒤에 유성음이 따라오면 유성화하게 된다. 미국식 영어에서는 (강모음 + 파열음 + 약모음)의 경우 위와 같은 원리를 적용하여 유성화 파열 발음을 한다. 미국식 영어는 강모음을 영국식보다 더 빠른 공기로 강조하여 발음하는 경향이다.The weak burst pronunciation is divided into a silent weak burst pronunciation and a voiced weak burst pronunciation. If the meteor sound is followed by the weak burst pronunciation, it will be meteorized. In American English, the vocalization burst pronunciation is applied by applying the same principle as in the case of (gang vowel + rupture + weak vowel). American English tends to pronounce bristles with faster air than British.

마찰음 [f, v, θ, ð, s, z,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6
, h]Friction sound [f, v, θ, ð, s, z,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6
, h]

마찰음은 1mm 정도의 좁은 틈으로 바람을 불어내어 내는 소리이다. 입과 혀는 고정시킨 상태에서 발음한다. 한국어에는 (ㅅ, ㅆ, ㅎ)의 3개가 있다. 특수한 경우 조용히 하라고 할 때 인지를 세워 입술에 대면서 '∫'에 해당하는 발음을 길 게 할 때가 있다. 즉 '쉬~'가 아니고 모음 발음이 없는 '∫~'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한국어에서와 같은 마찰음은 'h'밖에 없다.Friction is the sound of blowing wind through narrow gaps of about 1mm. The mouth and tongue are pronounced in a fixed state. In Korean, there are three (ㅅ, ㅆ, ㅎ). In special cases, when you ask to be quiet, you can raise the perception of '∫' while touching your lips. In other words, it is not 'sh ~' and '∫ ~' without vowel pronunciation. Therefore, the friction sound, like in Korean, is generally 'h'.

우리의 마찰음이 받침으로 오면 비파열 발음으로 변한다. 그러나 영어에는 받침이 없으므로 항상 마찰음 발음을 한다. 무성 마찰음은 유성 마찰음보다 아주 빠르게 공기를 불어내어 발음한다. When our friction sound comes to the base, it turns into a non-ruptured pronunciation. However, English does not have a base, so always pronounces the friction sound. Unvoiced friction sounds by blowing air much faster than voiced friction.

이때 좁은 틈을 통과한 빠른 바람이 입안의 다른 지점에 부딪혀 반사하므로 소리가 증폭되어 우리가 듣게 된다. 따라서, 무성 마찰음의 반사 지점을 아는 것이 정확한 발음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At this time, the fast wind passing through the narrow gap hits and reflects at another point in the mouth, so the sound is amplified and we hear it. Therefore, knowing the reflection point of the unvoiced friction sound helps in correct pronunciation.

도 2는 무성 마찰음의 구강 내에서의 반사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혀의 상대적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reflection point in the oral cavity of the silent friction sou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tongue.

TH [θ,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7
]TH [θ,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7
]

혀를 옆으로 넓게 펴서 혀의 가장자리를 윗이빨의 크라운에 밀착시킨다. 이때 혀끝은 이빨에 닿지 않게 하여 1mm 정도 띈다.Spread your tongue sideways and close the edge of your tongue to the crown of your upper teeth. At this time, the tip of the tongue did not touch the teeth and cut about 1mm.

도 4는 'th' 발음을 하는 경우의 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tongue when the 'th' pronunciation.

L [l]L [l]

한국어의 ㄹ의 발음에는 두가지가 있다. 먼저, '노래'에서 '래'의 ㄹ은 중형 ㄹ이고, '놀래'에서 '래'의 ㄹ은 전형 ㄹ이라 할 수 있다.There are two pronunciations of ㄹ in Korean. First, 'rae' in the 'song' is the medium-type r, 'ra' in the song 'r' can be referred to as the typical r.

도 5는 'ㄹ' 발음의 혀가 입천정에 닿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tongue of the 'ㄹ' pronunciation touches the palate.

전형 ㄹ은 혀끝이 치경에 닿으며 중형 ㄹ은 혀의 가장자리 전체가 입천정에 닿게 되나 윗이빨의 앞니에는 닿지 않게 된다.In the typical d, the tip of the tongue touches the alveolar, while the middle d is in contact with the mouth ceiling of the tongue, but not the upper teeth of the upper teeth.

영어의 'l' 발음도 두가지가 있다. 모음 앞에 오는 l과 모음 뒤에 오는 자음 독립 발음하는 l이 그것이다. 모음 앞에 오는 l은 한국어의 전형 ㄹ과 같다. There are two kinds of English 'l' pronunciations. L before the vowel and l pronounced consonant after the vowel. The l before the vowel is the same as the Korean typical ㄹ.

도 6은 'l'을 발음하는 경우 혀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tongue when pronounced 'l'.

혀끝의 모양이 도 6a와 같이 되어, 도 6b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전형과 후형의 공기의 흐름을 보면 전형의 공기 흐름이 후형보다 앞쪽의 가장자리로 나온다.The shape of the tip of the tongue is as shown in Figure 6a, as can be seen in Figure 6b, when looking at the flow of the air of the typical and after the typical air flow comes out to the front edge than the rear.

R [r] R [r]

자음 'r'의 발음은 모음 앞에서만 온다. r을 발음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은 혀끝을 제외하고 혀의 가장자리를 윗이빨과 잇몸이 만나는 부분에 닿게 하는 것이다. 절대로 말아올리려고 하지 말고 혀의 중앙선은 가장자리보다 조금 낮춘다.The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 'r' comes only in front of the vowel. The most important thing to pronounce r is to touch the edge of the tongue to the point where the upper teeth and gum meet, except for the tip of the tongue. Never try to roll it up, and the centerline of the tongue is slightly lower than the edges.

도 7은 자음 'r'을 발음하는 경우의 혀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모양은 도 5의 중형 ㄹ의 모양에서 혀끝만 떨어지게 한 것과 비슷하다. 그러나 혀의 중앙 뒤쪽은 좀 더 낮춘다.7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tongue when the consonant 'r' is pronounced. The shape of FIG. 7 is similar to that of only the tip of the tongue in the shape of the medium d of FIG. But the middle back of the tongue is lower.

혀끝과 입천장과의 거리는 약 1mm 정도이다. 위의 위치에서 혀끝을 입천장에서 멀어지게 하면서 자음 r을 발음한다.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the tongue and the palate is about 1 mm. In the upper position, the consonant r is pronounced, moving the tongue tip away from the palate.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8
r'은 혀끝에서 소리난다. 혀끝이 치경부의 0.5cm 뒤쪽을 가리킨다. 혀끝은 경구개에서 2mm 정도 떨어진다. 너무 가까우면 마찰음이 되기에 주의한다. 입술 은 한국어의 어 정도 벌어진다. 특히 이는 단모음이다. 혀가 중간에 특히 어 있는 부분에 솟아오르면 안된다.'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8
r 'sounds at the tip of the tongue. The tip of the tongue points 0.5cm behind the cervical region. The tip of the tongue is about 2 mm from the palate. Be careful when you get too close to the sound of friction. Lips open in Korean. In particular it is a short vowel. Your tongue should not rise above the middle.

도 8은 '어'와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9
r' 발음의 혀의 중앙선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혀의 가장자리는 자음 r과 같이 이빨과 잇몸이 만나는 부분에 닿게 한다.8 is' er 'and'
Figure 112007024068742-PAT00009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osi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tongue of r 'pronunciation. As shown, the edge of the tongue touches the area where the teeth and gum meet, such as consonant r.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0
] (law, paul, saw, coffee)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0
(law, paul, saw, coffee)

'아' Vs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1
' 'Ah'Vs'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1
'

도 9a는 '아'와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2
'의 상대적 발음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9a shows ah and ah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2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ve pronunciation posi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어의 '아'보다 뒤쪽 아래에서 나며 입은 '아'보다 적게 벌린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outh is lower than the 'a' in Korean and the mouth is wider than the 'a'.

'오' Vs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3
' 'Oh Vs'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3
'

도 9b는 '오'와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4
'의 상대적 발음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9b is' o 'and'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4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ve pronunciation posi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는 혀끝 쪽에서 소리난다.As shown in the figure, 'oh' sounds from the tip of the tongue.

'어' Vs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5
',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6
''Er'Vs'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5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6
'

도 10은 '어'와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7
',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8
'의 상대적 발음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er 'and'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7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8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ve pronunciation position.

우리의 '어'와 영어의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9
'는 혀가 윗니나 잇몸에 닿지 않는다. 그러나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0
' 는 한국어의 '에' 또는 '으'처럼 혀의 가장자리가 윗니 크라운에 닿거나 거의 닿을 듯이 하여 발음한다.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1
'는 뒤따라오는 자음으로 움직이기에 가장 좋은 위치의 모음이다. 또한, 가장 힘을 들이지 않고 발음할 수 있는 모음이다.Our 'er' and the 'english'
Figure 112007024068742-PAT00019
The tongue does not touch the upper teeth or gums. But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0
'Is pronounced as if the edge of the tongue touches or almost touches the upper teeth crown, like' E 'or' U 'in Korean.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1
'Is a collection of the best positions to move with the following consonants. It is also a vowel that can be pronounced with the least effort.

U [u] (took, book, pull)U [u] (took, book, pull)

'으' Vs 'u''U' Vs 'u'

도 11a는 '으'와 'u'의 발음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1A is a diagram showing pronunciation positions of 'u' and 'u'.

'u'와 제일 가까운 발음은 한국어의 '으'이다.The closest pronunciation of 'u' is 'U' in Korean.

'우' Vs 'u''U' Vs 'u'

도 11b는 '우'와 'u'의 발음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1B is a diagram illustrating pronunciation positions of 'right' and 'u'.

모음은 제일 좁은 위치에서 소리가 결정된다. 너무 좁으면 마찰음이 되므로 주의한다.Vowels are determined at the narrowest position. Be careful if it is too narrow as it will be a friction sound.

iy(이), uw(우) y i (this), u w (coming from the right)

한국어에는 혀를 긴장(tense)시키면서 발음하는 모음이 없다. 그러나 영어의 장모음인 iy (beat, see)와 uw (pool, you)는 혀를 긴장시키면서 발음한다.In Korean, there is no vowel sounding the tongue. But the long vowels of English i y (beat, see) and u w (pool, you) pronounce the tongue straining.

도 12a는 'iy', 'uw' 발음시 경직된 혀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2A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hape of a rigid tongue when pronounced 'i y ' and 'u w '.

도 12a에서 보는 것과 같이 혀를 긴장시키면 그 부위에 미세한 팽창이 일어나 혀가 입천장 쪽으로 더 접근하게 된다. 또한, 그 반작용으로 턱밑에도 혀의 아래쪽 부분이 밀려 내려오는 것을 느끼게 된다.As shown in FIG. 12A, when the tongue is tense, a minute swelling occurs in the area, and the tongue is closer to the palate. The reaction also makes the lower part of the tongue push down under the chin.

느긋한 상태에 있던 혀를 긴장시키면서 주모음을 발음하고 다시 느긋한 상태로 돌아올 때 혀가 입천장에서 미세하게 멀어지면서 발생하는 극히 짧은 여운의 소리가 종속모음에 해당한다.The main vowels are pronounced while the tongue is in a relaxed state and the short lingering sound that occurs when the tongue is slightly far from the palate when it returns to the relaxed state is a dependent vowel.

도 12b는 우리말 '이'와 영어의 'I', 'iy'의 상대적 발음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2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ve pronunciation positions of Korean 'I' and 'I' and 'i y ' in English.

'ㄱ, ㄷ, ㅂ, ㅈ' Vs 'g, d, b,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2
''ㄱ, ㄷ, ㅂ, ㅈ'Vs' g, d, b,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2
'

무성음을 발음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은 유성음보다 굉장히 빠르다. 한국어에서는 'ㄱ, ㄷ, ㅂ, ㅈ'이 낱말 또는 낱말 뭉치의 중간에 있으면 유성발음을 한다. 그러나 이것들이 낱말 또는 낱말 뭉치의 첫음일 경우 빠른 공기의 흐름을 사용하여 무성음 발음한다. 이는 한국어의 '부산'이 외국인에게는 'Pusan'으로 들리는 이유이다.The air flow to pronounce unvoiced sounds is much faster than voiced sounds. In Korean, a, c, ㅂ, ㅈ is pronounced if it is in the middle of a word or a group of words. But when these are the first notes of a word or group of words, they are pronounced unvoiced using a fast stream of air. This is why 'Busan' in Korean sounds 'Pusan' to foreigners.

유성음인 'g, d, b,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3
'로 시작하는 단어를 빠른 공기의 흐름으로 발음하면 'k, t, p,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4
또는 t'로 오해받게 된다. 따라서 느린 공기의 흐름으로 가볍게 시작하면 유성음 자음의 발음을 쉽게 할 수 있다.Voiced 'g, d, b,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3
A word beginning with "is pronounced as a stream of fast air, where" k, t, p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4
Or misunderstood t '. Therefore, if you start lightly with a slow air stream, you can easily pronounce the voiced consonants.

N, T, D [n, t, d]N, T, D [n, t, d]

위 3음소의 발음을 위해 경구개에 접착하는 혀의 부위는 도 8과 같다. 이는 편안히 입을 다물고 있을 경우에 혀가 입천장에 붙는 위치이다. 일반적으로 't'의 강파열, 약파열, 유성파열, 비파열 등의 발음 모두 같은 위치에서 시작한다.The part of the tongue adhering to the palate for the pronunciation of the three phonemes is shown in FIG. 8. This is the position where the tongue sticks to the palate when the mouth is closed. In general, the pronounced 't' strong burst, weak burst, meteorological burst, and non-rupture all start at the same location.

유성 파열 t + l (St. Louise, settle, seatle)Meteor burst t + l (St. Louise, settle, seatle)

혀의 위치는 도 11과 같이 시작하여 혀끝은 치경에 붙여둔 채 나머지 혀를 입천장을 강하게 밀치며 나머지 혀를 떨어져 나오면서 t와 l을 발음한다. 이때 혀의 뒤쪽이 입천장에서 떨어지는 소리가 t이다. The position of the tongue starts as shown in FIG. 11, while the tip of the tongue is attached to the alveolar, pushing the rest of the tongue strongly against the palate and pronounces t and l while leaving the rest of the tongue. At this time, the back of the tongue falls from the palate is t.

도 13은 'tl'의 혀의 접착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view showing the adhesion site of the tongue of 'tl'.

유성 파열 t + n (Partner, Clinton)Oily burst t + n (Partner, Clinton)

평소 't'의 발음때보다 혀의 조금 뒤쪽을 더 붙여서 연구개로 공기의 흐름이 코로 가는 것을 막았다가 연구개를 강하게 열면서 혀의 앞쪽은 그대로 붙여둔 채 t와 n을 발음한다. 이때 연구개가 열리는 소리가 't'이다.Stick the back of the tongue a little longer than usual to pronounce 't' to prevent the flow of air to the nose to the soft palate and open the palate strongly and pronounce the t and n with the front of the tongue intact. At this time, the sound of opening of the dog is 't'.

도 14는 'tn'의 혀의 접착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showing the adhesion site of the tongue of 'tn'.

W [w] (swing, queen, quiz, twin, squid)W [w] (swing, queen, quiz, twin, squid)

한국어의 '위'의 '우' 또는 '외'의 '오' 발음과 거의 같은 음소이다. w가 모음 앞에 오면 자음으로 쓰인다. 따라서 w 앞에 오는 자음은 자음 독립 발음을 해야 한다. The phoneme is almost the same as the pronunciation of 'u' in 'up' or 'o' in Korean. If w comes before the vowel, it is used as a consonant. Therefore, the consonants before w should be pronounced independently.

음소의 결합에 따른 발음법Pronunciation method by phoneme combination

한국어 낱말(단어)의 기본 음절은 {(자음) + 모음 + (받침)}의 형태로 되어있다. 여기에 자음이나 받침이 없어도 된다. 즉, 음절의 기본 요소는 모음이다.The basic syllables of Korean words (words) are in the form of {(consonant) + vowel + (support)}. There is no need for consonants or support here. In other words, the basic element of syllable is vowel.

영어의 1음절 단어는 {(자음 뭉치) + 모음 + (자음 뭉치)}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자음 뭉치는 몇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다. 영어의 모음에 단모음과 중모음(2중, 3중)이 있다.One syllable word in English is in the form of {(consonant bundle) + vowel + (consonant bundle)}, and the consonant bundle consists of several consonants. There are short vowels and double vowels in English vowels.

영어의 2음절 단어는 {(자음 뭉치) + 모음 + (자음 뭉치) + 모음 + (자음 뭉치)}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1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끝이 l, m, n으로 끝나는 경우 모음의 발음이 생략되기도 한다.Two-syllable words in English are in the form of {(consonant bunch) + vowel + (consonant bunch) + vowel + (consonant bunch)},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vowel when the word ends with l, m, n in more than one syllable This may be omitted.

한국어에는 자음 뭉치가 일부의 받침에만 있다. 자음만 몇 개 겹쳐있는 자음 뭉치를 어떻게 발음하느냐가 영어에서는 굉장히 중요하다. 자음 뭉치는 각 자음의 특성을 살리면서 모든 자음을 차례로 발음하되, 마치 전체가 하나의 자음같이 발음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요령과 법칙들이 필요하다.In Korean, there are only a few consonants. How to pronounce a bunch of consonants with only a few consonants is very important in English. Consonant consonants are pronounced all consonants in turn,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sonant, as if the entire consonants should be pronounced. To do this, the following tips and laws are required.

모음의 받침 법칙Law of Support of Vowels

영어는 자음을 받침으로 갖지 않는다. 한국어에 받침이 있는 모음과 없는 모음의 발음방법이 다르다. 발음의 시작은 같지만 받침이 있는 모음은 혀를 받침쪽으로 움직여가며 발음한다. English does not have consonants as a backing. The pronunciation of vowels with and without vowels in Korean is different. The beginning of pronunciation is the same, but the vowels with the bases are pronounced by moving the tongue toward the bases.

그러나 영어는 우리말과 달리 자음을 받침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즉 모음을 자음 쪽으로 움직여가며 발음하지 않는다. 만약 자음이 받침으로 사용되면 자음 뭉치의 자음과 자음 사이에 틈이 생겨 크게 어색하다. 이는 우리말과 영어의 발음 사이에 가장 중요한 차이점의 하나이다.However, unlike Korean, English is not used as a consonant. In other words, the vowels move toward the consonants and do not pronounce. If the consonant is used as a support, a gap is created between the consonant and the consonant in the bundle of consonants.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onunciation of Korean and English.

영어에도 혀를 움직여가면서 하는 모음 발음이 있다. 이를 중모음(이중모음 또는 삼중 모음)이라 하며, 중심이 되는 주모음을 시작으로 종속 모음 쪽으로 혀를 움직이며 하는 발음이다. 따라서, 영어의 중모음은 주모음이 종속모음을 받침으로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English also has a vowel pronunciation that moves the tongue. This is called a middle vowel (double vowel or triple vowel). It is a pronunciation that moves the tongue toward the subordinate vowel, starting with the main main vowel. Therefore, the English vowels can be thought of as having the main vowels as the supporting vowels.

자음 독립 발음 법칙 또는 자음 자체 발음 법칙Consonant Independent Pronunciation Law or Consonant Self Pronunciation Law

자음 뭉치의 자음과 자음 사이에 모음 발음이 전혀 없다. 만약 자음과 자음 상이에 모음이 추가되면 음절의 수가 늘어나는 것이 된다. 음절의 수가 다르면 상대방이 전혀 알아듣지를 못한다.There is no vowel pronunciation between the consonant and the consonant in a bunch of consonants. If vowels are added between consonants and consonants, the number of syllables increases. If the number of syllables is different, the other person will not understand at all.

따라서, 모음 바로 앞에 오는 자음을 제외하고는 모든 자음은 모음과 직접 연결되지 않은 발음, 즉 모음 없이하는 자음 독립 발음을 하게 된다.Therefore, except for the consonants immediately preceding the vowels, all consonants are pronunciations that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vowels, that is, independent vowels without vowels.

발음의 경제 법칙Economic Law of Pronunciation

하나의 자음에서 다음 자음으로 최단 거리로 움직인다. 따라서, 자음 뭉치의 마지막 자음을 제외하고는 모든 자음을 극히 짧게 발음한다. 같은 자음이 겹칠 때는 한번만 발음한다. 그러나 파찰음은 따로 발음해야 한다(예: orange juice).Move from one consonant to the next shortest. Thus, all consonants are pronounced extremely short except for the last consonant of the consonant bundle. When the same consonants overlap, they are pronounced only once. However, the rhythm must be pronounced separately (eg orange juice).

파열음의 비파열 발음 법칙Non-rupture law of rupture

파열음 바로 다음에 또 다른 파열음, 마찰음, 또는 파찰음이 오면 비파열 발음을 한다. 한국어에는 파열음이 받침으로 오면 비파열 발음한다. 한국어에 받침이 중요하듯 영어에서도 비파열 발음은 대단히 중요하며 이를 생략하면 대단히 어색하다. Immediately after the rupture sound is another ruptured, rubbing or stinging sound. In Korean, when a ruptured sound comes to the base, it is pronounced non-ruptured. As the support is important in Korean, non-ruptured pronunciation is very important in English, and if omitted, it is very awkward.

그러나 파열음이 단어 뭉치 첫음일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강파열 발음을 한다. 또한, 극히 예외적인 경우와 축약형을 제외하고는 모든 자음을 발음해야 한다. 발음을 생략하는 것과 약하게 발음하여 들리지 않는 것은 크게 다르다. (예: roast beef에서 t는 비파열 발음한다)However, when the ruptured sound is the first word of a bunch of words, it is usually pronounced strong bursting. In addition, all consonants should be pronounced except in exceptional and abbreviated forms. It is very different from omitting the pronunciation and not hearing it weakly. (E.g. in roast beef, t is pronounced non-ruptured)

(강모음 + nt + 약모음)의 경우 't'를 생략하고 발음하는 추세이다(예: center, county).In the case of (strong vowel + nt + weak vowel), it is a tendency to omit 't' (e.g. center, county).

(약자의 법칙 1)(Law of the weak 1)

특히 자음 뭉치로 끝나는 단어의 이 마지막 자음 뭉치는 모음이 뒤에서 받쳐주지 않으므로 약하게 발음된다. 경우에 따라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로 약하게 발음한다. 그러나 반드시 발음한다. 따라서 단어의 끝이 파열음이면 약파열 발음한다.In particular, this last consonant bundle of words ending with a consonant cluster is weakly pronounced because the vowels do not support it from behind. In some cases, the sound is so weak that it is almost inaudible. But be sure to pronounce. Therefore, if the end of the word is broken sound pronounced weak burst.

(약자의 법칙 2)(Law 2 of the abbreviation)

약한 자음 뭉치의 발음은 그 다음에 연결되는 단어의 첫 모음에 강한 accent가 있어도 강한 발음으로 바뀌지 않는다. 즉 한번 약자는 영원한 약자이다.The pronunciation of a weak consonant bundle does not change to a strong pronunciation even if there is a strong accent in the first vowel of subsequent words. In other words, the abbreviation is an eternal abbreviation.

자음 뭉치 발음의 예는 아래와 같다.An example of a consonant pronunciation is as follows.

TR [tr] (예: tree)TR [tr] (e.g. tree)

도 15a는 't'를 발음하는 경우 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b는 'tr'을 발음하는 경우 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5A illustrates the movement of the tongue when pronounced 't', and FIG. 15B illustrates the movement of the tongue when pronounced 'tr'.

't'의 발음 중 혀끝의 움직임만 보면 그림 15a와 같이 윗잇뿌리에서 아래로 떨어져 나오며 발음한다. 그러나 't' 다음에 'r'이 따라오면 혀끝은 발음의 경제 원칙에 의해 그림15b와 같이 잇몸 가까이해서 r의 발음 위치로 움직인다.When you look at the movement of the tip of the tongue during the pronunciation of 't', it is pronounced by falling down from the upper root as shown in Figure 15a. However, if 't' is followed by 'r', the tip of the tongue is moved to the pronunciation position of r near the gum as shown in Figure 15b by the economic principle of pronunciation.

이때 t의 기음(파열음 발음 시에 뒤따라 나오는 바람)으로 인하여 혀끝과 잇몸 사이에서 짧은 마찰음을 듣게 된다. 즉 t를 일부러 파찰음 형식으로 발음하는 것이 아니라 혀끝의 진행 방향에 의해 부수적으로 생긴 결과이다.At this time, due to the c's sound (wind following the sound of the rupture sound), a short friction sound is heard between the tip of the tongue and the gum. In other words, t is not deliberately pronounced in the form of a palpation, but is a result of incidentality caused by the direction of the tip of the tongue.

s + 파열음(sp, sk, st)s + burst (sp, sk, st)

강한 파열음 발음을 하기 위해서는 순간적인 공기의 압축이 필요하다. 마찰음 's'를 발음하기 위해 빠르게 공기를 불어내다가 순간적인 강파열 발음을 하기가 굉장히 힘이 든다. 따라서 약파열 발음을 하게 된다. (예: last, grasp, desk)In order to pronounce strong burst sounds, instantaneous air compression is required. It is very hard to blow the air quickly to pronounce the friction sound 's' and then pronounce the momentary burst. Therefore, weak burst pronunciation is made. (E.g. last, grasp, desk)

약파열 발음이란 강파열과 같은 위치에 혀를 아주 가볍게 닿게 하여 빠르게 터뜨리는 소리이다. 이때 만약 약파열 발음 뒤에 유성음이 따라오면 그 영향으로 유성 파열음으로 바뀐다. 혀를 아주 가볍게 잇몸에 붙였다 빠르게 발음하는 k, p, t의 유성 파열음은 혀를 강하게 잇몸에 붙였다 파열 발음하는 우리의 경음(ㄲ, ㅃ, ㄸ)과 큰 차이가 있다. (예: sky, spy, stay)Weak burst pronunciation is a sound that bursts quickly by touching the tongue very lightly in the same position as a strong burst. At this time, if the voiced sound is followed by the sound of the weak burst, the voice changes to the voiced burst. Sticking the tongue very lightly on the gums Rapidly pronounced k, p, t sounding ruptures are strongly different from our hard (ㄲ, ㅃ, ㄸ) pronounced rupture. (E.g. sky, spy, stay)

단어 뭉치 발음Pronunciation of the word bunch

우리는 말을 할 때 단어 하나하나를 잘라서 발음하거나 문장 전체를 묶어서 발음하기보다 몇 개의 단어를 묶어서 띄어가며 발음하게 된다. 몇 개의 단어를 연결하여 마치 하나의 단어같이 발음하는 이 단위를 단어뭉치라고 한다.When we speak, we cut and pronounce each word or pronounce several words together rather than tying the whole sentence together. This unit, which connects several words and pronounces it like a word, is called a word bundle.

단어뭉치의 발음에도 자음뭉치의 발음법칙이 그대로 적용된다. 그러나 자음뭉치로 끝이난 단어의 마지막 자음뭉치는 단어뭉치의 중간에 있어도 약한 발음을 하게 된다. 즉, 바로 뒤에 강한 모음의 단어가 연결되어도 앞 단어의 약한 발음은 강하여지지 않는다.The pronunciation law of consonants is also applied to the pronunciation of a word bundle. However, the last consonant of a word that ends with a consonant is weakly pronounced even in the middle of the word. In other words, even if a strong vowel word is connected immediately after, the weak pronunciation of the previous word is not strong.

예: sports, sports eventsE.g. sports, sports events

Sports의 경우 t가 약한 무성 비파열 발음한다. 그러나 sports events의 경우 뒤에 유성음이 따라오므로 유성 비파열 발음을 한다.In the case of Sports, t is pronounced weak, non-ruptured. However, in the case of sports events, voiced sounds are followed by voiced non-ruptures.

영어의 한글 표기법Hangul notation of English

영어에는 40개 이상의 음소(자음과 모음)가 있다. 이 중에 한국어의 음소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몇 개뿐이다.There are more than 40 phonemes (consonants and vowels) in English. Only a few of them exactly match the Korean phonemes.

그러나 유사한 한국말과 그 변형을 이용하여 가능한 한 원음에 가깝게 표기 할 수 있고 또 그 표기를 보고 본래의 영어를 비교적 정확히 추측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영어의 한국어식 자음과 모음이 필요하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한글 표기법을 사용한 것이므로, 그 발음은 원래의 한글과 크게 다르다.However,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of English are needed to be able to write as close to the original sound as possible using similar Korean and its variations, and to be able to guess the original English relatively accurately. Note that the use of Hangul notation, the pronuncia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Hangul.

자음 표기법Consonant nota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기 방법에 따라 표기된 자음 표이다.16 is a consonant table written according to a not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모든 자음은 한국어의 '오' 또는 '우'를 모음으로 가질 때 스는 글꼴을 사용한다. 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every consonant uses a suffix font when it has a vowel or Korean vowel.

예: 어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5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6
(earth)Example: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5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6
(earth)

모음 표기법Vowel nota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기 방법에 따라 표기된 모음 표이다. 17 is a vowel table marked according to a not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7
r'의 경우 단모음이므로 입과 혀를 움직이지 않고, 'ar',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8
r'의 경우 r뒤에 자음이 오거나 r로 끝나는 경우 r을 종속 모음으로 가지는 중모음으로 발음한다.'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7
r 'is a short vowel, so the mouth and tongue do not move,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8
In the case of r ', if a consonant follows r or ends with r, it is pronounced as a vowel with r as a dependent vowel.

또, 'a'와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9
'의 발음은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30
r'의 발음보다 입을 크게 벌리기 때문에 혀만 움직여 발음이 가능하나 'I
Figure 112007024068742-PAT00031
r',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32
Figure 112007024068742-PAT00033
r', 'u
Figure 112007024068742-PAT00034
r'의 경우 입을 더 벌리면서 발음한다.Also, 'a' and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29
'Is a pronunciation of'
Figure 112007024068742-PAT00030
Because you open your mouth wider than r 'pronunciation, you can pronounce it by moving your tongue.
Figure 112007024068742-PAT00031
r ','
Figure 112007024068742-PAT00032
Figure 112007024068742-PAT00033
r ',' u
Figure 112007024068742-PAT00034
In the case of r 'it pronounces with its mouth wider.

한글로 영어의 모음을 표기하는 경우 종속 모음은 주모음과 구별되는 형태로 표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윗첨자나 아래첨자로 표기할 수 있다.In the case of writing English vowels in Korean, dependent vowels can be written in a form that is distinct from the main vowel, for example, superscript or subscript.

자음 뭉치 표기법Consonant wad notation

영어에 있어서 연속되는 자음을 대응하는 연속되는 한글의 자음으로 대체하여 표기한다. 이에 따라, 세자 이상의 연속적인 자음만의 초성 입력이 가능하게 되며, 한글을 이용하여서도 영어에서와 같은 자음 뭉치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In English, consecutive consonants ar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consonants in Korea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put only the consonants of three or more consecutive consonants, and to input consonant bundles as in English using Korean.

예) ㅅㅌ라ㅋ(strike), ㅅ토리(story), 래ㅅㅌ(last), 로ㅅㅌ(lost), ㅅ포ㅌㅅ(sports), 미ㄹㅋ(milk)Example) la ㅅㅌ the blah (strike), oi a directory (story), below ㅅㅌ (last), in ㅅㅌ (lost), ㅅpo d ㅌㅅ (sports), US ㄹㅋ (milk)

본 발명에 의하면, 한글을 이용하여 원어민의 발음에 보다 근접한 영어 음성을 합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ynthesize English voices closer to the pronunciation of native speakers using Hangul.

본 발명에서는 한국어와 영어 발음의 중요한 구조적 차이점을 밝혔으며, 이를 기초로 한국어식 영어 발음에서 원어민 발음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법칙들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revealed important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pronunciations, and provides rules that can be converted from native English pronunciations to native pronunciations.

또한, 새로운 영어의 한국어식 표기법을 만들어 발음 교육을 통일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It also created a new English Korean notation, opening the way for unification of pronunciation education.

본 발명의 법칙과 표기법을 활용하면 원어민 수준의 발음을 습득할 수 있는 교육이 가능하며, 대한민국이 이중 언어 문화권 진입을 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By using the laws and no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earn the pronunciation of native speakers, and it will greatly help Korea to enter bilingual culture.

본 발명이 비록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hereby, but should be construed as a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above embodiments supported by the claims.

Claims (4)

한글 입력을 받는 한글 입력부;A Hangul input unit for receiving Hangul input; 상기 한글 입력을 대응하는 소정의 영어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부; 및 A voice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Hangul input into a predetermined English voice; And 상기 영어 음성을 출력하는 영어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음성 합성 장치로서,A speech synthesis apparatus including an English speech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English speech, 상기 한글 입력부는 세자 이상의 연속적인 자음으로 형성되는 초성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영어 음성 합성 장치.The Hangul input unit is an English speech synthesis device using Hangul,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initial input formed of three or more consonant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글 입력부는 주 모음과 구별되는 종속 모음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영어 음성 합성 장치.The Hangul input unit is an English speech synthesis apparatus using Hangul,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input of the dependent vowel distinguished from the main vowel. 한글 입력을 받는 한글 입력 단계;A Hangul input step of receiving Hangul input; 상기 한글 입력을 대응하는 소정의 영어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환 단계; 및 A voice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Hangul input into a predetermined English voice; And 상기 영어 음성을 출력하는 영어 음성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합성 방법으로서,A voice synthesis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the English voice, the English voice output step, 상기 한글 입력 단계는 세자 이상의 연속적인 자음으로 형성되는 초성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영어 음성 합성 방법.The Hangul input step is an English speech synthesis method using Hangul,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initial input formed of three or more consonants.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한글 입력 단계는 주 모음과 구별되는 종속 모음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이용한 영어 음성 합성 방법.The Hangul input step is an English speech synthesis method using Hangu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of the dependent vowel distinguished from the main vowel.
KR1020070029935A 2007-03-27 2007-03-27 System and method for synthesizing english voice using korean alphabet KR200800875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935A KR20080087541A (en) 2007-03-27 2007-03-27 System and method for synthesizing english voice using korean alphab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935A KR20080087541A (en) 2007-03-27 2007-03-27 System and method for synthesizing english voice using korean alphab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541A true KR20080087541A (en) 2008-10-01

Family

ID=4015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935A KR20080087541A (en) 2007-03-27 2007-03-27 System and method for synthesizing english voice using korean alphab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754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759A (en) * 2015-11-25 2017-06-02 주식회사 엠글리쉬 Text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759A (en) * 2015-11-25 2017-06-02 주식회사 엠글리쉬 Text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ach British English: received pronunciation
Vance The sounds of Japanese with audio CD
Collins et al. The sounds of English and Dutch
Bhaskararao et al. Two types of voiceless nasals
Karlsson et al. Intonation adapts to lexical tone: the case of Kammu
Arai A case study of spontaneous speech in Japanese
Brunelle et al. 29 Register in languages of Mainland Southeast Asia: the state of the art
Warren et al. Maori English: phonology
Wells et al. The Sounds of the IPA
Ball et al. Non-segmental aspects of disordered speech: Developments in transcription
Miller Tongue body and tongue root shape differences in N| uu clicks correlate with phonotactic patterns
Jessen An acoustic study of contrasting plosives and click accompaniments in Xhosa
Deterding Segmentals
Allen The PHONASCII system
KR20080087541A (en) System and method for synthesizing english voice using korean alphabet
Šuštaršič et al. Slovene
Tuttle et al. Vowels of Upper Tanana Athabascan
Fujimoto et al. Som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geminates in the Ikema dialect of Miyako Ryukyuan
KR1010152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a pronunciation information
Făgărășan The Diction in the Art of Singing in the English Language
Ladefoged et al. Vowels of the world's languages
Collins et al. English Consonants
KR200205082Y1 (en) The consnant- vowel table with AHD for Ural-Altaic peoples
Ransom Notes on Duwamish phonology and morphology
Tyasrinestu Prosody in AT Mahmud's Selected Children's Songs Ly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