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469A - 무선 마우스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마우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469A
KR20080085469A KR1020070027065A KR20070027065A KR20080085469A KR 20080085469 A KR20080085469 A KR 20080085469A KR 1020070027065 A KR1020070027065 A KR 1020070027065A KR 20070027065 A KR20070027065 A KR 20070027065A KR 20080085469 A KR20080085469 A KR 20080085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coil
mouse
wireless mouse
wireless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3132B1 (ko
Inventor
김만길
Original Assignee
김만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길 filed Critical 김만길
Priority to KR1020070027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13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5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5Mous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마우스는, 제 1 영구자석이 내장된 마우스 패드; 및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 연결된 제 1 유도코일이 내장된 무선 마우스;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마우스를 상기 마우스 패드 위에서 포인팅 동작시 상기 제 1 영구자석 및 제 1 유도코일의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상기 제 1 유도코일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상기 전원부에 공급된다. 이에 의하면, 내장된 영구자석과 유도코일을 통해 발생하는 기전력을 무선 마우스의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건전지를 교체하거나 충전지를 재충전하는 불편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무선, 마우스, 패드, 키보드, 자석, 코일,

Description

무선 마우스장치{WIRELESS MOUS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우스 패드 11 : 제 1 영구자석
13 : 제 2 유도코일 20 : 무선 마우스
21 : 마우스 전자회로 23 : 전원부
25 : 제 1 유도코일 27 : 제 2 영구자석
30 : 무선 키보드 31 : 연결선
본 발명은 무선 마우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구자석과 유도코일을 통해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마우스의 전자회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 마우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마우스장치는 마우스와 컴퓨터를 유선으로 연결하지 않으 며, 마우스 측에 발신기를 구비하고, 컴퓨터 측에 수신기를 구비하여 무선통신을 이용해 무선 마우스의 움직임을 컴퓨터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무선 마우스장치는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발신부 등과 같은 마우스 전자회로의 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무선 마우스장치는 마우스 전자회로의 전원 공급을 위해 건전지 사용하거나 충전용 전지 등을 내장한다. 그러나, 건전지를 사용하는 종래의 무선 마우스장치의 경우, 계속해서 건전지가 소모되므로 정기적으로 건전지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충전용 전지를 내장한 종래의 무선마우스장치의 경우, 충전용 케이블, 컨넥터 등을 별도로 구비하여 정기적으로 충전해야 하므로 무선 마우스로서의 기능성이 없어져 소비자로 하여금 충전비용의 부담이 가중되고, 충전 중에는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없어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마우스 패드에 유도코일을 내장하고 유도코일에 전류를 인가한 상태에서 무선 마우스를 포인팅하여 무선 마우스에 내장된 유도코일에 유도된 기전력을 마우스 전자회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하는 '유도코일로 충전되는 무선 마우스(한국등록특허 제539013호)'가 이미 공지된 바 있으나, 마우스 패드에 내장된 유도코일에 전류를 인가시키기 위해서는 컴퓨터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야 하며, 이를 위해 마우스 패드와 컴퓨터 본체 간에 유선으로 연결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구자석과 유도코일을 통해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마우스의 전자회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건전지를 교체하거나 충전지를 재충전하는 불편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우스 패드에 내장된 유도코일에서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키보드의 전자회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장치는, 제 1 영구자석이 내장된 마우스 패드; 및 마우스 전자회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 연결된 제 1 유도코일이 내장된 무선 마우스;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마우스를 상기 마우스 패드 위에서 포인팅 동작시 상기 제 1 영구자석 및 제 1 유도코일의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상기 제 1 유도코일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상기 전원부에 인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마우스장치는, 상기 마우스 패드에 내장된 제 2 유도코일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도코일의 상호유도 작용에 의해 상기 제 2 유도코일에 유도전류가 발생한다.
상기 제 2 유도코일은 상기 제 1 영구자석의 상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마우스장치는, 상기 무선 마우스에 내장된 제 2 영 구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영구자석 및 제 2 유도코일의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상기 제 2 유도코일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한다.
상기 제 1 유도코일 및 제 2 영구자석은 상기 무선 마우스의 내부 저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영구자석은 상기 제 1 유도코일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유도코일은 무선 키보드의 전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도코일에 유도기전력(유도전류)이 발생하여 상기 무선 키보드의 전원부에 인가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우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마우스장치는 마우스 패드(10) 및 무선 마우스(20) 등을 구비한다.
상기 마우스 패드(10)는 소정 면적을 가지며 두께가 얇은 사각형상의 패드이다. 마우스 패드(10)는 판상의 제 1 영구자석(11)과, 제 1 영구자석(11)의 상부에 직선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하나 또는 다수개 배열되는 제 2 유도코일(13)이 내장되며, 표면은 시트부재(15)로 코팅된다. 제 2 유도코일(13)은 마우 스 패드(10)의 외부에 별개로 구비된 무선 키보드(30)의 전원부(미도시)에 연결선(31) 등으로 연결된다.
상기 무선 마우스(20)는 내부에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미도시) 및 센서부에서 감지한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발신부(미도시) 등과 같은 마우스 전자회로(21)와, 마우스 전자회로(21)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 등이 구비되며, 무선 마우스(20)의 내부 저면에는 제 1 유도코일(25) 및 제 2 영구자석(27)이 구비된다. 제 1 유도코일(25)은 전원부(23)에 연결되며,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하나 또는 다수개 배열된다. 제 2 영구자석(27)은 제 1 영구자석(11)과 동일한 극성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제 1 유도코일(25)의 내측 또는 외측에 하나 또는 다수개 구비된다. 예를 들어, 무선 마우스(20)의 내부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제 2 영구자석(27)을 배치하고, 제 2 영구자석(27)의 내측에 사각형상의 제 1 유도코일(25)을 다수개 배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선 마우스장치는, 무선 마우스(20)를 마우스 패드(10) 위에서 포인팅하게 되면, 마우스 패드(10)에 내장된 제 1 영구자석(11)에서 발생하는 자력선과 무선 마우스(20)에 내장된 제 1 유도코일(25)이 교차하면서(자력선을 끊으면서) 제 1 유도코일(25)에 패러데이의 전자유도 작용에 따른 유도기전력이 발생한다. 제 1 유도코일(25)에 유도된 기전력은 제 1 유도코일(25)에 연결된 무선 마우스(20)의 전원부(23)에 직류로 변환 충전되어 센서부에서 감지한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발신부 등과 같은 마우스 전자회로(21)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인가된다.
또한, 무선 마우스(20)를 마우스 패드(10) 위에서 포인팅하게 되면, 무선 마우스(20)에 내장된 제 2 영구자석(27)에서 발생하는 자력선과 마우스 패드(10)에 내장된 제 2 유도코일(13)이 교차하면서 제 2 유도코일(13)에 패러데이의 전자유도 작용에 따른 유도기전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기전력은 무선 마우스(20)에 내장된 제 1 유도코일(25)에 흐르는 유도전류에 의해 마우스 패드(10)에 내장된 제 2 유도코일(13)로 상호유도되어 흐르는 유도전류를 포함한다. 제 2 유도코일(13)에 유도된 기전력은 제 2 유도코일(13)에 연결된 무선 키보드(30)의 전원부(23)에 직류로 변환 충전되어 키보드 전자회로(미도시)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인가된다.
이상,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영구자석과 유도코일을 통해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마우스의 전자회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건전지를 교체하거나 충전지를 재충전하는 불편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전 계통에 전기적인 접촉없이 내장된 영구자석과 유도코일을 통해 기전력이 발생하므로 접속불량 등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무선 마우스의 내부 에서 자체 전원을 생산하여 컴퓨터 본체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므로 무선 마우스 본래의 목적과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마우스 패드에 내장된 유도코일에서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키보드의 전자회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Claims (7)

  1. 제 1 영구자석이 내장된 마우스 패드; 및
    마우스 전자회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원부에 연결된 제 1 유도코일이 내장된 무선 마우스;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마우스를 상기 마우스 패드 위에서 포인팅 동작시 상기 제 1 영구자석 및 제 1 유도코일의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상기 제 1 유도코일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상기 전원부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패드에 내장된 제 2 유도코일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도코일의 상호유도 작용에 의해 상기 제 2 유도코일에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도코일은 상기 제 1 영구자석의 상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우스에 내장된 제 2 영구자석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2 영구자석 및 제 2 유도코일의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 상기 제 2 유도코일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도코일 및 제 2 영구자석은 상기 무선 마우스의 내부 저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구자석은 상기 제 1 유도코일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도코일은 무선 키보드의 전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유도코일에 유도기전력(유도전류)이 발생하여 상기 무선 키보드의 전원부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우스장치.
KR1020070027065A 2007-03-20 2007-03-20 무선 마우스장치 KR100863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065A KR100863132B1 (ko) 2007-03-20 2007-03-20 무선 마우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065A KR100863132B1 (ko) 2007-03-20 2007-03-20 무선 마우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469A true KR20080085469A (ko) 2008-09-24
KR100863132B1 KR100863132B1 (ko) 2008-10-15

Family

ID=4002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065A KR100863132B1 (ko) 2007-03-20 2007-03-20 무선 마우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686B1 (ko) * 2019-06-20 2021-06-10 (주)세노텍 다기능 마우스 장패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6825A (ja) * 1995-04-10 1996-11-01 Tokin Corp データ入力装置
JPH1195922A (ja) 1997-09-22 1999-04-09 Tokin Corp マウスパッド、コードレスマウス、およびそれらの組み合わせ
KR20000066532A (ko) * 1999-04-19 2000-11-15 홍상표 무선 마우스 장치
KR20050045016A (ko) * 2003-11-10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가 충전형 무선마우스
KR100537677B1 (ko) * 2003-11-19 2005-12-22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 충전 방식을 이용한 무선 광마우스 충전 시스템
KR100539013B1 (ko) 2005-06-03 2005-12-26 주식회사 린포스 유도코일로 충전되는 무선마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132B1 (ko)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808B1 (ko) 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
CN108292849B (zh) 用于再充电漫游设备的系统和方法,以及用于这种系统的适配器
US100332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power transfer functionality to an electrical device
CN107154678B (zh) 用于输入设备的无线充电
CN102959823B (zh) 感应式电力供给系统
EP2884618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20130162589A1 (en) Handwriting device with magnetic recharging site
US20220382391A1 (en) Wireless charging for an input device
EP2803126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power transfer functionality to an electrical device
KR20110029734A (ko) 이동단말기의 효율적인 무선 충전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29747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US953121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EP2507887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from a power supply to an inductive power outlet
CN102273041A (zh) 无线功率接收机模块
KR20080038683A (ko) 무선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69952A (ko)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KR100765612B1 (ko) 무선 충전기
CN106856584A (zh) 具有电源管理的助听器
CN105896139B (zh) 智能转接充电座及电源连接装置
KR100863132B1 (ko) 무선 마우스장치
JP2012070566A (ja) 非接触充電式の電気機器およびその充電システム
KR20120008632A (ko) 패키징 칩에 의한 무접점 배터리 장치 및 충전 시스템
US9966788B2 (en) Switch with magnetic prongs for docking
TW201917990A (zh) 模組化感測裝置及其無線充電結構
KR101229909B1 (ko) 피씨비 일체형 무접점 배터리 장치 및 충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