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349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 to talk function and method of keypad set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 to talk function and method of keypad set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349A
KR20080085349A KR1020070026718A KR20070026718A KR20080085349A KR 20080085349 A KR20080085349 A KR 20080085349A KR 1020070026718 A KR1020070026718 A KR 1020070026718A KR 20070026718 A KR20070026718 A KR 20070026718A KR 20080085349 A KR20080085349 A KR 20080085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tt
function
input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0178B1 (en
Inventor
전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178B1/en
Publication of KR2008008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3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1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obile terminal having a PTT(Push To Talk) function and an input sett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implify user input in case of transmitting text data, such as SMS(Short Message Service), messenger service in a PTT method by appointing a certain key of a keypad as a PTT function key to be used in executing PTT communication mo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PTT function comprises a PTT module(14), a user input part, a keypad switchover key(22), and a control part(10). The PTT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RF signals in a PTT service method. The user input part, provided for user input, comprises a keypad(7) which consists of character keys, number keys, menu keys, and direction keys. The memory stores key setup data to set a certain key of the keypad as a PTT function key for Tx/Rx mode transfer in PTT communication. The keypad switchover key is provided to select the activation of the PTT function key. In case that the activation of the PTT function key is selected through the keypad switchover key, the control part controls the Tx/Rx function of the PTT modul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PTT function key, based on the key setup data stored in the memory.

Description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설정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 TO TALK FUNCTION AND METHOD OF KEYPAD SETTING THE SAM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ush-to-talk function and input setting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 TO TALK FUNCTION AND METHOD OF KEYPAD SET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블럭도,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설정 방법의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put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설정화면의 표시 상태도, 3 and 4 is a display state of the input setting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put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 RF모듈 3 : 오디오처리부 1: RF module 3: Audio processing unit

5 : 디스플레이부 7 : 키패드 5: display unit 7: keypad

10 : 제어부 12 : 메모리10 control unit 12 memory

14 : PTT모듈 16 : 모드전환 스위치 14: PTT Module 16: Mode Switch

20 : PTT키 22 : 키패드 전환키20: PTT key 22: keypad change key

본 발명은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and an input setting method thereof.

푸시 투 토크(Push To Talk, 이하 "PTT"라 한다)서비스는 다이얼 작업이나 전화 연결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개인 및 그룹원들에게 음성이나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즉석 메신저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마련된 PTT키를 선택하여 단방향 음성방송, 개인 및 그룹 메세징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Push To Tal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TT") service is an instant messenger service that allows an individual and a group to send and receive voice or messages without going through a dialing operation or a telephone connection. The user can select a PTT key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use various services such as one-way voice broadcasting, personal and group messaging services.

이에, PTT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는 PTT서비스의 송신 모드와 수신 모드의 전환을 위해 별도의 PTT키가 마련된다. PTT키는 가압 선택된 상태에서는 송신모드로 동작하여 음성데이터 및 메시지 데이터 등을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PTT키의 가압을 해제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신모드로 동작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음성이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PTT servic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PTT key for switching between the transmission mode and the reception mode of the PTT service. When the PTT key is pressed and selected, the PTT key may operate in a transmission mode to transmit voice data and message data. When the PTT key is releas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es in a reception mode to receive voices or messages of other users.

이와 같이, PTT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PTT키를 가압한 상태에서 말을 해야함으로, PTT키는 단말기의 측면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PTT키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such, when performing voice communication using the PTT function, the user must speak while pressing the PTT key, so that the PTT key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ress the PTT key. .

그런데, PTT서비스를 이용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메신저 서비스와 같은 텍스트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의 전면에 설치된 키패 드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입력한 후 측면의 PTT키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However, in case of transmitting text data such as SMS (Short Message Service) and messenger service using the PTT service, the user inputs a message using a keypad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and selects the PTT key on the side to display the data. Must be sent.

따라서, PTT기능을 이용한 메시지 송신 동작 시에는 입력을 위한 동선이 단말기의 전면 및 측면에 존재하여 동선이 길어지고, 단말기의 전면을 응시한 상태에서 측면 키를 가압하게 되므로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message transmission operation using the PTT function, the copper wire for input is present on the front and side of the terminal, and thus the copper wire is long, and the side keys are pressed while staring at the front of the terminal. hav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PTT(Push To Talk)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SMS(Short Message Service) 및 메신저 서비스와 같은 텍스트 데이터를 PTT방식으로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설정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when a text data such as SMS (Short Message Service) and messenger service is transmitted using a PTT (Push To Talk)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nput is eas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and an input setting method thereof.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설정 방법은, PTT서비스 방식으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PTT모듈과;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소정 키 입력을, PTT통신 시 송수신모드 전환을 위한 PTT기능 키로 설정하는 키 설정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PTT기능 키의 활성화 선택을 위한 입력 전환키와; 상기 입력 전환키를 통해 상기 PTT기능 키의 활성화가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키 설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상기 PTT기능 키로 설정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PTT모듈의 송수신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and an input setting method comprising: a PTT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in a PTT service method; A user input unit for user input; A memory for storing key setting data for setting a predetermined key input of the user input unit as a PTT function key for switch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during PTT communication; An input switching key for activating selection of the PTT function ke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of the PTT module according to the key input set as the PTT function key in the user input unit based on the key sett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activation of the PTT function key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switch ke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문자키, 숫자키, 메뉴키, 방향키로 구성된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user input unit may include a keypad consisting of a text key, a numeric key, a menu key, and a direction key.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PTT기능 키 설정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PTT기능 키 설정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PTT기능 키 설정 입력창에 입력된 키를 상기 PTT기능 키로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input window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f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menu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nd set a key input in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input window as the PTT function key. It is possible to store in the memory.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선택을 위한 소정키가 PTT통신 시 송수신모드 전환을 위한 PTT기능 키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PTT기능 키 활성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PTT기능 키의 활성화가 선택된 경우 상기 PTT기능 키 입력에 따라 PTT 통신모드의 송수신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설정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key for selecting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as a PTT function key for switch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 in the PTT communic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PTT function key activation signal is input;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 of the PTT commun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PTT function key when the activation of the PTT function key is selected to be achieved by the input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Can be.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선택을 위한 소정키가 PTT통신 시 송수신모드 전환을 위한 PTT기능 키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단계는, 사용자의 PTT기능 키 설정 선택에 따라 상기 PTT기능 키 설정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PTT기능 키 설정 입력창에 입력된 키를 상기 PTT기능 키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step of storing the predetermined key for selecting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PTT function key for switch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during PTT communication, displays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user's PTT function key setting selection. Making a step; It is possible to include the step of setting the key input in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input window as the PTT function key and storing it.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설정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and an input setting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는 RF모듈(1)과, PTT서비스 통신을 위한 PTT모듈(14)과, RF모듈(1) 및 PTT모듈(14) 간의 전환을 위한 모드전환 스위치(16)와,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를 통해 입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처리부(3)와, 사용자 입력 및 메뉴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5)와,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7)와, 키패드(7)의 키 중 PTT기능 제어를 위해 설정된 PTT기능 키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12)와, PTT기능 제어를 위한 PTT키(20)와, 키패드(7)에 설정된 PTT기능 키의 활성화 선택을 위한 키패드 전환키(22)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이들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RF module 1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PTT module 14 for PTT service communication, an RF module 1, and a PTT module ( 14) a mode switching switch 16 for switching between the audio processing unit 3, an audio processing unit 3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input and output through a microphone MIC and a speaker SPK,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user input and menus, etc. 5), the keypad 7 for user input, the memory 12 in which the PTT function key information set for the PTT function control is stored among the keys of the keypad 7, and the PTT key 20 for the PTT function control. And a keypad switch key 22 for activation selection of the PTT function key set in the keypad 7, and a controller 10 for controlling each of these components according to user selection to execute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TT키(20)는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제어부(10)에 송수신 전환신호를 출력하여 PTT통신의 송신모드 및 수신모드를 선택한다.The PTT key 20 outputs a transmission / reception switch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user to select a transmission mode and a reception mode of the PTT communication.

모드전환 스위치(16)는 RF모듈(1) 및 PTT모듈(14)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이 제어부(10) 측과 연결되도록 스위칭 동작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드가 이동통신모드 및 PTT통신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The mode switching switch 16 switches so that any one of the RF module 1 and the PTT module 1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 side so that the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witch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 and the PTT communication mode. To be possible.

키패드(7)는 문자키, 숫자키 및 특수키, 메뉴키 등의 다수개의 키를 포함하 여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제어부(10)에 출력한다.The keypad 7 output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0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such as a character key, a numeric key, a special key, and a menu key.

메모리(12)에는 키패드(7)의 키 중 PTT기능 제어를 위해 설정된 PTT기능 키 정보가 저장된다. PTT기능 키는 단말기의 설계시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혹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PTT키(20)를 직접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10)는 PTT키(20) 설정메뉴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mory 12 stores the PTT function key information set for controlling the PTT function among the keys of the keypad 7. The PTT function key may be set and stored at the time of designing the terminal, or may be set and stored by the user. When the user directly sets the PTT key 20, the controller 1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such as a PTT key 20 setting menu.

키패드 전환키(22)는 키패드(7)에서 설정된 PTT기능 키의 활성화 신호를 출력한다. 즉, 키패드(7)에 설정된 PTT기능 키를 별도로 마련된 PTT키(20)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하는 기능을 선택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하드웨어적으로 전용키를 마련하거나 소정 메뉴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keypad switch key 22 outputs an activation signal of the PTT function key set in the keypad 7. That is, to receive a selection input of a function that uses the PTT function key set on the keypad 7 for the same purpose as the PTT key 20 provided separately, and may provide a dedicated key in hardware o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menu. Do.

제어부(10)는 RF모듈(1)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모드일 경우 키패드(7)의 문자키, 숫자키, 메뉴키 등에서 출력된 키신호를 기본 설정에 따라 처리하여 해당 키에 인쇄된 문자, 숫자, 메뉴 등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한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RF module 1, the controller 10 processes key signals outputted from the character key, numeric key, menu key, etc. of the keypad 7 according to the basic settings and prints them on the corresponding keys. Execut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letter, number, menu, or the like.

그리고, PTT통신기능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0)는 모드전환 스위치(16)를 제어하여 PTT모듈(14)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PTT통신모드로 전환한다. PTT통신모드일 경우 제어부(10)는 PTT키(20)의 신호에 따라 송수신기능을 제어하여 PTT키(20)가 가압된 경우 PTT모듈(14)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PTT키(20)의 선택이 해제된 경우 PTT모듈(14)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When the PTT communication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mode switching switch 16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PTT module 14 to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terminal to the PTT communication mode. In the PTT communication mode,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PTT key 20 to transmit data through the PTT module 14 when the PTT key 20 is pressed and the PTT key 20 When the selection is released, the data is received through the PTT module 14.

여기서, 제어부(10)는 키패드 전환키(22)가 선택된 경우, 메모리(12)에 저장된 PTT기능 키 설정에 따라, 키패드(7)의 키 중 PTT기능 키로 설정된 키에서 입력 된 신호를 PTT키(20)의 입력과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는 해당 키패드 전환키(22)가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키패드(7)의 키신호를 기본 설정에 따라 처리하거나 PTT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으로 처리한다.Here, when the keypad switch key 22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10 receives a signal input from the key set as the PTT function key among the keys of the keypad 7 according to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stored in the memory 12. Can be processed in the same way as the input of 20). That is, the controller 10 processes the key signal of the keypad 7 according to the basic setting or as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PTT 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corresponding keypad switch key 22 is selected.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키패드(7)에서 임의의 키를 PTT기능 키로 설정하여 PTT기능 이용 시 측면 PTT키(20) 대신 키패드(7)의 키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키패드(7)의 "*"키나, "송신"키를 PTT기능 키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는 키패드(7)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입력한 후, 바로 "*"키나, "송신"키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PTT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set any key on the keypad 7 as a PTT function key to use the keys of the keypad 7 instead of the side PTT key 20 when using the PTT function. For example, when the "*" key or the "send" key of the keypad 7 is set to the PTT function key, the user selects the "*" key or the "send" key immediately after inputting a message using the keypad 7. Message can be transmitted by PTT metho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설정 방법은 도 2의 흐름도와 같다.An input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키패드(7)의 키를 PTT기능 키로 설정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PTT기능 키 설정메뉴를 선택하며(S10), 이에, 제어부(10)는 PTT기능 키 설정메뉴를 디스플레이부(5)에 표시하여 PTT기능 키 설정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등의 변경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S12).The user who wants to set the key of the keypad 7 as the PTT function key selects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menu (S10).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 displays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menu on the display unit 5 to display the PTT function key. The user receives an input of whether to perform a change operation such as adding or modifying a key setting (S12).

사용자가 변경작업의 수행을 종료한 경우 제어부(10)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PTT기능 키의 설정을 유지한다(S22). 즉, 이미 키패드(7)의 키 중 PTT기능 키로 설정된 키가 있는 경우 그 설정상태를 유지하고, PTT기능 키가 설정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측면 PTT키(20)를 통해서 PTT기능 선택을 입력받는다.When the user finishes performing the change operation, the controller 10 maintains the setting of the PTT function key that is currently set (S22). That is, if there is already a key set as the PTT function key among the keys of the keypad 7, the setting state is maintained, and when the PTT function key is not set, the PTT function selection is input through the side PTT key 20.

한편, 사용자가 PTT기능 키의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0)는 기본키 설정을 그대로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S14).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setting of the PTT function key, the controller 10 receives from the user whether to use the default key setting as it is (S14).

사용자가 기본 PTT기능 키 설정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0)는 해당 키 설정정보에 따라 키패드(7) 입력을 처리하는 기본 모드를 활성화하며(S16), 현재 설정을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 입력받는다(S18). 이와 같이 기본 PTT기능 키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 측면의 PTT키(20)만을 사용할 수 있다.If the user wants to use the basic PTT function key setting, the control unit 10 activates the basic mode of processing the keypad 7 inpu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ey setting information (S16), and confirms whether to save the current setting from the user. It receives an input (S18). As such, when the default PTT function key is set, the user can use only the PTT key 20 on the side of the terminal.

그리고, 사용자가 기본 PTT기능 키 설정을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0)는 사용자 지정 PTT기능 키를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5). 이에, 제어부(10)는 사용자가 PTT기능 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PTT기능 키 입력창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PTT기능 키를 입력받고(S17), 현재 설정을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 입력받는다(S18).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use the basic PTT function key setting, the controller 10 checks whether to set a user-specified PTT function key (S15).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 displays the PTT function key input window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PTT function key, receives the PTT function key that the user wants to use (S17), and confirms whether to save the current setting from the user. It receives an input (S18).

사용자가 현재 설정의 저장을 확인하면 제어부(10)는 현재 설정된 PTT기능 키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결과를 표시한다(S20).When the user confirms the storage of the current setting, the controller 10 stores the currently set PTT function key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storage result (S20).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설정화면의 표시 상태도이다.3 and 4 are display state diagrams of an input setting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PTT기능 키 설정메뉴(100)는 모드 설정항목(102)에서 "기본"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기본"모드가 선택된 경우 PTT기능 키 설정메뉴(100) 하단의 PTT기능 키 설정상태창(104)에는 "사용 안함"으로 표시된다. 즉, 기본 PTT기능 키 설정은 단말기 측면의 PTT키(20)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상태를 갖는 PTT기능 키 설정메뉴(100)는 상술한 설명의 S16단계 수행 시 표시될 수 있다.The PTT function key setting menu 100 of FIG. 3 shows a case where the "basic"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tting item 102. When the "basic" mode is selected,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status window 104 at the bottom of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menu 100 is displayed as "disabled". That is, the basic PTT function key setting can be used when you want to use only the PTT key 20 on the side of the terminal.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menu 100 having such a display state may be displayed when performing step S16 of the above description.

도 4의 PTT기능 키 설정메뉴(200)는 모드 설정항목(202)에서 "듀얼키"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듀얼키"모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지정 키" 항목에, PTT기능 키로 사용하고자 하는 임의의 키패드(7) 키를 입력할 수 있다. PTT기능 키 입력 후 "OK"항목(204)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입력된 PTT기능 키 설정을 저장한다. 이러한 표시상태를 갖는 PTT기능 키 설정메뉴(200)는 상술한 설명의 S17단계 수행 시 표시될 수 있다.The PTT function key setting menu 200 of FIG. 4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dual key"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tting item 202. When the "dual key" mode is selected, the user can input any keypad 7 key to be used as the PTT function key in the "user specified key" item. If the "OK" item 204 is selected after the PTT function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0 stores the input PTT function key setting.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menu 200 having such a display state may be displayed when performing step S17 of the above description.

이러한 과정을 통해 PTT기능 키가 설정된 후, 실재 PTT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본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After the PTT function key is set through this process,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제어부(10)는 키패드 전환키(22)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30). 여기서, 키패드 전환키(22)는 별도의 버튼으로 구비되거나, 소정 메뉴에 진입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10 monitors whether the keypad switch key 22 is selected (S30). Here, the keypad switch key 22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button or may be selected by entering a predetermined menu.

키패드 전환키(22)가 선택되지 아니한 상태인 경우 기본 설정대로 측면 PTT키(20)가 PTT통신 시 사용된다(S36).When the keypad switch key 22 is not selected, the side PTT key 20 is used during PTT communication as a default setting (S36).

그리고, 키패드 전환키(22)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0)는 PTT기능 키의 사용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2). 여기서, PTT기능 키의 사용이 설정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엔, 키패드 전환키(22) 선택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초기상태로 돌아간다.When the keypad switch key 22 is selected, the controller 10 checks whether the use of the PTT function key is set (S32). Here, when the use of the PTT function key is not se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selection of the keypad changeover key 22, and it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again.

반면, PTT기능 키의 사용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0)는 PTT기능 키로 설정된 키패드(7)의 키 입력에 따라 PTT기능을 제어한다(S34).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 of the PTT function key is set,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PTT function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keypad 7 set as the PTT function key (S34).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패드의 소정 키를 PTT기능 키로 설정하 여 PTT통신모드 수행 시 키패드의 키를 PTT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ts a predetermined key of the keypad as a PTT function key so that the key of the keypad can be used as the PTT key when the PTT communication mode is performed.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입력설정 방법은, 키패드의 소정 키를 PTT기능 키로 설정하여 PTT통신모드 수행 시 키패드의 키를 PTT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and an input se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et a predetermined key of the keypad as a PTT function key so that the key of the keypad can be used as the PTT key when the PTT communication mode is performed. have.

이에 따라, SMS 및 메신저 서비스와 같은 텍스트 데이터를 PTT방식으로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을 위한 동선을 단축하고 사용상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case of transmitting text data such as SMS and messenger service in a PTT method, it is possible to shorten a moving line for user input and to improve convenience of use.

Claims (5)

PTT서비스 방식으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PTT모듈과;PTT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in a PTT service method;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와;A user input unit for user input;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소정 키 입력을, PTT통신 시 송수신모드 전환을 위한 PTT기능 키로 설정하는 키 설정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A memory for storing key setting data for setting a predetermined key input of the user input unit as a PTT function key for switch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during PTT communication; 상기 PTT기능 키의 활성화 선택을 위한 입력 전환키와;An input switching key for activating selection of the PTT function key; 상기 입력 전환키를 통해 상기 PTT기능 키의 활성화가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키 설정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상기 PTT기능 키로 설정된 키 입력에 따라, 상기 PTT모듈의 송수신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of the PTT module according to the key input set as the PTT function key in the user input unit based on the key sett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when the activation of the PTT function key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switch ke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문자키, 숫자키, 메뉴키, 방향키로 구성된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The user input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eypad consisting of a text key, a numeric key, a menu key, a direction ke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PTT기능 키 설정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PTT기능 키 설정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PTT기능 키 설정 입력창에 입력된 키 를 상기 PTT기능 키로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Displaying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input window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menu through the user input unit, and setting the key input in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input window as the PTT function key to store in the memor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to-talk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선택을 위한 소정키가 PTT통신 시 송수신모드 전환을 위한 PTT기능 키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단계와;Setting and storing a predetermined key for selecting a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PTT function key for switch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during PTT communication; 상기 PTT기능 키 활성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PTT function key activation signal is input; 상기 PTT기능 키의 활성화가 선택된 경우 상기 PTT기능 키 입력에 따라 PTT 통신모드의 송수신 모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설정 방법.And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of the PTT communication mod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PTT function key when the activation of the PTT function key is select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선택을 위한 소정키가 PTT통신 시 송수신모드 전환을 위한 PTT기능 키로 설정되어 저장되는 단계는,The predetermined key for selecting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as a PTT function key for switching betwe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es during PTT communication. 사용자의 PTT기능 키 설정 선택에 따라 상기 PTT기능 키 설정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와;Displaying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input window according to a user's PTT function key setting selection; 상기 PTT기능 키 설정 입력창에 입력된 키를 상기 PTT기능 키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투 토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설정 방법.And setting and storing the key input in the PTT function key setting input window as the PTT function key.
KR1020070026718A 2007-03-19 2007-03-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 to talk function and method of keypad setting the same KR1013701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718A KR101370178B1 (en) 2007-03-19 2007-03-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 to talk function and method of keypad set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718A KR101370178B1 (en) 2007-03-19 2007-03-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 to talk function and method of keypad set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349A true KR20080085349A (en) 2008-09-24
KR101370178B1 KR101370178B1 (en) 2014-03-05

Family

ID=4002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718A KR101370178B1 (en) 2007-03-19 2007-03-19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 to talk function and method of keypad set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178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3721B2 (en) * 2003-07-31 2007-05-09 三洋電機株式会社 Mobil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KR100640325B1 (en) * 2004-08-19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communication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77704B1 (en) * 2005-12-30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push-to talk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178B1 (en)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857B1 (en) User interface for cellular telephone group calls
EP2039133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handling circuit-switched and packet-switched audio
CN101422024A (en) Select from the carrier type that external equipment initiates to carry out to the calling of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00044227A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s when telephone line is bus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1278591B (en) Push-to-talk terminal, 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ication of terminal having acquired speech right
KR100557185B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mobile terminal and concurrent call method for accomplishing simultaneously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ing with call
KR20100133927A (en) Consistent user interface for multi-mode mobile terminals
KR10137017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 to talk function and method of keypad setting the same
KR20090098027A (en) Wireless mobile terminal with various responding methods by menu and method thereof
KR100703355B1 (en) Method for call receiving in wireless terminal
KR100715794B1 (en) List Management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00762B1 (en) Terminal, Ser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communication function while calling
JP4101732B2 (en) Telephone having no dial key and dial calling method in the telephone
KR20020029690A (en) Remote controlling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22790B1 (en) Pendent kitt equippted with a push-to-talk ser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20531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0795749B1 (en) Method for executing video communication in mobile terminal
KR10068091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hort Message Transmit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20090017010A (en) Method for providing two phone service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minal having two phone service function
KR200101113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essage using DTMF Signal
KR100687254B1 (en) SMS message maintenance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85352A (en) Pt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ransmission/receive changeover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838960B1 (en) Method of automatically connecting call of mobile phone and apparatus thereof
KR100883112B1 (en) Method for multi-party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100076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arty c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