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332A -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332A
KR20080085332A KR1020070026665A KR20070026665A KR20080085332A KR 20080085332 A KR20080085332 A KR 20080085332A KR 1020070026665 A KR1020070026665 A KR 1020070026665A KR 20070026665 A KR20070026665 A KR 20070026665A KR 20080085332 A KR20080085332 A KR 20080085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ma
beacon
access point
pow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6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5332A/ko
Publication of KR2008008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UMA(Unlicensed Mobile Access) 단말은 지속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서 WMM(Wireless MultiMedia) 전력 관리 모드를 이용하는 도중 소정의 비컨 스킵 모드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비컨 주기의 스킵과 비컨 주기의 정상적인 수행을 반복하게 되며, 한편 스킵하는 비컨 주기 동안 UMA 단말로 전송되어야 할 패킷은 액세스 포인트가 임시 저장한 후 추후 UMA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의 로스(Loss)없이 스킵 비컨 주기에 비례하여 소모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 관리 방법{Unlicensed Mobile Access Terminal Skipping Beacon Period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도 1A는 일반적인 비인가 무선 접속 네트워크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B는 일반적인 비인가 무선 접속 네트워크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802.11 레거시 모드에 따른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WMM Power Save 모드에 따른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랜 네트워크의 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UMA 단말이 비컨 스킵 모드를 설정하는 제1 이벤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UMA 단말이 비컨 스킵 모드를 설정하는 제2 이벤트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UMA 단말이 비컨 스킵 모드를 해제하는 이벤트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MA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MA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 단말의 소모 전력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UMA 단말 12 : 액세스 포인트
13 : UNC 21 : 비컨 프레임 처리부
22 : 트리거 프레임 처리부 23 :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
24 : 비컨 스킵 제어부 25 : 무데이터 프레임 판단 모듈
26 : More 필드 체크 모듈 27 : 전력 관리부
28 : 전력 상태 변환 모듈 29 : 타이머
30 : WiFi 인터페이스부 31 : WiFi 안테나
본 발명은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UMA : Unlicensed Mobile Access) 프로토콜은 음성과 데이터 세션에서 셀룰러와 고정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사이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듀얼 모드(Dual Mode)를 지원하는 UMA 단말이 UMA 무선 기지국(Bluetooth, Wi-Fi) 근처로 이동하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와 동일한 서비스를 비인가 무선 주파수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이동 단말의 이용 시 셀룰러 기지국 간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것처럼, UMA 단말은 셀룰러 기지국과 UMA 무선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UMA 네트워크는 UNC(UMA Network Controller)라 불리는 새로운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데, UNC는 RAN(Radio Access Network)에서 BSC(Base Station Controller)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UMA 단말은 RAN에서는 BSC를 통하여 코어 이동 통신망(Core Mobile Network)에 접속하며, UMA 네트워크에서는 UNC를 통하여 코어 모바일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A는 일반적인 비인가 무선 접속 네트워크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UMA 단말(1)은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4)과 제어국(BSC : Base Station Controller)(5)을 통하여 코어 이동 통신망(Core Mobile Network)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UMA 단말(1)은 액세스 포인트(2)와 UNC(3)를 경유하여 코어 이동 통신망에 접속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2)는 소정의 영역에 사설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비인가된 무선 대역을 통하여 UMA 단말(1)로 무선 링크를 제공한다. UMA 네트워크에 속한 액세스 포인트(2)는 인터넷과 같은 IP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UNC(UMA Network Controller)(3)에 연결된다.
UNC(3)는 액세스 포인트(2)의 상태 관리와 UMA 단말(1)의 등록 과정(Registration) 등을 수행한다. UNC(3)는 광대역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 관리 및 무선 링크와 유선 링크 관리를 담당하는 이동 전화 교환국(MSC : Mobile Switch Center)(비도시)과 연결되어, UMA 단말(1)을 이동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하게 한다.
도 1B는 일반적인 비인가 무선 접속 네트워크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UMA 단말(1)은 IEEE 802.11의 무선 랜 또는 블루투스 등에 의거하여 액세스 포인트(2)로의 접속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비인가 무선 접속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UMA 단말(1)은 GSM, GPRS와 같이 광대역 이동 통신망을 접속하기 위한 호스트(Host)(6)와 Wi-Fi 등의 802.11에 따른 무선 랜 통신을 수행하는 타겟(Target)(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UMA 단말(1)은 UMA 클라이언트(7)를 이 용하여 호스트(6)와 타겟(8)을 연동시키게 된다.
도 1B의 UMA 단말(1)이 이용하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규격의 무선 랜 네트워크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IEEE 802.11은 흔히 무선 랜(WLAN), 와이파이(Wi-Fi)라고 호칭되며, 좁은 지역(Local Area)을 위한 컴퓨터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술로, IEEE의 LAN(Local Area Network)/MAN(Metropolitan Area Network) 표준 위원회(IEEE 802)의 11번째 워킹 그룹(Working Group)에서 개발된 표준 기술을 의미한다.
IEEE 802.11은 현재 주로 쓰이는 유선 LAN 형태인 이더넷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로, 이더넷 네트워크의 말단에 위치해 불필요한 배선 작업 및 유지 관리 비용 최소화를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통 폐쇄되지 않은 넓은 공간(예를 들어 하나의 사무실)에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설치하며, 외부 WAN(Wide Area Network)과 백본 스위치, 각 사무실 액세스 포인트를 이더넷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각 사무실의 컴퓨터는 무선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취한다. 이하, 802.11 규격을 따르는 UMA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일반적인 802.11 레거시 모드에 따른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 802.11 레거시(Legacy) 모드에서의 UMA 단말(STA : Station)(1)은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2)가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비컨 메시지(Beacon Message) 에 포함된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필드를 참고한다.
비컨 메시지 주기 사이에 UMA 단말(1)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된 경우, UMA 단말(1)은 최대 비컨 주기만큼을 어웨이크 상태로 대기한 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때마다 PS Poll(Power Save Poll)을 전송하여야 하므로 UMA 단말(1)은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를 유지한다.
액세스 포인트(2)에서 더 이상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2)는 UMA 단말(1)이 전송한 PS Poll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ck 메시지만을 전송하게 되며, UMA 단말(1)은 비로소 도즈 상태(Doze State)로 진입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WMM Power Save 모드에 따른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WMM(Wireless MultiMedia) Power Save 모드를 이용하는 UMA 단말(1)은 능동적으로 트리거 프레임(Trigger Frame)을 액세스 포인트(2)로 전송함으로써 비컨 주기 사이에서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UMA 단말(1)은 비컨 메시지를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2)가 멀티캐스팅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알 수 있으며, 트리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2)로 전송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2)가 UMA 단말(1)로 전송(유니캐스팅)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UMA 단말(1)은 액세스 포인트(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신한 후 그에 따른 Ack 메시지만을 전송하여 응답할 뿐이다. 따라서 802.11 레거시 모드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2)가 보내는 데이터 프레임에는 데이터의 끝을 의미하는 필드가 존재하는데, UMA 단말(1)은 상기 필드를 확인하고 더 이상 수신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바로 도즈 상태로 진입하므로, 도 2의 802.11 레거시 전력 관리 모드보다 전력 소모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WMM 전력 관리 모드는 액세스 포인트(2)와 UMA 단말(1) 간 송수신되는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할 때 의미가 있다. 만일 액세스 포인트(2)와 UMA 단말(1) 간 송수신할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802.11 레거시 전력 관리 모드보다 전력 관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는 액세스 포인트(2)로부터 수신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도, UMA 단말(1)은 비컨 주기마다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음성(Voice)이 대부분인 UMA 응용 분야에서는 액세스 포인트(2)와 UMA 단말(1) 간 주고받는 데이터가 장시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오히려 전력 절약 효율이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는 WMM 전력 관리 모드의 문제점은 더욱 심각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할 데이터의 존재 여부에 따라 비컨 주기 스킵 또는 비컨 과정 수행을 반복함으로써, WMM 전력 관리 모드의 전력 관리 효율을 높이기 위한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 관리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UMA 네트워크의 전력 관리 방법은 UMA 단말이 WMM 전력 관리 모드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와 비컨 스킵 모드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스킵하는 비컨 주기와 일반적인 비컨 주기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컨 스킵 모드 설정 이벤트로는 상기 UMA 단말과 UNC가 등록 과정을 완료한 경우 또는 상기 UMA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완료한 경우 등이 존재한다. 이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완료 여부 체크는 상기 UMA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의 More 필드 값이 0인지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UMA 단말은 비컨 스킵 모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다시 WMM 전력 관리 모드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비컨 스킵 모드 해제 이벤트로는 UMA 단말이 일반적인 비컨 주기 동안 유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 등이 존재한다.
또한 UMA 단말이 스킵하는 비컨 주기는 0 또는 양의 정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비컨 스킵 주기를 0으로 설정하게 되면, UMA 단말을 WMM 전력 관리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UMA 단말이 스킵하는 비컨 주기 동안,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UMA 단말로 전송하여야 할 데이터를 버퍼링하며,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인 비컨 주기로 전이된 UMA 단말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한 후, 버퍼링한 데이터를 상기 UMA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WMM 전력 관리 단말은 비컨 스킵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 소정의 비컨 주기 동안 단말을 도즈 상태(Doze State)로 변환하고, 비컨 주기가 경과한 후 단말을 다시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로 변환하는 전력 관리부와 비컨 스킵 모드 설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력 관리부로 비컨 스킵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비컨 스킵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컨 스킵 제어부는 수신한 프레임이 무데이터 프레임(No Data Frame)인 경우 비컨 스킵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무데이터 프레임 판단 모듈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프레임 수신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여 비컨 스킵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More 필드 체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More 필드 체크 모듈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More 필드 값이 0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프레임 수신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전력 관리부는 비컨 스킵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 단말을 도즈 상태로 변환하고, 어웨이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 단말을 어웨이크 상태로 변환하는 전력 상태 변환 모듈과 비컨 스킵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 소정의 비컨 주기 경과 후 상기 전력 상태 변환 모듈로 어웨이크 신호를 전달하는 타이머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WMM 전력 관리 단말은 스킵할 비컨 주기 값을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WMM 전력 관리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DTIM 비컨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비컨 프레임 처리부, 상기 DTIM 비컨 메시지 수신 후 트리거 프레임 전송을 처리하는 트리거 프레임 처리부 및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된 유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UMA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은 UMA 단말이 최초 UNC와의 등록 과정 완료 후, 소정의 비컨 주기 동안 도즈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소정의 비컨 주기 스킵 후 어웨이크 상태로 전이하여 새로운 비컨 주기를 시작하는 단계, 데이터 송신을 요청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데이터 전송 완료를 통보받은 경우 소정의 비컨 주기 동안 도즈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 완료 통보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More 필드 값을 0으로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UMA 단말의 무데이터 프레임 수신 여부 체크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체크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UMA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은 UMA 단말의 비컨 주기 스킵 시, 상기 UMA 단말로 전송되어야 하는 패킷은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되는 단계와 새로운 비컨 주기가 시작된 경우, UMA 단말은 트리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버퍼링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데이터 로스를 막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 관리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랜 네트워크의 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새로운 비컨 주기(Beacon Period)가 시작되면,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12)는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비컨 메시지를 UMA(Unlicensed Mobile Access) 네트워크 내 UMA 단말(11)들에게 브로드캐스팅한다. UMA 단말(11)은 소정의 지연 시간(EDCA Access Delay) 후 트리거 프레임(Trigger Frame)을 액세스 포인트(12)로 전송한다. 상기 트리거 프레임의 전송 후 액세스 포인트(12)는 UMA 단말(11)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4의 제1 비컨 주기에서 위에서 설명한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UMA 단말(11)은 제1 비컨 주기와 같은 데이터 송수신 과정 중 소정의 비컨 스킵 모드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설정된 횟수만큼 비컨 주기를 스킵(Skip)하는 비컨 스킵 모드(Beacon Skip Mode)로 진입하게 된다.
변경될 수 있는 파라미터인 비컨 스킵 주기(Beacon Skip Interval)가 1인 비컨 스킵 모드인 경우, UMA 단말(11)은 한 주기 동안은 도즈 상태(Doze State)를 유 지하며, 그 다음 주기에는 평소대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스킵되는 비컨 주기에서 UMA 단말(11)은 도즈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단말의 전력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제1 비컨 주기에서 무데이터 프레임(No Data Frame)의 전송이라는 일종의 비컨 스킵 모드 설정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UMA 단말(11)은 비컨 스킵 모드로 설정되었으며, 제2 비컨 주기 동안 UMA 단말(11)은 도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UMA 단말(11)은 제2 비컨 주기를 스킵한 다음, 제3 비전 주기에서는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UMA 단말(11)이 제2 비컨 주기에서 도즈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액세스 포인트(12)는 UMA 단말(11)로 전송하여야 하는 데이터를 코어 이동 통신망(Core Mobile Network)으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12)는 코어 이동 통신망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버퍼링을 수행하며, 추후 DMA 단말(11)이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가 된 후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비컨 스킵 모드를 설정하는 이벤트에 상반되는 비컨 스킵 모드 해제를 위한 이벤트도 존재한다. 상기 비컨 스킵 모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UMA 단말(11)은 기존의 WMM(Wireless MultiMedia) 전력 관리 모드에 따라 동작을 하게 된다.
다시 도 4의 제3 비컨 주기를 검토하면 More 필드가 1인 데이터 프레임 수신 이라는 비컨 스킵 모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볼 수 있다. 그 결과 UMA 단말(11)은 기존의 WMM 전력 관리 모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게 되어, 제4 비컨 주기에서도 도즈 상태로 진입하지 않는다. 즉, 제4 비컨 주기에서도 DMA 단말(11)은 트리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2)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하, 비컨 스킵 모드 설정 이벤트, 비컨 스킵 모드 해제 이벤트 및 비컨 스킵 주기 등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UMA 단말(11)이 비컨 스킵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이벤트로는 i) 단말(11)이 최초 UNC(UMA Network Controller)(13)와 등록 과정(Registration)을 완료하는 이벤트와 ii) 액세스 포인트(12)가 UMA 단말(11)로의 데이터 전송을 완료하는 이벤트가 존재한다. 각 이벤트에 대하여는 도 5와 도 6에서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반면, 비컨 스킵 모드 해제 이벤트로는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듯이 UMA 단말(11)이 More 필드가 1인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가 존재한다. 이에 대하여는 도 7에서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UMA 네트워크의 운용자 또는 UMA 단말(11)의 사용자는 비컨 스킵 주기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만일 비컨 스킵 주기 값이 0이라면 비컨을 스킵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므로, UMA 단말(11)은 기존의 WMM 전력 관리 모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비컨 스킵 주기 값이 3이라면 UMA 단말(11)은 비컨을 세 구간씩 스킵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컨 스킵 주기 값으로 0 또는 양의 정수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비컨 스킵 주기 값은 UMA 네트워크의 운용자가 정적으로 일정 값을 할당할 수도 있으며(Static), UMA 단말(11)이 UMA 네트워크의 현재 통신 환경을 체크하고, 그에 따라 가장 적절한 값으로 변경되는 방식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Dynamic).
기본적으로 비컨 스킵 주기 값이 증가할수록 스킵되는 비컨 주기의 길어지며 UMA 단말(11)이 도즈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도 증가되어 소모 전력을 보다 많이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비컨 스킵 주기 값이 너무 커지는 경우, UMA 단말(11)로의 데이터 전송이 원하는 시간에 이루어지지 않으며, 비컨 스킵 모드 설정 이벤트 자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무한정 비컨 스킵 주기 값을 크게 설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실험 결과 비컨 스킵 주기 값을 2 내지 4로 설정하는 경우, UMA 단말(11)의 전력 관리 효율이 좋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UMA 단말이 비컨 스킵 모드를 설정하는 제1 이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UMA 단말(11)은 액세스 포인트(12)와 Association 과정을 수행한다(S501). 그 후 UMA 단말(11)은 사용할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받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과정을 수행하며(S502), DHCP 과정에 의하여 할당된 IP에 상응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를 찾는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과정을 수행한다(S503).
S501 내지 S503 과정을 통하여 UMA 단말(11)은 UNC(13)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주소를 이용하여 UNC(13)로의 등록(Registration)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504).
본 발명에 따른 UMA 단말(11)은 UNC(13)와의 등록 과정이 완료되는 경우 비컨 스킵 모드를 시작한다(S505). 즉, UNC(13)와의 등록 과정 완료는 UMA 단말(11)이 비컨 스킵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이벤트, 즉 비컨 스킵 모드 설정 이벤트에 해당하는 것이다.
위의 동작에 따르면 UMA 단말(11)은 UNC(13)와의 등록 후 첫 번째 비컨인 제1 비컨 주기를 스킵하게 되어 해당 비컨 주기의 DTIM 비컨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다(S506). 따라서 UMA 단말(11)은 수신 모드로 진입하지 않으며 액세스 포인트(12)가 브로드캐스팅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상기 문제점은 무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2)는 멀티캐스팅할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정보를 DTIM 비컨 메시지에 포함하여 UMA 단말(11)에게 미리 알린다. DTIM 비컨 메시지의 전송 후 액세스 포인트(12)는 해당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한다. UMA 단말(11)이 비컨 메시지를 수신하여 멀티캐스팅될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경우, 일정 시간동안 수신 모드 상태, 즉 어웨이크 스테이트(Awake State)로 대기함으로써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UMA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포인트(12)와 UMA 단말(11) 간 교환하는 멀티캐스팅 데이터는 DHCP 데이터와 ARP 데이터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DHCP와 ARP 데이터는 최초 UMA 단말(11)이 액세스 포인트(12)로 Association하는 S501 과정에서 전달된다. Association 과정 후 액세스 포인트(12)와 UMA 단말(11) 간 연결이 종료되기 전까지 DHCP와 ARP 데이터의 교환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UMA 네트워크의 특성에 의하면 UMA 단말(11)이 UNC(13)로의 등록 과정 직후 소정의 비컨 주기를 스킵하더라도, 멀티캐스팅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하여서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물론 소정의 비컨 주기를 스킵한 후 UMA 단말(11)은 어웨이크 스테이트(S507)로 전환하여, DTIM 비컨 메시지를 수신하고(S508) 트리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2)로 송신하는 동작(S509)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UMA 단말이 비컨 스킵 모드를 설정하는 제2 이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UMA 단말(11)은 액세스 포인트(12)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완료한 경우, 비컨 스킵 모드를 시작하게 된다. 액세스 포인트(12)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완료하였는지 여부는 데이터 프레임 중 데이터의 끝임을 알리는 필드(More Field) 값을 체크함으로써 알 수 있다. More 필드 값을 체크한 결과 더 이상 수신할 데이터가 액세스 포인트(12)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UMA 단말(11)은 비컨 스킵 모드로 변환된다.
일반적으로 More 필드 값이 1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2)가 전송할 데이터가 아직 존재한다는 것이고, 반대로 More 필드 값이 0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2)가 전송할 데이터가 더 이상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UMA 단말(11)은 상기 More 필드 값이 0인 경우 비컨 스킵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물론, 도 4 제1 비컨 주기의 무데이터 프레임(No Data Frame)과 같은 경우에도 More 필드 값은 0을 가지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데이터 프레임은 More 필드 값이 1이다. 따라서 UMA 단말(11)은 비컨 스킵 모드로 진입을 하지 않는다. UMA 단말(11)은 More 필드 값이 0인 제3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후부터 비컨 스킵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UMA 단말이 비컨 스킵 모드를 해제하는 이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만일 비컨 스킵 모드가 계속하여 설정된다면 UMA 단말(11)로 데이터가 계속 전달되어야 하는 상황, 즉 계속하여 UMA 단말(11)이 어웨이크되어 있어야 하는 경우에도, 비컨이 강제적으로 스킵되어 데이터 전송이 늦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비컨 스킵 모드를 어느 시점에서 해제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도 7에서 UMA 단말(11)은 소정의 이벤트 발생으로 인하여 제6 비컨 주기를 스킵하였다. 제5 비컨 주기에서 UMA 단말(11)은 무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였으며, 무데이터 프레임은 More 필드가 0에 해당하므로 제6 비컨 주기를 스킵한 것이다.
그 후 제7 비컨 주기에서 UMA 단말(11)은 어웨이크 상태로 전이되어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 경우 UMA 단말(11)은 액세스 포인트(12)로부터 More 필드가 1인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게 되며, 이 경우 비컨 스킵 모드를 해제하는 것이 다.
UMA 단말(11)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받은 액세스 포인트(12)는 단말로 전송할(Unicasting)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UMA 단말(11)에게 통보한다. 만일 액세스 포인트(12)는 UMA 단말(11)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무데이터 프레임(No Data Frame)을 전송하고,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것이다.
UMA 단말(11)은 무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비컨 스킵 모드를 계속 유지하지만,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비컨 스킵 모드를 해제하고 기존의 WMM 전력 관리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이는 UMA 단말(11)이 계속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WMM 전력 관리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MA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비컨 스킵 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UMA 단말(11)이 하나의 비컨 주기 동안 수행하는 구체적 동작이다.
임의의 시점에서 비컨 주기가 시작하면(S801) UMA 단말(11)은 어웨이크 상태로 전환하고(S802), 이로써 UMA 단말(11)과 액세스 포인트(12) 간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액세스 포인트(12)는 DTIM 비컨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멀티캐스팅할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UMA 단말(11)로 통보한다(S803). DTIM 비컨 메시지의 처리 후 UMA 단말(11)은 트리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2)로 송신하고(S804), 그에 대한 ACK를 수신한다(S805).
트리거 프레임의 전송 후 UMA 단말(11)은 액세스 포인트(12)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게 된다(S806). 이 경우 UMA 단말(11)은 데이터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체크하여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이 무데이터 프레임인지 유데이터 프레임인지 체크한다(S807).
만일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유효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UMA 단말(11)은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를 처리한다(S808). 한편 UMA 단말(11)은 페이로드에 유효한 정보가 존재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More 필드 값을 체크하여 액세스 포인트(12)로부터 수신할 데이터가 더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809).
S809 과정에 따른 판단 결과 액세스 포인트(12)로부터 수신할 데이터가 더 존재하는 경우, UMA 단말(11)은 다시 현재 비컨 주기가 종료되는지 체크한다(S810). 만일 현재 비컨 주기가 종료되지 않는다면 액세스 포인트(12)로부터 추가적으로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S806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현재 비컨 주기가 종료되는 경우 다시 새로운 비컨 주기를 시작하게 되며, 이는 S801 과정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S807 과정에서 UMA 단말(11)이 무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S809 과정에서 액세스 포인트(12)에 상기 UMA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S811 단계로 진행한다. S811 과정에서 UMA 단말(11)은 소정의 비컨 스킵 주기(Beacon Skip Interval)만큼 비컨 과정을 스킵한다(S811). 물론, 비컨 과정의 스킵 후 다시 새로운 비컨 주기, 즉 S801 단계가 시작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MA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MA 단말(20)은 비컨 프레임 처리부(21), 트리거 프레임 처리부(22),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23), 비컨 스킵 제어부(24), 전력 관리부(25), WiFi 인터페이스부(30) 및 WiFi 안테나(3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UMA 단말(20)은 GSM과 같은 광대역 이동 통신망과 접속하기 위한 안테나 및 인터페이스부 등을 더 포함하나,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다.
WiFi 안테나(31)는 액세스 포인트(12)와 802.11 규약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물리적인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WiFi 인터페이스부(30)는 WiFi 안테나(31)가 수신한 물리적인 부호를 해당하는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WiFi 인터페이스부(30)가 변환한 각종 프레임은 비컨 프레임 처리부(21), 트리거 프레임 처리부(22),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23) 등으로 전달되어 각각 처리된다.
비컨 프레임 처리부(21)는 UMA 단말(20)이 수신한 DTIM 비컨 메시지를 처리하며, 트리거 프레임 처리부(22)는 DTIM 비컨 메시지의 수신 후 트리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2)로 전송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WiFi 인터페이스부(30)는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먼저 비컨 스킵 제어부(24)의 무데이터 판단 모듈(25)로 전달한다. 무데이터 프레임 판단 모 듈(25)은 데이터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체크하여 UMA 단말(20)로 전달된 패킷이 무데이터 프레임인지 판단한다.
만일 UMA 단말(20)로 전달된 패킷이 무데이터 프레임인 경우, 무데이터 프레임 판단 모듈(25)은 전력 관리부로 비컨 스킵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한편 UMA 단말(20)로 전달된 패킷이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유데이터 프레임인 경우, 무데이터 프레임 판단 모듈(25)은 페이로드의 데이터를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23)와 More 필드 체크 모듈(26)로 전달한다. More 필드 체크 모듈(26)은 데이터 프레임 헤더의 More 비트를 체크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12)로부터 수신할 패킷이 더 존재하는지 알 수 있다.
만일 More 필드 값 체크 결과 액세스 포인트(12)로부터 수신할 패킷이 더 이상 없다면, More 필드 체크 모듈(26)은 전력 관리부로 비컨 스킵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무데이터 프레임 판단 모듈(25) 또는 More 필드 체크 모듈(26)로부터 비컨 스킵 제어 신호는 전력 관리부(27)의 전력 상태 변환 모듈(28)과 타이머(Timer)(29)로 전달된다.
전력 상태 변환 모듈(28)은 UMA 단말(20)을 도즈 상태 또는 어웨이크 상태로 변환하기 위한 포트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 9의 전력 상태 변환 모듈(28)에서 D와 A로 표기되어 있는 단자가 상기 포트에 해당한다.
비컨 스킵 제어 신호는 전력 상태 변환 모듈(28)의 도즈 단자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전력 상태 변환 모듈(28)은 UMA 단말(20)을 도즈 상태로 변환한다. 또 한, 타이머(29)는 비컨 스킵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기설정된 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작을 시작한다. 물론, 기설정된 시간은 변경할 수 있는 비컨 스킵 주기에 해당하며, 이를 위하여 UMA 단말은 소정의 인터페이스(비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어 타임아웃이 된 경우 타이머(29)는 전력 상태 변환 모듈(28)의 어웨이크 단자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며, 이로써 도즈 상태로 전환되었던 UMA 단말(20)은 어웨이크 상태로 전이되어 WiFi 안테나(31)를 통하여 새로운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 단말의 소모 전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UMA 단말 0(41)은 기존의 WMM Power Save 모드를 사용하는 단말이며, UMA 단말 1, 2(42, 43)는 비컨 스킵 주기가 각각 1, 2로 설정된 단말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전력 관리 방법에 따르는 경우 효율을 분명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3개의 비컨 주기 동안 단말 0, 1, 2로 각각 무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되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기존의 WMM Power Save 모드를 이용하는 단말 0(41)은 제8, 9, 10 비컨 주기 모두에서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하는 과정 및 액세스 포인트(12)로부터 무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후의 Ack 송신 과정을 수행한다.
단말 1(42)은 제8 비컨 주기에서 무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후, 하나의 비컨 주기를 스킵하게 된다. 도 10에서 단말 1(42)은 제9 비컨 주기를 스킵하고 있으며, 제9 비컨 주기 동안에는 도즈 상태를 유지한다. 단말 1(42)은 단말 0(41)보다 빗금 친 (A) 영역만큼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단말 2(43)는 제7 비컨 주기에서 무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후, 두 개의 비컨 주기를 스킵한다. 따라서, 단말 2(43)는 제9, 10 비컨 주기동안 도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단말 2(43)는 단말 0(41)보다 빗금 친 (B) 영역만큼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이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UMA 단말 관련 실시예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다. 다만, 본 발명은 WMM 전력 관리 모드의 동작 중 설정된 횟수의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UMA 단말 뿐만 아니라 WMM 전력 관리 모드를 이용하는 모든 단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단말은 셀룰러 폰, PCS 폰과 같은 통화를 위한 단말뿐만 아니라 컴퓨터, 노트북, PD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국 WMM 전력 관리 모드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컴퓨터, 노트북 등의 단말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 관리 방법에 의하면, UMA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단말이 대기 상태인 경우 설정된 주기 동안 비컨 과정을 스킵하고, 스킵되는 비컨 과정 동안 단말로 전송되어야 하는 패킷은 액세스 포인트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로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비컨 스킵 주기에 비례하여 단말이 소모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8)

  1. UMA(Unlicensed Mobile Access) 네트워크의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UMA 단말은 WMM(Wireless MultiMedia) 전력 관리 모드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 와
    상기 UMA 단말은 비컨 스킵 모드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스킵하는 비컨 주기와 일반적인 비컨 주기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MA 네트워크의 전력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스킵 모드 설정 이벤트는,
    상기 UMA 단말과 UNC(UMA Network Controller)가 등록 과정을 완료한 경우 또는 상기 UMA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수신을 완료한 경우 중 하나인 UMA 네트워크의 전력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완료 여부 체크는,
    상기 UMA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의 More 필드 값 이 0인지 확인함으로써 체크하는 UMA 네트워크의 전력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MA 단말은 비컨 스킵 모드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WMM 전력 관리 모드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UMA 네트워크의 전력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스킵 모드 해제 이벤트는,
    상기 UMA 단말이 일반적인 비컨 주기 동안 유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인 UMA 네트워크의 전력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MA 단말이 스킵하는 비컨 주기는,
    양의 정수 또는 UMA 단말을 WMM 전력 관리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한 0 으로 설정할 수 있는 UMA 네트워크의 전력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MA 단말이 스킵하는 비컨 주기 동안,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UMA 단말로 전송하여야 할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단계; 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인 비컨 주기로 전이된 UMA 단말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한 후, 버퍼링한 데이터를 상기 UMA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UMA 네트워크의 전력 관리 방법.
  8. WMM 전력 관리 모드를 이용하는 단말에 있어서,
    비컨 스킵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 단말은 소정의 비컨 주기 동안 도즈 상태(Doze State)로 변환하고, 상기 비컨 주기가 경과한 후 단말을 다시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로 변환하는 전력 관리부; 와
    비컨 스킵 모드 설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전력 관리부로 비컨 스킵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비컨 스킵 제어부를 포함하는 WMM 전력 관리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WMM 전력 관리 단말은,
    무선 이동 통신망과 고정 IP 망 사이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UMA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WMM 전력 관리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 스킵 제어부는,
    수신한 프레임이 무데이터 프레임(No Data Frame)인 경우 비컨 스킵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무데이터 프레임 판단 모듈; 과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프레임 수신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여 비컨 스킵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More 필드 체크 모듈을 포함하는 WMM 전력 관리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ore 필드 체크 모듈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More 필드 값이 0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프레임 수신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WMM 전력 관리 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부는,
    비컨 스킵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 단말을 도즈 상태로 변환하고, 어웨이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 단말을 어웨이크 상태로 변환하는 전력 상태 변환 모듈; 과
    비컨 스킵 제어 신호가 인가된 경우, 소정의 비컨 주기 경과 후 상기 전력 상태 변환 모듈로 어웨이크 신호를 전달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WMM 전력 관리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킵할 비컨 주기 값을 변경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는 WMM 전력 관리 단말.
  14. 제8항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DTIM(Dynamic Traffic Identification Message) 비컨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비컨 프레임 처리부;
    상기 DTIM 비컨 메시지 수신 후 트리거 프레임 전송을 처리하는 트리거 프레임 처리부; 및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된 유데이터 프레임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WMM 전력 관리 단말.
  15. UMA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UMA 단말은 최초 UNC와의 등록 과정 완료 후, 소정의 비컨 주기 동안 도즈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와
    소정의 비컨 주기 스킵 후, 어웨이크 상태로 전이하여 새로운 비컨 주기를 시작하는 단계;
    데이터 송신을 요청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거나, 데이터 전송 완료를 통보받은 경우 소정의 비컨 주기 동안 도즈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MA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완료 통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More 필드 값을 0으로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UMA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MA 단말의 무데이터 프레임 수신 여부 체크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체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UMA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MA 단말의 비컨 주기 스킵 시, 상기 UMA 단말로 전송되어야 하는 패킷은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되는 단계; 와
    새로운 비컨 주기가 시작된 경우, 상기 UMA 단말은 트리거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버퍼링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UMA 단말의 전력 관리 방법.
KR1020070026665A 2007-03-19 2007-03-19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관리 방법 KR20080085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665A KR20080085332A (ko) 2007-03-19 2007-03-19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665A KR20080085332A (ko) 2007-03-19 2007-03-19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332A true KR20080085332A (ko) 2008-09-24

Family

ID=4002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665A KR20080085332A (ko) 2007-03-19 2007-03-19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53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747A (ko) * 2010-07-07 2012-01-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능동적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및 그의 동작방법,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방법, 엑세스 포인트 서버 및 그의 동작방법
KR101400920B1 (ko) * 2009-12-17 2014-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절전 장치 및 방법
US9537541B2 (en) 2014-09-01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scan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20B1 (ko) * 2009-12-17 2014-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절전 장치 및 방법
KR20120004747A (ko) * 2010-07-07 2012-01-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능동적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및 그의 동작방법,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방법, 엑세스 포인트 서버 및 그의 동작방법
US9537541B2 (en) 2014-09-01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scan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4670B2 (en) Unscheduled peer power save mode
US8345647B2 (en) Flexible multicast and/or broadcast listening intervals
US8295216B2 (en) Broadcast and multicast transmission techniques for powersave devices in wireless networks
CN102611996B (zh) 无线网络中站的待机时间改进
JP4960372B2 (ja) マルチキャスト及び/又は同報可変待機期間
US200702916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each group address that has data waiting for delivery in node, point or terminal in a WLAN
US7907557B2 (en) Low power receiving
KR101496126B1 (ko) 유휴 상태에서 무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페이지 전달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836358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ess point,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201940A1 (en) Dynamic 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implementations
JP2004234667A (ja) 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内の電力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6060788A (ja) 無線ネットワーク内の通信局のエネルギー消費を最適化する方法および通信局の制御方法
CN101395844A (zh) 无线网络中站的待机时间改进
US8705375B2 (en) Power save protocol interoperability detection
KR20080085332A (ko) 비컨 주기를 스킵하는 비인가 무선 접속 단말 및 그 전력관리 방법
JP2014099743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80060A (ko) 듀얼 모드 단말기의 소비 전력 절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