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884A -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884A
KR20080084884A KR1020070026370A KR20070026370A KR20080084884A KR 20080084884 A KR20080084884 A KR 20080084884A KR 1020070026370 A KR1020070026370 A KR 1020070026370A KR 20070026370 A KR20070026370 A KR 20070026370A KR 20080084884 A KR20080084884 A KR 2008008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main body
portable water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수
Original Assignee
한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현수 filed Critical 한현수
Priority to KR1020070026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4884A/ko
Publication of KR2008008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정수하는 정수 필터와; 정수 필터가 내장되고, 일측 끝단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결합되며, 안테나 방식으로 수납 및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연결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흡입 호스와; 흡입 호스의 끝단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정수기{Portable water purifi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보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부 12, 14, 16; 관체
20; 유입구 30; 정수 필터
40; 흡입 호스 50; 흡입구
60; 클립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영객이나 군인 등이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야외에서 하천이나 호수 등의 물을 인체에 무해하게 정수 처리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장시간 야외에서 활동해야 하는 야영객이나 군인 등은 항상 음용 가능한 물 을 휴대해야 하는데, 장시간 야외 활동을 할 경우에는 다량의 물이 보관되는 큰 물통을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야외의 하천이나 호수의 물을 직접 마시기 위해서는 그 물을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데, 종래의 정수 장치는 너무 크게 제작되어 휴대하기에는 불편이 따른다.
한편, 오염된 물의 정수를 위해 종래에도 여러 가지 장치와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수 방법을 살펴보면,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식,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식, 그리고 활성탄의 여과기능을 이용하는 물리적 방식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 방법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식은 미생물이 오염 물질을 분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이러한 방식에는 미생물의 소화성 물질에 유효 농도라는 한계성이 있고, 또한 오염 물질이 고농도로 함유된 상태에서는 그 처리가 미흡하게 이루어지며, 따라서 이러한 생물학적 방식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화학적 처리방식은 반응속도가 빠르고 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유기물을 분해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단독으로 오염 물질을 처리하기에는 장치비가 너무 고가여서, 생물학적 정수방식과 혼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물리적 처리 방법인 제오라이트, 활성탄 등의 흡착 여과물질을 사용할 경우, 극히 제한된 양의 물이 정수되고 나면 곧바로 정수 기능을 상실하 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종래의 정수방식에 의해서는 안정되고 완전한 정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정수에 소요되는 내부 물질의 빠른 기능 상실 때문에 극히 제한적인 정수가 이루어지고 나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장시간 야외에서 활동해야 하는 야영객이나 군인 등은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야외의 하천, 강, 호수, 또는 빗물 등을 음용 가능하게 정수 처리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의 하천, 강, 호수, 또는 빗물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정수시키고, 또한 부품의 교체 없이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 필터와; 정수 필터가 내장되고, 일측 끝단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결합되며, 안테나 방식으로 수납 및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연결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흡입 호스와; 흡입 호스의 끝단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수 필터는 세라믹 원료에 금속 은 및 다수의 기공이 분산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보관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 필터(30)와, 정수 필터(30)가 내장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 호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에 내장되는 정수 필터(30)는, 세라믹 원료에 금속 은 및 다수의 기공이 분산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 원료는, 방해석(Calcite), 규조토(Diatomite), 해포석(Sepiolite), 규회석(Wollast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견운모(Sericite), 점토(Clay), 고령토(Kaolin), 장석(Feldspar)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세라믹 원료는 물과 혼합되면 점성을 가지게 되므로 막대형, 판형 등 원하는 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특정 형태로 성형된 세라믹 원료를 질산은 또는 황산은 등의 은염에 침전시킨 후 건조하고, 다시 600℃ 내지 1400℃ 사이의 온도로 소결한다. 이처럼 소결된 세라믹 원료에는 금속 은이 고루 분산되어 살균 및 항균 성질을 가지는 정수 필터(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라믹 원료에 활성탄이나 흑연 등으로 이루어지는 분말형 탄소, 또는 탄소, 수소, 산소로 이루어지는 탄화수소 화합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600 ℃ 내지 1400℃ 사이의 온도로 소결하면, 균일한 분포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세라믹층으로 이루어지는 정수 필터(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 필터(30)가 내장되는 본체부(1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관체(12, 14, 16)로 이루어지고, 각 관체(12, 14, 16)는 인접한 관체에 안테나 방식으로 수납 및 인출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일측 끝단부, 즉 본체부(10)를 구성하는 다수의 관체(12, 14, 16) 중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관체(12)의 끝단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20)는 부유물 등과 같이 입자 크기가 큰 물질을 제거하는 여과 기능을 가지며, 또한 본체부(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유입구(20)의 내부는 입자가 큰 물질은 통과될 수 없도록 스크린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나사 체결 방식으로 본체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각 관체(12, 14, 16)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상기에서 설명한 정수 필터(30)가 내장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끝단에 위치하는 관체(12)의 내부에 정수 필터(30)가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타측 끝단에는, 본체부(10)를 통과하면서 정수된 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호스(40)가 연결되고, 상기 흡입 호스(40)의 끝단에는 사람이 입을 대고 정수된 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5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 호스(40)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물을 흡입하여 정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50)와 유입구(20)가 상호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흡입구(50)와 유입구(20)가 나사 체결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를 혁대 또는 가방 등에 쉽게 결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외주면에는 클립(60)이 부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용 정수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정수기를 휴대하여 이동할 때에는,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각 관체(12, 14, 16)를 안테나 방식으로 수납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줄인 상태에서, 그 본체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클립(60)을 혁대 또는 가방 등에 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정수기를 사용할 때에는,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각 관체(12, 14, 16)를 인출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연장시킨 상태에서, 야외의 호수, 강, 하천 등에 유입구(20)를 집어넣고 흡입구(50)를 통해 물을 흡입한다. 이때, 본체부(10)에 유입되는 물은 유입구(20)를 통과하면서 큰 이물질이 제거되고, 정수 필터(30)를 통과하면서 항균 및 살균 처리되어 음용 가능하게 정수된 후, 흡입 호스(40)와 흡입구(50)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흡입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적 원거리의 물을 흡입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휴대용 정수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각 정수 장치의 유입구(20)와 흡입구(50)를 결합함으로써 휴대용 정수기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수중에서 호흡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수중에서 흡입구(50)를 사용자의 입에 물고, 유입구(20)를 물 밖에 위치시키면, 물 밖의 공기가 본체부(10) 및 흡입 호스(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에 의하면, 장시간 야외에서 활동해야 하는 야영객이나 군인 등이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야외의 하천, 강, 호수, 또는 빗물 등을 음용 가능하게 정수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휴대용 정수기를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원거리의 물도 흡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중에서의 호흡 장치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8)

  1. 물을 정수하는 정수 필터와;
    정수 필터가 내장되고, 일측 끝단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결합되며, 안테나 방식으로 수납 및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연결되는 플랙시블한 재질의 흡입 호스와;
    흡입 호스의 끝단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필터는,
    세라믹 원료에 금속 은 및 다수의 기공이 분산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원료는,
    방해석(Calcite), 규조토(Diatomite), 해포석(Sepiolite), 규회석(Wollastonite), 벤토나이트(Bentonite), 견운모(Sericite), 점토(Clay), 고령토(Kaolin), 장석(Feldspa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필터는,
    세라믹 원료를 은염에 침전시킨 후 건조시키고, 600℃ 내지 1400℃ 사이의 온도에서 소결하여, 세라믹 원료에 금속 은을 분산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필터는,
    세라믹 원료에 분말형 탄화수소 화합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600℃ 내지 1400℃ 사이의 온도로 소결하여, 세라믹 원료에 다수의 기공이 분산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입자가 큰 물질을 제거하는 여과 기능을 가지며, 본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유입구가 상호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클립이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KR1020070026370A 2007-03-17 2007-03-17 휴대용 정수기 KR200800848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370A KR20080084884A (ko) 2007-03-17 2007-03-17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370A KR20080084884A (ko) 2007-03-17 2007-03-17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884A true KR20080084884A (ko) 2008-09-22

Family

ID=4002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370A KR20080084884A (ko) 2007-03-17 2007-03-17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48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3194A (zh) * 2011-06-30 2013-01-02 李泳勋 连接管一体型接头
WO2017155132A1 (ko) * 2016-03-08 2017-09-14 권종승 규격화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용기에 사용되는 휴대용 세라믹 필터 제조방법 및 규격화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용기가 사용되는 정수구조체
CN110845035A (zh) * 2019-11-28 2020-02-28 衡阳思迈科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银浆生产用污水处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3194A (zh) * 2011-06-30 2013-01-02 李泳勋 连接管一体型接头
KR101290923B1 (ko) * 2011-06-30 2013-07-29 이영훈 이음관 일체형 조인트
WO2017155132A1 (ko) * 2016-03-08 2017-09-14 권종승 규격화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용기에 사용되는 휴대용 세라믹 필터 제조방법 및 규격화되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용기가 사용되는 정수구조체
CN110845035A (zh) * 2019-11-28 2020-02-28 衡阳思迈科科技有限公司 一种导电银浆生产用污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5771B2 (en) Double chamber water purification device
US8394268B2 (en) Double chamber water purification device
US7507338B2 (en) Universal water purifier unit assembly device
US8216462B2 (en) Portabl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JP2009534173A (ja) 流体浄化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DE69529089T2 (de) Tragbare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zum trinken von wasser
CN207803210U (zh) 一种封闭式循环水养殖系统
JP7305912B2 (ja) 環境への影響が少ない汚染流体の処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06128187A2 (en) Enhanced ceramic filter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CN110526521A (zh) 一种垃圾渗滤液石墨烯一体化净化系统及工艺
KR20080084884A (ko) 휴대용 정수기
US9873627B1 (en) Multi-stage portable water purifier with cleanable and replaceable insert cartridges
CN208509885U (zh) 一种增氧杀菌消毒免换水型生态鱼缸
CN207581536U (zh) 一种便携式野外洁净化饮水装置
KR200191317Y1 (ko) 휴대용 정수기
WO2010011984A2 (en) Double chamber water purification device
CN206544968U (zh) 一种新型净水器
KR200168473Y1 (ko) 휴대용 정수장치
JP3926283B2 (ja) 水質浄化材を利用した生け簀
JPS63107717A (ja) ろ過材
CN1821101A (zh) 净水瓶及净水方法
CN108925485B (zh) 一种增氧杀菌消毒免换水型生态鱼缸
US11517019B2 (en) Microbicidal system
JP3370351B2 (ja) 浄水器
CN213446298U (zh) 一种新型吸管式超滤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