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792A - 반사경 2개를 사용한 세 방향을 동시에 보는 안경(삼방향굴절안경) - Google Patents

반사경 2개를 사용한 세 방향을 동시에 보는 안경(삼방향굴절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792A
KR20080084792A KR1020080085440A KR20080085440A KR20080084792A KR 20080084792 A KR20080084792 A KR 20080084792A KR 1020080085440 A KR1020080085440 A KR 1020080085440A KR 20080085440 A KR20080085440 A KR 20080085440A KR 20080084792 A KR20080084792 A KR 20080084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directions
user
light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호
Original Assignee
유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호 filed Critical 유종호
Priority to KR102008008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4792A/ko
Publication of KR2008008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4Mirrors; 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12Locally varying refractive index, gradient index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 방향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빛투과율을 갖는 두 개의 반사경을 일정각도로 비스듬히 마주보도록 배열한 것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전방 및 좌측방향 과 우측방향을 동시에 볼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평상시의 시선 방향을 보면서 동시에 그 시선 방향과 과 좌우로 앞뒤로 또는 상하로 약 90도 떨어진 방향을 동시에 보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거울,Half Mirror,반사경, 누워서, 세방향을동시에,굴절경,프리즘

Description

반사경 2개를 사용한 세 방향을 동시에 보는 안경(삼방향굴절안경){Glass for three directions}
본 발명은 세 방향을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하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한대의 감시 카메라로 세 방향을 동시에 감시하는 경우 , 또는 기기의 조립, 수리시 두방향 이상을 주시하여야 할 필요가 있거나 누워서 텔레비젼을 시청하면서도 옆 사람 얼굴을 마주보며 대화도 할 수 있는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와 유사한 기술은 없었으며 동시에 여러 방향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감시카메라를 사용하여 한 대의 모니터에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고 있으며, 단순히 보고자 하는 한 방향을 방향만을 바꾸는 경우에는 삼각프리즘을 사용하는데 프리즘은 가격이 고가이고 무게가 무겁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한방향 내지는 두,세 방향을 동시에 볼 수 있으면서도 무게가 가볍고 가격은 저렴한 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게를 줄이고 여러 방향 동시 주시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유리나 투명플라스틱재료에 금속코팅 막을 형성한 반거울(Half Mirror) 을 반사경으로 사용하고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직접 입사되는 빛은 통과시키면서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부터의 빛은 입사되는 임계각도와 반사각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상의 반전문제가 없도록 두 개의 반사경을 사용하여 1회 내지 2회의 반사를 유도함으로써 1차 반사에서 상이 반전되는 경우는 반전된 상을 2차 반사를 통하여 다시 반전 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눈에는 반전되지않은 원래의 상을 약 90도 정도 굴절시킨 상태로 보여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삼방향굴절안경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약 90도 정도 떨어진 사용자가 보고자하는 상에 대하여 반전이 없고 동시에 자연스런 시선 방향을 동시에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시 어지러움이나 전방이 차단됨으로써 오는 불안감도 해소할 수 있으며, 감시카메라에 적용시에는 1대의 카메라로 여러 방향을 감시할 수 있으므로 비용의 절감이 기대되며, 산업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이 과도한 몸의 움직임 없이 작업자의 시각으로 보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부분에 대한 작업이 필요할 때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삼방향굴절안경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삼방향굴절안경(이하 안경이라고 칭함)은 도1과 같이 반사경1 과 반사경 2, 반사경을 고정하는 하우징 (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하우징과 결합되는 안경테모양 (도시되지 않음) 의 베이스로 구성되지만 하우징과 베이스의 형태는 용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1 은 본 발명 안경의 기본 개념도로서 반사경1과 반사경 2가 일정한 각도로 비스듬히 마주보는 구조로서 보고자 하는 방향으로부터 각각 3,4,5의 방향으로 빛이 안경으로 입사되면 빛 3은 반사경 2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눈에 다다르고, 좌측방으로부터의 빛 4는 반사경 1을 통과한 후 반사경 2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 방향으로 향하며, 우측방향으로부터의 빛 5는 반사경 2를 통과하고 반사경 1에서 반사되어 다시 반사경 2에서 두 번째로 반사되어 사용자의 눈에 도달한다. 이때 사용자의 전방에는 세 방향의 상이 겹처서 모두 보이게 되는데 가장 밝은 방향이 가장 선명하게 나타나고 어두운 방향은 흐리게 보이게 된다.
이와 동일한 원리로 도 2에서는 사용자가 바로 서서 이 안경을 착용하면 전방과 상방, 하방을 동시에 볼 수 있으며, 도3 과 같이 사용자가 누운 상태인 경우 자연스런 시선은 천장 방향을 향하고 있으나 동시에 전방의 발끝 부분과 후방인 머리 윗부분도 동시에 주시할 수 있다.
두 방향만 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반사경 1 앞에 차단막 88을 두거나 빛 투과율이 0인 반사경을 사용하고 , 전방 시야도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 와 같이 차단판 89를 두어 전방 시야를 차단하여 어느 한 방향만을 선명하게 볼 수도 있다.
두 반사경이 이루는 각도 7이 49도 이상이 되면 전방은 선명하게 보이지만 좌,우에서 입사되는 빛의 손실이 많아서 좌우는 어두워 보이고, 도 3의 용도로 누워서 사용하는 경우 허상의 위치가 주시하기 편안한 시야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어 불편하므로 각도 7은 49도 이하가 바람직하고 19도보다 적은 경우는 굴절의 효과가 작아서 실용적이지 않다.
각 반사경의 빛 투과율은 용도와 사용환경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으나 반사경 2는 빛 투과율이 너무 높으면 반사효율이 떨어져서 상이 너무 흐려보이며, 반대로 너무 낮으면 상이 너무 어두워 보인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빛 투과율은 30%부터 90%의 범위가 가장 적당하고, 반사경 1은 빛 투과율이 0%부터 75% 가 적당하다. 이때 반사경 1의 빛 투과율이 0%인 경우는 빛 4를 차단한다는 의미이다.
1. 컴퓨터의 모니터를 주시하면서 동시에 고개를 숙이지않고 키보드를 볼 수 있어서 타자에 능숙하지않아도 워드프로세서 작업 등이 용이할 수 있다.
2. 침대에 누운 자세로 발끝 방향의 텔레비전을 시청한다든가 책을 배 위에 올려놓고 책을 읽는 일이 가능하다.
3. 동시에 여러 방향을 볼 수 있으므로 감시카메라에 적용하는 경우 카메라의 숫자를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4. 3차원 입체영상 촬영 및 그의 재생.
5. 해드업 디스플레이.
6. 차량의 사각지대용 미러.
7. 군용화기의 조준경 등 그외 각종 산업현장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대표도로서 사용자가 본 발명품을 사용하여 전방과 좌우를 동시에 주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기본개념도.
도 2는 사용자가 본 발명품을 사용하여 전방과 상하를 동시에 주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사용자가 본 발명품을 사용하여 편안히 누운 자세로 상방과 전후를 동시에 주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4는 주시할 수 있는 세 방향 중에서 한 방향을 차단막을 사용하여 차단하고 두 방향을 동시에 주시하는 개념도.
도 5는 주시할 수 있는 세 방향 중에서 두 방향을 차단막을 사용하여 차단하고 한 방향만을 주시하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도 1 과 5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
1: 반사경 1
2: 반사경 2
3: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입사되는 빛 또는 그 방향표시.
33: 위의 3 이 반사경 2를 통과한 후의 빛 또는 그 방향표시.
4: 사용자의 좌측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빛 또는 그 방향표시.
44: 위의 4 가 반사경 1 을 통과하고 반사경 2에서 반사된 빛 또는 그 방향.
5: 사용자의 우측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빛 또는 그 방향표시.
51: 위 5 가 반사경 2를 통과하고 반사경 1에서 반사되어 다시 반사경 2에 도달하는 빛 또는 그 방향표시.
55: 위 51 이 반사경 2에서 반사된 빛 또는 그 방향표시.
6: 사용자 또는 그 위치표시.
7: 반사경 1 과 반사경 2 가 이루는 내각 표시.
88: 4를 차단하는 차단막.
89: 3을 차단하는 차단판.

Claims (3)

  1. 반사경1과 반사경2 사이의 내각이 19도부터 49도의 범위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방향굴절안경.
  2. 반사경 1의 빛 투과율이 0%부터 75%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방향굴절안경.
  3. 반사경 2의 빛 투과율이 30%부터 90%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방향굴절안경.
KR1020080085440A 2008-08-29 2008-08-29 반사경 2개를 사용한 세 방향을 동시에 보는 안경(삼방향굴절안경) KR20080084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440A KR20080084792A (ko) 2008-08-29 2008-08-29 반사경 2개를 사용한 세 방향을 동시에 보는 안경(삼방향굴절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440A KR20080084792A (ko) 2008-08-29 2008-08-29 반사경 2개를 사용한 세 방향을 동시에 보는 안경(삼방향굴절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792A true KR20080084792A (ko) 2008-09-19

Family

ID=4002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440A KR20080084792A (ko) 2008-08-29 2008-08-29 반사경 2개를 사용한 세 방향을 동시에 보는 안경(삼방향굴절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47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0641B (zh) 头戴式显示设备
CN211375190U (zh) 一种vr光学模组和显示设备
US9019175B2 (en) Optical device for virtual image display with unequal focal length and high magnification
CN202948204U (zh) 可透视型头戴式显示器光学系统
CN102023383A (zh) 眼镜型图像显示装置
WO19960055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retinal projection
CN102004317A (zh) 眼镜型图像显示装置
JP2013532297A (ja) 埋め込み格子構造
CN101299078B (zh) 全视角显示装置
CN110088666A (zh) 用反射器和目镜元件实现紧凑型头戴式显示器的装置
CN101424787B (zh) 半反射及折射光学效应组合光学应用的虚像显示装置
CN207833115U (zh) Ar显示设备
CN102385159A (zh) 偏心光学系统、使用偏心光学系统的图像显示装置及摄像装置
US10558041B2 (en) Virtual reality image system with high definition
CN107111143B (zh) 视觉系统及观片器
CN202615044U (zh) 一种非接触式近眼虚拟立体显示器
CN209028324U (zh) 一种可实现ar或vr或mr的智能眼镜
CN201060323Y (zh) 全视角显示装置
CN201096987Y (zh) 单像源双目显示装置
CN110967828A (zh) 显示系统以及头戴显示装置
KR20080072800A (ko) 굴절안경
CN211669451U (zh) 一种近眼显示设备
CN205539726U (zh) 头戴式可视设备
KR20080084792A (ko) 반사경 2개를 사용한 세 방향을 동시에 보는 안경(삼방향굴절안경)
CN211123485U (zh) 一种智能mr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