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321A -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321A
KR20080084321A KR1020070025868A KR20070025868A KR20080084321A KR 20080084321 A KR20080084321 A KR 20080084321A KR 1020070025868 A KR1020070025868 A KR 1020070025868A KR 20070025868 A KR20070025868 A KR 20070025868A KR 20080084321 A KR20080084321 A KR 20080084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index
evaluator
ranking
evaluation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문
Original Assignee
조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문 filed Critical 조재문
Priority to KR102007002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4321A/ko
Publication of KR20080084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평가자 및 평가대상자 자료 및 가중치 적용, 지수산출방법의 자료 및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S901)와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자료 및 평가지수산출 후 송신부를 통하여 자료의 보관, 추가분석을 위해 저장하는 자료를 보관하는 메모리(S902)와 평가자가 인터넷 평가화면을 통해 평가한 점수를 지수화하여 산출하는 평가지수산출부(S903)에 있어서 평가자가 각 조직원을 평가함에 있어 평가지수와 가중치평가지수를 평가대상자별로 산출하는 평가대상자지수산출부(S904)와 각 직급을 고려한 직급별평가지수산출부(S905)와 상기 평가지수를 종합한 종합평가지수산출부(S906)와 평가대상자 지수산출부와 직급별평가지수산출부, 종합평가지수산출부에서 산출한 지수를 출력부 및 메모리로 송신하는 송신부(S907)과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지수를 출력하는 출력부(S9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이다.
Figure 112007502482776-PAT00001
순위, 평가, 지수, 조직

Description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Ranking compulsion apportionment evaluation system implemented on website}
도1은 순위강제배분식 평가 구조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외형적 구조도이다
도3은 평가기관에 접속한 평가대상기관의 입력단계흐름도이다
도4는 평가기관에 접속한 평가자의 입력단계 흐름도이다
도5는 순위강제배분식 평가1 평가지 화면 일 실시예이다
도6은 평가기관의 평가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있어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입력단계의 일실시예이다
도8은 직급별 및 종합 평가지수 산출 일 실시예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있어서 평가시스템의 구체적인 평가 구성블록도 도시예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901: 입력부
S902: 메모리
S903: 평가지수산출부
S904: 평가대상자지수산출부
S905: 직급평가지수산출부
S906: 종합평가지수산출부
S907: 송신부
S908: 출력부
본 발명은 조직에 있어 각 구성원이 순위강제배분식 평가를 실시함으로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조직기여정도를 순위로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종래의 인사관리 시스템으로 등록특허 10-0616689(발명의명칭:경력개발프로그램기반의 인사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과 등록특허 10-0636407(발명의명칭:채용부터 퇴직까지의 통합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사관리시스템은 조직원평가에 있어 자료의 축적 및 보직등을 위한 평가자료로 활용하는 목적이 있어 조직혁신같이 강제적 할당인원을 골라내는 평가방법으로는 활용하기 어려운점이 있다.
상기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직원 각 개인들이 모든 조직구성원에 대해 평가를 함에 있어 순위를 강제로 배분하는 방법을 취함으로 인하여 온정주의적 평가를 막고, 평가담합에 따른 문제점을 최소화하여 평가대상자가 평가에 순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평가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가대상기관, 평가기관, 평가자로 구분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호연결되어 순위강제배분식 평가를 위해 역할을 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순위강제배분식 평가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평가대상기관은 평가기관에게 평가의뢰와 더불어 평가대상자 자료를 제공(S101)하며 평가기관은 이를 토대로 평가대상기관의 구성원 즉 평가자들이 평가를 함에 있어 평가자를 인증하고, 평가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평가코드(S102)를 제공한다.
평가자는 평가대상기관으로부터 평가코드를 제공받은 후 평가기관에 접속하여 평가기관이 평가자에게 제공하는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지에 인터넷상 체크 가능하도록 구성한 평가화면(S103)를 제공받아 평가(S104)를 실시한다. 그러면 평가기관은 이를 토대로 종합평가지수를 산출하고 평가기관에 결과를 통보(S102)한다.
평가대상기관은 이를 평가자에게 평가자료 통보(S105)하고 평가자가 이의신청이 있을 경우(S106) 이의신청을 받은 후 심사 후 평가를 확정한다.
상기 평가대상기관과 평가기관의 관계에 있어 평가대상기관이 평가기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외형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평가서비스를 제공하는 평가기관의 장비로는 응용프로그램서버(S203), 백업서버(S204), 데이터베이스서버(S205) 등 다수의 서버와 데이터베이스(S206)등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다수의 혹은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S202)를 통해 관리된다. 이들 중 응용프로그램 서버에 서비스를 위한 주 프로그램이 로드되며, URL으로 인터넷상 식별되어 평가대상기관(S201)과 평가자(S207)로부터 접속이 가능하다. 평가기관의 서버는 인터넷으로 연결되기 전에 보안을 위한 벽화벽 장비를 거칠 수 있고, 실명 확인 절차를 위한 서버를 거칠 수 있다.
도3은 평가기관에 접속한 평가대상기관의 입력단계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평가기관에 평가를 의뢰한 평가대상기관은 평가기관에 로그인 후 평가자 및 평가대상자 자료를 입력하는 단계(S301);와
평가항목입력단계(S302);와
평가가중치 적용방법 입력단계(S303)를 포함한다.
도4는 평가기관에 접속한 평가자의 입력단계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평가자가 평가기관에 로그인 한 후 개인인증 및 코드입력단계(S401);와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지를 요청하는 단계(S402);와
적용가중치 입력단계(S404);와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지 작성하는 단계(S404)를 포함한다.
이때 적용가중치가 조직에서 미리 일률적인 가중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면 가중치 적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5는 순위강제배분식 평가1 평가지 화면 일 실시예로 평가대상자들을 나타내는 부분(S501);과
평가대상자를 순위에 해당하는 인명을 선택 후 해당 등수에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지정입력버튼(S502);와
순위와 순위에 해당되는 점수를 나타내는 부분(S503);과
해당 평가대상자를 지정입력버튼을 누루면 해당란에 입력되는 란(S504);와
순위배분이 끝나면 해당 평가항목이 평가되었다는 평가완료버튼을 누르는 단계(S505)를 포함한다.
도 6은 평가기관에서 평가가 완료된 후 평가흐름도를 나타내는 도식으로 평가대상별 가중치 적용평가지수 산출단계(S601);과
직급별 평가지수산출단계(S602);와
종합평가지수산출단계(S603);과
평가대상기관 결과통보(S60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는 본 발명에 있어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입력단계의 일 실시예의다.
평가항목인 평가1, 평가2, 평가3이 있고 평가대상1, 평가대상 2가 있을 때 가중하기 전 평가지수(S701)를 구하여 제시하는 부분과 가중치 적용변환지수를 구하여 제시하는 부분(S702)로 나뉜다.
이때 평가지수 수식으로 다음과 같다.
평가지수 = (평가 1순위점수) +....+ (평가 N순위점수) ..... 수식 1
가중치적용변환지수= (평가 1순위점수 * 평가1 가중치) +....+ (평가 N순위점수* 평가 N 가중치) ..... 수식 2
도 8은 직급별 및 종합평가지수산출 일 실시예이다.
평가대상 1에 대하여 조직원이 조직을 평가함에 있어 온정주의적 평가 이외 에 경계해야 할 것은 직급별 담합에 의해 특정인에 대하여 낮은 점수를 주는 폐단이 있을 수 있는바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평가단계를 구분하여 동일 직급의 평가의 평균치를 지수산출에 사용하고 다수의 계급의 의견을 반영한 종합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지수를 산출해야 한다.
상기 평가지수 산출방법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직급 평가지수(S801) = 동일직급 가중치적용 평가자점수합/ 직급인원 ..... 수식 3
종합평가지수(S802) = 직급별평가지수합/직급수 .... 수식 4
상기 평가자가 평가입력한 자료를 통하여 평가기관의 평가시스템의 구체적인 평가구성블록도를 살펴보면 평가자 및 평가대상자 자료 및 가중치 적용, 지수산출방법의 자료 및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S901)와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자료 및 평가지수산출 후 송신부를 통하여 자료의 보관, 추가분석을 위해 저장하는 자료를 보관하는 메모리(S902)와 평가자가 인터넷 평가화면을 통해 평가한 점수를 지수화하여 산출하는 평가지수산출부(S903)에 있어서 평가자가 각 조직원을 평가함에 있어 평가지수와 가중치평가지수를 평가대상자별로 산출하는 평가대상자지수산출부(S904)와 각 직급을 고려한 직급별평가지수산출부(S905)와 상기 평가지수를 종합한 종합평가지수산출부(S906)와 평가대상자 지수산출부와 직급별평가지수산출부, 종합평가지수산출부에서 산출한 지수를 출력부 및 메모리로 송신하는 송신부(S907)과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지수를 출력하는 출력부(S9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직혁신을 위해 조직원의 인사이동 또는 퇴출 등 혁신이 이루고자 할 때 합리적인 평가방법으로 평가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부작용과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인터넷을 기반으로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평가대상기관과 평가기관과 평가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상호연결 되어,
    평가기관에 접속한 평가대상기관은 평가자와 평가대상자 자료를 평가기관에 입력하는 단계;와
    이를 통하여 평가기관은 평가프로그램을 통하여 각 평가자가 평가해야 할 평가지를 작성하고 평가자 개인별 코드번호 발급하여 평가대상기관에 전송하는 단계;와
    평가대상기관으로부터 코드번호를 받은 평가자는 평가기관에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인증 및 코드입력단계를 걸쳐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지를 공급받아 평가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이를 통하여 평가기관이 평가를 실시하는 평가시스템에 있어서,
    평가자 및 평가대상자 자료 및 가중치 적용, 지수산출방법의 자료 및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S901);와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자료 및 평가지수산출 후 송신부를 통하여 자료의 보관, 추가분석을 위해 저장하는 자료를 보관하는 메모리(S902);와
    평가자가 인터넷 평가화면을 통해 평가한 점수를 지수화하여 산출하는 평가지수산출부(S903)에 있어서 평가자가 각 조직원을 평가함에 있어 평가지수와 가중치평가지수를 평가대상자별로 산출하는 평가대상자지수산출부(S904);와
    각 직급을 고려한 직급별평가지수산출부(S905);와
    상기 평가지수를 종합한 종합평가지수산출부(S906);와
    평가대상자 지수산출부와 직급별평가지수산출부, 종합평가지수산출부에서 산출한 지수를 출력부 및 메모리로 송신하는 송신부(S907);와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지수를 출력하는 출력부(S9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평가자점수, 직급별평가지수, 종합평가지수를 산출함에 있어
    평가지수 = (평가 1순위점수) +....+ (평가 N순위점수)
    가중치적용변환평가지수= (평가 1순위점수 * 평가1 가중치) +....+ (평가 N순위점수 * 평가 N 가중치)
    직급평가지수 = 동일직급 평가자점수합/ 직급인원;
    종합평가지수 = 직급별평가지수합/직급수 의 수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평가대상자를 평가화면을 통하여 순위를 나타낼 때 평가대상자를 클릭 후 해당 순위 지정입력버튼을 누르면 입력란에 입력되고 평가대상자를 나타내는 부분에서 순위지정입력된 인명은 평가대상자 명단에서 빠지도록 하여 중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
KR1020070025868A 2007-03-16 2007-03-16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 KR20080084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868A KR20080084321A (ko) 2007-03-16 2007-03-16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868A KR20080084321A (ko) 2007-03-16 2007-03-16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321A true KR20080084321A (ko) 2008-09-19

Family

ID=4002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868A KR20080084321A (ko) 2007-03-16 2007-03-16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43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453B1 (ko) * 2012-08-01 2015-03-06 김미향 집단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453B1 (ko) * 2012-08-01 2015-03-06 김미향 집단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assen et al. University reform and institutional autonomy: A framework for analysing the living autonomy
Baillien et al. An eye for an eye will make the whole world blind: Conflict escalation into workplace bullying and the role of distributive conflict behavior
Calvo‐Mora et al. Using enablers of the EFQM model to manage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Asif et al. A composite index for measuring performance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Jiang et al. Knowledge shar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roles of colleague relationships and gender
Gonçalves et al. Enterprise web accessibility levels amongst the Forbes 250: Where art thou o virtuous leader?
Pinho et al. Evaluation of nonlinear static procedures in the assessment of building frames
Sole A management model and factors driving performance in public organizations
Chai et al. Psychological ownership and openness to change: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and knowledge creation
Che Ahmat et al. Examining work factors after Malaysia’s minimum wage implementation
Jenkins How gender influences roll call voting
Rotem et al. A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the United Nations fellowship programmes
Monteduro et al. Does stakeholder engagement affect corruption risk management?
Manaan et al. Competency-based evaluation of project managers’ performance in mass house building projects in Ghana–the fuzzy set theory approach
Buzzigoli et al. Firm and system competitiveness: Problems of defini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Rodríguez et al. Consensus among public managers as strategy for standardiza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Rosa et al. Defining strategic and excellence bases for the development of Portuguese higher education
Annan-Prah et al. Administrative capacity and local level development in metropolitan, municipal and district assemblies in Ghana: mediating role of resource capacity
KR20080084321A (ko) 웹싸이트에 구현된 순위강제배분식 평가시스템
Nyongesa et al. The Effect of Performance Contracting on Public Service Delivery of Employees in Huduma Centres in Western Kenya
Mokua et al.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s and Performance of Public Private Partnership Projects in Nairobi City County, Kenya
Gaspar et al. The use of performance information by local government stakeholders in Tanzania
Yin Rebecca Yiu et al. Measuring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in industrial enterprises: An exploratory study based on an integrated model
Hai et al. Software for sustainability assessment: a case study in Quang Tri province, Vietnam
Salvaris et al. Changing society's DNA codes: Democracy and the global movement for community progress meas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