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3473A -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3473A
KR20080083473A KR1020070024086A KR20070024086A KR20080083473A KR 20080083473 A KR20080083473 A KR 20080083473A KR 1020070024086 A KR1020070024086 A KR 1020070024086A KR 20070024086 A KR20070024086 A KR 20070024086A KR 20080083473 A KR20080083473 A KR 20080083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anod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명
문희성
김윤진
배재우
조영석
박진민
유승준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3473A/ko
Publication of KR20080083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3/00Cathode-ray or electron-stream lamps
    • H01J63/02Details, e.g. electrode, gas filling, shape of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1Electron guns using field-emission, photo-emission, or secondary-emission electron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3/00Cathode-ray or electron-stream lamps
    • H01J63/06Lamps with luminescent screen excited by the ray or stream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발광 장치와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제1 기판의 내면에 위치하며 구동 전극들과 전자 방출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제2 기판의 내면에 위치하며 형광층과 형광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유닛과, 제1 기판을 향한 제2 기판의 일측에서 발광 유닛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금속 와이어들을 구비하는 애노드 보호부를 포함한다.
전자방출부, 형광층, 애노드전극, 금속와이어, 지지체, 아킹, 캐소드전극, 게이트전극

Description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LIGHT SOUR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 중 제2 기판과 애노드 보호부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킹에 의한 형광층과 애노드 전극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발광 장치와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패널과 같은 수광형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방식과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방식 의 발광 장치가 표시 장치의 광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CCFL 방식과 상기 LED 방식은 각각 선 광원과 점 광원을 사용하므로 광 확산을 위한 광학 부재들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선 광원과 점 광원에서 방출된 빛의 상당량이 광학 부재들을 거치면서 손실되므로, CCFL 방식과 LED 방식은 충분한 휘도를 얻기 위해서 소비 전력을 높여야 하며, 대형화 제작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최근들어 CCFL 방식과 LED 방식을 대체할 발광 장치로서, 후면 기판에 전자 방출부와 구동 전극을 구비하고, 전면 기판에 형광층과 애노드 전극을 구비하며,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의 사이 공간을 진공으로 유지하는 발광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 장치는 전자 방출부에서 방출된 전자들로 형광층을 여기시켜 가시광을 방출시킨다.
그런데 상기 발광 장치에서는 휘도를 높이기 위해 애노드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므로 진공 용기 내부에 아킹이 발생할 수 있다. 아킹은 형광층을 손상시키고, 형광층 손상은 회복 불능의 치명적 결함으로 남게 된다. 특히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애노드 전극에 아킹이 발생하면, 알루미늄이 비산하면서 진공 용기 내부의 연속 아킹을 유발하며, 형광층과 애노드 전극에 심각한 손상을 남기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발광 장치는 표시 장치 구동시 발광면 전체가 같은 휘도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시 장치에 요구되는 화질 개선, 일례로 동적 대비비(dynamic contrast)를 높이는 화질 개선에 부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아킹에 의한 형광층과 애노드 전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장치가 구현하는 화면의 동적 대비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제1 기판의 내면에 위치하며 구동 전극들과 전자 방출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제2 기판의 내면에 위치하며 형광층과 형광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유닛과, 제1 기판을 향한 제2 기판의 일측에서 발광 유닛과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금속 와이어들을 구비하는 애노드 보호부를 포함한다.
상기 애노드 보호부는 제2 기판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로부터 제1 기판을 향해 돌출되어 금속 와이어들을 지지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와이어는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돌출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애노드 전극과 동일 전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은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제2 기판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애노드 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의 고정부가 애노드 리드부와 접촉하여 애노드 보호부 전체가 애노드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금속 와이어는 텅스텐(W), 몰리브덴(Mo), 크롬(Cr), 철(Fe), 코발 트(Co), 니켈(Ni), 백금(P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1 내지 500㎛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로 빛을 제공하는 발광 장치를 포함하며, 발광 장치는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제1 기판의 내면에 위치하며 구동 전극들과 전자 방출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유닛과, 제2 기판의 내면에 위치하며 형광층과 형광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유닛과, 제1 기판을 향한 제2 기판의 일측에서 발광 유닛과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금속 와이어들을 구비하는 애노드 보호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장치는 표시 패널보다 적은 개수의 화소들을 형성하여 하나의 발광 장치 화소가 복수개의 표시 패널 화소들에 대응하며, 발광 장치의 각 화소는 대응하는 복수개의 표시 패널 화소들 중 가장 높은 계조에 대응하여 발광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발광 장치(10)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12) 및 제2 기판(14)과,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 사이에 배치되어 두 기판을 접합시키는 밀봉 부재(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 진공 용기를 포함한다. 진공 용기 내부는 대략 10-6 Torr의 진공도를 유지한다.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은 밀봉 부재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실제 가시광 방출에 기여하는 유효 영역과, 유효 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으로 구분지을 수 있다. 제1 기판(12)의 유효 영역에는 전자 방출을 위한 전자 방출 유닛(16)이 제공되고, 제2 기판(14)의 유효 영역에는 가시광 방출을 위한 발광 유닛(18)이 제공된다.
먼저, 전자 방출 유닛(16)은 절연층(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 전극들(22) 및 제2 전극들(24)과, 제1 전극들(22)과 제2 전극들(24) 중 어느 한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방출부들(26)을 포함한다.
전자 방출부(26)가 제1 전극(22)에 형성되는 경우, 제1 전극(22)이 전자 방출부(26)에 전류를 공급하는 캐소드 전극이 되고, 제2 전극(24)이 캐소드 전극과의 전압 차에 의해 전계를 형성하여 전자 방출을 유도하는 게이트 전극이 된다. 반대로 전자 방출부(26)가 제2 전극(24)에 형성되는 경우, 제2 전극(24)이 캐소드 전극이 되고, 제1 전극(22)이 게이트 전극이 된다.
제1 전극들(22)과 제2 전극들(24) 중 어느 한 전극들, 주로 발광 장치(10)의 행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전극이 주사 구동 전압을 인가받아 주사 전극으로 기 능하고, 다른 한 전극들, 주로 발광 장치(10)의 열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는 전극이 데이터 구동 전압을 인가받아 데이터 전극으로 기능한다.
도면에서는 제1 전극(22)과 제2 전극(24)의 교차 영역마다 제2 전극들(24)과 절연층(20)에 개구부(241, 201)가 형성되어 제1 전극(22)의 표면 일부를 노출시키고, 절연층 개구부(201) 내측으로 제1 전극(22) 위에 전자 방출부(26)가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전자 방출부(26)의 위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전자 방출부(26)는 전계가 가해지면 전자를 방출하는 물질들, 가령 탄소계 물질 또는 나노미터 사이즈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방출부(26)는 일례로 탄소 나노튜브, 흑연, 흑연 나노파이버,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탄소, 훌러렌(C60), 실리콘 나노와이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제조법으로 스크린 인쇄, 직접 성장, 화학기상증착 또는 스퍼터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자 방출부는 몰리브덴(Mo) 또는 실리콘(Si) 등을 주 재질로 하는 선단이 뾰족한 팁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서 제1 전극(22)과 제2 전극(24)의 교차 영역 하나가 발광 장치(10)의 한 화소 영역에 대응하거나, 2개 이상의 교차 영역이 발광 장치(10)의 한 화소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두 번째 경우 하나의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제1 전극들(22) 및/또는 제2 전극들(24)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구 동 전압을 인가받는다.
다음으로, 발광 유닛(18)은 형광층(28)과, 형광층(28)의 일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30)을 포함한다.
형광층(28)은 백색 형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기판(14)의 유효 영역 전체에 형성되거나, 화소 영역마다 하나의 백색 형광층이 위치하도록 소정의 패턴으로 구분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형광층(28)은 적색과 녹색 및 청색 형광층들이 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형광층들은 하나의 화소 영역 안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구분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기판(14)의 유효 영역 전체에 백색 형광층이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애노드 전극(30)은 형광층(28) 표면을 덮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 전극(30)은 전자빔을 끌어당기는 가속 전극으로서 대략 10kV 이상의 고전압을 인가받아 형광층(28)을 고전위 상태로 유지시키며, 형광층(28)에서 방사된 가시광 중 제1 기판(12)을 향해 방사된 가시광을 제2 기판(14) 측으로 반사시켜 발광면의 휘도를 높인다.
그리고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 사이에는 진공 용기에 가해지는 압축력을 지지하고 두 기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들(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기판(12)을 향한 제2 기판(14)의 일측에는 진공 용기 내부에 아킹 발생시 아킹 전류를 흡수하여 발광 유닛(18)을 보호하는 애노드 보 호부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 중 제2 기판과 애노드 보호부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애노드 보호부(32)는 애노드 전극(3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금속 와이어들(34)과, 제2 기판(14)의 일면에 고정되어 금속 와이어들(34)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체(36)를 포함한다.
지지체(36)는 제2 기판(14)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361)와, 고정부(361)로부터 제1 기판(12)을 향해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금속 와이어(34)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돌출부(362)로 이루어진다. 이때 금속 와이어(34)는 소정의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돌출부(362)에 고정되어 발광 장치(10) 구동시 열팽창에 의한 늘어짐을 방지한다.
금속 와이어들(34)은 발광 장치(10) 구동시 애노드 전극(30)과 같은 전위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체(36) 전체가 금속으로 형성되고, 지지체(36)의 고정부(361)가 애노드 전극(30)으로부터 제2 기판(14)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된 애노드 리드부(38)와 접촉할 수 있다. 이 구성을 통해 애노드 보호부(32) 전체가 애노드 전극(30)과 동일한 전위를 유지할 수 있다.
금속 와이어(34)는 녹는점이 600℃ 이상인 금속으로 형성되며, 특히 녹는점이 1,500℃ 이상인 금속, 일례로 텅스텐(W), 몰리브덴(Mo), 크롬(Cr), 철(Fe), 코발트(Co), 니켈(Ni), 백금(P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와이어(34)의 직경은 전자빔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500㎛ 이하, 구체적으로 1 내지 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금속 와이어(34)는 1 내지 10㎛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와이어들(34)은 스페이서와 접촉하지 않도록 스페이서 사이에 위치하며, 제2 기판(14)의 장축 방향(도면의 x축 방향) 또는 제2 기판(14)의 단축 방향(도면의 y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한 쌍의 지지체(36)가 제2 기판(14)의 단변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금속 와이어들(34)이 제2 기판(14)의 장축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전술한 발광 장치(10)는 제1 전극들(22)과 제2 전극들(24)의 조합으로 복수의 화소들을 형성하며, 진공 용기 외부로부터 제1 전극들(22)과 제2 전극들(24)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애노드 전극(30)에 10kV 이상의 양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구동한다.
그러면 제1 전극(22)과 제2 전극(24)의 전압 차가 임계치 이상인 화소들에서 전자 방출부(26)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어 이로부터 전자들이 방출되고, 방출된 전자들은 애노드 전압에 이끌려 대응하는 형광층(28) 부위에 충돌함으로써 이를 발광시킨다. 화소별 형광층(28)의 발광 세기는 해당 화소의 전자빔 방출량에 대응한다.
전술한 구동 과정에서 진공 용기 내부에는 절연층(20) 표면의 전하 차징이나 불순 가스 등에 의해 아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아킹 발생시 애노드 보호부(32)의 금속 와이어(34)가 아킹 전류를 흡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발광 장치(10)는 아킹에 의한 형광층(28)과 애노드 전극(3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은 일례로 5 내지 20mm의 비교적 큰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애노드 전극(30)은 전압 인가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10kV 이상, 바람직하게 10 내지 15kV 정도의 고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발광 장치(1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발광면 중앙부에서 대략 10,000cd/m2 이상의 최대 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전술한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는 발광 장치(10)와, 발광 장치(10) 전방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4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40)의 전방과 발광 장치(10)의 후방에는 각각 탑 섀시(top chassis)(50)와 버텀 섀시(bottom chassis)(52)가 위치한다. 발광 장치(10)와 표시 패널(40) 사이에는 광 확산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서 확산판(54)이 위치할 수 있으며, 확산판(54)과 발광 장치(10)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다.
표시 패널(40)은 액정 표시 패널 또는 다른 수광형 표시 패널로 이루어진다. 아래에서는 일례로 표시 패널(40)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표시 패널(40)은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된 TFT 기판(42)과, TFT 기판(42) 상부에 위치하는 컬러필터 기판(44)과, 이 기판들(42, 44)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컬러필터 기 판(44)의 상부와 TFT 기판(42)의 하부에는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어 표시 패널(40)을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킨다.
각 TFT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되며,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이 연결된다.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각각 회로보드 어셈블리(46, 48)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입력하면, TFT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에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고, 신호 입력에 따라 TFT는 턴 온 또는 턴 오프되어 화소 전극 구동에 필요한 전기적인 신호가 드레인 단자로 출력된다.
컬러필터 기판(44)에는 적색과 녹색 및 청색의 컬러필터와 투명 도전막으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위치한다. TFT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어 TFT가 턴 온되면,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전계가 형성된다. 이 전계에 의해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 분자들의 배열각이 변화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 화소별로 광 투과도가 변화한다.
표시 패널(40)의 회로보드 어셈블리(46, 48)는 각각의 구동 IC 패키지(461, 481)와 접속한다. 표시 패널(40)을 구동하기 위하여, 게이트 회로보드 어셈블리(46)는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전송하고, 데이터 회로보드 어셈블리(48)는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발광 장치(10)는 표시 패널(40)보다 적은 수의 화소들을 형성하여 발광 장치(10)의 한 화소가 2개 이상의 표시 패널(40) 화소들에 대응하도록 한다. 발광 장치(10)의 각 화소는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표시 패널(40) 화소들 중 가장 높은 계조에 대응하여 발광할 수 있으며, 발광 장치(10)는 화소별로 2 내지 8비트의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편의상 표시 패널(40)의 화소를 제1 화소라 하고, 발광 장치(10)의 화소를 제2 화소라 하며, 하나의 제2 화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화소들을 제1 화소군이라 명칭한다.
발광 장치(10)의 구동 과정은 표시 패널(40)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제1 화소군의 제1 화소들 중 가장 높은 계조를 검출하고, 검출된 계조에 따라 제2 화소 발광에 필요한 계조를 산출하여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광 장치(1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장치(10)의 구동 신호는 주사 구동 신호와 데이터 구동 신호를 포함한다.
발광 장치(10)의 회로보드 어셈블리(도시하지 않음), 즉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와 데이터 회로보드 어셈블리는 각각의 구동 IC 패키지(561, 581)와 접속한다. 발광 장치(10)를 구동하기 위하여, 주사 회로보드 어셈블리는 주사 구동 신호를 전송하고, 데이터 회로보드 어셈블리는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발광 장치(10)의 제2 화소는 대응하는 제1 화소군에 영상이 표시될 때 제1 화소군에 동기되어 소정의 계조로 발광한다. 이와 같이 발광 장치(10)는 화소별로 발광 세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각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40) 화소들에 적절한 세기의 광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0)는 화면의 동적 대비비(dynamic contrast)를 높일 수 있으며, 보다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광 장치는 제1 기판을 향한 제2 기판의 일측에 아킹 전류를 흡수하는 애노드 보호부를 설치함에 따라, 아킹에 의한 형광층과 애노드 전극의 손상을 억제하여 제품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는 화면의 동적 대비비를 높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고, 광원의 소비 전력을 줄여 전체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30인치 이상의 대형 표시 장치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Claims (14)

  1.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내면에 위치하며, 구동 전극들과 전자 방출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유닛;
    상기 제2 기판의 내면에 위치하며, 형광층과 형광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제1 기판을 향한 상기 제2 기판의 일측에서 상기 발광 유닛과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금속 와이어들을 구비하는 애노드 보호부
    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보호부가,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금속 와이어들을 지지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체
    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가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상기 돌출부에 고정되는 발광 장 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가 상기 애노드 전극과 동일 전위를 유지하는 발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이 상기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2 기판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애노드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의 고정부가 상기 애노드 리드부와 접촉하여 상기 애노드 보호부 전체가 애노드 전압을 인가받는 발광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가 텅스텐(W), 몰리브덴(Mo), 크롬(Cr), 철(Fe), 코발트(Co), 니켈(Ni), 백금(P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가 1 내지 500㎛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발광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이 5 내지 20mm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상기 애노드 전극이 10 내지 15kV의 전압을 인가받는 발광 장치.
  9.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로 빛을 제공하는 발광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장치가,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내면에 위치하며, 구동 전극들과 전자 방출부들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유닛;
    상기 제2 기판의 내면에 위치하며, 형광층과 형광층의 일면에 위치하는 애노드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제1 기판을 향한 상기 제2 기판의 일측에서 상기 발광 유닛과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금속 와이어들을 구비하는 애노드 보호부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보호부가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금속 와이어들을 지지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 와이어가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상기 돌출부에 고정되는 표시 장 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이 상기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상기 제2 기판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는 애노드 리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의 고정부가 상기 애노드 리드부와 접촉하여 상기 애노드 보호부 전체가 애노드 전압을 인가받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와이어가 텅스텐(W), 몰리브덴(Mo), 크롬(Cr), 철(Fe), 코발트(Co), 니켈(Ni), 백금(P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하고, 1 내지 500㎛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가 상기 표시 패널보다 적은 개수의 화소들을 형성하여 하나의 발광 장치 화소가 복수개의 표시 패널 화소들에 대응하고,
    상기 발광 장치의 각 화소가 대응하는 복수개의 표시 패널 화소들 중 가장 높은 계조에 대응하여 발광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인 표시 장치.
KR1020070024086A 2007-03-12 2007-03-12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KR20080083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086A KR20080083473A (ko) 2007-03-12 2007-03-12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086A KR20080083473A (ko) 2007-03-12 2007-03-12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473A true KR20080083473A (ko) 2008-09-18

Family

ID=4002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086A KR20080083473A (ko) 2007-03-12 2007-03-12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34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0548A (zh) * 2017-02-27 2017-05-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调节亮度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0548A (zh) * 2017-02-27 2017-05-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调节亮度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9735B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7495380B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light source
US20080116782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9059703A (ja) 発光装置、及びこの発光装置を光源として使用する表示装置
US7663297B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0804704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US20080054792A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light source
KR20080083473A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KR100778517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US7800294B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light source
KR100889527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KR20080043536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814850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080044090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78447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814857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66950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66927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 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장치
KR100759399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 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 장치
KR100814856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66937B1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814848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장치
KR100796689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 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 장치
KR20080043537A (ko)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766926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 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