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004A -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004A
KR20080079004A KR1020070018990A KR20070018990A KR20080079004A KR 20080079004 A KR20080079004 A KR 20080079004A KR 1020070018990 A KR1020070018990 A KR 1020070018990A KR 20070018990 A KR20070018990 A KR 20070018990A KR 20080079004 A KR20080079004 A KR 20080079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harging
stabilization
un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2182B1 (ko
Inventor
전재완
조규보
Original Assignee
(주)이프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프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프리시스템
Priority to KR1020070018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182B1/ko
Publication of KR20080079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42Regeneration of electrolyte or reacta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introduction of pulses during the charging proc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 및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터리 내부의 양극과 음극에 충전화 파형을 인가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며, 안정화 펄스 폭 변조 파형을 인가함으로써 극판에 쌓여 고착되는 황산염(SO4)을 분해하고 전해액을 활성화시키는 안정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배터리의 효율성과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태양광을 흡수하여 광기전력효과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모듈(10)과; 상기 솔라모듈(10)에서 얻어진 전압을 승압 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전압을 발생시키는 승압부(20)와; 상기 승압된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1)를 충전하되, 과충전 및 과방전 보호부(31)와 배터리 스마트 충전 표시부(32)로 구성된 충전부(30)와; 전압을 이용하여 안정화 펄스를 발생시켜 배터리(1)를 안정화시키되, 안정화펄스 발생기(41)와 안정화 표시부(42)로 구성된 궤환 안정화 회로(feedback stabilizer circuit)부(40)와; 상기 솔라모듈(10)과 승압부(20)에서 얻어진 전압을 감지하여 충전부(30)와 궤환 안정화 회로부(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마이콤(50)으로 구성되어, 태양광 출력전압이 최소입력허용전압을 초과하면 태양광의 변화와 관계없이 배터리의 충전 및 안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태양광이 솔라모듈에 입사된 후 광기전력효과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며, 승압 회로를 거쳐 전압이 상승된 후 배터리에 전원이 공급되어 공칭전압까지 충전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태양광의 입력전압이 날씨와 시간대별로 변하더라도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압을 공칭전압보다 높은 상태로 유지시켜 충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주간 비기동시에는 솔라모듈과 제어기를 이용하여 충전과 안정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야간 비기동시에는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안정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며, 주 · 야간 기동시에는 발전기와 배터리를 통해 충전과 안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항시 극판에 쌓여 고착되는 황산염(SO4)을 분해하고 전해액을 활성화시켜 배터리의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배터리 충전, 배터리 안정화, 솔라모듈, 승압, 펄스파, 배터리 수명 연장, 황산염 제거, 궤환 안정화 회로 (feedback stabilizer circuit)

Description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 The electric charging and consistent stabilizing equipment for battery }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터리 10: 솔라모듈
20: 승압부 30: 충전부
31: 과충전 및 과방전 보호부 32: 배터리 스마트 충전 표시부
40: 궤환 안정화 회로부 41: 안정화 펄스발생기
42: 안정화 표시부 50: 마이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 게 설명하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터리 내부의 양극과 음극에 충전화 파형을 인가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며, 안정화 펄스 폭 변조 파형을 인가함으로써 극판에 쌓여 고착되는 황산염(SO4)을 분해하고 전해액을 활성화시키는 안정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배터리의 효율성과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꿔주는 방전과, 전기적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바꿔주는 충전의 사이클을 거친다.
가장 보편적인 배터리는 갈바니 전지의 응용인 납축전지로서 진한 황산 수용액에 납(Pb)과 이산화납(PBO2)의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방전시 황산염이 극판과 결합하여 물이 생성되어 비중이 낮아지고 다시 충전시 결합된 황산염이 전해액으로 돌아와 비중이 커지게 된다.
이때, 오랜 기간 충전 및 방전 사이클을 거치는 동안 자가방전을 포함한 여러 가지 형태의 방전이 일어나게 되어 배터리의 극판에 고착되어 있는 황산염이 충전시에 이탈되지 않고 그대로 극판에 붙어있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이 황산화 현상이다.
이와 같은 황산화 현상으로 인해, 극판의 부식이 발생하면서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짐은 물론 극판에 달라붙은 황산염으로 인해 이온 분자의 활성화가 저하되 면서 그 충전 및 방전 효율이 극히 낮아지게 되어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면서 그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바, 그 대표적이 예가 배터리에 직접 연결하거나 시거 잭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방법들은 공히 차량이 시동된 상태에서 제너레이터로 구동시키는 조건 하에서만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차량이 오랜 시간 운행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극판에 고착화된 황산염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태양광이 솔라모듈에 입사된 후 광기전력효과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며, 승압 회로를 거쳐 전압이 상승된 후 배터리에 전원이 공급되어 공칭전압까지 충전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태양광의 입력전압이 날씨와 시간대별로 변하더라도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충전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주간 비기동시에는 솔라모듈과 제어기를 이용하여 충전과 안정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야간 비기동시에는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안정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하며, 주 · 야간 기동시에는 발전기와 배터리를 통해 충전과 안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항시 극판에 쌓여 고착되는 황산염(SO4)을 분해하고 전해액을 활성화시켜 배터리의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터리 내부의 양극과 음극에 충전화 파형을 인가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며, 안정화 펄스 폭 변조 파형을 인가함으로써 극판에 쌓여 고착되는 황산염(SO4)을 분해하고 전해액을 활성화시키는 안정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배터리의 효율성과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태양광을 흡수하여 광기전력효과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모듈(10)과; 상기 솔라모듈(10)에서 얻어진 전압을 승압 회로를 이용하여 정전압을 발생시키는 승압부(20)와; 상기 승압된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1)를 충전하되, 과충전 및 과방전 보호부(31)와 배터리 스마트 충전 표시부(32)로 구성된 충전부(30)와; 전압을 이용하여 안정화 펄스를 발생시켜 배터리(1)를 안정화시키되, 안정화펄스 발생기(41)와 안정화 표시부(42)로 구성된 궤환 안정화 회로부(40)와; 상기 솔라모듈(10)과 승압부(20)에서 얻어진 전압 을 감지하여 충전부(30)와 궤환 안정화 회로부(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마이콤(50)으로 구성되어, 태양광의 변화에 상관없이 배터리의 충전 및 안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솔라모듈(10)의 구성을 살펴보면, 통상의 솔라모듈과 유사한 형태로, 솔라셀을 다수열 배열하여 집광판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미세한 태양광이라도 용이하게 흡수하여 광기전력효과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솔라모듈(10)의 제원은 적용 제품의 용량, 사용 목적 및 충전 목적에 의존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 목적은 충전만 수행하는 경우, 안정화만 수행하는 경우, 충전과 안정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으며 충전 목적은 충전 시 자연 방전 보상용으로 기동할 것인지 주 충전 장치로 기동할 것인지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솔라모듈의 특징적인 제원은 상황과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특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솔라모듈(10)의 가장 큰 특징은, 솔라 출력 전압이 배터리의 정격 전압보다 낮더라도 최소 입력 허용 전압보다 크다면 충전이 되어 태양광의 입사량이 미세할 경우에도 충분히 필요한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었 으며 공칭전압보다 높은 잉여 전압을 태양광 입사율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시간대에 배터리에 효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효율과 충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차체에 탈부착하거나 항시 거치해 놓을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되는 환경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한편, 승압부(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솔라모듈(10)에서 얻어진 상대적으로 낮은 출력 전압을 일반 배터리(1)에 사용되는 정격전압 이상으로 승압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승압부(20)를 이용함으로써 태양광 입력전압이 날씨와 시간대 별로 변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전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솔라모듈(10)에는 낮은 출력전압이 요구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솔라모듈(10)의 제작시 셀 손실(Cell Loss)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압부(20)를 통해 승압된 전압은 충전부(30)를 통해 배터리(1)로 공급되어 배터리(1)에 충전되도록 구성되는바, 충전부(30)는 과충전 및 과방전 보호부(31)와 배터리 스마트 충전 표시부(32)로 구성된다.
충전부(30)는 기본적으로 승압부(20)로부터 공급된 전압을 배터리(1)에 충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충전기능은 주간에 기동하지 않을 시에만 배터리(1)를 만충전상태로 유지시키도록 하며, 주 · 야간 기동 시에는 별도로 장착된 발전기를 통해 배터리(1)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전기능을 수행할 시 배터리(1)가 과충전되거나 과방전될 경우에는 과충전 및 과방전 보호부(31)를 통해 배터리(1)를 보호하도록 하며, 배터리 스마트 충전 표시부(32)를 통해 배터리(1)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안정화 펄스를 발생시켜 배터리(1)를 안정화시키는 궤환 안정화 회로부(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안정화펄스 발생기(41)와 안정화 표시부(42)로 구성되는바, 안정화펄스 발생기(41)는 양극과 음극에 직류 펄스 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배터리(1)의 극판에 고착되는 황산염을 제거함으로써 전기 발생면적을 증대시켜 배터리(1)의 재생여건을 조성하는 구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 직류 펄스파 전류가 배터리(1)의 양극에서 음극으로 흐르는 현상에 의해 전기전극 표면에 잔재한 황산염을 분해하며, 전해 산화에 의해 얻어진 탄소 현탄액이 배터리(1)의 전해액으로 사용됨에 따라 납축전지 양극의 전기 화학적 도핑현상으로 전해액이 활성화되어 성능이 향상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궤환 안정화 회로부(40)의 작동전력은, 주간에 기동하지 않을 때에는 태양광으로부터 얻어진 전력을 사용하도록 하며, 주 · 야간 기동시나, 야간 비기동시에는 배터리(1)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주 · 야간 기동시나 주간에 기동하지 않을 때에는 전력공급이 원활하므로 별다른 작동에 별다른 제약이 없으나, 야간에 기동하지 않을 때에는 전력공급에 제약이 발생하는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터리(1)로부터 미세한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데, 배터리(1)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은 정격용량의 약 1/40000수준의 극히 미미한 수준의 전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방전에 따른 제약이 따르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정화 펄스 발생기(41)를 통해 배터리(1)의 안정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의 안정화 표시부(42)가 구비된 구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마이콤(50)의 구성을 살펴보면, 솔라모듈(10)과 승압부(20)에서 얻어진 전압을 감지하여 충전부(30)와 궤환 안정화 회로부(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와 유사한 비메모리 반도체의 일종으로, 제품의 다양한 특성을 컨트롤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주 · 야간 기동 및 비기동시로 나누어 살펴보면, 우선, 주간 비기동시의 작동과정은, 태양광이 솔라모듈(10)에 입사되면 광기전력효과에 의해 4V의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승압부(20)로 공급되고, 승압부(20)를 거침에 따라 24V의 전압으로 상승된 후 배터리(1)로 공급되어 공칭전압까지 충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궤환 안정화 회로부(40)를 거쳐 배터리(1)의 안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작동된다.
한편, 주간 기동시 및 야간 기동시의 작동과정은, 차량에 탑재된 발전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되도록 하며, 배터리(1)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궤환 안정화 회로부(40)를 통해 안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작동된다.
마지막으로, 야간 비기동시의 작동과정은, 배터리 및 태양광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므로 충전기능은 수행하지 않고, 배터리(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궤환 안정화 회로부(40)를 통해 안정화 기능만 수행되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배터리와 태양광의 세기에 관계없이 안정화 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의 적용은 태양광과 배터리를 사용하는 산업분야라면 어디든지 적용 가능한바, 일반 차량뿐만 아니라, 군사용 궤도차량 및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공히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풍력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에서처럼 태양광을 일부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산업분야의 적용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적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태양광이 솔라모듈에 입사된 후 광기전력효과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며, 공칭전압보다 낮은 태양광 출력전압이라도 최소입력전압이상이 되면 승압회로를 거쳐 공칭전압이상으로 전압을 상승시킨 후 잉여 전압을 배터리에 적절하게 공급하여 에너지 활용의 최대화와 충전 효율의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간 비기동시에는 솔라모듈과 제어기를 이용하여 충전과 안정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주 · 야간 기동시에는 발전기와 배터리를 통해 충 전과 안정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야간 비기동시에는 배터리의 전력을 이용하여 안정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항시 극판에 쌓여 고착되는 황산염(SO4)을 분해하고 전해액을 활성화시켜 배터리의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태양광을 흡수하여 광기전력효과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솔라모듈(10)과;
    상기 솔라모듈(10)에서 얻어진 전압을 승압 회로를 이용하여 정전압을 발생시키는 승압부(20)와;
    상기 승압된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1)를 충전하되, 과충전 및 과방전 보호부(31)와 배터리 스마트 충전 표시부(32)로 구성된 충전부(30)와;
    태양광 전압과 배터리 전압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안정화 펄스를 발생시켜 배터리(1)를 안정화시키되, 안정화펄스 발생기(41)와 안정화 표시부(42)로 구성된 궤환 안정화 회로부(40)와;
    상기 솔라모듈(10)과 승압부(20)에서 얻어진 전압을 감지하여 충전부(30)와 궤환 안정화 회로부(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마이콤(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태양광이 솔라모듈(10)에 입사되면 광기전력효과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배터리 공칭전압보다 낮더라도 최소입력허용전압보다 크다면 승압부(20)로 공 급되고, 승압부(20)를 거침에 따라 공칭전압 이상으로 상승 된 후 배터리(1)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야간 비가동 시에도 배터리(1)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궤환 안정화 회로부(40)를 통해 만들어진 직류 펄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지속적으로 배터리(1)의 극판에 고착되어 있는 황산염을 분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안정화 펄스 발생기(41)는 양극과 음극에 직류 펄스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배터리(1) 극판에 고착되는 황산염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KR1020070018990A 2007-02-26 2007-02-26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KR100882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990A KR100882182B1 (ko) 2007-02-26 2007-02-26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990A KR100882182B1 (ko) 2007-02-26 2007-02-26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004A true KR20080079004A (ko) 2008-08-29
KR100882182B1 KR100882182B1 (ko) 2009-02-06

Family

ID=3988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990A KR100882182B1 (ko) 2007-02-26 2007-02-26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30B1 (ko) * 2009-09-25 2011-06-16 임만식 배터리 재생/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241A (ko) * 2003-01-22 2004-07-30 고재목 태양열을 이용한 휴대폰 전원공급장치
KR100702223B1 (ko) * 2004-11-23 2007-04-0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방법
KR200413972Y1 (ko) * 2006-01-09 2006-04-14 임만식 황산아염 고착을 방지한 태양열 배터리 충전시스템
KR200434218Y1 (ko) * 2006-08-23 2006-12-18 주식회사 플러스 에너지 하이텍 보조 충전수단을 갖는 배터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430B1 (ko) * 2009-09-25 2011-06-16 임만식 배터리 재생/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182B1 (ko) 200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9306C (zh) 光伏系统智能化互补控制充放电方法
CN1897402A (zh) 自适应跟踪式动力电池多阶段高速充电系统及其充电方法
KR20100109104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저장장치
KR101041430B1 (ko) 배터리 재생/충전 장치
Wallies Thounaojam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microcontroller based solar charge controller
CN102570557A (zh) 一种风光互补发电系统蓄电池的充放电管理控制方法
JP7046010B2 (ja) 自律ハイブリッドステーションによる装置の電気的供給方法
KR20150033971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축전지 운용 장치 및 그 방법
JP2001069688A (ja) 独立型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発電方法
KR100882182B1 (ko)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CN108569143A (zh) 一种汽车led室内灯双光伏电源供电系统及方法
KR102030934B1 (ko) 신 재생에너지 파워 뱅크.
CN107565151A (zh) 一种全钒液流电池电极活性的再生方法
KR20120132762A (ko) 배터리의 충전 및 지속 안정화 장치
CN104600788A (zh) 一种蓄电池快速充放电控制策略
JPH01278239A (ja) 燃料電池用補助電池の充電制御装置
CN2450789Y (zh) 铅酸电池维护装置
CN202424291U (zh) 一种基于能量采集芯片的车载设备电源系统
CN202495786U (zh) 一种太阳能系统
CN206602398U (zh) 一种具有太阳能充放电的电力装置
KR101200305B1 (ko) 납축전지의 황산염 형성 억제 기술을 이용한 태양광 자전거
JP2003111291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に用いる二次電池の充電制御方法
KR20130013973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충전장치
CN113300448B (zh) 一种用于电动汽车的光伏发电系统
KR200413972Y1 (ko) 황산아염 고착을 방지한 태양열 배터리 충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