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462A -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462A
KR20080078462A KR1020070018647A KR20070018647A KR20080078462A KR 20080078462 A KR20080078462 A KR 20080078462A KR 1020070018647 A KR1020070018647 A KR 1020070018647A KR 20070018647 A KR20070018647 A KR 20070018647A KR 20080078462 A KR20080078462 A KR 2008007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hole
terminal uni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90958B1 (en
Inventor
김성민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스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스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스캡
Priority to KR1020070018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958B1/en
Publication of KR2008007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4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01G11/76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multiple or 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01G11/72Curren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multiple or 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2Fixing or assembling a capacitive element in a housing, e.g. mounting electrodes, current collectors or terminal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0Multiple hybrid or EDL capacitors, e.g. arrays o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An electric energy storing system is provided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of a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contact stability, electrical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a battery. An electric energy storing system comprises: a terminal plate(100) comprising a fla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160); and a monolithic type terminal(200)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wherein one end of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a battery,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above e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ance body. The terminal plate includes a planar main body for maintaining the outer shape and an elastic member adhered to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전기에너지 저장장치{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도 1은 스냅 인 구조의 단자부를 구비하는 종래의 2차 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having a terminal portion having a snap-in structure.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단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erminal unit illustrated in FIG. 1. FIG.

도 2b 및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단자부의 단자판 및 단자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B and 2C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 terminal plate and a terminal of the terminal portion shown in FIG. 2A.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용 단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termin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단자부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unit illustrated in FIG. 3A.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전지용 단자부에 도시된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3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erminal illustrated in the battery terminal unit illustrated in FIG. 3A.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단자부를 구비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terminal unit illustrated in FIG. 3A.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자부와 전지의 접속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form of a terminal unit and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단자판 120: 본체100: terminal plate 120: main body

140: 탄성부재 160: 관통 홀140: elastic member 160: through hole

200: 단자 220: 접촉부200: terminal 220: contact part

240: 제1 몸체 260: 걸림턱240: first body 260: locking jaw

280: 제2 몸체 500: 단자부280: second body 500: terminal portion

600: 전지 610: 용기600: battery 610: container

620: 리드선 622: 양극 리드선620: lead wire 622: anode lead wire

624: 음극 리드선624: cathode lead wire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 단자를 사용하여 저항을 감소시키고 신뢰성을 향상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having reduced resistance and improved reliability by using an integrated terminal.

방전만 가능한 1차 전지와 비교하여 커패시터와 같이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는 내부의 전류소스와 외부의 저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의 연결방법에 따라 전지의 저항 및 효율이 큰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전지 자체의 생산성 및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도 큰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외부저항과 전지를 연결하기 위한 단자 구조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 히 체결 용이성이라는 관점에서 스냅 인(snap-in)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Compared with the discharge-only primary battery, the secondary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like a capacitor has a large effect on the resistance and efficiency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connection method of terminal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ternal current source and the external resistance. Not only that, but also the productivity of the battery itself and the user's convenience of using it. Accordingly, various studies on the terminal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external resistor and the battery have been progressed, and in particular, a snap-in method is widely used in view of ease of fastening.

도 1은 스냅 인 구조의 단자부를 구비하는 종래의 2차 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단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b 및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단자부의 단자판 및 단자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having a terminal portion having a snap-in structure. 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erminal portion shown in FIG. 1, and FIGS. 2B and 2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terminal plate and the terminals of the terminal portion illustrated in FIG. 2A, respectively.

도 1,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종래의 스냅-인 단자부(50)는 권취된 전극과 연결된 리드선을 구비하는 전지(B)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전지(B)와 외부저항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단자부(50)는 단자판(10), 상기 단자판(10)에 고정되어 외부 저항과 전지(B)를 연결하는 단자(20)를 포함한다.1, 2A, 2B, and 2C, a conventional snap-in terminal portion 50 is located at one end of a battery B having a lead wire connected to a wound electrode, and is external to the battery B. Electrically connect the resistor. The terminal unit 50 includes a terminal plate 10 and a terminal 20 fixed to the terminal plate 10 to connect an external resistor and the battery B.

상기 단자판(10)은 단자부의 형상을 결정하는 본체(12) 및 상기 본체(12)의 상부면에 접착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1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2)는 상기 전지(B)의 단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원통형 외부 벽체를 갖는 경우에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단자부(10)와 전지(B)가 결합한 후에도 전지(B)의 형상은 단자부(10)까지 연장되어 전체로서 하나의 형상을 완성한다. The terminal plate 10 includes a main body 12 that determines the shape of the terminal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14 that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2 to absorb external shocks. The main body 12 has the same shape as the end of the battery B and has a disk shape in the case of having a cylindrical outer wall. Therefore, even after the terminal portion 10 and the battery B are coupled, the shape of the battery B extends to the terminal portion 10 to complete one shape as a whole.

상기 탄성부재(14)는 상기 본체(12)의 상면에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판(12)으로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완화시킨다. 일반적으로, 내식성과 절연성이 뛰어난 합성수지인 에폭시 수지가 상기 본체(12)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 수지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고무를 상기 에폭시 수지의 표면에 덧붙여 사용하고 있다. The elastic member 14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2 is formed integrally to mitigate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terminal plate 12. In general, an epoxy resin, which is a synthetic resin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insulation, is widely used as the main body 12, and rubber is added to the surface of the epoxy resin to protect the resin from external impact.

상기 단자판(10)은 다수의 관통 홀(16)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 홀(16)은 상기 탄성부재(14) 및 상기 본체(12)를 동시에 관통한다. 외부저항과 상기 전지(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20)는 상기 관통 홀(16)에 삽입되어 배열된다.The terminal plate 10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 The through hole 16 penetrates the elastic member 14 and the main body 12 simultaneously. The terminal 2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xternal resistor and the battery B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6 and arranged.

상기 단자(20)는 외부저항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22), 상기 접촉부(22)에 고정되는 제1 몸체(24) 및 상기 제1 몸체(24)와 연결되며 상기 전지(B)의 리드 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몸체(26)를 포함한다.The terminal 20 is connected to a contact portion 22 which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an external resistance, a first body 24 fixed to the contact portion 22, and the first body 24 and a lead of the battery B. And a second body 26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line.

상기 접촉부(22)는 외부 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몸체(24)는 상기 전지(B)로부터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므로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22) 및 상기 제1 몸체(24)는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철(Fe) 또는 구리(Cu)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2 몸체(26)는 상기 전지(B)로부터 전류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담당할 뿐 아니라, 상기 전지(B)의 리드 선에 고정되어 상기 단자(20)를 전지(B)에 고정하는 고정자 역할도 한다.Since the contact portion 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ance and the first body 24 serves as a passage for supplying current from the battery B, the contact portion 22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Therefore, the contact portion 22 and the first body 24 are formed of iron (Fe) or copper (Cu)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ody 26 not only serves as a passage for supplying current from the battery B, but also is fixed to a lead wire of the battery B to connect the terminal 20 to the battery B. It also serves as a stator.

상기 제2 몸체(26)는 제1 몸체(24) 및 상기 전지(B)의 리드 선과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 몸체(24) 및 제2 몸체(26)는 상기 탄성부재(14)의 압축력에 의해 서로 압착되며, 상기 리드 선과 제2 몸체(26)는 리벳이음이나 용접 등을 이용하여 영구 결합된다. 특히, 상기 제2 몸체(26)는 리벳 이음이나 용접에서의 전기 화학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Al)으로 형성한다. The second body 26 is mechanically coupled to the first body 24 and the lead wire of the battery B. In general, the first body 24 and the second body 26 are compressed to each other by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 the lead wire and the second body 26 using a rivet joint or welding, etc. Permanently coupled. In particular, the second body 26 is formed of aluminum (Al) in consideration of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in the rivet joint or weldin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단자구조는 용량이 작고 허용 가능한 저항이 큰 시스템의 전지를 위한 단자부로서는 적합하지만, 큰 전류를 요구하고 저항이 가능한 한 작을 것을 요구하는 시스템의 전지에 사용될 경우에는 전지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기능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terminal structure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suitable as a terminal portion for a battery of a system having a small capacity and a high allowable resistance, but when used in a battery of a system requiring a large current and requiring a resistance as small as possible. There is a problem that functions as a cause of lowering the reliability of the battery.

상기 제1 및 제2 몸체(24,26)는 상기 탄성 부재(14)에 의해 야기되는 수직방향의 압축력에 의해 서로 압착되어 접촉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횡방향의 전단력에 의해 쉽게 접촉이 파괴된다. 이와 같은 접촉 불량은 전해액 누액을 야기하며 누설된 전해액은 제1 및 제2 몸체의 경계면에서 접촉저항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몸체(24,26)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압력에 의해 압착되어 있으므로 접촉면에서 재질의 차이에 기인하는 접촉저항(contact resistance)을 발생시킨다. 대전류의 충전 및 방전이 반복될수록 상기 제1 및 제2 몸체(24,26)의 경계면에서 주울열은 더욱 왕성하게 발생되고 접촉면에서 제1 및 제2 몸체(24,26)의 열팽창량은 서로 상이하게 된다. 서로 상이한 열 팽창량은 상기 접촉저항의 차이를 더욱 증가시킨다.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4 and 26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by the compressiv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caused by the elastic member 14 to maintain contact, so that the contact is easily broken by the transverse shear force. This poor contact causes electrolyte leakage and the leaked electrolyte increases the contact resistanc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4 and 26 ar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and are compressed by external pressur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4 and 26 may generate contact resistances due to differences in materials at the contact surfaces. As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large current is repeated, Joule heat is generated more strongly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4 and 26, and thermal expansion amount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4 and 26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one. Different thermal expansion amounts further increase the difference in contact resistance.

상술한 바와 같은 원인에 기인하는 접촉저항의 증가는 단자부 발열을 더욱 증가시키고 발열의 증가는 접촉저항의 차이를 증가시키는 악순환을 반복하여 종국적으로는 단자부와 전지(B)의 접촉파괴를 야기한다. 이상과 같은 단자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An increase in contact resistance due to the above-mentioned causes further increases the terminal heat generation, and an increase in heat generation repeats the vicious cycle of increasing the difference in contact resistance, eventually causing contact breakage between the terminal part and the battery B.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prevent the poor contact of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but the fundamental solution has not yet been propos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단자의 접촉저항을 감소시켜 단자와 전지의 접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전지용 단자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terminal for a battery that can improve the contact stability of the terminal and the battery by reducing the contact resistance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자부를 구비하는 전기 에너지 저 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having the terminal portion as described above.

상기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지용 단자부는 다수의 관통 홀을 구비하는 평판으로 형성된 단자판, 및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고 일단부는 전지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부와 대응하는 타단부는 외부 저항체에 연결되는 일체형 단자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terminal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plate formed of a fla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corresponding to the one end portion. The end includes an integrated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or.

일실시예로서, 상기 단자판은 외부 형상을 유지하는 평판형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접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 홀은 상기 탄성부재 및 본체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본체 및 탄성부재의 각각에 동일한 중심을 갖는 동심 단면원을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plate includes a flat body to maintain the external shape and an elastic member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body comprises an epoxy resin and the elastic member comprises a rubber. The through hole includes a concentric cross-section circle having a same center on each of the main body and the elastic member through the elastic member and the main body at the same time.

일실시예로서, 상기 일체형 단자는 외부저항과 연결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전지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 홀 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외부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표면에 코팅된 주석 도금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몸체는 상기 관통 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관통 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디스크 형상을 갖는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grated terminal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body and the first body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ance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body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ttery It includes a locking step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hole. The first body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resistor, and the terminal may include aluminum, and the first body may include a tin plating film coated on a surface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and the locking jaw has a disc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상기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에너지 저 장장치는 다수의 관통 홀을 구비하는 평판으로 형성된 단자판 및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고 일단부는 전지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부와 대응하는 타단부는 외부 저항체에 연결되는 일체형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유닛, 및 상기 단자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에너지 발생유닛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plate formed of a fla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battery and corresponds to the one end. The other end includes a terminal unit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or, and an electrical energy genera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일실시예로서, 상기 일체형 단자는 외부저항과 연결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기에너지 발생유닛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 홀 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표면에 코팅된 주석 도금막을 포함하여 상기 외부 저항과 솔더링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전기에너지 발생유닛은 전해질과의 산화 및 환원반응에 의해 전하 이동을 생성하는 전극 권취체, 상기 전극 권취체와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선 및 외부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전해질 및 전극 권취체를 외부로부터 밀봉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integrated terminal is formed of a first body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ance and the first body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ectric energy generating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Located between the engaging hole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through hole. The terminal includes aluminum and the first body includes a tin plated film coated on a surface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resistor by soldering. The electric energy generating unit forms an electrode winding body that generates charge transfer by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with an electrolyte, a lead wire and an outer shap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winding body and the terminal, and forms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winding body.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ncluding a container for sealing from the outside.

이때,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리드 선과 영구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영구결합은 리벳이음 또는 용접이음을 포함하며, 상기 용접이음은 레이저 용접이음 또는 초음파 용접이음을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second body may be permanently coupled with the lead wire. The permanent coupling includes a riveted joint or a welded joint, and the welded joint includes a laser welded joint or an ultrasonic welded join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저항체와 접촉하는 제1 몸체 및 전지의 리드선과 접촉하는 제2 몸체를 동일한 재질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1 몸체 및 제2 몸체 사이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고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first body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resistor and the second body in contact with the lead wire of the battery integrally to have the same material, to prevent a poor contact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아울러, 도면들에 있어서, 단자판, 단자, 전지, 리드선 등은 그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기타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convey.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erminal plate, the terminal, the battery, the lead wire, etc. are somewhat exaggerated for clarity. 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extended to other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s.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용 단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단자부의 바닥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전지용 단자부에 도시된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terminal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unit illustrated in FIG. 3A. FIG. 3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erminal illustrated in the battery terminal unit illustrated in FIG. 3A.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용 단자부(500)는 단자부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는 단자판(100) 및 상기 단자판(10)에 고정되어 외부 저항과 전지(미도시)를 연결하는 단자(200)를 포함한다.3A, 3B, and 3C, the battery terminal part 5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terminal plate 100 and the terminal plate 10 that determine the overall shape of the terminal part, and to the external resistor and the battery. It includes a terminal 200 for connecting (not shown).

상기 단자판(100)은 단자부(500)의 형상을 결정하는 본체(120) 및 상기 본체(120)의 상부면에 접착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20)는 상기 전지의 단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일실시예로서 상기 전지가 원통형 외부 벽체를 갖는 경우에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부(100)와 전지가 결합한 후에도 전지의 형상은 단자부(500)까지 연장되어 전 체로서 하나의 형상을 완성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본체(120)는 석탄산 및 포르말린을 주원료 하는 합성수지로서 내식성 및 절연성이 뛰어난 베이크라이트(상표명: bakelite)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plate 100 includes a main body 120 that determines the shape of the terminal part 500 and an elastic member 140 that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to absorb external shocks. The main body 120 has the same shape as the end of the battery, and in one embodiment, when the battery has a cylindrical outer wall, it may be provided in a disk shape. Therefore, even after the terminal unit 100 and the battery are combined, the shape of the battery extends to the terminal unit 500 to complete one shape as a whole. As an example, the main body 120 may be formed of bakelite (trade name: bakelite)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insulation as a synthetic resin mainly containing phenol and formalin.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본체(120)의 상면에 접착되어 상기 단자판(120)으로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완화시키고, 상기 단자판(100)을 관통하는 단자(200)에 압축력을 가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베이크 라이트의 표면에 부착된 고무를 포함한다. The elastic member 140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to mitigate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terminal plate 120, and applies a compressive force to the terminal 200 penetrating the terminal plate 100. 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140 includes a rubb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akelite.

상기 단자판(100)은 다수의 관통 홀(160)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 홀(160)은 상기 탄성부재(140) 및 상기 본체(120)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본체 및 탄성부재의 각각에 동일한 중심을 갖는 동심 단면원을 포함한다. 외부저항과 상기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200)는 상기 관통 홀(160)에 삽입되어 배열된다. 이때, 상기 관통 홀(160)은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고려하여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단자의 수가 많을수록 양극 및 음극 리드선에 병렬로 접속되는 접촉단자가 증가하므로 전류를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관통 홀의 수는 외부저항에 소요되는 전류의 양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로 형성한다. The terminal plat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0. The through hole 160 penetrates the elastic member 140 and the main body 120 simultaneously, and includes a concentric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center on each of the main body and the elastic member. The terminal 20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xternal resistor and the battery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60 and arranged. In this case, at least two through holes 160 may b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s the number of terminals increases, contact terminal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lead wires increase, so that current can be distributed and supplied. Therefore, the number of through holes is appropriate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current required for external resistance.

상기 단자(200)는 외부저항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220), 상기 접촉부(2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몸체(240), 상기 제1 몸체(240)와 일체로 형성되며 전지의 리드 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몸체(280) 및 상기 제1 및 제2 몸체(240,280)의 경계에 위치하는 걸림턱(260)을 포함한다. The terminal 200 is a contact part 220 which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an external resistance, a first body 240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ct part 220,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240 and a lead of a battery. A second body 280 electrically connected to a line and a locking step 260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240,280.

일실시예로서, 상기 단자(200)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통 홀(16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때, 상기 제1 몸체(240)와 제2 몸체(28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걸림턱(260)은 상기 관통 홀(160)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단자(200)를 상기 관통 홀(160)의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 상기 걸림턱(260)이 탄성부재(140)의 표면에 걸리게 되어 상기 단자(200)의 제2 몸체(280)가 상기 관통 홀(16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260)과 상기 탄성부재(140) 사이에는 강한 압축력이 작용하여 상기 관통 홀(60)을 통한 상기 단자판(100)의 바닥면과 상부면 사이의 밀봉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erminal 20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 160. In this case, the locking jaw 26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240 and the second body 280 has a larger size than the through hole 160. Therefore, when the terminal 2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60, the locking jaw 260 is caught by the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140, so that the second body 280 of the terminal 200 is inserted. May be located inside the through hole 160. In addition, a strong compressive force may be applied between the latching jaw 260 and the elastic member 140 to prevent sealing degrada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100 through the through hole 60. .

일실시예로서, 상기 접촉부(220) 및 제1 및 제2 몸체(240, 280)는 일체로 형성되며, 전지의 리드 선과 외부 저항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자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상기 단자(200)는 전기전도성도 우수하며 상기 리드 선과의 접촉 특성도 우수할 것을 요구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자(20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지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외부 저항체로 전달하며, 리드 선과의 접촉과정에서 전기화학적인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 220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40 and 280 are integrally formed and serve as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ead wire of the battery and the external resistor. Therefore, the terminal 200 requires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cellent contact characteristics with the lead wi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200 is made of aluminum to transfer the current generated from the battery to an external resistor, and improve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in the process of contact with the lead wire.

상기 접촉부(220)는 상기 제1 몸체(240)의 단부에 형성되어 외부 저항체와 물리적 접촉을 원활하게 유지한다. 상기 접촉부(220)의 형상은 접촉을 유지하는 외부 저항체의 형상과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서 수평면을 구비하는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500)를 구비하는 전지와 전지를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The contact portion 22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body 240 to maintain a smooth physical contact with the external resistor. The contact portion 2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external resistor that maintains contact. In one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 220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having a horizontal surface, and the battery and the battery including the terminal portion 500. Can be connected seamlessly.

상기 제1 몸체(240)는 상기 접촉부(220)와 일체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접촉층이 형성되어 외부 저항체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접촉층은 주석(Sn) 도금막으로 형성되어 외부 저항체와 상기 접촉부(220)를 솔더링 과정으로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주석 도금막은 솔더링 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필요에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단자(200)와 외부 저항체가 솔더링 외의 방법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연결수단에 적합한 다른 접촉층이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e first body 2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tact portion 220, and a contact layer may be formed on a surface thereof to facilitate connection with an external resistor. In one embodiment, the contact layer is formed of a tin (Sn) plating film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resistor and the contact portion 220 by a soldering process. The tin plating film is formed in a need for smoothly performing a soldering process, and when the terminal 200 and the external resistor are connected by a method other than soldering, it is apparent that another contact layer suitable for a connecting means may be formed.

상기 제1 몸체(24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몸체(280)는 전지의 리드선과 연결되어 고정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2 몸체(280)는 리벳 이음, 용접 등과 같이 기계적 연결방법을 통하여 상기 리드 선과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제2 몸체(280)와 상기 리드 선은 아크 용접이나 초음파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The second body 280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body 240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lead wire of the battery.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body 280 is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lead wire through a mechanical connection method such as rivet joints, welding,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body 280 and the lead wire are permanently connected by arc welding or ultrasonic wave or laser weldin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지의 단자부(500)에 의하면, 상기 접촉부(220) 및 상기 제1 몸체(240)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몸체(280)의 단부는 상기 관통 홀(160)을 통하여 상기 본체(12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전지의 리드 선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전기적 접점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몸체(240)와 제2 몸체(280)로 구성되는 상기 단자(200)는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단자(200)의 제1 및 제2 몸체(240,280) 사이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접촉저항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몸체(240) 및 제2 몸체(280)가 동일한 재질의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경계면에서 접촉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이한 열팽창 으로 인한 저항증가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terminal portion 500 of th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portion 220 and the first body 240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or, and an end of the second body 280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20 through the through hole 160 to provide electrical contact with the lead wire of the battery. Form. In this case, the terminal 200 including the first body 240 and the second body 280 is integrally formed to prevent contact failur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240 and 280 of the terminal 2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lower the contact resistance. In addition, since the first body 240 and the second body 280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ct resistance occur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accordingly different thermal expans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also prevent the increase in resistance.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단자부를 구비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자부와 전지의 접속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terminal unit illustrated in FIG. 3A,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form of a terminal unit and a batter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900)는 전기에너지를 생성하여 내부에 저장하고 있는 전지(600)와 상기 전지(600)의 일단부를 통하여 돌출한 리드 선(62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외부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500)를 포함한다. 4 and 5,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through one end of the battery 600 and the battery 600 which generate and store the electric energy therein. The terminal unit 500 may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one lead wire 62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or.

상기 단자부(5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저항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리드 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몸체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500)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개시된 단자부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에 개시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As shown in FIG. 3A, the terminal unit 500 is integral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a first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or and a second bod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ad wire. Since the terminal part 500 is the same as the terminal part disclos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Therefore,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S. 3A to 3C refer to the same members.

일시시예로서, 상기 전지(600)는 원통형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전해질과의 산화 및 환원반응에 의해 전하이동을 생성하는 전극 권취체(미도시), 상기 전극 권취체와 상기 단자(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선(620) 및 상기 전지(600)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전해질 및 전극 권취체를 외부로부터 밀봉하는 용기(610)를 포함한다. As a temporary example, the battery 600 includes a cylindrical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 electrode winding (not shown) that generates charge transfer by oxidation and reduction with an electrolyte, the electrode winding, and the terminal 200. ) And a container 610 for forming an outer shape of the battery 600 and sealing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winding body from the outside.

일실시예로서, 상기 전극 권취체는 산화 반응에 의해 전자를 생성하는 음극 (미도시), 생성된 전자를 흡수하여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양극(미도시) 및 상기 음극과 양극을 물리적으로 분리시켜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장소를 격리하여 서로 구분되는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격리막(미도시)이 권심(winding core)을 중심으로 차례로 권취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룬다. 상기 권취체의 일단에 양극 집전체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양극 리드선(622)과 음극 집전체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음극 리드선(624)이 분리되어 상기 용기(610)의 외부로 돌출된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de winding is oxidized by a cathode (not shown) that generates electrons by an oxidation reaction, an anode (not shown) that absorbs the generated electrons to cause a reduction reaction, and physically separates the cathode and the anode. Separation membranes (not shown) which function as electrod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isolating the place where the reaction and the reduction reaction occur are sequentially wound around a winding core to form an overall cylindrical shape. At one end of the winding body,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lead wires 622 formed by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lead wires 624 formed by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re separated and protrude out of the container 610.

상기 양극 리드선(622)은 상기 단자(200)의 양극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극 리드선(324)은 상기 단자(200)의 음극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양극 및 음극 접점은 상기 관통 홀(160)을 통하여 본체(16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제2 몸체(280)의 단부로서 각각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양극 리드선(622)은 다수의 양극 접점과 접촉하며, 다수의 음극 리드선(624)은 다수의 음극 접점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지(600)로부터 외부 저항체로 흐르는 전류를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대전류의 충전 또는 방전에 바람직하다.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선(620)과 접점과의 연결은 리벳이음이나 용접 등을 통하여 영구적으로 연결한다. The positive lead 6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contact of the terminal 200, and the negative lead 32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contact of the terminal 200. A plurality of anode and cathode contacts are formed as end portions of the second body 280, which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60 through the through holes 16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lead wires 622 contact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contacts, and the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lead wires 624 contact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contacts. Accordingly, since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battery 600 to the external resistor can be dispersed, it is preferable for charging or discharging a large current. As mention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lead wire 620 and the contact is permanently connected through rivet joint or welding.

상기 용기(6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전극 권취체를 수용한다. 전극 권취체를 수용한 후 전극 권취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리드 연결부(미도시)와 상기 리드 선(620)을 접촉되도록 상기 용기(610)를 밀봉한다. 상기 용기(610)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또는 주석 도금강 등의 금속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고, PE, PP, PPS, PEEK,PTFE 또는 ESD등의 수지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 기 용기(610)의 재질은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달리 사용한다. The container 61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ccommodates the electrode winding therein. After receiving the electrode winding body, the container 610 is sealed to contact the lead connecting portion (not shown)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ctrode winding body with the lead wire 620. As the container 610,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stainless steel, or tin plated steel may be used, or a resin material such as PE, PP, PPS, PEEK, PTFE, or ESD may be used. The material of the container 610 is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lyte.

용기(610)의 내부에 전극 권취체를 수용하고 밀봉한 후 주입 홀(미도시)을 통하여 전해액을 상기 용기(610)의 내부로 주입하여 상기 전지(600)를 완성한다. 이어서, 상기 전지(600)의 상단부에 상기 단자부(500)를 연결함으로써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를 완성한다.After receiving and sealing an electrode winding in the container 610, an electrolyte is injected into the container 610 through an injection hole (not shown) to complete the battery 600. Subsequently, the terminal 50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600 to complete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지용 단자부 및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에 의하면, 외부저항체와 접촉하는 제1 몸체 및 전지의 리드선과 접촉하는 제2 몸체를 동일한 재질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1 몸체 및 제2 몸체 사이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고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부를 구비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기적 안정성과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ttery terminal unit and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first body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resistor and the second body in contact with the lead wire of the battery integrally formed to have the same material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can be prevented and the contact resistance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electrical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having the terminal portion can be impro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foregoing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Claims (15)

다수의 관통 홀을 구비하는 평판으로 형성된 단자판; 및 A terminal plate formed of a fla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고 일단부는 전지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부와 대응하는 타단부는 외부 저항체에 연결되는 일체형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단자유닛.And an integrated terminal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one end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은 외부 형상을 유지하는 평판형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접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단자유닛. The battery terminal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plate comprises a flat body which maintains an external shape and an elastic member adher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단자유닛. 3. The battery terminal uni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n epoxy resin and the elastic member includes rub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은 상기 탄성부재 및 본체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본체 및 탄성부재의 각각에 동일한 중심을 갖는 동심 단면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단자유닛.3. The battery terminal uni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hrough hole comprises a concentric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center in each of the main body and the elastic member through the elastic member and the main body at the same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단자는 외부저항과 연결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전지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 홀 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단자유닛.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grated terminal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body and the first body connected to the external resistance and the first body and integr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ttery and Battery terminal unit comprising a locking step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through-ho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외부저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단자유닛. The battery terminal unit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body further comprises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resist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표면에 코팅된 주석 도금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단자유닛. 6. The battery terminal uni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erminal comprises aluminum and the first body comprises a tin plating film coated on a surface there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는 상기 관통 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관통 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디스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단자유닛.6. The battery terminal uni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and the locking jaw has a disc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through hole. 다수의 관통 홀을 구비하는 평판으로 형성된 단자판, 및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고 일단부는 전지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부와 대응하는 타단부는 외부 저항체에 연결되는 일체형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유닛; 및 A terminal unit having a terminal plate formed of a fla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n integrated terminal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battery and the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one end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or; And 상기 단자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에너지 발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And an electric energy genera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단자는 외부저항과 연결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전기에너지 발생유닛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 홀 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integrated terminal includes a first body connected to an external resistor, a second body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ectric energy generating unit. And an engaging jaw positioned between the bodies and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through ho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는 표면에 코팅된 주석 도금막을 포함하여 상기 외부 저항과 솔더링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of claim 10, wherein the terminal comprises aluminum and the first body comprises a tin plated film coated on a surface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resistor by solder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에너지 발생유닛은 전해질과의 산화 및 환원반응에 의해 전하 이동을 생성하는 전극 권취체, 상기 전극 권취체와 상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선 및 외부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전해질 및 전극 권취체를 외부로부터 밀봉하는 용기를 포함하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ing unit is formed by forming an electrode winding body for generating a charge transfer by the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 with an electrolyte, a lead wire and an external shap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winding body and the terminal and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comprising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comprising a container for sealing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winding from the outsid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리드 선과 영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body is permanently coupled to the lead wir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결합은 리벳이음 또는 용접이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ermanent bond comprises a rivet joint or a weld join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음은 레이저 용접이음 또는 초음파 용접이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저지 저장장치. 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weld joint comprises a laser weld joint or an ultrasonic weld joint.
KR1020070018647A 2007-02-23 2007-02-23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KR100890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647A KR100890958B1 (en) 2007-02-23 2007-02-23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647A KR100890958B1 (en) 2007-02-23 2007-02-23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462A true KR20080078462A (en) 2008-08-27
KR100890958B1 KR100890958B1 (en) 2009-03-27

Family

ID=3988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647A KR100890958B1 (en) 2007-02-23 2007-02-23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958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9405A (en) * 1994-03-10 1995-09-26 Haibaru:Kk Battery
JPH09320553A (en) * 1996-05-29 1997-1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aled battery and manufacture of seal body used therefor
JP2004179621A (en) 2002-11-11 2004-06-24 Fujitsu Media Device Kk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958B1 (en) 200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9130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5275271B2 (en) Secondary battery
JP5395749B2 (en) Secondary battery
JP5149924B2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263255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7754378B2 (en) Secondary battery with a sealing plate used to seal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in a cap plate
CN106784576B (en) Secondary battery
JP4404818B2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20090130554A1 (en) Secondary battery
CN108428848B (en) Electrode member,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20110287300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KR102383415B1 (en) Battery pack
JP5193066B2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member for holding an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JP2005129528A (en) Secondary battery
WO2013046873A1 (en) Secondary battery
KR102555959B1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 comprising external connecting terminal
US9257727B2 (en) Assembled battery and battery pack
JP5378366B2 (en) Cap assembly for high current capacity energy supply equipment
KR20090026650A (en) Protection circuit board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0890958B1 (en)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KR20010090787A (en) Sealed cell
JP4522123B2 (en) Cylindrical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18700B1 (en) Secondary battery
JP5145643B2 (en) Secondary battery
KR20060118298A (en) Secondary battery and the same u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