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447A - A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447A
KR20080078447A KR1020070018597A KR20070018597A KR20080078447A KR 20080078447 A KR20080078447 A KR 20080078447A KR 1020070018597 A KR1020070018597 A KR 1020070018597A KR 20070018597 A KR20070018597 A KR 20070018597A KR 20080078447 A KR20080078447 A KR 20080078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ice
water tank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5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34958B1 (en
Inventor
김대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958B1/en
Priority to US12/440,443 priority patent/US8272232B2/en
Priority to EP09009880.7A priority patent/EP2110625B1/en
Priority to CN2007800332611A priority patent/CN101512258B/en
Priority to EP07808038A priority patent/EP2059734B1/en
Priority to PCT/KR2007/004240 priority patent/WO2008030020A2/en
Priority to DE602007013254T priority patent/DE602007013254D1/en
Priority to AT07808038T priority patent/ATE502269T1/en
Priority to AU2007293831A priority patent/AU2007293831B2/en
Priority to ES09009880.7T priority patent/ES2666200T3/en
Priority to CN2010102575715A priority patent/CN101922843B/en
Publication of KR20080078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4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A water tank for a refrigerator and an ice ma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a freezing compartment from being contaminated by allowing a valve to be operated only at the state that the water tank is mounted on the freezing compartment so that the valve is prevented from being erroneously operated when mounting the water tank on the freezing compartment. A water tank(20) for a refrigerator comprises a valve(51) and a valve driving button(61) for driving the valve. Water storage spaces(32A,32B) are formed in the water tank. The valve selectively opens/closes water supply ports(33A,33B) through which water of the water storage space is supplied to an ice tray. The valve includes an elastic member such as a first coil spring(S1) and a second coil spring(S2). The elastic member is operated by the valve driving button to pass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and move up/down, and applies elastic force to the valve so that the water supply port is closed by the valve moving downward.

Description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A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A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를 투시하여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물탱크의 요부를 투시하여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water tank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빙유닛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ice mak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Figures 4a to 4c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이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5a to 5c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빙하우징 11: 제빙공간10: ice making housing 11: ice making space

13: 냉기공급공 15,16: 가이드홈13: Cold Supply Hole 15,16: Guide groove

17: 가이드슬롯 19: 가이드롤러17: guide slot 19: guide roller

20: 물탱크 31: 탱크본체20: water tank 31: tank body

32: 구획리브 32A,32B: 저수공간32: compartment rib 32A, 32B: reservoir

33A, 33B: 급수구 34: 밸브가이드보스33A, 33B: Water inlet 34: Valve guide boss

35: 버튼설치부 36: 버튼설치개구35: button mounting section 36: button mounting opening

37: 버튼가이드부 38: 버튼가이드공37: button guide portion 38: button guide ball

39: 가이드리브 41: 탱크커버39: guide rib 41: tank cover

43: 물공급구 45: 물공급구커버43: water supply port 45: water supply cover

51: 밸브 52: 밸브본체51: valve 52: valve body

53: 연동돌기 54: 연동안내면53: linkage projection 54: linkage guide surface

55A,55B: 캡고정돌기 57A,57B: 밸브캡55A, 55B: Cap fixing protrusion 57A, 57B: Valve cap

59: 지지돌기 61: 밸브구동버튼59: support protrusion 61: valve drive button

63: 조작부 65: 구동부63: operation unit 65: drive unit

66: 안착홈 67: 구동돌기66: seating groove 67: drive projection

68: 구동안내면 69: 가이드바아68: driving guide 69: guide bar

69S: 스토퍼 70: 제빙유닛69S: Stopper 70: Ice Making Unit

71: 지지프레임 72A,72B: 트레이스토퍼71: support frame 72A, 72B: tray stopper

73: 가이드리브 74: 기어박스73: guide rib 74: gearbox

75A,75B: 아이스트레이 76A,76B: 제빙홈75A, 75B: Ice tray 76A, 76B: Ice making groove

77A,77B: 회전축 78A,78B: 회전연결부77A, 77B: rotary shaft 78A, 78B: rotary connection

79A,79B: 연결바아 80: 아이스뱅크79A, 79B: Connecting Bar 80: Ice Bank

81: 얼음저장공간 90: 가이드플레이트81: Ice storage 90: Guide plate

91: 가이드돌기 S1: 제1코일스프링91: guide protrusion S1: first coil spring

S2: 제2코일스프링 L: 조작레버S2: 2nd coil spring L: Control lever

G1,G2,G3: 기어G1, G2, G3: gea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의 제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ank for a refrigerator in which water for manufacturing ice is stored, and an ice ma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냉장고는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하여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냉장고의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빙장치는 얼음의 제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어 실질적으로 얼음이 제조되는 아이스트레이, 그리고 상기 아이스트레이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뱅크로 구성된다. Refrigerators are home appliances for storing food in a fresh state for a long time by freezing or refrigerating food. Generally,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and an ice maker for manufacturing ice is install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Such an ice making device includes a water tank in which water for manufacturing ice is stored, an ice tray in which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supplied to substantially manufacture ice, and an ice bank in which ice produced in the ice tray is stored. It is composed.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은 물탱크가 상기 냉동실에 장착되면 밸브가 구동하여 상기 아이스트레이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트레이에서 제조된 얼음은 아이스트레이의 트위스팅에 의하여 분리되어 상기 아이스뱅크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를 상기 냉동실 또는 냉동실 도어의 이면으로부터 인출하여 저장된 얼음을 사용한다.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supplied to the ice tray by driving a valve when the water tank is mount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Meanwhile, the ice prepared by the ice tray is separated by the twisting of the ice tray and stored in the ice bank. Then, the ice bank is drawn ou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or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to use the stored ic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기 물탱크의 장착과 동시에 저장된 물이 상기 아이스트레이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가 상기 냉동실에 완전하게 장착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 중 일부가 상기 아이스트레이로 공급되지 못하고 상기 냉동실의 내부로 비산될 우려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tored at the same time as the mounting of the water tank is conventionally supplied to the ice tray. Therefore, when the valve is driven while the water tank is not completely mount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som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may not be supplied to the ice tray and may be scattered into the freezer compartmen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을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ank for a refrigerator configured to minimize contamination in the process of producing ice and an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얼음의 제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이 구비되는 냉장고용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이 상기 아이스트레이로 공급되는 급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급수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구동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rigerator for a water tank having a reservoir for storing water for the production of ic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is the ice tray A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water supply port to be supplied; A valve driving button for driving the valv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or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구동버튼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저수공간이 구비되는 탱크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급수구를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급수구가 차폐되도록 상기 밸브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밸브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valve is driven by the valve drive button is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through a water supply por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is provided with the water storage space, to move the valve downward so that the water supply port is shield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상기 밸브구동버튼은 상기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저면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에 의하여 눌러져 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급수구가 개방되도록 밸브를 구동시키고, 상기 급수구가 차폐되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브구동버튼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밸브구동버튼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valve driving button is installed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on the bottom of the tank body to drive the valve is pressed by a door that shields the storage space to move backward to drive the valve to open the water supply port, And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driving button to move the valve driving button forward to drive the valve so that the water inlet is shield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얼음의 제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이 구비되는 냉장고용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저수공간이 구비되는 물탱크와; 상기 저수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탱크커버; 상기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을 아이스트레이에 공급하는 급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그리고 상기 급수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구동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water tank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for the production of ice: a water tank having the storage space; A tank cov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torage space; A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water inlet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o an ice tray; And a valve driving button for driving the valv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or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저수공간은 제1 또는 제2아이스트레이에 공급되는 물이 각각 저장되는 제1 및 제2저수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은 각각 제1 및 제2급수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ervoir space includes first and second reservoir spaces in which water supplied to the first or second ice tray is stored, respectively, and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 spaces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water outlet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상기 밸브는, 상기 탱크본체의 하방에 구비되는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캡고정돌기, 그리고 상기 급수구를 관통하여 상기 저수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캡고정돌기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밸브구동버튼에 의하여 상기 밸브가 구동되면, 상기 밸브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급수구가 개방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valve may include a valve body provided below the tank body, at least one cap fix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valve body and penetrating the water supply port, and positioned inside the water storage space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ap fixing projections and comprises at least one valve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ort; When the valve is driven by the valve drive button, the valve is moved upward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nlet is opened.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본체의 저면에 구비 되는 밸브가이드보스에 삽입되어 상기 밸브가이드보스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val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rotrusion whi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is inserted into the valve guide bos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valve guide boss.

상기 급수구가 차폐되도록 상기 밸브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밸브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to move the valve downward so that the water inlet is shielded.

상기 탄성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탱크본체의 저면 일측과 상기 밸브본체의 일측에 각각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elas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and one side of the valve body.

상기 밸브구동버튼은, 상기 탱크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의 저면에 밀착되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구동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본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버튼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가 눌러지면, 상기 밸브구동버튼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밸브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급수구가 개방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valve driving button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provid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tank body, a driving unit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operation uni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valve, and a rear end of the driving uni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ank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bar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button guide portion to be; When the operation unit is pressed by a door that shields the storage space, the water supply port is opened by moving the valve upwar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valve driving button backward.

상기 급수구가 차폐되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브구동버튼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밸브구동버튼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driving button to move the valve driving button forward to drive the valve so that the water inlet is shielded.

상기 탄성부재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밸브구동버튼의 일측과 상기 버튼가이드부의 일측에 그 양단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elas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both ends of which are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valve drive button and one side of the button guid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순환하는 냉기에 의하여 물을 얼려서 얼음을 제조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 장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받을 물로 얼음을 제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스트레이; 그리고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이스트레이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뱅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ice making apparatus for 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by cold air circulating in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Claims 1 to 2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A water tank of claim 12; At least one ice tray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d manufacturing ice from water to be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an ice bank installed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tray, and storing the ice produced by the ice tra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순환하는 냉기에 의하여 물을 얼려서 얼음을 제조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받을 물로 얼음을 제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스트레이; 그리고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이면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이스트레이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뱅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ice making apparatus for 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by cold air circulating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Removable to the back of the doo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A water tan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the water tank is installed so as to be installed; At least one ice tray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a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and manufacturing ice from water to be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an ice bank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ice tray, the ice bank to store the ice produced in the ice tra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아이스트레이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비산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the phenomenon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scattered during the supply to the ice tra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ater tank for a refrigerator and an ice ma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를 투시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물탱크의 요부를 투시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빙유닛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water tank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main part of the ice-making unit which comprises the Example shown to.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장치를 구성하는 제빙하우징(10)은 대략 전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빙하우징(10)은 냉장고의 냉동실에 착탁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하우징(1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물탱크(20)와 제빙유닛(70), 아이스뱅크(80) 및 가이드플레이트(90)가 설치되는 제빙공간(11)이 구비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ice making housing 10 constituting the ice making device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in which approximately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pened. The ice making housing 10 is install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an ice making space 11 in which the water tank 20, the ice making unit 70, the ice bank 80, and the guide plate 90 are installed is provided inside the ice making housing 10.

한편 상기 제빙하우징(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냉기공급공(13)이 구비된다. 상기 냉기공급공(13)은 상기 제빙하우징(10)의 상면이 대략 타원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동실을 순환하는 냉기를 상기 제빙공간(11)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cold air supply holes 13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housing 10. The cold air supply hole 13 is formed by cut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making housing 10 into an approximately elliptical shape, and is for guiding cold air circulating in the freezing compartment to the ice making space 11.

또한 상기 제빙하우징(10)의 양측면 내측에는 각각 한쌍의 가이드홈(15)(16)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홈(15)(16)은 상기 제빙하우징(10)의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는 높이로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5)(16)은 상기 제빙공간(11)의 내외부로 출납하는 물탱크(20)와 제빙유닛(70)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홈(15)(16)은 상기 제빙공간(11)의 상부와 중앙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빙하우징(10)의 양측면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제빙공간(11)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제1가이드홈(15), 상기 제빙공간(11)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것을 제2가이드홈(16)이라 칭한다.In addition, a pair of guide grooves 15 and 16 are provided at both inner sides of the ice making housing 10. The guide grooves 15 and 16 are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ice making housing 10. The guide grooves 15 and 16 are for guiding the water tank 20 and the ice making unit 70 into and out of the ice making space 11. The guide grooves 15 and 16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ice making housing 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ice making space 11, which are located below the ice making space 11. The first guide groove 15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ice making space 11 are referred to as a second guide groove 16.

상기 제빙하우징(10)의 양측면 하단부에는 각각 가이드슬롯(17)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슬롯(17)은 상기 제빙하우징(10)의 양측면 하단부가 전후방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빙공간(11)의 내외부로 출납하는 아이스뱅크(80) 및 가이드플레이트(9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슬롯(17)은 그 전후단이 각각 전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지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된다. Guide slots 17 are provided at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ice making housing 10, respectively. The guide slot 17 is formed by cutting both front and rear lower ends of the ice making housing 10 in front and rear, and guides the ice bank 80 and the guide plate 90 into and out of the ice making space 11. It plays a role. The guide slot 17 is formed in a curved shape whose front and rear ends a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제빙하우징(10)의 양측면 내측 하단부 전단에는 각각 가이드롤러(19)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9)는 아이스뱅크(80) 및 가이드플레이트(90)의 출납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롤러(19)는 수평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And guide rollers 19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both inner side lower ends of the ice making housing 10. The guide roller 19 is for guiding the withdrawal of the ice bank 80 and the guide plate 90. The guide roller 19 is rotatably installed about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한편 상기 제빙공간(11)의 상부에는 물탱크(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물탱크(20)에는 얼음의 제조를 위한 물이 저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20)는 탱크본체(31)와 탱크커버(41), 밸브(51), 그리고 밸브구동버튼(6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water tank 20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ce making space 11. The water tank 20 stores water for producing ice. As shown in FIG. 2, the water tank 20 includes a tank body 31, a tank cover 41, a valve 51, and a valve driving button 61.

상기 탱크본체(31)는 상면이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탱크본체(31)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저수공간의 중앙에는 전후방으로 길게 구획리브(32)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리브(32)에 의하여 상기 저수공간은 제1저수공간(32A)과 제2저수공간(3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에서 얼음의 1회에 제조에 사용되는 양만큼의 물이 각각 저장된다.The tank body 3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hedron with an upper surface opened. The tank body 31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In the center of the reservoir space, the partition rib 32 is provid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The storage space is composed of the first storage space 32A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32B by the partition rib 32. In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32A and 32B, water is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which are used for the production of ice at once. .

또한 상기 탱크본체(31)에는 한쌍의 급수구, 즉 제1급수구(33A)와 제2급수구(33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는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 간(32A)(32B)에 저장된 물을 각각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과 연통되도록 상기 탱크본체(31)의 저면 일부가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는 상기 구획리브(32)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좌우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tank body 31 is provided with a pair of water inlets, that is, the first water inlet 33A and the second water inlet 33B.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holes 33A and 33B supply water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water storage spaces 32A and 32B to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respectively. It is to. To this end,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s 33A and 33B are formed by opening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31 upward and downwar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nd second water storage spaces 32A and 32B, respectively. do.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holes 33A and 33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be symmetrical about the compartment rib 32.

그리고 상기 탱크본체(31)의 저면에는 밸브가이드보스(34)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가이드보스(34)는 상기 밸브(51)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다. 상기 밸브가이드보스(34)는 상기 구획리브(32)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탱크본체(31)의 저면 중앙부 일부가 상방, 즉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의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And the bottom of the tank body 31 is provided with a valve guide boss (34). The valve guide boss 34 is for guiding the shanghai movement of the valve 51 and opens downward. The valve guide boss 34 has a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31 which is directly below the compartment rib 32, that is, the interior of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 spaces 32A and 32B. It is formed to be recessed.

상기 탱크본체(31)의 전면에는 버튼설치부(35)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설치부(35)는 상기 탱크본체(31)의 저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버튼설치부(35)에는 버튼설치개구(36)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설치개구(36)는 상상기 버튼설치부(35)의 중앙 하단부가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의 종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The front surface of the tank body 31 is provided with a button installation portion 35. The button installation portion 35 extends downward relativ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31. The button installation part 35 is provided with a button installation opening 36. The button installation opening 36 is formed by cutting the center lower end of the imaginary button installation unit 35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valve driving button 61.

또한 상기 탱크본체(31)의 저면에는 버튼가이드부(37)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가이드부(37)는 상기 밸브가이드보스(34)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탱크본체(31)의 저면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버튼가이드부(37)에는 버튼가이드공(38)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가이드공(38)은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의 전후방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31 is provided with a button guide portion 37. The button guide portion 37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31 corresponding to the rear of the valve guide boss 34. A button guide hole 38 is formed in the button guide portion 37. The button guide hole 38 is for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valve drive button 61.

상기 탱크본체(31)의 양측면 외측에는 각각 가이드리브(39)가 구비된다. 상기 탱크본체(31)의 가이드리브(39)는 상기 제빙하우징(10)의 제1가이드홈(15)에 삽입되어 상기 물탱크(20)의 출납시 이를 따라서 슬라이딩한다.Guide ribs 39 are provid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tank body 31, respectively. The guide rib 39 of the tank body 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15 of the ice making housing 10 and slides along and out of the water tank 20.

상기 탱크커버(41)는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탱크커버(41)는 상기 탱크본체(31)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탱크본체(31)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tank cover 41 serve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 spaces 32A and 32B. To this end, the tank cover 4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tank body 31, and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tank body 31.

상기 탱크커버(41)의 일측에는 물공급구(43)가 구비된다. 상기 물공급구(43)는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로부터 횡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탱크커버(4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구(43)를 통하여 급수되는 물이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에 저장된다. 물론 상기 탱크커버(41)를 상기 탱크본체(31)로부터 탈거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에 물을 저장할 수도 있다.One side of the tank cover 41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ort 43. The water supply port 43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tank cover 4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ports 33A and 33B in a later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43 is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 spaces 32A and 32B. Of course, in the state in which the tank cover 41 is removed from the tank body 31, water may be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 spaces 32A and 32B.

또한 상기 탱크커버(41)에는 상기 물공급구(4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물공급구커버(45)가 구비된다. 상기 물공급구커버(45)는 그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tank cover 41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cover 45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ort 43. The water supply port cover 45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up and down about its one end.

상기 밸브(51)는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브(51)는 밸브본체(52)와 캡고정돌기(55A)(55B), 밸브캡(57A)(57B), 그리고 지지돌기(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alve 51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s 33A and 33B. The valve 51 includes a valve body 52 and cap fixing protrusions 55A and 55B, valve caps 57A and 57B, and a support protrusion 59.

상기 밸브본체(52)는 좌우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3a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본체(52)의 저면에는 연동돌기(53)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돌기(53)는 상기 밸브구동버튼(61)에 연동하여 상기 밸브(51)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연동돌기(53)는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의 저면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돌기(53)에는 연동안내면(54)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안내면(54)은 상기 연동돌기(53)의 저면이 후방으로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The valve body 5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side to side. As shown in Figure 3a, the lower surface of the valve body 52 is provided with a linkage projection (53). The interlocking protrusion 53 is to allow the valve 51 to move upward in association with the valve driving button 61. Referring to FIG. 3A, the linkage protrusion 53 is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valve driving button 61 downward. In addition, the interlocking protrusion 53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guide surface 54. The interlocking guide surface 54 is formed by extending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locking protrusion 53.

그리고 상기 캡고정돌기(55A)(55B)는 상기 밸브본체(52)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캡고정돌기(55A)(55B)는 각각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를 관통하여 그 선단이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의 내부에 각각 위치된다. The cap fixing protrusions 55A and 55B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valve body 52, respectively. The cap fixing protrusions 55A and 55B are formed in an L-shape, respectively, and penetrat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holes 33A and 33B, and the tip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spaces 32A ( 32B) respectively.

또한 상기 밸브캡(57A)(57B)은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를 각각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캡고정돌기(55A)(55B)의 선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밸브캡(57A)(57B)은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를 차폐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급수구(33A)(33B)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valve caps 57A and 57B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s 33A and 33B, respectively, and are located in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 spaces 32A and 32B. It is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of fixing protrusion 55A, 55B, respectively. The valve caps 57A and 57B are formed in a shape and size that can at least shield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s 33A and 33B, thereby substantially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s 33A and 33B. ) To open and close selectively.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59)는 상기 밸브본체(52)의 상면 중앙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돌기(59)는 상기 밸브본체(52)의 중앙에서 상기 캡고정돌기(55A)(55B)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밸브가이드보스(34)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돌기(59)는 상기 밸브가이드보스(34)에 삽입된 상태에서 밸브가이드보스(34)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한다.The support protrusion 59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valve body 52. The support protrusion 59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ap fixing protrusions 55A and 55B at the center of the valve body 52 and is inserted into the valve guide boss 34. The support protrusion 59 moves up and down along the valve guide boss 34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valve guide boss 34.

상기 지지돌기(59) 상에는 제1코일스프링(S1)이 구비된다. 상기 제1코일스프링(S1)은 상기 밸브(51)가 상기 밸브캡(57A)(57B)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가 각각 차폐되도록 하는 방향, 즉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밸브본체(52)에 부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코일스프링(S1)의 양단은 각각 상기 밸브가이드보스(34)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탱크본체(31)의 저면 일측과 상기 지지돌기(59)의 일단에 인접하는 상기 밸브본체(52)의 일측에 각각 지지된다.The first coil spring S1 is provided on the support protrusion 59. The first coil spring S1 is a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51 is shielded by the valve caps 57A and 57B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s 33A and 33B are respectively shielded. An elastic force for moving is applied to the valve body 52. To this end, both ends of the first coil spring S1 ar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31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valve guide boss 34 and one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59, respectively. It is supported by one side of 52, respectively.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은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의 개폐를 위하여 상기 밸브(51)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은 상기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D)(도 3b 및 도 3c참조)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조작되어 상기 밸브(51)를 구동시킨다.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은 조작부(63)와 구동부(65), 그리고 가이드바아(6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valve driving button 61 serves to drive the valve 51 to open and close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ports 33A and 33B. The valve driving button 61 is operated by a freezer compartment door D (see FIGS. 3B and 3C) or a user's opera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er compartment to drive the valve 51. The valve drive button 61 includes an operation unit 63, a drive unit 65, and a guide bar 69.

상기 조작부(63)는 상기 버튼설치개구(36)에 대응하는 종단면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63)는 상기 버튼설치개구(36)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63)의 전후단부는 각각 상기 버튼설치부(35)의 전후방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63)는 상기 냉동실 도어(D)를 상기 냉동실을 차폐하는 과정에서 그 전단부가 냉동실 도어(D)에 의하여 눌러짐으로써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operation unit 63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longitudinal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installation opening 36. The operation unit 63 is installed through the button installation opening 36. Therefor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operation unit 63 are located in front and rear of the button installation unit 35, respectively. In this state, the operation part 63 serves to move the valve driving button 61 backward by press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D by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D in the process of shielding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D from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D. Do it.

상기 구동부(65)는 상기 조작부(63)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구동부(65)는 그 상면이 상기 밸브(51)의 저면에 밀착되게 위치된 다. 상기 구동부(65)에는 안착홈(66)이 형성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안착홈(66)은 상기 구동부(65)의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가 상기 밸브캡(57A)(57B)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연동돌기(53)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65)의 상면에는 구동돌기(67)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돌기(67)는 상기 구동부(65)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다. 상기 안착홈(66) 및 구동돌기(67)의 상면에는 상기 연동안내면(54)에 형합되도록 구동안내면(68)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안내면(68)은 상기 안착홈(66) 및 구동돌기(67)의 상면이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 The drive unit 65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operation unit 63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drive unit 65 is positioned so that its upp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valve 51. A seating groove 66 is formed in the driving unit 65. Referring to FIG. 3A, the seating groove 66 is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driving part 65 downward,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s 33A and 33B are formed in the valve cap 57A. The interlocking protrusion 53 is seated in a shielded state by 57B. In addition, a driving protrusion 67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unit 65. The driving protrusion 67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unit 65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66 and the driving protrusion 67 is provided with a driving guide surface 68 to be fitted to the interlocking guide surface 54. The driving guide surface 68 is formed by extending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rear of the seating groove 66 and the driving protrusion 67.

상기 가이드바아(69)는 상기 구동부(65)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바아(69)는 상기 버튼가이드공(38)에 대응하는 종단면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버튼가이드공(38)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바아(69)는 상기 조작부(63)가 후방으로 눌리면 상기 버튼가이드공(38)을 관통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The guide bar 69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driving unit 65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guide bar 69 is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longitudinal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guide hole 38 and is installed through the button guide hole 38. The guide bar 69 moves rearward in the state of passing through the button guide hole 38 when the operation unit 63 is pressed backward.

상기 가이드바아(69)에는 스토퍼(69S)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69S)는 상기 가이드바아(69)의 후단에서 상기 구동부(65)의 후단부를 향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는 상기 가이드바아(69)의 외면에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69S)는 상기 가이드바아(69)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다수개가 구비되어 실질적으로는 가이드바아(69)의 직경을 증가시키게 된다.The guide bar 69 is provided with a stopper 69S. The stopper 69S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guide bar 69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end of the guide bar 69 toward the rear end of the drive unit 65. A plurality of stoppers 69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bar 69 to extend radially to substantially increase the diameter of the guide bar 69.

상기 가이드바아(69) 상에는 제2코일스프링(S2)이 구비된다. 상기 제2코일 스프링(S2)은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이 상기 밸브캡(57A)(57B)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가 차폐되도록 하는 방향, 즉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밸브본체(52)에 부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코일스프링(S2)의 양단은 각각 상기 버튼가이드공(38)에 인접하는 상기 버튼가이드부(37)의 일면과 상기 스토퍼(69S)의 일측에 지지된다.The second coil spring S2 is provided on the guide bar 69. The second coil spring S2 is a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driving button 61 is shielded by the valve caps 57A and 57B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s 33A and 33B are shielded. The elastic force to move to the valve body 52 is imparted. To this end,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spring S2 are supported at one side of the button guide portion 37 adjacent to the button guide hole 38 and at one side of the stopper 69S, respectively.

상기 물탱크(2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빙공간(11)에는 제빙유닛(7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빙유닛(70)은 상기 물탱크(2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서 실질적으로 얼음을 제조하고 이를 분리하여 아이스뱅크(8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빙유닛(70)은 지지프레임(71)과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 조작레버(L), 그리고 다수개의 기어(G1)(G2)(G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ce making unit 7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ce making space 11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20. The ice making unit 70 receive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0 to substantially manufacture ice, and separates and delivers the ice to the ice bank 80. The ice making unit 70 includes a support frame 71,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an operating lever L, and a plurality of gears G1, G2, and G3. do.

상기 지지프레임(71)은 장방형의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71)은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빙공간(11)의 내외부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support frame 71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The support frame 71 rotatably supports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and is detachably installed in and out of the ice making space 11.

상기 지지프레임(71)의 후단부 내측에는 한쌍의 트레이스토퍼(72A)(72B)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스토퍼(72A)(72B)는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동시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의 일측에 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를 트위스팅시키는 역할을 한다. A pair of tray stoppers 72A and 72B are provided inside the rear end of the support frame 71. The tray stoppers 72A and 72B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in a horizontal state, and rotate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by a predetermined angl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75B) serves to twist.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71)의 양측단부 외측에는 각각 가이드리브(73)가 구 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71)의 가이드리브(73)는 상기 제빙하우징(10)의 제2가이드홈(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를 따라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빙유닛(70)의 착탈을 안내한다.And guide ribs 73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 end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71. The guide ribs 73 of the support frame 71 slide along the guide ribs 73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s 16 of the ice making housing 10 to guide the detachment of the ice making unit 70.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71)의 전단부에는 기어박스(74)가 구비된다. 상기 기어박스(74)는 상기 지지프레임(71)의 전단부에 대응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박스(74)의 내부에는 상기 기어(G1)(G2)(G3)가 구비된다.Meanwhile, a gear box 74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71. The gear box 74 is formed in a flat hexahedr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71, and the gears G1, G2 and G3 are provided inside the gear box 74.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는 상기 물탱크(20)의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서 실질적으로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아서 얼음을 제조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에는 각각 다수개의 제빙홈(76A)(76B)이 구비된다.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are provided to substantially manufacture ice by receiving water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 spaces 32A and 32B of the water tank 20.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are supplied with water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spaces 32A and 32B, respectively, to prepare ic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ce making grooves 76A and 76B,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는 각각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는 그 단변방향 양면이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71)의 전후단부를 향하도록 지지프레임(7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지지프레임(71)의 전후단부를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의 단변방향 양면을 각각 전후면이라 칭하고, 상기 지지프레임(71)의 양측단부를 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의 장변방향 양면을 양측면이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의 전후면에는 회전연결부(78A)(78B)와 회 전축(77A)(77B)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회전연결부(78A)(78B)와 회전축(77A)(77B)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회전연결부(78A)(78B)는 상기 기어박스(74)의 후면을 관통하여 기어박스(74)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축(77A)(77B)은 상기 지지프레임(71)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are each formed in a flat hexahedral shape having an overall rectangular cross section.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are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frame 71 such that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fac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upport frame 71, respectively.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fac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upport frame 71 will be referred to as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and both side ends of the support frame 71 will be described.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f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eferred to as both side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are provided with rotation connecting portions 78A and 78B and rotation shafts 77A and 77B, respectively. The rotary joints 78A and 78B and the rotary shafts 77A and 77B are substantially the centers of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The rotary connection portions 78A and 78B exten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gearbox 74 and extend into the gearbox 74, and the rotary shafts 77A and 77B are rear ends of the support frame 71. Rotatably support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의 전면에는 각각 연결바아(79A)(79B)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바아(79A)(79B)는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가 트위스팅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축(77A)(77B)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그 모서리부분에 트위스팅모멘트를 전달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트위스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바아(79A)(79B)는 ㄱ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의 전면 일단부와 상기 회전연결부(78A)(78B)의 일측에 각각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바아(79A)(79B)가 상기 회전연결부(78A)(78B)와 회전축(77A)(77B)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중심으로 상기 트레이스토퍼(72A)(72B)와 대칭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트레이스토퍼(72A)(72B)가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의 도면상 후면 우측단부를 각각 지지하면, 상기 연결바아(79A)(79B)는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의 도면상 전면 좌측단부와 각각의 상기 회전연결부(78A)(78B)를 연결한다.In addition, connecting bars 79A and 79B are provided on fro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respectively. The connecting bars 79A and 79B are twisted at their corners relatively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al shafts 77A and 77B during the tw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It delivers the Sting Moment to make the twisting more efficient. The connecting bars 79A and 79B are formed in an L-shape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and at one side of the rotary connection parts 78A and 78B, respectively. Each is fix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on bars 79A and 79B are connected to the tray stoppers 72A and 72B around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rotary connection parts 78A and 78B and the rotation shafts 77A and 77B. ) Is provided to be symmetrical with. That is, when the tray stoppers 72A and 72B support the rear right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respectively, the connecting bars 79A and 79B may b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The left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i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rotary connection portions 78A and 78B.

상기 조작레버(L)는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를 회전 및 트위스팅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조작레 버(L)는 상기 기어박스(74)의 전면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레버(L)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제1아이스트레이(75A)와 제2아이스트레이(75B)의 회전을 위한 조작레버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The operation lever L is to be gripped and rotated by the user by hand to rotate and twist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The operation lever (L)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ont center of the gear box (7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are configured to rotate at the same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L.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A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ng levers for rotating the 75B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상기 기어(G1)(G2)(G3)는 하나의 주동기어(G1)와 한쌍의 종동기어(G2)(G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동기어(G1)는 상기 조작레버(L)와 연결되어 조작레버(L)의 회전에 의하여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종동기어(G2)(G3)는 각각 상기 회전연결부(78A)(78B)와 연결되고, 상기 주동기어(G1)에 각각 기어물림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L)가 회전하면 상기 주동기어(G1)가 회전하고, 상기 주동기어(G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종동기어(G2)(G3)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gears G1, G2 and G3 comprise one main gear G1 and a pair of driven gears G2 and G3. The main gear G1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L and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lever L. The driven gears G2 and G3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otary connection portions 78A and 78B, and are geared to the main gear G1,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operation lever L rotates, the main gear G1 rotates, and the driven gear G2 G3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main gear G1.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가 회전 및 트위스팅되어 얼음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를 최초의 위치, 즉 상기 트레이스토퍼(72A)(72B)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77A)(77B) 상에 그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71)의 일측과 상기 제1아이스트레이(75A) 또는 제2아이스트레이(75B)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are rotated and twisted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to their original positions, namely, An elastic member which is supported by the tray stoppers 72A and 72B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returning to the horizontal level is provided. For example, a torsion spring having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71 and the first ice tray 75A or the second ice tray 75B may be provided on the rotary shafts 77A and 77B. Can be.

또한 상기 제빙유닛(7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빙공간(11)의 하부에는 아이스뱅크(80)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아이스뱅크(80)는 상면이 개구되 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뱅크(8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저장공간(81)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ice bank 8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making space 11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ice making unit 70. The ice bank 80 is formed in a flat hexahedral shape with an upper surface opened. The ice bank 80 is provided with an ice storage space 81 in which the ice manufactured by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is stored.

그리고 상기 제빙공간(11)의 하부에는 가이드플레이트(90)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90)는 상기 아이스뱅크(80)의 출납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90)는 상기 아이스뱅크(80)의 양측면과 바닥면에 대응하는 양측면과 바닥면으로 구성되어 대략 ㄷ자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90)는 그 내부에 상기 아이스뱅크(8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빙공간(11)의 내외부로 출납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9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돌기(91)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91)는 상기 가이드슬롯(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90) 및 이에 안착된 상기 아이스뱅크(80)가 상기 제빙공간(11)의 전후방으로 출납되면 가이드슬롯(17)을 따라서 이동한다.In addition, a guide plate 90 is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making space 11 so as to be retractable. The guide plate 90 is for guiding the withdrawal of the ice bank 80. The guide plate 90 is composed of both side surfaces and bottom surfaces corresponding to both side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ce bank 80 and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shaped longitudinal section. The guide plate 90 is withdrawn into and out of the ice making space 11 in a state where the ice bank 80 is seated therein. Guide protrusions 91 are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plate 90. When the guide protrusion 91 is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17, the guide plate 90 and the ice bank 80 seated therein are withdrawn in front and rear of the ice making space 11. Move along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플레이트(90)의 출납에 연동하여 상기 아이스뱅크(80)가 상기 제빙공간(11)의 전후방으로 출납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동돌기와 연동홈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돌기와 연동홈은 각각 상기 아이스뱅크(80)의 저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9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어느 일방이 타방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아이스뱅크(80)와 가이드플레이트(90)가 동시에 상기 제빙공간(11)의 내외부로 출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terlocking projections and interlocking grooves are provided in order to allow the ice bank 80 to be withdrawn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ice making space 11 in conjunction with the withdrawal of the guide plate 90. The interlocking protrusions and the interlocking groove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ce bank 8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plate 90 corresponding thereto, so that one of the interlocking protrusions and the interlocking grooves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ice bank 80 and the guide plate 90. At the same time serves to allow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ice making space (11).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얼음이 제조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manufacturing 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water tank and an ice ma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빙유닛에서 제조된 얼음이 분리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Figures 4a to 4c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ater tank for refrigerators and ice-ma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to 5c It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ice produced in the ice making unit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water tank and the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20)가 제빙공간(1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급수구(33A)(33B)가 밸브캡(57A)(57B)에 의하여 차폐된다. 이때 밸브(51)와 밸브구동버튼(61)은 제1 및 제2코일스프링(S2)으로부터 상기 밸브캡(57A)(57B)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가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각 하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부여받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가 임의로 개방되어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First, as shown in FIG. 4A, when the water tank 20 is mounted in the ice making space 11,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s 33A and 33B are shielded by the valve caps 57A and 57B. do. At this time, the valve 51 and the valve driving button 61 are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s 33A and 33B from the first and second coil springs S2 by the valve caps 57A and 57B.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move downward or forward, respectively, to maintain the shielded state.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holes 33A and 33B are arbitrarily opened to prevent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water storage spaces 32A and 32B from being drain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물탱크(20)가 상기 제빙공간(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D)를 닫아서 냉동실을 차폐시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실 도어(D)에 의하여 밸브구동버튼(61), 실질적으로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의 조작부(63)가 눌러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D)에 의하여 눌러지는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은 상기 물탱크(2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구동부(65)의 구동돌기(67)에 의하여 상기 밸브(51)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급수 구(33A)(33B)가 상기 밸브캡(57A)(57B)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에서 개방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63)와 가이드바아(69)는 각각 버튼설치개구(36)와 버튼가이드공(38)을 관통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코일스프링(S2)은 각각 상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밸브(51)와 밸브구동버튼(61)에 의하여 압축되기 시작한다.Meanwhile, when the user closes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D and shields the freezer compartment while the water tank 20 is mounted in the ice making space 11, as shown in FIG. 4B, a valve is opened by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D. The operation button 63 of the drive button 61, substantially the valve drive button 61, begins to be pressed. In addition, the valve driving button 61 pressed by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D is move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water tank 20. As such, when the valve driving button 61 moves backward, the valve 51 moves upward by the driving protrusion 67 of the driving unit 65. Thus,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holes 33A and 33B start to open in a shielded state by the valve caps 57A and 57B. At this time, the operation unit 63 and the guide bar 69 are moved rearward in the state passing through the button installation opening 36 and the button guide hole 38,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il springs S2 start to be compressed by the valve 51 and the valve driving button 61 moving upward or backward,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냉동실도어(D)가 상기 냉동실을 완전하게 차폐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의 구동부(65)가 계속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51)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가 완전하게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에 저장된 물이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코일스프링(S2)은 최대로 압축된 상태이다.When the freezing chamber door D completely shields the freezing chamber, as shown in FIG. 4C, the driving unit 65 of the valve driving button 61 continues to move backward and the valve 51 moves upward.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s 33A and 33B are completely opened by moving to. Accordingly,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water storage spaces 32A and 32B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holes 33A and 33B. do.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coil springs S2 are in the maximum compressed state.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이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상기 냉동실 도어(D)에 의하여 조작되지만, 사용자가 상기 밸브구동버튼(61)을 조작하여 상기 밸브(51)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20)가 상기 제빙공간(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63)를 직접 눌러서 상기 밸브(51)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valve drive button 61 is operated by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D, which opens and closes the freezer compartment, but a user operates the valve drive button 61 to drive the valve 51. It may be. That is, the user may directly drive the valve 51 by pressing the operation unit 63 while the water tank 20 is mounted in the ice making space 11.

한편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에 완전하게 공급되어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에 물을 다시 공급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냉동실 도어(D)를 열어서 상기 냉동실을 개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코일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밸 브(51)와 밸브구동버튼(61)이 각각 하방 또는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가 상기 밸브캡(57A)(57B)에 의하여 각각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가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물탱크(20)를 상기 제빙공간(11)의 외부로 탈거시키고, 탱크커버(41)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을 물을 공급하거나 물공급구커버(45)를 회동시켜서 물공급구(43)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물공급구(43)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에 물을 공급한다.Meanwhile, water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32A and 32B is completely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32A and 32B are provided. In order to supply water again), first,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D is opened to open the freezer compartment. At the same time, the valve 51 and the valve drive button 61 move downward or forward, respective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coil springs S2, thereby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holes 33A. 33B are respectively shielded by the valve caps 57A and 57B. The water tank 20 is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ice making space 11 while the first and second water inlets 33A and 33B are shielded, and the tank cover 41 is removed.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32A and 32B are supplied with water or the water supply holes 45 are rotated to open the water supply holes 4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water reservoirs 43 are opened. 2 Water is supplied to the reservoirs 32A and 32B.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의 제빙홈(76A)(76B)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32A)(32B)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1 및 제2급수구(33A)(33B)를 통하여 공급되어 담겨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빙홈(76A)(76B)에 담겨진 물이 상기 냉동실을 순환하는 냉기에 의하여 얼게 됨으로써 얼음이 제조된다. 이때 상기 냉동실을 순환하는 냉기는 냉기공급공(13)을 통하여 상기 제빙공간(11)의 내부로 전달된다.As shown in FIG. 5A, water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 spaces 32A and 32B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ice making grooves 76A and 76B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holes 33A and 33B are supplied and contained therein. As such, the water contained in the ice making grooves 76A and 76B is frozen by cold air circulating in the freezing chamber, thereby producing ice. At this time, the cold air circulating in the freezing chamber is transferred into the ice making space 11 through the cold air supply hole 13.

한편 얼음의 제조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조작레버(L)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에서 제조된 얼음을 분리시킨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작레버(L)를 회전시키면, 주동기어(G1)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주동기어(G1)가 회전하면 이에 기어물림된 한쌍의 종동기어(G2)(G3)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가 회전연결부(78A)(78B) 및 회전축(77A)(77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duction of ice is completed, the user rotates the operating lever (L) to separate the ice produced in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75B). That is, as shown in Figure 5b,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ng lever (L), the main gear (G1) is rotated. In addition, when the main gear G1 rotates, a pair of driven gears G2 and G3 geared thereto rotate,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rotate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78A and 78B. And the rotational shafts 77A and 77B.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 가 계속하여 회전하면,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의 일측이 트레이스토퍼(72A)(72B)에 각각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L)를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가 트위스팅되어 제조된 얼음이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의 모서리부분에도 연결바아(79A)(79B)에 의하여 트위스팅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므로 얼음이 제대로 분리되지 못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As shown in FIG. 5C, when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continue to rotate,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may be a tray stopper 72A. 72B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f the operating lever L is continuously rotated in such a state,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are twisted to separate the produced ice. At this time, since the twisting moment is applied to the corner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by the connecting bars 79A and 79B, the ice is not properly separated.

또한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를 회전 및 트위스팅시키는 힘, 즉 상기 조작레버(L)를 회전시키는 힘을 제거하면,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는 최초의 위치, 즉 그 일측이 상기 트레이스토퍼(72A)(72B)에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복원된다.In addition, when the force for rotating and twisting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that is, the force for rotating the operating lever L, is removed, the first and the second ice trays are elastic by the torsion spring. The ice trays 75A and 75B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i.e., one side thereof is supported by the tray stoppers 72A and 72B and is kept horizontal.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아이스트레이(75A)(75B)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아이스뱅크(80)의 얼음저장공간(81)에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아이스뱅크(80)를 상기 제빙공간(11)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얼음저장공간(81)에 저장된 얼음을 꺼내어 사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 아이스뱅크(80)의 인출은 가이드플레이트(90)에 의하여 안내된다. 즉 상기 아이스뱅크(8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90)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이드플레이트(90)의 인출에 연동하여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80) 및 가이드플레이트(90)가 상기 제빙공간(11)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뱅크(8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9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얼음저장공간(81)에 저장된 얼음을 꺼내서 사용하게 된다.As such, the ic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ice trays 75A and 75B is stored in the ice storage space 81 of the ice bank 80. The user may take out the ice bank 80 from the ice making space 11 and take out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space 81. At this time, the withdrawal of the ice bank 80 is guided by the guide plate 90. That is, the ice bank 80 is drawn out in conjunction with the withdrawal of the guide plate 90 in a state seated on the guide plate 90. In addition, the ice bank 80 and the guide plate 90 are pulled out of the ice making space 11, and the ice bank 80 is lifted upward to separate from the guide plate 90 so as to separate the ice. The 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81 is taken out and us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빙장치가 상기 냉동실에 설치되지만, 상기 제빙장치의 설치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이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빙장치가 상기 냉동실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면, 상기 밸브구동버튼은 상기 냉동실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의 일측 또는 상기 냉동실에 별도로 구비되는 구동돌기나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될 것이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ce mak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bu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ce making apparatu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ice making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As such, when the ice mak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the valve driving button may be operated by a driving protrusion or a user provided separately on one side of the inner case forming the freez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에 의하면 물탱크가 냉동실에 장착된 상태에서 밸브구동버튼을 조작하면 밸브가 구동되어 그 내부에 저장된 물이 아이스트레이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를 상기 냉동실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밸브가 구동되어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냉동실의 내부로 비산되어 상기 냉동실이 오염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보다 청결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water tank and the ice mak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alve driving button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tank is mount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the valve is driven and the water stored therein is iced. Is supplied. Therefore, the valve is driven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water tank in the freezer compartmen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scattered into the freezer compartment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freezer compartment, it can be expected to use the product more cleanly Will be.

Claims (14)

얼음의 제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이 구비되는 냉장고용 물탱크에 있어서: In a water tank for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reservoir for storing water for ice production: 상기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이 상기 아이스트레이로 공급되는 급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와; A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water supply port through which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is supplied to the ice tray; 상기 급수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구동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탱크.A valve driving button for driving the valv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ort; Refrigerator water tank,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구동버튼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저수공간이 구비되는 탱크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급수구를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The valve is driven by the valve drive button is installed so as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water inle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is provided with the reservoir space, 상기 급수구가 차폐되도록 상기 밸브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밸브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탱크.The water tank for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to move the valve downward so that the water inlet is shield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브구동버튼은 상기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탱크본체의 저면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에 의하여 눌러져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급수구가 개방되도록 밸브를 구동시키고, The valve driving button is installed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on the bottom of the tank body to drive the valve is pressed by a door that shields the storage space to move backward to drive the valve to open the water supply port, 상기 급수구가 차폐되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브구동버 튼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밸브구동버튼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탱크.And a resilient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a valve driving button to move the valve driving button forward to drive the valve so that the water inlet is shielded. 얼음의 제조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수공간이 구비되는 냉장고용 물탱크에 있어서: In a water tank for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reservoir for storing water for ice production: 상기 저수공간이 구비되는 물탱크와; A water tank having the reservoir space; 상기 저수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탱크커버; A tank cov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torage space; 상기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을 아이스트레이에 공급하는 급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그리고 A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water inlet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o an ice tray; And 상기 급수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구동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탱크.A valve driving button for driving the valv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ort; Refrigerator water tank,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저수공간은 제1 또는 제2아이스트레이에 공급되는 물이 각각 저장되는 제1 및 제2저수공간으로 구성되고, The storage space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storage spaces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first or second ice tray,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은 각각 제1 및 제2급수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탱크.The water tank for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reservoir space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water supply holes, respectively.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밸브는, The valve, 상기 탱크본체의 하방에 구비되는 밸브본체와, A valve body provided below the tank body, 상기 밸브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캡고정돌기, 그리고 At least one cap fixing protrusion provided in the valve body and penetrating the water supply port, and 상기 급수구를 관통하여 상기 저수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캡고정돌기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구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valve cap which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ap fixing protrusion which is located inside the water storage space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to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port; 상기 밸브구동버튼에 의하여 상기 밸브가 구동되면, 상기 밸브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급수구가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탱크.When the valve is driven by the valve drive button, the valve is moved upwards, the water tank for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opening is opened.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본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밸브가이드보스에 삽입되어 상기 밸브가이드보스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탱크.The valv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valve body is inserted into the valve guide bos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further comprises a support protrusion for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valve guide boss .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급수구가 차폐되도록 상기 밸브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밸브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탱크.The water tank for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to move the valve downward so that the water inlet is shielded.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탄성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탱크본체의 저면 일측과 상기 밸브본체의 일측에 각각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탱크.The elastic member is a water tank for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bottom and one side of the valve body of the tank body.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밸브구동버튼은, The valve drive button, 상기 탱크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조작부와, An operation unit provid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tank body; 상기 조작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의 저면에 밀착되는 구동부, 그리고 A driving part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operation pa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valve, and 상기 구동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탱크본체의 저면에 구비되는 버튼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A guide bar which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driving unit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button guide par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저장공간을 차폐하는 도어에 의하여 상기 조작부가 눌러지면, 상기 밸브구동버튼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부가 상기 밸브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급수구가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탱크.When the operation unit is pressed by a door that shields the storage space, the water supply port for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port is opened by moving the valve upwar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valve drive button to the rear.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급수구가 차폐되도록 상기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밸브구동버튼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밸브구동버튼에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탱크.And a resilient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valve driving button to move the valve driving button forward to drive the valve so that the water inlet is shielded.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탄성부재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밸브구동버튼의 일측과 상기 버튼가이 드부의 일측에 그 양단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탱크.The elastic member is a water tank for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both ends of which are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valve driving button and one side of the button guide portion, respectively.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순환하는 냉기에 의하여 물을 얼려서 얼음을 제조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있어서: In the ice mak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s for 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by cold air circulating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상기 저장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물탱크와; A water tan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상기 물탱크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받을 물로 얼음을 제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스트레이; 그리고 At least one ice tray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d manufacturing ice from water to be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이스트레이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뱅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An ice bank installed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ce tray and storing ice produced by the ice tray; Refrigerator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a.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순환하는 냉기에 의하여 물을 얼려서 얼음을 제조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있어서: In the ice mak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s for producing ice by freezing water by cold air circulating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물탱크와; A water tan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상기 물탱크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이면에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받을 물로 얼음을 제조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스트레이; 그리고 At least one ice tray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a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and manufacturing ice from water to be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의 이면에 출납가능하게 설 치되고, 상기 아이스트레이에서 제조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뱅크;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An ice bank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ice tray and storing ice produced in the ice tray; Refrigerator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a.
KR1020070018597A 2006-09-06 2007-02-23 A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334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597A KR101334958B1 (en) 2007-02-23 2007-02-23 A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2/440,443 US8272232B2 (en) 2006-09-06 2007-03-09 Refrigerator
CN2007800332611A CN101512258B (en) 2006-09-06 2007-09-03 Refrigerator having water supply device for ice tray assembly
EP07808038A EP2059734B1 (en) 2006-09-06 2007-09-03 Refrigerator with water supply for an ice tray
EP09009880.7A EP2110625B1 (en) 2006-09-06 2007-09-03 Refrigerator
PCT/KR2007/004240 WO2008030020A2 (en) 2006-09-06 2007-09-03 Refrigerator with water supply for an ice tray
DE602007013254T DE602007013254D1 (en) 2006-09-06 2007-09-03 REFRIGERATOR WITH WATER SUPPLY FOR AN ICE BOWL
AT07808038T ATE502269T1 (en) 2006-09-06 2007-09-03 REFRIGERATOR WITH WATER SUPPLY FOR AN ICE TRAY
AU2007293831A AU2007293831B2 (en) 2006-09-06 2007-09-03 Refrigerator with water supply for an ice tray
ES09009880.7T ES2666200T3 (en) 2006-09-06 2007-09-03 Fridge
CN2010102575715A CN101922843B (en) 2006-09-06 2007-09-03 Refrigerator with water supply for an ice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597A KR101334958B1 (en) 2007-02-23 2007-02-23 A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447A true KR20080078447A (en) 2008-08-27
KR101334958B1 KR101334958B1 (en) 2013-11-29

Family

ID=3988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597A KR101334958B1 (en) 2006-09-06 2007-02-23 A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95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9885A (en) * 2010-10-18 2012-04-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Refrigerator mounted with ice making device
US8371139B2 (en) 2009-07-20 2013-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28A (en) * 1992-06-29 1994-01-21 Hitachi Ltd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JP3207274B2 (en) * 1992-10-23 2001-09-10 三菱電機株式会社 Water supply for automatic ice making equipment
BR0303842B1 (en) * 2003-09-16 2013-12-17 ICE FORM SUPPLY SYSTEM IN COOLING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1139B2 (en) 2009-07-20 2013-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406188B1 (en) * 2009-07-20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20039885A (en) * 2010-10-18 2012-04-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Refrigerator mounted with ice ma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958B1 (en)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3350A (en) A ice tray for refrigerator, ice making unit and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8104304B2 (en)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EP2059734B1 (en) Refrigerator with water supply for an ice tray
EP3406991B1 (en)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CN101384871B (en)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US8161767B2 (en) Ice 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KR20110008407A (en)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334958B1 (en) A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090043971A (en) Ice making apparatus
CN101512258B (en) Refrigerator having water supply device for ice tray assembly
KR100661983B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258437B1 (en) Ice 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90005753U (en) Refrigerator
KR20070059507A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225974B1 (en) A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nd ice-maker for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20090058789A (en) Ice-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0728361B1 (en) A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WO2008020707A1 (en)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100756463B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766116B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356100B1 (en) A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259808B1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790351B1 (en) A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790030B1 (en) Refrigerator
MX2008010352A (en) A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