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369A - Gender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Gender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369A
KR20080078369A KR1020070018412A KR20070018412A KR20080078369A KR 20080078369 A KR20080078369 A KR 20080078369A KR 1020070018412 A KR1020070018412 A KR 1020070018412A KR 20070018412 A KR20070018412 A KR 20070018412A KR 20080078369 A KR20080078369 A KR 20080078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obile terminal
gender
conversion gend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4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73648B1 (en
Inventor
노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Priority to KR102007001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648B1/en
Publication of KR2008007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3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6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conversion gender for mobile terminals is provided to connect connectors having different numbers of pins and allow external devices having different connectors to perform normal operations with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conversion gender. A conversion gender(100) for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gender main body(130), a main connector(110), a plurality of receptacles(131,132,133), and at least one audio connector(134,135). The main connector is at one side of the gender main body and connected with a microphone input terminal and a speaker output terminal of a mobile terminal connector. The receptacles are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gender main body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main connector to be connected with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and the speaker output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or. The audio connector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gender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or.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Gender for mobile device}Gender for mobile devi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3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of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4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urth embodiment of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5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fth embodiment of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다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shape of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또 다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shape of the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변환 젠더100, 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conversion gender

110: 메인 커넥터 120: 연결부 110: main connector 120: connection

130, 130a, 130b: 본체 131, 131a, 132b: 제 1 리셉터클130, 130a, 130b: main body 131, 131a, 132b: first receptacle

132, 132a, 132b: 제 2 리셉터클 133: 제 3 리셉터클132, 132a, 132b: second receptacle 133: third receptacle

134: 제 1 오디오 커넥터 135, 135a, 135b: 제 2 오디오 커넥터 134: first audio connector 135, 135a, 135b: second audio connector

140: 제 1 제어부 150: 제 2 제어부140: first control unit 150: second control unit

160: 제 3 제어부 170: 음향 입력부160: third control unit 170: sound input unit

171: 데이터 입력부 180: FM 신호 송수신부171: data input unit 180: FM signal transceiver

190: 라디오 수신부 200: 이동통신 단말기190: radio receiver 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 300: 충전기210: mobile terminal connector 300: charger

310: 충전기 커넥터 320: 연결부310: charger connector 320: connection portion

330: 충전기 본체 400: 이어폰330: charger body 400: earphone

410: 이어폰 커넥터410: earphone connector

본 발명은 변환 젠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넥터가 서로 다르더라도 충전기, 핸즈프리, 데이터 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rsion gen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that allows a charger, a hands-free, and a data cable to be used as they are even though the connecto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different.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팜PC, PDA, 전자수첩,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PMP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사용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크기도 더욱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mobile terminals refer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ortable computers, palm PCs, PDAs, electronic organizers, digital cameras, camcorders, MP3 players, and PMPs. The trend is miniaturization.

특히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제조사(Maker)와 이동 단말기의 기종에 따라서 다양한 내부회로를 구성하고,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다수의 커넥터를 이동 단말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하여 인터페이싱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In particular, such a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configure various internal circuits according to manufacturers and models of mobile terminals, and is provided to enable interfacing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onnectors on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housing a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

특히, 데이터통 신이나 충전을 위한 IF커넥터와 이어폰 커넥터의 삽입을 위한 오디오 커넥터가 대부분 구비되어 충전은 IF커넥터로 수행하고 이어폰 기능은 오디오 커넥터를 사용하도록 분리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IF connector for data communication or charging and the audio connector for inserting the earphone connector are mostly provided, so the charging is performed with the IF connector and the earphone function is separated to use the audio connector.

그러나, 최근에 들어 이동 단말기 특히 휴대폰이 박형화 및 경량화됨에 따라서 복수개의 커넥터를 휴대폰에 구비하는 것은 설계 및 적용상 바람직하지 않게 되었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cellular phone, has become thinner and lighter, it is not desirable to have a plurality of connectors in the cellular phone for design and application.

따라서, 휴대폰이 충전 및 데이터통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커넥터를 확장하여 핀수를 20 핀(Pin)을 가지는 커넥터가 구성되도록 제공함으로써 휴대폰의 슬림 화에 부응하고 있다.Therefore, the mobile phone is extended to the connector to perform charging and data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to meet the slimmer of the mobile phone by providing a connector having a pin number of 20 pin (Pin) is configured.

이러한 제조사 측의 요구에 따라 제공되는 커넥터와는 별도로 예를 들면 충전기의 제공에 의한 자원의 낭비와 경제적 부담의 증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24핀을 가지는 표준형 커넥터가 대부분의 충전기와 데이터통신케이블에 채택되고 있다.Apart from the connector provid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request, a standard connector having 24 pins is adopted in most chargers and data communication cables, in order to prevent waste of resources and increase of economic burden by providing a charger. have.

따라서, 사용자가 소유한 휴대폰 기종에 따라 커넥터 핀수를 정합시키기 위해 소위, 젠더(gender changer)라 불리는 부가적인 커넥터 변환 부품을 사용하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match the number of connector pins according to the mobile phone model owned by the user, an additional connector conversion component called a gender changer is used.

이러한 젠더는 인터페이스 간의 상이한 핀수를 정합시키기 위한 자웅커넥터부를 일체로 가지는 것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Such genders are widely used as integrally having a male connector portion for matching different pin counts between interface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젠더는 예를 들면 24핀 커넥터가 20핀 커넥터와 정합될 수 있도록 변환할 뿐 다른 핀 수 예를 들면 24핀 커넥터가 동시에 20핀 커넥터 및 10핀 커넥터와 정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gender converts a 24 pin connector so that it can be matched with a 20 pin connecto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other pins, for example, a 24 pin connector cannot simultaneously match with a 20 pin connector and a 10 pin connector. .

또한, 종래의 젠더는 예를 들면, 20핀 커넥터를 사용하는 휴대폰에 오디오 커넥터 또는 10핀 커넥터를 연결 사용하는 경우 휴대폰의 입력 회로부에 불합리한 연결구성으로 인하여 20핀으로 구성된 휴대폰에 무리한 전기적 연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휴대폰이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gender, for example, when an audio connector or a 10-pin connector is connected to a mobile phone using a 20-pin connector, an excessive electrical connection occurs to the mobile phone composed of 20-pin due to an unreasonable connection configuration to the input circuit part of the mobile pho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bile phone malfunctions.

또한, 입력 구조가 다른 커넥터들 사이에 무리한 전기적 연결로 인하여 일부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정상적으로 20핀 커넥터를 연결한 경우 음성 통화의 송수신 및 통화 발신 및 통화 종료 등의 부가기능이 모두 수행되지만, 변환 젠더를 사용하여 20핀을 24핀 또는 24핀을 20핀으로 변환한 경우 음성 통화의 송수신만 제공되고, 통화 발신 및 통화 종료 등의 부가기능은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problem arises in that some specific functions cannot be used due to an excess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connectors having different input structures. For example, if a 20-pin connector is normally connected,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sending and receiving voice calls, making calls, and ending calls are performed.However, a conversion gender is used to convert 20 pins to 24 pins or 24 pins to 20 pins. In this case, only a voice cal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call origination and call termination are not performed.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 사이에 적절한 정합을 제공하여 변환 젠더를 통해 접속된 기기들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that provides proper matching between connectors having different pin counts so that devices connected through the conversion gender can perform normal functions. It is don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로서, 변환 젠더 본체;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및 스피커 출력단과 각각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 상기 메인 커넥터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및 스피커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커넥터와 각각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리셉터클; 및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및 스피커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커넥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rsion gender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nversion gender body; A main connec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body and connected to a connection connector of a mobile terminal and connected to a microphone input terminal and a speaker output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respectively; The main connector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to accommodate a connector having the same pin number as the main connector or a different pin numb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and the speaker output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A plurality of receptacles each connected in parallel; And at least one audio connector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body and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o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and the speaker output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로서, 변환 젠더 본체;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스피커 출력단, 데이터 통신단 및 충전단과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 상기 메인 커넥터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또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한 다수의 리셉터클; 상기 메인 커넥터와 다수의 리셉터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커넥터와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커넥터; 및 상기 제 1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과 상기 오디오 커넥터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커넥터와 오디오 커넥터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nversion gender body; A main connec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and connected to a connection connector of a mobile terminal and connected to a microphone input terminal, a speaker output terminal,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A plurality of receptacle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body to accommodate a connector having the same pin number as the main connector or having a different pin number; A first control unit installed between the main connector and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to interface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between the main connector and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At least one audio connect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body; And a second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to separate ground powers of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and the audio connector, and interface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between the main connector and the audio connector.

또한, 상기 변환 젠더 본체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음향 입력부; 상기 변환 젠더 본체에 설치되어 동작 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상기 음향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동작 제어 신호가 상기 제 1 제어부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제어하는 제 3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ound input unit is installed in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for detecting a sound signal; A data input unit installed in the conversion gender body to detect an operation control signal; And a third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ound signal detected from the sound input unit and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detected from the data input unit to interface with the first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 3 제어부는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인터페이스 되는 신호를 F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M 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n FM signal transmitter configured to convert the signal interfaced by the first controller into an FM signal and output the FM signal.

또한, 상기 제 3 제어부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제어부로 출력하는 라디오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radio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radio signal and output the radio signal to the first controller.

또한, 상기 변환 젠더 본체는 사면체, 오면체, 육면체, 칠면체 또는 팔면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form gender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any one of tetrahedron, pentahedron, hexahedron, cube, or octahedron.

또한, 상기 리셉터클은 10핀-리셉터클, 20핀-리셉터클 또는 24핀-리셉터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ptac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10-pin receptacle, a 20-pin receptacle, or a 24-pin receptacle.

또한, 상기 오디오 커넥터는 직경이 2.5 파이(φ) 또는 3.5 파이(φ)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dio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at least one of 2.5 pi (φ) or 3.5 pi (φ).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 도 7 참조)와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외부 장치들과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리셉터클(receptacle)이 설치된 변환 젠더 본체(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version gender 100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ain connector 110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or 210 (see FIG. 7) and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nd a transform gender body 130 having a plurality of receptacles installed therein.

메인 커넥터(110)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210, 도 7 참조)와 접속하고, 바람직하게 메인 커넥터(110)는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자 및 스피커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본 실시에에서 메인 커넥터(110)는 20핀 커넥터를 사용한다.The main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connector 210 of the mobile terminal (refer to FIG. 7). Preferably, the main connector 11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and the speaker output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ng connecto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connector 110 uses a 20-pin connector.

또한, 메인 커넥터(110)는 변환 젠더 본체(13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고, 변환 젠더 본체(130)의 일측에 연결부(120)를 통해 결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 연결부(120)는 바람직하게 케이블이다.In addition, the main connector 110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130, or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130 via the connection part 12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120 is preferably a cable.

변환 젠더 본체(130)는 합성 수지재로 구성되고, 사면체 형상, 오면체 형상 또는 육면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고 본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의 육면체 형상이다.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13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any one of a tetrahedral shape, a pentagonal shape, or a hexahedral shape,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ectangular hexahedral shape.

또한, 변환 젠더 본체(130)의 측면에는 메인 커넥터(110)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다른 핀 수를 갖는 핸즈프리 장치(미도시) 등의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리셉터클(131, 132 및 133)과, 이어폰(400, 도 7 참조) 등의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receptacle gender main body 130 has receptacles 131, 132, and 133 for connecting to a connector such as a hands-free device (not shown) having the same number of pins as the main connector 110 o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pins. A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for connecting to a connector such as an earphone 400 (see FIG. 7).

리셉터클(131, 132 및 133)은 메인 커넥터(110)와 케이블 또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리셉터클(131, 132 및 133)에 접속한 상기 핸즈프리 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200, 도 7 참조)와 통화 가능하도록 한다.The receptacles 131, 132, and 13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or 110 through a cable or a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hands-free device connected to the receptacles 131, 132, and 133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see FIG. 7). Call).

이때 제 1 리셉터클(131)은 메인 커넥터(110)와 동일한 핀 수의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20핀-리셉터클이고, 제 2 리셉터클(132)은 24핀 커넥터와 접속할 수 있도록 24핀-리셉터클로 구성되며, 제 3 리셉터클(133)은 10핀 커넥터와 접속할 수 있도록 10핀-리셉터클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first receptacle 131 is a 20-pin receptacle for connecting with the same pin number of connectors as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receptacle 132 is composed of a 24-pin receptacle for connecting with a 24-pin connector. The third receptacle 133 is formed of a 10-pin receptacle to be connected to a 10-pin connector.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는 메인 커넥터(110)와 케이블 또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에 접속한 핸즈프리용 이 어폰 또는 헤드 셋이 이동통신 단말기(200, 도 7 참조)와 통화 가능하도록 한다.The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or 110 through a cable or a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handsfree earphone or headset connected to the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Call)).

이때 제 1 오디오 커넥터(134)는 직경이 2.5 파이(φ)인 이어폰 또는 헤드셋의 이어폰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2.5 파이(φ) 접속용 오디오 커넥터이고, 제 2 오디오 커넥터(135)는 직경이 3.5 파이(φ)인 이어폰 또는 헤드셋의 이어폰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3.5 파이(φ) 접속용 오디오 커넥터이다.In this case, the first audio connector 134 is an audio connector for connecting 2.5 pi (φ) for connecting with the earphone connector of the earphone or the headset having a diameter of 2.5 pi (φ), and the second audio connector 135 has a diameter of 3.5 pi It is a 3.5 pi (φ) audio connector for connecting to the (φ) earphone or headset earphone connector.

한편,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과,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는 바람직하게 메인 커넥터(110)와 각각 병렬 연결되고, 메인 커넥터(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및 스피커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Meanwhile, the first to third receptacles 131 to 133 and the first and seco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are preferably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main connector 110,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main connector 11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and speaker output terminal of the connector.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100a)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스피커 출력단, 데이터 통신단 및 충전단과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110)와, 메인 커넥터(110)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또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변환 젠더 본체(130)의 타측에 설치한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 및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와,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1 제어부(140)와, 메인 커넥터(110)와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과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150)를 포함한다.1 and 3, the conversion gender 100a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connector of a mobile terminal and connected to a microphone input terminal, a speaker output terminal,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A plurality of receptacles 131 to 133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body 130 to accommodate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connector having the same pin number as the main connector 110 or a different number of pins. And a first control unit 140 for interfac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131 to 133,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audio connector 134 and And a second controller 150 for interfac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135 and the ground power sources of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131 to 133 and the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즉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는 다르게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 1 제어부(140)가 설치되고,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 2 제어부(150)를 포함한다.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control unit 140 for the interface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first to third receptacles 131 to 133, and the main connector 110 is installed. And a second control unit 150 for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한편,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t is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omitted.

제 2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커넥터(110)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210, 도 7 참조)에 접속되도록 하는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210)의 마이크 입력단자, 스피커 출력단자, 데이터 통신단자 및 전원 충전단자 등과 접속되도록 구성된다.The main connector 1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210 of the mobile terminal (see FIG. 7), but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and the speaker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210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n output terminal,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 power charging terminal, and the like.

제 1 제어부(140)는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구성으로써, 바람직하게 사용하는 핀 수가 서로 다른 커넥터들 사이에 원활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변환을 수행한다.The first control unit 140 is configured to interfac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131 to 133, so that the data can be smoothly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connectors having different pin numbers. Perform data conversion.

즉 메일 커넥터(110)와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 사이에 마이크 신호, 스피커 신호, 통화 스위치 신호, 데이터 신호 및 충전 전원 등의 전기적인 연결이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의 핀 연결과, 데이터 신호의 전송 포멧 변환(예를 들면, 병렬 전송을 시프트 시켜 직렬 전송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반대 기능)을 수행한다.That is, each pin connection and data are connected between the male connector 110 and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131 to 133 so that electrical connections such as a microphone signal, a speaker signal, a call switch signal, a data signal, and a charging power source can be smoothly connected. Performs transmission format conversion of the signal (e.g., shifts parallel transmission to serial transmission or vice versa).

제 2 제어부(150)는 제 1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메인 커넥터(110)와,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구성으로써, 메인 커넥터(110)의 핀 수(예를 들면, 20핀)보다 오디오 커넥터의 핀 수(3핀~4핀)가 현저하게 작아 원활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변환을 수행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to interfac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and the number of pins of the main connector 110 (eg For example, the number of pins (3 to 4 pins) of the audio connector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20 pins, and data conversion is performed to enable smo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즉 제 1 제어부(140)를 통해 연결된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오디오 커넥터(134)를 연결하는 경우 마이크 신호, 스피커 신호 및 통화 스위치 신호가 연결되도록 하고, 메인 커넥터(110)와 제 2 오디오 커넥터(135)를 연결하는 경우 마이크 신호, 스피커 신호가 연결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first audio connector 134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140 are connected, the microphone signal, the speaker signal, and the call switch signal are connected, and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audio are connected. When the connector 135 is connected, the microphone signal and the speaker signal are connected.

또한, 제 2 제어부(150)는 제 1 제어부(140)와 연결된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과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면 20핀의 커넥터 입력구조와 오디오 커넥터의 입력구조가 서로 다름에 따른 부정합 발생과 일부 기능의 사용 불능 상태 발생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unit 150 separates a plurality of receptacles 131 to 133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and the ground powers of the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for example, a 20-pin connector input structure. This prevents mismatch and unusability of some functions due to different input structures of the audio connector.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변환 젠더(100a)는 제 1 제어부(140)를 통해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리셉터클(131 내지 133)이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제어부(140 및 150)를 통해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가 연결된다.Accordingly, in the conversion gender 10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131 to 133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ntrol unit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140 and 1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plurality of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3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hird embodiment of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100b)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스피커 출력단, 데이터 통신단 및 충전단과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110)와, 메인 커넥터(110)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또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변환 젠더 본체(130)의 타측에 설치한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 및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리셉터클(131 및 132)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1 제어부(140)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과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150)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3 리셉터클(133)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변환 젠더 본체(130)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음향 입력부(170)와 동작 제어용 신호를 검출하는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검출한 음향 신호 및 동작 제어용 신호가 제 1 제어부(140)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제어하는 제 3 제어부(160)를 포함한다.1 and 4, the conversion gender 100b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connector of a mobile terminal and connected to a microphone input terminal, a speaker output terminal,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The first to third receptacles 131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body 130 to accommodate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connector having the same number of pins as the main connector 110 or a different number of pins. 133 to the first and seco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a first control unit 140 for interfac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s 131 and 132, Interface the transmit / receive signal between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and the first to third receptacles 131 to 133 and the first and seco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The grounding power of the A sound input unit 170 for interfac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second control unit 150,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third receptacle 133, and installed in the conversion gender body 130 to detect sound signals. The third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sound signal and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detected by the data input unit 171 to detect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o interface with the first control unit 140.

즉 제 3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는 다르게 마이크 등의 음향 입력부(170)와, 키 패드, 스위치 입력수단 또는 가변저항 등의 데이터 입력부(171)와, 음향 입력부(170) 및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검출한 신호 또는 데이터가 제 1 및 제 2 제어 부(140 및 150)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제 3 제어부(160)가 부가된 구성이다.That is, 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sound input unit 170 such as a microphone, a data input unit 171 such as a keypad, a switch input means or a variable resistor, a sound input unit 170 and a data input unit ( A third control unit 160 is provided to interface the signals or data detected from the 171 to be used by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140 and 150.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리셉터클(133)이 제 3 제어부(160)를 통해 제 1 제어부(140)와 접속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제 2 실시예와 같이 제 1 제어부(140)에 접속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receptacle 133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through the third control unit 160, bu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okay.

한편,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t is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omitted.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제어부(160)는 마이크, 통화 스위치, 볼륨 등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마이크나 볼륨 제어 스위치 또는 통화 스위치 등의 데이터 입력 수단이 포함된 핸즈프리용 이어폰이 아니라 일반적인 오디오 이어폰이 연결된 경우 핸즈프리 기능이 가능하도록 동작한다.The third control unit 16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a microphone, a call switch, a volume, and the like. Instead of a hands-free earphone including a data input means such as a microphone, a volume control switch, or a call switch, a general audio earphone is used. When connected, it works to enable hands-free function.

즉 제 3 제어부(160)는 음향 입력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와,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제어용 신호를 제 1 제어부(140)로 전송하고, 제 1 제어부(140)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신호는 제 2 제어부(150)로 전송하여 제 2 오디오 커넥터(13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That is, the third controller 160 transmits the sound signal input from the sound input unit 170 and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data input unit 171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and then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40. The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trol unit 150 to be output through the second audio connector 135.

또한, 제 3 제어부(160)는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볼륨 제어를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크기 신호에 따라 제 1 제어부(140)로 전송되는 음향 신호의 크기가 증폭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 2 제어부(150)로 송신되는 음향 신호의 크기가 증폭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a signal for volume control is input from the data input unit 171, the third controller 160 causes the amplitude of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ler 140 to be amplifi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signal or the second controller ( The amplitude of the acoustic signal transmitted to 150 is amplified.

음향 입력부(170)는 변환 젠더 본체(1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써, 바람직하게 마이크이다.The sound input unit 17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130 and detects a voice signal or a sound signal input from a user, and is preferably a microphone.

데이터 입력부(171)는 변환 젠더 본체(130)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핸즈프리 동작 선택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써, 스위치, 키패드 또는 가변 저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The data input unit 171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130 and detects a hands-free operation selection signal input from a user. The data input unit 171 includes at least one of a switch, a keypad, and a variable resistor.

따라서 핸즈프리 기능이 없는 이어폰이 접속되어도 핸즈프리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Therefore, the hands-free function may be provided even when the earphone without the hands-free function is connected.

(제 4 실시예)(Example 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4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urth embodiment of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100c)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스피커 출력단, 데이터 통신단 및 충전단과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110)와, 메인 커넥터(110)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또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변환 젠더 본체(130)의 타측에 설치한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 및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리셉터클(131 및 132)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1 제어부(140)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과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150)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3 리셉터클(133)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변환 젠더 본체(130)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음향 입력부(170)와 동작 제어용 신호를 검출하는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검출한 음향 신호 및 동작 제어용 신호가 제 1 제어부(140)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제어하는 제 3 제어부(160)와, 제 1 제어부(140)에서 인터페이스 되는 신호를 F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M 신호 송신부(180)를 포함한다.1 and 5, the conversion gender 100c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connector of a mobile terminal and connected to a microphone input terminal, a speaker output terminal,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The first to third receptacles 131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body 130 to accommodate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connector having the same number of pins as the main connector 110 or a different number of pins. 133 to the first and seco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a first control unit 140 for interfac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s 131 and 132, Interface the transmit / receive signal between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and the first to third receptacles 131 to 133 and the first and seco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Grounding power disconnected A sound input unit 170 for interfac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second control unit 150,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third receptacle 133, and installed in the conversion gender body 130 to detect sound signals. The third control unit 160 for controlling the sound signal and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detected from the data input unit 171 for detecting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o interface with the first control unit 140 and the signal interfaced in the first control unit 140. It includes an FM signal transmitting unit 180 for converting the signal into an FM signal.

즉 제 4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는 다르게 차량이나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 설치된 FM 라디오로 통화 내용이 송신되도록 FM 신호 송신부(180)가 부가된 구성으로써, 제 4 실시예에 따른 FM 신호 송신부(180)는 제 3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FM 신호를 이용한 음향 송신이 입력된 경우 제 1 제어부(140)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출력 신호를 미리 설정된 FM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한다.In other words, unlike the third embodiment, the FM signal transmitter 180 is added to transmit a call to an FM radio installed in a vehicle or a portable audio device. The FM signal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When the sound transmission using the FM signal is input from the data input unit 171 and is connected with the third control unit 160, the 180 outputs a modulated sound outpu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40 to a preset FM frequency signal. do.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리셉터클(133)이 제 3 제어부(160)를 통해 제 1 제어부(140)와 접속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제 2 실시예와 같이 제 1 제어부(140)에 접속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receptacle 133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through the third control unit 160, bu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okay.

한편,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cidental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is omitted.

따라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변환 젠더(100c)는 별도의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없이 사용자에게 핸즈프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nversion gender 100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can provide a hands free function to a user without a separate vehicle hands free device.

(제 5 실시예)(Example 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제 5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fth embodiment of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100d)는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스피커 출력단, 데이터 통신단 및 충전단과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110)와, 메인 커넥터(110)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또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변환 젠더 본체(130)의 타측에 설치한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 및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리셉터클(131 및 132)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1 제어부(140)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과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 2 제어부(150)와, 메인 커넥터(110)와 제 3 리셉터클(133)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고, 변환 젠더 본체(130)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음향 입력부(170)와 동작 제어용 신호를 검출하는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검출한 음향 신호 및 동작 제어용 신호가 제 1 제어부(140)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제어하는 제 3 제어부(160)와,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제어부(140) 또는 제 2 제어부(150)로 출력하는 라디오 수신부(190)를 포함한다.1 and 6, the conversion gender 100d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connector of a mobile terminal and connected to a microphone input terminal, a speaker output terminal,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The first to third receptacles 131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body 130 to accommodate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connector having the same number of pins as the main connector 110 or a different number of pins. 133 to the first and seco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a first control unit 140 for interfac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ptacles 131 and 132, Interface the transmit / receive signal between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first and seco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and the first to third receptacles 131 to 133 and the first and seco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The grounding power of the A sound input unit 170 for interfac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second control unit 150,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third receptacle 133, and installed in the conversion gender body 130 to detect sound signals. The third control unit 160 for controlling the sound signal and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detected from the data input unit 171 for detecting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to interface with the first control unit 140, and the first control unit 140 by receiving a radio signal. Or a radio receiver 190 output to the second controller 150.

즉 제 5 실시예는 제 3 실시예와는 다르게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내지 제 3 리셉터클(131 내지 133) 또는 제 1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4 및 135)와 접속된 이어폰으로 출력되도록 부가된 구성으로써, 제 5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수신부(190)는 제 3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데이터 입력부(171)로부터 라디오 신호의 출력이 입력된 경우 미리 설정된 주파수 신호로부터 라디오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In other words, unlike the third embodiment, the fifth embodiment is configured to receive radio signals and output them to earphones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receptacles 131 to 133 or the first and second audio connectors 134 and 135. In this configuration, the radio receiver 19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troller 160 to demodulate and output a radio signal from a preset frequency signal when an output of a radio signal is input from the data input unit 171. do.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리셉터클(133)이 제 3 제어부(160)를 통해 제 1 제어부(140)와 접속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제 2 실시예와 같이 제 1 제어부(140)에 접속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receptacle 133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through the third control unit 160, bu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14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okay.

한편,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cidental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is omitted.

따라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변환 젠더(100d)는 사용자에게 핸즈프리 기능 이외에 라디오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nversion gender 100d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may provide the user with a radio function in addition to the hands free func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환 젠더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에 메인 커넥터(110)를 접속하고, 변환 젠더 본체(130)의 일측에 설치된 다수의 리셉터클(131)들 또는 오디오 커넥터(135) 중 어느 하나에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의 핀 수와 다른 핀 수를 갖는 장치를 연결한 다.As shown in FIG. 7, the conversion gender connects the main connector 11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or 210 installed below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a plurality of receptacle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130. A device having a pin number different from the pin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or 210 is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131 or the audio connector 135.

즉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의 핀 수(예를 들면, 20핀)와 다른 핀 수(예를 들면, 24핀)를 갖는 충전기(300)를 연결하는 경우 변환 젠더의 메인 커넥터(110)는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에 접속하고, 충전기 본체(330)와 연결부(320)를 통해 연결된 충전기 커넥터(310)를 변환 젠더 본체(130)의 일측에 형성한 리셉터클에 접속하여 서로 다른 핀 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충전기(3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connecting the charger 300 having a pin number (for example, 20 pin) and a different pin number (for example, 24 pin)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or 210, the main connector 110 of the conversion gender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or 210, and connected to the receptac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130 by connecting the charger connector 310 connected through the charger main body 330 and the connection part 320 to different pin number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and the charger 300 to have a connection.

또한, 핸즈프리 기능이 없는 오디오 이어폰(400)을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접속하는 경우 변환 젠더의 메인 커넥터(110)는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에 접속하고, 이어폰 커넥터(410)를 변환 젠더 본체(130)의 일측에 형성한 제 2 오디오 커넥터(135)에 접속하여 서로 다른 핀 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핸즈프리 기능이 없는 이어폰(4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audio earphone 400 without the hands-free function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e main connector 110 of the conversion gender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or 210, and the earphone connector 410 is converted to the conversion gender.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dio connector 135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30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pins and the earphone 400 without the hands-free function can be connected.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다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shape of the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100e)는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 도 7 참조)와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외부 장치들과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리셉터클이 설치된 변환 젠더 본체(130a)와, 메인 커넥터(110)와 변환 젠더 본체(130a)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conversion gender 100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nector 110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or 210 (see FIG. 7), and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for connecting to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130a installed with a receptacle, and a connector 120 for connecting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130a.

즉 도 8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100e)는 도 1의 변환 젠더 본체 (130) 형상과 다르게 대략 정사각형상의 육면체로 구성되고, 상기 정사각형상의 육면체 측면에는 제 1 리셉터클(131a), 제 2 리셉터클(132a), 제 3 리셉터클(미도시), 제 1 오디오 커넥터(미도시)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5a)가 설치된다.That is, the conversion gender 100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FIG. 8 is composed of a substantially square hexahedron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130 of FIG. 132a, a third receptacle (not shown), a first audio connector (not shown), and a second audio connector 135a are install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의 또 다른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shape of the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100f)는 이동통신 단말기 커넥터(210, 도 7 참조)와 연결되는 메인 커넥터(110)와, 다수의 외부 장치들과 접속하기 위한 다수의 리셉터클이 설치된 변환 젠더 본체(130b)와, 메인 커넥터(110)와 변환 젠더 본체(130b)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9, the conversion gender 100f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nector 110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or 210 (see FIG. 7), and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for connecting to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 conversion gender body 130b having a receptacle installed therein, and a connection part 120 connecting the main connector 110 and the conversion gender body 130b.

즉 도 9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100f)는 도 1의 변환 젠더 본체(130) 형상과 다르게 대략 오각형상의 팔면체로 구성되고, 상기 오각형상의 팔면체 측면에는 제 1 리셉터클(131b), 제 2 리셉터클(132b), 제 3 리셉터클(미도시), 제 1 오디오 커넥터(미도시) 및 제 2 오디오 커넥터(135b)가 설치된다.That is, the conversion gender 100f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FIG. 9 is composed of an approximately pentagonal octahedron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130 of FIG. 1, and has a first receptacle 131b and a second receptacle on the pentagonal octahedral side. 132b, a third receptacle (not shown), a first audio connector (not shown), and a second audio connector 135b are provided.

한편,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 형상은 육면체, 팔면체 이외에 사면체, 오면체, 칠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rsion gender shap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changed to various shapes such as tetrahedron, pentahedron, and hexahedron in addition to the hexahedron and the octahedr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는 서로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 사이에 적절한 정합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proper matching between connectors having different pin numb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는 서로 다른 커넥터를 갖는 외부 기기들이 변환 젠더를 통해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external devices having different connectors can perform normal operation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conversion gende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vary as many as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hanges may be made.

Claims (8)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로서,As the conversion gender of the mobile terminal, 변환 젠더 본체;Transform gender body;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및 스피커 출력단과 각각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A main connec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body and connected to a connection connector of a mobile terminal and connected to a microphone input terminal and a speaker output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respectively; 상기 메인 커넥터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및 스피커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커넥터와 각각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리셉터클; 및The main connector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to accommodate a connector having the same pin number as the main connector or a different pin numbe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and the speaker output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A plurality of receptacles each connected in parallel; And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및 스피커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커넥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And at least one audio connector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body and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o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and the speaker output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이동 단말기의 변환 젠더로서,As the conversion gender of the mobile terminal, 변환 젠더 본체;Transform gender body;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동 단말기의 접속 커넥터와 접속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접속 커넥터의 마이크 입력단, 스피커 출력단, 데이터 통신단 및 충전단과 연결하는 메인 커넥터; A main connec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and connected to a connection connector of a mobile terminal and connected to a microphone input terminal, a speaker output terminal,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terminal connection connector; 상기 메인 커넥터와 동일한 핀 수를 갖거나 또는 다른 핀 수를 갖는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한 다수의 리셉터클;A plurality of receptacle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body to accommodate a connector having the same pin number as the main connector or having a different pin number; 상기 메인 커넥터와 다수의 리셉터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커넥터와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1 제어부;A first control unit installed between the main connector and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to interface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between the main connector and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상기 변환 젠더 본체의 타측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커넥터; 및At least one audio connect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version gender body; And 상기 제 1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리셉터클과 상기 오디오 커넥터의 접지 전원이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커넥터와 오디오 커넥터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And a second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unit to separate ground powers of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and the audio connector, and to interface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between the main connector and the audio connecto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변환 젠더 본체에 설치되어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음향 입력부;An acoustic input unit installed at the conversion gender body to detect an acoustic signal; 상기 변환 젠더 본체에 설치되어 동작 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A data input unit installed in the conversion gender body to detect an operation control signal; And 상기 음향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음향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동작 제어 신호가 상기 제 1 제어부와 인터페이스 되도록 제어하는 제 3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And a thir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ound signal detected from the sound input unit and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detected from the data input unit to interface with the first control un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3 제어부는 상기 제 1 제어부에서 인터페이스 되는 신호를 FM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M 신호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 말기용 변환 젠더.The third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n FM signal transmitter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signal interfaced by the first control unit to the FM signal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3 제어부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제어부로 출력하는 라디오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And the third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a radio receiver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outputting the radio signal to the first controller.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변환 젠더 본체는 사면체, 오면체, 육면체, 칠면체 또는 팔면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The conversion gender main body is a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shape of tetrahedron, pentahedron, hexahedron, hexahedron or octahedron.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리셉터클은 10핀-리셉터클, 20핀-리셉터클 또는 24핀-리셉터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And said receptacl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10-pin receptacle, a 20-pin receptacle or a 24-pin receptacl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오디오 커넥터는 직경이 2.5 파이(φ) 또는 3.5 파이(φ)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The audio connector has a diameter of at least one of 2.5 pi (φ) or 3.5 pi (φ) conversion gender for a mobile terminal.
KR1020070018412A 2007-02-23 2007-02-23 Gender for mobile device KR1008736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12A KR100873648B1 (en) 2007-02-23 2007-02-23 Gender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412A KR100873648B1 (en) 2007-02-23 2007-02-23 Gender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369A true KR20080078369A (en) 2008-08-27
KR100873648B1 KR100873648B1 (en) 2008-12-12

Family

ID=3988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412A KR100873648B1 (en) 2007-02-23 2007-02-23 Gender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648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984B1 (en) * 2009-05-28 2010-09-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uint and a external gender for mobile chip service
WO2010110501A1 (en) * 2009-03-25 2010-09-30 크레신 주식회사 Gen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07247B1 (en) * 2010-04-27 2012-01-25 조부연 gender changer Apparatus with USB storage.
KR101148955B1 (en) * 2011-01-24 2012-05-22 (주)바늘 Gender and power supply apparatus for mobil device
KR101239044B1 (en) * 2010-12-14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239002B1 (en) * 2010-12-14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239024B1 (en) * 2010-10-12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CN105898639A (en) * 2016-04-20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USB interface insertion end being suitable for earphones, and earphones
CN105896221A (en) * 2016-05-17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Adaptor and double-sided magnetic type conversion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23Y1 (en) 2008-12-03 2010-10-07 안효진 Accessory with case of gender changer for cellular phone
KR200451805Y1 (en) 2009-07-14 2011-01-12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A gender for handyphone
KR101066831B1 (en) 2009-09-28 2011-09-26 안경은 The multi-function gender
KR101062958B1 (en) * 2009-11-23 2011-09-07 크레신 주식회사 Gender for Mobile Terminal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2205A (en) 2002-03-25 2003-10-03 Murata Mfg Co Ltd Multi-adapter and adapter cable
KR20050078922A (en) * 2004-02-03 2005-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ulti-interface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200399441Y1 (en) * 2005-08-08 2005-10-24 심종섭 Multi-USB gender
KR200416690Y1 (en) * 2006-03-08 2006-05-22 (주) 지.티 텔레콤 A gender changer for interfaces of mobile phone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501A1 (en) * 2009-03-25 2010-09-30 크레신 주식회사 Gend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83984B1 (en) * 2009-05-28 2010-09-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uint and a external gender for mobile chip service
KR101107247B1 (en) * 2010-04-27 2012-01-25 조부연 gender changer Apparatus with USB storage.
KR101239024B1 (en) * 2010-10-12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239044B1 (en) * 2010-12-14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239002B1 (en) * 2010-12-14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148955B1 (en) * 2011-01-24 2012-05-22 (주)바늘 Gender and power supply apparatus for mobil device
CN105898639A (en) * 2016-04-20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USB interface insertion end being suitable for earphones, and earphones
CN105896221A (en) * 2016-05-17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Adaptor and double-sided magnetic type conversio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648B1 (en) 200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648B1 (en) Gender for mobile device
CN101207256B (en) Audio signal switching device
EP1998415A1 (en) Multipurpose accessor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CN111356044B (en) Au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audio communication system
CN103533141A (en)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s for cord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CN210536921U (en) Multifunctional TWS Bluetooth earphone sound box
CN202750204U (en) USB headphone microphone device
EP3804352B1 (en) A headset system with a headset and a control box
KR101231041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using multi-functional socket and method thereof
CN201528042U (en) Antenna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US11449300B2 (en) Audio output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audio processing system device
KR20060120303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mobile phone and peripheral unit
KR200421707Y1 (en) Multifunction computer keyboard that can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204014026U (en) Audio transmission circuit
CN203813936U (en) Audio transmission equipment
KR100606717B1 (en) A Dual UART circuit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US8160643B2 (en) Radio accessory having pass through connector
CN215815175U (en) Separable UHF wireless microphone system and large-screen terminal
CN215991145U (en) Bidirectional wireless microphone
CN219086405U (en) Audio conversion equipment
CN106652994A (en) Terminal accessory and terminal assembly realizing active noise reduction
CN210780787U (en) Bluetooth adapter
CN218336436U (en) Wireless monitoring adapter
CN203026982U (en) Mobile phone charging device with loudspeaker
KR200364500Y1 (en) Multi-functional ear-microphon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