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600A - 청소 용구 - Google Patents

청소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600A
KR20080077600A KR1020087007239A KR20087007239A KR20080077600A KR 20080077600 A KR20080077600 A KR 20080077600A KR 1020087007239 A KR1020087007239 A KR 1020087007239A KR 20087007239 A KR20087007239 A KR 20087007239A KR 20080077600 A KR20080077600 A KR 20080077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leaning liquid
housing
locking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862B1 (ko
Inventor
도모카즈 스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6Other cleaning devices with liquid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6Securing scouring or polishing cloths or sponges to the handles by gripping means, tongs, or the lik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청소면의 닦기 청소를 하는 시트형의 청소체를 구비하는 청소 용구에 있어서, 청소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유효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10)는, 피청소면을 닦기 청소하는 청소 시트(100)와, 이 청소 시트(100)의 하방 영역의 피청소면을 향해 세정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252)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청소 용구{CLEANING TOOL}
본 발명은 청소 용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차내의 피청소부를 닦기 청소하기 위한 시트형의 청소체를 구비한 청소 용구의 구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청소면의 닦기 청소를 하는 시트형의 청소체를 구비한 청소 용구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4-242799호 공보에서는, 청소 프레임의 저부에 제제가 투과하는 저부를 구비하고, 이 제제 투과 저부에 청소 시트를 휘감는 구성의 청소 용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청소 용구로는, 청소용제를 제제 투과 저부의 상측으로부터 살포하여 청소 작업 중에 청소 시트를 습윤 상태로서 닦기 청소함으로써, 건조 상태의 청소 시트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바닥면 부착 오물을 닦아낼 가능성을 가지지만, 시트형의 청소체를 구비한 이 종류의 청소 용구의 설계에 있어서, 한층 더 청소 효과의 향상을 도모한 기술에 대한 요청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청소면의 닦기 청소를 하는 시트형의 청소체를 구비한 청소 용구에 있어서, 청소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유효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이 구성된다. 이들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은, 단독 건물, 맨션, 빌딩, 공장, 차량 등의 옥내나 옥외에서의 피청소면(바닥면, 벽면, 천장면, 외벽면, 가구면, 의류, 커튼, 침구 등)이나, 인체의 각 구성 부위에서의 피청소면 등을 시트형의 청소체에 의해 닦기 청소하는 청소 용구의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를 통해 해결된다. 이 청소 용구는 청소체, 유지부, 파지부, 연결부, 세정액 공급부를 적어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청소체는, 피청소면을 닦기 청소하는 시트형의 청소체로서 구성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시트형의 청소체」란, 유지부에 부착한 상태 또는 제거한 상태에서 판형이 되고, 그 판두께에 비하여 세로 치수 및 가로 치수가 상당히 큰 형상의 것을 널리 포함하는 주지의 것이다. 이 청소체의 표면은 평면으로서 구성되어도 좋고, 또는 곡면, 요철면, 단차면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이 청소체는, 일회 사용을 목표로 한 일회용 타입이어도 좋고, 또는 세탁 등을 한 뒤에 반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이어도 좋다. 이 청소체는, 전형적으로는 합성 수지제의 부직포, 이 부직포의 적층체, 또는 발포 수지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피청소면에 대해서는, 평면으로서 구성되어도 좋고, 또는 곡면, 요철면, 단차면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유지부는, 청소체에 부착되어 이 청소체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위로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청소체의 오염 정도에 따라 이 청소체를 적절하게 유지체로부터 제거하여 새로운 청소체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파지부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장척형의 부위로서 구성된다. 작업자는 이 파지부를 손으로 잡아 청소체에 의한 닦기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청소체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하고, 장척형의 파지부는 그 장척 방향선 상에 직사각형 형상의 청소체의 긴 변이 연장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에 의한 닦기 청소의 효율이 향상되기 쉽다.
본 발명의 연결부는, 유지부와 파지부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유지부 및 파지부를 고정형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부위로서 구성된다. 즉, 유지부와 연결부가 고정형으로 연결되고, 또 파지부와 연결부가 고정형으로 연결되고, 전체로서 유지부, 연결부, 파지부의 삼자가 일체 고정형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 경우, 유지부, 연결부 및 파지부 중 복수를 일체 성형으로 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또는 유지부, 연결부 및 파지부 각각을 독립하여 성형한 것을 고정형으로 조립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형」이란, 청소 용구의 적어도 사용시에 일체적인 고정 상태 또는 유지 상태를 형성하면 족하고, 유지부와 연결부 사이의 연접 개소나, 파지부와 연결부 사이의 연접 개소에서의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 구조 이외에, 이들의 연접 개소에서의 상대 이동이 일시적으로 가능하게 된 가동 구조도 널리 포함한다. 이 가동 구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는 유지부와 연결부 사이의 연접 개소나, 파지부와 연결부 사이의 연접 개소에 힌지 기구 및 고정 기구를 설치하고, 청소 용구의 사용 전후에는, 유지부와 연결부 사이의 각도나, 파지부와 연결부 사이의 각도가 힌지 기구에 의해 일단 조절 가능하게 되고, 청소 용구의 사용시에는, 해당 각도가 고정 기구에 의해 소정 각도로 고정 가능 또는 유지 가능하게 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액 공급부는, 피청소면을 향해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 노즐을 가지고, 유지부, 파지부 및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부위로서 구성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세정액」은, 오물을 제거하는 청소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액체를 널리 포함하고, 전형적으로는 바닥면 세정용 세제, 광택 왁스를 포함하는 세제, 방향제를 포함하는 세정액, 소취제를 포함하는 세정액 외에, 이들 각 액을 물로 희석한 것, 또는 물 자체를 세정액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의 공급」에 관해서는, 세정액을 청소체를 통하지 않고 직접 피청소면을 향해 공급하는 구성이라면, 세정액을 분사형 또는 분무형으로 내뿜는 공급 형태, 세정액을 적하하는 공급 형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 세정액 공급부는, 유지부, 파지부 및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는 것이어도 좋고, 또는 유지부, 파지부 및 연결부 중의 복수에 연장하여 부착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세정액을 공급한 상태의 피청소면을 청소체로 한 번 닦아내는 작업을 함으로써, 그 후, 해당 청소체는, 시트 표면이 습윤 상태가 된 웨트 타입의 청소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피청소면에 이 세정액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로 청소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시트 표면이 항상 건조 상태가 된 드라이 타입의 청소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세정액 공급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펌프 기구에 의해 세정액을 가압하여 가압 상태의 세정액을 공급 노즐에 토출하는 구성, 가스압을 이용하여 가압 상태의 세정액을 공급 노즐에 공급하는 소위 「에어졸」식의 구성, 세정액을 그 자체 중량에 의해 공급 노즐로부터 적하시키는 구성, 세정액 공급부의 외부의 세정액 공급원으로 가압된 세정액을 공급 노즐에 공급하는 구성 등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 공급부는, 세정액을 저류(貯留)하는 영역 및 이 세정액이 유통하는 경로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또는 세정액 공급부의 외부의 세정액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세정액이 유통하는 영역만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파지부의 장척 방향의 연장선과 청소체의 시트 평면에 대한 법선이 소정 교차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는 구성이 된다. 본 구성 및 전술한 유지부, 연결부, 파지부의 삼자를 일체 고정형으로 하는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청소 용구는, 파지부로부터 연결부를 통해 유지부까지의 길이가 소정 범위로 한정되어 작업자가 한 쪽 손으로 유지하면서 청소 작업이 가능한, 소위 「핸디형」의 청소 용구로서 특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세정액 공급부의 공급 노즐로부터 피청소면을 향해 세정액을 공급한 후에, 이 세정액 공급 부분을 청소체를 통해 닦아냄으로써, 드라이 타입의 청소체로는 닦아내기 어려웠던 달라붙은 오물이나 모래 먼지 등을 용이하게 닦아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피청소면에 바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세정액 자체가 갖는 세정 효과를 최대한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피청소면이 아니고 청소체 자체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구성의 청소 용구에 비해 청소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유리하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세정액 공급부는 파지부의 하방이고 연결부의 후방에 공급 노즐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급 노즐로부터 피청소면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데 있어, 해당 공급이 장척형의 파지부나 연결부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고, 또한 작업자는 세정액의 공급 부분을 후방으로부터 확인하기 쉬우므로, 세정액의 공급 조작을 원활히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는 유지부와 연결부와의 연접 영역이 청소체의 후단에 합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공급 노즐은 청소체의 후단보다도 후방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급 노즐로부터 피청소면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데 있어, 해당 공급이 청소체에 의해 저해되기 어려운 구조가 실현된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공급 노즐은, 또한 설치 높이 방향에 관해서, 청소체의 시트 하면보다도 상방이고, 또 유지부의 연장선과 연결부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높이 영역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지부의 하방이며 연결부의 후방, 또한 청소체의 시트 하면보다도 상방이고, 또 유지부의 연장선과 연결부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높이 영역에 공급 노즐이 위치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피청소면에 청소체가 접촉한 상태에서, 공급 노즐이 피청소면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피청소면에 극력 근접시킴으로써 세정액을 피청소면의 원하는 부위에 확실하고, 또 신속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세정액 공급부는 공급 노즐로부터 청소체의 하방 영역을 향해 앞 경사 하방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공급 노즐로부터 세정액을 공급한 후, 그대로 청소체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닦기 청소 조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액 공급 조작부터 세정액 공급 후에서의 청소체의 닦기 청소 조작까지의 일련의 작업의 원활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세정액 공급부는 공급 노즐의 방향이 연결부의 연장 방향과 합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의 연장 방향이란, 연결부가 파지부로부터 유지부를 향해 연장하는 방향이며, 연결부가 곡선형인 경우에는, 해당 연결부에서의 소정 위치에서의 접선을 해당 연결부의 연장 방향으로서 규정할 수 있다.
공급 노즐의 방향을 연결부의 연장 방향과 합치시킴으로써, 피청소면에 대한 세정액 공급 조작 및 청소체에 의한 닦기 청소 조작이 용이한 구조가 실현된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세정액 공급부는, 작업자에 의한 조작부의 수동 조작에 의해 세정액을 가압하고, 가압 상태의 세정액을 공급 노즐로 토출하는 펌프 기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펌프 기구에 관해서는, 작업자에 의한 조작부의 수동 조작에서의 압압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기계식이나, 작업자에 의한 조작부의 수동 조작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식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의 수동 조작에 관해서는, 압압 버튼식으로 구성된 조작부를 누름 조작 또는 당김 조작하는 형태, 슬라이드 스위치식으로 구성된 조작부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액을 공급 노즐에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펌프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조작부는 파지부의 하부에 설치하고, 해당 파지부를 파지한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당김 조작에 의해 펌프 기구가 작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 기구를 작동시키는 데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당김 조작을 이용하면, 조작부에 가중을 부여하기 쉽다. 또한, 파지부를 파지하는 파지 조작은 손가락에 의한 당김 조작의 연장선 상에 있으므로, 파지부를 파지한 작업자는 손가락에 의한 당김 조작을 원활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구성에 관해서는, 작업자가 파지부를 파지할 때, 해당 작업자의 집게손가락의 볼록한 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에 조작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펌프 기구를 작동시키는 조작을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조작부의 당김 조작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조작부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닿는 조작 버튼으로서 구성하고, 해당 조작 버튼과 파지부 사이에, 작업자의 손가락의 침입을 방지하는 손가락 침입 방지 영역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손가락 침입 방지 영역」이란, 조작 버튼과 파지부 사이에 작업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걸리거나 들어가거나 하여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요면(凹面)이나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영역으로서 규정된다. 손가락 침입 방지 영역을 포함하는 본 구성은, 전형적으로는, 조작 버튼의 파지부측에 위치하는 기단의 크기가 선단의 크기보다도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되도록 구성하고, 또, 조작 버튼의 기단의 바깥 가장자리 부분이 선단의 바깥 가장자리 부분을 향해 대략 직선형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현된다. 특히, 핸디형의 청소 용구에서는, 피청소면의 종류 등이 상이하면, 파지부를 파지하는 작업자의 손이나 손가락의 위치, 손이나 손가락에 가하는 파지력 등이 변화하게 되므로, 조작 버튼과 파지부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된 구성에서는, 작업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조작 버튼에 걸리거나 해당 공간에 들어가거나 하여,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조작 버튼과 파지부 사이에 손가락 침입 방지 영역을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에 따라,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펌프 기구는, 조작부의 일회의 수동 조작에 의해 소정량의 세정액을 공급 노즐에 토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조작부의 일회의 수동 조작에 의해 소정량의 세정액을 공급 노즐로부터 피청소면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부의 일회의 수동 조작당 세정액 토출량의 설정에 관해서는, 피청소면으로의 세정액 공급량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해지도록 최소 한도의 토출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원하는 양의 세정액이 피청소면에 공급될 때까지 수동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세정액이 필요 이상으로 피청소면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세정액 공급부는, 또한 가변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가변 기구는, 공급 노즐로부터 피청소면을 향해 공급하는 세정액의 공급 형태를 가변으로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세정액의 공급 형태」로서는, 세정액의 공급량, 공급 범위(각도), 공급 거리, 공급 면적 등을 들 수 있고, 예컨대 세정액이 공급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구성에서는, 세정액의 분사량, 분사 범위(각도), 분사 거리, 분사 면적 등이, 여기에서 말하는 세정액의 공급 형태에 상당한다. 가변 기능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스위치 등의 전환에 의해 공급 노즐 내부의 스로틀(throttle) 구멍의 단면적이 변경되고, 이에 의해 세정액의 공급 형태를 바꾸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가변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피청소면의 오염 정도 등의 상황에 따라 세정액의 공급 형태를 변경할 수 있고, 사용성이 좋은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세정액 공급부는, 해당 세정액 공급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세정액을 저류하는 저류 탱크를 구비하고, 이들 하우징 및 저류 탱크가 어셈블리로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저류 탱크는, 하우징에 전용으로서 설치되어 세정액이 탱크 내에 그때그때 보충되는 타입의 탱크로서 구성되어도 좋고, 또는 탱크가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성으로 해 두고, 세정액이 없어졌을 때 저류 탱크마다 새로운 저류 탱크로 교환이 가능한 카트리지식 탱크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이 카트리지식 탱크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경질 수지에 의해 성형된 저류 용기 외에, 파우치 시트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된 파우치 타입의 병, 또는 세정액의 저류 잔량을 시인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저류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정액 공급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세정액을 저류하는 저류 탱크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세정액 공급부는, 하우징의 외주 부분과 저류 탱크의 외주 부분이 면적(面的)으로 연속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의 외주 부분으로부터 저류 탱크의 외주 부분에 걸쳐 면적으로 연속한 형상에 의해 하우징과 저류 탱크와의 일체감이 높아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세정액 공급부는 하우징의 단면 형상과 저류 탱크의 단면 형상이 합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의 단면 형상과 저류 탱크의 단면 형상이 합치하는 형상에 의해 하우징과 저류 탱크와의 일체감이 높아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세정액 공급부는, 하우징의 외표면과 저류 탱크의 외표면이 동계색으로 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동계색」에 관해서는, 동일한 색은 물론, 동종의 색이라면, 본 발명에서의 동계색의 범주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난색끼리, 한색끼리, 백색과 유백색, 투명과 반투명 등을 서로 동계색으로서 규정할 수 있다.
하우징의 외표면과 저류 탱크의 외표면을 동계색으로 하는 구성에 의해 하우징과 저류 탱크와의 일체감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세정액 공급부는 해당 세정액 공급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장척형의 하우징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장척형의 하우징은 파지부에 부착됨으로써 이 파지부에 보조적으로 부가되는 보조 파지부로서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지부와 이 파지부에 마련되는 보조 파지부에 의해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영역을 광범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장척형의 하우징은, 파지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작업자에 의한 청소 작업에 있어, 제1 사용 모드와, 제2 사용 모드로 설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사용 모드는 파지부에 장착된 장척형의 하우징의 보조 파지부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사용 모드로서 규정된다. 이 제1 사용 모드에서는, 해당 청소 용구가 세정액 공급 기능을 가지므로, 세정액을 공급한 피청소면을 청소체로 한번 닦음으로써, 그 후, 해당 청소체는 그 시트 표면이 습윤 상태가 된 웨트 타입의 청소체로서 사용된다. 한편, 제2 사용 모드는 장척형의 하우징이 탈착된 파지부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사용 모드로서 규정된다. 이 제2 사용 모드에서는, 해당 청소 용구가 세정액 공급 기능을 가지지 않으므로, 청소체는 그 시트 표면이 드라이 타입의 청소체로서 사용된다.
이에 따라, 피청소면의 오물의 종류 등의 상황에 따라 사용 모드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성이 좋은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사용 모드로 이용하는, 장척형의 하우징이 파지부로부터 탈착된 상태의 청소 용구를 최종 제품으로 한 경우에는, 이 청소 용구를 제1 사용 모드로 이용하는 세정액 공급 기능 부착 제품으로 전용(轉用)할 수 있어 합리적이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파지부는, 해당 파지부의 장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두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한편, 장척형의 하우징은, 해당 하우징의 장척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 걸림부에 걸림이 가능하게 된 두 개의 걸림훅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들 두 개의 걸림훅을 각 걸림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장척형의 하우징이 파지부에 장착된 상태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서 말하는 「걸림」에 관해서는, 한 쪽이 다른 쪽에 대해 걸리거나 또는 끼워 맞추는 등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형태를 널리 포함한다. 따라서, 걸림훅이 걸리는 걸림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구멍, 홈, 슬릿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걸림부는, 각각이 별개의 구멍과 같이 독립된 구성이어도 좋고, 또는 단일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겸용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청소 용구는, 적어도 두 개의 걸림부와, 적어도 두 개의 걸림훅을 구비하는 구성이라면 좋고, 또 다른 걸림부나 걸림훅이 추가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파지부의 장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두 개의 걸림부를 마련함으로써, 장척형의 하우징이 파지부에 장착된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의 구성에 있어서, 두 개의 걸림부 중 한 쪽의 걸림부에 걸리는 제1 걸림훅과, 다른 쪽의 걸림부에 걸리는 제2 걸림훅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른 쪽의 걸림부에서의 제2 걸림훅의 걸림 해제의 상태로 한 쪽의 걸림부에 제1 걸림훅을 걸리게 한 후, 해당 걸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걸림훅이 다른 쪽의 걸림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장척형의 하우징을 회동시켜, 이 회동 동작에 의해 제2 걸림훅이 다른 쪽의 걸림부에 걸리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쪽의 걸림부에 제1 걸림훅을 걸리게 해 파지부에 대한 장척형의 하우징의 위치 결정을 한 후, 해당 걸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장척형의 하우징을 회동시킴으로써, 제2 걸림훅을 다른 쪽의 걸림부에 걸리게 할 수 있으므로, 장척형의 하우징을 파지부에 장착하는 조작을 간편하고, 또 확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한 쪽의 걸림부는, 파지부의 장척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긴 구멍으로서 구성하고, 제1 걸림훅은, 그 선단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걸림훅을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이 상대 이동 동작에 의해 해당 제1 걸림훅이 긴 구멍에 걸리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걸림훅을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제1 걸림훅을 긴 구멍에 걸리게 할 수 있으므로, 파지부에 대한 장척형의 하우징의 위치 결정 조작을 간편하고, 또 확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의 구성에 있어서, 한 쪽의 걸림부로서의 긴 구멍은, 일단측의 가장자리부에서 제1 걸림훅을 걸고, 또한 타단측의 가장자리부에서 제2 걸림훅을 거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걸림훅을 거는 다른 쪽의 걸림부는, 한 쪽의 걸림부로서의 단일 긴 구멍의 가장자리부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단일 긴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두 개의 걸림부를 겸용시킬 수 있어 합리적이다.
상기 청소 용구에 있어서, 연결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장척형의 하우징은 공급 노즐측이 가장 낮은 곳이 되고, 연결부의 형상에 따른 곡선형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결부는 청소체의 상부 방향을 향해 볼록형이 되도록, 바꾸어 말하면, 해당 연결부의 아래쪽에 오목형 공간이 형성되는 곡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연결부의 아래쪽에 세정액 공급부를 배치하는 경우에, 공급 노즐의 배치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합리적이다.
그리고 장척형의 하우징을 연결부의 형상에 따른 곡선형으로 함으로써 청소 용구의 외형 내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청소 용구 전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데 유효하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유지부, 파지부 및 연결부는, 모두 수지 성형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청소 용구 전체의 경량화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소 용구에서의 유지부, 파지부 및 연결부는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청소 용구의 제조에 관한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청소면의 닦기 청소를 하는 시트형의 청소체를 구비하는 청소 용구에 있어서, 특히 피청소면을 향해 바로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 노즐을 갖는 세정액 공급부를 부착함으로써, 청소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의 「청소 용구」의 일 실시 형태인 청소 용구(1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청소 용구(10)의 측면도가 도 1에 도시되고, 도 1 중 청소 용구(10)의 평면도가 도 2에 도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 용구(10)는 상호 조립이 가능한 제1 구성체(100) 및 제2 구성체(200)로 대별된다. 상세에 관하여는 후술하지만, 제1 구성체(100)는 청소 시트(110)가 청소 시트 유지체(120)의 선단측에 부착된 구성이 된다.
한편, 제2 구성체(200)의 하우징(200a)은,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탱크 하우징(210), 펌프 하우징(230), 토출 하우징(250)으로 대별된다. 이 제2 구성체(200)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200a)은 청소 용구(10)를 이용하여 청소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조작하는 조작 부분(핸들 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상세에 관하여는 후술하지만, 펌프 하우징(230)에는, 하우징 하부에 설치된 조작 버튼(232)에 대한 수동 조작에 따라, 탱크 하우징(210) 내의 저류 탱크에 저류된 세정액을 흡입하여 고압화하고 토출하는 펌프 기구가 탑재되어 있다. 이 펌프 기구로부터 토출된 세정액은, 토출 하우징(250)에 형성된 토출 경로를 통하여 분사 노즐(252)로부터 분사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분사 노즐(252)이, 본 발명에서의 「공급 노즐」에 상당한다. 분사 노즐(252)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액으로서, 바닥면 세정용 세제, 광택 왁스를 포함하는 세제, 방향제를 포함하는 세정액, 소취제를 포함하는 세정액 외에, 이들 각 액을 물로 희석한 것, 또는 물 자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핸들 본체(141)의 장척 방향의 연장선(L1)과 청소 시트(110)의 시트 평면에 대한 법선(L2)이 소정의 교차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중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이 교차 각도가 거의 90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체 본체부(130)와 연결부(141a)(핸들 본체; 141)와의 연접 영역이 청소 시트(110)의 후단[도 1 중 청소 시트(110)의 우측단]에 대략 합치하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본 구성에 더하여, 유지체 본체부(130), 연결부(141a), 핸들 본체(141)의 삼자가 일체 고정형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청소 용구(10)는, 핸들 본체(141)로부터 연결부(141a)를 통해 유지체 본체부(130)까지의 길이가 소정의 범위로 한정되어 작업자가 한 쪽의 손으로 유지하면서 청소 작업이 가능한 소위「핸디형」의 청소 용구로서 특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분사 노즐(252)은 핸들 본체(141)의 하방으로 연결부(141a)의 후방에 위치하고, 또한 설치 높이 방향에 관해서는, 청소 시트(110)의 시트 하면보다도 상방이며, 또, 유지체 본체부(130)의 연장선(L3)과 연결부(141a)의 연장선(L4)이 교차하는 높이 영역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사 노즐(252)의 방향이 연결부(141a)의 연장선(L4)(본 발명에서의 연결부의 연장 방향에 상당함)과 합치하는 구성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분사 노즐(252)의 수, 설치 위치, 방향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분사 노즐(252)에 상당하는 공급 노즐을 연결부(141a)보다도 전방에 배치하는 구성이나, 유지체 본체부(130)의 선단이나 후단에 설치하는 구성 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제2 구성체(200)의 하우징의 상부에는, 제1 걸림훅(201) 및 제2 걸 림훅(202)이 전후 방향에 직선형으로 설치된다. 이들 제1 걸림훅(201) 및 제2 걸림훅(202)은, 제1 구성체(100)의 청소 시트 유지체(120)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관통된 긴 구멍(피걸어맞춤 구멍; 142)과의 계합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해 단일의 긴 구멍(142)에 제1 걸림훅(201) 및 제2 걸림훅(202)을 걸리게 함으로써, 제1 구성체(100)의 청소 시트 유지체(120)가 제2 구성체(200)측에 유지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걸림훅(201) 및 제2 걸림훅(202)은, 모두 고무 또는 수지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걸림훅(201)이 선단부(201a)측으로 돌출되고, 제2 걸림훅(202)이 후단부(202a)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 걸림훅(201)의 기단부 전면과 제2 걸림훅(202)의 기단부 배면 사이의 거리(도 1 중 거리; d2)는, 긴 구멍(142)의 길이 방향의 길이(도 2 중 거리; d1)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크고, 제1 걸림훅(201)의 선단부(201a)와 제2 걸림훅(202)의 후단부(202a) 사이의 거리(도 1 중 거리; d3)는, 긴 구멍(142)의 길이 방향의 길이(도 2 중 거리; d1)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구성체(100)의 청소 시트 유지체(120)를 제2 구성체(200)측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제1 걸림훅(201)을 긴 구멍(142)의 전단(142a)에 걸리게 하고, 제2 걸림훅(202)을 긴 구멍(142)의 후단(142b)에 걸리게 함으로써, 제1 걸림훅(201) 및 제2 걸림훅(202)의 탄성 압박력이 청소 시트 유지체(120)의 전후 방향 및 아래쪽에 작용하고, 가체(加締) 작용에 의해 해당 청소 시트 유지체(120)를 제2 구성체(200)측에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말하는 제1 걸림훅(201)은 본 발명에서의 「걸림훅」 및 「제1 걸림훅」에 상당하고, 제2 걸림훅(202)은 본 발명에서의 「걸림훅」 및 「제2 걸림훅」에 상당한다. 또한, 긴 구멍(142)은 본 발명에서의 「긴 구멍」에 상당하고, 긴 구멍(142)의 전단(142a)은 「걸림부」 및 「한 쪽의 걸림부」에 상당하고, 긴 구멍(142)의 후단(142b)이 「걸림부」 및 「다른 쪽의 걸림부」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구성체(200)의 내부 구조를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구성체(200)의 내부 구조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이 도 3은 조작 버튼(232)이 누름 조작되어 있지 않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 하우징(210)에는, 세정액을 저류하기 위한 저류 탱크(212), 이 저류 탱크(212)의 세정액을 펌프 하우징(230)의 펌프 기구(240)에 공급하는 공급용 튜브(214), 저류 탱크(212)를 밀폐하고, 후단에 공기 구멍(217)을 구비하는 탱크캡(216), 탱크캡(216)에 부착된 밸브 기구(22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저류 탱크(212)는 본 발명에서의 「저류 탱크」에 상당한다. 이 저류 탱크(212)는 제2 구성체(200)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200a) 또는 탱크 하우징(210)과 함께 어셈블리로서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탱크 하우징(210)의 외주 부분과 저류 탱크(212)의 외주 부분이 면적으로 연속하고, 또한 탱크 하우징(210)의 단면 형상과 탱크 하우징(210)의 단면 형상이, 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서 대략 합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탱크 하우징(210)의 외표면과 저류 탱 크(212)의 외표면이 동계색으로 이루어진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동계색」에 관해서는, 동일한 색은 물론, 동종의 색이라면, 여기에서 말하는 동계색의 범주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난색끼리, 한색끼리, 백색과 유백색, 투명과 반투명 등을 상호 동계색으로서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탱크 하우징(210)과 저류 탱크(212)와의 일체감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탱크캡(216)은 탱크 하우징(210)의 하우징 본체와의 사이에서 나사 결합식으로 되어 있고, 탱크캡(216)을 나사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 본체에 장착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나사 체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 본체로부터의 탈착이 가능해진다. 또, 탱크캡(216)의 나사 결합 부분을 비롯하여, 펌프 기구(240) 또는 분사 노즐(252) 등에서 세정액이 흐르는 부위에서의 연결 부분에는, 세정액의 누수 방지용 O링(도시 생략)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O링의 재질은, 사용하는 세정액의 내액성 등에 기초하여 적절히 설정되고, 전형적으로는 고무 재료나 수지 재료로 할 수 있다. 밸브 기구(220)는, 탱크캡(216)의 공기 구멍(217)과 연통하는 연통 구멍(221)과, 이 연통 구멍(221)을 개폐할 수 있는 밸브체(222)를 구비한다. 이 밸브체(222)는, 전형적으로는 실리콘 재료나 고무 재료에 의해 성형된 밸브체로서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 하우징(230)에 수용된 펌프 기구(240)는, 흡입구(241), 유통로(242), 가압 부재(243), 토출구(244),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제1 볼체(245) 및 제2 볼체(246),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코일 스프링(247, 248, 249)을 적어도 구비한다. 이 펌프 기구(240)는, 조작 버튼(232)의 수동 조작시의 가중에 의해 작동하는 기계식 펌프 기구이며, 「수동식 펌프」 또는 「기계식 펌프」라고도 불린다. 이 펌프 기구(240)는 본 발명에서의 「펌프 기구」에 상당한다.
흡입구(241)는, 공급용 튜브(214)를 통해 공급된 세정액을 유통로(242)로 흡입하는 부위로서 구성된다. 유통로(242)는 흡입구(241)로부터 흡입된 세정액이 유통하는 유통 부분으로서 구성된다. 가압 부재(243)는 유통로(242)의 세정액을 조작 버튼(232)에 대한 누름 조작에 따라 가압(「압축」이라고도 함)하기 위한 부재로서 구성된다. 토출구(244)는 가압 부재(243)에 의해 가압된 세정액을 유통로(242)로부터 토출하는 부위로서 구성된다. 코일 스프링(247)은 제1 볼체(245)를 흡입구(241)의 폐쇄 방향(도 3 중 우측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로서 구성된다. 코일 스프링(248)은 가압 부재(243)를 조작 버튼(232)의 누름 조작 해제 방향(도 3 중 아래쪽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로서 구성된다. 코일 스프링(249)은 제2 볼체(246)를 토출구(244)의 폐쇄 방향(도 3 중 우측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조작 버튼(232)이 누름 조작되어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제1 볼체(245)는 코일 스프링(247)의 탄성 압박력에 따라 흡입구(241)를 폐쇄하는 한편, 제2 볼체(246)는 코일 스프링(249)의 탄성 압박력에 따라 토출구(244)를 폐쇄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 하우징(250)에는, 토출구(244)로부터 토출된 세정액을, 하우징 선단에 부착된 분사 노즐(252)로 유도하는 유도용 튜브(251)를 구비한다. 이 유도용 튜브(251) 및 상기 공급용 튜브(214)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 전형적으로는,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PU), 폴리에틸렌 수 지(PE)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도용 튜브(251)를 통해 분사 노즐(252)로 유도된 세정액은 분사 노즐(252) 내의 스로틀 구멍(253)을 통해 원하는 피청소 부분으로 분사되게 된다. 이 분사 노즐(252) 내의 스로틀 구멍(253)은 경사 전방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류 탱크(212), 펌프 기구(240), 분사 노즐(252)과 같이 탱크 하우징(210), 펌프 하우징(230), 토출 하우징(250)에 수용된 또는 부착된 각 구성 부재에 의해, 본 발명에서의 「세정액 공급부」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1 구성체(100)의 상세한 구성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구성체(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 중 청소 시트 유지체(120)를 유지체 본체부(130)와 핸들부(140)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성체(100)는 청소 시트(110)와 청소 시트 유지체(120)로 대별된다.
청소 시트(110)는 청소 시트 본체(111)의 상면에 접합 시트(112)가 접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 청소 시트(110)는 세정액을 비롯한 액체를 흡수하는 액체 흡수 기능과, 닦기 청소에서 피청소면(S) 상의 오물을 긁어내는 오물 긁어냄 기능을 갖는 시트형의 청소체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 시트(110)를 구성하는 청소 시트 본체(111) 및 접합 시트(112)에 관해서는, 전형적으로는 열용융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열용융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로서는, 에 어스루법, 스펀본드법, 스펀레이스법 등에 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시트(110)를 구성하는 액체 흡수 기능을 갖는 시트에 관해서는, 전형적으로는 수분을 함유하여 팽윤하는 성질이 있는 펄프, 레이온, 코튼 등의 셀룰로스계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청소 시트 본체(111)와 열융착에 의해 접합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예컨대, 펄프 섬유와 열용융 섬유를 에어레이드법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시트(110)를 구성하는 오물 긁어냄 시트에 관해서는, 전형적으로는 토우(tow)를 개섬하여 이루어진 섬유 다발이나, 분할성 섬유에 의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청소 시트(110)의 구성 요소의 종류나 수 등에 관해서는, 상기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이 청소 시트(11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긴 변이 핸들 본체(141)(하우징; 200a)의 척 방향선 상에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이 청소 시트(110)는 본 발명에서의 「시트형의 청소체」에 상당한다.
또한, 청소 시트 본체(111) 및 접합 시트(112)는 청소 시트(110)의 중앙 부분을 전후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연장하는 중앙 용착선(113)과, 이 중앙 용착선(113)의 양측에 간격(W1)을 두어 평행형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 쌍의 측부 장착선(114, 114)으로 용착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앙 용착선(113)과 각 측부 장착선(114)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연장하는 유지 공간(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각 유지 공간(115)은, 후측이 후방 개구단(115a)으로 개구되고, 앞쪽이 전방 개구단(115b)으로 개구된 공간으로서 구성된다. 각 유지 공간(115)은, 후술하는 유지체 본체부(130)의 유지판(132)이 삽입되는 공간 부분이 된다. 또한, 청소 시트 본체(111) 및 접합 시트(112)는, 중앙 용착선(113)과 각 측부 장착선(114) 사이에 형성된 협폭 용착선(116)으로 용착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유지 공간(115)에는, 전후 방향에 관한 중앙 영역에서 간격 W2(<W1)의 협폭부(117)와, 그 전후 영역에서 간격(W1)의 광폭부(118)가 형성된다.
또한, 청소 시트(110)는, 세정액을 이용하여 청소 작업을 하거나, 또는 액체가 존재하는 부위의 청소 작업을 하는 경우와, 세정액을 이용하지 않고 청소 작업을 하거나, 또는 건조한 부위의 청소 작업을 하는 경우에,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액을 이용하여 청소 작업을 하거나, 또는 액체가 존재하는 부위의 청소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이 청소 시트(110)로서, 피청소면(S)에 세정액이나 다른 액체가 존재하는 습식 조건 하에서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유효한 습식 타입의 청소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세정액을 이용하지 않고 청소 작업을 하거나, 또는 건조한 부위의 청소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이 청소 시트(110)로서, 피청소면(S)에 액체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건식 조건 하에서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유효한 건식 타입의 청소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청소 시트(110)에 의해 닦기 청소되는 피청소면(S)으로는, 단독 건물, 맨션, 빌딩, 공장, 차량 등의 옥내나 옥외에서의 피청소면(바닥면, 벽면, 천장면, 외벽면, 가구면, 의류, 커튼, 침구 등)이나, 인체의 각 구성 부위에서의 피청소면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피청소면(S)은 본 발명에서의 「피청소면」에 상당한다.
청소 시트 유지체(120)는 유지체 본체부(130) 및 핸들부(140)로 이루어진다. 핸들부(140)는, 장척형으로 연장하는 핸들 본체(141)와, 이 핸들 본체(141)와 유지 체 본체부(130) 사이에 개재하는 연결부(141a)를 구비한다. 이 핸들 본체(141)에 상기 긴 구멍(142)이 마련된다. 연결부(141a)는, 핸들 본체(141)와 유지체 본체부(130)를 고정형으로 연결하는 부위이며, 이 연결부(141a)는 본 발명에서의 「연결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세에 관하여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 재료로 성형된 유지체 본체부(130)와, 수지 재료로 성형된 핸들부(140)(핸들 본체(141) 및 연결부(141a))가, 성형 후에 일체형으로 조립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청소 용구 전체의 경량화 향상을 도모하고, 청소 용구의 제조에 따른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구성을 대신하여, 유지체 본체부(130) 및 핸들부(140)(핸들 본체(141) 및 연결부(141a))를 일체 성형으로 하는 구성이나, 유지체 본체부(130), 핸들 본체(141) 및 연결부(141a) 중 어느 두 개를 일체 성형으로 하는 구성을 채용하거나, 또는 각각을 독립하여 성형한 것을 고정형으로 조립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 연결부(141a)는 유지체 본체부(130)측이 가장 낮은 곳이 되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연결부(141a)의 형상에 따라, 제2 구성체(200)의 하우징(200a)의 형상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200a)을 구성하는 토출 하우징(250)은, 분사 노즐(252)측이 가장 낮은 곳이 되는 곡선형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본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200a)을 연결부(141a)의 형상에 따른 곡선형으로 함으로써 청소 용구(10)의 외형 내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청소 용구(10) 전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는 데 유효하다. 또한, 연결부(141a)는, 청소 시트(110)의 상부 방향을 향해 볼록 형상이 되도록, 바꾸어 말하면, 해당 연결부(141a)의 아래쪽에 오목형 공간이 형성되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연결부(141a)의 아래쪽에 세정액 공급 부분을 배치하는 경우, 분사 노즐(252)의 배치가 용이하게 되므로 합리적이다.
유지체 본체부(130)는, 청소 시트(110)에 부착된 이 청소 시트(110)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부위이며, 본 발명에서의 「유지부」에 상당한다. 이 유지체 본체부(130)에는, 핸들부(140)측의 기부(131)에 좌우 한 쌍의 유지판(132, 132) 및 누름판(134)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유지판(132, 132)은, 기부(131)로부터 전방을 향해 소정의 간격을 두어 평행형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부재로서 구성된다. 즉, 유지체 본체부(130)는, 그 선단이 두 갈래 형상으로 분리된 포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유지판(132)의 가로폭은,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 또는 선단을 향해 좁은 폭 형상으로 설정된다. 또한, 각 유지판(132)에는, 그 외측 가장자리부의 전후 2 개소에 돌기부(133, 133)가 마련되어 있다. 각 돌기(133)는, 유지판(132)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면이 볼록 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누름판(134)은, 좌우 한 쌍의 유지판(132, 132) 사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아래쪽을 향해 볼록 형상이 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는 판형 부재로서 구성되고, 또한 그 하면에 걸림 돌기(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각 유지판(132)은 상기 각 유지 공간(115)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삽입 상태에서 청소 시트(110)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각 유지판(132)은, 돌기(133)가 마련되어 있는 부위의 가로폭이 광폭부(118)의 간격(W1)에 상당하 는 치수로 되어 있고, 돌기(133)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위의 가로폭이 협폭부(117)의 간격(W2)에 상당하는 치수로 되어 있고, 이 삽입 상태에서는, 각 유지판(132)이 각 유지 공간(115) 내에 밀착 형상으로 접접(摺接)하여 끼워 넣어지고, 청소 시트(110)에 대하여 고정 작용을 부여한다. 또한, 이 삽입 상태에서는, 누름판(134)이 청소 시트(110)를 상측에서 눌러 접촉시키고, 그 하면에 설치된 걸림 돌기가 청소 시트(110)의 빠짐 방지로서 작용한다. 이에 따라, 각 유지판(132)을 각 유지 공간(115)에 삽입한 삽입 상태에서는, 청소 시트(110)가 유지체 본체부(130)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지체 본체부(130) 및 핸들부(140)는, 각각이 수지 성형 후에 일체형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유지체 본체부(130)는, 기부(131)의 후단측에 피감합판(131a)을 구비하는 한편, 핸들부(140)는, 핸들 본체(141)의 전단측에 제1 감합판(143) 및 제2 감합판(144)을 구비한다. 또한, 제1 감합판(143)과 제2 감합판(144) 사이에는, 피감합판(131a)을 끼워 넣기 가능한 감합 공간(145)이 형성되고, 이 감합 공간(145)에는, 제1 감합판(143)의 오목부(131b)에 걸어 맞춤 가능한 볼록부(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피감합판(131a)을 감합 공간(145)에 끼워 넣은 경우에는, 이 피감합판(131a)을 제1 감합판(143) 및 제2 감합판(144)이 상하에서 협지(挾持)하고, 또한 제1 감합판(143)의 오목부(131b)에 감합 공간(145)의 볼록부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유지체 본체부(130)와 핸들부(140) 사이에 고정 작용이 부여된다. 한편, 유지체 본체부(130) 및 핸들부(140)가 상호 고정 된 상태에서, 해당 고정력보다도 큰 인장력으로 양자를 이격 방향으로 인장함으로써, 이들 유지체 본체부(130) 및 핸들부(140)를 분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청소 용구(10)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의 재질에 관해서는, 청소 작업에서의 작업자의 조작성 등을 감안한 경우, 경량의 수지 재료를 주체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청소 시트 유지체(120), 탱크 하우징(210), 펌프 하우징(230), 조작 버튼(232), 토출 하우징(250), 분사 노즐(252)을,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에틸렌 수지(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아세탈 수지(POM), 폴리아미드 수지(P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청소 용구(10)를 구성하는 제2 구성체(200)의 동작을 도 6∼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청소 용구(10)의 측면도로서, 조작 버튼(232)이 누름 조작된 경우의 제2 구성체(200)의 내부 구조를 아울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청소 용구(10)의 평면도로서, 조작 버튼(232)이 누름 조작된 경우의 제2 구성체(200)의 내부 구조를 아울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청소 용구(10)의 측면도로서, 조작 버튼(232)이 누름 조작 해제된 직후의 제2 구성체(200)의 내부 구조를 아울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조작 버튼(232)이 수동 조작(손가락에 의한 「누름 조작」 또는 「당김 조작」이라고도 함)되면, 코일 스프링(248)의 탄성 압박력에 대항하여 이동하는 가압 부재(243)에 의해 유통로(242)의 세정액 이 가압된다. 이 조작 버튼(232)은, 작업자의 손가락이 닿는 조작 버튼으로서 구성되고, 또한 조작 버튼(232)과 펌프 하우징(230)(하우징; 200a) 사이에, 작업자의 손가락 침입을 방지하는 손가락 침입 방지 영역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손가락 침입 방지 영역을 구비한 본 구성은, 전형적으로는, 조작 버튼(232)의 펌프 하우징(230)측에 위치하는 기단의 크기가 선단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구성하고, 또한 조작 버튼(232)의 기단의 바깥 가장자리 부분이 선단의 바깥 가장자리 부분을 향해 대강 직선형으로 연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조작 버튼(232)의 선단과 기단 사이에, 작업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걸리거나 들어가거나 하여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불필요한 요면이나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말하는 조작 버튼(232)은 본 발명에서의 「조작부」 및 「조작 버튼」에 상당한다. 또한, 이 조작 버튼(232)의 구성에 관해, 작업자에 의한 수동 조작성을 고려한 경우, 10 [N] 정도의 가중에 의해 조작 버튼(232)이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은, 가압 부재(243)를 조작 버튼(232)의 누름 조작 해제 방향으로 탄성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248)의 탄성 압박력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가압 부재(243)에 의한 세정액의 가압 상태에서는, 유통로(242)의 압력이 저류 탱크(212) 및 유도용 튜브(251)보다도 고압화된다. 이에 따라, 제1 볼체(245)는 코일 스프링(247)의 탄성 압박력에 따라 흡입구(241)를 폐쇄하고 있다. 또한, 밸브 기구(220)에 관해서는, 조작 버튼(232)이 누름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통 구멍(221)은 밸브체(222)에 의해 폐쇄된다. 이 밸브 기구(220)는 저류 탱크(212) 내 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지만, 저류 탱크(212) 내의 세정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밸브 기구(220)의 구조는, 「역지 밸브 구조」 또는 「역류 방지 밸브 구조」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유통로(242)로 가압된 세정액은 토출구(244)로부터 유도용 튜브(251)에 토출되어 이 유도용 튜브(251)를 통하여 분사 노즐(252)로 유도되어, 스로틀 구멍(253)으로부터 피청소면(S)을 향해서 분사된다. 이 경우, 조작 버튼(232)의 일회의 수동 조작에 대응한 거의 일정량의 세정액이 분사되게 된다. 이 때의 세정액의 분사량은 청소 시트(110)에 의한 일회의 닦기 조작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1.0 [cc] 정도를 목표로 하여 분사량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스로틀 구멍(253)에서 분사된 이 세정액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청소면(S) 중 청소 시트 유지체(120)의 선단측에 부착된 청소 시트(110) 하방의 분사 영역(「분무 영역」이라고도 함; S1)을 향해 앞 경사 하방으로 분사된다.
그 후, 작업자에 의한 조작 버튼(232)의 누름 조작이 해제(「해방」이라고도 함)되면, 가압 부재(243)가 코일 스프링(248)의 탄성 압박력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유통로(242)의 압력이 저하된다. 이 상태에서는, 유통로(242)의 압력이 저류 탱크(212) 및 유도용 튜브(251)보다도 저압화된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볼체(245)는, 코일 스프링(247)의 탄성 압박력에 대항하여 흡입구(241)의 개방 방향(도 8 중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당 흡입구(241)를 개방하는 한편, 제2 볼체(246)는, 코일 스프링(249)의 탄성 압박력에 따라 토출구(244)의 폐쇄 방향(도 8 중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당 토출구(244)를 폐쇄한다. 또한, 밸브 기구(220)에 관해서는, 조작 버튼(232)이 누름 조작 해제된 직후는, 밸브체(222)가 연통 구멍(221)을 개방하고, 탱크캡(216)의 공기 구멍(217) 및 연통 구멍(221)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저류 탱크(212) 내에 도입된다. 따라서, 저류 탱크(212) 내의 세정액은, 분사된 양에 상당하는 양이 유통로(242)에 도입되고, 저류 탱크(212) 내에는 외부로부터 도입된 공기에 의한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조작 버튼(232)이 도 3에 도시하는 초기 상태까지 복귀하면, 유통로(242)의 압력이 저류 탱크(212) 및 유도용 튜브(251)의 압력과 거의 균등해지고, 연통 구멍(221)은 밸브체(222)에 의해 다시 폐쇄된다.
이렇게 하여, 피청소면(S)의 분사 영역(S1)에 원하는 양의 세정액이 분사되게 된다. 또한, 조작 버튼(232)의 상기 누름 조작 및 누름 해제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세정액의 분사량이 모자라는 경우 등에 있어 추가의 세정액 분사가 가능해진다. 그 후, 작업자는 세정액이 분사된 분사 영역(S1) 및 그 주변 영역을 청소 시트(110)에 의해 닦아 내는 작업을 작업자가 함으로써, 피청소면(S)에 부착된 오물이나 모래 먼지 등의 청소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청소 용구(10)는, 제1 구성체(100)에 제2 구성체(200)가 장착(「조립」이라고도 함)된 제1 사용 모드와, 제1 구성체(100)로부터 제2 구성체(200)가 탈착(「분리」라고도 함)된 제2 사용 모드로 설정 가능하다. 여기에서, 도 9∼도 12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청소 용구(10)의 제1 사용 모드 및 제2 사용 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도 9에는 제1 구성체(100)로부터 제2 구성체(200)가 탈 착된 상태를 옆쪽에서 본 모습이 도시된다. 또한, 도 10∼도 12에는 제1 구성체(100)에 제2 구성체(200)가 장착되는 과정을 옆 쪽에서 본 모습이 도시된다.
본 실시 형태의 청소 용구(10)는 전술한 도 1∼도 8을 이용하여 전술한 제1 사용 모드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사용 모드로 설정 가능하게 된다. 제1 사용 모드에서는, 제1 구성체(100) 및 제2 구성체(200)를 상호 장착 상태로서 이용하고, 핸들 본체(141)에 장착된 제2 구성체(200)의 하우징(200a)을 작업자가 파지함으로써 청소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핸들 본체(141)와 이 핸들 본체(141)에 설치되는 제2 구성체(200)의 하우징(200a)에 따라 작업자가 파지 가능한 영역을 광범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제2 사용 모드에서는, 제1 구성체(100) 자체를 단독으로 이용하고, 제2 구성체(200)의 하우징(200a)이 탈착된 핸들 본체(141)를 작업자가 파지함으로써 청소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청소 작업에 있어서는 청소 시트(110)로서 건식 타입의 청소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의 핸들 본체(141)는 본 발명에서의 「파지부」에 상당하는 한편, 제2 구성체(200)의 하우징(200a)은 핸들 본체(141)에 보조적으로 부가되는 파지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 제2 구성체(200)의 하우징(200a)은 본 발명에서의 「보조 파지부」에 상당한다.
분리 상태의 제1 구성체(100) 및 제2 구성체(200)를 상호 조립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성체(200)를 제1 구성체(100)의 아래쪽에 배치한 뒤, 제1 구성체(100)의 긴 구멍(142)에 제1 걸림훅(201) 및 제2 걸림 훅(202)이 근접하도록 제2 구성체(200)를 앞 경사 상방으로 이동시킨다(제1 단계).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구멍(142)의 후단(142b)에서의 제2 걸림훅(202)의 걸림 해제의 상태에서 긴 구멍(142)의 전단(142a)의 가장자리부에서 제1 걸림훅(201)을 걸리게 한다(제2 단계). 이 걸림 동작에 관해서는, 제1 걸림훅(201)의 각 부위 중 전방으로 돌출하는 선단부(201a)가 긴 구멍(142)의 전단(142a)의 후방으로부터 걸리도록, 제1 구성체(100) 및 제2 구성체(200)를 상대 이동시킨다. 이 상대 이동 동작에 의해 제1 걸림훅(201)이 긴 구멍(142)의 전단(142a)의 가장자리부에서 걸린다.
또한, 해당 걸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걸림훅(202)이 긴 구멍(142)의 후단(142b)에 근접하는 방향(도 11 중 화살표 방향)에 제2 구성체(200)를 회동시킨다(제3 단계). 제2 걸림훅(202)이 긴 구멍(142)의 후단(142b)에 근접했을 때, 긴 구멍(142)의 전단(142a)에 제1 걸림훅(201)이 더욱 압박되도록 제2 구성체(200)를 후방에서 눌러, 제2 걸림훅(202)의 후단부(202a)를 그 탄성 압박력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밀어 넘어뜨리면서, 해당 제2 걸림훅(202)을 긴 구멍(142)의 후단(142b)에 걸어 맞춘다(제4 단계). 이 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걸림훅(202)의 상부가 긴 구멍(142)의 후단(142b)에 걸어 맞춰지도록, 또한 도 12 중 화살표 방향으로 제2 구성체(200)를 회동시킴으로써, 도 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걸림훅(201)이 긴 구멍(142)의 전단(142a)의 가장자리부에서 걸리고, 또한 제2 걸림훅(202)이 긴 구멍(142)의 후단(142b)의 가장자리부에서 걸린 상태가 형성된다(제5 단계). 이렇게 하여, 제1 구성체(100) 및 제2 구성체(200)를 상호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제1 구성체(100) 및 제2 구성체(200)를 상호 분리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제1 단계∼제5 단계를, 분리 상태의 제1 구성체(100) 및 제2 구성체(200)를 상호 조립하는 경우와는 역순으로 수행함으로써, 해당 분리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사 노즐(252)로부터 피청소면(S)을 향해 세정액을 공급한 뒤에, 이 분사 영역(S1)을 청소 시트(110)를 통해 닦아 냄으로써, 드라이 타입의 청소체로는 닦아 내는 것이 어려웠던 달라붙은 오물이나 모래 먼지 등을 용이하게 닦아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는, 피청소면(S)에 바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구성이며, 세정액 자체가 갖는 세정 효과를 최대한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피청소면이 아니라 청소체 자체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구성의 청소 용구에 비해, 청소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사 노즐(252)은, 핸들 본체(141)의 하방으로서 연결부(141a)의 후방에 위치하고, 또한 설치 높이 방향에 관해서는, 청소 시트(110)의 시트 하면보다도 상방으로서, 또 유지체 본체부(130)의 연장선(L3)과 연결부(141a)의 연장선(L4)이 교차하는 높이 영역에 위치하므로, 분사 노즐(252)로부터 피청소면(S)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데 있어, 해당 공급이 장척형의 핸들 본체(141)나 연결부(141a)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고, 또한 작업자는 세정액의 공급 부분을 후방으로부터 확인하기 쉬우므로, 세정액의 공급 조작을 원활히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지체 본체부(130)와 연결부(141a)(핸들 본체; 141)와의 연접 영역이 청소 시트(110)의 후단에 대략 합치하 는 구성이므로, 분사 노즐(252)로부터 피청소면(S)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데 있어, 해당 공급이 청소 시트(110)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다. 또한, 피청소면(S)에 청소 시트(110)가 접촉한 상태에서, 분사 노즐(252)이 피청소면(S)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피청소면(S)에 극력 근접시킴으로써 세정액을 피청소면(S)의 원하는 부위에 확실하고 신속하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분사 노즐(252)로부터 청소 시트(110)의 하방 영역을 향해 앞 경사 하방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구성이므로, 분사 노즐(252)로부터 세정액을 공급한 후, 그대로 청소 시트(11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닦기 청소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세정액 공급 조작부터 세정액 공급 후의 청소 시트(110)의 닦기 청소 조작까지의 일련의 작업의 원활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분사 노즐(252)의 방향을 연결부(141a)의 연장 방향과 대략 합치시킴으로써, 피청소면(S)에 대한 세정액 공급 조작 및 청소 시트(110)에 의한 닦기 청소 조작이 용이한 구조가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세정액을 분사 노즐(252)로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펌프 기구(240)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펌프 기구(240)를 작동시키는 조작을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조작 버튼(232)의 당김 조작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펌프 기구(240)를 작동시키는 데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당김 조작을 이용하면, 조작 버튼(232)에 가중을 부여하기 쉽다. 또한, 제2 구성체(200)의 하우징(200a)을 파지하는 파지 조작은, 손가락에 의한 당김 조작의 연장선 상에 있으므로, 하우징(200a)을 파지한 작업자는 손가락에 의한 당김 조작을 원활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구성에 관해서는, 작업자가 하우징(200a)을 파지 하였을 때, 해당 작업자의 집게손가락의 볼록한 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에 조작 버튼(232)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구성체(100) 및 제2 구성체(200)를 상호 장착 상태로서 이용하는 웨트 조건 하에서의 제1 사용 모드와, 제1 구성체(100) 자체를 단독으로 이용하는 드라이 조건 하에서의 제2 사용 모드로 설정 가능하므로, 피청소면(S)의 오물의 종류 등의 상황에 따라 사용 모드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성이 좋은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사용 모드로 이용하는 하우징(200a)이 핸들 본체(141)로부터 탈착된 상태의 청소 용구를 최종 제품으로 한 경우에는, 이 청소 용구를 제1 사용 모드로 이용하는 세정액 공급 기능 부착 제품으로 전용할 수 있어 합리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핸들 본체(141)의 장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두 개의 걸림훅(201, 202)을 이용함으로써, 제2 구성체(200)의 하우징(200a)이 핸들 본체(141)에 장착된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긴 구멍(142)의 전단(142a)에 제1 걸림훅(201)을 걸리게 하여 핸들 본체(141)에 대한 하우징(200a)의 위치 결정을 한 후, 해당 걸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우징(200a)을 회동시킴으로써, 제2 걸림훅(202)을 긴 구멍(142)의 후단(142b)에 걸리게 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200a)을 핸들 본체(141)에 장착하는 조작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걸림훅(201)을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제1 걸림훅(201)을 긴 구멍(142)의 전단(142a)에 걸리게 할 수 있으므로, 핸들 본체(141)에 대한 하우징(200a)의 위치 결정 조작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일의 긴 구멍(142)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제1 걸림훅(201) 및 제2 걸림훅(202)에 대한 걸림부를 겸용시킬 수 있어 합리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걸레를 이용한 청소 작업과 같은 번잡함이나, 청소 작업에서의 손 거칠어짐의 걱정을 해소하는 데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청소 시트(110)를 일회용으로 함으로써, 해당 청소 시트(110)를 항상 위생적인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응용이나 변형이 생각되어진다. 예컨대, 상기 실시 형태를 응용한 다음의 각 형태를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계식 펌프 기구(240)에 의해 세정액을 가압하여 가압 상태의 세정액을 분사 노즐(252)로 토출하는 구성에 관해 기재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식 펌프를 이용한 제1 구성, 가스압을 이용하여 가압 상태의 세정액을 분사 공급 노즐로 공급하는 소위 「에어졸」식의 제2 구성, 세정액을 그 자체 중량에 의해 공급 노즐로부터 적하시키는 제3 구성, 청소 용구의 외부에 배치된 세정액 공급원으로 가압된 세정액을 공급 노즐에 공급하는 제4 구성 등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제4 구성에서는, 하우징 내에 세정액의 가압 기구 및 저류 기구를 포함하지 않는 청소 용구가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펌프 기구(240)를 작동시키는 조작부로서, 압압 버튼식으로 구성된 조작 버튼(232)을 채용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조 작식의 조작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조작 버튼(232)을 펌프 하우징(230)의 하우징 하부 이외의 부위, 예컨대 하우징 상부나 하우징 측부 등에 배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분사 노즐(252)로부터 피청소면(S)을 향해 공급하는 세정액의 공급 형태를 가변으로 하는 가변 기구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 등의 전환에 의해 공급 노즐 내부의 스로틀 구멍의 단면적이 변경되고, 이에 의해 세정액의 공급 형태, 예컨대 세정액의 공급량, 공급 범위(각도), 공급 거리, 공급 면적 등을 바꾸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이용하면, 피청소면(S)의 오염 정도 등의 상황에 따라 세정액의 공급 형태를 변경할 수 있고, 사용성이 좋은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구성체(200)의 하우징(200a) 내에 전용 저류 탱크(212)를 구비하는 구성에 관해 기재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세정액이 없어졌을 때 저류 탱크마다 새로운 저류 탱크로 교환이 가능한 카트리지식 탱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카트리지식 탱크의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경질 수지에 의해 성형된 저류 용기 외, 파우치 시트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된 파우치 타입의 병, 또한 세정액의 저류 잔량이 시인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저류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구성체(100) 및 제2 구성체(200) 상호 장착 상태에 있는 제1 사용 모드에서는, 핸들 본체(141)에 걸린 하우징(200a)이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구성하는 경우에 관해 기재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 사용 모드 시에 핸들 본체(141) 이외의 개소에 하우징(200a)이 걸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구성에서, 여전히 하우징(200a)이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구성하여도 좋고, 또는 핸들 본체(141)가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부로서의 단일의 긴 구멍(142)에 대해, 제1 걸림훅(201) 및 제2 걸림훅(202)이 걸리는 구성에 관해 기재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걸림부나 걸림훅의 수, 걸림 형태, 걸림 구조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긴 구멍(142)을 대신하여 두 개의 구멍을 마련하고, 한 쪽의 구멍에 제1 걸림훅(201)을 걸리게 하여, 다른 쪽의 구멍에 제2 걸림훅(202)을 걸리게 하는 구성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걸림 형태에 관해서는, 한 쪽이 다른 쪽에 대해 걸리거나, 또는 끼워 맞추는 등의 걸림 형태를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의 구조에 관해서는, 구멍, 홈, 슬릿 등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 시트 유지체(120)는 일체 성형으로 되어 있고, 유지체 본체부(130)와 핸들부(140) 사이의 연접 개소는 상대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 연접 개소에서의 상대 이동이 일시적으로 가능하게 된 가동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지체 본체부(130)와 핸들부(140) 사이의 연접 개소에 힌지 기구 및 고정 기구를 설치하고, 청소 용구(10)의 사용 전후에는, 유지체 본체부(130)와 핸들부(140) 사이의 각도가 힌지 기구에 의해 일단 조절 가능하게 되고, 청소 용구(10)의 사용시에는, 해당 각도가 고정 기구에 의해 소정 각도로 고정 가능 또는 유지 가능하게 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청소 용구(1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 청소 용구(1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구성체(200)의 내부 구조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구성체(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 중 청소 시트 유지체(120)를 유지체 본체부(130)와 핸들부(140)로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청소 용구(10)의 측면도로서, 조작 버튼(232)이 누름 조작된 경우의 제2 구성체(200)의 내부 구조를 아울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청소 용구(10)의 평면도로서, 조작 버튼(232)이 누름 조작된 경우의 제2 구성체(200)의 내부 구조를 아울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청소 용구(10)의 측면도로서, 조작 버튼(232)이 누름 조작 해제된 직후의 제2 구성체(200)의 내부 구조를 아울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구성체(100)로부터 제2 구성체(200)가 탈착된 상태를 옆쪽으로부터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구성체(100)에 제2 구성체(200)가 장착되는 과정을 옆쪽으로부터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1 구성체(100)에 제2 구성체(200)가 장착되는 과정을 옆쪽으로부터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1 구성체(100)에 제2 구성체(200)가 장착되는 과정을 옆쪽으로부터 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 청소 용구
100: 제1 구성체
110: 청소 시트
111: 청소 시트 본체
112: 접합 시트
113: 중앙 용착선
114: 측부 용착선
115: 유지 공간
115a: 후방 개구단
115b: 전방 개구단
116: 협폭 용착선
117: 협폭 공간부
118: 광폭 공간부
120: 청소 시트 유지체
130: 유지체 본체부
131: 기부
131a: 피감합판
131b: 오목부
132: 유지판
133: 돌기부
134: 누름판
140: 핸들부
141: 핸들 본체
141a: 연결부
142: 긴 구멍
142a: 전단
142b: 후단
143: 제1 감합판
144: 제2 감합판
145: 감합 공간
200: 제2 구성체
200a: 하우징
201: 제1 걸림훅
201a: 선단부
202: 제2 걸림훅
202a: 후단부
210: 탱크 하우징
212: 저류 탱크
214: 공급용 튜브
216: 탱크캡
217: 공기 구멍
220: 밸브 기구
221: 연통 구멍
222: 밸브체
230: 펌프 하우징
232: 조작 버튼
240: 펌프 기구
241: 흡입구
242: 유통로
243: 가압 부재
244: 토출구
245: 제1 볼체
246: 제2 볼체
247, 248, 249: 코일 스프링
250: 토출 하우징
251: 유도용 튜브
252: 분사 노즐
253: 스로틀 구멍
S: 피청소면
S1: 분사 영역

Claims (24)

  1. 피청소면을 닦기 청소하는 시트형의 청소체와,
    상기 청소체에 부착되어 이 청소체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와,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장척형의 파지부와,
    상기 유지부와 상기 파지부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유지부 및 파지부를 고정형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세정액을 공급하는 공급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 파지부 및 연결부 중 하나 이상에 부착되는 세정액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의 장척 방향의 연장선과 상기 청소체의 시트 평면에 대한 법선이 소정의 교차 각도를 가지고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파지부의 하방이며, 상기 연결부의 후방에 상기 공급 노즐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와 상기 연결부의 연접 영역이 상기 청소체의 후단에 합치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노즐은, 또한 설치 높이 방향에 관해서, 상기 청소체의 시트 하면보다도 상방이며, 또 상기 유지부의 연장선과 상기 연결부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높이 영역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공급 노즐로부터 상기 청소체의 하방 영역을 향해 앞 경사 하방으로 세정액을 공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공급 노즐의 방향이 상기 연결부의 연장 방향과 합치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작업자에 의한 조작부의 수동 조작에 의해 세정액을 가압하고 가압 상태의 세정액을 상기 공급 노즐에 토출하는 펌프 기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파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당김 조작에 의해 상기 펌프 기구가 작동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닿는 조작 버튼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 버튼과 상기 파지부 사이에, 작업자의 손가락 침입을 방지하는 손가락 침입 방지 영역을 구비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기구는 상기 조작부의 일회의 수동 조작에 의해 소정량의 세정액을 상기 공급 노즐에 토출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공급 노즐로부터 상기 피청소면을 향해 공급하는 세정액의 공급 형태를 가변으로 하는 가변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세정액 공급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 기 세정액을 저류하는 저류 탱크를 구비하고, 이들 하우징 및 저류 탱크가 어셈블리로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 부분과 상기 저류 탱크의 외주 부분이 면적으로 연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단면 형상과 상기 저류 탱크의 단면 형상이 합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표면과 상기 저류 탱크의 외표면을 동계색으로 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는, 상기 세정액 공급부의 외곽을 형성하는 장척형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장척형의 하우징은, 상기 파지부에 부착됨으로써 이 파지부에 보조적으로 부가되는 보조 파지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형의 하우징은, 상기 파지부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성이며,
    작업자에 의한 청소 작업시, 상기 파지부에 장착된 상기 장척형의 하우징의 보조 파지부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제1 사용 모드와, 상기 장척형의 하우징이 탈착된 상기 파지부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사용하는 제2 사용 모드로 설정 가능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부의 장척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두 개의 걸림부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장척형의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장척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각 걸림부에 걸림 가능한 두 개의 걸림훅을 구비하고, 이들 두 개의 걸림훅을 상기 각 걸림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장척형의 하우징이 상기 파지부에 장착된 상태가 형성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걸림부 중 한 쪽의 걸림부에 걸리는 제1 걸림훅과, 다른 쪽의 걸림부에 걸리는 제2 걸림훅을 구비하고,
    상기 다른 쪽의 걸림부에서의 상기 제2 걸림훅의 걸림 해제 상태에서 상기 한 쪽의 걸림부에 상기 제1 걸림훅을 걸리게 한 후, 상기 걸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걸림훅이 상기 다른 쪽의 걸림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장척형의 하 우징을 회동시키고, 이 회동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걸림훅이 상기 다른 쪽의 걸림부에 걸리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쪽의 걸림부는 상기 파지부의 장척 방향을 따라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긴 구멍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1 걸림훅은 그 선단이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구성이며, 상기 제1 걸림훅을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이 상대 이동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걸림훅이 상기 긴 구멍에 걸리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쪽의 걸림부로서의 상기 긴 구멍은, 일단측의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1 걸림훅을 걸고, 또한 타단측의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제2 걸림훅을 거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척형의 하우징은, 상기 공급 노즐측이 가장 낮은 곳이 되고 상기 연결부의 형상에 따른 곡선형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 파지부 및 연결부는, 모두 수지 성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 파지부 및 연결부가 일체 성형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KR1020087007239A 2005-12-09 2006-12-07 청소 용구 KR101141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6867 2005-12-09
JP2005356867A JP4726620B2 (ja) 2005-12-09 2005-12-09 清掃用具
PCT/JP2006/324488 WO2007066739A1 (ja) 2005-12-09 2006-12-07 清掃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600A true KR20080077600A (ko) 2008-08-25
KR101141862B1 KR101141862B1 (ko) 2012-05-11

Family

ID=3812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239A KR101141862B1 (ko) 2005-12-09 2006-12-07 청소 용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76421B2 (ko)
EP (1) EP1961360A4 (ko)
JP (1) JP4726620B2 (ko)
KR (1) KR101141862B1 (ko)
CN (1) CN101325901B (ko)
CA (1) CA2632749C (ko)
TW (1) TW200727844A (ko)
WO (1) WO20070667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550A (ko) * 2016-10-14 2018-04-24 허유석 휴대 단말기용 세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77512B2 (en) 2012-06-18 2015-08-13 S. C. Johnson & Son, Inc. Cleaning implement
JP6445791B2 (ja) * 2014-06-11 2018-12-26 レック株式会社 噴射式清掃具
JP2017176715A (ja) * 2016-03-31 2017-10-05 株式会社ダスキン 清掃具
CN110720853A (zh) * 2019-11-05 2020-01-24 佛山市辉鸿塑胶实业有限公司 一种化妆瓶
CN115555361B (zh) * 2022-11-17 2023-03-21 长沙中联重科环境产业有限公司 垃圾桶外壁智能清洗机构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0979A (en) * 1959-01-27 1961-07-04 Signal Mfg Co Attachment for floor treating apparatus
JPS5229428A (en) * 1975-09-01 1977-03-05 Kubota Ltd Method of forming mold
US4013369A (en) * 1975-11-07 1977-03-22 Alice Turek Sprayer-wiper device
DE3718141A1 (de) * 1987-05-29 1988-12-08 Henkel Kgaa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fussbodenreinigungs- und -pflegemitteln
FR2634366B1 (fr) * 1988-07-25 1990-10-12 Billat Alain Dispositif de nettoyage a fonctions multiples en particulier pour glaces de vehicules et objets analogues
US5988920A (en) * 1998-11-30 1999-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having a protected pathway for a fluid transfer tube
US6758412B2 (en) * 2001-09-14 2004-07-06 S.C. Johnson & Son, Inc. Overcap for use with a cleaning device
US6698700B2 (en) * 2002-03-26 2004-03-02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for simple holes
JP3089781U (ja) * 2002-05-08 2002-11-08 船井電機株式会社 印字装置
CN2568117Y (zh) * 2002-06-07 2003-08-27 宁波浩瀚洁具有限公司 一种喷液拖把
US6742951B2 (en) * 2002-07-23 2004-06-01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implement
JP2004242799A (ja) * 2003-02-12 2004-09-02 Kao Corp 清掃具
JP4212915B2 (ja) * 2003-02-12 2009-01-21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JP2004305473A (ja) * 2003-04-08 2004-11-04 Human Network:Kk ウェットタイプの清掃具
JP4098750B2 (ja) * 2004-06-03 2008-06-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噴液装置を備えた清掃具
US20060171767A1 (en) * 2005-01-28 2006-08-03 Hoadley David A Cleaning device with liquid reservoir and replaceable non-woven pad
US7740412B2 (en) * 2005-01-28 2010-06-22 S.C. Johnson & Son, Inc. Method of cleaning using a device with a liquid reservoir and replaceable non-woven pad
AU2006236724B2 (en) * 2005-04-15 2012-01-12 S. C. Johnson & Son, Inc. Flexible cleaning tool with replaceable non-woven pad and cleaning fluid reservoi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550A (ko) * 2016-10-14 2018-04-24 허유석 휴대 단말기용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32749C (en) 2014-12-16
TWI307622B (ko) 2009-03-21
CA2632749A1 (en) 2007-06-14
KR101141862B1 (ko) 2012-05-11
WO2007066739A1 (ja) 2007-06-14
EP1961360A4 (en) 2014-02-19
US8876421B2 (en) 2014-11-04
CN101325901B (zh) 2012-04-04
EP1961360A1 (en) 2008-08-27
TW200727844A (en) 2007-08-01
US20100028072A1 (en) 2010-02-04
CN101325901A (zh) 2008-12-17
JP2007159662A (ja) 2007-06-28
JP4726620B2 (ja)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862B1 (ko) 청소 용구
CN114467789B (zh) 用于给宠物洗浴的系统
EP1876940B1 (en) Surface cleaning device with liquid dispenser
CA2952203C (en) Hard surface cleaning devices
EP1789207B1 (en) Steam cleaner containing a self-contained liquid dispensing unit
EP2330962B1 (en) Plural nozzle cleaning implement
GB2414654A (en) Hand held wiper with cleaning agent dispensing facility
KR101504124B1 (ko) 휴대용 계단 청소장치
EP4106594B1 (en) Floor cleaner
US11426047B2 (en) Floor cleaner
JP2006181040A (ja) 湿式電気掃除機用給液タンク
CN116174192A (zh) 手提式水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