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7433A - Inner water pressure valve - Google Patents

Inner water pressure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7433A
KR20080077433A KR1020070016930A KR20070016930A KR20080077433A KR 20080077433 A KR20080077433 A KR 20080077433A KR 1020070016930 A KR1020070016930 A KR 1020070016930A KR 20070016930 A KR20070016930 A KR 20070016930A KR 20080077433 A KR20080077433 A KR 20080077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buoyancy
bal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학재
Original Assignee
이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재 filed Critical 이학재
Priority to KR102007001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7433A/en
Publication of KR2008007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4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An inner water pressure valve is provided to be mainly made of synthetic resin so as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be applied to a chemical pipe. An inner water pressure valve includes a valve main body(1-1) composed of a valve body(1-2), a rubber(1-3), and a valve connecting unit(1-4). Air-tightness in the valve main body is maintained by bonding or applying heat to the valve connecting unit. The rubber interrupts a flow of fluid. A check valve un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buoyancy unit to fill water in a ball. When the water is filled in a water tank, the check valve unit is opened by the weight of the ball so that the water is filled in the ball. A screw unit is installed in the valve main body to be connected to a pipe so that the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laterally when discharged from the pipe.

Description

내부 수압 및 이를 이용한 밸브.{inner water pressure valve}Internal water pressure and valve using it. {Inner water pressure valve}

1-1:밸브 몸통1-1: valve body

1-2:밸브 몸통1-2: valve body

1-3:고무 1-3: rubber

1-4:밸브 연결부1-4: valve connection

1-9:나사부1-9: Screw part

1-10:호스연결부1-10: Hose Connection

3-1:나사 연결부3-1: Screw connection

3-2:배관연결3-2: Piping connection

4-1:커버4-1: cover

4-2, 4-3:자석고정부4-2, 4-3: Magnet Government

4-3, 4-4:철편 고정부4-3, 4-4: Steel plate fixing part

6-2:수면부력부6-2: buoyancy part

6-1:링6-1: Ring

10-1:on-off스위치10-1: on-off switch

10-2:스위치커버10-2: switch cover

10-3:연결대10-3: Connecting rod

12-3:거름판12-3: filter plate

12-2:고정부12-2: Government

12-6:스프링12-6: spring

12-5:밸브12-5: Valve

12-7:마개12-7: stopper

12-8:개구부12-8: Opening

13-2:나사부13-2: thread

13-4:스프링13-4: Spring

13-5:나사집13-5: Thread collection

13-6:개구부13-6: opening

15-1:부력부15-1: buoyancy

15-2:구멍15-2: hole

15-5:밸브15-5: Valve

15-3:스프링15-3: Spring

15-8:체크밸브15-8: Check Valve

16-3:디스크16-3: Disk

16-5:밸브16-5: Valve

16-6:스프링16-6: spring

17-1:스프링17-1: Spring

17-2:압력조절 레버17-2: Pressure adjustment lever

18-1:공18-1: Ball

18-2:밸브 18-2: Valve

밸브의 역사는 수 백 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유체를 제어하는 가장 초보적인 단계의 밸브가 산업혁명의 원동력이 되면서 유체 제어에 있어 밸브는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장치 중의 하나이다. 초기의 밸브가 비약적으로 발전한 것은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에의 적용부터일 것이다.  The history of the valve goes back hundreds of years. Valves are one of the most indispensable devices in fluid control, as the valves at the very beginning are the driving forc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arly valves may be due to their application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양변기용 밸브는 유명한 유체역학자인 베르누이가 산업화로 인한 대도시로의 인구집중으로 인한 양변기가 시작이었고, 여기에서 부력식으로 제어하는 float valve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The valve for the toilet was started by the famous fluid mechanic Bernoulli's population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large city, where the buoyant float valve was used.

이 후 이 밸브의 원리는 다양하게 변용되면서 산업용으로의 발전을 계속하면서 기본 원리에 방향을 바꾸는 형태 등 외관상의 변화가 주류를 이루면서 오늘날까지 이어졌다.  Since then, the principle of the valve has been changed in various ways, and it has continued to develop into industrial use, and the change in appearance, such as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basic principle, has continued to this day.

가장 초기에 사용된 float valve는 청동 및 황동의 몸체에 부력으로 제어하는 부력구를 가진 형태로 사용되어 일정한 수위에 이르면 유체의 유입이 중단되는 형태로 사용된다.  The earliest float valves are used in the form of buoyancy spheres that are buoyantly controlled in the body of bronze and brass, so that the flow of fluid stops when a certain level is reached.

이 float valve는 많은 문제점이 있음에도 현재까지 가장 널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밸브는 부력으로 제어하는 이유로 공이 떨어지면 지속적으로 유체가 유출되는 문제점과 수위조절의 어려움, 부력이 작용하는 이유로 인한 rod의 지속적인 피로도의 증가, 고압에서의 누수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This float valve is the most widely used to date even though there are many problems. This valve has problems such as continuous fluid leakage when the ball falls due to buoyancy control, difficulty in level control, continuous increase of rod fatigue due to buoyancy and leakage at high pressure.

정량토출 밸브는 니들 밸브, 콘트롤 밸브 등에서 적용하고 있는데 이는 유체의 내부 압력을 강제로 제어하는 이유와 물속의 이물질의 삽입 등의 경우에 누수가 되는 단점과 정밀가공을 하여야 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The metered discharge valve is applied to needle valve, control valve, etc., which implies the reason of forcibly controll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luid and the disadvantages of leaking in the case of the insertion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and the disadvantages of precision processing.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적인 제어가 가능하여 on-off상태를 구분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강점과 센서를 연결하여 전기 신호를 받아 상하수위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기가 반드시 필요하고 물속의 센서를 사용할 경우 물때로 인한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고장이 잦은 문제점도 가지고 있으며, 전기를 이용하는 이유로 유지보수 및 물과의 사용으로 인한 감점의 위험 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정밀 가공으로 인한 가격의 상승도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The solenoid valve has the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water and sewage level by receiving the electric signal by connecting the strength and the sensor to control the flow rate by distinguishing the on-off state. However, if electricity is required and the sensor in the water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frequently occurs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sensor due to the scale, and there is a risk of deduction due to maintenance and use with water because of the use of electricity. In addition, an increase in price due to precision machining is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스트레이너는 현재 주물제의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내부가 보이지 않아 이물질의 유입정도를 알 수 없고, 이물질의 제거는 연결부위를 풀어야 가능한 단점을 안고 있다.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의 수도 다양하며, 금속제를 가공하여야 하는 이유로 가격도 높으며, 무게도 많아 이를 지지하는 배관도 아울러 튼튼해야 한다.  Strainers are currently widely used in casting products, but the inside is not visible, so the inflow of foreign matters is not known, and the removal of foreign matters has the disadvantage of loosening the connection par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number of parts is various, and the price is high because of the metal processing, and the pipe supporting the heavy weight must be strong as well.

게이트 밸브는 수평적인 배관의 흐름을 갖고 앵글밸브는 꺾여서 방향을 제어하는데 유체의 압력의 불균형 등의 문제가 나올 수 있고, 볼 밸브 등은 볼의 정밀성 등이 확보되어야 하는 정밀가공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The gate valve has a horizontal pipe flow and the angle valve is bent to control the direction, which may result in an imbalance in the pressure of the fluid, and the ball valve has a problem of precision processing in which the precision of the ball must be secured. .

스팀트랩은 float valve를 내부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대다수이다. float valve와 마찬가지로 적용의 문제와 공정이 복잡하고 이로 인한 고장이 잦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Steam traps are mostly used with the float valve fixed inside. Like float valves, application problems and processes are complex and often result in failures.

체크 밸브는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다가 최근에는 급격한 역수 차단으로 인한 펌프의 파손 등이 문제가 되어 스모렌스키 체크 밸브 등이 널리 사용되며, 급격한 역류차단으로 인한 water hammer등의 문제도 상당부분 해결하고 있다.  The check valve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but recently, the pump breakage due to the rapid reverse water blocking has become a problem, and the Smorensky check valve is widely used, and the water hammer due to the rapid reverse flow blockage has been largely solved. .

이러한 밸브는 유체의 운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들이다.  These valves are indispensable in the operation of the fluid.

목적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스톱밸브(글로브밸브 및 앵글밸브), 체크밸브, 감압밸브 등이며 콕도 밸브의 일종이다. 밸브의 형식·치수는 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The types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Generally, the most widely used are stop valves (globe valves and angle valves), check valves, pressure reducing valves, and the like. The type and dimensions of the valve are specified in the standard.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내부수압을 이용하는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n invention using internal water pressure.

대한민국 특허[2003-0019166, 2003-0076526]의 원리에 기초를 두며, 이에서 더욱 발전된 형태와 이의 원리를 확대 적용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내부수압으로 작동하면서, 재질도 기존의 금속제에서 벗어나 합성수지로 제조가 가능하다. 합성수지는 재질에 따른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plant배관 등에는 화재의 염려 등으로 합성수지제 사용이 어려우나 본 발명의 구조를 합성수지로 제조하면 다양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기존의 밸브와 같이 유체의 흐름을 물리력으로 제어할 경우 밸브의 파손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내부의 수압을 이용하는 구조로 일반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임의 제조가 가능하다. 즉, 합성수지 중에서 PC(ploy carbonate)로 제조하면 내열도가 130도에 이르러 고온의 물에 사용이 가능하며, ABS로 제조하면 내열도가 80여도이므로 일반 냉수나 공압에 적용이 가능하다. PE로 제조하면 화학안정성이 확보되어 화학약품 탱크나 오폐수 처리장, 정수장 등에서 각종 약품의 저장 및 이송이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2003-0019166, 2003-0076526],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expanded form and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operated by the internal pressure, the material is also made of synthetic resin away from the existing metal Is possible. Synthetic resin has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aterial. In general, plant piping is difficult to use a synthetic resin due to the fear of fire, etc. I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 synthetic resin can be given a variety of properties. When the flow of the fluid is controlled by a physical force as in the conventional valve, there is a problem such as damage to the valve,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rbitrarily manufactured using general metal or synthetic resin, etc., by using a hydraulic pressure inside. In other words, if manufactured with synthetic carbonate (PC), the heat resistance reaches 130 degrees and can be used for high temperature water. If it is made with ABS, the heat resistance is 80 degrees, so it can be applied to general cold water or pneumatic. When manufactured with PE, the chemical stability can be secured, so that various chemicals can be stored and transported in chemical tanks,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nd water purification plants.

이러한 재질적인 특성외에도 구조적인 특성에서 본 발명은 더욱 발전되고 사용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se material propertie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developed and the use area may be expanded in structural properties.

본 발명에서는 내부수압을 이용하면서 이에 대한 보다 발전된 다양한 밸브류에 적용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using the internal water pressure it is applied to various more advanced valves.

이러한 밸브들의 구성 및 작동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se valv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면에서 밸브 부분의 정밀성은 밸브 전체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이유로 매우 중요하다. 밸브 몸통(1-1)은 밸브 몸통(1-2)와 고무(1-3), 밸브 연결부(1-4)로 구성하고 1-5를 접착하거나 열을 가하여 끝부분을 처리하여(1-6)내부의 압력으로 인하여 기밀이 부실하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1-8의 체크밸브 부분을 부설한다. 이는 밸브를 기계등에 장착하여 이동할 경우 공의 내부에 물을 채워 이용하는 이유로 공의 파손 등의 문제와 공에 물을 담아 장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즉, 밸브를 설치하고 물이 물통내로 차게 되면 공의 중력으로 체크밸브가 열려 저절로 물이 차게 되고 한번 찬 물은 부력부를 제외한 부분까지 유지되어 별도로 물을 채울 필요가 없게 된다. The precision of the valve portion in the figure is very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of the entire valve. The valve body (1-1) is composed of the valve body (1-2), rubber (1-3), valve connection (1-4) and the end portion by gluing 1-5 or applying heat (1--1) 6) Prevents air tightness due to internal pressure. In addition, install the check valve part of 1-8.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such as breakage of the ball and mounting the water in the ball because the valve is used to fill the water inside the ball when moving the machine mounted. That is, when the valve is installed and the water is filled into the water tank, the check valve is opened by the gravity of the ball, and the water is filled by itself, and once the cold water is maintained until the portion except the buoyancy part, there is no need to fill the water separately.

1-9는 밸브 몸체에 배관과 연결할 수 있는 나사부를 형성한 것으로 물이 나올 때 옆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별도의 방향으로 제어가 필요할 경우에 사용이 용이 하다. 1-10은 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부분으로 물이 흐를 때 소리의 제어 등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1-9 is a threaded par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ipe in the valve body. It prevents water from flowing sideways and is easy to use when control is required in a separate direction. 1-10 is a part where the hose can be connected, and it can be easily used for controlling the sound when water flows.

도 2는 이러한 밸브의 기본 작동도면이다.  2 is a basic operation diagram of such a valve.

도 3은 2003-0076526의 발전된 형태의 응용이다. 로드 부분을 대신하여 나사를 몸체와 연결하는 형태를 만들어 나사의 조임에 따라 밸브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응용하면 밸브의 토출구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고정하여 원하는 양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존의 니들밸브나 정략 토출밸브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밸브들이 유체가 나오는 것을 강제로 막는 반면 본 밸브는 내부의 수압으로 막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제어가 한결 편리하며, 고장의 염려도 줄어들고 1-9의 배관연결부에 다른 배관과 연결하여 사용이 용이하다. 도면에서 3-1은 나사 연결부를 표시하였고, 3-2는 다른 배관과 연결한 상태로 유체가 밖으로 흐르지 않고 정해진 배관을 따라 정해진 양이 이동한다.  3 is an application of the advanced form of 2003-0076526. Instead of the rod part, the screw is connected to the body to allow the valve to move from side to side as the screw is tightened. By applying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the desired amount of fluid by fix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valve in the desired shape. It can be used to replace the existing needle valve or regular discharge valve, and while the existing valves forcibly prevent the fluid from coming out, this valve has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water pressure inside, so the control is more convenient and there is no fear of failure. It is reduced and it is easy to use by connecting with other pipe to the pipe connection of 1-9. In the drawing, 3-1 indicates a screw connection part, and 3-2 moves a predetermined amount along a predetermined pipe without fluid flowing out while connected to another pipe.

도면 4에서는 이 밸브를 on-off형태로 제어가 가능한 밸브의 도면이다.  In FIG. 4, the valve is controllable in on-off form.

본 발명 밸브의 몸체를 덮는 커버(4-1)에 자적을 고정하는 고정부(4-2, 4-3)을 부설하여 자석을 고정시키고 지지대에는 철편 고정부(4-3, 4-4)를 갖는다. 이 경우에 수위가 높아져 자석(4-2)이 철(4-3)과 붙어 있게 된다.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공에 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중력이 자석에 붙어 있는 철편의 힘을 이기게 되면 공은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밑부분의 자석(4-3)과 철(4-4)이 붙어 있게 된다(도 5). 이러한 작동원리도 인하여 기존의 float valve가 수위가 높아져 막히기 전에는 토출량이 점점 적어지는 단점을 없애고 밸브가 닫히거나 열린 상태만을 유지하게 된다.  In the cover 4-1 covering the body of 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rts 4-2 and 4-3 for fixing the magnetic place are installed to fix the magnets and the steel piece fixing parts 4-3 and 4-4 to the support. Has In this case, the water level is increased so that the magnet 4-2 is attached to the iron 4-3.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ed, gravity is generated on the ball. When this gravity beats the force of the iron pieces attached to the magnet, the ball falls down, and the bottom magnets 4-3 and 4-4 are attached (FIG. 5). This principle of operation also eliminates the drawback of a smaller discharge volume before the float valve becomes clogged and keeps the valve closed or open.

도면 6에서는 본 발명의 무동력 2주우 수위 밸브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는 전극봉이나 센서를 이용하여 2중수위를 제어하는 것에 반하여 자체적인 무동력으로 2중수위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전기를 이용하는 밸브의 단점은 전기가 있어야 전극봉이나 센서를 이용한 솔레노이드 밸브 등이 동작하는데 전원이 필요하고 단전등의 경우에 운전이 중지되고 이로 인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Figure 6 relates to a non-powered two main water level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ntionally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ual level by its own non-power, as opposed to controlling the dual level using electrodes or sensors.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valve using electricity requires a power source to operate a solenoid valve using an electrode or a sensor, and stops operation in the case of a power failure, causing many problems.

도 4와 5에서 설명한 on-off형태의 밸브에 끈을 연결하여 이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밸브의 구현원리는 다음과 같다.  It can be implemented by connecting a string to the on-off valve described in Figures 4 and 5. The principle of implementation of this valve is as follows.

on-off가 가능한 밸브의 공아래 부분에 끈으로 연결되는 상부에 수면부력부(6-2)를 갖추고 상부 부력부 공과 수면부력부 사이에 엽전 형태의 비중이 무거운 링(6-1)을 부설한다. 그리고 밑에는 물이 충진도는 공을 갖춘다. 이 공도 마찬가지로 1-8과 같은 체크 밸브부를 부설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밸브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만수위에서는 하부 공은 아래로 내려가 있고 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수위는 점점내려가게 된다. 수위가 더욱 내려가 공속의 물이 중력을 받게 되면(도 7) 링(6-1)은 수면부력부(6-2)에 얹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대를 유지하는 자석의 힘이 중력보다 낮아지게 되면 상부공은 밑으로 떨어져 상부측은 도5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밸브가 열려 물이 나오게 된다. 물이 점점 차오르게 되면 수면부력부가 상승하면서 하부 공은 지면과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수면부력부는 링의 무게로 인하여 공과 가장 가까운 거리를 유지한다. 그리고 부력이 더욱 높아지면 지지대와 상부공이 위로 향하여 뜨면서 도 6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링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링이 없을 경우 공은 비중이 높을 경우에는 물의 저항을 받 아 올라오는 속도가 느리게 되며 지지대가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링은 수면부력부와 상부공의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지지대가 올라갈 때는 링과 연결된 끈만의 힘을 받게 되므로 오작동이 없다.  A water buoyancy part 6-2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valve which can be turned on and off by a string, and a heavy ring-shaped ring 6-1 is placed between the upper buoyant ball and the water buoyancy part. do. And underneath it is filled with water filling. Similarly, this hole can be provided with a check valve part like 1-8. As shown in FIG. 6, the valve is configured so that the lower ball is lowered at the full water level, and the water level is gradually lowered while using water continuously.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ed further and the water in the gravity receives gravity (FIG. 7), the ring 6-1 is placed on the surface buoyancy portion 6-2. In this state, when the force of the magnet holding the support becomes lower than gravity, the upper hole falls down and the upper side maintains the shape of FIG. As water rises, the surface buoyancy rises and the lower ball remain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surface buoyancy keeps the closest distance to the ball due to the weight of the ring. And when the buoyancy is further increased, the support and the upper hole floats up to return to the state of FIG. The role of the ring is very important here. In the absence of a ring, the ball will be slowed up by water resistance at high specific gravity, and the support will be in the middle. The ring is located closest to the surface buoyancy and the upper hole, for this reason there is no malfunction since the support is raised only by the straps connected to the ring.

도 10에서는 도 4의 on-off 밸브를 양수기와 직접 연결하여 제어하는 밸브이다. 이 밸브는 도 4의 밸브의 위에 스위치 커버(10-2)를 부설하여 이 안에 on-off스위치(10-1)을 고정한다. 10-5와 10-6은 전선으로 이 전선은 양수기와 연결된다. 그리고 기본 도 4의 지지대의 일측에 상하운동이 가능한 연결대(10-3)을 부설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on-off단락이 가능한 스위치막대(10-4)는 단락된 상태로 양수기는 정지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위가 낮아져 공의 중력이 발생하여 지지대가 아래로 내려가 밑의 자석과 철이 붙게 되면 연결대(10-3)가 내려가 스위치 막대(10-4)가 내려가게 되고 이 때 전선을 통하여 양수기가 작동된다(도11). 마찬가지로 수위가 높아져 부력으로 공이 올라오게 되면 연결대(10-3)가 올라와 스위치 막대(10-4)가 올라가 양수기의 전원을 off시키는 역할을 하여 직접 양수기를 작동시키는 밸브가 구동된다.  In FIG. 10, the on-off valve of FIG. 4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pump and controlled. This valve is provided with a switch cover 10-2 on top of the valve of FIG. 4 to fix the on-off switch 10-1 therein. 10-5 and 10-6 are wires that connect to the water pump. And on one side of the support of Figure 4 is laid connection rod 10-3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As shown in FIG. 10, the water pump is stopped while the switch bar 10-4 capable of on-off shorting is shor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ed and gravity of the ball is generated and the support is lowered and the bottom magnet and the iron are attached, the connecting rod 10-3 is lowered and the switch bar 10-4 is lowered. Is activated (Fig. 11). Similarly, when the water level rises and the ball is raised by buoyancy, the connecting rod 10-3 rises and the switch rod 10-4 rises to serve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water pump to directly operate the valve.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도 6에 적용하면 양수기와 연결하여 상하수위를 임의로 제어하는 자동 2중 스위치 밸브를 구현할 수 있다. 이는 배관과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각종 유체제어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Using this principle, it can be applied to FIG. 6 to implement an automatic double switch valve that arbitrarily controls the water level. It can be easily used for various fluid control to be independently controlled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pipe.

도 12는 기존의 스트레이너를 본 발명의 내부수압을 이용한 밸브를 응용하여 실시한 예이다. 기존의 스트레이너가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관의 운전을 중지하고 나사부를 해체한 후 망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는 복잡한 과 정을 본 발명은 운전중에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과 해체가 가능한 장점을 동시게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의 구조는 투명 합성수지로 제조가 가능하여 내부의 이물질이 쌓인 정도도 알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2 is an example of applying a conventional strainer using a valve using the internal water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ing strain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pipe in ord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in the pipe and dismantles the screw, then the complex process that must remove the foreign matter in the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remove the foreign matter during operation and disassembly Simultaneously has the possible advantages,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with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has the advantage of knowing the degree of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inside.

도면에서 12-1은 기존의 배관과 연결이 가능한 나사부이며, 이 관 내부에 이물질 거름판(12-3)을 유동이 없게 고정하는 고정부(12-2)를 가진 구조이며, 이물질 거름판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집(12-4)을 가지고 있다. 이 밸브집은 배관의 운전중에는 스프링(12-6)이 밸브(12-5)를 내리 누르고 있어 입구와 출구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내부에 커다란 이물질이 있어 해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마개(12-7)를 열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이 내부에 차게 되면 막대기 등으로 밸브를 위로 올리면 개구부(12-8)를 통하여 이물질이 밖으로 빠져나온다. 이러한 작동은 기존의 스트레이너와는 달리 운전중에도 가능하다.  In the drawing, 12-1 is a screw por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xisting pipe, the structure having a fixed portion 12-2 for fixing the foreign matter filter plate (12-3) without flow inside the pipe, foreign matter filter plate is As shown in the figure, the valve holder 12-4 is provided. In the valve housing, the spring 12-6 pushes down the valve 12-5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ipe,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completely separated. If there is a large debris insid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ebris by opening the cap (12-7). When the foreign matter is filled inside, when the valve is lifted up with a stick or the like, the foreign substance comes out through the opening 12-8. This operation is possible even during operation unlike conventional strainers.

12-9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개의 구멍을 표시한 것이다. 12-9 represent a number of holes through which water can pass.

도 13은 기존의 게이트 밸브나 볼 밸브 용의 내부수압을 이용한 밸브이다.  13 is a valve using an internal water pressure for a conventional gate valve or ball valve.

도면에서 도 3에서와 같이 나사 연결부를 만들고 밸브의 몸체에 나사부(13-2)를 형성하여 정확하게 나사의 움직임에 따라 밸브(13-3)가 움직인다. 이에 따라 배관의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밸브는 스프링(13-4)의 힘으로 상부를 향하고 내부의 수압과 맞물려 막혀 있게 되며 나사부에 따라 개폐를 반복한다. 이 밸브가 정확하게 자리를 잡고 작동하기 위하여 나사집(13-5)를 부설하고 제조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개구부(13-6)을 부설한다.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 3, a screw connection part is formed, and a screw part 13-2 is formed on the body of the valve so that the valve 13-3 moves exact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crew. Accordingly,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ipe can be controlled, and the valve is blocked by being engaged with the water pressure therein, facing upward by the force of the spring 13-4, and repeating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the screw part. In order to accurately position and operate this valve, a screw thread 13-5 is laid and an opening 13-6 is placed for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도 14는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도 12)와 게이트 밸브(도 13)을 연결하여 사용한 도면이다. 이 경우에 스트레이와 배관의 운전을 겸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FIG. 14 is a diagram in which a strainer (FIG. 12) and a gate valve (FIG. 13)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and used. In this case, it can be used for both the operation of the stray and the pipe.

도 15에서는 기존의 에어벤트를 대신하는 본 발명의 내부수압을 이요하는 실시예이다.  15 is an embodiment using the internal water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places the existing air vent.

도면에서 배관의 일측에 설치된 본 발명의 에어벤트는 부력부(15-1)이 레일(15-2)을 따라 상하운동을 하며, 부력부의 상부일측에 구멍(15-2)을 형성하여 일정이상의 공기는 이 구멍을 통하여 상부로 배출되게 된다.  The air v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ipe in the Figure is buoyancy portion 15-1 moves up and down along the rail (15-2), by forming a hole (15-2) on the upper side of the buoyancy portion of a predetermined or more Air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is hole.

배관에 처음 설치하여 운전을 시작하면 부력으로 인하여 부력부가 올라가게 되며 이와 연결된 밸브(15-5)가 위로 들리게 되어 지속적으로 공기가 빠져 나오게 되며, 하부에 물이 차오르게 된다. 물은 체크밸브(15-8)을 통하여 스프링(15-7)압력을 이기면서 물이 차게 된다. 부력부의 공기가 빠져 나오면서 구멍(15-2)까지의 수위를 유지한다. 배관속의 공기는 구멍(15-2)와 측면에 형성된 레일(15-2)에서도 빠질 수 있다. 공기가 유입되는 동안 계속 공기는 밸브(15-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부력부에 물이 차고 압력이 유지되면 운전을 정지한다. 상부밸브(15-4)는 외부로 공기를 삐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므로 일정한 위치를 잡아주는 레일(15-6)내에서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외부 밸브(15-4)와 스프링(15-3)은 배관내에 워터해머나 일시적인 진공이 발생하였을 때 외부로부터 공기가 에어벤트 내로 유입되는 역할을 한다.  When the installation is started in the pipe for the first time, the buoyancy is raised due to the buoyancy, and the valve 15-5 connected thereto is lifted up, and air is continuously drawn out, and water is filled in the lower part. The water is filled with water while pushing the pressure of the spring 15-7 through the check valve 15-8. As the air of the buoyancy portion comes out, the water level to the hole 15-2 is maintained. Air in the pipe can also escape from the hole 15-2 and the rail 15-2 formed in the side surface. While the air is flowing i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alve (15-5), and the operation stops when the buoyancy part is filled with water and pressure is maintained. As it plays a role, it moves up and down in the rail 15-6, which holds a fixed position, and the external valve 15-4 and the spring 15-3 are external when water hammer or temporary vacuum is generated in the pipe.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vent.

도 16은 체크밸브를 본 발명에 적용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실시예이다.  Figure 16 is an embodiment to increase the efficiency by applying the check valve to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체크밸브는 유체가 흐르다가 운전을 멈추어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스코렌스키 체크밸브 등의 경우에 수압이 일정정도 이상(0.3㎏/㎠)이 상이 되어야 작동이 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과 보다 신속한 작동을 위하여 다음의 방법을 사용한다.  In general, the check valve is intended to prevent backflow by stopping the flow of flui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orrensky check valve, etc., the water pressure must be at least a certain degree (0.3 ㎏ / ㎠) to operate the bar i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ollowing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and faster operation.

기존의 디스크 판에 작은 형태의 체크밸브를 다수개 구성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디스크(16-3)에 밸브(16-5)와 스프링(16-6)을 장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밸브와 스프링을 고정하되 디스크와 스프링 지지판(16-2)에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밸브와 스프링을 넣은 곳은 별도의 뚜껑(16-7)으로 고정한다. 기존의 판 체크 밸브나 틸팅 체크밸브, 버터플라이 체크 밸브 등 다양하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미세한 압력에도 작동이 가능하고 급격한 수압의 저하가 발생하여도 즉시 작동이 가능하다.  A number of small check valves are constructed on existing disc plates. As shown in the figure, a space for installing the valve 16-5 and the spring 16-6 to the existing disk 16-3 is fixed to the valve and the spring, but the disk and the spring support plate 16-2. Form a number of holes to allow water to flow through. Secure the valve and the spring with a separate lid (16-7). Conven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late check valves, tilting check valves, and butterfly check valves.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even at a minute pressure and to operate immediately even if a sudden drop in water pressure occurs.

도 17은 뒤의 손잡이로 스프링의 압력을 제어하여 일정압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작동이 가능한 밸브이다. 17-1은 압력 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이며, 이 스프링의 강도와 압력조절 레버(17-2)를 조절하여 인입구의 압력에 따라 유체가 흐를 수 있게 한다.  17 is a valve that can be operated when a pressure of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by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spring with the rear handle. 17-1 is a pressure-adjustable spring, which adjusts the strength of the spring and the pressure regulating lever 17-2 to allow fluid to flow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inlet.

도 18에서는 도 17밸브를 응용한 예이다. 체크밸브의 측면에 본 밸브를 설치하면 유체의 흐름이 중단되면서 인입구쪽의 진공으로 인하여 워터 해머가 발생하게 되나 본 발명을 적용하면 유체가 흐르는 동안은 배관만을 따라 흐르게 되고, 체크밸브가 닫히게 되면 by pass목적의 본 발명이 진공부분을 따라 일정부분 흐르게 되어 진공발생이 없어지게 되며, 워터 해머나 이로 인한 양수기나 배관의 파손등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valve of FIG. 17 is applied. When the valve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heck valve, the flow of water stops and the water hammer is generated due to the vacuum at the inlet side. Howeve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fluid flows only along the pipe while the check valve is closed.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the pass flows along the vacuum portion to a certain portion is eliminated the vacuum,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water hammer or water pump or pipes due to this.

도 19는 에어벤트에 본 발명을 적용한 도면으로 공(18-1)은 내부의 증기 배관에서 응축된 증기가 고이고 이로 인하여 공은 부력을 받게 된다. 받은 부력으로 틈이 생기면 이 사이로 물이 빠지게 되고 부력이 없어지면 내부 압력으로 밸브(18-2)는 막혀 있게 된다.  19 is a view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ir vent, the ball 18-1 is condensed steam from the steam pipe inside the ball due to the buoyancy. If a gap occurs due to the buoyancy received, water is drained therebetween, and when the buoyancy is lost, the valve 18-2 is blocked by the internal pressure.

본 발명은 이러한 각종의 효과로 인하여 배관자재의 여러부분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는 액상의 유체제어 뿐만 아니라 공압에서도 적용이 상당부분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arts of the piping material due to these various effects. This can be applied to pneumatic pressure as well as liquid control of the liquid phase.

기존의 밸브가 대체로 유체의 흐름의 반대에서 강제적으로 압력을 제어하나 본 발명의 대부분은 유체 자체가 가지고 있는 내부의 수압을 이용하는 장점을 가져 압력이 높아질수록 기존의 밸브가 차단이 어려우나 본 발명은 압력이 높을수록 제어가 더욱 유리한 장점을 동시에 가진다.  Conventional valves generally control pressur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low of fluid, but mos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using the internal water pressure that the fluid itself has, the higher the pressure is difficult to shut off the existing val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ure The higher this is, the more advantageous the control is at the same time.

또한 기존의 밸브제품의 대다수가 주물이나 스텐레스 등의 금속제품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상당부분은 합성수지로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밸브가 요구하는 수압 등에 문제가 전혀 없어 제조원가의 저렴화와 합성수지의 재질을 달리하여 화학약품용 배관 등에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밸브의 재질을 PE로 할 경우 화학약품에 안정성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valve products are metal products such as castings or stainless steel, while a larg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with synthetic resins, but there is no problem in the hydraulic pressure required by the valves,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changing the material of synthetic resins. It can be applied to chemical piping. When the material of this valve is PE, it is stable to chemicals.

Claims (14)

내부수압을 이용하는 밸브의 몸통(1-1)을 밸브 몸통(1-2)와 고무(1-3), 밸브 연결부(1-4)로 구성하고 밸브연결부(1-4)를 접착하거나 열을 가하여 끝부분을 처리하여(1-6) 분리가 없게 하며, 고무가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밸브 몸통. The body (1-1) of the valve using internal water pressure is composed of the valve body (1-2), rubber (1-3) and valve connection part (1-4), and the valve connection part (1-4) is bonded or heat The valve body, where the end is treated (1-6) so that there is no separation, and rubber blocks the flow of fluid. 부력을 유지하는 부력부의 바닥에 체크밸브부(1-8)를 부설하여 물이 저절로 담기게 하는 내부수압을   Install the check valve part (1-8) at the bottom of the buoyancy part to maintain the buoyancy, so that the internal water pressure 이용한 밸브. Used valves. 공의 물이 일정부분만 차고 그 이상은 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멍(1-9)을 가지는 내부수압을 이용하는 밸브. A valve using internal water pressure that has a hole (1-9) in which the water of the ball fills only a portion and maintains buoyancy. 몸체 부분의 로드 부에 나사연결부(3-1)을 형성하여 나사의 이동에 따라 밸브가 개폐되고 하부는 배관과 연결이 가능한(3-2) 정량토출밸브.  A screw connection part 3-1 is formed in the rod part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valve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crew and the lower part can be connected to the pipe (3-2). 몸체를 덮는 커버(4-1)의 일측에 자적고정부(4-2, 4-3)를 부설하고 지지대에는 철편 고정부(4-3, 4-4)를 구성하여 자석(4-2)이 철(4-3)과 붙어 밸브가 막히고 수위가 낮아져 중력이 발생하면 공이 내려가 밑부분의 자석(4-3)과 철(4-4)이 붙는 동작을 반복하여 on-off제어가 가능한 밸브. Magnetic fixing parts (4-2, 4-3)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ver (4-1) covering the body, and the iron (4-2) by forming the steel piece fixing parts (4-3, 4-4) on the support The valve is clogged with this iron (4-3) and the water level is lowered. When gravity is generated, the ball is lowered, and the valve that enables on-off control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attaching the bottom magnet (4-3) and iron (4-4). . on-off 밸브에 수면부력부(6-2)를 이 사이에 링(6-1)을 부설하며, 하부에 물이 차는 공을 연결하여 수위가 높아지면 밸브가 정지하고, 물이 빠지면 밸브가 열려 상수위까지 물이 차는 무동력 2중 수위 밸브. A water buoyancy section 6-2 is placed between the on-off valve and a ring 6-1 therebetween, and a water-filled ball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and the valve stops when the water level rises. Non-powered, two-level valve that opens to fill water. on-off 밸브이 상부에 스위치 커버(10-2)를 부설하여 이 안에 on-off스위치(10-1)을 부설하고, 지지대로 구동되는 연결대(10-3)을 부설하여 on-off신호가 가능한 밸브. The on-off valve is provided with the switch cover 10-2 on the upper part, and the on-off switch 10-1 is placed therein, and the connecting rod 10-3 driven by the support is installed to enable the on-off signal. valve. on-off 밸브이 상부에 스위치 커버(10-2)를 부설하여 이 안에 on-off스위치(10-1)을 부설하고, 지지대로 구동되는 연결대(10-3)을 부설하여 on-off신호가 가능한 밸브의 하부에 물이 차는 공을 연결하여 수위가 높아지면 밸브가 정지하고, 물이 빠지면 밸브가 열려 상수위까지 물이 차는 on-off신호가 가능한 밸브.  The on-off valve is provided with the switch cover 10-2 on the upper part, and the on-off switch 10-1 is placed therein, and the connecting rod 10-3 driven by the support is installed to enable the on-off signal. Valve that stops the valve when the water level rises by connecting a ball filled with water to the lower part of the valve, and the valve opens when the water is drained. 배관 내부에 이물질 거름판(12-3)을 유동이 없게 고정하는 고정부(12-2)와 밸브집(12-4)을 가지고 밸브집은 스프링(12-6)이 밸브(12-5)를 눌러 평상시에는 막히고 운전중에 밸브를 밀어 이물질 배출이 용이하며, 필요할 경우에는 마개(12-7)를 열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스트레이너. The valve housing has a fixed portion 12-2 and a valve housing 12-4 for fixing the foreign matter filtering plate 12-3 without flow in the pipe, and the valve housing has a spring 12-6 having a valve 12-5. Press to block normally and push the valve during operation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f necessary, open the cap (12-7)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 밸브의 몸체에 나사부(13-2)를 형성고 반대쪽에 스프링(13-4)으로 막히는 밸 브(13-3)가 있어 배관의 토출량을 제어는 밸브. A valve (13-3) which forms a threaded portion (13-2) on the valve body and is blocked by a spring (13-4) on the opposite side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ipe. 부력부(15-1)의 상부일측에 구멍(15-2)을 형성하여 일정이상의 공기배출구를 가지며, 하부에 체크밸브(15-8)를 부설하여 부력부의 공기가 빠져 나오면서 구멍(15-2)까지의 수위를 유지하며, 배관 내에 공기가 차면 부력부가 낮아져 공기가 밸브(15-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벤트. A hole 15-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oyancy portion 15-1 to have a predetermined air discharge port, and a check valve 15-8 is placed on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air of the buoyancy portion comes out of the hole 15-2. Maintains the water level up to), and when the air is filled in the pipe, the buoyancy is lowered and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alve (15-5). 체크밸브의 디스크(16-3)에 밸브(16-5)와 스프링(16-6)을 고정하는 체크밸브.  A check valve that fixes the valve 16-5 and the spring 16-6 to the disc 16-3 of the check valve. 스프링(17-1)과 압력조절 레버(17-2)를 구비하는 밸브. A valve having a spring 17-1 and a pressure regulating lever 17-2. 공(18-1)과 밸브(18-2)로 구성되어 응축수가 차게 되면 부력으로 배출되는 증기 트랩.  A steam trap consisting of a ball (18-1) and a valve (18-2) that is discharged as buoyancy when the condensate is filled.
KR1020070016930A 2007-02-20 2007-02-20 Inner water pressure valve KR200800774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930A KR20080077433A (en) 2007-02-20 2007-02-20 Inner water pressure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930A KR20080077433A (en) 2007-02-20 2007-02-20 Inner water pressure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433A true KR20080077433A (en) 2008-08-25

Family

ID=3988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930A KR20080077433A (en) 2007-02-20 2007-02-20 Inner water pressure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743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82U (en)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성원 Bullet-proof tower for heavy vehicles and, assembling method of bullet-proof tow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82U (en) 2016-03-31 2017-10-12 주식회사 성원 Bullet-proof tower for heavy vehicles and, assembling method of bullet-proof t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6519B1 (en)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US7186346B1 (en) Low cost indoor grease trap
KR20080077433A (en) Inner water pressure valve
KR101143960B1 (en) Controlling energy saving valve device
CN114951102B (en) Flowmeter flushing device
CN201897000U (en) Electric control hydraulic operated temperature sensing valve
KR101325496B1 (en) Water purified collecting equipment
US3279494A (en) Magnetic gate valve
KR101067404B1 (en) Control Apparatus for the Water Level and Wastewater Drainage at the Overall Area in Water Reservoir
CN108842900A (en) Intelligence water filling(Moisturizing)Floor drain
KR102103718B1 (en) Water level control valve
CN201003004Y (en) Liquid-level automatic controlling filter chamber
CN107413087A (en) automatic back-flushing filtering device
CN106703115A (en) Wastewater recycling and discharging device for intelligent bathroom
CA2934500C (en) Selfpriming system having valve for a centrifugal pump
CN208830450U (en) Intelligence water filling floor drain
KR101921447B1 (en) Upper water exhaust apparatus
KR101400594B1 (en) Condensate drain valve equipped with compressed air-loss minimizing
US6045336A (en) Pump and valve for leachate extraction of heavier than water fluids
CN103537122A (en) Unpowered sludge, slag and water discharging device
JP5211399B2 (en) Float type drain trap and drain water discharge method
RU73386U1 (en) Wellhead FILTER INSTALLATION
CN210799366U (e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of water ring vacuum pump
CN201310629Y (en) Flushing valve
CN101812866A (en) Floor leakage water collecting and gui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