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590A - 수신자와 발신자가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는 선별적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자와 발신자가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는 선별적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590A
KR20080076590A KR20070016729A KR20070016729A KR20080076590A KR 20080076590 A KR20080076590 A KR 20080076590A KR 20070016729 A KR20070016729 A KR 20070016729A KR 20070016729 A KR20070016729 A KR 20070016729A KR 20080076590 A KR20080076590 A KR 2008007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permission
terminal
user
user terminal
ring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한
Original Assignee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1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6590A/ko
Publication of KR2008007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590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자와 발신자가 전화 통화를 하기 전에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허용조건 및 수신허용조건에 대응되는 벨소리 파일을 선택받고, 설정된 수신허용조건을 상기 벨소리 파일과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수신허용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벨소리 파일 및 상기 수신허용조건을 상기 벨소리 파일과 대응시킨 대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어,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호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상기 대응된 벨소리 파일의 재생음을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호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 허용 조건에 대응되어 제공된 상기 동일한 벨소리를 재생하게 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기 선별적 통신 서비스 방법이 구현된다.
본 발명을 통하여 발신자와 수신자는 동일한 음원을 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자와 발신자가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s Enabling Both Caller and Receiver to Listen the Same Musical Soun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 서버의 모듈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 서버의 수신허용조건 설정 모듈에서 제공하는 수신허용조건 설정창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그리고
도 5는 이러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유선통신 단말기(500)의 블록개념도이다.
도 7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간 수신허용정보와 대응정보를 동기화 시키는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 단말기에 마련되는 수신허용정보와 대응정보를 서버로 제공하여 갱신하는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수신자와 발신자가 전화 통화를 하기 전에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자가 통신사의 서버에 수신허용조건 및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대응되는 음원파일을 등록해 놓고, 상기 수신허용조건 및 음원파일을 자신의 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하고, 상기 수신자에게 전화를 건 발신자가 상기 수신허용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발신자에게 상기 음원파일의 재생음을 전송하고, 상기 발신자의 호접속 요청에 대해 상시 수신허용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수신자에게 상기 수신자의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다운로드한 상기 음원파일의 재생음을 벨소리 등으로 들려주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수신자와 발신자가 전화 통화를 하기 전에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 통신과 데이터 통신의 발전과 그 제반 여건의 구축으로 인해서 개인별 통신이 대중화 및 상용화되었고, 그에 따라 통신 서비스도 시간과 장소 및 컨텐츠에 거의 제한을 받지 않을 만큼 다양화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 신이 어디서 위치하며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에 관계없이 자신이 원하는 모든 정보를 통신 서비스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반면에 이러한 통신 서비스의 대중화 및 상용화는 그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이 거의 없다는 점 때문에, 사용자에게 원치 않는 통화나 불필요한 정보까지 무차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문제점을 유발시켰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긴급 전화 때문에 휴대폰 또는 유선 전화와 같은 통신 단말기를 꺼놓지 못한 상태에서 집중을 요하는 업무를 수행하거나 중요한 회의에 참여 중일 경우, 보험 영업 전화나 설문 조사 등과 같이 불필요한 전화가 걸려오면 일단 통화를 수행한 뒤에 통화 거절의사를 전달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받을 필요가 없었던 전화 때문에 업무 또는 회의 흐름을 놓치게 되어 막대한 손해를 보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하루에도 수십 통씩 전송되는 스팸 문자 메시지나 스팸성 자동 음성 전화 등은 가히 공해라 불릴 만큼 사용자에게 정신적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안겨주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치 않는 통화나 스팸 메시지를 수신 전에 차단해주는 서비스가 요구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자동 응답 서비스, 발신자 표시 서비스, 블랙리스트를 이용한 사전 통화 차단 서비스 및 스팸 차단 서비스 등 많은 서비스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들을 간략히 살펴보면, 먼저 자동 응답 서비스는 일정한 링 신호 후에 곧바로 호가 음성 사서함으로 넘어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본적인 통화 선택권을 부여한 가장 고전적인 서비스로서, 링 신호 시에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하면서 벨소리를 들어야 하므로 효과적이지 못하다. 또한, 발신자 표시 서비스는 링 신호 시에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전화를 건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미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전화에 대한 통화여부를 미리 판단하여 선택적으로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서, 현재 가장 널리 서비스되고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벨소리 또는 진동이 발생할 때마다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일일이 확인하고 필요한 전화인지를 판단하여야 하므로, 비효율성이 여전히 존재하며 직업상 잦은 통화가 필요한 사용자의 경우 거의 실효성이 없다. 한편, 블랙리스트를 통한 통화 차단 서비스는 통신 단말기 또는 전화국 서버에 사용자가 통화하기를 원치 않는 전화번호들을 사전에 등록하고, 해당 전화번호로부터 호 접속 요청이 있으면 통신 단말기 또는 전화국 서버에서 사전에 호를 차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치 않는 통화를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이러한 통화 차단 서비스도 사용자가 원치 않는 블랙리스트의 전화번호를 통신 단말기 또는 전화국 서버에 일일이 저장해 두어야 하고, 그 전화번호들을 모두 저장하더라도, 공중 전화 등과 같이 발신자를 알 수 없는 경우나 번호가 수시로 바뀌는 스팸성 전화 등은 차단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사용자의 요구를 완벽히 충족시킬 수는 없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단문 메시지나 무선 인터넷의 이메일을 통하여 전달되는 스팸 메시지 및 메일을 차단해주는 스팸 차단 서비스도, 앞선 통화 차단 서비스와 비슷한 개념의 서비스이기 때문에 통화 차단 서비스가 가지는 문제점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사용자인 수신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고유한 수신허용조건에 만족되는 통화만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나아가 수신허용조건에 만족하는 발신자에게는 전화 통화를 하기 전에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여, 통화 전에 동일한 음원을 청취한 공감을 일으킬 수 있다면, 수신허용조건을 만족하는 발신자와의 통화가 더욱 더 즐거운 것이다. 이러한 선별적 통화 서비스의 기쁨은 발신자에게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신허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수신 허용 전화번호, 문자 메시지 및 이메일 등과 같은 수신허용조건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신 요청이 있을 시에 수신 허용 여부에 따른 컬러링을 재생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통신 공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수신 허용 전화번호, 문자 메시지 및 이메일 등과 같은 수신허용조건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음원파일을 대응하고, 상기 수신허용조건 및 상기 음원파일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다운로드하여 수신허용조건에 대응되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하고,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신 요청이 있을 시에 수신 허용 여부에 따른 컬러링을 재생함으로써, 수신자와 발신자가 전화 통화를 하기 전에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허용조건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대응되는 벨소리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허용조건을 상기 벨소리 파일과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수신허용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허용조건을 상기 벨소리 파일과 대응시킨 대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상기 대응된 벨소리 파일의 재생음을 전송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호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 허용 조건에 대응되어 제공된 상기 벨소리를 재생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벨소리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제공된 벨소리와 동일하다.
상기 서버에 설정된 수신허용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정된 수신허용정보가 상호 상이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수신허용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정된 상기 수신허용정보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수신허용정보에 의해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에 설정된 수신허용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정된 수신허용정보가 상호 상이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허용정보를 상기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수신허용정보에 의해 갱신된다.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수신허용조건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수신허용정보와 대조하며, 상기 대조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버 각각에 설정된 수신허용조건이 상이한 경우, 상기 대응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대응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소리 다운로드 및 데이터 베이스 저장 단계를 반복하여, 다수의 벨소리의 음악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벨소리 중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설정된 전화번호에 따라 원하는 소리들을 각각 설정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벨소리 음악 파일에 상기 사용자의 벨소리 설정 정보에 따른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호의 링 신호 시에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고유 코드를 통해서 해당 벨소리의 음악 파일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벨소리 설정 시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설정된 전화번호들을 개인별, 그룹별, 등급별 및 시간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원하는 벨소리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악 파일은 엠피쓰리(MP3) 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통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유선통신 단말기이며,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모뎀; 및 상기 벨소리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벨소리 재생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와 네트워킹 된 유무선 인터넷 및 음성 사서함을 통해서 상기 음악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허용조건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대응되는 벨소리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허용조건을 상기 벨소리 파일과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상기 대응된 벨소리 파일의 재생음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벨소리 파일의 재생음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사용자가 벨소리를 설정 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설정된 전화번호들을 개인별, 그룹별, 등급별 및 시간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원하는 벨소리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악 파일은 엠피쓰리(MP3) 파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통신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유선통신 단말기이며,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벨소리 재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 및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무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각각 구현되므로, 각각의 시스템과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실시예별로 구분하여 각각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호 연동되는 무선 통신 교환기(20), 단문 메시지 센터(30), 이메일 서버(40) 및 이들과 연동되는 제어 서버(10)로 구성되며, 발신자 단말기(50)에서 무선 통신 교환기(20), 단문 메시지 센터(30), 이메일 서버(40)로 요청되는 모든 통화 및 요청 신호는 제어 서버(10)에 의하여 허가 명령에 의해서만 사용자 단말기(60)로 전송된다.
그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 통신 교환기(20)는 발신자 단말기(50)로부터 호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발신 정보 및 명령 요청 메시지를 제어 서버(10)로 전송한 뒤, 제어 서버(10)로부터 호 접속 허가 명령 메시지가 접수되면 사용자 단말기(60)로 링 신호를 발생시켜 호를 접속시킨다. 단문 메시지 센터(30)는 발신자 단말기(50)로부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발신 정보 및 명령 요청 메시지를 제어 서버(10)로 전송한 뒤, 제어 서버(10)로부터 전송 허가 명령 메시지가 접수되면 사용자 단말기(60)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메일 서버(40)는 발신자 단말기(60)로부터 이메일이 전송되면, 그 발신 정보 및 명령 요청 메시지를 제어 서버(10)로 전송한 뒤, 제어 서버(10)로부터 전송 허가 명령 메시지가 접수되면 그 이메일을 사용자 단말기(60)로 전송한다.
제어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허용조건을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11)에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는 수신허용조건을 설정 시, 수신허용조건별로 벨소리 파일을 상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예컨대, 벨소리 파일은 아래의 각 호에 따라 각각 대응될 수 있다.
1) 수신을 원하는 발신 정보에 대한 벨소리 파일.
2) 수신을 원하지 않는 발신 정보에 대한 벨소리 파일.
3) 긴급 상황에 따른 국가기관, 또는 개인으로부터의 발신에 대한 벨소리 파일.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제어 서버(10)의 모듈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서버(10)는 데이터 베이스(11), 외부 인터페이스 모 듈(16), 음성 사서함 서비스 모듈(13), 수신허용조건 설정 모듈(14) 및 제어 모듈(12)로 구성된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16)은 제어 서버(10)가 무선 통신 교환기(20), 단문 메시지 센터(30) 및 이메일 서버(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연동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 사서함 서비스 모듈(13)은 사용자 단말기(60)에 음성 사서함을 제공하며, 수신허용조건 설정 시에 절차에 따라 안내 멘트를 제공하고 입력되는 수신허용조건 데이터를 수신허용조건 설정 모듈(14)로 전달한다.
수신허용조건 설정 모듈(14)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허용조건을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11)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신허용조건의 입력을 위해서, 수신허용조건 설정 모듈(14)은 유무선 인터넷으로 수신허용조건 입력창(15)을 제공하며, 음성 서서함 서비스 모듈(13)에 수신허용조건 데이터를 전송 요청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 단말기 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60)를 이용하여 유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뒤 수신허용조건 입력창(15)에 직접 수신허용조건을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60)로 음성 사서함 서비스 모듈(13)에 접속하여 안내 멘트에 따라 수신허용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허용조건은 사용자가 수신을 원하는 전화번호, 단문 메시지 및 이메일 주소 등의 수신 허용 발신자 정보와, 시간대별로 원하는 수신 허용 발신 자만을 설정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간별 수신 허용 정보 및 통화 시에 비밀 번호를 요구할 수 있는 비밀번호 설정 정보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수신 허용 발신자 정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신 허용 전화번호 : 사용자가 통화를 해도 무방한 전화번호로서, "가족", "회사 동료", "친구" 등과 같이 그룹별로 설정이 가능하고, 전화번호별 또는 그룹별 중요도에 따라 등급을 두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사용자가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허용조건 설정 모듈(14) 또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 모듈(13)에 접속하여 직접 입력할 수도 있으나,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60)로부터 전화번호 목록(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부 목록)을 직접 다운 받을 수도 있다.
2. 수신 허용 단문 메시지 발신번호 : 사용자가 수신을 허용한 단문 메시지의 발신번호로서, 사용자가 인터넷 및 음성 사서함으로 직접 입력하거나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전화번호 목록의 다운로드가 모두 가능하나, 단문 메시지의 경우 카드 사용내역, 각종 쿠폰, 계좌 내역 등 사용자 단말기(60)의 전화번호 목록에는 없으나 사용자에게는 꼭 필요한 단문 메시지가 전송될 수도 있으므로, 이들은 개별적으로 사용자가 추가 입력한다.
3. 수신 허용 이메일 주소 : 사용자가 수신을 허용한 이메일 주소로서, 인터넷을 통해서 사용자의 직접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60)에 저장된 이메일 주소록의 다운로드가 모두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 서버(10)의 수신허용조건 설정 모듈(14)에서 제 공하는 수신허용조건 설정창(15)을 도시하는 예시도로서, 수신 허용 전화번호, 수신 허용 단문 메시지 발신번호, 수신 허용 이메일주소가 입력되며, 이들이 그룹별 및 등급별로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신허용조건 설정창(15)에는 수신허용 전화번호, 단문메시지, 및 이메일 각각에 대해 벨소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가 마련되며, 수신을 허용하는 전화번호에 대해서는 그룹별(매니저, 친구, 회사동료)로도 벨소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신허용조건 설정창(15)에는 수신이 허용되지 않은 전화번호에 대해서 별도로 벨소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시간별로 벨소리를 달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도면에서 수신 허용 정보인 시간 정보가 "AM 9 ~ 12"로, 수신 허용 등급 정보가 "1등급"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시간대에 따라 벨소리 등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수신을 원치 않는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60)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전화의 수신(통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문메시지 및 이메일주소 각각에 대해서도 벨소리를 설정할 수 있으며, 수신을 원치않는 단문메시지, 및 이메일 주소에 대해서도 별도의 벨소리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은 교환기(420), 음성 사서함 센터(430) 및 제어 서버(410)로 구성된다.
교환기(420)는 발신자 단말기(510)로부터 호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발신 정보와 명령 요청 메시지를 제어 서버(410)로 전송한 뒤, 제어 서버(410)로부터 호 접속 허가 명령 메시지가 접수되면 유선통신 단말기(500)로 링 신호를 발생시켜 호를 접속시키고, 호 접속 불허 명령 메시지가 접수되면 호를 음성 사서함 센터(430)로 접속시킨다.
음성 사서함 센터(430)는 유선통신 단말기(500)에 음성 사서함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수신 허용 조건 설정을 위한 안내 멘트를 제공하며, 그 안내 멘트에 따라 입력되는 수신 허용 조건을 제어 서버(4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수신 허용 조건은 그룹별 및 등급별 설정이 가능한 수신 허용 전화번호, 및 시간별 수신 허용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수신 허용 전화번호를 그룹별 및 등급별로 입력하고 시간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발신자와만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제어 서버(410)는 음성 사서함 센터(430)로부터 수신 허용 조건을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411)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 서버(410)는 인터넷 서비스 가능하며, 음성 사서함 센터(430)로부터 수신 허용 조건을 입력받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인터넷에 접속하여 제어 서버(410)에 수신 허용 조건을 입력할 수 있도록 수신 허용 조건 입력창(412)을 제공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유선통신 단말기(500)의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유선통신 단말기(500)는 공중 통신망(PSTN)을 통해 유선 통신 시스템(400)과 인터페이싱 하며, 호 접속을 처리하는 모뎀(501), 발신자 단말기(610)측 음성신호를 디코딩 하는 코덱(502), 사용자가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의 음성 사서함 센터(430)를 통해 제공되는 안내 메시지에 따라 수신 허용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다이얼(505)과 디스플레이(503), 유선통신 단말기(5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프로세서(504)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뎀(501)은 통상적인 음성신호를 송수신 하는 기능 이외에, 전화선을 통한 ISDN(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및 전화선을 통한 인터넷 회선과 접속하는 기능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선통신 단말기(500)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유선 통신 시스템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고, 수신 허용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앞서 도 1 ∼ 도 3을 통해 설명된 선별적 통신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무선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대한 것이다.
먼저, 무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11)에 저장된 음성 파일들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 파일은 사용자 단말기(60)로 전송하여 다운로드 시키는 동시에, 데이터 베이스(11)의 사용자 벨소리 정보에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 벨소리 정보에 저장되는 음성파일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구분되는 고유 코드가 부여되어 관리된다.
상기 발신자 단말기(50)으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100)에 호접속 요청이 있게 되면, 상기 무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50)의 호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만족되는지 확인한 다음, 상기 수신 허용조건에 만족되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50)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따르는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음을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60)으로 상기 호접속 요청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60)에서 상기 발신자와 동일한 음성 파일의 재생음을 듣기 위해서는 1) 상기 무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100)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60)으로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음을 전송하거나, 2) 상기 사용자 단말기(60)에서, 상기 호접속 요청이 상기 무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취하면 된다. 이렇게 사용자 벨소리 정보에 저장된 음성 파일은 사용자 단말기(60)에서 벨소리로 출력될 때 발신자 단말기(50)로도 동일한 벨소리가 통화 연결음으로써 출력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60)에 의해 설정된 수신허용조건에 따라 발신자 단말기(50)와 사용자 단말기(60)에 동일한 벨소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의 컬러링과는 그 개념이 다르나, 발신자 단말기(50)가 사용자 단말기(60)에 호 접속을 요청 시, 사용자 단말기(60)에서 설정한 벨소리를 청취하게 되므로 컬러링 서비스를 받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60)의 벨소리와 발신자 단말기(50)에서 듣게되는 컬러링은 동일한 음성 파일이 출력되는 것이다. 즉, 벨소리와 컬러링을 동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앞서 도 4를 통해 설명된 선별적 통신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유선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대한 것이다.
먼저,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의 데이터 베이스(411)에는 벨소리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음성 파일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유무선 인터넷 및 음성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음성 파일은 MP3와 같이 양질의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파일이다.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은 사용자(501)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411)에 저장된 음성 파일들을 제공하고, 사용자(501)가 선택한 음성 파일은 유선통신 단말기(500)로 전송하여 다운로드시키는 동시에, 데이터 베이스(411)의 사용자 벨소리 정보에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 벨소리 정보에 저장되는 음성 파일은 사용자의 벨소리 설정에 따라 구분되는 고유 코드가 부여되어 관리된다.
상기 발신자 단말기(510)으로부터 상기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에 호접속 요청이 있게 되면, 상기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510)의 호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만족되는지 확인한 다음,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만족되면 상기 발신자 단말기(510)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411)에 저장된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따르는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음을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은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500)로 상기 호접속 요청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500)에서 상기 발신자와 동일한 음성 파일의 재생음을 듣기 위해서는 1) 상기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이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500)으로 상기 음성 파일의 재생음을 전송하거나, 2) 상기 유 선통신 단말기(500)에서, 상기 호접속 요청이 상기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으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만족하는 경우,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취하면 된다. 이렇게 사용자 벨소리 정보에 저장된 음성 파일은 유선통신 단말기(500)에서 벨소리로 출력될 때 발신자 단말기(510)로도 동일한 벨소리가 통화 연결음으로써 출력된다.
이렇게 사용자 벨소리 정보에 저장된 음성 파일은 링 신호 시에 유선통신 단말기(500)에서 벨소리가 출력될 때 컬러링으로 동시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유선통신 단말기(500)의 벨소리와 발신자 단말기(510)에서 들을 수 있는 컬러링은 동일한 음성 파일이 재생된다.
도 5는 유선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501)는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수신허용조건을 입력하여야 한다(단계:S61). 수신허용조건의 입력은 웹페이지 또는 음성 사서함을 통하여 설정 가능하며, 그룹별, 등급별 및 시간별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501)는 벨소리 기능을 위해서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에 접속한 뒤 자신이 원하는 벨소리를 선택하여(단계:S62), 유선통신 단말기(500)에 다운로드받는다. 이때,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은 유선통신 단말기(500)로 전송되는 벨소리의 음성 파일을 데이터 베이스(411)에 별도로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벨소리의 음성 파일은 유선통신 단말기(500) 및 데이터 베이스(411)에 각각 저장되게 된다(단계:S63).
한편, 사용자(501)는 이러한 다운로드 과정(단계:S63)을 반복하여 유선통신 단말기(500)에 다수의 벨소리를 선택하여 다운로드받은 뒤, 앞서 설정한 수신허용조건에 따라 그 벨소리들을 다양하게 구분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단계:S64).
즉, 그룹별, 등급별 및 시간별로 설정된 전화번호에 따라 벨소리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개인 전화번호별로 다른 벨소리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사용자(501)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벨소리의 다운로드 및 벨소리 구분 설정이 수행되면,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은 유선통신 단말기(500)로 전송된 각 벨소리의 음성 파일에 사용자(501)의 벨소리 설정에 따라 고유 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 벨소리 정보로 데이터 베이스(411)에 저장한다(단계:S65).
이어서, 발신자 단말기(510)로부터 호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단계:S66), 유선 통신 서비스 시스템(400)은 그 발신자 단말기(510)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411)에 저장된 사용자(501)의 수신허용조건과 대조하고(단계:S67), 수신허용조건을 만족할 경우 데이터 베이스(411)의 사용자 벨소리 정보를 조회하여 발신자 단말기(510)의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파일을 컬러링으로 재생하고(단계:S68) 호를 접속시킨다(단계:S70). 이때, 유선통신 단말기(500)에도 컬러링과 동일한 벨소리가 출력되게 된다. 한편, 수신허용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된다(단계:S69).
도 7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를 이용하여 수신허용조건을 설정한다. 수신허용조건은 발신자의 발신정보, 예컨대 유무선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단문메시지의 발신자 정보에 대한 수신여부, 및 수신대상 발신정보에 대한 벨소리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수신대상 발신정보에 대해 각각 또는 그룹지어 설정되는 벨소리정보는 대응정보라고 표기한다.
사용자가 수신허용조건과 대응정보에 대해 설정 후,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를 통해 이를 서버로 제공하며,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수신허용조건과 대응정보를 획득하게 된다(S71). 다음으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로 호 접속이 발생하는 경우(S72),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로부터 제공된 수신허용조건과 발신자 단말기의 발신정보(예컨대, 발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대조하여 발신정보가 수신허용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한다(S73). 판단결과, 발신정보가 수신허용조건에 부합되는 경우, 서버는 대응정보에 따른 벨소리 파일을 재생하여 이를 발신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50)로 제공하며(S74), 반대의 경우 발신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50)는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의 음성 사서함으로 접속된다(S75). 발신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50)로 벨소리 재생음이 제공될 때,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는 서버에서 발신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50)로 제공된 벨소리 재생음과 동일한 벨소리가 재생된다. 이에 따라, 발신자 단말기가 수신허용조건을 만족 하는 경우 발신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50)와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에는 동일한 벨소리가 재생되며, 상호 친근감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간 수신허용정보와 대응정보를 동기화 시키는 일 예를 나타낸다.
먼저, 제어 서버(예컨대 참조부호 10)가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로 부터 수신허용정보와 대응정보를 수신 후(S81), 제어 서버(예컨대 참조부호 10)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와 교신하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예컨대 참조부호 11)와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에 마련되는 수신허용정보, 및 대응정보의 동일성을 판단한다(S82). 판단결과, 데이터베이스(예컨대 참조부호 11)에 저장된 수신허용정보와 대응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에 설정된 것과 동일하지 않으면 제어 서버(예컨대 참조부호 10)는 데이터베이스(예컨대 참조부호 11)에 저장된 수신허용정보와 대응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로 전송하여(S83)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의 수신허용정보 및 대응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도 9는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에 마련되는 수신허용정보와 대응정보를 서버로 제공하여 갱신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먼저, 제어 서버(예컨대 참조부호 10)가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로부터 수신허용정보와 대응정보를 수신한 후(S91), 제어 서버(예컨대 참조부호 10)는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와 주기적으로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 서버(예컨대 참조부호 10)의 데이터베이스(예컨대 참조부호 11)에 저장된 수신허용정 보, 및 대응정보가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에 설정된 것과 동일한지를 판단한다(S92). 판단결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어 서버(예컨대 참조부호 10)는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로 수신허용정보, 및 대응정보를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는 제어 서버(예컨대 참조부호 10)로 수신허용정보, 및 대응정보를 전송한다(S93). 제어 서버(예컨대 참조부호 10)는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로부터 제공된 수신허용정보와 대응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예컨대 참조부호 11)에 저장된 수신허용정보와 대응정보를 갱신하게 된다(S94).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참조부호 60)에 설정한 수신허용정보와 대응정보를 갱신하더라도 서버가 이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벨소리를 발신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 ∼ 도 9은 무선통신 단말기, 및 무선통신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무선통신 단말기와 무선통신 시스템을 각각 유선통신 단말기와 유선통신 시스템에 적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 르면,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수신 허용 전화번호, 문자 메시지 및 이메일 등과 같은 수신허용조건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신 요청이 있을 시에 그 수신허용조건을 대응하는 컬러링을 사용자, 및 발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통신을 원하는 발신자와 그렇지 않은 발신자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치 않는 통화, 단문 메시지 및 이메일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 통신 공해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통신 요청이 있을 시에 상기 통신 요청이 수신허용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수신자와 발신자가 전화 통화를 하기 전에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7)

  1.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허용조건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대응되는 벨소리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허용조건을 상기 벨소리 파일과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수신허용조건에 대응되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허용조건을 상기 벨소리 파일과 대응시킨 대응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호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상기 대응된 벨소리 파일의 재생음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의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 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호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 허용 조건에 대응되어 제공된 상기 벨소리를 재생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벨소리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제공된 벨소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설정된 수신허용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정된 수신허용정보가 상호 상이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수신허용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정된 상기 수신허용정보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된 수신허용정보에 의해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설정된 수신허용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정된 수신허용정보가 상호 상이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허용정보를 상기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수신허용정보에 의해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수신허용조건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수신허용정보와 대조하며,
    상기 대조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버 각각에 설정된 수신허용조건이 상이한 경우, 상기 대응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대응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다운로드 및 데이터 베이스 저장 단계를 반복하여, 다수의 벨소리의 음악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벨소리 중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설정된 전화번호에 따라 원하는 소리들을 각각 설정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벨소리 음악 파일에 상기 사용자의 벨소리 설정 정보에 따른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호의 링 신호 시에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고유 코드를 통해서 해당 벨소리의 음악 파일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8. 제 1항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벨소리 설정 시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설정된 전화번호들을 개인별, 그룹별, 등급별 및 시간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원하는 벨소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파일은 엠피쓰리(MP3)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유선통신 단말기이며,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모뎀; 및
    상기 벨소리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벨소리 재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와 네트워킹 된 유무선 인터넷 및 음성 사서함을 통해서 상기 음악 파일을 다운로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13.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허용조건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대응되는 벨소리 파일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허용조건을 상기 벨소리 파일과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호 접속이 요청되면, 상기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호 접속 요청이 상기 수신 허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상기 대응된 벨소리 파일의 재생음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벨소리 파일의 재생음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서의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벨소리를 설정 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신허용조건에 설정된 전화번호들을 개인별, 그룹별, 등급별 및 시간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원하는 벨소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파일은 엠피쓰리(MP3)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는,
    유선통신 단말기이며,
    상기 유선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벨소리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벨소리 재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KR20070016729A 2007-02-16 2007-02-16 수신자와 발신자가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는 선별적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76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729A KR20080076590A (ko) 2007-02-16 2007-02-16 수신자와 발신자가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는 선별적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729A KR20080076590A (ko) 2007-02-16 2007-02-16 수신자와 발신자가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는 선별적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590A true KR20080076590A (ko) 2008-08-20

Family

ID=3987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6729A KR20080076590A (ko) 2007-02-16 2007-02-16 수신자와 발신자가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는 선별적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65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84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ring tone data used for generating ring tone of mobile phones
CN101401406A (zh) 通过多媒体回铃音的内容共享
US7715859B2 (en) Presence engine and a method of operating a presence engine for encoding or decoding availability status into a signal representative of an audio signal
US20080153538A1 (en) Terminating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ting Device Configured to Communicate Availability Status Directly Between Terminating Devices
US7685608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operating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representations of availability status for application programs
KR20060050674A (ko)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 및 유선 통신서비스 시스템과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0616484B1 (ko) 동일한 벨소리음과 통화연결음을 수신허용조건에 따라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392097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선물 방법 및 장치
KR20120005554A (ko) 멀티미디어 호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링크 확립 방법
KR101113466B1 (ko) 통신 링크 구축 방법
KR20080076590A (ko) 수신자와 발신자가 동일한 음원을 청취하게 하는 선별적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0141416A (ja) 伝言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KR20070113174A (ko)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18805A (ko)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 및 유선 통신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0681129B1 (ko) 발신자에 의해 설정된 벨소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83169B1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69602B1 (ko) 이동 단말기 벨소리와 통화대기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10113336A (ko) 전자메일을 이용한 이동전화 착신 벨소리 제공 방법 및 그장치
WO2007097560A1 (en)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s enabling both caller and receiver to listen the same musical sound
KR100596890B1 (ko) 수신 레벨 지정을 이용한 선택적 수신방법
KR20060018804A (ko)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무선 및 유선 통신서비스 시스템과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040052799A (ko) 가상전화번호로의 매칭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5967152B2 (ja) 伝言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KR20030006095A (ko) 가입자 맞춤형 통합 메시징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2013192257A (ja) 伝言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