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712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712A
KR20080075712A KR1020070014993A KR20070014993A KR20080075712A KR 20080075712 A KR20080075712 A KR 20080075712A KR 1020070014993 A KR1020070014993 A KR 1020070014993A KR 20070014993 A KR20070014993 A KR 20070014993A KR 20080075712 A KR20080075712 A KR 20080075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air conditioner
led
uni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13928B1 (en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928B1/en
Priority to CNB2007101441656A priority patent/CN100549541C/en
Publication of KR2008007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7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9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to allow a light emitting diode of a touch button, which is turned on by touch of a human body, to emit light forward without diffusion. An air conditioner comprises a button unit(114) having a display unit and a plurality of button assemblies(170) which serve as a switch operated by touch of a human body. The button assembly includes a conductor(172), a button light emitting diode(174) selectively emitted, and a guide(176)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light emitted from the button light emitting diode. The guide protrudes forward from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button light emitting diode is installed to guide the light, which is emitted from the button light emitting diode,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button assembly.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글라스판넬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lass panel unit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튼부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portion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버튼부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button unit shown in FIG. 4;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실내기 100. 글라스판넬유니트50. Indoor unit 100. Glass panel unit

110. 디스플레이유니트 120. 강화유리판110. Display unit 120. Tempered glass plate

122. 전면무늬 124. 후면무늬122. Front Pattern 124. Back Pattern

130. 인쇄필름 134. 버튼인쇄부130. Printing film 134. Button printing part

150. 글라스지지판 170. 버튼조립체150. Glass support plate 170. Button assembly

172. 도전체 174. 버튼엘이디172. Conductor 174. Button LED

176. 안내가이드176.Guide guid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 터치(touch)에 의해 해당 버튼의 전면이 발광되고 작동 조작이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front surface of a corresponding button is emitted by a button touch and an ope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cooling / heating device installed in a space or a wall of an indoor space such as an office or a home to cool or heat a room, and is composed of a compressor-condenser-expansion valve-evaporator and constitutes a series of refrigeration cycles. .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In particular, the air conditioner is mainly an outdoor unit (sometimes called 'outside' or 'heat sink') installed outdoors, and an indoor unit (sometimes called 'indoor' or 'heat absorbing side') mainly installed inside a building. The outdoor unit is provided with a condenser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and the indoor unit is provided with an evaporator (indoor heat exchanger).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And, as is well known, the air conditioner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separately installed,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integrally installed.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 schematically shows an indoor unit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spli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분리되고, 이러한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 사이에는 냉매배관(도시되지 않음)이 연통되게 설치된다.As shown, the split type air conditioner is separated into an indoor unit 10 and an outdoor unit (not shown), and a refrigerant pipe (not shown)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not shown). do.

상기 실내기(1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캐비넷(20)에 의해 측면과 후면 외관 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넷(20)의 하부에는 베이스(22)가 구비되고, 이러한 베이스(22)의 선단 상부에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24)이 설치된다.The indoor unit 10 has a side and rear appearance are formed by the cabinet 20 formed up and down long. A base 22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20, and a front panel 24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22 to form a front exterior.

상기 전면판넬(24)의 중앙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의 측면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한 각종 버튼이 형성되는 버튼부(32)가 구비된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panel 24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30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the side of the display unit 30 is a button unit for forming various buttons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32 is provided.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일반적으로 엘이디(LED)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작동과 함께 온(on)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가 오프(off)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도 오프(off)된다.The display unit 30 is generally made of an LED (LED). Therefore, it is on with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When the air conditioner is turned off, the display unit 30 is also turned off.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상기 버튼부(32)가 기계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면판넬(24)의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전면판넬(24)의 외관이 수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button portion 32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mechanically installed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front panel 24, so the appearance of the front panel 24 is beautiful. There i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또한, 상기 버튼부(32)가 터치(touch)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각 버튼 표면부에 불빛이 나오지 않으므로, 실내가 어두운 경우에는 버튼 인식이 어려워, 공기조화기의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button part 32 is configured as a touch type, since the light does not come out on each button surface par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button when the room is dark, and thus,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air conditioner.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의 근접에 의해 작동이 가능한 터치버튼이 구비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 touch button operable by proximity of a human bod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의 터치(touch)에 의해 해당 버튼 부분이 발광 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corresponding button portion is emitted by a touch of a human body.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인체의 터치(touch)에 의해 발광되는 불빛이 외측으로 발산되지 않고 전방으로만 비추어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light emitted by a touch of a human body is not emitted to the outside but only shined forwar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인체의 근접에 의해 스위치 작용이 가능한 다수의 버튼조립체가 설치되는 버튼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조립체는, 전기를 띠는 도전체와,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버튼엘이디(LED)와, 상기 버튼엘이디(LED)에서 발생되는 불빛의 산란을 방지하는 안내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ir conditioner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button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 assemblies that can be switched by the proximity of the human body; The button assembl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nductive conductor, a button LED (LED) to selectively emit light, and a guide guide for preventing the scattering of light generated from the button LED (LED) do.

상기 안내가이드는, 상기 버튼엘이디(LED)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튼엘이디(LED)에서 발산되는 불빛을 전방으로 안내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guide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circuit board on which the button LED (LED) is installed, and guid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button LED (LED) to the front.

상기 버튼엘이디(LED)는, 다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 LED (LE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provided.

상기 버튼엘이디(LED)는, 인체가 상기 도전체에 근접함에 따라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tton LED (L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is emitted as the human body approaches the conductor.

상기 안내가이드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guid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면 외관이 수려해지고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ront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becomes beautiful and the use is convenient.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 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에는 실내기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2 schematically show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2 shows th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공기조화기는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5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기(50)의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글라스판넬유니트(100)가 구비된다. The air conditioner is composed of an indoor unit 50 and an outdoor unit (not shown) as shown. And,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50 as shown, the glass panel unit 100 is formed long and vertically formed to form the front appearance.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후방에는 외부케이스(200)가 구비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실내기(50)의 후면과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외부케이스(200)의 내부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An outer case 20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glass panel unit 100. The outer case 200 forms a rear and sid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50, and a plurality of parts for air conditioning are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e 200.

상기 실내기(50)의 하단에는 베이스어셈블리(210)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어셈블리(210)는 상기 실내기(50)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실내기(5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The base assembly 21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indoor unit 50. The base assembly 210 is a part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parts provided in the indoor unit 50, and forms a lower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50.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는 상기 실내기(5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좌측 상하단에는 판넬힌지(102)가 구비된다. 즉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판넬힌지(102)에 의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The glass panel unit 1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50. Therefore, the panel hinge 102 is provided at the upper left and lower ends of the glass panel unit 100. That i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lass panel unit 100 are rotatably fastened to the main body by panel hinges 102, respectively.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우측단에는 디스플레이유니트(11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나 기타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부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display unit 110 is provided at the right end of the glass panel unit 100. The display unit 110 is a par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r other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o the user.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한편,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전면에는 다수의 무늬가 구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전면에는 꽃무늬와 같은 다양한 이미지가 화려하게 구현되는 구성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patterns are impleme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panel unit 100. That is, as shown, the front of the glass panel unit 1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variety of images, such as floral pattern is colorfully implemented.

도 3에는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lass panel unit 100.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강화유리판(120)과, 상기 강화유리판(120) 후면에 부착되는 인쇄필름(130)과,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측에 구비되는 장식천(140)과, 상기 강화유리판(120)을 지지하는 글라스지지판(150)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glass panel unit 100 includes a tempered glass plate 120 which is formed to be transparent, a print film 130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and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Decoration cloth 140 provided on the rear side, and the glass support plate 150 for supporting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and the like.

상기 강화유리판(120)은 상하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강화유리판(120)을 통해 상기 인쇄필름(130)과 장식천(140)의 디자인이 전방 외부로 투시 가능하게 된다.The tempered glass plate 120 is made of a long rectangular shape up and down, made of a transparent glas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refore, the design of the printing film 130 and the decorative cloth 140 through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is able to see the front to the outside.

상기 강화유리판(120)에는, 장식무늬가 전사되어 강화유리판(1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장식무늬(122,124)는,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전사되어, 다양한 이미지를 형성한다.In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a decorative pattern is transferred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That is, the decorative patterns 122 and 124 are transferred to at least one of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to form various images.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장식무늬(122,124)는,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전면에 전사되는 전면무늬(122)와,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면에 전사되는 후면무늬(124)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전면무늬(122)나 후면무늬(124)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more detail, the decorative patterns 122 and 124 may include a front pattern 122 transferr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and a rear pattern 124 transferr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Of course, the front pattern 122 or the back pattern 124 may be used alone.

상기 장식무늬(122,124)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은 꽃무늬 형상은 물론, 별모양이나 기타 다른 사물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 다. The decorative patterns 122 and 124 may have various shapes. That is, the shape of the flower pattern as shown, of course, may have the shape of a star or other objects.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장식무늬(122,124)의 전사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 즉,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일면에 스프레이 도장을 하는 방법이나 실크스크린 인쇄법 등에 의해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할 것이며, 또한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전면이나 후면에 금속코팅을 하여 상기 전면무늬(122)나 후면무늬(12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transfer of the decorative patterns 122 and 124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That is, various patterns may be formed by spray coating or silk screen printing on one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and the front pattern by applying metal coating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122 or back pattern 124 may be formed.

상기 인쇄필름(130)은, 상기 강화유리판(120) 후면에 부착되는 인쇄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화유리판(120)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즉, 상기 인쇄필름(130)은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면 우측단 부근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The printing film 130 is made of a printing paper attached to the back of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an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That is, the printing film 130 is formed vertically long in the vicinity of the rear right end of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그리고, 상기 인쇄필름(130)에는 디스플레이공(13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공(132)은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12)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2)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이러한 디스플레이공(132)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12)에 표시되는 다양한 이미지가 외부로 투시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hole 132 is penetrated through the printing film 130. The display hole 132 is a portion in which the display unit 112 to be described below protrudes forward. Therefore, the display unit 112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display unit 112, and through this display hole 132, various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2 can be viewed to the outside.

상기 디스플레이공(132)의 하측에는 다수의 버튼인쇄부(134)가 인쇄된다. 상기 버튼인쇄부(134)는 아래에서 설명할 버튼조립체(170)의 각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부분으로, 여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문자나 기호 등이 표시된다. A plurality of button printing units 134 are printed below the display hole 132.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is a part for displaying each function of the button assembly 170 to be described below, and various types of characters or symbols are displayed as shown.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버튼인쇄부(134)에는 원형의 테두리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테두리 내부에는 문자나 기호가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러한 버튼인쇄부(134)에 표시된 문자 또는 기호에 의해 필요한 조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shows a circular border, and the letter or symbol is printed inside the border. Therefore, the user can perform the necessary operation by the characters or symbols displayed on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상기 장식천(140)은 상기 인쇄필름(130)의 좌측에 구비된다. 상기 장식천(140)은 실로 짠 옷이나 이부자리 따위의 감이 되는 '천'으로,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후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장식천(140)과 인쇄필름(130)의 크기 합이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크기와 대응되는 것이다. The decorative cloth 140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rinting film 130. The decorative cloth 140 is a 'cloth' which is a feeling of woven clothes or bedding, and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Therefore, the sum of the sizes of the decorative cloth 140 and the printing film 130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물론, 상기 장식천(140)이 상기 강화유리판(120)의 크기와 같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식천(140)이 상기 강화유리판(120) 및 인쇄필름(130)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장식천(140)의 우측부분은 상기 인쇄필름(130)에 가려져서 전방으로 투시되지 않게 될 것이다.Of course, the decorative cloth 140 may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Therefore, such a decorative cloth 140 will be possible to b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and the printing film 130. In this case, the right portion of the decorative cloth 140 will be hidden by the printing film 130 will not be viewed forward.

그리고, 상기 장식천(140)은 단색으로 이루어지는 외에도, 다양한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장식천(140) 자체에 다양한 무늬가 수놓여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ecoration cloth 140 may be formed to have various colors, in addition to being made of a single color, and it may be possible to allow various patterns to be embroidered on the decoration cloth 140 itself.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은 상기 강화유리판(1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강화유리판(120)과 같이 상하로 긴 직사각 형상을 가진다.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은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플라스틱과 같이 일정 강도를 가지면서도 경량인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glass support plate 150 is for supporting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and has a rectangular shape vertically long as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The glass support plate 15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preferably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such as plastic.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우측 부분에는 판넬공(15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상반부에는 상하로 긴 직사각 형상의 판넬공(152)이 관통 형 성되는데, 이러한 판넬공(152)은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12)와 버튼부(114)가 삽입되는 부분이다.The panel hole 152 is formed in the right part of the glass support plate 150. That is, the upper and lower rectangular panel hole 152 is formed through the upper half of the glass support plate 150, the panel hole 152 is the display unit 112 and the button unit 114 to be described below Is the part to be inserted.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는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상반부 우측단 부근에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는,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판넬공(152)에 삽입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112) 및 버튼부(114)와,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후면에 부착 고정되는 제어부(116)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display unit 110 is installed near the right end of the upper half of the glass support plate 150. The display unit 110, the display unit 112 and the button portion 114 is inserted into the panel hole 152 of the glass support plate 150 and the control unit fixed to the rear of the glass support plate 150 116 and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나 기타 정보가 직접적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외부로 표시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를 통해 다양한 이미지와 문자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The display unit 112 is a portion in which an operation state or other information of an air conditioner is directly displayed and displayed to the outside, and the control unit 116 controls to display various images and characters through the display unit 112. On the other hand, it is a par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디스플레이부(112) 및 상기 버튼부(114)는, 상기 제어부(116)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판넬공(152)을 통해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전방으로 보여지도록 설치된다.The display unit 112 and the button unit 114 ar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unit 116 and are installed to be seen in front of the glass support plate 150 through the panel hole 152. .

상기 버튼부(114)에는 다수의 버튼조립체(170)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조립체(17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거나, 작동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버튼조립체(170) 상측에는 리모컨(도시되지 않음)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수신부(180)가 구비된다.The button unit 11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 assembly 170. The button assembly 170 is for the user to direct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or to set the operating state. In addition, a remote control receiver 180 that receives a signal of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is provided above the plurality of button assemblies 170.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브라켓(160,162,164,166)이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60,162,164,166)은 상기 강화유리판(120) 등이 상기 글라스지지판(15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글라스지지판(150)과 강화유리 판(120)의 좌측 및 우측을 고정하기 위한 좌측브라켓(160) 및 우측브라켓(162) 그리고, 상기 글라스지지판(150)과 강화유리판(120)의 상단 및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상측브라켓(164) 및 하측브라켓(166) 등으로 이루어진다.A plurality of brackets 160, 162, 164, and 166 ar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glass support plate 150. The brackets 160, 162, 164, 166 are for fixing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to the glass support plate 150, and left brackets for fix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lass support plate 150 and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160 and the right bracket 162, and the upper bracket 164 and the lower bracket 166 and the like for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lass support plate 150 and the tempered glass plate 120.

도 4와 도 5에는 상기 버튼부(114)의 구성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에는 상기 버튼부(114)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버튼부(114)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4 and 5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button unit 114 in more detail. That is,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utton portion 114, and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button portion 114 shown in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부(114)에는 터치(touch)스위치(switch)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버튼조립체(170)가 구비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button unit 11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 assemblies 170 having a touch switch function.

상기 버튼조립체(170)는, 전기를 띠는 도전체(172)와,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버튼엘이디(LED)(174)와, 상기 버튼엘이디(174)에서 발생되는 불빛의 발산을 방지하는 안내가이드(176)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button assembly 170 may include an electric conductor 172, a button LED 174 selectively emitting light, and a guide guide for preventing light emission from the button LED 174. (176)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버튼조립체(170)는 다수의 전기적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190)에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190)의 전면에는 격자 형태의 지지가이드(192)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가이드(192)의 내부에는 다수의 안내가이드(176)가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button assembly 170 is formed on a circuit board 190 on which a plurality of electrical circuits are formed. A grating-shaped support guide 192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90, and a plurality of guide guides 176 are formed inside the support guide 192.

상기 안내가이드(176)는, 상기 회로기판(19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안내가이드(176)는 상기 버튼인쇄부(134)의 후측에 위치하게 된다.The guide guide 176 is a par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90,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s shown. The guide guide 176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상기 안내가이드(176)는 다수가 구비된다. 즉, 격자 형태의 상기 지지가이 드(192) 내부에 다수(6개) 형성되며, 이러한 안내가이드(176)는 상기 버튼엘이디(174)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외측(도 5에서는 상하좌우)으로 분산되지 않고, 전방으로만 비추어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guide 176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That is, a plurality (6)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guide 192 in the form of a grid, and the guide guide 176 is a light emitted from the button LED 174 is not distributed to the outside (up, down, left and right in Figure 5). Instead, it serves to guide the light forward only.

상기 버튼엘이디(174)는 상기 회로기판(190)의 전면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 버튼엘이디(174)는 통상 발광다이오드(luminescent diode)라 불리는 것으로, 발광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버튼엘이디(174)는 다수(3개)가 사용된다. 즉, 3개의 버튼엘이디(174)가 정삼각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안내가이드(176) 내측 부분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The button LED 174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90. The button LED 174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luminescent diode and is used for light emission. The button LEDs 174 are used in plural (three). That is, the three button LEDs 174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the guide guide 176 to have an equilateral triangular shape.

상기 도전체(172)는 상기 안내가이드(176)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도전체(172)는 박막(薄膜, thin film)형태의 금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도전체(172)에 의해 인체의 전류를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버튼인쇄부(134)에 인체가 닿게 되면, 상기 버튼인쇄부(134)와 도전체(172) 사이에는 정전용량에 의한 전류흐름이 형성되어 신호입력이 수행되는 것이다.The conductor 172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guide 176. The conductor 172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in the form of a thin film. The conductor 172 detects a current of the human body. That is, when the human body is in contact with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a current flow by the capacitance is formed between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and the conductor 172 to perform a signal input.

상기 도전체(172)는 상기 회로기판(19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이러한 도전체(172)와 회로기판(190) 사이에는 도전체지지부(178)가 형성된다. 상기 도전체지지부(178)는 상기 도전체(17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신호처리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즉, 상기 버튼인쇄부(134)에 인체가 접촉하여 상기 버튼인쇄부(134)와 도전체(172) 사이에는 정전용량에 의한 전류흐름이 형성되면, 이러한 전류를 상기 제어부(116)에서 인식 가능한 형태로 신호를 처리한다.The conductor 172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19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conductor support part 178 is formed between the conductor 172 and the circuit board 190. . The conductor supporter 178 supports the conductor 172 and has a signal processing function. That is, when a human body contacts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and a current flow due to a capacitance is formed between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and the conductor 172, the current may be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116. Process the signal in the form.

한편, 상기 버튼엘이디(174)는 선택적으로 발광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가 상기 버튼인쇄부(134)에 닿게 되면, 상기 버튼엘이디(174)는 발광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일정 시간동안 계속된다. 물론, 이러한 버튼엘이디(174)의 발광이 리모컨(도시되지 않음)의 조작이나,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와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button LED 174 is selectively emitted. In more detail, when the human body touches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the button LED 174 emits light, and this state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f course, it will be possible to make the button LED 174 emit light in conjunction with an ope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or an operating state of an air conditioner.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기본적인 작용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작용과 동일하므로 전반적인 작동 상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도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와 같이 냉방 또는 난방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기본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Since the basic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general air conditioner, description of the overall operating state is omitted. That is,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basic function of selectively performing cooling or heating like a general air conditioner.

따라서, 상기 실내기(50)의 하반부 좌우를 통해서는 실내공간의 공기가 흡입되고, 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열교환이 일어난 다음, 실내공간으로 다시 토출된다.Therefore, air in the indoor space is sucked through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door unit 50, heat exchange occurs through a heat exchanger (not shown), and then discharged back into the indoor space.

그리고,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는 상기 판넬힌지(102)를 축으로 시계방향(상방에서 볼 때)으로 회전하여 개방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glass panel unit 100 may be opened by rotating the panel hinge 102 in a clockwise direction (viewed from above) about its axis.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유니트(110)를 통해서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나 기타 정보가 외부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를 통해 외부로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제어부(116)의 명령에 따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the operating state or other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displayed to the outside. Information displ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112 follows the command of the controller 116.

또한, 본 발명에서의 버튼기능은 터치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인체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글라스판넬유니트(100)의 전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버튼인쇄부(134)에 손가락과 같은 인체를 접촉시키면, 이러한 인체의 접촉에 의해 동작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6)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utton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touch switch. That is,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human body. Therefore, when a human body such as a fing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display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panel unit 100,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human body, and the controller 116 controls air conditioning. It will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그리고, 상기 버튼인쇄부(134)의 전면에 인체를 접촉시키면, 해당 버튼인쇄부(134)는 밝게 빛난다. 즉, 상기 버튼인쇄부(134)에 손가락 등이 닿게 되면, 이러한 인체의 전류에 의해 상기 도전체(172)가 대전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엘이디(174)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human body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shines brightly. That is, when a finger or the like touches the button printing unit 134, the conductor 172 is charged by the electric current of the human body to serve as a switch. Therefore, power is supplied to the button LED 174 to emit light.

이에 더하여, 상기 버튼엘이디(174)에서 생성되는 불빛은 전방으로만 조사된다. 즉, 상기 다수의 버튼엘이디(174)는 상기 안내가이드(176)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므로, 이러한 버튼엘이디(174)에서 발생되는 불빛은 외측으로 분산되지 않고, 전방으로만 비추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주변의 다른 버튼으로는 불빛이 비추어지지 않고, 인체와 접촉되는 해당 버튼 전면만 밝게 빛나므로, 사용자가 작동 버튼을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ight generated by the button LED 174 is irradiated forward only. That is, since the plurality of button LEDs 174 are surrounded by the guide guide 176, the light generated by the button LEDs 174 is not only distributed to the outside, but only shines forward. Therefore, the light does not shine with other buttons around, and only the front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shines bright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operation button.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는, 다양한 모양의 장식무늬가 전사된 글라스판넬유니트에 의해 전면외관이 형성되고, 이러한 글라스판넬유니 트에는 터치스위치 기능을 가지는 버튼이 구비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수려해지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ont exterior formed by a glass panel unit to which various decorative patterns are transferred, and the glass panel unit is provided with a button having a touch switch function.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as a whole is beautifu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버튼조립체에 빛을 발하는 엘이디(LED)가 구비되며, 이러한 엘이디(LED)에서 발광되는 빛은 외측으로 분산되지 않고 전방으로만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어두운 환경에서도 버튼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되며, 불빛이 외측으로 분산되지 않으므로 해당 버튼의 인식이 보다 명확하게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LED (LED) for emitting light to the button assembly is provid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LED) is configured to be irradiated only to the front without being disper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button operation is easier in a dark environment, and since the light is not distributed to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cognition of the corresponding button is more clearly possibl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수려해짐은 물론,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appearance of the air conditioner is beautiful, but also the user's operation is convenient.

Claims (5)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인체의 근접에 의해 스위치 작용이 가능한 다수의 버튼조립체가 설치되는 버튼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An air conditioner hav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a button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 assemblies that can be switched by the proximity of the human body; 상기 버튼조립체는,The button assembly, 전기를 띠는 도전체와,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버튼엘이디(LED)와, 상기 버튼엘이디(LED)에서 발생되는 불빛의 산란을 방지하는 안내가이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conductive conductor, a button LED (LED) selectively emitting light, and a guide guide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light generated from the button LED (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guide, 상기 버튼엘이디(LED)가 설치되는 회로기판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튼엘이디(LED)에서 발산되는 불빛을 전방으로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button LED (LED) is projected forward from the circuit board is installed,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guid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button LED (LED) to the fron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엘이디(LED)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utton LED (LED), 다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is provid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엘이디(LED)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utton LED (LED), 인체가 상기 도전체에 근접함에 따라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ed as the human body approaches the conduct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가이드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guide guide,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An air conditioner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KR1020070014993A 2007-02-13 2007-02-13 Air conditioner KR1013139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993A KR101313928B1 (en) 2007-02-13 2007-02-13 Air conditioner
CNB2007101441656A CN100549541C (en) 2007-02-13 2007-12-13 Air-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993A KR101313928B1 (en) 2007-02-13 2007-02-13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712A true KR20080075712A (en) 2008-08-19
KR101313928B1 KR101313928B1 (en) 2013-10-01

Family

ID=3987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993A KR101313928B1 (en) 2007-02-13 2007-02-13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3928B1 (en)
CN (1) CN100549541C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993B1 (en) * 2008-09-11 2012-02-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anel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housing
US8203091B2 (en) 2009-01-06 2012-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503282B1 (en) * 2008-11-14 201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101533315B1 (en) * 2008-11-17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380A (en) * 2009-01-16 2010-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of
CN104596082B (en) * 2015-01-21 2017-10-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Split-floor type air conditioner and glass panel component
KR102334744B1 (en) * 2017-03-06 2021-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129Y1 (en) * 1997-08-29 1999-11-15 윤종용 Display assembly device of airconditioner
KR20030043051A (en) * 2001-11-26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A display panel's structure of the air-conditioner
KR100443927B1 (en) * 2001-12-24 2004-08-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The structure of button having the whole type at air-conditioner
KR100626430B1 (en) * 2005-01-28 200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993B1 (en) * 2008-09-11 2012-02-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anel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housing
KR101503282B1 (en) * 2008-11-14 201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101533315B1 (en) * 2008-11-17 2015-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US8203091B2 (en) 2009-01-06 2012-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9541C (en) 2009-10-14
KR101313928B1 (en) 2013-10-01
CN101245934A (en)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928B1 (en) Air conditioner
US8203091B2 (en) Switch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US20190287743A1 (en) Wall mounted control device with interchangeable buttons
US9080785B2 (en) Display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TWI521117B (en) Washing machine
CN102042655B (en) Touch display screen of air conditioner
US10327299B2 (en) Lighting apparatus
KR101466296B1 (en) Air conditioner
KR20130142483A (en) An display device and a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reof
KR101533315B1 (en) Air conditioner
KR101198094B1 (en) The image display device which is affixed in the switch and the smart switch which has this
JP5335535B2 (en) Electric appliance having an illumination panel
KR20090125543A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JP2003223125A (en) Display device
KR100805418B1 (en) Glass-panel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503282B1 (en) air conditioner
WO2009014331A2 (en) Air conditioner
KR101339518B1 (en) Air conditioner
CN219083003U (en) Desk lamp
CN209524639U (en) Control panel, display panel, water heater and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US20230152504A1 (en) Home appliance
KR200422709Y1 (en) Button sturcture of vehicle
CN218957580U (en) Reset structure, key switch and intelligent control system
JP5519845B2 (en) Electric appliance having an illumination panel
KR200165756Y1 (en) Control part structure of aircond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