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628A -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및 그의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및 그의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628A
KR20080073628A KR1020070113775A KR20070113775A KR20080073628A KR 20080073628 A KR20080073628 A KR 20080073628A KR 1020070113775 A KR1020070113775 A KR 1020070113775A KR 20070113775 A KR20070113775 A KR 20070113775A KR 20080073628 A KR20080073628 A KR 20080073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mobile robot
docking station
automatic charg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277B1 (ko
Inventor
최혁렬
노세곤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8007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using batteries, e.g. as a back-up power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15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pecial kind of manipulator, e.g. planar, scara, gantry, cantilever, space, closed chain, passive/active joints and tendon driven manipulators
    • B25J9/162Mobile manipulator, movable base with manipulator arm mounted on 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01Mobile rob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이동로봇이 자동충전을 위해 도킹스테이션에 접근하는 경우 접근경로의 진입각도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고 배터리 충전 중에도 지속적으로 이동로봇이 작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는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원 공급 및 충전을 위한 도킹 스테이션과 이동로봇의 도킹부 조립체로 이루어진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도킹부 조립체는 도킹부의 N극 자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킹 스페이션은 삽입부의 S극 자석부와 삽입부의 N극 자석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도킹부 조립체의 도킹은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유도되는 것과 동시에 도킹 후 배터리 충전 간 상기 자석부가 맞물려 이동로봇이 상기도킹 스테이션으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충전을 위한 도킹 시 도킹실패율을 줄일 수 있으며, 충전 간 임무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충전 중간이나 충전 완료 후, 스스로 재 기동을 실시, 지속적인 임무 수행을 할 수 있다.
이동로봇, 자동충전, 도킹

Description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및 그의 충전 방법{Auto Recharging System for Mobile Robo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로봇의 자동충전을 위한 도킹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로봇이 자동충전을 위해 도킹스테이션에 접근하는 경우 접근경로의 진입각도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고 배터리 충전 중에도 지속적으로 이동로봇이 작동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는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봇의 어원은 슬라브어의 ROBOTA(노예 기계)에 유래된다고 되어 있다. 이러한 로봇은 대부분이 공장에서의 생산 작업의 자동화·무인화 등을 목적으로 한 다관절 아암·로봇(매니퓰레이터)이나 반송 로봇 등의 산업용 로봇(industrial robot)이었다. 이러한 암형 로봇과 같이 특정한 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타입의 로봇이나 행동 반경 또는 동작 패턴이 한정된 로봇인 경우, 상용 AC 전원으로부터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항상 급전할 수 있다.
즉, 1955년부터 산업용 로봇 연구가 시작된 이래 1961년 미국의 GM(General Motors) 자동차 공장에서 최초의 산업용 로봇 `Unimate'가 실용화되었고, 1980년대 부터 세계의 경제 활동이 양적인 확대로부터 질적인 향상으로 전환되고 제품의 다양화가 이루어지면서 산업용 로봇은 급속도로 발전을 해왔다. 또한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컴퓨터, 인터넷의 확산은 가정생활을 혁명적으로 변화시켰고, 최근 IT, BT, NT 등의 기술은 기존의 산업용 로봇 개발을 바탕으로 축적된 로봇 기술과 접목되어 지능형 로봇(비제조업 로봇)분야를 형성하게 되었다. 지능형 로봇은 이동 기능과 인공지능이 융합된 첨단 로봇을 말하며, 산업현장에서 생산성 증대를 위해 단순 반복적인 작업에 사용된 산업용 로봇과는 달리,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능력을 가지며 인간 실생활 환경에서 인간과 공존하며 복지 증진을 위해 직간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능형 로봇은 10대 차세대 성장 동력 사업 중 하나로 채택되어 미래의 중요한 기술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우체국 내의 지능형 서비스 로봇 활용, 청소로봇의 시장화와 함께 지능형 로봇 분야는 이미 일상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인간에게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서비스 로봇은 구동 환경의 특성상 이동 로봇 플랫폼(mobile robot platform)의 형태로 이동성을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인간이 활동하는 대부분의 주거환경이나 근로환경 등이 평지에 가까운 형태를 띠고 있고, 최근 계단 이외에도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이동 로봇은 보행 로봇에 비하여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저가에 개발과 제어가 가능하므로 최근 많은 서비스 로봇 시장을 이동 로봇이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로봇이 다양한 임무를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로봇의 에너지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현재 대부분의 이동 로봇은 배터리를 내장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1~2시간 정도의 구동 시간만을 보장하고 있어 계속적인 임무수행에 제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로봇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다시 구동시켜 임무를 부여하는 행위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로봇이 독립적이고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발전해 나가는데 저해되는 요인 중 하나로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로봇이 스스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수행 중이던 임무를 계속 유지하는 자동충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충전 기능은 일부 로봇에게는 필수적인 부분이다. 예를 들어 경비 로봇 또는 공공장소의 서비스 로봇과 같은 경우는 항시 로봇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유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잠시라도 배터리의 부족으로 경비 로봇, 서비스 로봇의 시스템이 종료되거나 로봇이 임무를 수행하지 못하면 경비 임무에 차질을 가져오거나 서비스를 수행하지 못하여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앞으로 로봇 기술이 점차 발전해 감에 따라 보다 중요하고 지속적인 임무를 수행하는 로봇들이 증가하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자동충전 기술은 점차 로봇의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즉 최근에는 가정용 청소로봇의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무실, 관공서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대형 모바일 로봇 또한 계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로봇의 자동충전시스템은 로봇의 안정적이고 지 속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율 로봇 장치는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도킹 스테이션에서 재충전되는 온-보드(on-board) 전력 유닛(통상적으로 배터리)을 포함한다. 로봇들이(예컨대, 무선 신호, 추측 항법(dead reckoning), 초음파 빔, 무선 신호에 결합된 적
외선 빔 등)으로 도킹 또는 탐색함에 있어 사용하는 방법과 충전 스테이션의 타입은 효율성과 응용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다. 로봇이 동작하는 지면 아래에 와이어를 매립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나, 적용 시에는 분명히 한계가 있는데, 왜냐하면 빌
딩의 바닥에 또는 도로면 아래에 안내 와이어를 설치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안내 와이어가 표면에 설치되는 경우, 그 안내 와이어는 로봇 자체에 의해 또는 다른 통행체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와이어는 베이스 스테이션이 재배치되면 이동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베이스 스테이션이 로봇 장치를 유인하기 위한 빔 또는 비콘(beacon)을 방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런 장치는 여전히 수많은 동작적인 한계를 나타낸다.
즉 자율적 또한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타입의 이동 로봇인 경우, 전원 케이블에 의해서 행동 반경이 제한되게 되기 때문에, 상용 AC 전원에 의한 급전은 불가능하다. 이 당연한 귀결로서, 이동 로봇에는 충전식 배터리에 의한 자율 구동이 도입된다. 배터리 구동에 따르면 이동 로봇은 전원 콘센트의 장소나 전원 케이블 길이 등의 물리적인 제약을 의식하지 않고 사람의 주거 공간이나 각종 작업 공간을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다.
단지, 배터리 구동식의 로봇에는 배터리의 충전 작업이 따르는 것이 난점이 된다. 이동 로봇은 자동 기기로서 사용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충전 작업은 완전 자동화의 장벽이 된다. 또한, 충전을 위한 배터리 교환이나 전원 커넥터 접속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번거롭기도 하다.
그래서, 이동 로봇을 위한 배터리 충전을 확실하게 또는 완전히 자동화하는 방식으로서, 소위 「충전 스테이션」이 도입되고 있다. 충전 스테이션이란, 그 문자 그대로 이동 로봇의 배터리 충전을 행하기 위한 전용 스페이스를 뜻한다.
로봇이 자주식(自走式)·자율적인 작업을 행하고 있는 기간 중에 배터리의 잔존 용량이 저하한 것을 검지하면 작업을 중단하고 스스로(즉, 자동적으로) 충전 스테이션에 다가선다. 충전 스테이션 내에서는 로봇과 전원 간에서 소정의 전기 접속을 완수하고 배터리로의 급전을 받는다. 그리고, 배터리가 만충전 혹은 소정 용량까지 회복되면, 전원과의 전기 접속을 해제함과 함께 충전 스테이션을 떠나 중단했던 작업을 재개한다.
예를 들면, 작업 공간 내에 복수의 충전 스테이션을 설치함으로써, 이동 로봇은 가장 가까운 충전 스테이션에서 급전을 받을 수 있다. 즉, 이동 로봇은 충전 스테이션 간을 넘어서 이동할 수 있어 행동 반경이 실질적으로 확장된다. 또한,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을 복수의 로봇 간에 공유할 수 있어 충전 스테이션수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기능의 일부를 충전 스테이션에 이관함으로써 로봇 본체의 요구 사양이나 중량, 비용 등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에 관한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4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7-0012121(2007.01.25 공개)호, 2007- 0007977(2007.01.16 공개)호, 2006-0134368(2006.12.28 공개)호, 2006-0134367(2006.12.28 공개)호, 2006-0127904(2006.12.13 공개)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개특허공보 2006-0127904호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또는 결합 위치에서의 베이스 스테이션과 로봇 장치의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베이스 스테이션은 거의 수평인 기초판과 거의 수직인 보강벽으로 이루어지며, 기초판은 베이스 스테이션이 놓여지는 지표면에 일반적으로 평행하지만, 보강벽을 향하여 약간 위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전기적인 충전 접촉부는 기초판의 윗면에 위치되어, 이 접촉부가 로봇 장치(40)의 밑면상의 대응하는 접촉부에 접촉하게 된다. 접촉부 또는 로봇 상의 접촉부는 고정되거나 연성을 가지며, 접촉부는 로봇 상의 대응하는 접촉부에 신뢰성 있게 반복적으로 접촉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위치된다. 즉, 접촉부는 로봇 접촉부와의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돔(domed) 형태로 기초판 위로 확대되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7-0012121호(2007.01.25 공개)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7-0007977호(2007.01.16 공개)
[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6-0134368호(2006.12.28 공개)
[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6-0134367호(2006.12.28 공개)
[문헌 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6-0127904호(2006.12.13 공개)
그러나, 상술한 공보 등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대다수의 이동로봇용 충전시스템은 도킹 시 로봇의 접근 오차 보상 가능 범위가 상당히 작아 실질적인 효율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으며, 도킹 후 배터리 충전 시 로봇의 운영체제가 종료된 후 배터리의 충전이 시작되기 때문에, 배터리 완충 후 로봇이 임무를 계속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도킹스테이션에 위치한 로봇의 전원을 켜고 구동시켜, 다시 임무를 부여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킹스테이션으로의 다양한 진입각도에 대한 오차를 보상하여 주며, 배터리 충전 시에도 별도의 전원공급부를 두어 지속적인 이동로봇의 전원 확보 및 임무 수행을 할 수 있게 하여주는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은 전원 공급 및 충전을 위한 도킹 스테이션과 이동로봇의 도킹부 조립체로 이루어진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도킹부 조립체는 도킹부의 N극 자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킹 스페이션은 삽입부의 S극 자석부와 삽입부의 N극 자석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도킹부 조립체의 도킹은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유도되는 것과 동시에 도킹 후 배터리 충전 간 상기 자석부가 맞물려 이동로봇이 상기도킹 스테이션으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페이션은 도킹 시 발생하는 진입각도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비틀림 스프링과 구름 베어링에 의해 구현되는 회전 1축 자유도(1DOF)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 조립 체는 도킹 시 발생하는 진입위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도킹부 압축스프링과 볼 부시 베어링에 의해 구현되는 병진 1축 자유도(1DOF)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봇의 자동충전 간 이동로봇의 지속적인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자동충전 시스템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 조립체의 도킹부분은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부분은 회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조립체는 상기 도킹부 조립체에서 돌출한 형상이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부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이동로봇의 도킹은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마련된 제1 및 제2의 적외선 송신기와 상기 이동로봇의 전방에 마련된 적외선 송수신 센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돌출부 조립체는 상기 이동로봇의 후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봇은 전방으로 진행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송수신하고, 충전시 180°회전 후, 후진 하여 도킹 스테이션과 도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방법은 전원 공급 및 충전을 위한 도킹 스테이션과 이동로봇의 도킹부 조립체로 이루어진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로봇의 충전이 필요한가 판단하는 충전 판단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이동 로봇과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의 거리 및 방향이 일정한 거리 및 방향인가 판단하는 위치 판단 단계, 상기 위치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동 로봇과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위치 관계가 미리 정한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 로봇의 위치를 180°회전시켜,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도킹부 조립체를 도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도킹부 조립체를 도킹시키는 단계는 자석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이동로봇의 위치 판단은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마련된 제1 및 제2의 적외선 송신기와 상기 이동로봇에 마련된 적외선 송수신 센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적외선 송신기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왼쪽과 오른쪽으로 구분되어 배치되어 서로 다른 영역으로 각각 신호를 보내고, 상기 미리 정한 위치는 상기 각각의 신호가 동 시에 검출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을 위한 도킹 시 도킹실패율을 줄일 수 있으며, 충전 간 임무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충전 중간이나 충전 완료 후, 스스로 재 기동을 실시, 지속적인 임무 수행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에 의하면, 이동로봇이 다양한 각도로부터 도킹 스테이션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오차를 보정하여 주며, 배터리 충전과 동시에 이동로봇으로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 중에도 이동로봇이 지속적으로 동작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 구성 및 및 작동에 대해 도 1 및 도 2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과 도킹 스테이션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은 진입 위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병진 1축 자유도(1DOF)를 가지며 자력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유도되는 도킹부 조립체(1)와 진입 각도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회전 1축 자유도(1DOF)를 가지며, 자력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유도되는 삽입부 조립체 및 도킹완료 시 자동충전 및 개별 전원공급을 위한 접지부 조립체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도킹이 완료되면 전원공급모듈(SMPS)로부터 충전모듈과 삽입부 조립체와 도킹부 조립체를 통하여 배터리 충전을 실시하게 되며, 동시에 충전 간 이동로봇(100)의 지속적인 임무수행을 위해 외부 공급 전원이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 개발된 도킹을 위한 시스템은 이동 로봇(100)이 도킹 스테이션(2)으로의 접근 방법으로서 적외선 송수신 센서(101)를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100)은 도킹 스테이션(2)의 제1의 적외선 송신부(201) 및 제2의 적외선 송신부(202)에서 출력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의 적외선 신호를 로봇의 전방에 장착된 적외선 송수신 센서(101)로 감지하여 도킹 스테이션(2)으로 접근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의 적외선 송신기(201, 202)는 도킹 스테이션(2)의 왼쪽과 오른쪽으로 구분되어 배치되어 서로 다른 영역으로 신호를 보내게 되며, 두 개의 신호를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중복되는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이 영역은 이동 로봇(100)이 도킹 스테이션(2)의 위치를 기준으로 되게 한다. 즉, 이동 로봇(100)이 두 개의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게 되어 오른쪽 적외선 신호만 검출하게 된다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왼쪽 적외선 신호만 검출되면 시계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두 개의 신호가 동시에 검출되는 영역으 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도킹 스테이션(2)의 중심부로 점차 접근하게 된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2)으로부터 도킹 가능 거리보다 짧은 거리에 로봇이 위치하게 되면 후진 및 적외선 센서 감지를 위한 자율 주행의 반복을 통하여 다시 도킹스테이션에 접근을 시도하게 된다. 즉, 이동 로봇(100)과 도킹 스테이션(2)과의 거리 및 방향이 일정한 거리 및 방향으로서, 상술한 두 개의 신호가 동시에 검출되는 영역으로의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다.
각 적외선 신호의 수신은 마이크로컨트롤러(MCU, 102))를 통해서 처리되며, 처리된 값은 CAN 통신을 통해 로봇 내의 SBC로 전달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컨트롤 보드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며, 보드는 위에서 열거한 기능 외에 자동충전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개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로봇(100)은 본연의 동작을 위한 작동을 실행하고(S10), MCU(102)는 이동 로봇(100)의 충전상태를 판단한다(S20), 단계S20에서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송수신 센서(101)를 통해 도킹 스테이션(2)의 위치를 추적한다(S30).
본 발명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으로의 호밍(homing) 메커니즘을 통하여 이동 로봇(100)이 도킹 스테이션(2)에 일정 거리, 즉 도킹을 실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이동 로봇(100)과 도킹 스테이션(2) 사이의 거리 및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S40), 이동 로봇(100)은 정지(S50)한 후, 약 180°를 회전(S60)하여 로봇의 후방부에 장착되어 있는 도킹부 조립체(1)가 도킹 스테이션(2)을 향하도록 한다. 이는 도킹 모 듈인 도킹부 조립체(1)가 이동 로봇(100)의 후방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이동 로봇(100)의 전방부에는 장애물 감지를 위한 센서들이 장착되어 있어 도킹 모듈이 센서 신호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기 위함이다. 또한 대부분의 서비스 이동 로봇의 경우는 컨트롤을 위한 LCD창이 전방부에 장착되어 있어, 전방에 도킹 모듈이 장착되어 있다면 충전 시 LCD창을 사용하기 힘든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100)은 약 180°회전 후, 후방에 위치한 양쪽의 적외선 거리 측정 센서로부터 얻게 되는 도킹스테이션까지의 거리 값을 이용하여 로봇의 자세를 제어하면서 후진하여 도킹 스테이션(2)에 도킹을 하게 된다(S70).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확히 계산하면서 도킹을 시도하더라도 로봇과 도킹 스테이션(2) 간에는 오차가 생길 수 있으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킹 메커니즘을 고려하여 도킹부를 설계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킹부 설계 및 제작에서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도킹부 간의 마모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자력을 이용한 새로운 도킹부의 설계를 하였다. RCC(Remote Center Compliance) 메커니즘에서의 마찰력의 관계를 이용한 오차 보상 방법 대신 자석의 인력과 척력을 이용한 방법은 마찰에 의한 기구부의 마모를 줄이고,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기구부를 원활히 움직이게 하여 오차를 보상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자력에 의하여 오차 보상이 이루어지지만, 자력의 힘이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기본적인 로봇의 도킹 모듈과 도킹스테이션(2)의 도킹부 형상은 마찰력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오차 보상을 위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도킹부 조립체(1)의 도킹부분은 부싱 베어링 및 스프링을 이용하여 전후 방향의 직선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도킹 스테이션(2)의 도킹부분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 및 구름베어링을 사용하여 회전 움직임 또한 가능하다. 또한 도킹부 조립체(1)의 도킹부는 LM 가이드 및 스프링을 이용하여 좌우 직선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인력과 척력의 관계를 이용하여 도킹부 조립체(1)의 도킹부가 도킹스테이션(2)의 도킹부에 들어가 접촉되게 된다. 도킹부가 정면에 있을 때는 좌우 거리 오차를 가지고 로봇이 접근하는 경우 도킹 스테이션(2)의 도킹부의 N극과 도킹부 조립체(1)의 도킹부 N극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게 되어 도킹부 조립체(1)의 도킹부가 도킹 스테이션(2)의 형상에 맞도록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도킹부 조립체(1)의 N극과 도킹 스테이션(2)의 S극간의 인력으로 도킹스테이션(2)의 도킹부는 이동 로봇(100) 쪽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결합하게 된다. 또 거리 및 각도 오차를 가지고 이동 로봇(100)이 접근하는 경우는 서로 간의 거리가 가까운 오른쪽의 N극과 S극의 인력으로 인해 도킹스테이션(2)의 도킹부가 이동 로봇(100) 방향으로 접근할 뿐만 아니라 도킹스테이션(2)의 S극과 도킹부 조립체(1)의 N극간의 인력으로 도킹스테이션(2)의 도킹부의 각도가 변화하여 서로 도킹을 성공하게 된다.
또한 도킹이 결합된 후에도 도킹부 간의 인력과 도킹스테이션의 전후 방향 직선 움직임이 가능한 자유도는 도킹의 결속을 유지시켜 각 단자의 접촉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도킹이 완료되면, 충전이 개시된다(S80).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 로봇(100)은 로킹 스테이션(2)과 분리되고, 단계S10으로 진행하여 통상의 동작을 실행한다.
다음에 도 1에 도시된 도킹부 조립체(1)과 도킹 스테이션(2)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제인 이동로봇을 위한 자동충전 시스템의 전면 사시도 이며, 도 4는 이동로봇을 위한 자동충전 시스템의 후면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핵심인 도킹시스템 모듈의 전면 확대 사시도 이며, 도 6은 도킹시스템 모듈의 후면 확대 사시도 이며, 도 7은 삽입부 조립체의 부분 투명도이며, 도 8은 도킹부 조립체의 부분 투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은 전원 공급 및 충전을 위한 도킹 스테이션(2)과 이동로봇(100)의 도킹부 조립체(1)로 분류된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부 조립체(1)은 전면의 돌출부 조립체(3),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한 도킹부 유도를 위한 도킹부의 N극 자석부(4), 접근 위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병진 1축 자유도(1DOF)를 제공하는 볼 부시 베어링(6), 도킹부의 압축 스프링(5), 충전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돌출부측 접지부 조립 체(7), 돌출부측 접지부의 충전 전원 연결 단자(8) 및 돌출부측 접지부의 외부 공급전원 연결 단자(9)로 구성된다.
도킹 스테이션(2)은 도킹부 조립체(1)와 접촉하여 충전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삽입부측 접지부 조립체(18), 접근 각도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회전 1축 자유도(1DOF)를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13),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한 삽입부 유도를 위한 삽입부의 S극 자석부(14), 삽입부의 N극 자석부(15), 구름 베어링(16),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모듈(12), 충전모듈 및 이동로봇으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모듈(11), 삽입부측 접지부의 충전 전원 연결 단자(19), 삽입부측 접지부의 외부 공급전원 연결 단자(20) 및 삽입부측 회전모듈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의 동작을 도 9 및 도 10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이동 로봇의 도킹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이동 로봇과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킹부 조립체(1)는 이동로봇에 장착되어 이동로봇이 배터리 충전을 위해 도킹스테이션으로의 도킹을 시도 시, 도킹부의 N극 자석부(4)가 삽입부 조립체(10)의 삽입부의 S극 자석부(14) 및 삽입부의 N극 자석부(15)에 의한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유도된다.
도킹완료 후 전류센서에 의해 돌출부측 접지부 조립체(7)가 삽입부측 접지부 조립체(18)에 접지된 것이 감지되면, 배터리의 충전이 실시되며, 충전 간 로봇의 지속적인 임무수행 대기 및 데이터 보존을 위하여 돌출부측 접지부의 외부 공급전원 연결단자(9)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도킹 스테이션(2)은 삽입부 조립체(10), 전원공급모듈(11), 충전 모듈(12)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킹 및 충전 시 이동로봇의 배터리 충전 및 외부전운 공급 기능을 수행한다.
삽입부 조립체(10)는 충전 및 외부전원 공급을 위한 삽입부측 접지부 조립체(18)와 회전 1축 자유도(1DOF)를 가지는 삽입부측 회전모듈(21)로 구성되어 있다.
접지부 조립체(18)는 충전 시, 삽입부측 접지부의 충전 전원 연결 단자(19)를 통하여 배터리 충전을 실시하며, 삽입부측 접지부의 외부 공급전원 연결 단자(20)를 통하여 로봇으로의 외부전원을 공급한다.
삽입부측 회전모듈(21)에는 삽입부의 S극 자석부(14)와 삽입부의 N극 자석부(15)가 부착되어 도킹 간 도킹부의 N극 자석부(4)에 의한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유도된다. 각각의 자석부는 도킹완료시 서로 상극끼리 부착되며 자석부에 의한 인력은 충전 간 외부작용에 의한 이동로봇의 도킹 스테이션(2)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킹부 조립체(1)와 삽입부 조립체(10)는 도킹 간 발생하는 위치 및 각도 오차 보정을 위하여 각각 도킹부 압축 스프링(5)과 볼 부시 베어링(6)에 의해 구현되는 병진 1축 자유도(1DOF)와 비틀림 스프링(13)과 구름 베어링(16) 및 삽입부 압축 스프링(17)에 의해 구현되는 회전 1축 자유도(1DOF)를 가진다.
충전모듈(12)은 충전 간 배터리의 잔량 측정 및 충전상태를 관리하며, 전원공급모듈(11)은 충전을 위한 배터리로의 전원 공급 및 이동로봇으로의 외부전원 공급의 기능을 수행한다.
충전 완료 후에는 도킹부 조립체(1)를 구비한 이동로봇 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대기 상태 또는 도킹 스테이션(2)과의 분리를 실행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과 도킹 스테이션의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로봇을 위한 자동충전 시스템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로봇을 위한 자동충전 시스템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킹시스템 모듈의 전면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도킹시스템 모듈의 후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삽입부 조립체의 부분 투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돌출부 조립체의 부분 투명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로봇의 도킹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로봇과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종래의 도킹 또는 결합 위치에서의 베이스 스테이션과 로봇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킹부 조립체 2: 도킹 스테이션
3: 돌출부 조립체 4: 도킹부의 N극 자석부
5: 도킹부의 S극 자석부 6: 볼 부시 베어링
7: 돌출부측 접지부 조립체
8: 돌출부측 접지부의 충전 전원 연결 단자
9: 돌출부측 접지부의 외부 공급전원 연결 단자
10: 삽입부 조립체 11: 전원 공급 모듈
12: 충전 모듈 13: 비틀림 스프링
14: 삽입부의 S극 자석부 15: 삽입부의 N극 자석부
16: 구름 베어링 17: 삽입부 압축 스프링
18: 삽입부측 접지부 조립체
19: 삽입부측 접지부의 충전 전원 연결 단자
20: 삽입부측 접지부의 외부 공급전원 연결 단자
21: 삽입부측 회전모듈

Claims (13)

  1. 전원 공급 및 충전을 위한 도킹 스테이션과 이동로봇의 도킹부 조립체로 이루어진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도킹부 조립체는 도킹부의 N극 자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킹 스페이션은 삽입부의 S극 자석부와 삽입부의 N극 자석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도킹부 조립체의 도킹은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유도되는 것과 동시에 도킹 후 배터리 충전 간 상기 자석부가 맞물려 이동로봇이 상기도킹 스테이션으로 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페이션은 도킹 시 발생하는 진입각도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비틀림 스프링과 구름 베어링에 의해 구현되는 회전 1축 자유도(1DOF)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 조립체는 도킹 시 발생하는 진입위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도킹부 압축스프링과 볼 부시 베어링에 의해 구현되는 병진 1축 자유도(1DOF)를 가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봇의 자동충전 간 이동로봇의 지속적인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자동충전 시스템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 조립체의 도킹부분은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고,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부분은 회전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조립체는 상기 도킹부 조립체에서 돌출한 형상이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도킹부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이동로봇의 도킹은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실행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마련된 제1 및 제2의 적외선 송신기와 상기 이동로봇의 전방에 마련된 적외선 송수신 센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돌출부 조립체는 상기 이동로봇의 후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봇은 전방으로 진행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송수신하고, 충전시 180°회전 후, 후진하여 도킹 스테이션과 도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10. 전원 공급 및 충전을 위한 도킹 스테이션과 이동로봇의 도킹부 조립체로 이루어진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로봇의 충전이 필요한가 판단하는 충전 판단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이동 로봇과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의 거리 및 방향이 일정한 거리 및 방향인가 판단하는 위치 판단 단계,
    상기 위치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이동 로봇과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위치 관계가 미리 정한 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 로봇의 위치를 180°회전시켜,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도킹부 조립체를 도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도킹부 조립체를 도킹시키는 단계는 자석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로봇용 자동충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과 이동로봇의 위치 판단은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신호의 송수신은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마련된 제1 및 제2의 적외선 송신기와 상기 이동로봇에 마련된 적외선 송수신 센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적외선 송신기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의 왼쪽과 오른쪽으로 구분되어 배치되어 서로 다른 영역으로 각각 신호를 보내고,
    상기 미리 정한 위치는 상기 각각의 신호가 동시에 검출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방법.
KR1020070113775A 2007-02-06 2007-11-08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및 그의 충전 방법 KR100907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2406 2007-02-06
KR1020070012406 2007-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628A true KR20080073628A (ko) 2008-08-11
KR100907277B1 KR100907277B1 (ko) 2009-07-13

Family

ID=3988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775A KR100907277B1 (ko) 2007-02-06 2007-11-08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및 그의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27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907B1 (ko) * 2011-12-30 2012-05-22 주식회사 에스엠이씨 모바일 로봇을 위한 충전 시스템
KR101489971B1 (ko) * 2008-11-05 2015-02-06 한국과학기술원 원격 제어 모바일 유닛의 자동 충전 방법
KR102046057B1 (ko) * 2018-07-17 2019-11-18 (주)원익로보틱스 이동 로봇을 도킹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91387A (ko) * 2017-09-22 2020-07-30 로커스 로보틱스 코포레이션 자율 로봇 충전 프로파일 선택
CN112659964A (zh) * 2020-12-30 2021-04-16 友上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用于智能移动机器人的自动换电池站
KR20220065219A (ko) * 2020-11-13 2022-05-2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가동형 충전 단자유닛
KR20220065218A (ko) * 2020-11-13 2022-05-2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틸팅형 충전 단자유닛
KR102415015B1 (ko) * 2022-01-20 2022-06-30 이나경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KR20230034544A (ko) * 2021-09-03 2023-03-10 강동우 무인 로봇을 충전하는 무인 충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079B1 (ko) 2012-08-13 2013-09-23 주식회사 디스닉스 도킹구조를 가지는 오토 로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7336B2 (ja) * 1999-10-29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移動ロボットのための充電システム、充電ステーションを探索する方法、移動ロボット、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構造
KR100488524B1 (ko) * 2003-04-09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충전장치
EP2273335B8 (en) * 2004-01-21 2013-12-18 iRobot Corporation Method of docking an autonomous robot
KR100577825B1 (ko) * 2004-08-27 2006-05-12 정태웅 게임 로봇의 충전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971B1 (ko) * 2008-11-05 2015-02-06 한국과학기술원 원격 제어 모바일 유닛의 자동 충전 방법
KR101146907B1 (ko) * 2011-12-30 2012-05-22 주식회사 에스엠이씨 모바일 로봇을 위한 충전 시스템
KR20200091387A (ko) * 2017-09-22 2020-07-30 로커스 로보틱스 코포레이션 자율 로봇 충전 프로파일 선택
CN111448737B (zh) * 2017-09-22 2024-02-09 轨迹机器人公司 自主机器人充电曲线选择
KR102046057B1 (ko) * 2018-07-17 2019-11-18 (주)원익로보틱스 이동 로봇을 도킹시키는 장치 및 방법
WO2020017776A1 (ko) * 2018-07-17 2020-01-23 (주)원익로보틱스 이동 로봇을 도킹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20220065219A (ko) * 2020-11-13 2022-05-2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가동형 충전 단자유닛
KR20220065218A (ko) * 2020-11-13 2022-05-20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틸팅형 충전 단자유닛
CN112659964A (zh) * 2020-12-30 2021-04-16 友上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用于智能移动机器人的自动换电池站
KR20230034544A (ko) * 2021-09-03 2023-03-10 강동우 무인 로봇을 충전하는 무인 충전 시스템
KR102415015B1 (ko) * 2022-01-20 2022-06-30 이나경 로봇청소기용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277B1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277B1 (ko)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및 그의 충전 방법
KR100919765B1 (ko) 이동 로봇용 자동충전 시스템 및 그의 충전 방법
CN109683605B (zh) 机器人及其自动回充方法、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EP1759965B1 (en) Mobile robot system having a pluriality of exchangeable work modu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1448737B (zh) 自主机器人充电曲线选择
WO2021188875A1 (en) An autonomous ground vehicle for solar module installation
WO2001038945A1 (en) Autonomous multi-platform robot system
EP3398020B1 (en) Dock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mobile robot
EP1365300A2 (en) Autonomous multi-platform robotic system
US20140015493A1 (en) Self-optimizing power transfer
US11815900B1 (en) Recharge station for mobile robot
CN105739501A (zh) 一种智能机器人自动充电的方法
CN111509801B (zh) 自动设备的控制方法、系统、自动设备及可读存储介质
EP2158528B1 (en) A system as well as a method for controlling a self moving robot
Kruse et al. Camera-based monitoring system for mobile robot guidance
CN111465525B (zh) 机器人充电站保护构件
CN105446344A (zh) 移动机器人归位充电及支付系统
WO2021098868A1 (zh) 固定装置、自主作业系统及固定装置的安装方法
Kadonoff et al. Arbitration of multiple control strategies for mobile robots
JP2008129696A (ja) 移動ロボット、移動ロボット充電システム及び移動ロボット充電方法
CN107037807B (zh) 自移动机器人位姿校准系统和方法
WO2021082676A1 (zh) 自动工作系统及其控制方法
CN210819526U (zh) 一种机械臂自主导航移动系统
Roh et al. Flexible docking mechanism with error-compensation capability for auto recharging system of mobile robot
KR102046057B1 (ko) 이동 로봇을 도킹시키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