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481A -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경로설정방법 - Google Patents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경로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481A
KR20080073481A KR1020070012157A KR20070012157A KR20080073481A KR 20080073481 A KR20080073481 A KR 20080073481A KR 1020070012157 A KR1020070012157 A KR 1020070012157A KR 20070012157 A KR20070012157 A KR 20070012157A KR 20080073481 A KR20080073481 A KR 20080073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destination
belongs
mpls
network topolo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3481A/ko
Publication of KR2008007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5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label swapping, e.g. multi-protocol label switch [MP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2Flo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경로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PLS 경로 설정 시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과 동일한 지역이면,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Constraint 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동일한 지역에 속한 목적지까지 경로를 설정하고,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과 다른 지역이면,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와 다른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른 지역에 속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경로설정방법{MPLS NETWORK SYSTEM AND ROUTE SETTING METHOD THEREOF}
도 1은 MPLS 네트워크에서 LSA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MPLS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MPLS 네트워크에서 지역 간에 설정된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PLS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SA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설정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MPLS 네트워크에서 지역 간에 설정된 경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터널링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데이터 흐름에 대한 서비스 품질 보장(Quality of Service)과 트래픽 엔지니어링(Traffic engineering)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트래픽 엔지니어링은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트래픽을 네트워크 전체에 균등하게 분배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원하는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면서 네트워크 자원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는 기술이다.
다시 말해서, 트래픽 엔지니어링은 데이터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최적화(optimization) 작업이다. 구체적으로, 트래픽 엔지니어링은 네트워크의 토폴로지와 전달되어야 할 트래픽 요구량 행렬에 대해서 최적의 성능과 안정성을 보일 수 있는 경로를 찾아내어 설정하는 기술이다.
트래픽 엔지니어링은 IP 네트워크에서 IGP(Interior Gateway Protocol)-OSPF(Open Shortest Path First), IS-IS(Intermediate System to Intermediate System)등의 설정을 조절함으로써 실현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이용할 경우, 보다 세분화된 방식으로 트래픽 플로우들을 구분하고, 각각의 구분된 플로우에 적합한 트래픽 엔지니어링 경로를 할당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로 남는다. 이는 목적지 IP 주소에만 근거하여 패킷을 라우팅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다.
이러한 트래픽 엔지니어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이 제안되었다.
MPLS 네트워크에서는 고정길이의 짧은 레이블을 기반으로 스위칭 되는 경 로(LSP: Label Switched Path)를 설정하고, LSP를 이용하여 패킷들을 고속으로 전달한다. 특히 LSP를 이용함으로써 특정 트래픽 플로우에게 일반적인 IP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한 경로와는 상관없는 별도의 전달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트래픽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주목을 끌기 시작했다.
그 결과로 인하여 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제안되었다. 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 기술을 이용하면, 각 LSP가 요구하는 대역폭과 네트워크 내의 각 링크들의 가용 대역폭을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 경로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동적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뿐만 아니라 링크상태정보와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필요로 한다.
MPLS 네트워크에 위치한 LSR(Label Switched Router)는 이러한 링크상태정보와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LSR은 이러한 링크상태정보와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MPLS 네트워크에 위치한 다른 LSR들에게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extension의 오파크 링크상태광고(Opaque Link State Advertisement, 이하 'Opaque LSA'라 한다)라는 자료구조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혹은 자신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자신이 속한 지역(Area)의 모든 LSR에게 전송한다.
이에 각 LSR들은 TED(Traffic Engineering Database)에 수신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와 링크 속성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에 명시적 경로(explicit route) 계산 시에 저장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와 링크 속성 정보를 이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그레스(ingress) LSR은 CSPF(Constraint 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을 TED 내에 저장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와 링크 속성 정보에 적용하여 각 LSP에 대한 물리적인 경로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CSPF 알고리즘은 특정한 제약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그레스 LSR과 이그레스(egress) LSR간에 최단 경로를 찾아내는 알고리즘이다.
이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LSR은 네트워크의 부하 상태정보와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MPLS 네트워크에 위치한 다른 LSR들에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Opaque LSA의 Opaque information 필드에 포함시켜 주기적으로 혹은 자신의 상태가 변화되었을 때 자신이 속한 지역(Area)의 모든 LSR에게 전송한다. 이때, Opaque information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링크 타입(Link type), 링크 ID, Local Interface IP 어드레스, Remote information IP 어드레스, 트래픽 엔지니어링 메트릭(Traffic engineering metric), Maximum bandwidth, Maximum reservable bandwidth, Unsresolved bandwidth, Resource class/color 등을 포함한다.
링크 타입은 링크의 종류를 나타내고, 링크 ID는 IP 어드레스로 나타낼 수 있으며, Local Interface IP 어드레스는 LSR의 IP 어드레스이고, Remote information IP 어드레스는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상대방 IP 어드레스이고, 트래픽 엔지니어링 메트릭은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위해 운영자가 정한 링크의 값이고, Maximum bandwidth는 링크의 최대 대역폭이다. 그리고, Maximum reservable bandwidth는 링크에서 예약 가능한 최대 대역폭이고, Unresolved bandwidth는 링크 에서 사용되고 남은 대역폭을 나타내고, Resource class/color는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위해 자원의 종류를 정하는 구별 값이다.
이에 각 LSR들은 TED(Traffic Engineering Database)에 수신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와 링크 속성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에 명시적 경로(explicit route) 계산 시에 저장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와 링크 속성 정보를 이용한다.
이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LSR의 상세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SPF 모듈(20)은 MPLS 모듈(21)로부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 사이의 최적 경로에 대한 설정 요청이 있으면, 주변의 LSR들로부터 Opaque LSA를 통해 수신되어 TED(21)에 저장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 속성정보와, 운용자가 설정해 놓은 제한조건(User Constraints)(23)에 CSPF 알고리즘(22)을 적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ERO(Explicit Route Order)(24)를 계산한다.
이후, CSPF 모듈(20)은 계산된 ERO(24)를 MPLS 모듈(25)에 제공한다. MPLS 모듈(25)은 CSPF 모듈(20)로부터 제공된 ERO(24)의 경로로 MPLS 터널을 설정하게 된다.
한편, 자율시스템(Autonomous System)은 단일 라우팅 프로토콜로 동작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며, 동일 운용팀에서 관리된다.
OSPF 프로토콜에는 자율시스템 내에 네트워크가 대규모일 때 효율적으로 라우팅을 관리하기 위해서 지역(Area)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는 OSPF extension에 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Opaque LSA의 종류에는 타입 9 Opaque LSA, 타입 10 Opaque LSA 및 타입 11 Opaque LSA 등이 있다. 타입 9 Opaque LSA는 링크 로컬 영역(Link-local scope)에서 플러딩 되며, 타입 10 Opaque LSA는 지역 로컬 영역(Area-local scope)에서 플러딩 되며, 타입 11 Opaque LSA는 자율시스템 영역(AS scope)에서 플러딩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CSPF 모듈(20)은 동일 지역에 대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 상태 정보를 TED(21)에 저장하고 있으며, CSPF 알고리즘(22)을 이용하여 동일 지역에 대한 ERO를 계산하게 된다.
따라서, 타입 10 Opaque LSA와 CSPF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MPLS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되는 경우에 지역별로 MPLS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하며, MPLS 네트워크 구성시 OSPF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 상태 정보가 명확히 고려된 후에 설정되어야 하는 제약이 발생된다.
또한, 트래픽 엔지니어링이 자율시스템별로 고려되지 않고 지역별로 고려되기 때문에 거시적인 네트워크 설계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0(30)과 지역1(31)에서 플러딩되는 타입 10 Opaque LSA는 ABR(Area Border Router)(32)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플러딩되지 않는다. 이는 CSPF 알고리즘으로 계산할 수 있는 구간이 각 지역 내의 목적지로 한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0(30)의 인그레스 LSR(34)는 지역1(31)의 이그레스 LSR(35)까지 MPLS 터널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각 지역별로 MPLS 터널을 설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OSPF extension과 CSPF 알고리즘을 지역 사이(inter-area)에서 동작시켜 MPLS 네트워크 설정 시 지역에 한정되지 않도록 하고, 자율시스템을 포괄하는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시적인 네트워크 설계를 할 수 있으며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수행하는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터널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수 개의 지역으로 구성된 MPLS 네트워크 시스템은, MPLS 경로 설정 시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과 동일한 지역이면,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Constraint 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동일한 지역에 속한 목적지까지 경로를 설정하고,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과 다른 지역이면,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와 다른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른 지역에 속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라우터를 포함한다.
상기 라우터는,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저장하는 TED(Traffic Engineering Database); 와 자신이 속한 다른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다수개의 지역 간 TED(Inter-area Traffic Engineering Database)를 포함한다.
상기 라우터는, 상기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extension의 타입 10 Opaque LSA(Link Sate Advertisement)를 통해서 수신한다.
상기 라우터는, 상기 자신이 속한 다른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extension의 타입 11 Opaque LSA(Link Sate Advertisement)를 통해서 수신한다.
상기 라우터는, 자신이 속한 지역과 다른 지역 간 경계 라우터로 동작하는 경우,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포함한 타입 10 Opaque LSA를 타입 11 Opaque LSA로 변환하여 다른 지역으로 플러딩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수 개의 지역으로 구성된 MPLS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라우터의 경로설정방법은, MPLS 경로 설정 시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과 동일한 지역인가를 검사하는 단계; 와 상기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과 다른 지역이면,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와 다른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Constraint 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른 지역에 속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경로설정방법은, 상기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Constraint 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동일한 지역에 속한 목적지까지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로설정방법은, 상기 자신이 속한 다른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extension의 타입 11 Opaque LSA(Link Sate Advertisement)를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로설정방법은, 상기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extension의 타입 10 Opaque LSA(Link Sate Advertisement)를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경로설정방법은, 자신이 속한 지역과 다른 지역 간 경계 라우터로 동작하는 경우,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포함한 타입 10 Opaque LSA를 타입 11 Opaque LSA로 변환하여 다른 지역으로 플러딩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경로설정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비록 다른 도면에 속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SR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SPF 모듈(46)은 지역 및 자율시스템으로부터 수 신된 타입 10 Opaque LSA 및 타입 11 Opaque LSA를 각각 TED(47) 및 지역 간(Inter-area) TED(48)에 저장한다.
다시 말해서, CSPF 모듈(46)은 지역 및 자율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타입 10 Opaque LSA 및 타입 11 Opaque LSA에 포함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각각 TED(47) 및 지역 간 TED(48)에 저장한다.
이때, 지역 간 TED(48)는 자율 시스템 내의 지역의 수만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역 간 TED(48)는 지역 별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타입 11 Opaque LSA의 포맷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입 11 Opaque LSA는 타입 필드(Type 11) 및 지역 ID(Area ID) 필드를 제외하고 타입 10 Opaque LSA의 포맷과 동일하다. 다시 말해서, 타입 11 Opaque LSA의 Opaque information 필드에 포함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는 타입 10 Opaque LSA의 Opaque information 필드에 포함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의 종류와 동일하다.
이러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는 Opaque imformation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링크 타입(Link type), 링크 ID, Local Interface IP 어드레스, Remote information IP 어드레스, 트래픽 엔지니어링 메트릭(Traffic engineering metric), Maximum bandwidth, Maximum reservable bandwidth, Unsresolved bandwidth, Resource class/color 등을 포함한다.
이때, 지역 ID(Area ID)는 타입 11 Opaque LSA를 전송한 지역의 ID를 나타 낸다.
이후, CSPF 모듈(46)은 MPLS 모듈(45)로부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 사이의 최적 경로에 대한 설정 요청이 있으면, 경로 요청된 목적지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TED(47) 및 지역 간 TED(48)을 검색한 후에 도착지를 파악한다.
CSPF 모듈(46)은 파악된 도착지와 자신이 속한 LSR의 지역, 즉 출발지가 동일한 지역인가를 검사한다.
CSPF 모듈(46)은 파악된 도착지와 자신이 속한 LSR의 지역, 출발지가 동일한 지역이면, CSPF 알고리즘(49) 및 운영자 제한조건(50)을 TED(47)에 저장된 출발지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 상태정보에 적용하여 ERO(Explicit Route Order)를 계산하여 MPLS 모듈(45)에 제공한다.
이에 MPLS 모듈(45)은 출발지와 동일한 지역에 위치한 목적지로 경로를 ERO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된다.
한편, CSPF 모듈(46)은 출발지와 목적지가 서로 동일한 지역이 아니면, 경로 요청된 지역(목적지)에 해당되는 지역 간 TED(48)에 저장된 목적지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와, TED(47)에 포함된 출발지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 알고리즘(49) 및 운용자 제한조건(50)을 적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간 ERO를 계산하고, 계산된 출발지와 목적지간 ERO를 MPLS 모듈(45)에 제공한다.
이에 MPLS 모듈(45)은 CSPF 모듈(46)에서 제공된 출발지와 목적지간 ERO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다른 지역에 있는 목적지간 경로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SR의 경로설정방법에 대한 플로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SF 모듈(46)은 MPLS 모듈(45)로부터 출발지로부터 목적지 사이의 최적 경로에 대한 설정 요청이 있으면(S60), 목적지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TED 및 지역 간 TED(48)을 검색한 후에 도착지를 파악한다(S61).
CSPF 모듈(46)은 파악된 도착지와 자신이 속한 LSR의 지역, 즉 출발지가 동일한 지역인가를 검사한다(S62).
CSPF 모듈(46)은 파악된 도착지와 자신이 속한 LSR의 지역, 출발지가 동일한 지역이면, CSPF 알고리즘(49) 및 운영자 제한조건(50)을 TED(47)에 저장된 출발지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 상태정보에 적용하여 ERO(Explicit Route Order)를 계산하여 MPLS 모듈(45)에 제공한다(S63).
이에 MPLS 모듈(45)은 출발지와 동일한 지역에 위치한 목적지로 경로를 ERO를 이용하여 설정하게 된다.
반면, CSPF 모듈(46)은 출발지와 목적지가 서로 동일한 지역이 아니면, 경로 요청된 지역(목적지)에 해당되는 지역 간 TED(48)에 저장된 목적지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와, TED(47)에 포함된 출발지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 알고리즘(49) 및 운용자 제한조건(50)을 적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간 ERO를 계산하고, 계산된 출발지와 목적지간 ERO를 MPLS 모듈(45)에 제공한다(S64).
이에 MPLS 모듈(45)은 CSPF 모듈(46)에서 제공된 출발지와 목적지간 ERO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다른 지역에 있는 목적지간 경로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0(70)에 위치한 인그레스 LSR(72)는 목적지가 동일한 지역0(70)에 위치한 경우, 지역0(70)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계산된 ERO을 이용하여 동일한 지역에 위치한 목적지로 경로를 설정한다.
반면, 지역0(70)에 위치한 인그레스 LSR(72)는 목적지가 자신이 위치한 다른 지역, 예를 들어 지역1(71)에 위치한 이그레스 LSR(74)인 경우, 지역0(70)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와 지역1(71)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계산된 ERO을 이용하여 지역1(71)에 위치한 이그레스 LSR(74)까지의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한편, 지역0(70)과 지역1(71)의 사이에 위치한 ABR(73)은 각각 지역의 타입 10 Opaque LSA들이 상대방 지역으로 전송되는 경우, 타입 10 Opaque LSA의 타입 10을 타입 11로 변경하고, 각각의 지역 ID를 포함시켜 타입 11 Opaque LSA로 변환하여 상대방 지역으로 전송한다. 이때, ABR(73)은 도 4에 도시된 LSR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역0(70)과 지역1(71)을 포함한 자율시스템 내에 위치한 LSR들은 동일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공유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경로설정방법에 따르면, OSPF extension과 CSPF 알고리즘을 지역 사이(inter-area)에서 동작시켜 MPLS 네트워크 설정 시 지역에 한정되지 않도록 하고, 자율시스템을 포괄하는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시적인 네트워크 설계를 할 수 있으며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다수 개의 지역으로 구성된 MPLS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MPLS 경로 설정 시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과 동일한 지역이면,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Constraint 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동일한 지역에 속한 목적지까지 경로를 설정하고,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과 다른 지역이면,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와 다른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른 지역에 속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라우터를 포함하는 MPLS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는,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저장하는 TED(Traffic Engineering Database); 와
    자신이 속한 다른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저장하는 다수개의 지역 간 TED(Inter-area Traffic Engineering Database)를 포함하는 MPLS 네트워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는,
    상기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extension의 타입 10 Opaque LSA(Link Sate Advertisement)를 통해서 수신하는 MPLS 네트워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는,
    상기 자신이 속한 다른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extension의 타입 11 Opaque LSA(Link Sate Advertisement)를 통해서 수신하는 MPLS 네트워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는,
    자신이 속한 지역과 다른 지역 간 경계 라우터로 동작하는 경우,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포함한 타입 10 Opaque LSA를 타입 11 Opaque LSA로 변환하여 다른 지역으로 플러딩 하는 MPLS 네트워크 시스 템.
  6. 다수 개의 지역으로 구성된 MPLS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라우터의 경로설정방법에 있어서,
    MPLS 경로 설정 시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과 동일한 지역인가를 검사하는 단계; 와
    상기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과 다른 지역이면,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와 다른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Constraint 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른 지역에 속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PLS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라우터의 경로설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가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에 CSPF(Constraint 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동일한 지역에 속한 목적지까지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PLS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라워터의 경로설정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신이 속한 다른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extension의 타입 11 Opaque LSA(Link Sate Advertisement)를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PLS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라우터의 경로설정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extension의 타입 10 Opaque LSA(Link Sate Advertisement)를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PLS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라우터의 경로설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자신이 속한 지역과 다른 지역 간 경계 라우터로 동작하는 경우, 자신이 속한 지역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 및 링크상태정보를 포함한 타입 10 Opaque LSA를 타입 11 Opaque LSA로 변환하여 다른 지역으로 플러딩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PLS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라우터의 경로설정방법.
KR1020070012157A 2007-02-06 2007-02-06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경로설정방법 KR20080073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157A KR20080073481A (ko) 2007-02-06 2007-02-06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경로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157A KR20080073481A (ko) 2007-02-06 2007-02-06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경로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481A true KR20080073481A (ko) 2008-08-11

Family

ID=3988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157A KR20080073481A (ko) 2007-02-06 2007-02-06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경로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34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793B1 (ko) * 2009-12-21 2013-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ed 정확성을 보장하는 ted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793B1 (ko) * 2009-12-21 2013-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ed 정확성을 보장하는 ted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1471B2 (en) Using PCE as SDN controller
EP38174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network slices
EP3429141B1 (en) Segment routing label switched path for non-segment routing enabled routers
US10250459B2 (en) Bandwidth on-demand services in multiple layer networks
US9178796B2 (en) Multi-layer stateful path computation element architecture
KR100693059B1 (ko) Mpls 기반의 vpn 제공 장치 및 방법
EP19837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rving network resources for pseudo point-to-point connection
US95713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domain RSVP-TE LSP load balancing
CN110650090B (zh) 路由方法和路由器
US9571387B1 (en) Forwarding using maximally redundant trees
JP4765980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88972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ffic engineering interworking
JP2011505737A (ja) パスの確立を要求するi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ルーティングの最適性の向上
US7463580B2 (en) Resource sharing among network tunnels
EP3493492A1 (en) Rsvp make-before-break label reuse
US92256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pseudowires
KR20080073481A (ko) Mpls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경로설정방법
Casellas et al. IDEALIST control plane architecture for multi-domain flexi-grid optical networks
KR20070064703A (ko) CR-LSP를 이용한 L2VPN 가입자별 QoS 지원방법
KR20110080272A (ko) 동적인 회로 기반의 네트워크 에서 가상화 기반의 도메인 간 효율적인 경로 계산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umaki CCAMP Working Group Zafar Ali Internet Draft George Swallow Intended status: Standard Track Matt Hartley Expires: January 11, 2014 Clarence Filsfils Cisco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