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2608A - 창호 틀 - Google Patents

창호 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2608A
KR20080072608A KR1020080067299A KR20080067299A KR20080072608A KR 20080072608 A KR20080072608 A KR 20080072608A KR 1020080067299 A KR1020080067299 A KR 1020080067299A KR 20080067299 A KR20080067299 A KR 20080067299A KR 20080072608 A KR20080072608 A KR 20080072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uide groove
cover
window fram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최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영 filed Critical 최진영
Priority to KR102008006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2608A/ko
Publication of KR2008007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문자열 또는 숫자열을 구비하고 상기 문자열 또는 상기 숫자열 각각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송출하는 입력수단; 및 다수의 음원을 저장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을 출력하는 입력신호음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입력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입력신호음 출력수단에 전달하는 입력신호 변환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키톤, 입력신호음

Description

창호 틀{Framework for Window and Door}
본 발명은 창호 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 창이나 문에 사용되는 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또는 사무용 공간에는 채광을 위해 전면이 유리로 이루어진 창이나 문(이하 줄여서 창호라 칭한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창호는 창호의 외형에 맞게 설치된 틀을 따라 미닫이 방식으로 이동하며 개폐된다.
종래의 창호 틀(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안내 홈(210)과 이 안내 홈(210)에 설치되는 레일(220)을 구비한다. 안내 홈(210)은 창호(도시되지 않음)가 창호 틀(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실을 하고, 레일(220)은 창호에 마련된 바퀴가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구르도록 안내하는 구실을 한다.
이와 같은 창호 틀(200)의 구성에서 안내 홈(210)은 창호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반듯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안내 홈(210)은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기 쉬운 반면 청소가 어렵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불필요한 경우 창호 틀의 안내 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완벽히 차단함과 동시에 미려한 외부 면을 갖는 창호 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닫이 문 또는 미닫이 창문용 창호 틀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 열의 안내 홈을 갖는 몸체; 상기 안내 홈에 설치되는 덮개; 및 상기 안내 홈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를 위쪽으로 미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창호 틀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 홈의 횡단면은 위쪽 폭이 아래쪽 폭보다 작은 형태이고, 상기 덮개의 윗면은 상기 안내 홈의 위쪽 부분과 일치되는 형태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덮개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로 분리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덮개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 홈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돌기 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다수의 굴곡이 형성된 판 스프링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고 청소가 용이한 창호 틀이 제공된 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깨끗하고 반듯한 외부 면을 갖는 창호 틀이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창호 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호 틀의 결합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창호 틀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주요 핵심부분은 창호 틀에서 바닥부분이므로, 첨부된 도면과 아래의 설명에서는 이 부분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창호 틀의 기타 부분은 어떠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 틀(100)은 몸체(10), 덮개(20), 및 탄성 부재(3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창호 틀(100)의 바닥 틀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몸체(10a)와 상부 몸체(10b)로 이루어진다. 하부 몸체(10a)와 상부 몸체(10b)는 나사나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나 돌기와 구멍에 의해 이루어진 결합수단에 의해 단단히 일체화된다. 그러나, 하부 몸체(10a)와 상부 몸체(10b)는 필요에 따라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하부 몸체(10a)와 상부 몸체(10b)에는 창호 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안내 홈(12)이 형성된다. 하부 몸체(10a)의 안내 홈(12a)에는 탄성 부재(30)가 설치되고, 상부 몸체(10b)의 안내 홈(12b)에는 덮개(20)가 위치된다. 여기서 하부 몸체(10a)의 안내 홈(12a)의 폭은 상부 몸체(10b)의 아래쪽 안내 홈(12b)의 폭과 동 일하나, 상부 몸체(10b)의 위쪽 안내 홈(12b)보다는 넓다. 즉, 상부 몸체(10b)에서 안내 홈(12b)의 위쪽은 아래쪽보다는 좁다.
덮개(20)는 안내 홈(12)을 따라 길게 몸체(10)에 설치되며, 탄성 부재(30)에 의해 위쪽으로 올려져 상부 몸체(10b) 측에 위치된다. 덮개(20)는 상부 몸체(10b)의 안내 홈(12b)의 단면과 대체로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덮개(20)가 탄성 부재(30)에 의해 위쪽으로 최대로 올려지면 덮개(20)의 상부(22)가 상부 몸체(10b)의 위쪽 안내 홈(12b)을 완전히 밀폐한다. 즉, 덮개 상부(22)의 윗면은 상부 몸체(10b)의 윗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룬다. 따라서, 덮개(22)가 상부 몸체(10b)의 안내 홈(12b)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안내 홈(12)으로 침입하지 못한다.
한편, 덮개(20)는 창호(300, 도 4 참조)의 바퀴에 의해 직접적으로 눌려지는 부분이므로, 외력이나 부분적인 변형에 의해 부러지지 않는 연성과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몸체(10a)에 설치되며, 덮개(20)를 상부 몸체(10b)로 미는 구실을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탄성 부재(30)는 상하방향으로 굴곡을 갖는 판 스프링이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부재(30)인 판 스프링이 안내 홈(12)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창호 틀(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홈(12)이 덮개(20)에 의해 채워져 평평한 윗면을 갖는 형태이다.
다음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사용 예를 설명하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 틀(100)에 창호(300)가 얹어지면, 덮개(20)와 탄성 부재(30)는 창호(300)의 무게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진다. 그러나, 창호(300)에 의해 직접적으로 눌려지지 않는 덮개(20)의 다른 부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0)에 의해 몸체(10)의 안내 홈(12)을 여전히 밀폐한다.
한편, 창호(300)의 바퀴(310)는 창호(300)의 무게에 의해 새롭게 형성된 안내 홈(12)을 따라 이동하므로, 창호(300)가 창호 틀(100)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창호(300)가 이동하는 구간에서만 안내 홈(12)이 노출되므로, 안내 홈(12)에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창호 틀의 분리 사시도이고,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창호 틀의 결합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창호 틀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참고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형태는 덮개(20)가 복수로 이루어진 점에서 제1실시형태와 다르다.
제1실시형태의 덮개(20)는 창호 틀(100)을 따라 길게 형성되므로, 제작 및 조립 시 파손될 우려가 많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20)를 일정한 길이 단위로 나누었다. 다만, 덮개(20)가 복수로 나누어질 경우, 이동하는 창호(300)에 의해 서로 겹쳐지거나 서로 간섭할 우려가 있으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몸체(10)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패인 끼움 홈(14)을 안내 홈(12)의 측면에 더 형성시키고, 덮개(20)의 측면에 끼움 홈(14)에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돌기(24)를 형성시켰다.
따라서, 덮개(2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300)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창호(300)에 의해 눌려지는 덮개(20)는 끼움 홈(14)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지만, 창호(300)에 의해 직접적으로 눌려지지 않는 덮개(20)는 탄성 부재(30)에 의해 본래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등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창호 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창호 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창호 틀의 결합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창호 틀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창호 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창호 틀의 결합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창호 틀의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창호 틀 10: 몸체
10a: 하부 몸체 10b: 상부 몸체
12, 12a, 12b: 안내 홈 14: 끼움 홈
20: 덮개 22: (덮개의) 상부
24: 돌기 30: 탄성 부재

Claims (5)

  1. 미닫이 문 또는 미닫이 창문용 창호 틀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 열의 안내 홈을 갖는 몸체;
    상기 안내 홈에 설치되는 덮개; 및
    상기 안내 홈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를 위쪽으로 미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창호 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의 횡단면은 위쪽 폭이 아래쪽 폭보다 작은 형태이고, 상기 덮개의 윗면은 상기 안내 홈의 위쪽 부분과 일치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덮개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 홈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지는 돌기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다수의 굴곡이 형성된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틀.
KR1020080067299A 2008-07-11 2008-07-11 창호 틀 KR20080072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299A KR20080072608A (ko) 2008-07-11 2008-07-11 창호 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299A KR20080072608A (ko) 2008-07-11 2008-07-11 창호 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608A true KR20080072608A (ko) 2008-08-06

Family

ID=3988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299A KR20080072608A (ko) 2008-07-11 2008-07-11 창호 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26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326B1 (ko)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JP5450664B2 (ja) 窓戸設備
KR101456898B1 (ko) 폴딩도어
KR101485763B1 (ko) 폴딩도어
ATE537322T1 (de) Mechanismus für eine schiebeglasscheibe
KR101169788B1 (ko) 탄성력을 갖는 기밀부재가 구비된 창호 시스템
PL2088256T3 (pl) Ościeżnica okna dachowego i sposób jej wytwarzania
KR20090082966A (ko) 미닫이 창호
KR101459682B1 (ko)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KR20080072608A (ko) 창호 틀
ATE269476T1 (de) Rahmen für schiebetür oder -fenster
KR200387196Y1 (ko) 조립식창호
KR200425104Y1 (ko) 접이식 문
KR101206755B1 (ko) 창호용 이탈방지 모듈
DK1596020T3 (da) Skillevæg
KR20170001493U (ko) 도어용 글라스 장식테의 조립구조
KR101103152B1 (ko) 창호 시스템
JP4803526B2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
KR20120000004U (ko) 자동으로 닫혀지는 현수식 교실출입문
JP7270100B2 (ja) サッシ
CN209637496U (zh) 一种下轨推滑式易清洁淋浴房
KR200401741Y1 (ko) 분리형 필링피스
KR101903795B1 (ko) 슬림형 창짝을 갖는 창호
KR200279148Y1 (ko) 완충고무테와 겸용되는 강화유리문용 방풍부러시
JP2005232952A (ja) サッシ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