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2178A -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2178A
KR20080072178A KR1020070010578A KR20070010578A KR20080072178A KR 20080072178 A KR20080072178 A KR 20080072178A KR 1020070010578 A KR1020070010578 A KR 1020070010578A KR 20070010578 A KR20070010578 A KR 20070010578A KR 20080072178 A KR20080072178 A KR 20080072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rubber
light
contact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익수
박홍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2178A/ko
Publication of KR20080072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36Minimise height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에 발광 소자의 광을 키들의 전체에 확산시키는 광 확산 공간이 제공된 키패드 러버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다수의 돔 스위치 및 광을 발산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돔 스위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러버 수용부와, 상기 러버 수용부의 하부에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광을 상기 키들의 전체에 넓게 확산시키는 광 확산 공간을 제공하는 키패드 러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키패드에 광을 균일하게 조명하여 불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단말기의 키패드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키패드에 광 확산 공간이 제공된 키패드 러버를 구성하기 위해 러버 수용부를 구성함으로써. 키패드의 두께를 줄여 단말기를 슬림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키패드 장치, 러버 수용부, 키패드 러버.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 중에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키패드 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의 구성 중 키패드 러버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에 발광 소자의 광을 키들의 전체에 확산시키는 광 확산 공간이 제공된 키패드 러버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로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 및 PDA등를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상기 열거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필수적으로 안테나 장치, 데이터 입출력 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물론,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는 주로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데이터를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키패드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상기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다수개의 키(2a)들로 이루어진 키패드(2)가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키패드(2)는 상부 커버(1)에 형성된 다수개의 키 홀(1a)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키(2a)들이 구비되고, 상기 키(2a)들의 하단에 결합되는 키 러버(3)로 이루어져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키패드(2)는 작동감을 얻을 수 있도록 다수의 돔 스위치(5)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돔 스위치(5)는 상기한 키 작동에 의해 상기 본 체(1)내의 회로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4)에 마련되고, 상기 키(2a)를 누르면, 상기 키러버도 함께 눌려지고, 이와 동시에 키 러버의 하단면에 형성된 압압돌기(7)가 상기 돔 스위치(5)를 눌려 인쇄회로기판(PCB)(4)의 접점(4a)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4)에는 다수의 발광 소자(light emitting device : LED)(6)들이 구비되고, 상기 발광 소자(6)들은 상기 키(2a)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 소자(6)들의 광(A1)을 키(2a)방향으로 발산하여 키(2a)를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종래의 키패드는 상기 키패드의 하부에 상기 키러버를 부착하는 구조이므로 키패드 측면 두께가 두껍고, 이로 인해 발광 소자의 사이가 너무 짧아 광(A1)을 확산시키는 공간(9)이 너무 작아 키의 광 밝기가 저하되고, 이로 인해 키 전체에 광(A1)의 밝기가 전달되지 않아 키패드의 밝기가 어두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키패드와 발광 소자의 사이에 광을 확산시키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키러버의 하부에 형성된 압압돌기의 길이를 길게할 경우 단말기의 두께가 커져 슬림화에 저해요인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에 발광 소자의 광을 키들의 전체에 확산시키는 광 확산 공간이 제공된 키패드 러버를 구성함으로써. 키패드에 광을 균일하게 조명하여 불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에 광 확산 공간이 제공된 키패드 러버를 구성하기 위해 러버 수용부를 구성함으로써. 키패드의 두께를 줄여 단말기를 슬림화 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이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돔 스위치 및 광을 발산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돔 스위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러버 수용부; 및
상기 러버 수용부의 하부에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광을 상기 키들의 전체에 넓게 확산시키는 광 확산 공간을 제공하는 키패드 러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이 구성요소 중 종래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는 다수의 돔 스위치(5) 및 광을 발산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6)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4)과, 상기 돔 스위치(5)의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키(2a)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2)로 구성되 어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는 러버 수용부(100)와, 키패드 러버(20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러버 수용부(100)는 상기 후술하는 키패드 러버(200)의 상단면과 부착되도록 상기 키패드(2)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키패드 러버(200)는 상기 광(A1)을 상기 키(2a)들의 전체에 넓게 확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러버 수용부(100)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키패드 러버(200)는 상기 광(A1)을 상기 키(2a)들의 전체에 넓게 확산 가능하게 가이드 하도록 광 확산 공간(203)이 제공되어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러버 수용부(100)는 상기 키패드(2)의 내측면으로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recess)된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키패드(2)의 하측면 일단에는 상기 키패드 러버(200)의 외곽 둘레 일단과 접촉됨과 아울러 걸리도록 걸림부(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키패드 러버(200)의 상단면에는 상기 러버 수용부(100)에 접촉됨과 아울러 부착되도록 접촉부(20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키패드 러버(200)의 하단면에는 상기 돔 스위치(5)와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광 확산 공간(203)을 제공할 수 있게 소정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다수의 압압돌기(202)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다수의 키(2a)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2)의 하단면에는 러버 수용부(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러버 수용부(100)의 하부에 키패드 러버(200)를 부착한다.
도 6과 같이, 상기 러버 수용부(100)는 상기 키패드(2)의 내측면으로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된 홈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러버 수용부(100)에 키패드 러버(200)를 부착함과 동시에 광 확산 공간(203)을 제공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키패드(2)의 하면측 일단에는 상기 키패드 러버(200)의 외곽 둘레 일단과 접촉됨과 아울러 걸리도록 걸림부(2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키패드 러버(200)를 상기 키패드(2)의 하면에 부착하면, 상기 키패드(2)의 걸림부(2b)에 상기 키패드 러버(200)의 외곽 둘레가 접촉되어 고정된다. 상기 키패드 러버(200)의 상단면에는 상기 러버 수용부(100)에 접촉됨과 아울러 부착되는 접촉부(20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키패드 러버(200)를 상기 키패드(2)의 러버 수용부(100)에 부착시키면, 상기 키패드 러버(200)의 접촉부(201)가 먼저 상기 러버 수용부(100)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도 4 및 도 6과 같이, 상기 키패드(2)를 상기 인쇄회로기판(4)에 구비된 다수의 돔 스위치(5)와 다수의 발광 소자(6)의 상부에 구비한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키패드 러버(200)의 하단면에는 상기 돔 스위치(5)와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광 확산 공간(203)을 제공할 수 있게 소정의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다수의 압압돌기(202)가 제공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키패드(2)의 키(2a)를 누르면,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6)가 광(A1)을 발산하고, 상 기 광(A1)을 상기 키패드 러버(200)의 광 확산 공간(203)을 통해 키(2a)들의 전체에 넓게 확산한다.
도 6과 같이, 상기 발광 소자(6)와 키패드 러버(200)의 사이에 광 확산 공간(203)을 제공하여 상기 발광 소자(6)의 광을 키(2a) 전체에 골고루 확산 시켜 키패드(2)의 불밝기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키패드(2)의 두께를 중가시키지 않고, 광 확산 공간(203)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를 슬림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에 발광 소자의 광을 키들의 전체에 확산시키는 광 확산 공간이 제공된 키패드 러버를 구성함으로써. 키패드에 광을 균일하게 조명하여 불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단말기의 키패드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키패드에 광 확산 공간이 제공된 키패드 러버를 구성하기 위해 러버 수용부를 구성함 으로써. 키패드의 두께를 줄여 단말기를 슬림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다수의 돔 스위치 및 광을 발산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돔 스위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키들 배열로 이루어진 키패드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러버 수용부; 및
    상기 러버 수용부의 하부에 부착됨과 동시에 상기 광을 상기 키들의 전체에 넓게 확산시키는 광 확산 공간을 제공하는 키패드 러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수용부는 상기 키패드의 내측면으로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된 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수용부의 일단에는 상기 키패드 러버의 외곽 둘레 일단과 접촉됨과 아울러 걸리도록 걸림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 ㄱ " 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러버의 상단면에는 상기 키러버 수용부에 접촉됨과 아울러 부착되는 접촉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키패드 러버 하단면에는 상기 돔 스위치와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광 확산 공간을 제공하도록 소정의 길이이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압압돌기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20070010578A 2007-02-01 2007-02-01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20080072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578A KR20080072178A (ko) 2007-02-01 2007-02-01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578A KR20080072178A (ko) 2007-02-01 2007-02-01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178A true KR20080072178A (ko) 2008-08-06

Family

ID=3988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578A KR20080072178A (ko) 2007-02-01 2007-02-01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21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011A (ko) * 2009-09-18 2011-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011A (ko) * 2009-09-18 2011-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314B1 (ko)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EP1830375B1 (en) Keypad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
KR100834633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KR10065141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US8063325B2 (en) Keypad assembly
US8362928B2 (en) Keypad assembly
US7547857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US6950680B2 (en) Electronic device
KR101243669B1 (ko) 휴대 단말기
KR20120036076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패드 장치
JP2013051220A (ja) 携帯端末用のキーパッドアセンブリ
KR20110080680A (ko) 다기능 펜 및 다기능 펜의 사용 방법
KR20050026741A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백라이트 장치
GB2355569A (en) Light Guide
KR1010719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US20100147667A1 (en) Keypad assembly
KR20080072178A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US20090236499A1 (en) Ke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70327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를 위한 백라이팅장치
KR10022830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일체형 버튼구조
KR101085757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1126380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JP2008010280A (ja) 携帯端末
KR20100040355A (ko) 키패드 어셈블리의 백라이팅 장치
KR200700719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