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408A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408A
KR20080071408A KR1020070009618A KR20070009618A KR20080071408A KR 20080071408 A KR20080071408 A KR 20080071408A KR 1020070009618 A KR1020070009618 A KR 1020070009618A KR 20070009618 A KR20070009618 A KR 20070009618A KR 20080071408 A KR20080071408 A KR 20080071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light
display unit
transmission window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1408A/ko
Publication of KR2008007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02F1/133555Trans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이 구현되는 화면을 갖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영상표시부 상에 위치하는 투광창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창은 상기 영상표시부와 마주보는 내측 표면에 굴절 패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영상표시부에서 투광창으로 투과되는 광선의 휘도가 향상되어 영상표시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표시장치, LCD, PDP, 윈도우, 투광창, 보호창, 굴절 패턴, 휘도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DISPLA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절 패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명칭에 대한 설명>
10 : 영상표시부 20, 320 : 프론트 커버
30, 300 : 투광창 40, 310 : 굴절 패턴
40 : 굴절 패턴 100 : 몰드 프레임
110 : 수납 공간 112 : 평면부
114 : 측벽부 116 : 안착부
120 : LED 연성인쇄회로기판 130 : 광원
200 : 액정표시패널 210 : 편광판
220 : 컬러필터 기판 230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240 : 구동 IC 400 : 백라이트 유닛
410 : 프리즘시트 420 : 확산판
430 : 도광판 440 : 반사판
450 : 백 커버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표시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키도록 영상이 구현되는 화면을 갖는 영상표시부의 전방에 마련된 투광창에 굴절 패턴이 구비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종래의 CRT(Cathode Ray Tube)와 비교하여 소형, 경량화 및 대화면화의 장점을 갖고 있어, 이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모니터와 대형 표시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기에도 사용되고 있어 그의 사용범위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다르게 자체 발광을 가지지 못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한다. 부연하자면 액정표시장치는 크게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제어용 스위치들에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광선의 투과량이 조절되어 화면에 원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액정 구동회로 유닛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선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액정 구동회로 유닛 및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화면을 제외한 영역을 감싸도록 프 론트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면을 감싸도록 백 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와 백 커버가 형합된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화면으로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액정표시패널을 보호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프론트 커버 사이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투광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투광창이 액정표시패널과 프론트 커버 사이에 마련된다.
그러나, 핸드폰과 같은 휴대성이 강조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는 그 구조상 많은 광원이 설치될 수 없기 때문에 액정표시패널에서 투광창을 통해 투과되는 광선의 휘도에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상기 투광창은 액정표시패널에서 출사되는 광선 전부를 투과시키는 것이 아니라 액정표시패널에서 투광창으로 출사되는 광선 중 일부를 반사시키거나 산란시키게 되므로 그만큼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표시부에서 투광창으로 투과되는 광선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영상표시부와 투광창의 광 경로 상에 광선을 굴절시키는 굴절 패턴이 마련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영상이 구현되는 화면을 갖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영상표시부 상에 위치하는 투광창을 포함 하고, 상기 투광창은 상기 영상표시부와 마주보는 내측 표면에 굴절 패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표시부는, 액정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절 패턴은, 투광창의 내측 표면에서 영상표시부를 향해 돌출되거나 함몰된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철부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굴절 패턴을 기계적 또는 화학적 가공을 통해 형성하거나 소정의 물질을 증착 또는 양생하여 투광창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절 패턴은 요철부가 형성된 투광성 필름을 투광창에 접착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광창은 상기 영상표시부의 측면 둘레를 감싸 영상표시부를 보호하는 프론트 커버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크게 휘도를 향상시키도록 굴절 패턴(40)이 구비된 투광창(30)과, 상기 투광창(30)을 지지하며 후술할 영상표시부(10)를 보호하도록 상기 영상표시부(10)의 소정 영역을 감싸는 프론트 커버(20)와, 영상이 구현되는 화면을 갖는 영상표시부(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표시부(10)는, 크게 액정을 이용한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플라즈마를 이용한 PDP(PLASMA DISPLAY PANEL) 및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이용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상기 LCD는 액정의 특정한 분자배열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른 분자배열로 변환시키고, 이러한 분자배열에 의해 발광하는 액정 셀의 복굴절성, 선광성, 2색성 및 광산란 특성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 정보로 변환하는 구조를 갖는다.
반면, 상기 PDP는 2장의 얇은 유리 기판 사이의 좁은 틈에 가스를 봉입하고, 상기 유리의 내면에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투명 전극을 형성하여, 상기 수평 전극과 수직 전극을 개별적으로 대전시켜 대전된 한 조의 전극이 만나는 점에 있는 픽셀이 가스 이온화로 발광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2장의 얇은 기판 사이에 봉입하고, 기판의 내면에 수평 전극과 수직 전극을 개별적으로 대전시켜 대전된 한 조의 전극이 만나는 점에 있는 픽셀이 특정 파장의 빛을 발광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LCD와 PDP 및 OLED는 화면에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자만 다를 뿐 영상표시부를 제외한 외형을 이루는 기구적 장치는 대동소이하다.
그리고, 상기 영상표시부(10)의 측면 둘레를 감싸 영상표시부(10)를 보호하고 이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프론트 커버(20)와 투광창(30)이 구비되는데, 특히 투광창(30)에는 굴절 패턴(40)이 마련되어 영상표시부(10)에서 출사된 광선이 투광창(30)으로 투과될 때 휘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즉, 상기 영상표시부(10)에서 투광창(30)으로 출사되는 광선 중 산란광을 직광으로 굴절시키도록 상기 영상표시부(10)와 마주보는 투광창(30)의 내측 표면으로 굴절 패턴(4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부(10)의 후면으로 백 커버(50)가 구비되어 프론트 커버(20)와 형합된다.
즉, 상기 영상표시부(10) 중 영상이 구현되는 화면의 어느 한점(P)에서 투광창(30)으로 출사되는 광선은 그 일부가 산란하게 되어 투광창(30)을 투과하는 광선에 어느 정도의 휘도 손실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영상표시부(10)와 투광창(30) 사이의 광 경로 상에 굴절 패턴(40)을 마련하여 영상표시부(10)에서 출사된 광선이 투광창(30)의 표면에서 전반사되지 않고 투광창으로 입사되는 광선을 굴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굴절 패턴(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창(30) 내측 표면에서 영상표시부(10)를 향해 돌출되거나 함몰된 요철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영상표시부(10) 중 영상이 구현되는 화면의 어느 한점(P)에서 투광창(30)으로 출사되는 광선의 일부가 산란하여 입사되면, 상기 산란광은 투광창(30) 내측 표면의 요철부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투광창(30)의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광선이 투과된다. 또한 상기 영상표시부(10)에서 출사된 광선은 소정의 입사각을 갖는 굴절 패턴으로 입사되면서 전반사를 줄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표시부에서 출사된 광선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전반사를 최소화하여 투광창을 투과한 광선의 밀도를 증가시켜 영상표시장치의 휘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특히, 그 구조상 많은 광원이 설치될 수 없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영상표시장치의 영상표시부와 투광창 사이의 광 경로 상에 굴절 패턴이 구비된 경우 그 효과는 더욱 향상된다. 이를 도 2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200)과 백라이트 유닛(40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200)과 백라이트 유닛(400)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100)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200)과 투광창(300)의 광 경로 상에 굴절 패턴(310)이 구비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200)과 백라이트 유닛(300)을 보호하도록 상기 액정표시패널(200)의 상부에 프론트 커버(320)가 구비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의 하부에 백 커버(450)가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 커버(320)와 백 커버(450)가 형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몰드 프레임(100)은, 액정표시패널(2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수납 공간(110)이 형성된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평면부(112)와 그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측벽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 공간(110)에는 액정표시패널(2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16)는 액정표시패널(200)의 가장자리 측면과 각각 접촉하여 이를 정렬 위치시키는 고정 돌기를 이용할 수도 있고, 소정의 계단형 단턱면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몰드 프레임(100)에 수납되는 액정표시패널(200)은 백색 면광원에서 입사된 균일한 밝기의 빛이 R(레드), G(그린), B(블루) 3종류의 컬러필터가 장착된 액정표시패널의 화소를 통과하면서, 빛의 투과량이 구동 IC(240)로부터 입력된 신호전압에 따라 조절되어, 여러 종류의 문자와 도형 및 컬러 영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액정표시패널(20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thin firm transistor; TFT)(230)에 대응하는 컬러필터 기판(220)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 판(230)과 컬러필터 기판(220)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컬러필터 기판(220) 상부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30) 하부에 각기 대응되어 형성된 편광판(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컬러필터 기판(220) 상부의 편광판(210)과 프론트 커버(320)에 의해 지지되는 투광창(300) 사이의 광 경로 상에 굴절 패턴(310)이 마련되어 편광판(210)을 통과한 광선 중 산란하는 일부 광선에 대해 직광되도록 굴절시키게 된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220)은, 광이 통과하면서 소정의 색이 발현되는 색화소인 RGB 화소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기판이다. 상기 컬러필터 기판(220)의 전면에는 투명 전도성박막인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한 도전체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3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유리 기판이다.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소스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이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는 게이트 라인이 연결된다. 또한, 드레인 단자에는 투명한 도전성 재질인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미도시)이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면 각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turn-on) 또는 턴-오프(turn-off)되어 드레인 단자로 화소 형성에 필요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된다.
즉, 상기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30)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면 화소 전극과 컬러필터 기판(220) 의 공통전극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로 인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30)과 컬러필터 기판(220) 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에 따라 광 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상기 구동 IC(240)는, COG(CHIP ON GLASS)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200)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30) 상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200)을 동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 IC(240)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 데이터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30)의 게이트 라인에 소정의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라인에 소정의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정표시패널(200)은 몰드 프레임(100)의 수납 공간(110)에 위치하여 고정되고, 액정표시패널(200)의 상부에 영상표시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프론트 커버(320)가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320)는, 액정표시패널(200)의 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액정표시패널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200)의 화면에서 구현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커버(320)의 일부면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특히, 상기 프론트 커버(320)의 개방된 일측 연부에는 소정의 계단형 단턱면(322)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면(322)에 투광창(300)이 안착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 투광창(300)은, 프론트 커버(320)의 단턱면(322)에 지지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절 패턴(310)이 구비된 투광창(300)이 액정표시패널(200)에 지지되도록 고정될 수도 있고, 액정표시패널(300)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100)에 투광창(300)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투광창(300)에 구비된 굴절 패턴(310)이 액정표시패널(200)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액정표시패널(200)에서 출사되는 광선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전반사를 최소화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정표시패널(200)에 광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수납 공간(110) 하부에 백라이트 유닛(400)이 설치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400)은,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수납 공간(110)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130)와, 상기 LED(130)의 빛이 입사되는 도광판(430)과, 상기 도광판(430)의 상부에 위치하는 확산판(420)과, 상기 확산판(4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프리즘시트(410)와, 상기 도광판(43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판(440)으로 구성되고 때에 따라서는 상기 반사판(440)의 하부에 백 커버(4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수납 공간(110)에는 도광판(430)이 설치되고, 상기 LED 연성인쇄회로기판(120)상에 실장된 LED(130)는 상기 도광판(430)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광판(430)으로 광을 입사시키게 되며, 상기 도광판(430)의 상부에 위치된 다수의 프리즘시트(410) 및 확산판(420)이 도광판(430)에서 출사된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즘시트(410)는 확산판(42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들 중에서 경사지게 입사되는 광을 수직으로 출사되게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확산판(4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직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시트(410)를 확산판(420)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판(420)은 도광판(430)을 통해 LED(130)에서 입사된 광을 백라이트 유닛(400)의 출광면으로 향하게 하고, 넓은 범위에서 균일한 분포를 가지도록 광을 확산시켜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확산판(420)으로는 양면에 소정의 광 확산용 부재가 코팅된 투명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광판(430)은 상기 LED(130)에서 발생된 광을 면광원 형태의 광학 분포를 갖는 광으로 변경하며, 상기 도광판(430)으로 쐐기 타입 플레이트 또는 평행 평판형 플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반사판(440)은 상기 광원인 LED(130)로부터 입사된 빛을 출광면으로 반사시켜 광 이용 효율을 높이고, 출광면 전체가 균일한 휘도 산포를 갖도록 상기 도광판(43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반사판(440)은 통상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반사층과 패킹층을 양면 코팅한 구조로서 입사광이 새어 나가지 못하게 하고 은폐성이 뛰어난 고반사층 구조로 휘도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반사판(440)은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백 커버(450)에 부착될 수도 있고 백 커버(45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백 커버(450)는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수납 공간(110)에 순차적으로 정렬된 액정표시패널(200), 프리즘시트(410), 확산판(420), 도광판(430) 및 반사판(440)의 측면 및 하면을 감싸고 보호하도록, 상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몰드 프레임(10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투광창과 영상표시부의 광 경로 상에 마련되는 굴절 패턴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철부는 원기둥 형상, 원추 형상, 타원기둥 형상, 타원추 형상, 다각기둥 형상, 다각추 형상, 절두 원추 형상, 절두 타원추 형상, 절두 다각추 형상, 구 형상, 반구 형상, 타원 반구 형상, 다면체 형상 및 반다면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요철부는 일정한 간격 또는 불규칙한 간격을 갖는 직선, 사선, 곡선, 격자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절 패턴(40)은 영상표시부(10)와 마주보는 투광창(30)의 내측 표면에 프리즘(PRISM) 형상을 갖고 일정한 간격을 갖는 요철부가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요철부는, 투광창의 내측 표면에서 영상표시부를 향해 돌출되거나 함몰되되 상기 투광창에서 투과된 광선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전반사를 최소화하도록 상기 요철부의 표면에는 소정의 입사각이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40a)는 투광창(30)의 내측 표면에서 영상표시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마이크로 랜즈(MICRO LENS)의 형상을 갖고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영상표시부에서 투광창(30)으로 출사되는 광선 중 일부 산란광이 마이크로 랜즈의 형상을 갖는 요철부(40a)의 표면으로 입사되어 전반사를 줄이고, 투광창(30)을 투과한 광선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영상표시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랜즈의 형상을 갖는 요철 부(40a)의 표면에는 미세한 돌기(40b)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투광창(30)의 내측 표면에 요철부(40a)가 형성되되 상기 요철부(40a)의 표면에 더욱 미세한 돌기(40b)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영상표시부에서 출사되는 광선 중 산란광이 돌기(40b) 표면으로 입사되어 전반사를 줄이고, 요철부(40a)로 투과되는 광선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영상표시장치의 휘도를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투광창(30)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40a)는, 영상표시부에서 투광창(30)으로 출사되는 광선의 전반사를 줄이고 투광창을 투과하는 광선의 직진성을 향상시키도록 소정의 입사각이 형성되는 바, 상기 요철부(40a)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가공을 통해 형성되거나 소정의 물질을 증착 또는 양생하여 투광창(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굴절 패턴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창(30)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투광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투광창과 영상표시부의 광 경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굴절 패턴에 포함되는 요철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성 소재의 비드(40c)가 투광창(30)의 내측 표면에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란광을 직광으로 굴절시키는 요철부(40a)가 투광성 필름(40d)에 형성되고, 상기 투광성 필름(40d)이 투광창(30)과 영상표시부의 광 경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광성 필름(40d)은, 영상표시부와 대면하는 투광창(30)의 내측 표면에 위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투광성 필름(40d)이 영상표시부의 화면에 위치되거나 투광창과 영상표시부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 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는 영상표시부에서 투광창으로 출사되는 광선의 전반사를 최소화하고 투광창을 투과하는 광선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영상표시장치의 휘도가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이 구현되는 화면을 갖는 영상표시부를 보호하도록 영상표시부와 프론트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는 투광창에 굴절 패턴이 마련됨으로써, 영상표시부에서 투광창을 통해 방출되는 광선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이로부터, 영상이 구현되는 화면의 휘도가 향상되므로 영상표시장치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영상이 구현되는 화면을 갖는 영상표시부와,
    상기 영상표시부 상에 위치하는 투광창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창은 상기 영상표시부와 마주보는 내측 표면에 굴절 패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부는 액정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 패턴은 투광창의 내측 표면에서 영상표시부를 향해 돌출되거나 함몰된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 패턴을 기계적 또는 화학적 가공을 통해 형성하거나 소정의 물질을 증착 또는 양생하여 투광창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절 패턴은 요철부가 형성된 투광성 필름을 투광창에 접착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광창은 상기 영상표시부의 측면 둘레를 감싸 영상표시부를 보호하는 프론트 커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070009618A 2007-01-30 2007-01-30 영상표시장치 KR20080071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618A KR20080071408A (ko) 2007-01-30 2007-01-30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618A KR20080071408A (ko) 2007-01-30 2007-01-30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408A true KR20080071408A (ko) 2008-08-04

Family

ID=3988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618A KR20080071408A (ko) 2007-01-30 2007-01-30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14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0841A (zh) * 2017-12-05 2019-06-11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制造显示装置的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0841A (zh) * 2017-12-05 2019-06-11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制造显示装置的方法
EP3495878A1 (en) * 2017-12-05 2019-06-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131878B2 (en) 2017-12-05 2021-09-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32958B (zh) 背光单元以及包括其的液晶显示装置
KR10233486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10108045B2 (en) Reflective diffusion lens,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60135207A (ko) 휘도를 개선한 발광다이오드 램프 및 이를 이용하는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90055456A (ko) 액정표시장치
KR10160449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108121114B (zh) 具有二向色滤光器的显示装置
KR10246023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GB2544895A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9275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a light guide plate with optical patterns to prevent light leakage
KR102295609B1 (ko) 도광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WO2008084898A1 (en) Reflection-type display system
CN107884986B (zh) 具有量子点单元的显示装置
KR101413140B1 (ko) 불균일한 로컬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패턴을 갖는 광확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1022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604904B1 (ko) 광원 패키지 및 백라이트 유닛
KR20120075115A (ko) 도광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71408A (ko) 영상표시장치
KR101998123B1 (ko)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
KR1025413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6383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103335A (ko) 발광소자와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KR20080062804A (ko) 백색 발광장치,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액정표시장치
KR20050113419A (ko)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220030352A (ko) 미니 led를 광원으로 하는 에지형 백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