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928A -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쿨러, 및 그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쿨러, 및 그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928A
KR20080070928A KR1020070008826A KR20070008826A KR20080070928A KR 20080070928 A KR20080070928 A KR 20080070928A KR 1020070008826 A KR1020070008826 A KR 1020070008826A KR 20070008826 A KR20070008826 A KR 20070008826A KR 20080070928 A KR20080070928 A KR 20080070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preader
base block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호
권오경
차동안
김종하
최재준
에이. 메이어 죠지
임종수
Original Assignee
(주)셀시아테크놀러지스한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시아테크놀러지스한국 filed Critical (주)셀시아테크놀러지스한국
Priority to KR1020070008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0928A/ko
Publication of KR2008007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6Thermal details
    • H05K2201/064Fluid cooling, e.g. by integral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6Thermal details
    • H05K2201/066Heatsink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쿨러, 및 그 장착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용 히트싱크는, 내부에 냉매가 주입되며 그 냉매가 내부 공간 내에서 순환되는 구조로 형성된 스프레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된 집적회로에 일면이 밀착되며 타면에 스프레더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마련된 베이스 블록, 및 베이스 블록에 고정된 스프레더와 맞물리는 형상의 시트형태의 방열 플레이트를 복수 개 겹쳐서 형성되며 스프레더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를 구비한 집적회로용 히트싱크에 있어서, 히트싱크를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으로부터 죄어 집적회로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인쇄회로기판을 뒤집어 고정부를 통해 히트싱크를 고정하는 경우 방열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열부보다 높은 높이로 측면에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한다.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집적회로용 쿨러, 베이스 블록, 스프레더

Description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쿨러, 및 그 장착방법{Heat sink and cooler for integrated circuit, and moun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히트싱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히트싱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는 사시도 그리고 도 2b는 그 방열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적회로용 쿨러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집적회로용 쿨러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집적회로용 쿨러의 베이스 블록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베이스 블록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쇠,
도 7은 도 5의 베이스 블록에 고정되는 스프레더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스프레더의 단면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3의 방열부를 구성하는 방열 플레이트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용 히트싱크의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 또는 쿨러에 사용되는 제2 고정쇠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용 쿨러의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싱크 또는 쿨러의 제2 고정쇠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인쇄회로기판 110 : 베이스 블록
120 : 스프레더 130 : 방열부
140 : 프레임 150 : 고정부
160 : 냉각팬
본 발명은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쿨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나 기타 전자제품의 집적회로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쿨러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 IC) 칩은 컴퓨터 및 여러 전자 제품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이다. 반도체 소자의 제조기술과 디지털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이와 같은 IC 칩들은 보다 많은 기능이 집적되고 있으며, IC 칩들을 구동하기 위한 클록의 속도 또한 더욱 빨라지고 있다. 그러나 IC 칩이 많은 기능을 구비하고, 그 클록속도가 빨라질수록 소비전력의 증가와 선폭 감소에 의한 전류밀도가 증가하여 많은 열이 방출하게 되며, 방출되는 열이 적정 온도를 넘으면 작동상의 오류가 발생하거나 IC 칩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전자 부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IC 칩들은 히트싱크와 함께 사용되며, 그 일반적인 형태중의 하나가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히트싱크는 알루미늄 압출에 의해 제조되고, 보조 팬(도시하지 않음)이 히트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IC칩과 경계를 이루는 히트싱크의 베이스(base)를 향해 저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히트싱크는 히트싱크의 기둥(column)형 핀들이 소정의 상부 표면적을 가짐에 따라, 팬에 의해 생성된 기류 내에 난류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기류가 히트싱크의 베이스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어 대부분의 열은 핀의 하부에 여전히 축적된다. 또한, 히트싱크의 베이스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비록 기류의 일부가 베이스의 상부 면적부에 도달하여 일부 열을 빼앗아 가더라도 대부분의 열은 여전히 베이스 내부에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히트싱크이다. 도 2a에 도시된 히트싱크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열 플레이트를 복수 개 겹쳐서 형성된다. 즉, 각각의 방열 플레이트(10)는 흡열부(12)와 방열부(14)로 이루어져 있으며, 방열부(14)는 흡열부(12)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흡열부(12)와 일체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양측의 방열부(14)에는 스페 이서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열 플레이트(10)를 복수 개 서로 겹친 후, 흡열부(12)들을 가압블록(20)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면, 밀착된 흡열부(12)는 중앙부(22)를 이루게 되며, 방열부(14)의 외측 단부들은 스페이서부(15)들로 인해 서로 멀어져 중앙부(22)를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게 된다.
한편, 서로 밀착되는 방열 플레이트(10)들의 중심부에는 제1 히트파이프(30)가 설치되며, 방열 플레이트(10)의 양측 방열부(14)의 각각에는 제2 히트파이프(40)가 결합되는 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히트파이프(30)는 열원의 열을 전달받아 제2 히트파이프(40)로 신속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히트싱크는, 컴퓨터의 메인보드와 인쇄회로기판의 면적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그 인쇄회로기판에 히트싱크 장착용 고정쇠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에 큰 어려움이 없으나, 그래픽 카드와 같이 그 면적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의 양면을 통해 히트싱크를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히트싱크를 장착하고 그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서 히트싱크를 조여 고정시키는 경우, 인쇄회로기판을 든 상태에서 히트싱크를 고정시키기 불편하며, 바닥에 히트싱크를 뒤집어 업게 되면 방열 플레이트가 휘거나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방열부 위에 냉각팬이 장착된 쿨러의 경우에도, 그 쿨러를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기가 상당히 불편하며, 바닥에 쿨러를 뒤집어 업게 되면 냉각 팬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래픽 카드와 같이 그 면적이 비교적 작은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그 장착이 용이한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그 장착방법, 및 집적회로용 쿨러 및 그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용 히트싱크는, 내부에 냉매가 주입되며 그 냉매가 내부 공간 내에서 순환되는 구조로 형성된 스프레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된 집적회로에 일면이 밀착되며 타면에 상기 스프레더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마련된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된 상기 스프레더와 맞물리는 형상의 시트형태의 방열 플레이트를 복수 개 겹쳐서 형성되며 상기 스프레더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부에 걸쳐 장착되는 고정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쇠와 결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베이스 블록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방열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방열부보다 높은 높이로 측면에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레더는 평판형으로 구현되며, 상기 베이스 블록에는 상기 평판형 스프레더가 상방을 향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적회로용 히트싱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배면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제2 고정쇠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쇠는 상기 고정부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볼트 및 너트, 또는 리벳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그 배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쇠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제1 고정부에 맞물려 조일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쇠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제2 고정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의 집적회로용 히트싱크는, 내부에 냉매가 주입되며 그 냉매가 내부 공간 내에서 순환되는 구조로 형성된 스프레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된 집적회로에 일면이 밀착되며 타면에 상기 스프레더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마련된 베이스 블록, 및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된 상기 스프레더와 맞물리는 형상의 시트형태의 방열 플레이트를 복수 개 겹쳐서 형성되며 상기 스프레더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를 구비한 집적회로용 히트싱크에 대하여, 상기 히트싱크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장착 위치에 배치한 후, 측면에 상기 방열부보다 높은 높이로 설치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함께 뒤집어 업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블록에 걸치는 고정쇠,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쇠와 결합하는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베이스 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적회로용 히트싱크의 장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용 쿨러는, 내부에 냉매가 주입되며 그 냉매가 내부 공간 내에서 순환되는 구조로 형성된 스프레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된 집적회로에 일면이 밀착되며 타면에 상기 스프레더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마련된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된 상기 스프레더와 맞물리는 형상의 시트형태의 방열 플레이트를 복수 개 겹쳐서 형성되며 상기 스프레더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 상기 방열부 위에 설치되며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부의 공기를 상기 집적회로 측으로 강제 송풍시키는 냉각팬,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부에 걸쳐 장착되는 고정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쇠와 결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베이스 블록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방열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방열부보다 높은 높이로 측면에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집적회로용 쿨러는, 내부에 냉매가 주입되며 그 냉매가 내부 공간 내에서 순환되는 구조로 형성된 스프레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된 집적회로에 일면이 밀착되며 타면에 상기 스프레더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마련된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된 상기 스프레더와 맞물리는 형상의 시트형태의 방열 플레이트를 복수 개 겹쳐서 형성되며 상기 스프레더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 위에 설치되며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부의 공기를 상기 집적회로 측으로 강제 송풍시키는 냉각팬을 구비한 집적회로용 쿨러에 대하여, 상기 쿨러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장착 위치에 배치한 후, 측면에 상기 냉각팬보다 높은 높이로 설치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함께 뒤집어 업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블록에 걸치는 고정쇠,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쇠와 결합하는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베이스 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집적회로용 쿨러의 장착방법을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집적회로용 쿨러는, 그래픽 카드와 같이 그 면적이 작은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는 경우에 장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열 플레이트 또는 냉각팬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집적회로용 쿨러와, 그 장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용 쿨러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용 쿨러의 사시도이다.
히트싱크와 쿨러의 구별은 열원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강제적으로 방출시키는가의 판단에 따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용 쿨러는 베이스 블록(110), 스프레더(120), 방열부(130), 프레임(140), 지지부(145), 고정부(150), 및 냉각팬(160)을 구비하며, 냉각팬(160)을 회전시켜 열원으로부터 열을 강제적으로 외부로 방출시킨다. 또한, 집적회로용 히트싱크는 상기의 집적회로용 쿨러의 구조에서 냉각팬(160)을 제거한 구조로서, 열원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스프레더(120) 및 방열부(130)에 의해 능동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하에서는 집적회로용 쿨러의 각 구성요소의 구조 및 기능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쿨러를 함께 설명한다.
베이스 블록(11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면이 집적회로(도시하지 않음)의 상면에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이스 블록(110)은 구리,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플라스틱, 합성고무 중의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 전달율을 높이기 위하여 내부가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플라스틱, 합성고무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물질로 채워질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 블록(110)의 상면에는 스프레더(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홈(122)이 마련된다. 이때, 베이스 블록(110)에 마련된 홈(122)은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방을 향해 서로 다른 기울기로 개구될 수도 있다. 또한, 홈(122)은 장착될 스프레더(120)의 개수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블록(110)을 집적회로에 밀착시켜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쇠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고정쇠(112)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쇠(112)의 양단에는 나사 또는 리벳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고정쇠(112)의 중심부는 베이스 블록(110)에 걸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고정쇠(112)의 중앙부는 베이스 블록(110)의 높이만큼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며, 그 돌출된 부분의 너비는 베이스 블록(110)의 장 방향 길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상의 고정쇠(112)를 이용하여 베이스 블록(110)을 인쇄회로기판에 밀착시키고,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서 나사 또는 리벳을 죄어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스프레더(120)는 열원(집적회로)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판형 스프레더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평판형 스프레더(12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메쉬 구조물(122)이 설치되며, 빈 공간을 냉매로 채워서 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평판형 스프레더(120)의 구조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 공간을 냉매만으로 채워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메쉬 구조물과 윅 구조물을 함께 설치하고 빈 공간에 냉매를 채우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평판형 스프레더(120)는 베이스 블록(110)에 마련된 홈(122)에 일측부가 고정되어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장착된다. 또는, 베이스 블록(110)의 상면에 다양한 기울기로 홈(122)이 마련된 경우에는 각각의 홈(122)의 기울기에 따라 다양한 기울기로 상방을 향해 방사형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스프레더(120)의 형상은 평판형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원통형의 고리형태로 구현되어 그 일부분이 베이스 블록(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스프레더(120)의 내부는 윅 구조물, 메쉬 구조물, 냉매 등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부(13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트 형태의 방열 플레이트(132)를 복수 개 겹쳐서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방열 플레이트(132)에는, 베이스 블 록(110)에 장착된 스프레더(12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스프레더(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132)이 마련된다. 도면에는 수직하게 장착되는 스프레더(120)에 대응하여 수직한 홈(132)이 마련된 방열 플레이트(132)의 형상을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열부(130)의 각각의 방열 플레이트(132)는 프레임(140)에 의해 고정된다. 프레임(140)은 방열부(130)의 외측면을 둘러 부착되며, 각각의 방열 플레이트(132)를 고정시킨다. 또한, 프레임(140)의 상측에는 방열부(130)보다 높은 높이로 지지부(145)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부(130)의 각각의 방열 플레이트(132)는 스프레더(120)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출 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 블록(110), 스프레더(120), 방열부(130), 및 프레임(140)으로 구성된 구조물이 집적회로용 히트싱크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또는 집적회로용 쿨러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블록(110)에 고정쇠(112)를 걸치고, 그 고정쇠(112)에 마련된 구멍을 통하여 나사 또는 리벳을 인쇄회로기판(100)의 배면으로 관통시킨 후, 배면으로 돌출된 나사 또는 리벳을 고정부(150)로 죔으로써 인쇄회로기판(100)과 집적회로용 히트싱크를 서로 밀착시킨다.
이때, 인쇄회로기판(100)의 배면에는 집적회로용 히트싱크의 장착을 더욱 안정화시키기고, 인쇄회로기판(100)을 지지하기 위한 제2 고정쇠(170)(도 11 참조)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고정쇠(170)는 고정쇠(112)로부터 돌출된 나사 또는 리벳(15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 고정부(150)에 걸치는 -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0)의 반대 면으로부터 배면으로 관통된 별도의 나사 또는 리벳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100)의 지지를 더욱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는 인쇄회로기판(100)을 관통하여 그 배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고정쇠(112)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제1 고정부(예를 들면, 볼트)와, 인쇄회로기판(100)을 관통하여 돌출된 제1 고정부에 맞물려 조일 수 있도록 제2 고정쇠(170)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제2 고정부(예를 들면,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고정쇠(112)에 볼트가 일체형으로 장착된 쿨러를, 제2 고정부(170)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너트(150)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100)에 장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볼트와 너트를 각각 고정쇠(112) 및 제2 고정쇠(170)에 일체형으로 장착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히트싱크 또는 쿨러를 인쇄회로기판(100)의 장착 위치에 뒤집어 배치하고 고정부(150)를 조이는 것만으로, 히트싱크 또는 쿨러를 인쇄회로기판(100)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부(130)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부(145)를 이용하여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인쇄회로기판(100)을 뒤집어 업어 놓고 고정부(150)를 조일 수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100)에 집적회로용 히트싱크를 장착하는 작업이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140)의 내측면에는 냉각팬(16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냉각팬 고정쇠(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히트싱크에 냉각팬(160)을 고 정시킨 구조물이 집적회로용 쿨러를 형성한다.
이 경우, 프레임(140)의 상측에는 냉각팬(160)보다 높은 높이로 지지부(145)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지부(145)를 이용하여 집적회로용 쿨러 및 인쇄회로기판(100)을 뒤집어 업어 놓고 고정부(150)를 조일 수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100)에 집적회로용 히트싱크를 장착하는 작업이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집적회로용 쿨러는 그래픽 카드와 같은 면적이 작은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는 경우에 인쇄회로기판과 함께 뒤집어 업고 그 인쇄회로기판의 배면에서 고정부를 조여 집적회로에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장착 작업을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훨씬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내부에 냉매가 주입되며 그 냉매가 내부 공간 내에서 순환되는 구조로 형성된 스프레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된 집적회로에 일면이 밀착되며 타면에 상기 스프레더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마련된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된 상기 스프레더와 맞물리는 형상의 시트형태의 방열 플레이트를 복수 개 겹쳐서 형성되며 상기 스프레더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부에 걸쳐 장착되는 고정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쇠와 결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베이스 블록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방열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방열부보다 높은 높이로 측면에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는 평판형으로 구현되며, 상기 베이스 블록에는 상기 평판형 스프레더가 상방을 향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배면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 블록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제2 고정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쇠와 상기 고정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볼트 및 너트, 또는 리벳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그 배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쇠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제1 고정부에 맞물려 조일 수 있도록 상기 제2 고정쇠에 일체형으로 장착된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7. 내부에 냉매가 주입되며 그 냉매가 내부 공간 내에서 순환되는 구조로 형성 된 스프레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된 집적회로에 일면이 밀착되며 타면에 상기 스프레더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마련된 베이스 블록, 및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된 상기 스프레더와 맞물리는 형상의 시트형태의 방열 플레이트를 복수 개 겹쳐서 형성되며 상기 스프레더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를 구비한 집적회로용 히트싱크에 대하여,
    상기 히트싱크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장착 위치에 배치한 후, 측면에 상기 방열부보다 높은 높이로 설치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함께 뒤집어 업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블록에 걸치는 고정쇠,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쇠와 결합하는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베이스 블록 측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용 히트싱크의 장착방법.
  8. 내부에 냉매가 주입되며 그 냉매가 내부 공간 내에서 순환되는 구조로 형성된 스프레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된 집적회로에 일면이 밀착되며 타면에 상기 스프레더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마련된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된 상기 스프레더와 맞물리는 형상의 시트형태의 방열 플레이트를 복수 개 겹쳐서 형성되며 상기 스프레더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
    상기 방열부 위에 설치되며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부의 공기를 상기 집적회로 측으로 강제 송풍시키는 냉각팬;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부에 걸쳐 장착되는 고정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쇠와 결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베이스 블록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고정부; 및
    상기 방열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상기 방열부보다 높은 높이로 측면에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용 쿨러.
  9. 내부에 냉매가 주입되며 그 냉매가 내부 공간 내에서 순환되는 구조로 형성된 스프레더,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장착된 집적회로에 일면이 밀착되며 타면에 상기 스프레더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마련된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된 상기 스프레더와 맞물리는 형상의 시트형태의 방열 플레이트를 복수 개 겹쳐서 형성되며 상기 스프레더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 위에 설치되며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부의 공기를 상기 집적회로 측으로 강제 송풍시키는 냉각팬을 구비한 집적회로용 쿨러에 대하여,
    상기 쿨러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장착 위치에 배치한 후, 측면에 상기 냉각팬보다 높은 높이로 설치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함께 뒤집어 업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블록에 걸치는 고정쇠,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쇠와 결합하는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베이스 블록 측으 로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용 쿨러의 장착방법.
KR1020070008826A 2007-01-29 2007-01-29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쿨러, 및 그 장착방법 KR20080070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826A KR20080070928A (ko) 2007-01-29 2007-01-29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쿨러, 및 그 장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826A KR20080070928A (ko) 2007-01-29 2007-01-29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쿨러, 및 그 장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928A true KR20080070928A (ko) 2008-08-01

Family

ID=3988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826A KR20080070928A (ko) 2007-01-29 2007-01-29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쿨러, 및 그 장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092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580B1 (ko) * 2008-10-02 2014-01-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인식장치의 냉각구조
KR101454142B1 (ko) * 2011-02-10 2014-10-22 도요타 지도샤(주) 전력 변환 장치
US11280406B2 (en) * 2019-04-24 2022-03-22 Denso Corporation Rotary actu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580B1 (ko) * 2008-10-02 2014-01-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인식장치의 냉각구조
KR101454142B1 (ko) * 2011-02-10 2014-10-22 도요타 지도샤(주) 전력 변환 장치
US11280406B2 (en) * 2019-04-24 2022-03-22 Denso Corporation Rotary actu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0603A1 (en) Heatsink assembly
US6618251B2 (en) Cooling device capable of contacting target with smaller urging force
US7443679B2 (en) Heat dissipating device having a fin also functioning as a fan holder
US7414841B2 (en) Electronic cooling system having a ventilating duct
US6860321B2 (en) Heat-dissipating device
US7436673B2 (en) Heat sink fixing assembly
US7782621B2 (en) Circuit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30159819A1 (en) Heatsink device for cooling chipset
US20070146990A1 (en) Heat dissipating assembly
US20090059524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US6153932A (en) Fix base of integrated circuit chipset and heat sink
US20090059525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for computer add-on cards
US7647960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US6384331B1 (en) Secured reinforcing support device for a heat sink
US7997766B2 (en) Light-emitting display panel
US20050117305A1 (en) Integrated heat sink assembly
US20040042178A1 (en) Heat spreader with surface cavity
US7423873B2 (en) Heat dissipation device having fan holder for attachment of a fan
US20110056670A1 (en) Heat sink
KR20080070928A (ko) 집적회로용 히트싱크 및 쿨러, 및 그 장착방법
US20040109301A1 (en) Cooling device for an integrated circuit
US6515860B1 (en) CPU heat sink fastener
CN100418213C (zh) 沸腾腔式散热装置
US20050270741A1 (en) Large-area planar heat dissipation structure
US20060181855A1 (en) Heat generation assembly with coo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