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8512A -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 Google Patents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8512A
KR20080068512A KR1020070058475A KR20070058475A KR20080068512A KR 20080068512 A KR20080068512 A KR 20080068512A KR 1020070058475 A KR1020070058475 A KR 1020070058475A KR 20070058475 A KR20070058475 A KR 20070058475A KR 20080068512 A KR20080068512 A KR 2008006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specific
monitoring
task
specific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915B1 (ko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521,979 priority Critical patent/US8117257B2/en
Priority to PCT/KR2007/005876 priority patent/WO2008088125A1/en
Publication of KR2008006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출원서에 따르면, 서버가 특정 단말로부터 이벤트 보고를 수신하였을 때 서버가 수행해야 할 작업을, 사전에 미리 예약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출원서에 따르면, 상기 단말 내부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라우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단말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분리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출원서에 따르면, 라우팅 서비스를 위해 소스 번호와 등록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라우팅 서비스가 정확하게 동작되도록 한다. 또한, 소스 번호와 등록 번호를 통하여, 프로세싱부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잘못된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DEVICE MANAGEMET USING EV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2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관리객체를 트리 형태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11은 서버로 보고되는 메시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 설명 **
100: 장치관리 서버
110: 제 1 장치관리 서버 120: 제 2 장치관리 서버
200: 단말 210: DM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
220: 모니터링부 230: 라우팅부
240: 프로세싱부 250: 관리 객체
본 발명은 장치(예컨대, 단말)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벤트를 이용하여 장치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치(예컨대, 단말)는 하드웨어, 예컨대 메모리를 사용하거나, 배터리를 사용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내부에서 무수히 많은 이벤트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소프트웨어, 예컨대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 등을 구동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기능을 수행 동안, 내부에서 무수히 많은 이벤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내부(local)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는 내부의 하드웨어간, 또는 소프트웨어 간에 서로 전달되어, 전체적으로 사용자가 의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만약 상기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상기 장치의 외부에 존재하는 엔티티로 전달/보고해야 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장치관리(Device Management: 이하 DM이라 함) 기술이 대두되었다.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이하 DM이라 함) 기술은 장치관리 서버가 장치관리의 대상이 되는 특정한 장치(또는, 클라이언트)(예컨대, 단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장치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상기 서버에게 보고할 수 있게 한 기술이다.
이와 같은 장치 관리(DM) 기술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장치로부터 이벤트를 보고받고자 할 경우, 먼저 이벤트 보고를 받기 위한 요청을 해야 한다. 그러면, 상기 장치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들을 모니터링하다가, 해당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요청한 서버에게 상기 이벤트를 보고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이벤트를 분석하고, 분석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많은 경우 이벤트가 보고될 때 상기 서버는 장치 상의 어떤 기능을 변경한다든지, 혹은 어떤 프로세싱을 시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이벤트의 종류가 다양하고,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상기 서버가 상기 이벤트를 수신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과정은 너무 많은 데이터 전송과, 작업부하를 수반하게 된다. 또한, 과도한 비용을 지출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버가 수천 개의 장치를 담당할 경우에는, 특히 작업 부하가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서버의 개수가 증가해야 하고, 관리 비용은 지나친 수준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서버가 특정 단말로부터 이벤트 보고를 수신하였을 때 서버가 수행해야 할 작업을 사전에 미리 예약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단말 내부에서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세싱부 사이에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이벤트의 라우팅을 담당하는 라우팅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라우팅부가 상기 발생된 이벤트의 담당 프로세싱부로 정확하게 라우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프로세싱부는 상기 이벤트를 잘못 전달받더라도, 그에 따라 작업을 수행시킬 수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a) 서버로부터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라는 예약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모니터링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a) 모니터링부가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획득하면, 보고 메시지를 라우팅부에 전달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보고 메시지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식별 번호, 및 등록 번호를 포함하고, b) 상기 라우팅부가 상기 전달받은 보고 메시지를 담당 프로세싱부로 라우팅하는 단계와; c) 상기 담당 프로세싱부가 상기 보고 메시지 내의 상기 식별 번호 및 등록 번호와 내부 설정되어있는 식별 번호 및 등록 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d)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프로세싱부가 예약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a)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요청을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될 때,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라는 예약의 요청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예약된 작업의 수행 결과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하여 단말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이 획득되면, 보고 메시지를 라우팅부에 전달하는 모니터링부와; 여기서, 상기 보고 메시지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식별 번호, 및 등록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받은 보고 메시지를 담당 프로세싱부로 라우팅하는 상기 라우팅부와; 상기 보고 메시지 내의 상기 식별 번호 및 등록 번호와 내부 설정되어있는 식별 번호 및 등록 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예약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담당 프로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시한다.
실 시 예
첨부된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단말(Terminal)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상기 단말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ME(Mobile Equipment),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노트북,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멀티미디어 기기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는 상기 단말(200)에게 특정 이벤트를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하고(S111),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될 때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예약 요청한다(S112). 이때, 상기 이벤트 모니터링 요청(S111)과, 상기 예약 요청(S112)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말(200)은 모니터링부(220)와, 프로레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요청(S111)에 따라, 이벤트들을 모니터링한다(S113).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모니터링(S113)에 앞서,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인증(authenticate)된 서버인지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정당한 권한을 갖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상기 장치 관리 서버(100)가 정당한 권한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에, 상기 요청을 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를 상기 프로세싱부(240)에 전달한다(S114).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200)는 상기 이벤트가 제대로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에 상기 이벤트를 보고할 수 있다(S115).
상기 프로세싱부(240)는 상기 이벤트를 전달받으면(S114),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예약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한다(S116). 이때, 상기 프로세싱부(240)는 상기 전달된 이벤트를 검증하여, 정당한 이벤트인지 확인한 후 상기 특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말(200)은 장치관리 객체(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는 상기 단말(200)이 가진 자원, 또는 설정 값을 트리(Tree) 상에 존재하는 관리 객체(Managed Object)의 형태로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에게 제공하고,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상기 트리 형태의 관리 객체를 통하여 상기 단말(2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용이하게 상기 단말(200)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는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을 상기 단말(200)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의 요청(S111)을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에 저장된 상기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은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만이 수정/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 치관리 서버(100)는 상기 특정한 작업에 대한 설정 값을 상기 단말(200)의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특정한 작업의 수행에 대한 예약 요청을(S112)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에 저장된 상기 작업 설정 값은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만이 수정/삭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벤트 모니터링 요청(S111)과, 상기 예약 요청(S112)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는 상기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과, 상기 특정한 작업에 대한 설정 값을 포함하는 컨텍스트를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200)에서 상기 모니터링부(220)와 상기 프로세싱부(200)는 동시에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도 역시 2 가지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을 요청하는 제 1 장치관리 서버(110)(예를 들어, 진단 서버라 함)와, 작업 수행의 예약을 요청하는 제 2 장치관리 서버(120)(예를 들어, 스케줄링 서버라 함)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서버가 2 가지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예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 1 장치관리 서버(110)가 상기 단말(200)에 특정한 이벤트의 발생을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한다(S131). 그리고, 상기 제 1 장치관리 서버(110)는 상기 제 2 장치관리 서버(120)에 모니터링을 요청하였음을 통지한다(S132). 그러면, 상기 제 2 장치관리 서버(120)는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될 때,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예약 요청한다(S123). 그외 에는 도 1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오동작할 경우, 상기 단말(200)을 잘못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2 장치관리 서버(120)가 상기 단말(200)의 상기 프로세싱부(240)에 작업을 요청할 수 있는 권한을 독점적으로 가지더라도, 상기 제 1 장치관리 서버(110)가 오동작할 경우, 상기 단말(200)의 상기 프로세싱부(240)에 잘못된 작업을 요청함으로써 상기 단말(100)을 잘못 제어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모니터링부(220)와 상기 프로세싱부(240) 간에 이벤트의 전달 과정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프로세싱부(240)가 오동작하거나,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이벤트 발생하면 악의적인 작업이 수행되도록 명령될 경우, 상기 단말(200)은 잘못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는 보안(Security)를 강화하는 제 2 실시예를 제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모니터링부(220)와 상기 프로세싱부(240) 사이에 이벤트의 라우팅을 위한 라우팅부(230)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부(220)와 상기 프로세싱부(240)를 서로 분리가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라우팅부(230)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상기 모니터링부(220), 또는 상기 프로세싱부(240)에 각기 나뉘어져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는 상기 라우팅부(230)가 상기 이벤트를 상기 소스 번호와, 등록 번호를 사용하여, 라우팅하게 함으로써, 상기 모니터링부(220) 와 상기 프로세싱부(240)를 분리가능하게 하고, 상기 프로세싱부(240)가 여러 개 존재하더라도, 정확한 라우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대해여 이해를 돕고자,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상기 제 1 장치관리 서버(110)가 상기 모니터링부(220)에 특정 이벤트의 모니터링을 요청할 때 (혹은, 특정 이벤트의 보고를 요청할 때),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한 소스 번호(식별 번호)와, 그리고 등록 번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소스 번호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서 고유한 값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소스 번호는 통신 서비스 제공 업체, 단말기 제조 업체, 공인 기관, 또는 사설 기관으로부터 지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등록 번호는 종류가 동일한 2 이상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 각각의 이벤트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등록 번호는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제안하고 상기 모니터링부(220)가 상기 제안된 등록 번호를 수락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등록 번호를 요청하면, 상기 모니터링부(220)가 등록번호를 결정하여,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에 제공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 번호와 등록 번호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단말(200)의 상기 모니터링부(220)가 동시에 여러 개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싱부(240)가 동시에 여러 개 존재할 때, 각자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모니터링부와 제 2 모니터링부가 소스 번호가 2인 이벤트의 발생을 모니터링하되, 제 1 모니터링부는 등록 번호가 1인 이벤트에 대해서, 제 2 모니터링부는 등록 번호가 2인 이벤트에 대해서 모니터링하면, 서로 역할이 분명하게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번호 및 상기 등록번호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라우팅부(230)가 정확한 라우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프로세싱부는 소스 번호가 2이고, 등록 번호가 1인 이벤트에 대한 작업을 담당하고, 제 2 프로세싱부는 소스 번호가 2이고, 등록 번호가 2인 이벤트에 대한 작업을 담당할 때, 상기 라우팅부(230)가 상기 제 2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소스 번호가 2이고, 등록 번호가 2인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상기 이벤트를 상기 제 2 프로세싱부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2) 상기 이벤트의 모니터링 요청을 수신한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의 인증정보, 그리고 권한을 확인한 후, 이벤트의 모니터링을 개시한다. 상기 권한은 전술한 장치관리 객체(Managed Object)(250)에 대한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의 접근 권한을(Access Rights)을 검증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3) 한편, 상기 제 1 장치관리 서버(110)는 상기 소스 번호, 및 등록 번호를 상기 제 2 장치관리 서버(12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소스 번호 및 상기 등록 번호는 암호화 채널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소스 번호 및 상기 등록 번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안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4) 그러면, 상기 제 2 장치관리 서버(120)는 상기 프로세싱부(240)에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될 때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라고 예약 요청한다. 이때, 상기 소스 번호 및 상기 등록번호를 함께 전달한다.
5) 그러면, 상기 프로세싱부(240)는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의 인증 정보와 권한을 확인한다. 상기 권한은 전술한 장치관리 객체(Managed Object)에 대한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의 접근 권한을(Access Rights)을 검증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6) 그리고, 상기 프로세싱부(240)는 상기 라우팅부(230)에 상기 소스 번호 및 상기 등록 번호를 등록한다. 이때, 상기 소스 번호와 등록 번호 외에도 이벤트의 전달 방식에 대한 사항이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all-back 함수 포인터를 등록하고, 이를 통하여 이벤트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7) 추후,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라우팅부(230)에 보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보고 메시지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 상기 소스 번호와, 상기 등록 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와 이벤트의 변수(이벤트를 추가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 간단한 정보),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8) 그러면, 상기 라우팅부(230)은 상기 전달받은 보고 메시지 내의 소스 번호 및 등록 번호를 확인하고, 동일한 소스 번호 및 등록 번호로 등록한 프로세싱부가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된 상기 프로세싱부(240)로 상기 보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9) 상기 프로세싱부(240)는 상기 보고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상기 소스 번호와 상기 등록 번호를 검증하고, 미리 정해진 작업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라우팅부(230)를 제공하고, 소스 번호와, 등록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보안을 보다 강화한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2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장치관리 서버(110) 및 상기 제 2 장치관리 서버(120)는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서버(DM Enabler Server)(111, 121)와, 모니터링 인에이블러 서버(Monitoring Enabler Server) (112, 122)와, 그리고 프로세싱 인에이블러 서버(Processing Enabler Server) (113,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서버(111, 121)는 상기 단말(100)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서버(111, 121)를 통하여, 상기 모니터링 인에이블러 서버(112, 122)는 특정 이벤트에 대한 모니터링을 상기 단말(2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서버(111, 121)를 통하여, 상기 프로세싱 인에이블러 서버(113, 123)는 상기 단말(200)에 특정한 작업의 수행을 예약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서버(111, 121)는 상기 단말(200)로부터 특정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인에이블러 서버(112, 122)에 전달한다. 또는, 상기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서버(111, 121)는 상기 단말(200)로부터 상기 특정한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싱 인에이블러 서버(113, 123)에 전달한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 인에이블러 서버(112, 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200)에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200)로부터 상기 특정 이벤트의 발생에 대해서 보고를 받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인에이블러 서버(113, 123)는 상기 단말(200)에 특정한 작업의 수행을 예약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200)로부터 상기 작업의 수행 결과를 보고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제 1 장치관리 서버(110)는 상기 단말(200)에 이벤트의 모니터링 요청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고, 상기 제 2 장치관리 서버(120)는 상기 단말(200)에 특정한 작업의 수행을 예약 요청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장치관리 서버(110)를 진단 서버라고도 부르며, 상기 제 2 장치관리 서버(120)를 스케줄링 서버라고도 부를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200)은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DM Enabler Client)(210)와, 모니터링부(220)와, 라우팅부(230)와, 프로세싱부(240)와, 그리고 장치관리 객체(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210)는 상기 모니터링부(220), 그리고 상기 프로세싱부(240)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장치관리 서버(110,12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210)는 상기 제 1 장치관리 서버(110)로부터 특정 이벤트에 대한 모니터링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 2 장치관리 서버(120)로부터 특정한 작업의 수행에 대한 예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M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210)는 상기 모니터링부(220)가 상기 특정 이벤트의 발생에 대해서 상기 제 1 또는 2 장치관리 서버(110, 또는 120)로 보고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210)와 연결 되며, 상기 라우팅부(230)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와 연결된다.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장치관리 서버(110)로부터 상기 특정 이벤트의 발생에 대해서 모니터링을 요청받으면, 상기 제 1 장치관리 서버(110)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정당한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요청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내의 설정 값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요청받은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라우팅부(230)에 상기 보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보고 메시지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 상기 이벤트에 대한 소스 번호와, 등록 번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라우팅부(230)는 상기 모니터링부(220)와, 상기 프로세싱부(240)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라우팅부(230)는 상기 모니터링부(220)로부터 상기 이벤트의 발생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적절한 프로세싱부로 라우팅한다.
상기 프로세싱부(240)는 상기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210)와 연결되며, 상기 라우팅부(230)와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와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싱부(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장치관리 서버(120)로부터 작업의 수행에 대한 예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 2 장치관리 서버(112)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정당한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싱부(240)는 상기 요청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내의 설정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부(240)는 상기 특정한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상 기 장치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200)이 가진 자원, 또는 설정 값을 트리(Tree) 상에 존재하는 관리 객체(Managed Object)의 형태로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에게 제공하고,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상기 트리를 통하여 상기 단말(2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과, 상기 작업에 대한 설정 값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관리 객체(250)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관리객체를 트리 형태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 (b)는 특정 이벤트의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을 포함하는 장치관리 객체이고, (c)는 특정한 작업의 수행을 위한 설정 값을 포함하는 장치관리 객체임을 알 수 있다.
먼저, (a)의 장치관리 객체는 상기 단말(200)내의 어떤 값이 임계-값에 도달하였을 때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 또는 상기 라우팅부(230)에 전달하도록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a)의 장치관리 객체는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변수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URI 엘리먼트(또는, 노드)와, 상기 변수의 값을 샘플링할 주기를 지정하는 Interval 엘리먼트, 임계 값을 지정하는 Threshold 엘리먼트, 모니터링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시하는 Operation 엘리먼트와, 상기 변수의 값이 상기 임계-값에 도달하면, 발생시킬 이벤트를 지시하는 Trap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Operation 엘리먼트는 상기 모니터링의 시작을 지시하는 Enable 엘리먼트와, 종료를 지시하는 Disable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Trap 엘리먼트는 상기 임계-값에 도달하면, 발생시킬 이벤트의 소스 번호(또는 식별 번호)를 지시하는 ID 엘리먼트와, 그리고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전달해야 할 대상을 지시하는 Report 엘리먼트와,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이벤트를 상기 라우팅부(230) (또는, 상기 프로세싱부(240))로 전달할 때,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Schedule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Report 엘리먼트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전달해야할 장치관리 서버의 아이디를 지시하는 Server ID 엘리먼트와, 상기 보고 메시지에 포함될 등록 번호를 지시하는 Registration Number (도시된 RegNum)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x+’ 표시는 상기 엘리먼트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Report 엘리먼트에 대한 예를 설명하면, 상기 장치관리 서버가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될 때, 보고받기 위해선 자신의 ID를 상기 Server ID 엘리먼트에 기록해야 하며, 상기 이벤트에 대한 등록 번호를 상기 Registration Number 엘리먼트에 기록해야 한다.
한편, 상기 Schedule 엘리먼트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상기 라우팅부(230) (또는, 상기 프로세싱부(240))로 전달할 때, 상기 보고 메시지 내에 포함될 등록 번호를 지시하는 Registration Number (RegNum)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Schedule 엘리먼트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될 때, 특정 한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RegNum 엘리먼트에 등록 번호를 기록해야 한다.
이와 같은 등록 번호는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예측이 힘든 어떤 값을 생성하여, 상기 장치관리 객체(250)내의 상기 RegNum 노드에 전송하면, 상기 단말(200)이 상기 등록 번호의 유일성을 확인하고, 상기 등록 번호가 유일하지 않으면, 스스로 유일한 등록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100)에 전달한다.
한편, 도시된 (b)의 장치관리 객체는 특정 시점, 특정 주기, 특정 기간, 특정 시간 간격에 해당될 때,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를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 또는 상기 라우팅부(230)에 전달하도록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b)의 장치관리 객체는 시간 조건을 지정하는 Base 엘리먼트와, 상기 시간 조건의 반복성을 지정하는 Recursive Rule (RRule) 엘리먼트와, 전술한 Operation 엘리먼트, 전술한 Trap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Base 엘리먼트는 특정 시점, 특정 주기, 특정 기간, 특정 시간 간격을 지정할 수 있다.
한편, (c)의 장치관리 객체는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상기 프로세싱부(240)로 하여금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될 때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예약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c)의 장치관리 객체는 예약된 작업의 식별자를 지시하는 Schedule ID (SchedID) 엘리먼트와, 상기 예약된 작업의 상태를 나타내는 State 엘리먼트와, 상기 예약된 작업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시하는 Operation 엘리먼트와, 상기 예약 된 작업을 어느 때 수행해야할지, 즉 상기 작업의 수행할 조건을 지시하는 Trigger 엘리먼트와, 수행해야 할 작업을 지시하는 Task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Trigger 엘리먼트는 특정한 작업의 수행을 촉발시키는 특정한 이벤트의 소스 번호(즉, 식별자)를 지시하는 Trap ID 엘리먼트와, 상기 특정한 작업의 수행을 촉발시키는 특정한 이벤트의 등록 번호를 지시하는 Registration Number (RegNum)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즉, 상기 특정한 작업이 수행되기 위해선, 상기 Trigger/x/TrapID 엘리먼트에 지정된 소스 번호가 상기 (a)의 관리 객체 또는 상기 (b)의 관리객체의 Trap/ID 엘리먼트의 소스 번호와 동일해야 하고, 상기 Trigger/x/RegNum 엘리먼트에 지정된 등록 번호는 상기 (a)의 관리 객체 또는 상기 (b)의 관리객체의 Trap/Schedule/x/RegNum에 지정된 등록 번호와 동일해야 한다.
한편, 상기 Task 노드는 상기 특정한 작업의 형식을 지정하는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즉, 상기 Task 노드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형식의 작업을 지정하는 XML 엘리먼트, 또는 바이너리 형식의 작업을 지정하는 Binary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니터링부(220)와 프로세싱부(240)가 각각 두 개씩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한 과정이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1)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상기 장치관리(DM)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210)를 통하여 상기 단말(100)의 상기 제 1 이벤트 모니터링부(221)에 특정한 이벤트에 대한 모니터링을 요청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스 번호, 상기 등록 번호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이 더 전달될 수 있다.
2) 상기 제 1 이벤트 모니터링부(221)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권한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이벤트 모니터링부(221)는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가 제시한 상기 등록번호의 유일성을 검증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이벤트 모니터링부(221)는 상기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210)를 통하여, 상기 등록 번호에 대한 확인 응답을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3)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는 상기 장치관리(DM)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210)를 통하여, 상기 제 1 프로세싱부(241)에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 1 작업을 수행하도록 예약 요청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스 번호, 상기 등록 번호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그 외에 상기 제 1 작업의 수행을 위한 설정 값이 더 전달될 수 있다.
4) 상기 제 1 프로세싱부(241)는 상기 라우팅부(230)에 상기 특정한 이벤트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전달해 달라고 요청한다. 이때, 상기 소스 번호와, 상기 등록 번호를 함께 등록한다.
5~6) 상기 라우팅부(230)는 상기 요청에 따라 등록하고, 내부 라우팅 규칙을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상기 라우팅부(230)는 상기 제 1 프로세싱부(241)에 확인 응답을 전송한다.
7) 상기 제 1 프로세싱부(241)는 상기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210)를 통하여,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에 확인 응답을 전송한다.
8~9) 이후, 상기 제 1 이벤트 모니터링부(211)는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획득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이벤트 모니터링부(211)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상기 라우팅부(23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보고 메시지는 상기 특정한 이벤트의 소스 번호, 등록 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이벤트 모니터링부(211)는 선택적으로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에 전달한다.
10~11) 상기 라우팅부(230)는 내부 로직을 수행한다. 즉, 상기 라우팅부(230)는 라우팅 규칙을 참조하여, 어느 프로세싱부로 전달해야할지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라우팅부(230)는 결정된 상기 제 1 프로세싱부(241)로 상기 보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12) 상기 제 1 프로세싱부(241)는 상기 전달받은 보고 메시지를 검증하고, 자신이 등록한 특정한 이벤트인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보고 메시지 내의 소스 번호, 및 상기 등록 번호를 상기 특정한 작업에 지정된 소스 번호, 및 등록 번호와 비교하여, 확인한다. 일치하면, 상기 제 1 프로세싱부(241)는 상기 제 1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로세싱부(241)는 상기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장치관리 인에이블러 클라이언트(210)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에 전달한다.
13~17) 한편,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는 상기 장치관리(DM) 인에이블러 클 라이언트(210)를 통하여, 상기 제 2 프로세싱부(242)에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 2 작업을 수행하도록 예약 요청한다.
18~19) 이후, 상기 제 1 이벤트 모니터링부(211)는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획득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이벤트 모니터링부(211)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보고 메시지를 상기 라우팅부(23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보고 메시지는 상기 발생한 특정한 이벤트에 대한 소스 번호, 등록 번호를 포함한다.
20~22) 상기 라우팅부(230)는 상기 제 1 프로세싱부(241)와, 상기 제 2 프로세싱부(242)로 상기 보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23~24) 상기 제 1 프로세싱부는 상기 제 1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프로세싱부(242)는 상기 제 2 작업을 수행한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장치관리 서버가 2이상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한 과정이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도 9는 제 1 장치관리 서버(110)가 상기 단말(100)에 특정한 이벤트의 모니터링을 요청하고, 상기 제 2 장치관리 서버(120)는 상기 단말(100)에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라고 예약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한편, 도 10은 제 2 장치관리 서버(120)가 모니터링 요청에 대한 권한이 없 을 경우, 상기 제 1 장치관리 서버(110)를 통하여, 특정한 이벤트에 대한 모니터링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는 장치관리 서버로 보고되는 메시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알 수 잇는 바와 같이,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장치관리 서버(100)로 상기 특정한 이벤트의 발생 사실을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 또는 상기 특정한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나타낸다.
먼저, 상기 메시지는 상기 발생된 특정한 이벤트에 대한 소스 번호(또는, 식별 번호, 또는 Trap ID)와, 상기 특정한 이벤트의 발생을 포착한 모니터링부의 어드레스(URI)와, 상기 등록 번호와, 그리고 상기 발생된 이벤트의 변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드레스는 여러 개의 모니터링부가 존재할 때 그 중에서 어떤 모니터링부에 의해 상기 특정한 이벤트의 발생이 포착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변수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특정한 이벤트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해 줄 수 있는 변수 값으로서, 예를 들어 임계 값 모니터링의 경우, 대상 변수의 값이 될 수가 있다.
한편, 도시된 메시지는 예를 들어 임계 값 모니터링에 의해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또는 상기 이벤트에 의해서 특정한 작업이 수행되었을 때 서버로 전달되는 메시지의 형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메시지의 <CmdID> 항목은 특정한 작업의 종류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data>항목은 상기 특정한 작업을 수행한 결과 코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기 <CmdID> 항목과, 상기 <data> 항목은 상기 작업의 수행 결과를 위한 메시지에만 포함될 수 있다. 상기 <Source> 항목은 특정한 이벤트의 발생을 포착한 모니터링부의 어드레스(URI)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Meta> 항목은 상기 발생한 이벤트의 소스 번호(또는, 식별번호, 또는 Trap ID)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시된 또 다른 <data> 항목은 상기 발생된 이벤트의 변수를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본 출원서에 따르면, 서버가 특정 단말로부터 이벤트 보고를 수신하였을 때 서버가 수행해야 할 작업을 사전에 미리 예약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출원서에 따르면, 상기 단말 내부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라우팅 서 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단말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분리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출원서에 따르면, 라우팅 서비스를 위해 소스 번호와 등록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라우팅 서비스가 정확하게 동작되도록 한다. 또한, 소스 번호와 등록 번호를 통하여, 상기 프로세싱부(240)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잘못된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28)

  1. a) 서버로부터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c)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될 때,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라는 예약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모니터링에 의해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수신 단계는
    상기 예약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달하라고 라우팅부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d) 상기 수행 단계는
    모니터링부가 상기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획득하면, 상기 라우팅부에 보고하는 단계와;
    상기 라우팅부가 상기 보고를 프로세싱부에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세싱부가 상기 보고에 따라 상기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수신 단계 또는 상기 c) 수신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의 식별 번호와, 등록 번호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수신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이벤트의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을 수신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상기 c) 수신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작업의 수행을 위한 설정 값을 수신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의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과, 상기 특정 작업의 수행을 위한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관리 객체 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의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이 저장되는 상기 관리 객체는
    상기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변수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제 1 엘리먼트와;
    상기 변수의 값을 샘플링할 주기를 지정하는 제 2 엘리먼트와;
    상기 변수의 값에 대한 임계 값을 지정하는 제 3 엘리먼트와;
    상기 모니터링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시하는 제 4 엘리먼트와; 그리고
    상기 변수의 값이 상기 임계-값에 도달하면, 발생시킬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는 제 5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엘리먼트는:
    상기 임계 값에 도달하면, 발생시킬 특정한 이벤트의 식별 번호를 지시하는 ID 엘리먼트와;
    상기 발생된 특정한 이벤트를 전달해야 할 대상을 지시하는 Report 엘리먼트와;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될 때, 상기 수행될 특정한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chedule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의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을 저장하는 상기 관리 객체는:
    상기 특정 이벤트를 발생시킬 시간 기반의 조건을 지정하는 제 1 엘리먼트와,
    상기 시간 기반 조건의 반복성을 지정하는 제 2 엘리먼트와;
    상기 모니터링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시하는 제 3 엘리먼트와; 그리고
    상기 특정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는 4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작업의 수행을 위한 설정 값을 저장하는 상기 관리 객체는:
    예약된 작업의 식별자를 지시하는 제 1 엘리먼트와,
    상기 예약된 작업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엘리먼트와;
    상기 예약된 작업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시하는 제 3 엘리먼트와;
    상기 예약된 작업을 수행할 조건을 지시하는 제 4 엘리먼트와; 그리고
    상기 예약된 작업을 지시하는 제 5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엘리먼트는
    상기 예약된 작업의 수행을 촉발시키는 특정한 이벤트의 식별 번호를 지시하는 Trap ID 엘리먼트와, 그리고,
    상기 예약된 작업의 수행을 촉발시키는 특정한 이벤트의 등록 번호를 지시하는 Registration Number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획득하면, 상기 서버에 보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특정한 작업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서버에 보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13. a) 모니터링부가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획득하면, 보고 메시지를 라우팅부에 전달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보고 메시지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식별 번호, 및 등록 번호를 포함하고,
    b) 상기 라우팅부가 상기 전달받은 보고 메시지를 담당 프로세싱부로 라우팅하는 단계와;
    c) 상기 담당 프로세싱부가 상기 보고 메시지 내의 상기 식별 번호 및 등록 번호와 내부 설정되어있는 식별 번호 및 등록 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d)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프로세싱부가 예약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가 서버로부터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부가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될 때,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라는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부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라우팅부에 보고 메시지를 전달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방법.
  17. a) 특정 이벤트 발생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요청을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될 때,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라는 예약의 요청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예약된 작업의 수행 결과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단말의 관리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a) 전송 단계 또는 상기 b) 전송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한 식별 번호와, 등록 번호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단말의 관리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a) 전송 단계는 상기 특정 이벤트의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을 상기 단말의 관리 객체(Managed Object)에 전송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고,
    상기 c) 수신 단계는 상기 특정 작업의 수행을 위한 설정 값을 상기 단말의 관리 객체에 전송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단말의 관리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의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은:
    상기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는 변수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제 1 엘리먼트와;
    상기 변수의 값을 샘플링할 주기를 지정하는 제 2 엘리먼트와;
    상기 변수의 값에 대한 임계 값을 지정하는 제 3 엘리먼트와;
    상기 모니터링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시하는 제 4 엘리먼트와; 그리고
    상기 변수의 값이 상기 임계-값에 도달하면, 발생시킬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는 제 5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단말의 관리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엘리먼트는:
    상기 임계 값에 도달하면, 발생시킬 특정한 이벤트의 식별 번호를 지시하는 ID 엘리먼트와;
    상기 발생된 특정한 이벤트를 전달해야 할 대상을 지시하는 Report 엘리먼트와;
    상기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될 때, 상기 수행될 특정한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Schedule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단말의 관리 방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의 모니터링을 위한 설정 값은:
    상기 특정 이벤트를 발생시킬 시간 기반의 조건을 지정하는 제 1 엘리먼트와,
    상기 시간 기반 조건의 반복성을 지정하는 제 2 엘리먼트와;
    상기 모니터링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시하는 제 3 엘리먼트와; 그리고
    상기 특정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는 4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단말의 관리 방법.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작업의 수행을 위한 설정 값은:
    예약된 작업의 식별자를 지시하는 제 1 엘리먼트와,
    상기 예약된 작업의 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엘리먼트와;
    상기 예약된 작업의 시작 또는 종료를 지시하는 제 3 엘리먼트와;
    상기 예약된 작업을 수행할 조건을 지시하는 제 4 엘리먼트와; 그리고
    상기 예약된 작업을 지시하는 제 5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단말의 관리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엘리먼트는
    상기 예약된 작업의 수행을 촉발시키는 특정한 이벤트의 식별 번호를 지시하는 Trap ID 엘리먼트와, 그리고,
    상기 예약된 작업의 수행을 촉발시키는 특정한 이벤트의 등록 번호를 지시하는 Registration Number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를 이용한 단말의 관리 방법.
  25.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벤트의 발생이 획득되면, 보고 메시지를 라우팅부에 전달하는 모니터링부와; 여기서, 상기 보고 메시지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식별 번호, 및 등록 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받은 보고 메시지를 담당 프로세싱부로 라우팅하는 상기 라우팅부와;
    상기 보고 메시지 내의 상기 식별 번호 및 등록 번호와 내부 설정되어있는 식별 번호 및 등록 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예약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상기 담당 프로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될 때,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라는 예약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부는
    상기 서버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라우팅부에 보고 메시지를 전달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070058475A 2007-01-18 2007-06-14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KR101392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21,979 US8117257B2 (en) 2007-01-18 2007-11-21 Device management using event
PCT/KR2007/005876 WO2008088125A1 (en) 2007-01-18 2007-11-21 Device management using ev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5810 2007-01-18
KR1020070005810 2007-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512A true KR20080068512A (ko) 2008-07-23
KR101392915B1 KR101392915B1 (ko) 2014-05-12

Family

ID=3982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475A KR101392915B1 (ko) 2007-01-18 2007-06-14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17257B2 (ko)
KR (1) KR101392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9731A1 (en) * 2009-09-04 2011-03-10 George Gregory Schivley Techniques for discouraging cell phone usage while driving a vehicle
US8621005B2 (en) * 2010-04-28 2013-12-31 Ttb Technologies, Llc Computer-based methods and systems for arranging meetings between user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verifying background information of users
US10389692B2 (en) 2011-11-05 2019-08-20 Jianping He Peer-to-peer device management, monitor and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5343A (en) * 1993-06-11 2000-03-07 Fujitsu Limited Method for executing software formed of software components and a system for executing such software
US5680617A (en) * 1994-05-16 1997-10-21 Apple Computer, Inc. Computer-human interface which provides for user customization of object behavior
US5887135A (en) * 1996-08-15 1999-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object transitions in an external storage facility accessed by one or more processors
US5892898A (en) * 1996-10-04 1999-04-06 Honeywell, Inc. Error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the identification and logging of error messages
US6167448A (en) * 1998-06-11 2000-12-26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anagement event notification system using event notification messages written using a markup language
US6526442B1 (en) * 1998-07-07 2003-02-25 Compaq Information Technologies Group, L.P. Programmable operational system for managing devices participating in a network
US6480901B1 (en) * 1999-07-09 2002-11-12 Lsi Logic Corporatio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devices on a network from a management station via a proxy server that provides protocol converter
US6697695B1 (en) * 2000-04-25 2004-02-24 Komatsu Ltd. Laser device management system
US6892264B2 (en) * 2001-10-05 2005-05-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orage area network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a logical identification with a physical identification
BRPI0511724A (pt) 2004-07-09 2008-01-08 Lg Electronics Inc sistema de gerenciamento de dispositivos e método de programação de execução de comando de gerenciamento de dispositivos do mesmo
KR100641238B1 (ko) * 2004-07-09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장치관리 명령스케줄링 방법
US20060025991A1 (en) * 2004-07-23 2006-02-02 Lg Electronics Inc. Voice co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PLP i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US20060064481A1 (en) * 2004-09-17 2006-03-23 Anthony Baron Methods for service monitoring and control
US8782202B2 (en) 2005-01-13 2014-07-15 Seiko Epson Corporation Monitor control of devices connected to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3326A1 (en) 2009-12-17
KR101392915B1 (ko) 2014-05-12
US8117257B2 (en)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29297B (zh) 监控装置、方法及其电脑存储介质
EP2989543B1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client
KR20070077447A (ko) 스케줄링된 장치관리를 수행하는 단말 및 방법
CN104199654A (zh) 开放平台的调用方法及装置
CN111260398A (zh) 一种广告投放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371889B (zh) 消息处理方法、装置、物联网系统和存储介质
KR101281931B1 (ko) 트랩 mo의 디바이스 관리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103810420A (zh) 一种应用防卸载方法和系统
US11593463B2 (en) Execution type software license management
CN114390044B (zh) 一种文件上传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20210194904A1 (en) Security management of an autonomous vehicle
US9667734B2 (en) Push notification-based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080068512A (ko) 이벤트를 이용한 장치관리
CN112702419B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7870251B2 (en)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al-time resource capacity management
US20130073729A1 (en) User termi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oftware management thereof
KR100824298B1 (ko) 장치관리 스케줄링 방법 그 단말
CN107729167B (zh) 应用异常处理方法和装置
CN102571434B (zh) 操作系统中网络驱动层的数据访问控制方法
CN112711518B (zh) 一种日志上传方法和装置
US20170068988A1 (en) Device integrity based assessment of indication of user action associated with an advertisement
KR101753237B1 (ko) 디바이스들의 상호 검증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CN110324426A (zh) 一种数据获取方法、装置和系统
KR102561341B1 (ko) 엣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데이터 추적 장치 및 방법
WO2008088125A1 (en) Device management using ev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