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906A - An output device for image - Google Patents

An output device for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906A
KR20080067906A KR1020070005397A KR20070005397A KR20080067906A KR 20080067906 A KR20080067906 A KR 20080067906A KR 1020070005397 A KR1020070005397 A KR 1020070005397A KR 20070005397 A KR20070005397 A KR 20070005397A KR 20080067906 A KR20080067906 A KR 20080067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output
image
steam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3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51278B1 (en
Inventor
김용태
정래승
김원태
Original Assignee
김용태
정래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태, 정래승 filed Critical 김용태
Priority to KR102007000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278B1/en
Publication of KR20080067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9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8Fluid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An image outputting apparatus is provided to increase advertising effect by forming a vapor film on wall surfaces or windows of a building and by irradiating images on the vapor film. An image outputting apparatus comprises as follows. An image output unit(30) is equipped in one side of a building wall and outputs images on a floor surface of a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 data transmission unit(60)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image output unit. A controller(70) controls the image output unit and the data transmission unit. An image expression unit(2) expresses a beam irradiated from the image output unit. In addition, a rotation unit is formed to allow the image output unit to rotate.

Description

영상물 출력장치{an output device for image}Video output device {an output device for image}

도 1은 종래의 영상물 출력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video output device.

도 2는 종래의 영상물 출력장치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video output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장치의 사용상태 개략 사시도.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장치의 사용상태 개략 사시도.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장치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ag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부의 빔프로젝터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projector of the image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장치의 흐름도.7 is a flowchart of an imag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장치의 다른 사용상태 개략도.8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use state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장치의 다른 사용상태 개략도.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nother use state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출입구 2 : 영상물 표출부1: entrance 2: image display unit

10 : 수증기 분사부 11 : 수증기막 10: water vapor injection unit 11: steam vapor film

12 : 수증기 분사노즐 13 : 수증기 발생부 12: steam injection nozzle 13: steam generator

14 : 펌프 15 : 물 공급부 14 pump 15 water supply

16 : 스트레이너 17 : 필터부 16: strainer 17: filter part

18 : 첨가물 수용부18: additive receiving unit

20 : 수증기 흡입부 21 : 응축기20: steam inlet 21: condenser

22 : 스트레이너 23 : 펌프22: strainer 23: pump

30 : 영상물 출력부 31 : 빔프로젝터30: video output unit 31: beam projector

32 : 동체 감지센서 33 : 회전부32: fuselage detecting sensor 33: rotating part

40 : 드라이아이스 기체 발생장치 41 : 드라이아이스 기체 분사부40: dry ice gas generator 41: dry ice gas injection unit

42 : 드라이아이스 기체 50 : 비눗방울 발생장치42: dry ice gas 50: soap bubble generator

51 : 비눗방울 분사부 52 : 비눗방울51: soap bubble injection unit 52: soap bubbles

60 : 데이터 송신부 70 : 제어부60: data transmission unit 70: control unit

100 : 수증기막 생성수단100: vapor film generating means

본 발명은 건물 벽면의 일측에 구비된 영상물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빔프로젝터 및 영사기의 빔을 조사하는 영상물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output apparatus for irradiating beams of a beam projector and a projector to a floor or a wall of a building using an image output apparatus provided on one side of a building wall.

자영업자나 회사가 홍보를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건물의 벽면 및 옥상에 간판을 설치하고 이를 통하여 광고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간 판은 설치 시 간판의 규격 및 색상 등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In general, a self-employed business or a company uses a signage on the walls and roofs of buildings to advertise. However, such signboards are subject to a lot of restrictions on the size and color of the signboard during installation.

이러한 옥외간판은 한번 제작 후 변경이 불가능하며, 건물에 설치함에 있어서도 많은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차선책으로 제시된 것이 보통 영화 화면과 같은 흰색 및 불투명의 스크린에 프로젝터 빔을 조사하여 광고하는 방법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스크린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다. 건물의 옥상에 설치할 경우 별도의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며, 광고효과 또한 그다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LED를 이용한 간판의 경우에는 다양한 광고를 할 수 있으나 입체적 광고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outdoor signage cannot be changed after manufacturing once, and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installing it in a building.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method of advertising by irradiating a projector beam to a white and opaque screen such as a movie screen has been suggested. However, in such a case, a large space is required to install the screen. When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additional costs are generated, and the advertising effect is not very high.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ignboard using the LED can be a variety of advertis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hree-dimensional advertising effect is reduced.

흰색 및 불투명의 스크린에 프로젝터빔을 조사하여 광고하는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막을 형성한 후 수막에 영상물을 조사하는 영상물 출력장치의 일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525045호(발명의 명칭: 수막위에 영상물을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An example of an image output apparatus for irradiating an image on a water film after forming a water film to improve a method of advertising by irradiating a projector beam to a white and opaque scree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525045 Apparatus for outputting an image and a method thereof) have been disclosed.

상기 수막위에 영상물을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도 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n image on the water film as shown in Figures 1 and 2,

좌우 양측의 지지기둥(111)의 상단에 수막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개의 물 분사공(113)을 갖는 물 분사파이프(112)와; 상기 물 분사파이프(112)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파이프(115)와 펌프 등으로 구성되며, 낙하된 낙수물을 저정하는 낙수물 저장탱크(116)와; 수막에 영상물을 투사하는 영상물 출력장치(132)로 구성되고, 수막의 두께 또는 투명도를 조절하여 수막의 전면 또는 후면에 영상물이 출력되도록 하며 고속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공기압축기(118)가 구비된 것을 특징 으로 한다.A water injection pipe 112 having a plurality of water injection holes 113 for forming a water film on top of support pillars 111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 drop water storage tank 116 configured of a water supply pipe 115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injection pipe 112, a pump, and the like; It is composed of an image output device 132 for projecting the image on the water film, by adjusting the thickness or transparency of the water film to output the image on the front or back of the water film and is provided with an air compressor 118 for spraying water at high speed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수막위에 영상물을 출력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수막에 영상물을 투사하는 장점이 있으나 대량의 물과 상기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필요하며, 이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적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n image on the water film have the advantage of projecting the image on the water film, but a large amount of water and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water are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of being limited in space for insta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자영업자 가게 및 회사를 홍보하기 위하여 벽면의 일측에 영상물 출력부를 형성하여 건물의 벽면 및 바닥면을 영상물 표출부로 이용함으로서 별도의 영상물 표출부를 두지 않아 비용 및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in order to promote the self-employed shops and companies by forming a video output unit on one side of the wall to use the wall and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as a video display unit does not have a separate video display unit cost and space constraints Do not receive.

그리고 건물의 출입구나 벽면 또는 창문에 수증기를 분사하여 수증기막을 형성하고, 형성된 수증기막에 영상물 출력장치에 의해 영상을 조사하여 광고 및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호기심 등을 유발시켜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영상물 출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water vapor film is formed by spraying water vapor on the entrance, wall or window of the building, and the video material is maximized by inducing curiosity by irradiating the image by the video output device and providing advertisement and information. An output device can be provided.

또한, 건물의 출입구나 벽면 또는 창문에 드라이아이스 기체를 분사하여 드라이아이스 기체막을 형성하고, 형성된 기체막에 영상물 출력장치에 의해 영상을 조사하여 광고 및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호기심 등을 유발시켜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영상물 출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dry ice gas film is formed by spraying dry ice gas on the entrance, wall or window of the building, and irradiating the image by the image output device on the formed gas film to provide advertisement and information to induce curiosity and so on. It can provide a video output device that can maximize.

아울러, 건물의 출입구나 벽면 또는 창문에 비눗방울을 분사하여 비눗방울막을 형성하고, 형성된 비눗방울막에 영상물 출력장치에 의해 영상을 조사하여 광고 및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호기심 등을 유발시켜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영상물 출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praying soap bubbles on the entrance or wall or window of the building to form a soap bubble film, and by irradiating the image by the video output device on the soap bubble film to provide advertising and information to induce curiosity, etc. to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deo output device capable 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물 출력장치를 건물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 수증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수증기에 의해 건물 내부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며, 방향제, 섬유탈취제등을 수증기와 같이 분출 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humidity inside the building by the water vapor sprayed from the water vapor injection unit when the video output device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the video material to enable the use of the fragrance, fiber deodorant, such as water vapor In providing an output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영상물 출력장치는 건물 벽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홍보물을 조사하는 빔프로젝터(30)와, 상기 빔프로젝터에 정보를 전달하는 데이터 송신부(60)와, 상기 빔프로젝터(30)와 상기 영상물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70)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을 한다.Imag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uilding wall surface beam projector 30 for irradiating promotional material to the floor o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 data transmitter 60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beam projector, and the beam projector 30 and the control unit 70 for controlling the image output device.

그리고 본 발명의 영상물 출력장치는 별도의 영상물 표출부를 구비하기 위하여 건물 출입구(1) 및 벽면에 수증기막(11)을 형성하며, 상기 수증기막(11)을 형성하기 위하여 건물의 출입구(1) 일측에 구비되어 물 공급부(15)로 부터 공급된 물을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 발생부(13)와, 상기 수증기발생부(13)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를 분사하여 수증기막(11)을 형성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수증기 분사노즐(12)이 구비된 수증기 분사부(10)와, 출입구(1)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증기 분사부(10)로 부터 분사된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 흡입부(20)와, 상기 수증기 흡입부(20)로 부터 흡입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1)와, 상기 응축기(21)에 의해 응축된 물을 상기 물 공급부(15)로 펌핑하는 펌프(23)와, 출입구(1)로 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수증기막(11)에 영상물이 표출되도록 영상물을 출력하는 영상물 출력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ater vapor membrane 11 on the building entrance 1 and the wall to provide a separate image display portion, and one side of the entrance 1 of the building to form the water vapor membrane 11. A steam generator 13 for generating water vapor from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5, and spraying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13 to form a steam film 11. Water vapor injection unit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vapor injection nozzles 12 are disposed in the other side of the inlet (1), and the water vapor suction unit for sucking the water vapor injected from the water vapor injection unit 10 ( 20), a condenser 21 for condensing the water vapor sucked from the steam inlet 20, a pump 23 for pumping the water condensed by the condenser 21 to the water supply 15 and Water vapor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oorway (1) Characterized in that the video output unit 30 for outputting the video material so that the video material is displayed on the base film (11).

또한, 본 발명은 출입구(1)에 구비되어 출입구(1)로 이동하는 동체를 감지하여 수증기막(11)을 이용한 영상물 출력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체감지센서(3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uselage detecting sensor 32 which is provided in the entrance (1) to detect the moving body moving to the entrance (1)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mage output device using the vapor film 11 is further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deo output device.

아울러, 본 발명은 수증기 흡입부(20)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증기 흡입부(20)에 의해 흡입된 수증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17)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rear end of the steam suction unit 20, the image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17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team sucked by the steam suction unit 20 is further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또, 본 발명은 수증기 분사부(10)와 상기 수증기 발생부(13)의 사이에 구비되어 발생될 수증기에 방향제 및 섬유탈취제를 함유시키도록 하는 첨가물 수용부(18)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ve receiving unit 18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team injection unit 10 and the steam generating unit 13 to contain the fragrance and the fiber deodorant in the generated stea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deo output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영상물 출력부(30)의 빔프로젝터 고정부에 회전부(33)를 더 구비하여 영상물 표출부(2)에 영상물을 조사할 수 있으며 건물 및 인도의 바닥면에 영상물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unit 33 in the beam projector fixing unit of the image output unit 30 to irradiate the image to the image display unit 2 and to irradiate the image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sidewal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deo output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상물 출력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ag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부의 빔프로젝터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장치의 흐름도이고, 도 8와 도9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장치의 다른 사용상태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projector of an image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of the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of another use state of the imag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물 출력장치는 건물 벽면의 일측에 영상물 출력부(30)가 구비되어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홍보용 영상물을 영상물 출력부(30)의 빔프로젝터(31)를 이용하여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영상물 출력부(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 송신부(60)에 의해 동영상 또는 문구 등 다양한 정보를 빔프로젝터를 통하여 조사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송신부(60)를 인터넷 및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위치 및 지역에 구속받지 않고 원하는 장소에서 데이터 송신의 내용을 전송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영상물 출력장치를 한 장소에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the imag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image output unit 30 on one side of the building wall surface using the beam projector 31 of the image output unit 30 for the promotional image on the floor or wall of the building. It can be irradiated by the data transmission unit 6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mage output unit 30 can be irradiated with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moving pictures or phrases through the beam projector, the data transmission unit 60 When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the network can be used to transmit the content of the data transmission from a desired place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the user's location and reg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a plurality of video output devices in one place.

또한, 상기 영상물 출력부(30)의 빔프로젝터(31)의 지지부 부분에 빔프로젝터(31)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부(33)를 구성하여 빔프로젝터(31)의 빔이 건물의 바닥면이나 건물 벽면에 조사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건물의 출입구에 별도로 구비되어있는 영상부 표출부(2)인 수증기막(11)에 영상물을 조사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tating unit 33 is configured to rotate the beam projector 31 on the support portion of the beam projector 31 of the image output unit 30 so that the beam of the beam projector 31 is the floor of the building or building It is not limited to being irradiated to the wall surf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able to irradiate the image material to the vapor film 11, which is the image display unit (2) provided separately in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상기 수증기막(11)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증기를 분사하는 수증기 분사부(10) 와 수증기 발생부(13), 수증기 발생부(13)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15)와 펌프로 이루어지며, 수증기 분사부(10)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수증기 흡입부(20)와 응축기(21), 응축된 물을 물 공급부(15)로 펌핑하는 펌프(23)로 이루어지고, 수증기막에 영상물을 출력하는 영상물 출력부(30)와 동체를 감지하는 동체 감지센서(32) 등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form the steam film 11 is made of a water vapor injection unit 10 for injecting steam and the steam generator 13, the water supply unit 15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13 and the pump, It consists of a steam inlet 20, a condenser 21, a pump 23 for pumping the condensed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15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team injection unit 10, and outputs an image to the steam membrane The video object output unit 30 and the fuselage detection sensor 32 for detecting the fuselage.

상기 물 공급부(15)로 부터 공급된 물이 펌프(14)에 의해 수증기 발생부(13)로 펌핑되어 수증기 발생부(13)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출입구(1)의 일측에 구비된 수증기 분사노즐(12)로 이동되어 출입구(1)의 일측에 분사되게 된다. 그리고 수증기 분사부(10)의 수증기 분사노즐(12)에서 분사된 수증기는 출입구(1)의 타측에 구비된 수증기 흡입부(20)에 의해 다시 흡입되며, 상기 수증기 흡입부(20)에 의해 흡입된 수증기는 배관을 통하여 후방 일측에 구비된 응축기(21)에 의해 수증기를 물로 응축시킨다. Water vapor injection nozzles in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unit 15 is pumped to the steam generator 13 by the pump 14, and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1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ntrance 1. Is moved to 12 is to be injected to one side of the doorway (1). The water vapor injected from the water vapor injection nozzle 12 of the water vapor injection unit 10 is sucked again by the water vapor suction unit 20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entrance 1, and is sucked by the water vapor suction unit 20. The condensed water vapor condenses water vapor into water by a condenser 21 provided at one rear side through a pipe.

상기 응축된 수증기는 펌프(23)에 의해 다시 물 공급부(15)로 공급되며, 상기 물 공급부(15)로 들어가기 전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 공급부(15)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필터부(17)를 거쳐 물 공급부에 다시 저장되게 된다.The condensed water vapo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15 again by the pump 23, and a filter unit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water supply unit 15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before entering the water supply unit 15 ( 17) is stored again in the water supply.

한편, 물 공급부(15)에서 펌프(14)에 의해 수증기 발생부(13)로 공급되기 전 물 공급부(15)의 배출부 부분에 스트레이너(16)를 더 구비하여 물공급부(15) 내부의 잔여물이 수증기 발생부(1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수증기 분사부(10)에서 분사된 후 다시 수증기 흡입부(20)에서 흡입된 수증기에 이물질 또는 벌레나 곤충이 응축기(2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응축기(21)의 유입 구에 스트레이너(22)를 더 구비하여 항상 깨끗한 수증기가 공급되도록 한다.Meanwhile, the strainer 16 is further provided at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ortion 15 before the water supply portion 15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ortion 15 to the steam generator 13 by the pump 14, thereby remaining in the water supply portion 15. Water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team generating unit 13, and the foreign matter or the beena insects in the steam sucked by the steam inlet 20 after being injected from the steam injecting unit 10 may condense 21. In order to prevent the inflow to the inlet of the condenser 21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rainer 22 to always supply clean steam.

또한, 수증기 분사노즐(12) 및 수증기 흡입부(20)가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수증기에 의해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실내의 악취나 소비자 옷의 음식물 냄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방향제 또는 섬유탈취제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첨가물 수용부(18)를 수증기 발생부(13)와 수증기 분사부(10)의 사이에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수증기와 함께 수증기 분사부(10)로 분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team injection nozzle 12 and the steam suction unit 20 is installed in the room, the humidity can be controlled by the water vapor, and a fragrance or fiber deodorant to remove odors or food smell of consumer clothes. An additive accommodating part 18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back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team generating part 13 and the steam injecting part 10 to selectively eject the vapor into the steam injecting part 10 together with the steam.

그리고 상기 수증기 분사부(10)에 의해 분사된 수증기가 출입구(1)의 일측면에 얇은 수증기막(11)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수증기막(11)에 영상을 조사할 수 있도록 출입구(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출입구(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영상물 출력부(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출입구(1)의 일정거리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영상물 출력부(3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빔프로젝터(31)를 사용하여 수증기막(11)에 다양한 정보 및 움직이는 영상 등을 표출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vapor injected by the water vapor injection unit 10 forms a thin water vapor film 11 on one side of the entrance 1, and the entrance 1 to irradiate an image to the water vapor film 11. The image output unit 3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doorway 1 spaced apart from the predetermined distance. As such, the image output unit 30 spaced apart from the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doorway 1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and moving images on the vapor film 11 by using a beam projector 31 which is generally used. have.

또한, 출입구(1)에 사람이 다가설 경우 수증기 분사부(10)에서 분사되는 수증기를 중지시키기 위한 동체 감지센서(32)가 출입구 또는 영상물 출력부(30)에 구비되어 출입구(1)에 다가오는 사람을 식별하여 수증기 분사부(10)의 수증기의 분사가 중지됨에 따라 수증기에 의해 옷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erson approaches the doorway 1, a fuselage detecting sensor 32 for stopping water vapor injected from the water vapor injection unit 10 is provided at the doorway or the image output unit 30 to approach the doorway 1. By identifying the person, as the injection of the water vapor of the water vapor injection unit 10 is stopped, the clothes may be prevented from getting wet by the water vapor.

또, 본 발명의 영상물 출력장치는 수증기막(11) 이외에 별도의 영상물 표출부(2)를 구비하기 위하여 건물의 출입구(1) 및 벽면에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기체막을 형성하며, 상기 드라이아이스 기체막(42)을 형성하기 위하여 건물의 출입구(1) 일측에 구비되어 드라이아이스 기체를 생성하는 드라이아이스 기체 발생장 치(40)와, 상기 드라이아이스 기체 발생장치(40)에 의해 발생된 기체를 분사하여 기체막을 형성하도록 출입구의 상면 일측에 일렬로 배치되는 드라이아이스 기체 분사부(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as film using dry ice on the entrance and the wall 1 of the building to have a separate image display part 2 in addition to the water vapor film 11, the dry ice gas film In order to form 42, a dry ice gas generator 4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ntrance 1 of the building to generate dry ice gas, and the gas generated by the dry ice gas generator 40 is spraye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 ice gas injection portion 41 is arranged in a row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ntrance to form a gas film.

또한, 본 발명의 영상물 출력장치는 수증기막과 드라이아이스 기체막 이외에 별도의 영상물 표출부(2)를 구비하기 위하여 건물의 출입구(1) 및 벽면에 비눗방울을 이용한 비눗방울막(52)을 형성하며, 상기 비눗방울막(52)을 형성하기 위하여 건물의 출입구(1) 일측에 구비되어 비눗방울을 생성하는 비눗방울 발생장치(50)와, 상기 비눗방울 발생장치(50)에 의해 발생된 기체를 분사하여 비눗방울막(52)을 형성하도록 출입구의 상면 일측에 일렬로 배치되는 비눗방울 분사부(5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soap bubble film 52 using soap bubbles on the doorway 1 and the wall of the building to have a separate image display unit (2) in addition to the water vapor film and dry ice gas film. And a soap bubble generator 5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oorway 1 of the building to form the soap bubble film 52, and a bubble generated by the soap bubble generator 5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oap bubble spraying unit 51 is arranged in a row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ntrance so as to form a soap bubble film 52.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물 출력장치를 설치하는 데에 있어,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을 영상물 표출부로 활용함으로써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홍보비용의 절감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데이터 송신부에 연결된 인터넷 및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홍보내용을 장소에 제한 없이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내용으로 손쉽게 변경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installing the image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floor surface or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s the image display unit is not limited by space, can maximize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omotional cost, Using the Internet and the network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you can easily change the promotional contents from the desired place to the desired content without any limitation.

또한, 출입구에 형성된 수증기막, 드라이아이스 기체막, 비눗방울 막을 이용하여 영상물을 표출시킬 경우 출입구에 분사되는 수증기, 기체, 비눗방울에 의해 막이 형성됨에 따라 실내의 습도조절 및 방향제 등을 첨부하여 분사함으로서 실내 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mage is displayed by using the water vapor film, the dry ice gas film, and the soap bubble film formed at the entrance and exit, the film is formed by the water vapor, gas, and soap bubbles sprayed at the entrance and the like, and the humidity control and the fragrance of the room are attached and sprayed. This keeps the room comfortable at all times.

아울러, 에어 커튼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광고의 효과와 건물의 수분 조절효과, 단열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air curtain can be obtained a variety of effects, such as advertising effect, moisture control effect of the building, insulation effect.

또한, 수증기막이나 바닥면에 조사되는 영상에 의해 사람들로 하여금 호기심 유발 등을 작극시켜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by stimulating people to induce curiosity by the image irradiated on the vapor film or the bottom surface.

Claims (13)

영상물 출력장치에 있어서,In the video output device, 건물 벽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영상물을 출력하는 영상물 출력부;An image output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a building wall and outputting an image to a floor or a wall of the building; 상기 영상물 출력부에 정보를 송출하는 데이터 송신부;A dat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image output unit; 상기 영상물 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image output unit and the data transmission unit; 상기 영상물 출력부에서 조사된 빔이 표출되는 영상물 표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And an image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beam irradiated from the image output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물 출력부는 빔프로젝터 또는 영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And the image output unit comprises a beam projector or a projecto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영상물 출력부의 빔프로젝터 또는 영사기의 고정부에 영상물 출력부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And a rotating unit configured to rotate the image output unit to a fixed part of the beam projector or the projector of the image output uni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영상물 출력장치의 빔프로젝터 또는 영사기에서 조사된 빔이 표출되는 영상물 표출부는 수증기막 생성수단에 의해 공간에 형성된 수증기막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And an image display unit to which a beam irradiated from a beam projector or a projector of the image output device is exposed is a water vapor film formed in a space by a water vapor film generating uni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수증기막은 건물의 출입구 또는 창문 및 벽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The vapor film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entrance or window of the building and the wall.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수증기막 생성수단은,Steam film generating means, 출입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물 공급부로 부터 공급된 물을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수증기 발생부;A steam generator configured to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ntrance to generate water vapor from the water supply unit; 상기 수증기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를 분사하여 수증기막을 형성하도록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이 구비된 수증기 분사부;A water vapor inj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arranged in a line to inject water vapor generated by the water vapor generation unit to form a water vapor film; 출입구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증기 분사부로 부터 분사된 수증기를 흡입하는 수증기 흡입부;A steam suction unit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entrance and configured to suck steam injected from the steam injection unit; 상기 수증기 흡입부로 부터 흡입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water vapor sucked from the water vapor suction unit; 상기 응축기에 의해 응축된 물을 상기 수증기발생부로 펌핑하는 펌프;A pump for pumping the water condensed by the condenser to the steam generator; 출입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수증기막에 영상물이 표출되도록 영상물을 출력하는 영상물 출력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An imag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image such that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vapor film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trance and exit; Image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영상물 출력장치의 빔프로젝터는 출입구에 구비되어 출입구로 이동하는 동체를 감지하여 상기 영상물 출력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동체감지센서;가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The beam projector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is provided in the entrance and the body moving sensor to detect the moving body moving to the entranc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mage output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mage output devic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영상물 출력장치는 상기 수증기 흡입부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증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수증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The video output device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team suction unit, the filter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steam sucked by the steam suction unit; Video outpu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영상물 출력장치는 상기 수증기 분사부와 상기 수증기 발생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발생될 수증기에 방향제 및 섬유탈취제를 함유시키도록 하는 첨가물 수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The image output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dditive receiving unit for containing a fragrance and a fiber deodorant in the steam generated between the steam injection unit and the steam genera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video output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물 출력장치의 빔프로젝터 또는 영사기에서 조사된 빔이 표출되는 영상물 표출부는 드라이아이스 기체 발생장치에 의해 공간에 형성된 드라이아이스 기체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And an image display unit to which a beam irradiated from a beam projector or a projector of the image output device is exposed is a dry ice gas film formed in a space by a dry ice gas generato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드라이아이스 기체막은 출입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드라이아이스 기체 생성하는 드라이아이스 발생장치;Dry ice gas film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trance to dry ice generator for generating a dry ice gas; 상기 드라이아이스 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드라이아이스 기체를 분사하여 기체막을 형성하도록 출입구 윗측면에 구비된 드라이아이스 분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And a dry ice spray uni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entrance to spray the dry ice gas generated by the dry ice generator to form a gas fil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물 출력장치의 빔프로젝터 또는 영사기에서 조사된 빔이 표출되는 영상물 표출부는 비눗방울 발생장치에 의해 공간에 형성된 비눗방울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An image outpu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display unit which the beam irradiated from the beam projector or the projector of the image output device is a soap bubble film formed in the space by the soap bubble generator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비눗방울막은 출입구의 일측에 구비되어 비눗방울을 생성하는 비눗방울 발생장치;The soap bubble film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trance to the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soap bubbles; 상기 비눗방울 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비눗방울을 분사하여 비눗방울막을 형성하도록 출입구 일측에 구비된 비눗방울 분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물 출력장치.And a soap bubble spray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ntrance to form a soap bubble film by spraying soap bubbles generated by the soap bubble generating device.
KR1020070005397A 2007-01-17 2007-01-17 an output device for image KR100851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97A KR100851278B1 (en) 2007-01-17 2007-01-17 an output device for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97A KR100851278B1 (en) 2007-01-17 2007-01-17 an output device for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906A true KR20080067906A (en) 2008-07-22
KR100851278B1 KR100851278B1 (en) 2008-08-08

Family

ID=3982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397A KR100851278B1 (en) 2007-01-17 2007-01-17 an output device for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27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130B1 (en) * 2020-03-11 2020-11-27 허용선 Billboard with misted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791A (en) * 1989-08-18 1991-03-29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projecting screen
JPH0479345U (en) * 1990-11-26 1992-07-10
JP2999638B2 (en) * 1992-10-28 2000-01-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Virtual experience system
KR20000049737A (en) * 2000-04-26 2000-08-05 임동진 The advertising board being produced by internet webcasting
KR20060043976A (en)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isplay apparatus of projec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130B1 (en) * 2020-03-11 2020-11-27 허용선 Billboard with misted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1278B1 (en) 200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6785B2 (en) Water curtain apparatus and method
US9229311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with vapor medium screen
US8797470B2 (en) System for selectively revealing indicia
US7344124B2 (en) Water curtain apparatus and method
US6311898B1 (en) Sealed-cell waterfall display unit
TWI515703B (en) Dispenser to selectively reveal indicia to an observer
US20070125872A1 (en) Sealed waterfall assembly
EP3339760B1 (en) Humidifier and method for humidifying
KR20120107355A (en) H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display device
KR20050050670A (en) Floor display system with variable image orientation
KR100851278B1 (en) an output device for image
WO2005107877A2 (en) Multi-media, multi-sensory advertising kiosk
KR100777555B1 (en) Embodiment apparatus of figure with a time difference of watwr dropping
US8292195B2 (en) Water panel
WO2021215150A1 (en) Presentation system and presentation method
JP4651085B2 (en) Projection device
CN202533699U (en) System for generating and controlling water spray wall
JP2017116248A (en) Air curtain device
TWM494783U (en) Escalator sterilizing and cleaning device with advertisement effect
KR102243562B1 (en) Electron spray apparatus
KR200421513Y1 (en) Image window with moving device
KR200421588Y1 (en) Advertisement board
KR102184130B1 (en) Billboard with misted screen
KR100779965B1 (en) Advertisement board
KR20090012891U (en) Electronic SensorHands Cleaner for Adverti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