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316A - Ofdma 시스템의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Ofdma 시스템의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316A
KR20080067316A KR1020080049267A KR20080049267A KR20080067316A KR 20080067316 A KR20080067316 A KR 20080067316A KR 1020080049267 A KR1020080049267 A KR 1020080049267A KR 20080049267 A KR20080049267 A KR 20080049267A KR 20080067316 A KR20080067316 A KR 20080067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st
terminal
data
reg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현
엄중선
송명선
김창주
고광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EP08766204.5A priority Critical patent/EP2171959A4/en
Priority to PCT/KR2008/003242 priority patent/WO2008156256A1/en
Priority to CA2689496A priority patent/CA2689496C/en
Priority to CN200880101908.4A priority patent/CN101772931B/zh
Priority to JP2010513096A priority patent/JP5027299B2/ja
Priority to US12/665,861 priority patent/US8693410B2/en
Publication of KR2008006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FDMA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채널 상태 및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성 등이 고려된 단말 속성에 따라 적합한 버스트를 적응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US-MAP IE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향 서브프레임을 OFDMA 심벌 수에 의존하는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단말 속성에 따라 해당 구간의 버스트를 할당한다. 또한 상향 서브프레임은 시간 축을 따라 슬롯을 할당하여 버스트를 구성하고, 하향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축을 따라 슬롯을 할당하여 버스트를 구성한다.

Description

OFDMA 시스템의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HYBRID BURST MAPPING IN OFDMA SYSTEMS}
본 발명은 OFDMA 시스템의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OFDMA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채널 상태 및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버스트를 적응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지원하기 위한 상향스트림 맵 구성요소(US-MAP IE)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기존 OFDMA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버스트 할당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는 IEEE 802.16e WiMAX (Worldwi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표준의 OFDMA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TDD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IEEE 802.16e WiMAX 표준의 OFDMA 시스템에서 버스트 할당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a의 TDD 프레임 구조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ownlink subframe)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Uplink subframe)으로 구성되며, 가로축은 OFDM 심벌 번호(OFDM symbol number)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서브채널 번호(subchannel number)를 나타낸 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하향링크에서는 시작 지점과 끝 지점에 의해 정의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버스트를 할당하고, 상향링크에서는 하나의 서브채널에서 먼저 시간 축으로 진행하면서 슬롯(subchannel과 OFDMA symbol로 정의되는 최소 할당 단위)을 할당하고 마지막 심벌까지 할당하면 다음 서브채널의 첫 번째 심벌부터 시간 축으로 진행하면서 슬롯을 계속 할당하는 방식으로 버스트를 할당한다. 이와 같은 기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1) 하향링크 버스트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정의해야 하기 때문에 각 DL-MAP IE (Downlink MAP Information Element)에 전송해야 할 오버헤드 크기가 증가한다.
2)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모든 버스트의 시작 지점이 동일하게 되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부분에 위치한 버스트를 수신한 단말이 송신기와 수신기의 거리가 멀어 전파 지연이 클 경우 정해진 TTG (Transmit-receive Turnaround Gap) 시간으로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의 전환이 충분하지 않아 동일한 프레임 내의 상향링크에 버스트를 송신하기 어려울 수 있다.
3)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버스트의 끝 지점이 동일하게 되면, 상향링크로 송신한 신호에 대해 긴급한 응답을 필요로 하는 단말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다음 프레임의 하향링크에 버스트를 할당받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OFDMA 시스템에서 단말 위치, 채널 상태 및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버스트를 적응적으로 할당할 수 있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US-MAP IE 구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단말에 버스트를 할당하는 방법은,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주파수 축을 따라 매핑되는 버스트를 각 단말에 차례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시간 축을 따라 매핑되는 버스트를 각 단말에 차례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소정의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으로 결정되는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분할 구간 중 단말 속성에 대응하는 분할 구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분할 구간 내에서 시간 축을 따라 매핑되는 버스트를 각 단말에 차례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혼합 버스트를 이용한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주파수 축을 따라 매핑된 하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 및 시간 축을 따라 매핑된 상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하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기초로 할당된 하향 데이터 버스트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상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기초로 할당된 상향 데이터 버스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을 위한 기지국의 혼합 버스트 할당 장치는,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주파수 축을 따라 매핑되는 버스트 및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시간 축을 따라 매핑되는 버스트를 구성하는 버스트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버스트를 차례로 각 단말에 할당하는 버스트 할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전체 심벌을 포함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시간 영역에서 제2 구간 및 제3 구간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및 전력에 민감한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구간을 선택하고, 전파 지연에 민감한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구간을 선택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속한 응답이 요구되는 단말을 위해 상기 제3 구간을 선택하는 구간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혼합 버스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 터 주파수 축을 따라 매핑된 하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 및 시간 축을 따라 매핑된 상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검출하는 버스트 할당 정보 검출부; 상기 검출된 하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기초로 할당된 하향 데이터 버스트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신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검출된 상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기초로 할당된 상향 데이터 버스트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처리하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단말에 버스트를 할당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혼합 버스트를 이용하여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향 서브프레임과 하향 서브프레임에서 고정된 크기의 슬롯을 할당하여 버스트를 구성한다. 따라서 버스트 길이를 이용하여 버스트를 할당하기 때문에 버스트 할당 정보 비트를 줄일 수 있어 오버헤드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향 서브프레임의 버스트는 주파수 축으로 슬롯을 할당하여 구성하고, 상향 서브프레임의 버스트는 시간 축으로 슬롯을 할당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채널 환경 또는 단말 속성에 적응적인 버스트를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셀 경계에 위치하고 LOS가 확보되지 않는 전력 한정(power-limited) 단말의 서브채널 당 송신 전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향 서브프레임 전체 시간 영역의 버스트를 단말에 할당하고, 단말은 할당된 버스트에 데이터를 맵핑하 여 최대 수신 SNR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음 프레임의 하향 서브프레임에 의한 신속한 응답이 필요한 단말에 상향 서브프레임에서 앞선 시간 영역의 버스트를 할당함으로써 MAC으로 전달되는 복호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셀 경계에 위치하고 직진 경로가 확보되는 단말에 상향 서브프레임에서 늦은 시간 영역의 버스트를 할당함으로써 TTG (Tx to Rx Transition Gap)의 시간 만으로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단말에게 시간을 확보해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이하 IEEE 802.22 표준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버스트 할당(또는 버스트 맵핑) 방법에 관한 것으로, DS/US MAP 설계와도 관련된다. OFDMA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들 사이의 통신을 위해 프레임 내에 자원을 할당하는 버스트 할당 방법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1) 오버헤드(802.16e OFDMA 표준의 DL/UL MAP IE에 해당)의 크기
2)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에서 발생하는 시변 채널에 의한 시간 다이버시티 이득
3) MAC으로 전달되는 복호 지연
4) 안정된 채널 추정 성능
5) 단말의 위치, 채널 상태 및 서비스 특징에 적합한 적응적 버스트 할당
IEEE 802.16e WiMAX 표준의 OFDMA 시스템의 경우, 고속 이동 단말의 시변 채널에 의한 시간 다이버시티 이득과 복호 지연의 최소화 등을 동시에 만족하기 위해 하향링크의 경우 시작지점과 끝지점을 정의하여 직사각형 형태로 버스트를 할당하도록 하여 오버헤드 부담이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IEEE 802.22 WRAN 시스템과 같이 고정 무선통신의 경우, 시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셀 반경이 매우 커서(보통 30Km, 최대 100Km) 다중경로에 의한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는 버스트 할당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전술된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할 때 IEEE 802.16e WiMAX OFDMA 시스템의 버스트 할당 방법을 IEEE 802.22 WRAN 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AC 프레임의 가로 축(시간 영역)과 세로 축(주파수 영역)으로 결정되는 2차원 구조를 도시하며, 상/하향 전송 모드는 TDD 방식으로 정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200)은 하향 서브프레임(DS subframe)(210)과 상향 서브프레임(US subframe)(250)을 포함하고, 정수 배의 고정된 크기의 OFDMA 슬롯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OFDMA 슬롯은 하나의 OFDMA 심벌과 하나의 서브채널, (즉, 1 OFDMA 슬롯 = 1 심벌 x 1 서브채널)로 정의한다.
하향 서브프레임(210)은 프레임 프리앰블(Frame Preamble), FCH(Frame Control Header), DS-MAP(Downstream MAP), US-MAP(Upstream MAP), DCD(Downstream Channel Descript), UCD(Upstream Channel Descript)의 MAC 정보 영역과 데이터 버스트 영역으로 구성된다. 상향 서브프레임(250)은 경합(contention) 접속을 위한 Ranging/BW request/UCS notification 영역, 인접 WRAN 네트워크와의 공존을 위한 Self-Coexistence window 영역 및 데이터 버스트 영역으로 구성된다.
DS-MAP과 US-MAP은 상향 서브프레임과 하향 서브프레임에 할당되는 버스트의 위치와 용도를 정의한다. 본 발명은 상/하향 서브프레임에서 각 버스트를 고정된 크기의 슬롯에 맵핑하여 구성하고, 슬롯의 개수, 즉 슬롯 길이를 이용하여 DS-MAP과 US-MAP에 버스트 정보를 정의하는 선형 할당 방식(linear allocation)을 적용함으로써 버스트 할당에 필요한 오버헤드 크기를 최소로 하였다. 특히 DS-MAP과 US-MAP은 각 단말에 할당되는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서브채널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향 서브프레임은 채널 환경을 고려하여 하나의 OFDMA 심벌의 부반송파를 따라, 즉 주파수 축으로 순차적으로 슬롯에 맵핑하여 데이터 버스트를 구성하고, 상향 서브프레임은 단말(CPE)의 지리적 위치와 버스트 전송 전력 등을 고려하여 시간 축으로 순차적으로 슬롯에 맵핑하여 데이터 버스트를 구성한다. 또한,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서 위 부분에 할당되는 버스트는 전체 심벌에 걸쳐 시간 축으로 순차적으로 슬롯에 맵핑되는 구조이고, 아래 부분에 할당되는 버스트는 채널 추정이 가능한 7개의 OFDMA 심벌 단위로 시간 축으로 순차적으로 슬롯에 맵핑되는 구조를 갖는다.
단말이 최대 EIRP(Effective Isotropic Radiated Power)에서 전송되어야 하는 경우, 시간 영역의 OFDMA 심벌을 많이 사용하고 주파수 영역의 서브채널을 적게 사용하면 서브채널 당 전력이 최대화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의 커버리지가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연 민감형(latency-sensitive) 단말의 경우는 상향 서브프레임에서 최소 7개의 OFDMA 심벌 폭의 버스트를 할당하고, 전력 민감형(power-sensitive) 단말의 경우는 상향 서브프레임 전체 폭의 버스트를 할당한다.
하향 서브프레임의 경우, 고정 통신 시스템에서는 시간 다이버시티 이득이 없으므로 주파수 축으로 먼저 버스트를 할당하여 MAC으로 전달되는 복호 지연을 최소화하였다. 도 3은 복호 지연이 큰 예를 보인 것으로 버스트 2의 크기는 작지만 이를 복호하기 위해 첫 심벌부터 마지막 심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복호 지연이 크 게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향 서브프레임의 경우, 단말에서 전송한 파일럿만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해야 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채널 추정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버스트를 할당하였다. 예를 들어, IEEE 802.22 WRAN 시스템의 경우, 최적의 채널 추정 성능을 위해 7개의 OFDMA 심벌이 필요하므로 모든 버스트가 최소 7개의 심벌로 구성되도록 한다.
채널 추정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상향 서브프레임의 전체 심벌을 포함하는 제1 구간과 제1 구간을 할당하고 남은 영역이 7 심벌 단위로 분할된 다수의 세그먼트들로 구분한다. 각 구간 및 세그먼트 내의 슬롯에 버스트가 맵핑된다. 세그먼트 구성시, 마지막 세그먼트가 7개 심벌 미만을 포함하게 되는 경우, 그 마지막 세그먼트를 이전 세그먼트에 포함시킨다. 즉, self-coexistence window와 앞뒤 buffer를 제외한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 포함된 전체 OFDMA 심벌수가 X라고 할 때, X는 다음과 같이 분할될 수 있다.
X = 7*Y+Z = 7*(Y-1) + (7+Z), Z<7
따라서 X개의 심벌은 7 심벌 단위로 구성되는 Y-1개의 세그먼트와 7+Z 심벌 단위로 구성되는 1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7+Z 심벌로 구성되는 세그먼트는 항상 상향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self-coexistence window 바로 앞)에 위치한다.
즉, 각 세그먼트의 심벌 개수는 채널 추정에 필요한 최소 심벌 개수 이상이고, 특히 마지막 세그먼트의 심벌 개수는 채널 추정에 필요한 최소 심벌 개수에서 최소 심벌 개수의 2배 미만 범위 내가 된다.
예를 들어, 상향 서브프레임 내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전체 OFDMA 심벌 수가 16이고, 채널 추정에 필요한 최소 심벌 수가 7이라면, 시간 방향으로 7개의 OFDMA 심벌 폭을 갖는 세그먼트 1개와 9개의 OFDMA 심벌 폭을 갖는 세그먼트 1개로 분할된다.
상기 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소 채널 추정 심벌 개수(예, 7개 심벌)를 고려하여 7~13개의 심벌이 모인 단위를 세그먼트라 하고, 각 세그먼트를 구간으로 할당함에 있어서 각 구간이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용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개념이 포함된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용어에 기초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도 2의 예에서는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세 개의 구간(ZONE)으로 구분하고 있다. 즉,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전체 심벌을 포함하는 상부 영역을 제1 구간(ZONE 1)으로 하고, 상기 제1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시간 영역에서 두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각각 제2 구간(ZONE 2) 및 제3 구간(ZONE 3)으로 할당하였다.
이하, 도 2를 예로서, 본 발명의 버스트 맵핑 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맵핑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하향 스트림의 경우, MAC 데이터 요소는 먼저 수직으로 서브채널에 차례로 맵핑되고, 이어서 시간 방향으로 수평으로 진행한 후 다시 서브채널에 차례로 맵핑된다. FCH와 첫번째 브로드캐스트되는 버스트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두 번째 OFDMA 심벌에서부터 서브채널 번호가 증가하는 순서로 맵핑된다. 이러한 맵핑은 두 번째 OFDMA 심벌 내의 모든 서브채널이 점유될 때까지 계속된다. 두 번째 OFDMA 심벌 내의 서브채널이 모두 점유되면, 마찬가지로 다음 세 번째 OFDMA 심벌 내에서 서브채널 번호가 증가하는 순서로 데이터가 맵핑된다.
상향 스트림의 경우, MAC 데이터 요소는 하향 스트림의 경우와 다른 순서로 상향 서브프레임에 맵핑된다. MAC 데이터 요소는 먼저 동일한 서브채널에서 OFDMA 심벌에 차례로 맵핑된다. 일단 서브채널의 최대 수용량(maximum capacity)까지 데이터가 채워지면 서브채널 번호가 증가하는 방향의 다음 서브채널에 맵핑된다. 이러한 맵핑은 버스트에 할당된 모든 서브채널과 심벌이 채워질 때까지 계속된다. MAC 데이터 요소의 양이 버스트를 채울만큼 충분하지 않으면, 패딩(padding)이 마지막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MAC 데이터 요소의 수평 방향 맵핑은 7개의 OFDM 심벌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즉, MAC 데이터는 7개의 OFDMA 심벌을 포함하는 하나의 수직 열(column)의 동일한 서브채널에서 OFDMA 심벌에 차례로 맵핑되고, 모든 서브채널이 채워지면, 다음 수직 열의 첫 번째 서브채널에서 OFDMA 심벌에 차례로 맵핑된다. 마지막 수직 열의 폭은 상향 서브프레임의 전체 심벌 수에 따라 7-13개 사이의 심벌이 될 수 있다. 모든 MAC 데이터 요소가 상향 서브프레임에 모두 채워지면, 마지막 OFDMA 심벌의 밸런스가 0들로 패딩된다. US-MAP은 US-MAP 요소의 상향 서브프레임에서의 절대적인 위치가 아닌 US-MAP 요소의 길이를 나타낸다. 여기서 수직 열은 전술된 세그먼트에 대응한다.
Ranging/BW request/UCS notification 영역은 직사각형 버스트 할당 방식에 의해 버스트가 할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위치, 채널 상태 및 서비스 특징에 적합하도록 적응적으로 버스트를 할당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은 도 2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서브프레임을 3개의 구간(ZONE 1, 2, 3)으로 나누고, 단말 속성을 고려하여, 단말에 할당할 버스트를 3개의 구간 중에서 선택한다. 단말 속성은 단말의 위치, 채널 상태 및 서비스 특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된다.
1) 셀 경계에 위치하고, 직진 경로(line-of-sight)가 확보되지 않는 단말: ZONE 1의 버스트를 할당하여 전력 한정 (power-limited) 시스템에서 부족한 송신 전력을 극대화한다.
2) 다음 프레임의 하향 서브프레임에서 신속한 응답이 필요한 단말: ZONE 2의 버스트를 할당하여 MAC으로 전달되는 복호 지연을 최소화한다.
3) 셀 경계에 위치하고 직진 경로가 확보되나, TTG (Tx to Rx Transition Gap)만으로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기에 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단말: ZONE 3의 버스트를 할당하여 스케줄링(scheduling)을 통한 시간을 확보한다.
도 2의 실시예는 ZONE 1을 제외한 구간이 ZONE 2 및 ZONE 3로 할당된 두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시스템 환경 및 설계 방법에 따라 ZONE 1을 제외한 영역을 두 개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둘 이상의 ZONE을 할당함으로써 보다 세분화된 단말 속성을 고려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ZONE 2 및 ZONE 3가 각각 하나의 세그먼트인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ZONE 2 및 ZONE 3 각각이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ZONE 2 및 ZONE 3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버스트가 맵핑되는 방법은 전술된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서브채널과 대역(AMC) 서브채널 영역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다이버시티 서브채널과 AMC 서브채널이 공존하고, 상향 서브프레임이 14개 이상의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경우 혼합 버스트를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다이버시티 서브채널과 AMC 서브채널이 공존하고, 상향 서브프레임이 7개 내지 13개 사이의 OFDMA 심벌을 포함하는 경우 혼합 버스트를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AMC 서브채널이 존재할 경우에도 본 발명의 혼합 버스트 할당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AMC 서브채널 구간과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구간은 사각형 모양으로 주파수 영역에서 분할될 수 있다. DS/US-MAP을 이용하여 AMC 서브채널 구간을 할당하고, AMC 서브채널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구간으로 할당한다. AMC 서브채널 구간은 FCH, DS/US-MAP 및 DCD/UCD를 포함하는 헤더가 할당된 OFDMA 심벌 다음의 OFDMA 심벌부터 시작한다. 이는 단말이 DS-MAP으로부터 AMC 서브채널의 범위(range)를 파악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헤더 필드를 전송하고 남은 동일 OFDMA 심벌 내의 나머지 서브채널들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이버시티 서브채널에 할당된다.
하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구간(401)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AMC 서브채널 구간(402)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은 상향 서브프레임의 전체 폭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구간(403), 상향 서브프레임의 세그먼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구간(404)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AMC 서브채널 구간(405)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하향 서브프레임에서는, AMC 서브채널 및 다이버시티 서브채널은 수직 방향으로 주파수 축을 따라 먼저 매핑되면서 버스트가 할당된다. 상향 서브프레임에서는 다이버시티 서브채널의 경우 수평 방향으로 시간 축을 따라 먼저 매핑되면서 버스트가 할당되고, AMC 서브채널의 경우 수직 방향으로 주파수 축을 따라 먼저 매핑되면서 버스트가 할당된다. 상향 서브프레임은 단말 속성을 고려하여 전체 OFDMA 심벌이 포함되는 상부 영역과 전체 OFDM 심벌을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segment)로 구성된 하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하향 서브프레임과 상향 서브프레임의 버스트 구성 방식은 도 4b와 동일하다. 다만 상향 서브프레임의 OFDMA 심벌 수가 14개 미만이므로 2 이상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하지 않고, 각 버스트는 모든 OFDM 심벌을 포함하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서브채널만 존재할 경우의 버스트 할당 방식을 전달하는 US-MAP IE 구조이다.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서브채널과 AMC 서브채널이 공존할 경우의 버스트 할당 방식을 전달하는 US-MAP IE 구조이다.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을 지원하기 위해 상향 서브프레임의 버스트 할당 방 식을 US-MAP(Up Stream Map)에 전송해 주어야 한다. US-MAP IE는 상향스트림 대역폭 할당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US-MAP IE는 US-MAP 메시지의 시작시간 필드 할당에 의해 규정된 첫 번째 미할당 심벌(non-allocated symbol) 상에서 최하 번호가 부여된 서브채널(lowest numbered subchannel)부터 시작한다. 각 IE들은 해당 단말을 위해 할당된 버스트 위치 정보를 OFDMA 슬롯의 개수(길이)로 표현한다. 각 버스트는 이전 버스트에 이어 바로 시작되고 시간 영역으로 진행한다. 상향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에 도달하면 버스트 매핑은 상기 첫 번째 심벌의 다음 서브채널부터 계속된다. 상향 서브프레임은 채널 추정을 위한 최소 개수의 심벌을 포함하는 열(column)들, 즉 세그먼트들로 정의될 수도 있다.
US-MAP에 각 버스트의 할당 방식을 전송하는 방법은 US-MAP IE (US-MAP Information Element)가 시작되기 전에 벡터 형태로 전달할 수도 있고, 각 버스트에 대응되는 US-MAP IE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도 5a는 다이버시티 서브채널만 존재할 경우 1 비트 길이의 메시지인 Burst_Type을 이용하는 예시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Burst_Type 메시지의 1비트는 당해 US-MAP IE에 정의되는 버스트의 타입을 특정한다. 주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상향 서브프레임의 전체 폭에 대하여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는 경우 '0'으로 표현할 수 있다. 주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7개의 심벌의 세그먼트에서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고 마지막 서브채널까지 맵핑된 후, 다음 7개 심벌의 세그먼트에서 가장 낮은 미사용의 서브채널부터 주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는 경우 '1'로 표현할 수 있다. 마지막 세그먼트는 상향 서 브프레임의 폭에 따라 7개 내지 13개의 심벌에 의해 정해진 폭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는 세그먼트를 구분하지 않고 각 세그먼트 내에서 버스트를 할당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동일한 Burst_Type으로 취급한 경우이다. 만일 둘 이상의 세그먼트를 구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비트 수를 가변하여 버스트 타입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의 ZONE 2와 ZONE 3는 모두 7개 내지 13개 심벌의 세그먼트 내에서 버스트가 할당되므로 ZONE 2와 ZONE 3를 동일한 Burst_Type으로 취급하여 1 비트로 표현할 수 있다. 또는 ZONE 2와 ZONE 3를 구별하여 ZONE 2 또는 ZONE 3에 버스트를 할당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2비트 길이의 메시지인 Burst_Type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b는 다이버시티 서브채널과 AMC 서브채널이 공존할 경우 2 비트 길이의 메시지인 Subchannel_Type을 이용하는 예시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Subchannel_Type의 2비트는 당해 US-MAP IE에 정의되는 버스트의 타입 및 버스트가 할당되는 서브채널의 타입을 특정한다. 주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상향 서브프레임의 전체 폭에 대하여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고,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구간에 할당되는 경우 '00'으로 표현할 수 있다. 주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7개의 심벌의 세그먼트에서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고, 마지막 서브채널까지 맵핑된 후, 다음 7개 내지 13개 심벌의 세그먼트에서 가장 낮은 미사용의 서브채널부터 주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고,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구간에 할당되는 경우 '01'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마지막 세그먼트의 폭은 상향 서브프레임의 폭에 따라 7개 내지 13개의 심벌에 의해 정해진다. 주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상향 서브프레임의 전체 폭에 대하여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고, AMC 서브채널 구간에 할당되는 경우 '10'으로 표현할 수 있다. '11'은 예약 비트이다. 상기 실시예는 세그먼트를 구분하지 않고 각 세그먼트 내에서 버스트를 할당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동일한 Burst_Type으로 취급한 경우이다. 만일 둘 이상의 세그먼트를 구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예약 비트를 추가 이용하거나 비트 수를 가변하여 버스트 타입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의 ZONE 2와 ZONE 3는 모두 7개 내지 13개 심벌의 세그먼트 내에서 버스트가 할당되므로 ZONE 2와 ZONE 3를 동일한 Burst_Type으로 취급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비트로 표현할 수 있다. 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ZONE 2와 ZONE 3를 구별하여 ZONE 2 또는 ZONE 3에 버스트를 할당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예약 비트를 추가하여 Burst_Type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5c를 참조하면, 주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상향 서브프레임의 전체 폭에 대하여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고,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ZONE 1에 할당되는 경우 '00'으로 표현할 수 있다. 주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7개의 심벌의 세그먼트에서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고, 마지막 서브채널까지 맵핑된 후, 다음 7개 심벌의 세그먼트에서 가장 낮은 미사용의 서브채널부터 주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고,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ZONE 2에 할당되는 경우 '01'로 표현할 수 있다. 주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7개 내지 13개의 심벌의 세그먼트에서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고, 마지막 서브채널까지 맵핑된 후, 다음 7개 내지 13개 심벌의 세그먼트에서 가장 낮은 미사용의 서브채널부터 주 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고,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ZONE 3에 할당되는 경우 '10'으로 표현할 수 있다. 주파수 축으로 증가하기 전에 상향 서브프레임의 전체 폭에 대하여 시간 축으로 버스트가 맵핑되고, AMC 서브채널 구간에 할당되는 경우 '11'로 표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합 버스트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버스트를 할당받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전술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6을 참조하면,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주파수 축을 따라 매핑되는 버스트를 각 단말에 차례로 할당하고,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시간 축을 따라 매핑되는 버스트를 각 단말에 차례로 할당한다.
하향 서브프레임 및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대역 서브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영역으로 분할한다(S610). 서브채널 타입에 따른 분할은 선택적이다.
하향 서브프레임의 경우(S620), 다이버시티 서브채널과 대역 서브채널 모두 주파수 축으로 소정 크기의 슬롯에 매핑되는 버스트를 구성하고(S630), 각 단말에 버스트를 순차적으로 할당한다(S680).
상향 서브프레임의 경우(S620), 서브채널 타입을 판단한다(S640).
다이버시티 서브채널의 경우, 단말의 속성을 고려하여 버스트를 할당하기 위해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상향 서브프레임의 심벌 수에 의존하는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한다(S650). 단말의 속성에 따라 해당하는 분할 구간을 선택한다(S660). 선택된 분할 구간에서 시간 축으로 소정 크기의 슬롯에 매핑되는 버스트를 구성하고(S670), 각 단말에 버스트를 순차적으로 할당한다(S680).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전체 심벌을 포함하는 구간에서는,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전체 시간 축을 따라 매핑되는 버스트를 각 단말에 차례로 할당한다. 상기 전체 심벌 구간의 나머지 영역을 시간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각 세그먼트가 채널 추정에 필요한 최소 개수의 심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세그먼트 내에서 시간 축을 따라 매핑되는 버스트를 차례로 각 단말에 할당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ZONE 1의 버스트는 전력에 민감한 단말에 할당되고, ZONE 2 버스트는 전파 지연에 민감한 단말에 할당되고, ZONE 3의 버스트는 기지국으로부터 신속한 응답이 요구되는 단말에 할당된다. 해당 구간 정보,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서브채널 타입에 관한 정보는 맵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대역 서브채널의 경우, 주파수 축으로 소정 크기의 슬롯에 맵핑되는 버스트를 구성하고(S630), 각 단말에 버스트를 순차적으로 할당한다(S680).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버스트 할당 정보가 포함된 OFDM 신호의 프레임을 수신한다(S710).
단말은 수신된 신호의 프레임으로부터 하향 서브프레임 및 상향 서브프레임의 버스트 할당 정보를 검출한다(S730). 상기 버스트 할당 정보는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영역과 대역 서브채널 영역 정보, 주파수 축을 따라 맵핑된 버스트와 시간 축을 따라 맵핑된 버스트 할당 정보 등을 포함한다.
단말은 상향 서브프레임 버스트 할당 정보로부터 버스트의 서브채널 타입 및 버스트 할당 방법에 의해 버스트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버스트의 위치를 기초로 할당된 버스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기지국으로 송신한다(S750).
단말은 하향 서브프레임의 버스트 할당 정보로부터 확인된 버스트의 위치를 기초로 할당된 버스트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데이터를 처리한다(S77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합 버스트를 할당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술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의 혼합 버스트 할당 장치는 영역 분할부(810), 구간 선택부(830), 버스트 구성부(850) 및 버스트 할당부(870)를 포함한다.
영역 분할부(810)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향 서브프레임 및 하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대역 서브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영역으로 분할한다. 또한 영역 분할부(810)는 상향 서브프레임의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영역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서 상향 서브프레임의 전체 심벌을 포함하는 구간을 할당하고, 나머지 영역을 시간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한다. 각 세그먼트는 채널 추정을 위한 최소 개수의 심벌을 포함한다. 상향 서브프레임의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영역의 분할은 단말 속성을 고려하여, 도 2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세그먼트 분할에 의해 3개의 ZONE으로 구분하여 해당 단말에 적용되는 구간의 버스트를 선택하여 할당할 수 있다.
구간 선택부(830)는 분할 구간 중에서 단말의 채널 환경, 단말 속성을 기초 로 해당 구간을 선택한다. 구간 선택부(830)는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영역 또는 대역 서브채널 영역을 선택하고, 상향 서브프레임의 경우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영역에서 분할된 구간 중 하나를 선택한다.
버스트 구성부(850)는 제1 버스트 구성부(851) 및 제2 버스트 구성부(855)를 포함한다. 제1 버스트 구성부(851)는 상향 서브프레임의 선택된 분할 구간에서, 단말 속성을 기초로 시간 축으로 슬롯에 맵핑되는 버스트를 구성한다. 제2 버스트 구성부(855)는 하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에서, 채널 환경을 기초로 주파수 축으로 슬롯에 맵핑되는 버스트를 구성한다.
버스트 할당부(870)는 구성된 버스트를 단말에 할당한다. 버스트 할당부(870)는 버스트 할당 정보(버스트 할당 방법, 부채널 타입 등)를 DS-MAP IE 및 US-MAP IE에 소정 비트로 표현하여 버스트를 단말에 할당한다.
기지국은 버스트 할당 정보와 송신 데이터가 OFDM 처리되어 생성된 프레임을 단말에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합 버스트를 할당받는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전술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900)은 수신부(910), 버스트 할당 정보 검출부(920), 수신 데이터 처리부(930), 송신 데이터 처리부(940) 및 송신부(950)를 포함한다.
수신부(910)는 기지국으로부터 프레임 구조의 OFDM 신호를 수신한다.
버스트 할당 정보 검출부(920)는 수신된 신호의 프레임으로부터 하향 스트림 및 상향 스트림의 버스트 할당 정보를 검출한다. 버스트 할당 정보 검출부(920)는 US-MAP IE로부터 버스트의 서브채널 타입 및 버스트 할당 방법이 포함된 상향 스트림 버스트 정보를 검출하고, DS-MAP IE로부터 하향 스트림 버스트 정보를 검출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930)는 검출된 버스트 정보를 기초로 하향 스트림을 위해 할당된 버스트를 통해 수신한 신호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940)는 검출된 버스트 정보를 기초로 상향 스트림을 위해 할당된 버스트 위치를 확인하고 할당된 버스트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를 처리 및 암호화한다.
송신부(950)는 암호화된 송신 신호의 프레임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IEEE 802.22 계열의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인 자원의 할당은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 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기존 OFDMA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버스트 할당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MAC 프레임의 가로 축(시간 영역)과 세로 축(주파수 영역)으로 결정되는 2차원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복호 지연이 큰 MAC 프레임의 가로 축(시간 영역)과 세로 축(주파수 영역)으로 결정되는 2차원 구조를 도시한다.
도 4a는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서브채널과 대역(AMC) 서브채널 영역에서 혼합 버스트를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서브채널만 존재할 경우의 버스트 할당 방식을 전달하는 US-MAP IE 구조이다.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서브채널과 AMC 서브채널이 공존할 경우의 버스트 할당 방식을 전달하는 US-MAP IE 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합 버스트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버스트를 할당받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합 버스트를 할당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혼합 버스트를 할 당받는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laims (28)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단말에 버스트를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주파수 축을 따라 맵핑되는 버스트를 각 단말에 차례로 할당하는 단계; 및
    (b)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시간 축을 따라 맵핑되는 버스트를 각 단말에 차례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전체 시간 축을 따라 맵핑되는 버스트를 각 단말에 차례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시간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세그먼트 내에서 시간 축을 따라 맵핑되는 버스트를 차례로 각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당해 세그먼트 내에 버스트 맵핑을 위한 자원이 부족하면 다음 세그먼트 내의 자원을 이용하여 버스트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그먼트의 심벌 개수는 채널 추정에 필요한 최소 심벌 개수 이상이고, 마지막 세그먼트의 심벌 개수는 채널 추정에 필요한 최소 심벌 개수에서 상기 최소 심벌 개수의 2배 미만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소정의 주파수 영역과 시간 영역으로 결정되는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하는 단계;
    (b2) 상기 다수의 분할 구간 중 단말 속성에 대응하는 분할 구간을 선택하는 단계; 및
    (b3) 상기 선택된 분할 구간 내에서 시간 축을 따라 맵핑되는 버스트를 각 단말에 차례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속성은 단말의 위치, 채널 상태 및 제공받는 서비스의 특징 중 적 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전체 심벌을 포함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시간 영역에서 제2 구간 및 제 3 구간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전력에 민감한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구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전파 지연에 민감한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구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속한 응답이 요구되는 단말을 위해 상기 제3 구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간의 심벌 개수는 채널 추정에 필요한 최소 심벌 개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는 하나의 심벌과 하나의 서브채널에 의해 고정된 크기의 슬롯에 맵핑되고, 상기 슬롯의 길이를 이용하여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축 또는 주파수 축으로의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트의 할당 방법을 맵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c)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대역 서브채널 영역과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d) 상기 대역 서브채널 영역에서 주파수 축을 따라 맵핑되는 버스트를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는 상기 다이버시티 서브채널 영역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축 또는 주파수 축으로의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트의 할당 방법 및 서브채널 타입에 관한 정보를 맵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맵 메시지를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은 고정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혼합 버스트를 이용한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주파수 축을 따라 맵핑된 하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 및 시간 축을 따라 맵핑된 상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하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기초로 할당된 하향 데이터 버 스트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상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기초로 할당된 상향 데이터 버스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를 이용한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는 하나의 심벌과 하나의 서브채널에 의해 고정된 크기의 슬롯에 맵핑되고, 상기 슬롯의 길이를 이용하여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를 이용한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할당 정보는 시간 축 또는 주파수 축으로의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트의 할당 방법 및 서브채널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를 이용한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할당 정보는,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전체 심벌을 포함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시간 영역에서 분할한 제2 구간 및 제 3 구간 중 선택된 구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를 이용한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단말을 위한 기지국의 혼합 버스트 할당 장치에 있어서,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주파수 축을 따라 맵핑되는 버스트 및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시간 축을 따라 맵핑되는 버스트를 구성하는 버스트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버스트를 차례로 각 단말에 할당하는 버스트 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을 시간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스트 구성부는,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전체 시간 축을 따라 맵핑되는 버스트를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세그먼트 내에서 시간 축을 따라 맵핑되는 버스트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전체 심벌을 포함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시간 영역에서 제2 구간 및 제3 구간으로 분할하는 영역 분할부; 및
    전력에 민감한 단말을 위해 상기 제1 구간을 선택하고, 전파 지연에 민감한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구간을 선택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속한 응답이 요구되는 단말을 위해 상기 제3 구간을 선택하는 구간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버스트 할당 장치.
  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된 혼합 버스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주파수 축을 따라 맵핑된 하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 및 시간 축을 따라 맵핑된 상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검출하는 버스트 할당 정보 검출부;
    상기 검출된 하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기초로 할당된 하향 데이터 버스트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신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검출된 상향 데이터 버스트 할당 정보를 기초로 할당된 상향 데이터 버스트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처리하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할당 정보는, 시간 축 또는 주파수 축으로의 맵핑 정보를 포함하는 버스트의 할당 방법 및 서브채널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트 할당 정보는, 상향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버스트 영역의 전체 심벌을 포함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시간 영역에서 분할한 제2 구간 및 제 3 구간 중 선택된 구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080049267A 2007-06-21 2008-05-27 Ofdma 시스템의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080067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766204.5A EP2171959A4 (en) 2007-06-21 2008-06-11 METHOD AND DEVICE FOR HYBRID BURST PICTURE IN OFDMA SYSTEMS
PCT/KR2008/003242 WO2008156256A1 (en) 2007-06-21 2008-06-11 Method and apparatus of hybrid burst mapping in ofdma systems
CA2689496A CA2689496C (en) 2007-06-21 2008-06-11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hybrid bursts in ofdma system
CN200880101908.4A CN101772931B (zh) 2007-06-21 2008-06-11 正交频分多址系统中的混合突发映射的方法和设备
JP2010513096A JP5027299B2 (ja) 2007-06-21 2008-06-11 Ofdmaシステムの混合バースト割り当て方法及び装置
US12/665,861 US8693410B2 (en) 2007-06-21 2008-06-11 Method and apparatus of hybrid burst mapping in OFDMA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558207P 2007-06-21 2007-06-21
US60/945,582 2007-06-21
US94801107P 2007-07-05 2007-07-05
US60/948,011 2007-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316A true KR20080067316A (ko) 2008-07-18

Family

ID=3983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267A KR20080067316A (ko) 2007-06-21 2008-05-27 Ofdma 시스템의 혼합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93410B2 (ko)
EP (1) EP2171959A4 (ko)
JP (1) JP5027299B2 (ko)
KR (1) KR20080067316A (ko)
CN (1) CN101772931B (ko)
CA (1) CA2689496C (ko)
WO (1) WO20081562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6035A3 (ko) * 2008-11-11 201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로 서브프레임 지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KR101909609B1 (ko) * 2017-07-27 2018-10-18 (주)쏠리드윈텍 Ofdm/ofdma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할당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8332A1 (en) * 2008-07-09 2010-01-14 Krishna Balachandran Method for half-and full-duplex subscriber station operation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KR101498060B1 (ko) * 2008-02-19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a)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
KR101013439B1 (ko) * 2008-02-26 2011-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맵 메시지 크기 추정 장치 및방법
WO2010027214A2 (en) * 2008-09-05 2010-03-11 Lg Electronics Inc. Downlink silent period for positioning
US8326309B2 (en) * 2009-03-06 2012-12-04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Resource allocation in co-existence mode
EP2410684B1 (en) * 2009-03-16 2019-08-28 Sun Patent Trust Radio receiving apparatus, radio transmitting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N106604305B (zh) * 2016-12-13 2019-12-13 深圳市江波龙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网络配置方法、装置和一种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86531B1 (es) * 2001-04-19 2005-03-16 Diseño De Sistemas En Silicio, S.A. Procedimiento de acceso multiple y multiple transmision de datos para un sistema multiusuario de transmision digital de datos punto a multipunto sobre red electrica.
AU2003903826A0 (en) * 2003-07-24 2003-08-07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An ofdm receiver structure
WO2005055437A2 (en) 2003-12-02 2005-06-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allocating and accessing radio resources in ofdma system
KR100754658B1 (ko) * 2004-03-12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재전송 운용 방법
KR100594111B1 (ko) * 2004-03-12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밴드별 다중 코딩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16600A (ko) * 2004-08-18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원 할당 정보를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방법 및 자원 할당정보의 표시에 있어서 부하를 줄이는 방법
KR100810290B1 (ko) 2004-12-14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101084127B1 (ko) 2004-12-27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a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자동 재전송 요구지원 방법
WO2006071049A1 (en) 2004-12-27 2006-07-06 Lg Electronics Inc. Supporting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radio access system
CN100455110C (zh) * 2005-06-06 2009-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信道的分配和接入方法
KR20070010597A (ko) * 2005-07-19 200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자원 할당방법
KR20070080735A (ko) * 2006-02-08 2007-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서비스의 상향링크 자원 할당시스템 및 방법
US20070298808A1 (en) * 2006-06-27 2007-12-27 Vic Pan Managing wireless backhaul communications
US20080056390A1 (en) * 2006-08-29 2008-03-06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doppler estimation
US7804841B2 (en) * 2006-09-25 2010-09-28 Mediatek Inc.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deciding a transmitting region for an allocated transmitting burst in a frame of an OFDMA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6035A3 (ko) * 2008-11-11 201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하향링크로 서브프레임 지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US8040827B2 (en) 2008-11-11 2011-10-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ub-frame designation information to a downlink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8493895B2 (en) 2008-11-11 2013-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ub-frame designation information to a downlink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8605632B2 (en) 2008-11-11 2013-12-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ub-frame designation information to a downlink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8913531B2 (en) 2008-11-11 2014-1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ub-frame designation information to a downlink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647821B2 (en) 2008-11-11 2017-05-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ub-frame designation information to a downlink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1909609B1 (ko) * 2017-07-27 2018-10-18 (주)쏠리드윈텍 Ofdm/ofdma 시스템에서의 버스트 할당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2401A1 (en) 2010-08-12
JP5027299B2 (ja) 2012-09-19
EP2171959A4 (en) 2014-06-04
WO2008156256A1 (en) 2008-12-24
CA2689496C (en) 2015-08-18
CN101772931A (zh) 2010-07-07
CN101772931B (zh) 2013-07-31
CA2689496A1 (en) 2008-12-24
JP2010531569A (ja) 2010-09-24
US8693410B2 (en) 2014-04-08
EP2171959A1 (en)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7299B2 (ja) Ofdmaシステムの混合バースト割り当て方法及び装置
AU20182089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existence of low-latency and latency-tolerant communication resources
KR102047577B1 (ko) 협대역 epdcch를 이용한 기계형 통신을 위해 가상 캐리어 상의 자원 할당을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엘리먼트, 및 방법
US9219581B2 (e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configuring sub-frames for relay-node operations
US10314033B2 (en) Flexible multiplexing of users with difference requirements in a 5G frame structure
KR1010333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용 프레임 구조
KR102146368B1 (ko) 통신 디바이스 및 방법
EP18068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630251B2 (en) Method of supporting heterogeneous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103458A (ko)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제어 채널 자원들을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들
US9236938B2 (en) Resource allocation for co-existing networks
KR102180830B1 (ko) 채널 상태의 측정을 기반으로 기계 타입 통신을 위한 가상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장치
US200802053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2229854B1 (ko) 채널 상태의 측정을 기반으로 기계 타입 통신을 위한 가상 캐리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통신 기지국
US78482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communication system
JP2022517065A (ja) 通信デバイス、通信デバイスの動作方法、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機器および方法
US20120093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allocating resources in communication system
KR2009011026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KR10100838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US8693443B2 (en) Method for allocating wireless resource,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WO2008111807A2 (en) Method of supporting heterogeneous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6848917A (zh) 终端、基站、无线通信系统及无线通信方法
KR2012000359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슈퍼프레임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