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437A -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437A
KR20080066437A KR1020070003896A KR20070003896A KR20080066437A KR 20080066437 A KR20080066437 A KR 20080066437A KR 1020070003896 A KR1020070003896 A KR 1020070003896A KR 20070003896 A KR20070003896 A KR 20070003896A KR 20080066437 A KR20080066437 A KR 20080066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title
information
resizing
broadcast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6437A/ko
Publication of KR20080066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5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신호 내에 이미지와 별개로 전송되어 이미지상에 오버랩되어 표출되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를 서브 타이틀의 제어 정보를 방송 신호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실시예에 의하면 방송 수신자가 표출되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방송 시청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서브타이틀, 문자, 그래픽, DVB, 크기

Description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broadcasting signal}
도 1은 문자나 그래픽 요소가 화면에 표출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DVB 시스템의 페이지 컴포지션 세그먼트(PCS)의 신택스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DVB 시스템의 CLUT 데피니션 세그먼트(CLUT definition segment)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리전 컴포지션 세그먼트(region composition segment)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10 : 수신부 120 : 역다중화부
130: 섹션파싱부 140 : 제어부
150 : 그래픽엔진 155 : 메모리부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입력부
본 발명은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에 표출되는 문자 또는 그래픽 요소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 수신자가 시청하는 화면 이외에 화면상의 문자나 그래픽 요소가 방송 신호를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문자나 그래픽 요소는 스크린 전체에 표출되는 이미지에 관련된 페이지 상에 함께 표출될 수 있다.
도 1은 화면상에 표출되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제 1 페이지(a)에는 제 1 지역에는 그래픽 요소인 로고가 표출되고, 제 2 지역에는 [shall we?]라는 텍스트가 표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페이지는 [Said the fly on the mirror.]라는 텍스트가 표출될 수 있다. 제 1 페이지와 제 2 페이지는 동영상에서 연속된 프레임일 수도 있고, 여러 프레임을 사이에 둔 프레임들일 수도 있다.
이러한 문자나 그래픽 요소는 서브 타이틀(subtitle)이라는 용어로 총칭될 수도 있는데, 방송 신호를 통해 문자나 그래픽 요소와 그 문자나 그래픽 요소가 나타나는 시간, 위치, 색 정보 등을 전송하여 방송 수신 장치의 스크린에 표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수신자는 방송 신호에 따라 표출되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를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방송의 비디오 이미지와 함께 표출되는 화면상의 문자나 그래픽 요소가 너무 커서 수신자의 시청을 방해하거나, 너무 작아서 수신자가 알아볼 수 없을 경우 수신자가 방송을 시청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수신자가 표출되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를 제어할 수 있는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 수신자에게 방송 시청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미지에 오버랩(overlap)되어 표출되는 서브 타이틀 및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다중화하여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한 방송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이미지에 오버랩(overlap)되어 표출되는 서브 타이틀 및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전송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상기 서브 타이틀 및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표출하고, 상기 표출된 크기 조절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따라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출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서브 타이틀 스트림을 포함하는 방송 전송 스 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방송 전송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한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이미지, 서브 타이틀 및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크기 조절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이미지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크기 조절 정보에 대한 선택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 명령에 따른 크기 조절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크기 조절 정보 또는 상기 입력부가 수신하는 크기조절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로부터 상기 서브 타이틀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출하는 이미지상에 표출하는 그래픽엔진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크기 조절 정보는 서브 타이틀 크기 변화 경우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서브 타이틀의 크기 변화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 서브 타이틀의 수평 폭에 대한 정보 및 서브 타이틀의 수직 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타이틀은 비트 맵(bitmap) 형식이 가능하다
상기 크기 조절 정보는 서브 타이틀의 스트림의 리전 컴포지션 세그먼트(region composition segment)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발명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방송 신호 내에 이미지와 별개로 전송되어 이미지상에 오버랩되어 표출되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를 서브 타이틀이라고 호칭한다. 따라서, 서브 타이틀은 이미지 자체로 인해 표출되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와 구분된다. 방송의 이미지 상에 표출되 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는 방송 신호를 통해 전송되어 화면상에 표출된다. 방송 신호를 통해 전송되어 표출되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에 관해 설명하기 위해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시스템을 예로 설명한다.
DVB 시스템에서 서브 타이틀 스트림은 문자나 그래픽 요소와 같은 서브 타이틀이 포함된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packet)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타이틀이 표출되는 시간 정보인 PTS(present time stamp)에 의해 표출된다. 서브 타이틀 스트림은 다중화된 서브타이틀 서비스 컴포넌트(multiple subtitle component)로 전송될 수 있다. 하나의 방송 서비스에 대한 다수의 서브 타이틀은 페이지 식별자(page-id)에 따라 각각 식별되어 전송될 수 있거나, PMT(program map table)에 의해 파싱되는 다수의 패킷에 각각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문자나 그래픽 요소와 같은 서브 타이틀은 방송 신호로부터 시간, 위치, 색 정보 등과 관련된 내용이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의 실시예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를 전송할 경우 그 문자나 그래픽 요소의 표출 형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의 실시예는 전송하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의 표출 크기를 방송 수신자가 제어할 수 있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는 서브 타이틀 및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다중화하여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한다(S10). 방송 전송 스트림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이 가능하고, 서브 타이틀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PES 패킷 내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변환한 방송 전송 스트림을 전송한다(S20).
S 20 단계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할 경우, 송신한 이미지에 오버랩(overlap)되어 표출되는 서브 타이틀 및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다(S30). 그리고, 방송 전송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서브 타이틀 및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얻는다(S40). 그리고, 수신한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화면상에 표출하고, 그 표출된 크기 조절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따라 수신한 서브 타이틀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출한다(S50).
DVB 시스템의 경우 서브 타이틀이 표출되는 이미지를 페이지(page)라고 한다. 페이지는 속성을 가진 사각형의 지역인 리전(region)을 포함할 수 있다. 속성은 각 리전의 식별자, 서브 타이틀이 표출되는 수평, 수직 사이즈, 픽셀의 뎁스 정보 및 배경색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리전은 그래픽 오브젝트(object)가 그 안에 위치하도록 하는 배경 구조체로 사용될 수 있고, 오브젝트는 문자, 단어, 문장, 아이콘 및 로고 등이 될 수 있다. 서브 타이틀 스트림은 PES 패킷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PES 헤더의 PTS에 정의된 표출 타이밍 정보와 함께 전송되어 표출될 수 있다.
방송 전송 스트림 중 PES 패킷의 PES_data_field()에 포함된 data_identifier가 0x20이고, subtitle_stream_id가 0x00일 경우 서브 타이틀 스트림이 파싱될 수 있다. 서브 타이틀 스트림은 세그먼트(segment)라는 하위 단위를 가질 수 있고, 각 세그먼트는 segment_type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의 page_id에 의해 각 세그먼트에 포함된 서브 타이틀 서비스가 식별될 수 있다. 서브 타이틀 서비스는 페이지 컴포지션 세그먼트(page composition segment; PCS) 리전 컴포지션 세그먼트(region composition segment; RCS), CLUT 데피니션 세그먼트(CLUT definition segment), 및 오브젝트 데이터 세그먼트(object data segme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세그먼트들은 서브 타이틀 서비스가 어떤 시간에 어떤 형태로 구현되어야 하는지 정의하는데, 예를 들어 PCS는 서브 타이틀의 타임 아웃(time out) 정보 등 페이지에 대한 컴포지션 정보를 전송한다.
도 3은 DVB 시스템의 페이지 컴포지션 세그먼트의 신택스를 예시한다. 도 3의 예에서 page_time_out은 표출된 서브 타이틀이 지속하는 시간을 초 단위로 나타낸다. 따라서, 페이지 컴포지션 세그먼트의 page_time_out은 서브 타이틀이 화면에 계속적하여 표출되지 않고, 한시적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DVB 시스템의 서브 타이틀 서비스에 포함되는 CLUT 데피니션 세그먼트(CLUT definition segment)를 예시한다. CLUT 데피니션 세그먼트는 서브 타이틀이 표출되는 색 정보를 나타낸다. CLUT(color look-up table)의 정의에 따라 표출되는 서브 타이틀의 색 속성이 정의되고, 정의된 색 정보에 따라 서브 타이틀이 화 면에 표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서브 타이틀의 표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리전 컴포지션 세그먼트(region composition segment; RCS)를 예시한다. 서브 타이틀의 표출 크기 조절할 수 있는 정보는 예를 들어 리전 컴포지션 세그먼트(region composition segment; RCS)에 설정될 수 있다. 리전 컴포지션 세그먼트는 서브 타이틀이 표출되는 화면상 특정 위치에 표출되는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리전 컴포지션 세그먼트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gion_id는 서브 타이틀이 표출되는 위치의 식별자 정보를 나타낸다. region_width와 region_height는 서브 타이틀이 표출되는 너비와 높이를 각각 나타낸다. region_depth는 해당 리전(region)에 대한 픽셀 깊이가 2비트, 4비트, 8비트 등인지를 정의하는 식별자이다. CLUT_id는 정의하는 리전의 CLUT 그룹을 나타낸다. 그리고, object_id는 식별하는 리전의 나타나는 객체 식별자, object_type은 식별하는 객체가 비트맵인지, 캐랙터(character)인지, 아니면 합성 객체(composite object)인지 등의 오브젝트 타입을 정의한다. object_horizontal_position은 식별하는 리전에 오브젝트의 수평적인 위치로서, 0부터 (region_width - 1)까지의 픽셀값을 나타낼 있다. 그리고, object_vertical_position은 식별하는 리전에 오브젝트의 수직 위치로서, 0부터 (region_height - 1)까지의 픽셀값을 나타낼 있다. 리전에 나타나는 오브젝트 데이터에 대한 세그먼트는 오브젝트 데이터 세그먼트(object data segment)에 정의된다.
따라서, 리전 컴포지션 세그먼트는 서브 타이틀이 표출될 영역의 식별자, 영역의 버전, 너비, 높이 등에 대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도 5의 예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의 실시예에서 서브 타이틀의 표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정보를 설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의 예에서 number_of_scale 필드는 현재 표출되는 서브 타이틀의 확대/축소 비율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즉, number_of_scale 필드는 서브 타이틀이 변화할 수 있는 배율의 경우의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송되는 서브 타이틀이 2배 또는 4배로 확대시킬 수 있고, 1/2 또는 1/4로 축소시킬 수 있을 경우, number_of_scale 필드는 4의 값(확대/축소의 경우의 수가 4)을 가진다. 만약 이 값이 0개라면 현재 표출되는 서브 타이틀은 확대/축소할 수 없으며 현재 전송되는 서브 타이틀 그대로 디스플레이됨을 의미한다.
scaled_info는 표출되는 서브 타이틀의 확대 또는 축소 비율 정보를 표시한다. -2의 경우에는 1/2 축소, +2의 경우에는 2배 확대 등의 의미로 사용할 수 있고, 1, 0, -1은 모두 현재 크기 유지하도록 하는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scaled_horizontal_width는 서브 타이틀을 확대 표출할 경우 최대로 가능한 서브 타이틀의 너비를 나타낸다. 이 너비보다 확대되는 경우에는 서브 타이틀을 나누어서 다음 라인(line)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타이틀이 확대되어 화면의 가로 크기를 넘지 않게 하거나, 또는 다른 서브 타이틀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할 수 있다.
scaled_vertical_width는 서브 타이틀을 확대 표출할 경우 최대 가능한 서브 타이틀의 폭을 나타낸다. scaled_horizontal_width와 유사하게 수직폭에 대해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방법의 실시예는 방송 신호로부터 전송되는 서브 타이틀에 대한 크기 조절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호출에 따라 이를 화면에 표출하고, 사용자가 서브 타이틀의 가능한 크기 정보를 선택하면 그 선택에 서브 타이틀을 화면에 표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일 실시예는 수신부(110), 역다중화부(120), 섹션파싱부(130), 제어부(140), 그래픽엔진(150), 메모리부(155), 디스플레이부(160) 및 입력부(170)를 포함한다.
수신부(110)는 서브 타이틀 스트림과 그 스트림의 크기 조절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역다중화부(120)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테이블 정보, 예를 들면, PAT(program association table)나 PMT(program map table) 등의 테이블 정보와 방송 전송 스트림인 패킷화된 엘리먼터리 스트림(packetized elementary stream)을 역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섹션파싱부(130)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테이블 정보를 수신하고 그 테이블 정보를 파싱하여 제어부(140)가 PES 데이터에 포함된 서브 타이틀 스트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섹션파싱부(130)는 파싱된 테이블 정보를 메모리 부(155)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섹션파싱부(130)가 파싱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와 서브 타이틀 스트림을 복호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40)가 출력하는 이미지를 화면상에 표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섹션파싱부(130)가 파싱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PES에 포함된 서브 타이틀 스트림과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얻는다. 그리고, 얻은 서브 타이틀 크기 조절 정보를 메모리부(155)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그래픽엔진(150)은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서브 타이틀이 크기 조절 정보를 읽어 디스플레이부(160)가 표출하는 이미지상에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입력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서브 타이틀 크기 조절 정보에 대한 선택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서브 타이틀 크기 조절 정보를 다시 저장할 수 있다. 그래픽엔진(150)은 저장된 크기 조절 정보를 읽고 표출되는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출하도록 할 수 있다.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는 현재 표출되는 서브 타이틀의 확대/축소 비율의 개수에 대한 정보, 확대 또는 축소 배율에 대한 정보, 확대시킬 경우 최대 가능한 서브 타이틀의 너비 정보 및 높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서브 타이틀은 비트맵 형태로 전송되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그리고, 열거한 서브 타이틀의 크기 정보는 서브 타이틀의 화면상 표출 지역의 위치와 속성을 정의하는 세그먼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동일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특허명세서로부터 본 발명을 변경하거나 변형하는 것은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기 명확하게 기재되었더라도, 그것을 여러 가지로 변경하는 것은 본 발명의 사상과 관점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관점 내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의 실시예에 의하면 방송 수신자가 표출되는 문자나 그래픽 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방송 시청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이미지에 오버랩(overlap)되어 표출되는 서브 타이틀 및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다중화하여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한 방송 전송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절 정보는 서브 타이틀 크기 변화 경우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서브 타이틀의 크기 변화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 서브 타이틀의 수평 폭에 대한 정보 및 서브 타이틀의 수직 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타이틀은 비트 맵(bitmap) 형식인 방송 신호 송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절 정보는 서브 타이틀의 스트림의 리전 컴포지션 세그먼트(region composition segment)에 포함되는 방송 신호 송신 방법.
  5. 이미지에 오버랩(overlap)되어 표출되는 서브 타이틀 및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전송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상기 서브 타이틀 및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얻는 단계;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표출하고, 상기 표출된 크기 조절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따라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출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절 정보는 서브 타이틀 크기 변화 경우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서브 타이틀의 크기 변화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 서브 타이틀의 수평 폭에 대한 정보 및 서브 타이틀의 수직 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타이틀은 비트 맵(bitmap) 형식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절 정보는 서브 타이틀의 스트림의 리전 컴포지션 세그먼트(region composition segment)에 포함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9. 서브 타이틀 스트림을 포함하는 방송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방송 전송 스트림을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한 방송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이미지, 서브 타이틀 및 상기 서브 타이틀의 크기 조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크기 조절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이미지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크기 조절 정보에 대한 선택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선택 명령에 따른 크기 조절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크기 조절 정보 또는 상기 입력부가 수신하는 크기조절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로부터 상기 서브 타이틀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출하는 이미지상에 표출하는 그래픽엔진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절 정보는 서브 타이틀 크기 변화 경우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 서브 타이틀의 크기 변화 비율을 나타내는 정보, 서브 타이틀의 수평 폭에 대한 정보 및 서브 타이틀의 수직 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타이틀은 비트 맵(bitmap) 형식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절 정보는 서브 타이틀의 스트림의 리전 컴포지션 세그먼트(region composition segment)에 포함되는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20070003896A 2007-01-12 2007-01-12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20080066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896A KR20080066437A (ko) 2007-01-12 2007-01-12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896A KR20080066437A (ko) 2007-01-12 2007-01-12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437A true KR20080066437A (ko) 2008-07-16

Family

ID=3982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896A KR20080066437A (ko) 2007-01-12 2007-01-12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64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201A (ko) * 2009-02-12 201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3d 자막 데이터 처리 방법
US9544569B2 (en) 2009-02-12 2017-01-1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3D subtitle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201A (ko) * 2009-02-12 201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3d 자막 데이터 처리 방법
US9544569B2 (en) 2009-02-12 2017-01-1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3D subtitle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USRE48413E1 (en) 2009-02-12 2021-01-26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er and 3D subtitle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05730B (zh) 发送方法、接收方法、发送装置以及接收装置
JP3918033B2 (ja) サブタイトル送信システム
JP6081984B2 (ja) 受信装置、放送通信連携システムおよび放送通信連携方法
KR101445991B1 (ko) 클라이언트측에서 비디오 스트림을 합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90207305A1 (en) Caption Display Device
EP3324637B1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US1059509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 for broadcast service on basis of XML subtitle
US9100688B2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external apparatus linking system
JP2011151750A (ja) 画像処理装置
US20060034589A1 (en) DTV data stream, DTV broadcast system, and methods of generating and processing DTV data stream
KR20170007333A (ko)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69805A (ko) 송신 디바이스, 송신 방법, 수신 디바이스, 및 수신 방법
KR20080066437A (ko)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20090011518A (ko) 영상표시기기 및 영상표시방법
JP2013026643A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送受信方法
KR101435825B1 (ko) 캡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캡션 표시 장치
WO2016036012A1 (ko)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3026644A (ja) 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送受信方法
JP200625402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363493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100789539B1 (ko) 방송 수신기에서의 비디오 출력 제어 장치
JP2008271604A (ja) 受信装置
KR20010009192A (ko)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JP2007124697A (ja) 受信装置
KR20060053437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방송 정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