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723A - Oven and door hinge thereof - Google Patents

Oven and door hing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723A
KR20080065723A KR1020070002716A KR20070002716A KR20080065723A KR 20080065723 A KR20080065723 A KR 20080065723A KR 1020070002716 A KR1020070002716 A KR 1020070002716A KR 20070002716 A KR20070002716 A KR 20070002716A KR 20080065723 A KR20080065723 A KR 20080065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oven
roll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7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63824B1 (en
Inventor
방석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824B1/en
Publication of KR2008006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7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8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8Stov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An oven and a door hinge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a door from being detached by employing a support part in a lever holder of a door hinge. An oven includes an external case, a door, and a door hinge(400). The external case forms an outer portion of the oven. The door opens/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rnal case. The door hinge allows the door to rotate about the external case. The door hinge includes a main frame(410), a lever(450), a lever holder(460), and a support member. The main frame is mounted on the door. The lever is mounted on the external case. The lever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The lever holder guides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lever. The support member prevents the lever from being in th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lever.

Description

오븐 및 오븐의 도어힌지 {Oven and door hinge thereof}Door hinges for ovens and oven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전면이 개구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도어힌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hinge configuration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전면이 차폐된 상태의 도어힌지를 나타낸 상태도.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door hinge of the front of the oven is shielded stat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전면이 일정 정도 열린 상태의 도어힌지를 나타낸 상태도.Figure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door hinge in a state that the front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to some extent.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도어힌지를 나타낸 상태도.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door hinge of the door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lly ope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외부케이스 110. 전면플레이트100. Outer case 110. Front plate

120. 상면플레이트 130. 측면플레이트120. Top plate 130. Side plate

140. 후면플레이트 150. 캐비티140. Rear Plate 150. Cavity

152. 그루브 160. 컨벡션부152. Groove 160. Convection

200. 도어 210. 투시창200. Door 210. Viewing window

220. 도어핸들 300. 컨트롤패널220. Door handle 300. Control panel

310. 조작부재 320. 디스플레이310. Control member 320. Display

400. 도어힌지 410. 메인프레임400. Door hinge 410. Mainframe

412. 메인고정부 420. 보조프레임412. Main Stationary Government

422. 보조고정부 424. 지지편422. Auxiliary fixed governments

430. 메인스프링 440. 롤러프레임430. Main spring 440. Roller frame

442. 롤러 444. 롤러스프링442.Rollers 444.Roller Springs

450. 레버 452. 롤러가이드450. Lever 452. Roller guide

454. 롤러안착홈 456. 돌출부454. Roller seat grooves 456. Protrusions

460. 레버홀더 462. 지지부재460. Lever holders 462. Support members

본 발명은 오븐 및 오븐의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오븐에 장착되는 도어힌지의 레버홀더에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도어의 탈거가 방지되는 오븐 및 오븐의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n and a door hinge of the ov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hinge of the oven and the oven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in the lever holder of the door hinge is mounted to the oven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door.

오븐은 음식물을 밀폐한 후 가열하여 건열로 음식물을 익히도록 설계되는 조리기기의 하나이다. 다시 말해, 오븐은 내부 공간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열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의 공기가 데워지게 되고, 데워진 공기가 음식물을 가열하게 되어 음식물이 익도록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의 하나이다. Oven is one of the cooking apparatus is designed to cook food by drying the heat by sealing the food. In other words, the oven accommodates food in the interior space to heat the space in which the food is accommodated, thereby heating the air in the space in which the food is accommodated, and cooking the food so that the food is cooked so that the air is heated. One of the devices.

이러한 오븐은 제공되는 열원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열원에 따라 구분해 보면, 전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전기오븐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가스오븐 및 전기와 가스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복합오븐 등으로 구분된다. These oven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eat source provided, and according to the heat source, an electric oven using electricity as a heat source, a gas oven using gas as a heat source, and a composite oven using a combination of electricity and gas. Are distinguished.

상기 전기오븐은 외부의 전기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며, 상기 가스오븐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화염으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The electric oven cooks food by heat emitted from a heater operated by an external electricity, and the gas oven cooks food by a flame generated by combustion of gas by burning a gas supplied from the outside. Done.

근래에는 안정적이며, 음식물이 요리되는 시간이 빠른 전기오븐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기오븐은 음식물을 뒤집지 않아도 음식물의 상하가 요구되는 정도로 균일하게 익게 되며, 음식물의 안과 밖이 골고루 익게 되는 장점이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recent years, the use of electric ovens that are stable and have a fast time to cook food is increasing. These electric ovens are cooked uniformly to the extent that food is required up and down without inverting the food, a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ood is cooked evenly, so it can be conveniently used.

이와 같은 오븐은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Such an ove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forming an outer shape, a cavity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nd a door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ront of the cavity.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회동시켜,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한 다음 캐비티를 밀폐시키고, 밀폐된 캐비티를 가열하도록 히터를 동작시켜 캐비티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이때, 음식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요리에 적당한 온도로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된다. The user rotates the door to store food in the cavity, then seals the cavity, and operates a heater to heat the sealed cavity to cook food contained in the cavity. At this time,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is heated to a temperature suitable for cooking according to the type and amount of food.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게 되면, 캐비티 내부의 가열되는 공기가 대류하면서 캐비티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하게 되고, 골고루 가열되는 음식물은 상면과 하면, 안과 밖이 골고루 가열되면서 균일하게 요리된다. When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is heated, the heated air inside the cavity is convection and heats the food contained in the cavity evenly, and the heated food is heated evenly inside and outside, evenly heated inside and outside. do.

그리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도어힌지에 의해 장착되고, 도어힌지의 일측은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도어의 후면에 결합되어 그 힌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door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by a door hinge, one side of the door hinge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door so that the door can rotate around the hinge. Is formed.

이와 같은 상기 도어힌지의 구성은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994-0026467호와 제1999-0062170호,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1998-015344호에 개시되어 있다. Such a structure of the door hinge is disclosed in Korean Unexamined Patent Nos. 194-0026467 and 1999-0062170, and Korean Utility Model No. 1998-015344.

이와 같은 도어힌지는 다수의 구성품들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도어의 회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된다. Such a door hing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onents so that the door is rotatably coupl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rotation of the door is limit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in the conventional oven as described above.

상기 오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도어를 회동시켜,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도어가 회동하면서 일정 위치에 이르게 될 때 전방으로 과도한 힘을 가하게 될 경우 본체로부터 도어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When cooking food using the oven, the user rotates the door to open the front of the main body. At this time, whe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when the door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rotating, a problem occurs that the doo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도어가 이탈되면, 사용자가 도어를 다시 장착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When the doo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 problem arises in which the user needs to remount the door, and this problem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상기 도어의 이탈에 의해 사용자가 인체에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하며,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도어에 의해 치명적인 상처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긴급히 문제점의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다. Problems in which the user may be injured in the human body may occur due to the detachment of the door,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young child,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a fatal wound is caused by the do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도어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도어에 구비되는 레버홀더가 레버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오븐 및 오븐의 도어힌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pose a door hinge of the oven and the oven is formed so that the lever holder provided on the door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so as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door.

상기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 및 오븐의 도어힌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외부케이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힌지가 포함되고, 상기 도어힌지는,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외부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체결 위치를 안내하는 레버홀더; 및 상기 레버홀더가 상기 레버의 상면과 접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재가 포함된다. The oven and the door hinge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case forming an appearance;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of the outer case; And a door hinge provided such that the door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outer case, wherein the door hinge comprises: a main frame mounted to the door; And a lever mounted to the outer cas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A lever holder for guiding a fastening position of the lever; And a support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lever holder from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측으로 외력이 발생하게 될 때, 상기 레버홀더의 단부가 상기 외부케이스와 접하게 된다.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ase is open,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on the door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the end of the lever holder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ase.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레버홀더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돌기이다. The support member is a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lever holder from the lower side.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오븐 및 오븐의 도어힌지는, 일정 위치에 고정 장착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레버홀더; 및 상기 레버와 체결되어 회전 운동하게 되고, 체결되는 부분이 회전 중심이 되는 메인프레임이 포 함되고, 상기 레버홀더는 일단부가 상기 레버와 체결되고, 타단부는 레버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In another aspect, the oven and the door hinge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fixedly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lever holder for guid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ever; And a main frame which is engaged with the lever and rotates, and a part of which is fastened is a rotation center, wherein the lever holder has one end coupled with the lever and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상기 레버홀더가 상기 레버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다. A support member is provided to allow the lever holde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상기 메인프레임이 회전 운동하게 될 때, 회전 방향의 외측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레버홀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레버가 장착되는 부분에 접하게 된다. When the main frame is rotate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the lever holder comes into contact with a portion on which the lever is moun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오븐 및 오븐의 도어힌지에 따르면, 도어의 이탈이 방지되어 사용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door hinge of the oven and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paration of the door is prevented to improv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us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 및 오븐의 도어힌지를 전기오븐의 예를 들어 구체적인 실시예를 바탕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oven and the door hinge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example of an electric oven.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front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오븐은 전체적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오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에 의해 각각의 면이 형성되는 외부케이스(10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ve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internal space as a whole, the oven is the outer case 100 is formed by each plat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 external appearance is formed by this.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110),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120),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130),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140),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된다. The outer case 100 is a front plate 110 to form a front appearance, a top plate 120 to form a top appearance, a side plate 130 to form a side appearance, a rear plate 140 to form a rear appearance It is formed by a lower surface plate (not shown) which forms the outer surface.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티(150)가 형성되며, 상기 캐비티(150)는 전체적으로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면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캐비티(150)는 상기 시트가 각각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면서 캐비티(150)를 형성하게 된다. A cavity 150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ase 100 to provide a space where food is formed, and the cavity 15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entire front surface, and each surface of the cavity 15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It is formed by a sheet having a thickness and formed into a square plate shape. The cavity 150 forms the cavity 150 while the sheets are fastened or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상기 캐비티(15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0)는 캐비티(150)의 전면과 같은 면적을 가지거나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며, 이러한 절제면의 전면에는 상기 캐비티(15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0)가 장착된다. The front plate 110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50 is cut off to have the same area as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50 or to have a large area,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5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50. The door 200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surface is mounted.

상기 도어(20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150)의 내부 공간에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상태를 확인하거나, 캐비티(150)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210)이 형성된다. The door 2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a whole, and the user checks the state in which the food is cook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150 or checks the internal state of the cavity 150 in the center portion. A see-through window 210 is formed to allow.

상기 투시창(210)은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15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며, 통상 열에 강한 내열 강화유리로 형성된다. 이러한 내열 강화유리는 고온에서 견딜 수 있도록 특수하게 제작된다. 또한, 투시창(210)의 후면에는 캐비티(150)의 내부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투시창(210)의 후면으로 발산될 때 캐비티(150)의 내부로 열기를 반사할 수 있도록 열 반사 도료 또는 열 반사 필름 등이 도포된다. The see-through window 210 is formed to be transparent so that a user can check the inside of the cavity 150, and is usually formed of heat-resistant tempered glass that is resistant to heat. Such heat-resistant tempered glass is specially manufactured to withstand high temperatures. In addition, a heat reflecting paint or a heat reflecting film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viewing window 210 so that the heat e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cavity 150 may reflect the heat into the cavity 150 when the heat is emitted to the rear of the viewing window 210. Etc. are applied.

상기 투시창(210)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150)의 내부 공간에 음식물을 인입하거나, 인출하고자 할 경우 상기 도어(200)를 회동시켜 캐비티(150)의 전면을 개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도어핸들(220)이 도어(20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On the upper side of the see-through window 210, when the user draws food in or out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150, the user opens the front of the cavity 150 by rotating the door 200. A door handle 220 to facilitate gripping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door 200.

상기 도어핸들(220)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함에 따라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The door handle 220 may be formed in any form capable of performing the role as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user. For example, it will be possible to be formed to be recessed to the rear so that the user can grip.

상기 도어(200)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300)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패널(300)에는 사용자가 오븐을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조작부재(310)가 구비되며, 이러한 조작부재(310)는 노브(knob)의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시킴으로써 오븐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The control panel 300 is provided above the door 200. The control panel 3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 member 310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operate the oven, the operation member 3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knob (knob) by the user to rotate the oven You can operate it.

상기 조작부재(310)는 노브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조작하여 오븐을 작동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따라서, 노브의 형태가 아닌 버튼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member 3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knob, but may be formed in any shape that can play a role in which a user can operate the oven.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be formed in the form of buttons rather than in the form of knobs.

상기 조작부재(310)의 측방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시간 및 음식물이 요리되는 환경 또는 오븐의 작동 환경 등이 도시되는 디스플레이(320)가 구비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320)를 통해 사용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환경이나 시간, 오븐의 작동 환경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side of the operation member 3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320 that shows the time the food is cooked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food is cooked or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oven, such that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320 is cooked food The environment, time and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oven can be checked externally.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오븐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캐비티(150)의 내부 공간 양 측면에는 그루브(152)가 형성되어 음식물을 다양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며, 캐비티(150)의 후면에는 컨벡션부(160)가 구비되어 캐비티(150)의 내부 공기를 강제 대류시킴으로써 캐비티(15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ove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shown in Figure 2, grooves 15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pace of the cavity 150 to allow food to be located at various locations, the cavity 150 of the The convection unit 16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to force convection of the internal air of the cavity 150 to evenly heat the food contained in the cavity 150.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캐비티(150)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캐비티(150)의 내부가 가열되면, 캐비티(150)의 내부 공기가 데워지고, 데워진 내부 공기는 상기 컨벡션부(160)에 의해 대류되면서, 음식물을 골고루 가열하게 되어 음식물이 균일하게 익게 된다. That is, although not shown, when the inside of the cavity 150 is heated by heat emitted from at least one heater that heats the cavity 150, the internal air of the cavity 150 is heated, and the warmed internal air is While convection by the convection unit 160, the food is evenly heated so that the food is cooked uniformly.

한편, 상기 도어(200)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의 전면 하단부 양 측단에 도어힌지(400)로 체결된다. 다시 말해, 도어(200)의 후면 하단부 양 측단이 전면플레이트(110)의 전면 하단부 양측단과 도어힌지(400)로 체결되어 도어힌지(40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도어(20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캐비티(15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oor 200 is fastened by the door hinge 400 on both side ends of the front lower end of the front plate (110). In other words, both sides of the lower rear end of the door 200 ar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lower end of the front plate 110 and the door hinge 400 so that the user rotates the door hinge 40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rotating the door hinge 400. By rotating the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50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힌지에 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oor hin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도어힌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어힌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도어힌지(400)는 상기 도어(200)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410)과, 상기 메인프레임(4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플 레이트(110)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레버(450), 상기 레버(450)의 체결 위치를 안내하는 레버홀더(460), 상기 레버홀더(460)가 레버(450)의 상면과 접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46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hinge configuration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hinge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figure, the door hinge 400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main frame 410 and the main frame 410 mounted on the door 200, the outside A lever 450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plate 110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case 100, a lever holder 460 guiding a fastening position of the lever 450, and the lever holder 46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member 462 for supporting so as not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450.

상기 메인프레임(410)은 상기 도어힌지(4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게 되며, 횡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 및 일 측면이 개구되도록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프레임(410)의 내부 공간에는 보조프레임(420)이 수용되면서 장착된다. The main frame 410 is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oor hinge 400,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sid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one side is opened The auxiliary frame 42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frame 410.

상기 보조프레임(420)은 전체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면과 일 측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하단부는 중앙부를 향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보조프레임(420)의 개구되는 일 측면은 상기 메인프레임(410)의 개구되는 측면과 동일한 측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The auxiliary frame 420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the upper surface and one side is formed to be opened, the lower end portion is formed in a narrowing toward the center portion.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auxiliary frame 420 is formed so that the same side as the side of the opening of the main frame 410 is opened.

상기 메인프레임(410)의 상단부와 상기 보조프레임(420)의 상단부 사이에는 메인스프링(430)이 장착된다. 상기 메인스프링(430)의 상단부는 메인프레임(410)의 내부 공간 상단부에 형성되는 메인고정부(412)에 고정되며, 하단부는 상기 보조프레임(420)의 내부 공간 상단부에 형성되는 보조고정부(422)에 고정된다. The main spring 430 is moun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410 and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frame 420. The upper end of the main spring 430 is fixed to the main fixing part 412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main frame 410,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fixing part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auxiliary frame 420 ( 422).

상기 메인스프링(430)은 상기 보조프레임(420)이 상하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게 될 때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200)에 상기 메인프레임(410)과 보조프레임(420)이 장착된 상태에서 단부가 고정되면, 도어(200)의 회동에 의해 보조프레임(420)이 메인프레임(410)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게 될 때 보조프레임(420)에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The main spring 430 is to provide elasticity when the auxiliary frame 420 is transl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main frame 410 and the auxiliary frame 420 are mounted on the door 200. When the end is fixed in a state, when the auxiliary frame 420 transl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frame 410 by the rotation of the door 200 provides elasticity to the auxiliary frame 420.

따라서, 상기 메인스프링(430)은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탄성부재가 사용되는 것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메인스프링(430)이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도록 한다. Therefore, the main spring 430 serves to provide elastic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y elastic member capable of performing this role may b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the coil spring type main spring 430 is mounted.

상기 보조프레임(420)의 내부 공간 하단부에는 롤러프레임(440)이 장착된다. 상기 롤러프레임(44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전방(도 3에서 볼 때)에서 보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롤러프레임(440)은 중앙부 하측에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게 되며, 그 내부 공간 후단부에 다음에 설명할 레버(450)와 외면이 접하게 되는 롤러(442)가 수용되면서 핀으로 체결된다. The roller frame 440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auxiliary frame 420. The roller frame 4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recessed upward,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ee in Figure 3). The roller frame 440 has a predetermined inner space at the low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roller 442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ever 450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with a pin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space.

상기 롤러프레임(440)의 내부 공간 전단부는 롤러프레임(440)이 상기 보조프레임(4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보조프레임(420)과 핀으로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The inner space front end of the roller frame 440 is pivotally mounted to the auxiliary frame 420 by a pin in a state where the roller frame 44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uxiliary frame 420.

상기 롤러프레임(440)의 상측 다시 말해, 상기 보조프레임(420)의 내부 공간에는 지지편(42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424)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프레임(42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편(424)의 하측과 롤러프레임(440)의 상측 사이에는 롤러스프링(444)이 구비된다. In other words, the support piece 424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uxiliary frame 420. The support piece 42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to cross the internal space of the auxiliary frame 420. The roller spring 444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iece 424 and the upper side of the roller frame 440.

상기 롤러스프링(444)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는 상기 롤러프레임(440)의 상면과 접하면서 지지되고, 상단부는 상기 지지 편(424)의 하면과 접하면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0)가 회동하게 될 때 롤러프레임(440)이 회동하게 되고, 롤러프레임(440)이 회동하게 될 때 롤러스프링(444)은 상방으로 압착된다. The roller spring 444 is formed of a coil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the lower end is supported while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oller frame 440, the upper end is supported while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iece 424. Therefore, the roller frame 440 is rotated when the door 200 is rotated, and the roller spring 444 is squeezed upward when the roller frame 440 is rotated.

상기 롤러스프링(444)은 상기 롤러프레임(440)의 상면과 상기 지지편(424)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어떠한 탄성부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The roller spring 444 serve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roller frame 440 and the support piece 424, any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such elastic force is used It would also be possible.

상기 보조프레임(420)의 하단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중앙부를 향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보조프레임(4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레버(450)가 체결된다. 레버(450)는 보조프레임(420)의 양 측면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게 되는 핀으로 체결된다.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frame 420 is formed in a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center toward the lower side, the lever 450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frame 420. The lever 450 is fastened by a pin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auxiliary frame 4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레버(45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와 결합되며, 상기 도어(200)의 회동에 따라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게 되고, 이러한 레버(450)를 우측방(도 3에서 보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lever 450 is coupled to the front plate 110 at least a part of which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nd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oor 200. 450 is formed in a generally "┏" shape when viewed from the right side (see FIG. 3).

상기 레버(450)는 강도의 보강을 위해 두께가 얇은 다수의 레버(450)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겹쳐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레버(450)의 상면 전단부와 전면 상단부는 부드러운 곡선을 가지고 함몰 되도록 형성되면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도어(20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롤러(442)가 간섭받도록 형성된다. The lever 450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inner levers 450 having a thin thickness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overlapped for reinforcement of strength. The upper front end and the front upper end of the lever 450 are formed to be recessed with a smooth curve, and are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roller 442 is interfer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door 200.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레버(450)의 상면에는 상기 롤러(442)의 외면과 접하면서 롤러(442)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가이드(452)가 형성된다. 상기 롤러가 이드(452)는 상기 도어(200)의 회동에 따라 롤러(442)가 접하는 경로로서 롤러가이드(452)에는 도어(200)가 일정 각도만큼 개방되었을 때 롤러(442)가 수용되는 롤러안착홈(454)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안착홈(454)의 전후로는 전방 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456)가 형성된다. Looking at this in detail, a roller guide 45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45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ller 442 while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442. The roller guide 452 is a path in which the roller 442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of the door 200. The roller guide 452 is a roller in which the roller 442 is accommodated when the door 200 is opened by a predetermined angle. A seating groove 454 is formed, and front and rear of the roller seating groove 454 is formed with a protrusion 456 protruding forward or upward.

즉, 상기 레버(450)의 상면 전단부는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면서 상방으로 돌출된 다음 다시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면서 함몰 형성되고, 레버(450)의 전면 상단부는 전방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면서 돌출된 다음 다시 상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면서 함몰 형성된다. That is, the upper front end of the lever 450 protrudes upwards while drawing a smooth curve, and is then recessed while drawing a smooth curve downward toward the front, and the front upper end of the lever 450 draws a smooth curve forward. It protrudes while being recessed, drawing a smooth curve toward the rear as it goes upwards.

따라서, 상기 레버(450)의 상면 전단부와 전면 상단부가 만나는 지점은 일정 정도의 홈이 형성되며, 이러한 홈이 상기 롤러(442)가 안착되는 롤러안착홈(454)이 된다. Therefore, a point where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450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face meet is formed to a certain extent, and this groove becomes the roller seating groove 454 on which the roller 442 is seated.

상기 레버(450)의 하방으로 절곡되는 부분 하단부 중앙에는 상기 메인프레임(410)의 하단부와 핀에 의해 체결된다. 다시 말해, 핀이 메인프레임(410)의 양 측면을 관통하면서 메인프레임(410)의 양 측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레버(450)의 하단부 중앙을 관통하게 된다.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410 is fastened by a pin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portion bent downward of the lever 450. In other words, the pin penetrates through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410 and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lever 450 positioned between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410.

이처럼, 상기 레버(450)의 하단부 중앙과 상기 메인프레임(410)의 하단부가 핀에 의해 체결되면, 레버(450)는 메인프레임(410)의 하단부 중앙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As such, whe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lever 450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410 are fastened by the pins, the lever 450 is rotatable around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410.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410)과 핀으로 체결되는 상기 레버(450)의 하단부 중앙 상측에는 상기 보조프레임(420)의 하단부 중앙을 관통하는 핀에 의해 관통된 다. 따라서, 보조프레임(420)은 레버(450)의 회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ever 450 which is fastened to the main frame 410 and the pin is penetrated by a pin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frame 420. Therefore, the auxiliary frame 420 is transl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450.

한편, 상기 레버(450)의 상면에는 레버(450)의 체결위치를 안내하는 레버홀더(460)가 장착된다. 상기 레버홀더(46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좌우 측면과 좌우 측면의 후단부 상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으로 형성되며, 좌우 측면 사이 공간에 레버(450)의 상면이 삽입되면서 레버홀더(460)의 좌우 측면 전단부와 레버(450)는 핀으로 체결된다. On the other hand, a lever holder 460 for guiding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lever 45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450. The lever holder 460 is formed of a connection surface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and left and right side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450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Left and right side front ends of the lever holder 460 and the lever 450 are fastened by pins.

이처럼, 상기 레버홀더(460)와 상기 레버(450)가 핀으로 체결되면, 체결되는 핀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레버홀더(460)의 후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As such, when the lever holder 460 and the lever 450 are fastened by pins, the rear end of the lever holder 460 can be rot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using the fastened pin as the rotation center.

상기 레버홀더(530)는 좌우 양 측면 외측이 상기 보조프레임(420)의 하단부 양 측면 사이를 관통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통과하게 되고, 하방으로 갈수록 중앙부로 좁아지는 보조프레임(420)의 양 측면 사이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상기 레버(450)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The lever holder 530 passes through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il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side penetrate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end of the sub-frame 420, and between both sides of the sub-frame 420 that narrows toward the center. By passing through it will guid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ever 450.

즉, 상기 레버(450)가 상기 보조프레임(420)의 하단부를 전후 방향으로 통과하게 될 때, 상기 레버홀더(460)의 양 측면 외측이 보조프레임(420)의 양 측면 내측과 접하게 되면서, 레버(450)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lever 450 passes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frame 4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both side outer sides of the lever holder 460 come into contact with both side inner sides of the auxiliary frame 420, and the lever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450 is guided.

상기 레버홀더(460)의 하측에는 레버홀더(460)의 상기 연결면 하면이 상기 레버(450)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지지되는 지지부재(470)가 레버(450)의 양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On the lower side of the lever holder 460, the support member 470, which is support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surface of the lever holder 46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450, protrudes laterally on both sides of the lever 450. Is formed.

상기 지지부재(470)는 상기 레버(450)의 좌우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가로 방향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재(470)의 상단부에 상기 레버홀더(460)의 좌우 측면 후단부 하단이 접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support member 470 is protruded later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ver 450, and is formed in a horizontal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lower end of the left and right side rear end portions of the lever holder 460 is prevented from moving downward while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470.

상기 지지부재(470)에 의해 상기 레버홀더(460)의 연결면 하면이 상기 레버(45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하게 되면, 레버(45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에 수용되어 장착되면, 상기 도어(200)의 후면과 레버홀더(460)의 후단부가 접하도록 형성된다.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lever holder 460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450 by the support member 470, at least a part of the lever 450 is attached to the front plate 110. When received and mounted, the rear end of the door 200 and the rear end of the lever holder 460 is formed to contact.

상기 도어(200)의 후면과 상기 레버홀더(460)의 후단부가 접하게 되면, 도어(200)가 회동하게 되더라도 레버홀더(460)의 후단부는 계속 도어(200)의 후면에 접하게 된다. 이처럼, 레버홀더(460)의 후단부가 도어(200)가 회동하게 되더라도 도어(200)의 후면에접하게 되면, 도어(200)가 일정 각도로 회동하게 된 다음 상방으로 도어(2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레버홀더(460)의 후단부에 의해 도어(200)의 후면 하단부는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When the rear end of the door 200 and the rear end of the lever holder 460 are in contact, the rear end of the lever holder 46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door 200 even when the door 200 is rotated. In this way, even if the rear end of the lever holder 46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door 200, even if the door 200 is rotated, the door 200 is rotated at an angle and t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200 upward. Even if the rear end of the door 200 is not separated upward by the rear end of the lever holder 460.

즉, 상기 레버홀더(460)의 후단부가 상기 도어(200)의 후면 하단부에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도어(200)가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That is, the rear end of the lever holder 460 serves as a stopper on the rear lower end of the door 200 so that the door 200 is not separated upward.

상기 지지부재(470)는 상기 레버홀더(46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부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The support member 470 plays a role of supporting the lever holder 460 to prevent the lever holder 460 from moving downward, and any type of member capable of performing such a role may be used.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레버의 작동을 살펴보도록 한 다. Hereinafter,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lev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전면이 차폐된 상태의 도어힌지를 나타낸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도어(200)가 오븐의 전면을 차폐하고 있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메인프레임(410)은 상기 도어(200)의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110)에 일부가 체결되는 상기 레버(450)의 상면은 메인프레임(41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door hinge of the front of the oven is shielded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state in which the door 200 is shielding the front of the oven with reference to Figure 4, the main frame 410 is mounted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inside of the door 200, the front An upper surface of the lever 450, which is partially fastened to the plate 110,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main frame 410.

이때, 상기 메인스프링(430)은 안정된 상태로 일정 정도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410)의 상단부와 상기 보조프레임(420)의 상단부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메인프레임(410)과 보조프레임(420)이 일정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보조프레임(420)의 하단부에 수용되는 상기 롤러스프링(444)에 의해 상기 롤러프레임(440)은 우측단부(도 4에서 볼 때)가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main spring 430 is maintained in a stable state by the tension of a certain degree, the upper end of the main frame 410 and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frame 42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main frame 410 and auxiliary Since the frame 420 maintains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oller frame 440 has the right end (as shown in FIG. 4) downward by the roller spring 444 accommodated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frame 420. It will be placed in an inclined state.

상기 롤러프레임(440)의 우측단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롤러스프링(444)은 일정 정도의 인장력을 가지게 되고, 상방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When the right end of the roller frame 440 is positioned inclined downward, the roller spring 444 has a tensile force of a certain degree,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upward.

또한, 상기 롤러프레임(440)의 우측단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하게 됨에 따라 롤러프레임(440)의 내부 공간 좌측단부에 핀으로 체결되는 상기 롤러(442)는 상기 레버(450)의 상면 좌측단부(도 4에서 볼 때)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56)의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right end portion of the roller frame 440 is positioned downward, the roller 442 fastened to the left end of the inner space of the roller frame 440 by a pin is an upper surface of the lever 450. It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protrusion 456 projecting upward on the left end (as seen in FIG. 4).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전면이 일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힌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를 참조하여 도어의 회동에 따른 상기 도어힌지의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Figure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door hinge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ference to Figure 5 to look at the state of the door hing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oor.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220)을 파지하여 상기 도어(200)를 전방으로 당기면서 하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레버(450)가 핀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로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When the user grips the door handle 220 and pulls the door 200 forward to rotate downward, the lever 450 rotates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pin as the rotation center.

이때, 상기 롤러가이드(452)에 의해 상기 롤러(442)가 안내되면서, 롤러(442)는 상기 레버(45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456)의 상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롤러안착홈(454)에 안착된다. At this time, the roller 442 is guided by the roller guide 452, the roller 442 is guid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456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450, the roller seating groove ( 454).

이처럼, 상기 롤러(442)가 상기 롤러안착홈(454)에 안착되면, 상기 롤러프레임(440)의 우측단부는 더욱 하방으로 병진 운동하게 되고, 하방으로 병진 운동하게 되는 롤러프레임(440)의 우측단부로 인해 상기 롤러스프링(444)은 하방으로 더욱 신장된다. As such, when the roller 442 is seated in the roller seating groove 454, the right end of the roller frame 440 translates downward further, and the right side of the roller frame 440 translates downward. Due to the end, the roller spring 444 is further extended downward.

이와 같이, 상기 롤러스프링(444)이 하방으로 더욱 신장되면, 상기 보조프레임(420)도 하방으로 신장되고, 하방으로 신장되는 보조프레임(420)에 의해 상기 메인스프링(430)이 하방으로 신장된다. As such, when the roller spring 444 is further extended downward, the auxiliary frame 420 is also extended downward, and the main spring 430 is extended downward by the auxiliary frame 420 extending downward. .

그리고, 상기 롤러(442)가 상기 롤러안착홈(454)에 안착됨으로써 일정 정도 안정된 상태가 됨에 따라 그 상태에서 상기 도어(200)는 일정 정도 이상의 외력이 발생되지 않는 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roller 442 is seated in the roller seating groove 454 to a stable state, the door 200 may maintain a stable state unless an external force of a certain degree is generated. .

즉, 상기 롤러스프링(444) 및 상기 메인스프링(4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롤러(442)가 상기 롤러안착홈(454)을 이탈할 수 없게 되어 상기 도어(200)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roller 442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roller seating groove 45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oller spring 444 and the main spring 430, so that the door 200 can maintain a stable state. Will be.

이때, 사용자가 상기 도어(200)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외력을 발생시키더라도 상기 레버홀더(460)의 후단부가 상기 도어(200)의 후면에 접하여 있게 됨으로써 상방으로의 외력에 의해 도어(200)가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470)에 의해 레버홀더(460)의 연결면 하면이 상기 레버(45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even if a user generates an external force to face the door 200 upward, the rear end of the lever holder 46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0, so that the door 200 is moved by the external force upward. It will not escape upward.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support member 470 maintains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lever holder 46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surface of the lever 450.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전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힌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오븐의 전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의 도어힌지의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door hinge in the fully open state of th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6 looks at the state of the door hinge with the front of the oven completely open.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220)을 파지하여 상기 도어(200)를 더욱 하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레버(450)는 더욱 하방(도 6에서 볼 때)으로 회동하게 되고, 레버(450)가 더욱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롤러(442)는 상기 롤러안착홈(454)으로부터 이동하여 레버(450)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456)를 넘어서게 된다. When the user grips the door handle 220 to rotate the door 200 further downward, the lever 450 is rotated further downward (as shown in FIG. 6), and the lever 450 is further rotated. When rotated downward, the roller 442 is moved from the roller seating groove 454 beyond the protrusion 456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ver 450.

이처럼, 상기 롤러(442)가 상기 롤러안착홈(454)을 이탈하여 상기 레버(450)의 전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롤러프레임(440)의 우측단부는 더욱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처럼 롤러프레임(440)의 우측단부가 하방으로 더욱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롤러스프링(444)은 더욱 하방으로 신장된다. As such, when the roller 442 leaves the roller seating groove 454 and moves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lever 450, the right end of the roller frame 440 is inclined downward more. As the right end of the frame 440 is further inclined downward, the roller spring 444 extends further downward.

상기 롤러스프링(444)이 하방으로 신장됨에 따라 상기 보조프레임(420)은 더 욱 하방으로 병진 운동하게 되고, 보조프레임(420)의 하방 병진 운동에 의해 상기 메인스프링(430)은 더욱 하방으로 신장된다. As the roller spring 444 extends downward, the auxiliary frame 420 translates further downward, and the main spring 430 extends further downward by the downward translation of the auxiliary frame 420. do.

그리고, 상기 롤러(442)는 상기 레버(450)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456)를 넘어서면서 다시 일정 정도의 탄성력이 제공되지 않으면, 롤러(442)는 상기 롤러안착홈(454)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And, if the roller 442 exceeds the protrusion 456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ver 450 and the elastic force of a predetermined degree is not provided again, the roller 442 moves to the roller seating groove 454. Will not be.

따라서, 상기 도어(200)에 일정 정도 즉,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도어(200)는 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unless the door 200 is applied to the door 200 to some extent, that is, an external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e door 200 is maintained in the current state.

이때, 사용자가 상기 도어(200)에 상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더라도 상기 레버홀더(460)의 후단부가 도어(200)의 상면에 접하게 되면서 도어(200)의 상방 이탈이 방지된다. 이는 레버홀더(460)의 후단부가 도어(200)의 후면에 접하게 되면서, 스토퍼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어 도어(200)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even if the user exerts an external force on the door 200 in the upward directio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lever holder 4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200, thereby preventing the upward departure of the door 200. The rear end portion of the lever holder 4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0, and serves as a stopper to prevent the door 200 from escaping upward.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홀더(460)의 후단부가 상기 도어(200)의 후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어(200)에 상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레버홀더(460)의 후단부가 일정 간격을 좁히면서, 레버홀더(460)의 후단부가 도어(200)의 후면에 접하게 되어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간격에서 가능하게 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ar end of the lever holder 460 is described as being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0, but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This means that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upward to the door 200, the rear end of the lever holder 460 narrows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rear end of the lever holder 4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door 200 to serve as a stopper. It becomes possible at intervals that become possible.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고, 상기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서로 부분적으로 병합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components. By variously merging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홀더의 후단부가 상기 도어의 후면에 접하게 되어 도어에 상방으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도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rear end of the lever holder is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door is configured so that the door is not separated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upward to the door.

따라서, 상기 도어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외부케이스로부터 도어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창출된다. Therefore, even if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is created.

나아가, 상기 외부케이스로부터 상기 도어의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상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안전성으로 인해 사용자나 어린아이의 인체에 상해가 예방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Furthermore, by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there is an effect of ensuring safety in use, and the safety of the user or a child may be prevented from causing injury.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케이스로부터 상기 도어가 이탈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며,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oor is not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convenience of use is maximized and service costs are reduced.

그리고, 서비스 비용의 절감으로 인해 제품 사용에 따른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reduction of the service cost,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of using the product.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외부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따라 제품의 인지도가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oor is not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there is also an effect of improving the recognition of the product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Claims (6)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An outer case forming an appearance;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of the outer case; And 상기 도어가 상기 외부케이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힌지가 포함되고, The door hinge is provided so that the door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outer case, 상기 도어힌지는, The door hinge,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및A main frame mounted to the door; And 상기 외부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A lever mounted to the outer cas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frame; 상기 레버의 체결 위치를 안내하는 레버홀더; 및A lever holder for guiding a fastening position of the lever; And 상기 레버홀더가 상기 레버의 상면과 접하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재가 포함되는 오븐.And a support member for preventing the lever holder from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측으로 외력이 발생하게 될 때, 상기 레버홀더의 단부가 상기 외부케이스와 접하게 되는 오븐.When the front of the outer case is open, when the external force is generat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in the door, the end of the lever holder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as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레버홀더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돌기인 오븐.The support member is an oven for supporting the lever holder supporting the lower side. 일정 위치에 고정 장착되는 레버;A lever fixedly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레버의 장착 위치를 안내하는 레버홀더;A lever holder for guid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lever; 상기 레버와 체결되어 회전 운동하게 되고, 체결되는 부분이 회전 중심이 되는 메인프레임이 포함되고, The main frame is rotated by being engaged with the lever and the fastened portion is a rotation center. 상기 레버홀더는 일단부가 상기 레버와 체결되고, 타단부는 레버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도어힌지.One end of the lever holder is coupled to the lever, the other end door hinge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레버홀더가 상기 레버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도어힌지.And a support member for allowing the lever holde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메인프레임이 회전 운동하게 될 때, 회전 방향의 외측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레버홀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레버가 장착되는 부분에 접하게 되는 도어힌지.When the main frame is rotated, when a pressure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at least a part of the lever holder is in contact with the portion in which the lever is mounted.
KR1020070002716A 2007-01-10 2007-01-10 Oven and door hinge thereof KR1008638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716A KR100863824B1 (en) 2007-01-10 2007-01-10 Oven and door hing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716A KR100863824B1 (en) 2007-01-10 2007-01-10 Oven and door hing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723A true KR20080065723A (en) 2008-07-15
KR100863824B1 KR100863824B1 (en) 2008-10-15

Family

ID=3981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716A KR100863824B1 (en) 2007-01-10 2007-01-10 Oven and door hing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8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143B1 (en) * 2013-03-08 2015-02-13 풍원공업 주식회사 Door hin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696Y1 (en) * 2002-04-29 2002-07-27 유피아이 주식회사 Device for limitting opening angle for hinge
DE20207036U1 (en) * 2002-05-03 2003-09-18 Lautenschlaeger Mepla Werke Universal joint hinge
KR200391333Y1 (en) * 2005-04-26 2005-08-02 풍원공업 주식회사 door hin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143B1 (en) * 2013-03-08 2015-02-13 풍원공업 주식회사 Door h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824B1 (en)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27B1 (en) Oven
US10429077B2 (en) Domestic oven having a door with two door wings
US10782029B2 (en) Home appliance
EP3848638A1 (en) Cooking appliance
KR20150006129A (en) Oven Range
KR20180113810A (en) Home appliance
KR100863824B1 (en) Oven and door hinge thereof
US9115902B2 (en)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oven
EP2312219A2 (en) Oven range
JP6312199B2 (en) Cooker
JP3585529B2 (en) Heating cooke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5072772B2 (en) Grill unit and heating cooker provided with the same
US3655942A (en) Oven with closure mechanism
KR101623978B1 (en) Cooking appliance
JP5562943B2 (en) Cooker
JP4398928B2 (en) Stove
KR101231322B1 (en) Combining oven door structure for gas oven range
KR100936762B1 (en) Oven door apparatus for oven range
EP3284888A1 (en) Door hinge for an oven door
JP5395456B2 (en) Operation lever for cooking device
KR100936763B1 (en) Oven door apparatus for oven range
JPH08466A (en) Door device for cooking means
JP2017015355A (en) Heating cooker operation device
KR20040059678A (en) Oven door apparatus for oven range
JP2783948B2 (en) Coo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