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55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559A
KR20080065559A KR1020080002548A KR20080002548A KR20080065559A KR 20080065559 A KR20080065559 A KR 20080065559A KR 1020080002548 A KR1020080002548 A KR 1020080002548A KR 20080002548 A KR20080002548 A KR 20080002548A KR 20080065559 A KR20080065559 A KR 20080065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information
terminal
allocated
schedul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626B1 (ko
Inventor
천성덕
이영대
박성준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448,778 priority Critical patent/US8155069B2/en
Priority to EP08704679.3A priority patent/EP2103071A4/en
Priority to PCT/KR2008/000139 priority patent/WO2008084986A2/en
Publication of KR2008006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는,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은, 다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하나의 셀에서 사용되는 전체 제어정보 전송 영역을 적어도 둘 이상의 서브 영역들로 나누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특정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단말에 전송될 데이터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에 할당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1020080002548
스케쥴링 정보, PDCCH, PDSCH, 서브 영역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chedul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이나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이 다중 반송파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자원은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의 집합으로서 2차원 공간의 시간-주파수 영역(time-frequency region)에 의해서 정의된다. 하나의 시간-주파수 영역은 시간 좌표와 부반송파 좌표에 의해 결정되는 직사각형으로 구분된다. 즉, 하나의 시간-주파수 영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간 축 상에서의 심볼과 다수의 주파수 축 상에서의 부반송파에 의해 구획되는 직사각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주파수 영역은 특정 UE의 상향링크에 할당되거나 또는 하향링크에서는 특정한 사용자에게 기지국이 시간-주파수 영역을 전송할 수 있다. 2차원 공간에서 이와 같은 시간-주파수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시간 영역에 서 OFDM 심볼의 수와 주파수 영역에서 기준점에서부터의 오프셋(offset)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되는 연속적인 부반송파의 수가 주어져야 한다.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인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에서는 10 ms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을 사용하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20 개의 서브 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된다. 즉,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0.5ms이다. 하나의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은 하나의 서브 프레임과 각각 15 kHZ 대역인 부반송파 12 개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되며, 다수의 OFDM 심볼들 중 일부 심볼(예를 들어, 첫 번째 심볼)은 L1/L2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E-UMTS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물리채널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L1/L2 제어정보 전송 영역(해칭한 부분)과 데이터 전송 영역(해칭하지 않은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2는 E-UMTS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E-UMTS에서는 쓰루풋(throughput)을 향상시켜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데이터 재전성 기법의 하나인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HARQ: Hybrid Auto Repeat reQuest) 기법을 사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HARQ 기법에 의해 데이터를 단말에 전송하기 위해서 DL L1/L2 제어채널, 예를 들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Downlink Scheduling Information, 이하, 'DL 스케줄링 정보'라 함)을 전송한다. 상기 DL 스케줄링 정보에는 단말 식별자 또는 단말 들의 그룹 식별자(UE Id 또는 Group Id),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무선자원의 위치(Resource assignment) 및 구간(Duration of assignment) 정보, 변조 방식, 페이로드(payload) 크기, MIMO 관련 정보 등과 같은 전송 파라미터(transmission parameters), HARQ 프로세스 정보, 리던던시 버젼(Redundancy Version) 및 새로운 데이터인지에 대한 식별 정보(New Data Indic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선자원의 위치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 정보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하나의 PRB는 단말에 할당되는 최소 채널자원 단위로서 PRB 정보는 상기 단말에 할당되는 주파수 및/또는 시간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L 스케줄링 정보는 기본적으로 재전송이 수행될 때에도 DL L1/L2 제어채널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는 채널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 상황이 초기 전송 때보다 좋은 상황이라면 변조 방식 또는 페이로드 크기를 변경하여 높은 비트 레이트(bit rate)로 전송할 수 있고, 반대로 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 전송 때보다 낮은 비트 레이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DL 스케쥴링 정보를 통해 할당된 채널자원, 예를 들어, 물리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상기 DL 스케쥴링 정보에 포함된 전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단말은 매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t Time Interval)마다 PDCCH를 모니터링하여 자신에게 오는 DL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DL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은 상기 DL 스케쥴링 정보에 포함된 단말 식별자 또는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 스케쥴링 정보 가 자신에게 전송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E-UMTS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20Mhz이다. 이때, 어떤 서브 프레임(sub-frame)에서 기지국이 단말에 전송하거나 또는 단말로부터 수신해야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한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스케쥴링 정보를 전체 무선자원, 전체 주파수 대역폭을 통해 전송하는 것은 무선자원의 낭비를 가져올 것이다. 실제로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스케쥴링 정보의 양은 전체 무선자원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는 정보의 양보다는 훨씬 적기 때문에 종래기술은 무선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에게 전송되는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매 서브 프레임마다 전체 L1/L2 제어정보 영역을 모니터링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의 데이터 프로세싱 과정이 복잡하게 되어 단말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무선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는,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은, 다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하나의 셀에서 사용되는 전체 제어정보 전송 영역을 적어도 둘 이상의 서브 영역들로 나누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특정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단말에 전송될 데이터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에 할당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는,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은, 다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수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이루어지는 전체 제어정보 전송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할당받는 단계와, 지정된 시간마다 상기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할당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어정보의 양을 줄이고, 이에 따라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 적용된 예들이다.
도 3은 E-UMTS의 망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E-UMTS 시스템은 기존 WCDMA UMTS 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 불리기도 한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http://www.3gpp.org/ftp/Specs/2006-12/] 와 [http://www.3gpp.org/ftp/Specs/html-info/GanttChart-Level-2.htm]을 참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E-UTRAN은 기지국(이하, 'eNode B' 또는 'eNB'로 약칭)들로 구성되며. eNB들 간에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eNB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로 약칭)과 연결되며,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 EPC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계층), L2(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제1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3계층에 위치하는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RRC 계층은 Node B와 AG 등 네트워크 노드들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도 있고, Node B 또는 AG에 독립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도 4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에서, 해칭(hatching)한 부분은 사용자 평면(user plane)의 기능적 엔티티들을 도시한 것이고, 해칭하지 않은 부분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의 기능적 엔티티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단말(UE)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가 제어 평면 프로토콜 구성도이고, 도 5b가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직적으로는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User Plane)과 제어신호(Signaling)전달을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도 5a 및 도 5b의 프로토콜 계 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계층), L2(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의 데이터가 이동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E-UMTS에서 상기 물리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되며, 이에 따라 시간(time)과 주파수(frequency)를 무선자원으로 활용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약칭함)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 약칭함)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전송을 지원한다. 제2계층의 PDCP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라 약칭함)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단말과 UTRAN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전송채널로는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E-UMTS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 방식을 사용하고 상향링크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한다. 다중 반송파 방식인 OFDM 시스템은 반송파의 일부를 그룹화한 다수의 부반송파(subcarriers) 단위로 자원을 할당하는 시스템으로서, 접속 방식으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전체 L1/L2 제어정보 전송 영역은 여섯 개의 서브 영역(sub-region)으로 분할된다. 이때, 하나의 서브 영역이 하나의 제어 채널, 예를 들어, 하나의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구성하거나, 둘 이상의 서브 영역들이 하나의 제어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서브 영역들이 하나의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경우 각 서브 영역에는 하나의 정보 단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정보 단위는, 예를 들어, 하나의 단말에 할당되는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단위이다.
기지국은 전체 L1/L2 제어정보 전송 영역을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 영역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특정 단말에게 할당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첫 번째 서브 영역은 제1단말에 할당되고, 두 번째 및 세 번째 서브 영역들은 제2단말에 할당되며, 네 번째 서브 영역은 제3단말에 할당될 수 있다. 서브 영역의 할당은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호 설정 또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 단말에 서브 영역의 할당이 이루어진 후에라도 무선 환경의 변화 또는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의 수의 변화 등에 따라 할당된 서브 영역은 변경될 수 있다.
특정 단말에 서브 영역이 할당된 경우, 상기 단말은 매 서브 프레임마다 상기 할당된 서브 영역을 모니터링하여 자신에게 전송되는 상향링크(UL) 또는 하향링 크(DL) 스케쥴링 정보가 있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단말이 상기 할당된 서브 영역을 통해 DL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DL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서 하향링크 트래픽 채널, 예를 들어, PDSCH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이 할당된 서브 영역을 통해 UL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UL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서 상향링크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실시예는 하나의 제어 채널, 예를 들어, PDCCH를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구분하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통해 하나의 정보 단위를 전송하는 예이다. 상기 정보 단위는 특정 단말에 전송되는 스케쥴링 정보를 포함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때, 하나의 PDCCH 내에서 특정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상기 특정 단말에 할당된 서브 영역의 위치 정보는 미리 상기 특정 단말이 알고 있어야 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호 설정 또는 무선 베어러 설정 과정에서 상기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PDCCH 내에서 상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정보 단위가 몇 번째 정보 단위인지를 지시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PDCCH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데이터 중에서 상기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의 위치를 비트 단위 또는 바이트 단위로 알려 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은 상기 PDCCH 전체를 수신할 필요 없이 자신에게 전송되는 정보 단위만을 수신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DL 또는 UL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은 도 6 또는 도 7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다만, 도 8의 실시예는 전체 제어정보 전송 영역을 구성하는 각 서브 영역을 통해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기 설정된 포맷(format)에 따라 전송되는 예이다. 또한, 도 8의 실시예는 각 서브 영역이 하나의 PDCCH를 구성하는 예이다. 도 7의 예에서처럼 PDCCH를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구분하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통해 하나의 정보 단위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PDCCH의 포맷이라 함은 단말이 각 PDCCH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의미하며, 각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 내용 및 해석 방법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은 각 PDCCH의 포맷을 미리 설정한 후 포맷 정보를 해당 PDCCH가 할당되는 단말에 알린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PDCCH의 포맷 정보를 이용하여 그 내용에 맞게 PDCCH를 통하여 전송된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여 해석하고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포맷 정보는 상기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간의 호 설정 또는 무선 베어러 설정 과정에서 상기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도 8에서, 첫 번째 단말(UE1)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PDCCH1과 PDCCH2가 할당된다고 가정한다. 상기 UE1은 각 서브 프레임마다 기지국으로부터 미 리 할당받은 포맷 정보를 이용하여 PDCCH1과 PDCCH2를 수신한다. 상기 UE1은 미리 PDCCH1 및 PDCCH2의 포맷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해당 포맷 정보에 따라 용이하게 PDCCH1 및 PDCCH2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은 PDCCH1 및 PDCCH2를 통해 할당되는 채널 자원, 예를 들어, PDSCH1 및 DPSCH2의 위치를 설정한 후 미리 상기 UE1에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지국이 PDCCH1 및 PDCCH2의 포맷 정보를 상기 UE1에 알려줄 때 PDSCH1 및 PDSCH2의 위치 정보(ex, PRB 정보)를 함께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상기 기지국은 PDCCH1 및 PDCCH2를 통해 상기 UE1에 할당되는 PDSCH1 및 PDSCH2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UE1은 PDCCH1을 통해서 자신에게 전송되는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이미 대응하는 PDSCH1의 위치 정보를 알고 있기 때문에 수신된 스케쥴링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PDSCH1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PDCCH1이나 PDCCH2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스케쥴링 정보 중 UE1에 할당되는 채널자원의 위치 정보 이외의 다른 정보가 서브 프레임마다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상기 UE1에 미리 알려 줌으로써 PDCCH1이나 PDCCH2에 포함되는 정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이 스케쥴링 정보 중에서 변조 및 코딩 방식(MCS 레벨), 페이로드 크기, MIMO 관련 정보 등과 같은 전송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고정되어 있는 트래픽 채널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고정된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미리 알려줌으로써 상기 단말에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할 때마다 해 당 전송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더 나아가, 특정 단말을 위한 모든 스케쥴링 정보가 서브 프레임마다 변경되지 않는다면, 기지국은 상기 특정 단말에 상기 스케쥴링 정보를 미리 알려주고 상기 특정 단말에 할당된 서브 영역을 통해 상기 특정 단말의 식별자만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PDCCH를 통해 자신의 식별자를 수신하면 이미 알고 있는 스케쥴링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DPSCH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단말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은 기본적으로 도 6 또는 도 7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식을 참조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각 단말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브 영역들 또는 PDCCH가 할당된다. 기지국은 특정 단말에 할당된 둘 이상의 PDCCH들 중에서 각 PDCCH의 포맷 정보 및 각 PDCCH의 위치에 따른 해석 방법을 상기 특정 단말에 미리 알려 준다. 상기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둘 이상의 PDCCH들 중에서 어떤 PDCCH를 통해 정보를 수신했는지 또는 어떤 PDCCH들의 조합에 의해 정보를 수신했는지에 따라 기 설정된 해석 방법에 따라 PDCCH들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해석한다.
도 9에서, UE1에는 PDCCH1과 PDCCH2이 할당되었다. 이때, 기지국이 UE1으로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되는 채널 조합에 따라 PDCCH1만을 이용해 전송하는 경우, PDCCH2만을 이용해 전송하는 경우, PDCCH1과 PDCCH2 모두를 이용해 전송하는 경우의 3가지 조합이 있다. 상기 기지국은 미리, 즉 호의 설정 과정 또는 무선 베어러 설정 과정에서 상기 세 가지 경우들에 대한 각각의 정보 해석 방법 또는 미리 설정된 의미를 알려준다. UE1은 상기 세 가지 경우들 중 어떤 방식으로 PDCCH를 수신하였는가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거나 혹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정보를 해석하거나 미리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기지국은 특정 단말에 미리 PDCCH채널 내의 각 영역 또는 각 영역의 위치에 따른 해석방법, PDCCH 내의 서브 영역들의 전송 조합, PDCCH 내의 각 서브 영역의 조합 또는 각 서브 영역의 위치들의 조합과 각각의 해석방법을 알려준다. 상기 단말은 PDCCH 내의 어떤 영역 또는 영역의 위치를 통하여 어떤 조합으로 정보가 전송되었는지에 따라서 수신된 PDCCH의 정보를 해석하고 이용한다.
또는 상기 과정에서, PDCCH들 또는 PDCCH 내의 서브 영역의 특정 위치를 통해서 무선 자원이 할당될 단말의 식별자만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단말은 자신의 식별자가 발견된 위치들의 조합 또는 채널들의 조합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무선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에게만 해당되는 전용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한 무선자원의 할당정보를 수신할 경우와, 복수 개의 단말 또는 모든 단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공용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한 무선자원의 할당정보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용 데이터의 송수신의 경우 사용되는 PRB 정보 또는 MCS 정보가 매번 바뀔 수 있지만, 공용 데이터의 송수신의 경우, 사용되는 PRB 정보 또는 MCS 정보는 거의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PRB 정보 또는 MCS 정보는 생략하거나 또는 미 리 단말에 알려 줌으로써 무선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즉, 무선 자원이 할당되는 단말의 수 또는 단말의 종류에 따라서, PDCCH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 또는 해석 방법을 다르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PRB는 단말에 할당되는 최소 채널자원 단위로서 PRB 정보는 상기 단말에 할당되는 주파수 및/또는 시간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공용 또는 전용 데이터의 송수신과 관련된 무선자원의 할당정보가 전송되는 PDCCH 채널 또는 PDCCH 내의 영역 또는 PDCCH 내의 위치를 단말에게 알려준다. 단말은 PDCCH의 채널의 종류 또는 PDCCH 내의 영역 또는 위치에 따라서 지정된 방식에 따라 정보를 해석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과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 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 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E-UMTS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물리채널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E-UMTS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E-UMTS의 망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단말(UE)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가 제어 평면 프로토콜 구성도이고, 도 5b가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3)

  1. 다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셀에서 사용되는 전체 제어정보 전송 영역을 적어도 둘 이상의 서브 영역들로 나누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특정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단말에 전송될 데이터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에 할당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제어정보 전송 영역을 구성하는 각 서브 영역은 독립된 제어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서브 영역이 하나의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에 전송될 데이터를 위한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특정 단말에 할당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통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서브 영역들은 서로 다른 데이터 포맷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에게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에 대한 데이터 포맷의 해석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에게 서로 다른 전송 시간 간격에 할당되는 서브 영역들은 동일한 데이터 포맷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방법.
  8. 다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수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로부터 다수의 서브 영역들로 이루어지는 전체 제어정보 전송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할당받는 단계;
    지정된 시간마다 상기 할당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할당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쥴링 정보 수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제어정보 전송 영역을 구성하는 각 서브 영역은 독립된 제어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정보 수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서브 영역이 하나의 제어채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정보 수신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서브 프레임들에 상기 단말에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은 동일한 포맷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정보 수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영역에 대한 포맷의 해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케쥴링 정보 수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와의 호 설정 또는 무선 베어러 설정 과정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쥴링 정보 수신 방법.
KR1020080002548A 2007-01-09 2008-01-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1443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48,778 US8155069B2 (en) 2007-01-09 2008-01-09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chedul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08704679.3A EP2103071A4 (en) 2007-01-09 2008-01-09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LANN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8/000139 WO2008084986A2 (en) 2007-01-09 2008-01-09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chedul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419807P 2007-01-09 2007-01-09
US60/884,198 2007-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559A true KR20080065559A (ko) 2008-07-14
KR101443626B1 KR101443626B1 (ko) 2014-09-23

Family

ID=3981637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548A KR101443626B1 (ko) 2007-01-09 2008-01-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20080002547A KR101414630B1 (ko) 2007-01-09 2008-01-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20080002549A KR101430472B1 (ko) 2007-01-09 2008-01-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재전송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547A KR101414630B1 (ko) 2007-01-09 2008-01-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20080002549A KR101430472B1 (ko) 2007-01-09 2008-01-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재전송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4436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4490A3 (en) * 2008-12-23 2010-09-23 Lg Electronics Inc. Uplink ack/nack signaling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KR20100118067A (ko) * 2009-04-27 201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US8223712B2 (en) 2008-12-19 2012-07-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esource-based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used by base station
KR101464286B1 (ko) * 2009-09-29 2014-11-21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중계 시스템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검출 방법 및 설비
US10797838B2 (en) 2017-09-29 2020-10-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947A (ko) 2008-08-11 2010-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KR101603338B1 (ko) 2008-08-11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0056078A2 (ko) 2008-11-14 2010-05-20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8908793B2 (en) 2008-11-14 2014-1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58015B1 (ko) * 2008-12-18 2012-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dsch 전송 비트 수 계산 방법 및 장치
KR20100091876A (ko) 2009-02-11 201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전송을 위한 단말 동작
KR101731333B1 (ko) 2009-03-25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ck/nack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5652098B2 (ja) * 2010-10-04 2015-01-14 ソニー株式会社 基地局、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
KR101882987B1 (ko) * 2011-04-13 2018-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1168A (en) * 1997-11-13 2000-08-08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efficient retransmission using symbol accumulation
JP2005039726A (ja) * 2003-07-18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地局装置及び送信方法
WO2005048517A1 (en) * 2003-11-12 2005-05-26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Data packet transmission
JPWO2005096522A1 (ja) 2004-03-30 2008-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データチャネルの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KR200391476Y1 (ko) * 2004-05-07 2005-08-05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하이브리드-자동 반복 요청 프로세스를 할당하는 장치
KR100943474B1 (ko) * 2005-04-18 2010-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캐리어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2006311411A (ja) * 2005-05-02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1073915B1 (ko) * 2005-05-03 2011-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재전송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 방법
JP4146871B2 (ja) 2006-08-24 2008-09-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3712B2 (en) 2008-12-19 2012-07-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esource-based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used by base station
WO2010074490A3 (en) * 2008-12-23 2010-09-23 Lg Electronics Inc. Uplink ack/nack signaling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US8553635B2 (en) 2008-12-23 2013-10-08 Lg Electronics Inc. Uplink ACK/NACK signaling in carrier aggregation environment
KR20100118067A (ko) * 2009-04-27 2010-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64286B1 (ko) * 2009-09-29 2014-11-21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중계 시스템 제어 채널 전송 방법, 검출 방법 및 설비
US9912398B2 (en) 2009-09-29 2018-03-06 China Academy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Transmission method, detection method and equipment for control channels of a relay system
US10797838B2 (en) 2017-09-29 2020-10-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558A (ko) 2008-07-14
KR101430472B1 (ko) 2014-08-18
KR101443626B1 (ko) 2014-09-23
KR101414630B1 (ko) 2014-07-03
KR20080065560A (ko) 2008-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5069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cheduling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4362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쥴링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09282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KR10093743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KR1013875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139704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253182B1 (ko) 다중 반송파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재전송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RE44203E1 (en)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432290A2 (en)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164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품질 보고 수행 방법
US20100088580A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1641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2009002965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블록 전송 방법
KR10093743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버퍼 상태 보고 방법
JP546290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資源割り当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