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230A -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230A
KR20080065230A KR1020070126221A KR20070126221A KR20080065230A KR 20080065230 A KR20080065230 A KR 20080065230A KR 1020070126221 A KR1020070126221 A KR 1020070126221A KR 20070126221 A KR20070126221 A KR 20070126221A KR 20080065230 A KR20080065230 A KR 20080065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server
terminal
session
group commun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507B1 (ko
Inventor
남궁환식
Original Assignee
(주)해든브릿지
남궁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든브릿지, 남궁환식 filed Critical (주)해든브릿지
Publication of KR2008006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18Conference organisation arrangements, e.g. handling schedules, setting up parameters needed by nodes to attend a conference, booking network resources, notifying involved pa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8Uni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역적으로 분산된 대규모 접속 단말들이 동일 세션 상에서 품질 손상 없이 실시간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산된 미디어 서버들이 세션 동기화를 유지하면서 대규모로 분산된 접속 단말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대규모 분산된 접속 단말들 중 동일 네트워크상에 다수가 존재할 경우 해당 네트워크상의 라우터에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이 최소한으로 발생하도록 양방향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통하여 그룹통신 및 양방향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자신의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세션 정보에 상응하는 세션에 기 접속하고 있는 접속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접속 단말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기 접속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공받은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접속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공받은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서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및 동일 세션 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그룹통신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인터넷, 그룹통신,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 단말 리스트, 미디어 서버 리스트, 세션 오브젝트

Description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in groups using a lot of Data Transferring Server}
본 발명은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적으로 분산된 대규모 접속 단말들이 동일 세션 상에서 품질 손상 없이 실시간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산된 미디어 서버들이 세션 동기화를 유지하면서 대규모로 분산된 접속 단말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대규모 분산된 접속 단말들 중 동일 네트워크상에 다수가 존재할 경우 해당 네트워크상의 라우터에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이 최소한으로 발생하도록 양방향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통하여 그룹통신 및 양방향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규모 분산된 다수의 단말 간에 대규모 그룹통신 또는 양방향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서버들 간의 동일 세션 동 기화를 유지하면서 대규모 접속 단말 처리로 발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 클러스터링에 의한 대규모 접속자 처리 및 네트워크 분산 방법과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이용한 네트워크 트래픽 절감을 통한 대규모 양방향 그룹통신 및 양방향 인터넷 방송 구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 세션 오브젝트를 가진 분산된 미디어 서버들이 동기화를 이루어 실시간으로 그룹통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캐스팅 패킷 통신이 지원되지 않는 인터넷상에서 양방향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이용하여 단순 유니캐스팅보다 상대적으로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증가시키지 않고 그룹에 속한 다수의 단말 간에 실시간으로 그룹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그룹들이 지역적으로 대규모로 분산되어 있을 경우에도 무리 없이 그룹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상에서 그룹통신을 위한 패킷 데이터 전송 방식은 전송에 참여하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관점에서 구분할 때, 유니캐스팅(Unicasting) 전송 방식,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전송 방식, 및 멀티캐스팅(Multicasting) 전송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유니캐스팅 전송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서버 또는 단말)가 다른 하나의 수신자(서버 또는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 하는 일대일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 패킷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서버가 다수의 수신자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전송받고자 하는 다수의 수신자에게 각각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서버에 과다한 로드가 걸리고 네트워크의 전송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때, 수신자 수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다음으로, 브로드캐스팅 전송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가 같은 서브 네트워크상의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한번에 다수의 수신자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데이터 수신을 원하지 않는 수신자도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멀티캐스팅 전송 방식은 일대다 혹은 다대다 데이터 패킷 전송 방식으로 같은 네트워크 세그먼트(Segment)상에서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단말기들에게 동시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매우 우수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그룹통신에 아주 적합한 방식이다.
여기서, 멀티캐스팅 전송 방식과 유니캐스트 전송 방식에 의해 전송되는 패킷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유니캐스트 전송 방식을 위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상의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은 데이터의 송신자가 이를 수신할 수신자의 인터넷(IP) 주소를 전송 패킷의 헤더에 표시해 패킷을 전송한다. 그러나 멀티캐스팅 전송을 위해서는 헤더에 수신자의 주소 대신 수신자들이 참여하고 있는 그룹 주소를 표시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멀티캐스팅 전송을 위한 그룹 주소는 디-클래스(D-Class) IP 주 소(224.0.0.0 ~ 239.255.255.255)로서, 전세계 개개의 인터넷 호스트를 나타내는 A, B, C-Class IP 주소와는 달리 실제의 호스트를 나타내는 주소가 아니다. 따라서 그룹 주소를 갖는 멀티캐스팅 패킷을 전달받은 수신자는 자신이 패킷의 그룹에 속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패킷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현재, 인터넷상의 라우터는 대부분 멀티캐스팅 방식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인터넷상에서 멀티캐스팅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멀티캐스팅 라우터 사이에 터널링(Tunneling)이라는 기법을 사용하여 캡슐화(encapsulation)된 패킷을 전송한다. 즉, 멀티캐스팅 주소를 가진 데이터 패킷의 헤더 앞에 멀티캐스팅 라우터 간에 설정된 터널의 양 끝단의 IP 주소를 덧붙여 멀티캐스팅 방식을 지원하지 않는 일반 라우터들을 통과할 때, 일반 라우터들에 의해 유니캐스팅 데이터 패킷 전송 방식으로 라우팅되어 최종적으로 터널의 종착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방향만 지원할 뿐이어서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위한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다.
종래의 인터넷상에서 멀티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은, 유니캐스팅 방식을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이 있지만, 이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동시에 소수의 사용자에게만 서비스가 가능하고, 데이터 패킷을 전송받고자 하는 수신자들에게 각각 데이터 패킷을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이때 발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으로 인하여 다수의 수신자들에게 고품질의 그룹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종래의 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2006년 5월 26일자로 등록된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출원 인: (주)해든브릿지, 발명자: 남궁환식, 등록번호: 10-0586025)"이 있다.
상기 등록 특허는, 멀티캐스팅 패킷 통신이 지원되지 않는 인터넷상에서 양방향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증가시키지 않고 그룹에 속한 다수의 단말들 간에 실시간으로 그룹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기술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룹통신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그룹통신을 위하여 접속한 일 단말의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는 제 1 단계; 상기 수집한 네트워크 정보와 동일한 네트워크 정보를 가지고 있는 기 접속한 타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일 단말에게 멀티캐스팅 패킷 데이터를 유니캐스팅 패킷 데이터로 또는 유니캐스팅 패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 패킷 데이터로 상호 변환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권한을 부여하지 않는 제 3 단계; 및 상기 권한을 부여받은 일 네트워크상의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유니캐스팅 패킷 데이터를 타 네트워크상의 상기 권한을 부여받은 단말로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단말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일 단말이 그룹통신 시스템에 로그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그룹통신 시스템에 로그인한 상기 일 단말과 동일한 네트워크 정보를 가지고 있는 타 단말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일 단말이 멀티캐스팅 패킷 데이터를 유니캐스팅 패킷 데이터로 또는 유니캐스팅 패킷 데이터를 멀티캐스팅 패킷 데이터로 상호 변환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는 제 2 단계; 및 상 기 일 단말이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멀티캐스팅 패킷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유니캐스팅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그룹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그룹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은 유니캐스팅 패킷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멀티캐스팅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상의 타 단말들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상의 동일 세션에서 대규모 분산 단말들에게 양방향 그룹통신 또는 양방향 방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동일 세션을 동기화하기 위한 분산된 다수의 미디어 서버 간의 통신 방식과, 최적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대규모 분산 단말들을 임의의 미디어 서버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관리 운영 방안이 필요하고, 또한 분산 단말들이 동일 네트워크상에 있을 경우에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데이터 전송 방식이 필요하다.
종래의 미디어 서버들의 분산 배치 기술은, 주로 단방향 미디어 스트리밍에 있어 네트워크 부하 분산과 미디어 서버의 접속 단말 처리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의 과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미디어 컨텐츠를 분산된 미디어 서버에서 배포하는 컨텐츠 분배 네트워크(CDN : Contents Delivery Network) 분야에 집중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실시간 양방향을 유지하면서 대규모 접속자 및 네트워크 트래픽의 처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역적으로 분산된 대규모 접속 단말들이 동일 세션 상에서 품질 손상 없이 실시간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산된 미디어 서버들이 세션 동기화를 유지하면서 대규모로 분산된 접속 단말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대규모 분산된 접속 단말들 중 동일 네트워크상에 다수가 존재할 경우 해당 네트워크상의 라우터에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이 최소한으로 발생하도록 양방향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통하여 그룹통신 및 양방향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단말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자신의 네트워크상에 서 상기 세션 정보에 상응하는 세션에 기 접속하고 있는 접속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접속 단말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기 접속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공받은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접속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공받은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서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및 동일 세션 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그룹통신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미디어 서버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등록한 후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접속관리 서버를 통해 타 미디어 서버에 상기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등록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및 동일 세션에 접속한 단말들에게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제공하는 그룹통신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그룹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에 상응하는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수단; 각 미디어 서버의 세션 리스트, 각 미디어 서버의 각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 및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갱신하기 위한 접속관리 수단; 및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제거하며, 각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상기 단말 리스트 및 상기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갱신하고, 동일 세션에 접속한 단말들에게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단말에,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제공받는 기능; 자신의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세션 정보에 상응하는 세션에 기 접속하고 있는 접속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기능;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기 접속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기능;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공받은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접속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받는 기능; 상기 제공받은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서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기능; 및 동일 세션 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룹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등록한 후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기능; 상기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접속관리 서버를 통해 타 미디어 서버에 상기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기 능;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기능;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등록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기능; 및 동일 세션에 접속한 단말들에게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지역적으로 분산된 대규모 접속 단말들이 동일 세션 상에서 품질 손상 없이 실시간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다수의 분산된 미디어 서버들이 세션 동기화를 유지하면서 대규모로 분산된 접속 단말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대규모 분산된 접속 단말들 중 동일 네트워크상에 다수가 존재할 경우 해당 네트워크상의 라우터에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이 최소한으로 발생하도록 양방향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통하여 그룹통신 및 양방향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네트워크에 분산된 미디어 서버의 클러스터링과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이용하여 대규모 그룹통신 또는 양방향 방송을 구현함으로써, 고품질 및 경제성 고도화를 유지하면서 VSAT 등의 양방향 위성 통신 및 방송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고, 대규모 실시간 양방향 원격교육, 양방향 이벤트 행사 중계가 필요한 엔터테인먼트, 양방향 세미나 중계, 재해 재난 대응의 공공분야, 및 양방향 홈 쇼핑 등에서 네트워크의 트래픽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동일 세션에 대규모 접속자 처리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그룹통신은, 원격회의, 원격교육 솔루션, 양방향 멀티미디어 방송, 패널 영상회의 중계, 대규모 실시간 양방향 교육, 홈쇼핑, 상거래(홈쇼핑, 경매), 및 엔터테인먼트 등을 포함한다. 또한, 그룹은 지역적으로 서로 다르거나 서로 같은 네트워크에 속한 단말들이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상에서 실시간으로 상호간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말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은,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40),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에 상응하는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30),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관리하며, 각 미디어 서버의 세션 리스트, 각 미디어 서버의 각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 및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갱신하기 위한 접속관리 서버(Connection Management Server)(20), 및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제거하며, 각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 및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갱신하고,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동일 세션에 접속한 단말들로 그룹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Data Transferring Server)(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네트워크는 대표 단말(Active Client)(1,3,5,6,8), 각 대표 단말과 그룹을 형성하는 다수의 일반 단말(Passive Client)(2,4,7,9)을 포함한다. 이때, 그룹의 수가 증가하면 그에 따라 대표 단말의 수도 증가한다. 또한, 각 네트워크상에서 비 접속 단말은 접속 단말들과 구분하기 위하여 별도 명시한다.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웹 서버(30)는 단말들이 최초 접속하는 서버로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로그인 처리와 세션 별 멀티캐스팅 그룹 주소/포트 설정과 사용자 계정, 및 각종 설정 데이터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40)와의 연결을 처리한다.
접속관리 서버(20)는 세션에 접속되는 모든 단말의 접속을 관리하는 서버로서, 접속 형태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 여기서, 접속 형태는 사용자 등급에 따라 일반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이 접속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가 접속하는 경우 등이 있다.
접속관리 서버(20)의 주 역할은 대규모로 분산되어 있는 단말들에게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하는 역할과 접속 형태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유지 관리한다.
미디어 서버(10)는 세션 상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를 해당 미디어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 및 동일 세션에 연결되어 있는 타 미디어 서버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접속관리 서버와 미디어 서버에서 각각 관리하는 세션 리스트, 각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 및 단말 리스트 내 정보들 간의 구조 관계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의 설명 내용은 도 1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2 개의 세션(세션 1, 세션 2)이 3 개의 미디어 서버(제 1 미디어 서버, 제 2 미디어 서버, 제 3 미디어 서버)에 의해 서비스되고 있고, 각 미디어 서버들에 직접 접속하여 서비스받고 있는 단말의 상태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7087915438-PAT00001
즉, 세션 1은 제 1 미디어 서버, 제 2 미디어 서버, 제 3 미디어 서버에 의해 지원되고 있고, 제 1 미디어 서버에는 단말 1 및 단말 2가 접속되어 있고, 제 2 미디어 서버에는 단말 3 및 단말 4가 접속되어 있고, 제 3 미디어 서버에는 단말 5가 접속되어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세션 2는 제 1 미디어 서버, 제 3 미디어 서버에 의해 지원되고 있고, 제 1 미디어 서버에는 단말 6 및 단말 7이 접속되어 있고, 제 3 미디어 서버에는 단말 8 및 단말 9가 접속되어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접속관리 서버(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션 1 오브젝트 및 세션 2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세션 리스트(31), 제 1 미디어 서버, 제 2 미디어 서버 및 제 3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32), 및 단말 1 내지 단말 9를 포함하는 단말 리스트(33)를 유지한다.
이때, 세션 리스트(31), 미디어 서버 리스트(32) 및 단말 리스트(33) 내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션 오브젝트의 구조체로서 나타난다.
도 5 는 이런 상태에서 각 미디어 서버들 내 세션 오브젝트의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즉, 각 미디어 서버에 직접 연결된 단말 리스트, 동일 세션 오브젝트를 유지하고 있는 타 미디어 서버들에 대한 정보를 지니고 있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 그리고 각 미디어 서버들에 직접 연결된 단말 리스트 중 해당 네트워크의 정보, 및 기타 부수적인 세션 관련 정보를 추가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미디어 서버는 세션 1 오브젝트(51)와 세션 2 오브젝트(52)를 유지하고 있고, 제 2 미디어 서버는 세션 1 오브젝트(52)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 3 미디어 서버는 세션 1 오브젝트(51)와 세션 2 오브젝트(52)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세션 1에서 발생하는 미디어 데이터는 제 1 미디어 서버, 제 2 미디어 서버, 제 3 미디어 서버의 연동(클러스터링)을 통해 각 미디어 서버의 해당 세션에 접속한 단말들 간에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세션 2에서 발생하는 미디어 데이터는 제 1 미디어 서버와 제 3 미디어 서버의 연동(클러스터링)을 통해 각 미디어 서버의 해당 세션에 접속한 단말들 간에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대규모 그룹통신을 위한 접속관리 서버(20), 접속 단말들에게 접속관리 서버(20)에 연결하는데 필요한 연결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30) 및 상기 연결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40)를 구동시켜 준비 상태로 만든다.
또한,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 그룹 간의 원활한 미디어 전송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10)가 접속관리 서버(20)에 등록되어 서비스 준비 상태로 대기한다.
그리고 그룹통신에 참여하기 위하여 단말이 웹 서버(30)에 로그인하면 웹 서버(30)가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단말이 웹 서버(30)로 세션을 요청하여 해당 세션에 대한 정보(네트워크 주소, 멀티캐스팅 그룹 주소 및 포트 번호)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제공받는다(201).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이 웹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상에서 원하는 통신 그룹 또는 원하는 동영상 제공 룸을 선택하면, 웹 서버(30)는 해당 통신 그룹 또는 동영상 제공 룸에 상응하는 세션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제공받은 세션 정보를 통해 에코(Echo)를 전송한 후 응답 메시지 분석결과에 따라 자신의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요청한 세션에 기 접속하고 있는 접속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202). 이때, 응답 메시지는 에코에 응답하는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확인 결과(202), 접속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접속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10)에 접속한 후에 "206" 과정으로 진행한다(203).
한편, 상기 확인 결과(202), 접속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공받은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접속관리 서버(20)로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받는다(204).
이때, 미디어 서버 리스트는 최단 경로 상에 있는 미디어 서버 정보, 가장 큰 여유 대역폭을 가진 미디어 서버 정보, 접속 단말의 수가 가장 적은 미디어 서버 정보,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은 미디어 서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제공받은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서 최적의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여 해당 미디어 서버에 접속한다(205).
이때, 최적의 미디어 서버 선택 방식은, 최단 경로 상에 있는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거나, 가장 큰 여유 대역폭을 가진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거나, 접속 단말의 수가 가장 적은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은 미디어 서버를 선택한다. 아울러, 상기 단말은 자신의 네트워크에서 해당 세션에 최초로 접속한 단말이므로,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 역할을 하는 해당 네트워크의 대표 단말이 된다.
상기 대표 단말의 기능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2006년 5월 26일자로 등록된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출원인: (주)해든브릿지, 발명자: 남궁환식, 등록번호: 10-058602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
대표 단말은 미디어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유니캐스팅 영상/음성/데이터 패킷을 멀티캐스팅 패킷으로 변환하여 자신이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해당 세션에 연결된 타 단말들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거나, 자신의 네트워크에서 해당 세션으로 전송할 멀티캐스팅 영상/음성/데이터 패킷을 유니캐스팅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10)로 전송한다. 따라서 대규모 그룹통신 또는 양방향 방송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현격하게 감소시킨다.
이러한 대표 단말의 개념이 없다면 일 네트워크에서 해당 세션에 접속된 모든 단말들이 미디어 서버(10)로부터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패킷을 전송받아야 하기 때문에 미디어 서버(10)의 과부하를 유발하고, 해당 네트워크와 라우터 간에 발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증가시킨다.
이후, 상기 미디어 서버(10)는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에 대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206). 이때, 세션 오브젝트는 미디어 서버 내의 해당 세션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확인 결과(206), 해당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면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등록하고 접속관리 서버(20)에 알린 후에 "211" 과정으로 진행한다(207).
한편, 상기 확인 결과(206), 해당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접속관리 서버(20)를 통해 타 미디어 서버에 상기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208).
상기 확인 결과(208), 타 미디어 서버에 해당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면 상기 미디어 서버(10)는 접속관리 서버(20)로부터의 타 미디어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한 후에 "211" 과정으로 진행한다(209). 그러면, 타 미디어 서버는 해당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상기 미디어 서버(10)를 등록하고 접속관리 서버(20)에 알린다. 이때, 접속관리 서버(20)는 타 미디어 서버가 상기 미디어 서버(10)에 접속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확인 결과(208), 타 미디어 서버에 해당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미디어 서버(10)는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이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해당 단말을 등록한 후 접속관리 서버(20)에 알린다(210).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접속처리 과정이 완료된다.
이후, 동일 세션에 접속한 단말들이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수행한다(211).
이때, 해당 네트워크의 대표 단말은 미디어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유니캐스팅 패킷을 자신의 네트워크에서 해당 세션에 연결된 접속 단말들에게 멀티캐스팅 패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자신의 네트워크 내 접속 단말로부터의 멀티캐스팅 패킷을 유니캐스팅 패킷으로 변환하여 미디어 서버(10)로 전송한다.
또한, 대표 단말은 자신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자신의 네트워크에서 해당 세션에 연결된 접속 단말들에게 멀티캐스팅 패킷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유니캐스팅 패킷으로 변환하여 미디어 서버(10)로 전송한다. 이때, 대표 단말은 자신의 네트워크에서 해당 세션과 연결된 접속 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멀티캐스팅 전송 없이, 해당 미디어 서버(10)로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그러면, 미디어 서버(10)는 전송받은 유니캐스팅 패킷을 해당 세션 오브젝트의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각 네트워크의 대표 단말과, 해당 세션 오브젝트의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등록된 타 미디어 서버들에게 유니캐스팅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타 미디어 서버는 해당 세션 오브젝트의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단말들 중에서 각 네트워크의 대표 단말들에게 해당 유니캐스팅 패킷을 전송한다. 이때, 타 미디어 서버는 해당 세션 오브젝트의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등록된 미디어 서버로는 유니캐스팅 패킷을 전송하지 아니한다.
즉, 미디어 서버가 패킷을 중계 전송 시, 직접 접속한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패킷을 해당 세션 오브젝트의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단말들과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등록된 타 미디어 서버로 모두 중계 전송하지만, 해당 세션 오브젝트의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등록된 타 미디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패킷은 오직 해당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단말들에게만 전송한다. 이는 패킷 전송의 무한순환 또는 반복 전송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모든 단말과,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타 미디어 서버가 모두 연결을 해제하면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제거하고, 접속관리 서버(20)에 알린다(212). 그러면, 접속관리 서버(20)는 이 정보를 반영하여 업데이트한다.
본 발명에서 미디어 서버들이 가지고 있는 모든 정보를 통합적으로 접속관리 서버가 유지하는 이유는,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할 때 종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과 서비스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들 중 일부가 의도하지 않은 원인으로 해당 서비스를 중단하였을 때 접속관리 서버(20)가 서비스를 받고 있는 단말들이 서비스 중단 없이 다른 적정한 미디어 서버로부터 계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데 필요한 정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대규모 그룹통신 시스템 및 대규모 그룹통신을 위한 단말, 인터넷 방송 시스템, 화상회의 시스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관리 서버와 미디어 서버에서 각각 관리하는 세션 리스트, 각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 및 단말 리스트 내 정보들 간의 구조 관계성에 대한 일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각 미디어 서버들 내 세션 오브젝트의 구조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미디어 서버 20 : 접속관리 서버
30 : 웹 서버 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9)

  1. 단말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자신의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세션 정보에 상응하는 세션에 기 접속하고 있는 접속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접속 단말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기 접속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공받은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접속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제공받은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서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단계; 및
    동일 세션 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그룹통신 수행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통신 수행 단계는,
    대표 단말이 상기 접속된 미디어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유니캐스팅 패킷을 멀 티캐스팅 패킷으로 변환하여 자신의 네트워크에서 해당 세션에 연결된 접속 단말들에게 전송하는 제 1 전송 단계;
    대표 단말이 상기 자신의 네트워크 내 접속 단말로부터의 멀티캐스팅 패킷을 유니캐스팅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접속된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 2 전송 단계; 및
    대표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멀티캐스팅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자신의 네트워크에서 해당 세션에 연결된 접속 단말들에게 전송하고, 유니캐스팅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접속된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 3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송 단계는,
    상기 대표 단말이 상기 자신의 네트워크에서 해당 세션과 연결된 접속 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멀티캐스팅 전송 없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유니캐스팅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접속된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말 확인 단계는,
    상기 제공받은 세션 정보를 통해 에코(Echo)를 전송한 후 상기 에코 전송에 따른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미디어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신의 네트워크상에서 해당 세션에 기 접속하고 있는 접속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정보는,
    네트워크 주소, 멀티캐스팅 그룹 주소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 선택 과정은,
    최단 경로 상에 있는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 선택 과정은,
    가장 큰 여유 대역폭을 가진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 선택 과정은,
    접속 단말의 수가 가장 적은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9. 미디어 서버에서의 그룹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등록한 후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접속관리 서버를 통해 타 미디어 서버에 상기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단말 리스 트에 상기 단말을 등록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및
    동일 세션에 접속한 단말들에게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제공하는 그룹통신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미디어 서버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단말들과,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타 미디어 서버들이 연결을 해제하면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제거하고,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서버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통신 제공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의 유니캐스팅 패킷을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의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각 네트워크의 대표 단말과,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의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등록된 타 미디어 서버들에게 유니캐스팅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미디어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의 유티캐스팅 패킷을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의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단말들 중에서 각 네트워크의 대표 단말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미디어 서버는,
    상기 미디어 서버가 접속함에 따라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상기 미디어 서버를 등록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서버에서의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14. 그룹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에 상응하는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수단;
    각 미디어 서버의 세션 리스트, 각 미디어 서버의 각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 및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갱신하기 위한 접속관리 수단; 및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제거하며, 각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상기 단말 리스트 및 상기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갱신하고, 동일 세션에 접속한 단말들에게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서버
    를 포함하는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등록한 후 상기 접속관리 수단에 알리고, 상기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접속관리 수단을 통해 타 미디어 서버에 상기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접속관리 수단에 알리고,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등록한 후 상기 접속관리 수단에 알리며, 동일 세션에 접속한 단말들에게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의 유니캐스팅 패킷을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의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각 네트워크의 대표 단말과,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의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등록된 타 미디어 서버들에게 유니캐스팅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등록된 단말들과,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타 미디어 서버들이 연결을 해제하면 상기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제거하고, 상기 접속관리 수단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18. 프로세서를 구비한 단말에,
    세션 정보 및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제공받는 기능;
    자신의 네트워크상에서 상기 세션 정보에 상응하는 세션에 기 접속하고 있는 접속 단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기능;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기 접속 단말이 접속하고 있는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는 기능;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공받은 접속관리 서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접속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 리스트를 제공받는 기능;
    상기 제공받은 미디어 서버 리스트에서 미디어 서버를 선택하여 접속하는 기능; 및
    동일 세션 상에서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수행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9. 그룹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에,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세션 오브젝트에 상응하는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등록한 후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기능;
    상기 단말로부터 요청받은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접속 관리 서버를 통해 타 미디어 서버에 상기 세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기능;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면 상기 타 미디어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기능;
    상기 확인 결과, 존재하지 않으면 세션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등록한 후 상기 접속관리 서버에 알리는 기능; 및
    동일 세션에 접속한 단말들에게 해당 세션 오브젝트를 통해 그룹통신을 제공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126221A 2007-01-08 2007-12-06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53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2137 2007-01-08
KR1020070002137 2007-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230A true KR20080065230A (ko) 2008-07-11
KR100953507B1 KR100953507B1 (ko) 2010-04-20

Family

ID=3981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221A KR100953507B1 (ko) 2007-01-08 2007-12-06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129A1 (en) * 2012-10-08 2014-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 of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71B1 (ko) 2014-10-21 2016-06-09 (주)해든브릿지 대규모 그룹통신 방법 및 시스템
WO2016064139A1 (ko) * 2014-10-21 2016-04-28 (주)해든브릿지 대규모 그룹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82672A (ko) 2017-01-09 2018-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회의 방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025B1 (ko) * 2003-07-16 2006-06-01 (주)해든브릿지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KR100582551B1 (ko) * 2003-12-26 2006-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효율적인 그룹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릴레이 멀티캐스트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129A1 (en) * 2012-10-08 2014-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 of system
US9992140B2 (en) 2012-10-08 2018-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server, and control method of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507B1 (ko) 201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6598B2 (ja) 分散構造のメディアサーバを用いたグループ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898980B2 (ja) 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いて非持続性のメッセージの複数のキューを管理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US9462018B2 (en) Multiway peer-to-peer media streaming
KR20040017220A (ko) 가상 멀티캐스트 네트워킹 방법 및 그 시스템
JP4476839B2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中継装置、データ配信方法
CN102111608B (zh) 一种视频监控系统的通信方法及其设备
KR100953507B1 (ko) 분산 구조의 미디어 서버를 이용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방법
CN100490405C (zh) 一种流媒体数据多点传输方法
CN104753779B (zh) 一种云群虚拟路由系统的实现方法
KR101085063B1 (ko) 분산 구조를 가지는 미디어 서버 시스템에서의 그룹통신 방법
CN101345641A (zh) 一种组播接入设备及方法
TW201724863A (zh) 串流服務系統、串流服務方法以及串流服務控制裝置
KR100453221B1 (ko) 유니캐스트 망을 이용한 그룹 캐스트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83840A (ko) 실시간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서버 비의존캐스팅 기법 및 양방향통신의 구현방법
KR100758109B1 (ko) 스트림 주소 변환장치 기반의 영상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6025B1 (ko) 멀티캐스팅/유니캐스팅 변환을 이용한 그룹통신 방법
JP2005094608A (ja) Ipマルチキャスト転送装置およびipマルチキャスト通信情報管理装置
CN111225252B (zh) 基于openwrt系统的PON网关UPNP视频直播方法
JP5713499B2 (ja) 多地点配信方法及び多地点配信システム
KR100643705B1 (ko)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멀티캐스트 재방송 서비스 방법 및장치
JP2005203966A (ja) Ipマルチキャスト認証サーバ選択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JP2004056584A (ja) マルチキャスト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ルーティング装置、そのル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75714B2 (ja) 多地点配信方法及び多地点配信システム
JP2003264570A (ja) データ取得装置、データ取得方法、該データ取得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通信装置
JPH11225163A (ja) Ipマルチキャスト通信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ダイアルアップアクセス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