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435A - Voice relay walkie-talkie and voice relay system using the walkie-talkie - Google Patents

Voice relay walkie-talkie and voice relay system using the walkie-talki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435A
KR20080064435A KR1020070001360A KR20070001360A KR20080064435A KR 20080064435 A KR20080064435 A KR 20080064435A KR 1020070001360 A KR1020070001360 A KR 1020070001360A KR 20070001360 A KR20070001360 A KR 20070001360A KR 20080064435 A KR20080064435 A KR 20080064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relay
voice signal
signa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3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치유
Original Assignee
유니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챌(주) filed Critical 유니챌(주)
Priority to KR1020070001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4435A/en
Publication of KR2008006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4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A voice relay radiotelegraph and a voice relay system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communication distance by implementing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voice relay radiotelegraph, thereby expanding the communication distance practically. A voice relay system comprises a radio transmitter(1), a relay radiotelegraph(2) and a radio receiver(3). The radio transmitter requires the relay for voice signals through the relay radiotelegraph. The relay radiotelegraph transmits the requested voice signals to the radio receiver when the radio transmitter requests the relay for the voice signals. The radio receiver transmits a receipt confirming signal for informing the receipt of the voice signal to the radio transmitter through the relay radiotelegraph when receiving the voice signals of the radio transmitter through the relay radiotelegraph.

Description

음성 중계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성 중계 시스템{VOICE RELAY WALKIE-TALKIE AND VOICE RELAY SYSTEM USING THE WALKIE-TALKIE}VOICE RELAY WALKIE-TALKIE AND VOICE RELAY SYSTEM USING THE WALKIE-TALKI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음성 중계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walkie talkie voice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중계무전기의 회로블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ircuit block of the relay transceiver of FIG. 1.

도 3은 CTCSS 코드번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TCSS code numb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음성 중계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 walkie talkie voice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송신무전기 2 : 중계무전기1: transmitting radio 2: repeating radio

3 : 수신무전기 10 : 듀플렉서(Duplexer)3: receiving radio 10: duplexer

12 : 수신증폭부 14 : 믹서(Mixer)12: receiving amplifier 14: mixer (Mixer)

16 : 국부발진부 18 : 중간주파수신호처리부16: local oscillation unit 18: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processing unit

26 : CTCSS 검출부 20 : 스위치부26: CTCSS detection unit 20: switch unit

22 : 제1오디오필터 24 : 오디오증폭부22: first audio filter 24: audio amplifier

36 : 마이크 38 : 주파수발진부36: microphone 38: frequency oscillator

40 : CTCSS 발생부 42 : 변조부40: CTCSS generator 42: modulator

44 : 송신증폭부 46 : PTT 스위치44: transmission amplifier 46: PTT switch

28 : 제2오디오 필터 32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8: second audio filter 32: analog-to-digital converter

34 : 제1메모리 35 : 제2 메모리34: first memory 35: second memory

31 : 키 입력부 30 : 제어부31: key input unit 30: control unit

25 : 스피커25: Speaker

본 발명은 음성 중계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성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무전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또 다른 무전기로 전달하는 음성 중계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성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relay and a voice relay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ice relay and a voice relay system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another radio to another radio.

일반적으로, 무전기는 통신하는 두 지점 사이에 양방향으로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한 지점에서 신호를 보내는 상태에서는 다른 지점에서 신호의 수신만이 가능하고, 수신 측이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는 버튼 입력을 이용하여 전송 방향을 명시적으로 바꾸어야 하는 PTT(Push To Talk) 기능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In general, the radio is capable of transmitting signals in two directions between two communicating points. However, when a signal is sent from one point, only the signal can be received at another point. It uses a communication method of PTT (Push To Talk) function that needs to explicitly change the transmission direction by using.

이러한 PTT 방식의 무전기 중에서 최근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생활 무전기(Family Radio Service; FRS)의 경우에는 전파 사용료를 내지 않고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된 27MHz(차량용)나 448MHz 또는 462MHz 대의 극초단파(UHF)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그 전파 통달 거리는 3Km 이내에 해당된다. In the case of the Family Radio Service (FRS),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among these PTT radios, the 27 MHz (vehicle use) or the ultra high frequency (UHF) in the 448 MHz or 462 MHz band allocated freely without paying a radio wave fee is used. It is mainly used, and its radio wave communication distance is within 3 km.

업무용 무전기의 경우에는 초단파(VHF) 또는 극초단파(UHF)의 주파수를 일정 금액을 내고 유료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전파 통달 거리는 10Km∼20Km 이내에서 형성된다. 하지만 그 비용은 휴대폰에 비하여 저렴한 편이다.In the case of commercial radios, the frequency of ultra high frequency (VHF) or ultra high frequency (UHF) is to be paid for a certain amount, and the radio communication range is formed within 10 km to 20 km. But the cost is cheaper than cell phones.

또한 이러한 생활용 무전기 및 업무용 무전기(이하 "휴대용 무전기"라 함)는 휴대전화에 비해 송신측에서 호출을 한 시점과 수신측에서 그 호출을 수신하는 시점간의 시간차가 적은 편이다. 즉, 휴대전화처럼 호를 연결하고 벨을 울리는 시간이 필요 없이, 예를 들어 호출하는 쪽에서 휴대용 무전기 PTT를 눌러 말을 하면 수신단쪽의 휴대용 무전기 스피커에서는 짧은 시간내에 호출자의 음성이 들린다.In addition, such a living radio and a work radio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rtable radios") have a smaller time difference between when a call is made by a sender and when a call is received by a receiver than a mobile phone. In other words, the mobile phone speaker on the receiving end can hear the caller's voice in a short time, for example, when a call is made by pressing a portable radio PTT on the calling side without having to make a call and ring a bell like a mobile phone.

이처럼 휴대용 무전기는 그 비용의 저렴함과 사용의 간편함 등의 장점으로 인해 사용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용 무전기는 전파의 통달거리 이내에서만 통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통달 거리를 벗어나는 곳에 위치한 무전기와는 교신할 방법이 없는 단점이 있다.As such, portable radios have a growing population due to their low cost and ease of use. However, since these portable radios can communicate only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radio wav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no way to communicate with the radio located outside the communication range.

또한, 통달거리 이내라 하더라도 여러 가지 장애물들에 의해 전파가 차단되는 경우에도 무전기 간 교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within the communication distance there is a problem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radio is not made even if the radio wave is blocked by various obstacl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파통달거리의 제한 또는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서로 통신할 수 없는 무전기들 간에 원할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음성신호의 중계를 수행하는 음성 중계 무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성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disadvantages, the object of the voice signal to enable a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radios that can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due to limitations or obstacles of radio communication distance It is to provide a voice relay radio for performing a relay and a voice relay system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음성중계시스템은 중계기능을 수행하는 중계무전기로 음성신호의 중계를 요청하는 송신무전기와; 상기 송신무전기로부터 상기 음성신호의 중계를 요청받는 경우 수신무전기로 상기 요청받은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중계무전기와; 상기 중계무전기를 통해 상기 송신무전기의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음성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수신 확인 신호를 상기 중계무전기를 통해 상기 송신무전기로 전송하는 수신무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alkie-talkie voice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ing radio for requesting the relay of a voice signal to a relay radio performing a relay function; A relay radio for transmitting the requested voice signal to a receiving radio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signal is requested from the transmitting radio; When receiving the voice signal of the transmitting radio via the relay, it comprises a receiving radio for transmitting a reception confirmation signal indicating the reception of the voice signal to the transmitting radio through the relay.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중계무전기는 송신무전기 및 수신무전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음성 중계 무전기에 있어서, 상기 송신무전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의 중계 요청을 검출하는 중계요청검출부와; 상기 음성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중계요청검출부로부터 상기 음성신호의 중계요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음성신호의 중계 요청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수신무전기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한 후에, 상기 송출된 음성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무전기로부터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확인신호가 상기 송신무전기로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oice relay radi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oice relay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 transmitting radio and a receiving radio, wherein a relay request for detecting a relay request of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radio A detector;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voice signal; When a relay request of the voice signal is detected from the relay request detector, the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relay request of the voice signal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radio.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reception acknowledgment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radio when receiving an acknowledgment signal indicating that the voice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reception radio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음성 중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무전기(1)와, 중계무전기(2)와, 수신무전기(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lkie talkie voice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on walkie talkie 1, a relay walkie talkie 2, and a reception walkie talkie 3 as shown in FIG.

여기서 송신무전기(1)는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무전기이고, 수신무전기(3)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무전기이며 중계무전기(2)는 송신무전기(1)와 수신무전기(3)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무전기이다.Here, the transmission radio 1 is a radio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the reception radio 3 is a radio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and the relay radio 2 relay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radio 1 and the reception radio 3. It's a radio.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무전기(1)와 중계무전기(2)는 전파의 제1통달범위(4)내에 있어서 무선교신이 가능하고, 중계무전기(2)와 수신무전기(3)는 전파의 제2통달범위(5)내에 있어서 무선교신이 가능하며, 송신무전기(1)와 수신무전기(3)간에는 전파의 통달범위를 벗어남으로써 직접교신이 불가능한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nsmission radio 1 and the relay radio 2 can communicate wirelessly within the first transmission range 4 of radio waves, and the relay radio 2 and the reception radio 3 communicate the second radio waves. The following describes an example in which a radio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in the range (5), and direct communication is impossible between the transmitting radio (1) and the receiving radio (3) because it is out of the communication range of radio wav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무전기(1)는 수신무전기(3)로 음성신호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전파통달거리를 초과하는 곳에 수신무전기(3)가 있음으로써 직접교신이 안되므로 중계무전기(2)로 하여금 음성신호를 중계하도록 요청한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transmitting radio 1 transmits a voice signal to the receiving radio 3, the receiving radio 3 does not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receiving radio 3 where the radio communication distance is exceeded. Asks the user to relay the voice signal.

상기 송신무전기(1)로부터 상기 음성신호의 중계를 요청받는 경우 중계무전기(2)는 요청받은 음성신호를 소정의 저장부에 저장한 후 해당 음성신호를 수신무전기(3)로 전송한다.When receiving the request for the relay of the voice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radio 1, the relay transceiver 2 stores the requested voice signal in a predetermined storage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to the receiving radio 3.

한편, 수신무전기(3)는 중계무전기(2)로부터 중계되어 전송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수신확인신호를 중계무전기(2)로 전송한다. 이에 중계무전기(2)는 수신확인신호를 송신무전기(1)로 전송하여 수신무전기(3)가 정상적으로 음성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알린다.On the other hand, the reception radio (3)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relay radio (2) indicating that the reception when receiving a voice signal relayed and transmitted from the relay radio (2). Accordingly, the relay radio 2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transmission radio 1 to inform that the reception radio 3 normally receives a voice signal.

이로써 전파통달범위내에 있지 않은 송신무전기(1)와 수신무전기(3)간에도 통신이 가능해진다.This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radio 1 and the receiving radio 3 that are not within the radio wave communication range.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중계무전기(2)에 관하여 그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relay radio 2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무전기(2)는 듀플 렉서(Duplexer)(10), 수신증폭부(12), 믹서(Mixer)(14), 국부발진부(16), 중간주파수신호처리부(18), CTCSS검출부(26), 스위치부(20), 제1오디오필터(22), 오디오증폭부(24), 마이크(36), 주파수발진부(38), CTCSS발생부(40), 변조부(42), 송신증폭부(44), PTT스위치(46), 제2오디오필터(28),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32), 제1메모리(34),키 입력부(31), 제2메모리(35) 제어부(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relay transceiver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plexer 10, a reception amplifier 12, a mixer 14, and a local oscillator 16. ,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processor 18, CTCSS detector 26, switch unit 20, first audio filter 22, audio amplifier 24, microphone 36, frequency oscillator 38, CTCSS generator 40, modulator 42, transmit amplifier 44, PTT switch 46, second audio filter 28, analog-to-digital converter 32, first memory 34, key input unit ( 31), and the control unit 30 of the second memory 35.

상기 듀플렉서(10)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수신증폭부(12)로 출력하고, 또한 송신증폭부(44)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안테나 측으로 전달하여 방사하도록 한다.The duplexer 10 outputs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to the reception amplifier 12, and transmits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mplifier 44 to the antenna side to radiate.

상기 수신증폭부(12)는 상기 듀플렉서(10)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믹서는 수신증폭부(12)에 의해 증폭된 RF 신호와 국부발진부(16)로부터 공급되는 국부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한다. 이처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은 주파수의 선택도 등을 높이기 위함이다.The reception amplifier 12 amplifies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uplexer 10, and the mixer is a local oscillation frequency supplied from the local oscillation unit 16 and the RF signal amplified by the reception amplifier 12 Mix and convert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This conversion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s to increase the selectivity of the frequency.

상기 중간주파수신호처리부(18)는 상기 믹서(14)를 통해 발생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오디오 신호를 후술할 스위치부(20)및 CTCSS검출부(26)에 전달한다.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processor 18 processes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mixer 14 to extract an audio signal, and the extracted audio signal to the switch unit 20 and the CTCSS detector 26 to be described later. To pass.

상기 CTCSS검출부(26)는 상기 중간주파수신호처리부(18)에서 추출된 오디오 신호에서 CTCSS 톤주파수를 검출하여 후술할 제어부(30)에 전송한다. 이는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톤주파수와 일치하는 신호만 스피커(25)로 출력되도록 하여 전력낭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CTCSS검출부(26)는 톤주파수의 특정패턴을 제어부(30)에 알림으로써 송신무전기(1)로부터 전송되는 중계요청코드 등 소정의 정보 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The CTCSS detector 26 detects the CTCSS tone frequency from the audio signal extracted by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processor 18 and transmits the CTCSS tone frequency to the controller 30 to be described later. This is, for example, to prevent power wastage by outputting only the signal matching the preset tone frequency to the speaker 25. In addition, the CTCSS detector 26 notifies the control unit 30 of the specific pattern of the tone frequency to analyze predetermined information such as a relay request cod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radio 1.

상기 스위치부(20)는 상기 중간주파수신호처리부(18)를 통해 처리된 오디오 신호가 제1오디오필터(22)와 제2오디오필터(28)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출력되도록 온/오프 처리한다. 여기서 스위치부(20)는 상기 CTCSS검출부(26)에서 검출된 톤주파수에 따른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 된다.The switch unit 20 performs an on / off process so that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processing unit 18 is outpu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udio filter 22 and the second audio filter 28. Here, the switch unit 20 is turned on / off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30 according to the tone frequency detected by the CTCSS detection unit 26.

상기 제1오디오필터(22)를 거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증폭부(24)를 거쳐 그 신호가 증폭된 후에 스피커(25)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제2오디오필터(28)를 거친 오디오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32)로 출력된다.The audio signal passed through the first audio filter 22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25 after the signal is amplified through the audio amplifier 24, and the audio signal passed through the second audio filter 28 is analog. It is output to the digital conversion unit 32.

여기서,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32)는 후술할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그 변환시 압축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32)는 상기 제2오디오필터(28)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신호로 압축 변환하여 후술할 제1메모리(34)에 저장하고, 제1메모리(34)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된 디지털신호는 다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후술할 주파수발진부(38)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며 압축하는 기술은 공지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32 convert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or converts a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use a compression algorithm during the conversion. That is, the analog-digital converter 32 compresses and converts an analog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audio filter 28 into a digital signal, and stores the analog signal in the first memory 34 to be described later. The stored compressed digital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frequency oscillator 38 to be described later. Since a technology for converting and compressing a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메모리(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오디오필터(28)및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32)를 거친 음성신호가 디지털포맷으로 저장되는 곳으로서, 전원차단시에도 그 저장된 정보가 남아 있는 비휘발성메모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emory 34 is a place where the audio signal passed through the second audio filter 28 and the analog-digital converter 32 is stored in a digital format, and the stored information remains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volatile memory is provided.

상기 키입력부(31)는 버튼형식으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무전기의 중계기능의 작동 여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키입력부(31)의 버튼조작을 통해 무전기가 중계기능을 수행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31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so that the user can set whether to operate the relay function of the radio. That is, the user may select whether the radio performs a relay function through a button operation of the key input unit 31.

상기 제2메모리(35)에는 상기 키입력부(31)에 따라 설정되는 무전기의 중계기능의 작동 여부의 설정상태를 포함하여, 제어부(30)에 의해 사용되는 각종 설정 상태 및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서는 설명을 위해 제1메모리(34)및 제2메모리(35)를 구분하였으나 동일한 메모리의 각각의 일 영역을 제1메모리(34)및 제2메모리(35)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econd memory 35 stores various setting states used by the control unit 30 and necessary programs, including a setting state of whether the relay function of the radio set according to the key input unit 31 is operated. Here, the first memory 34 and the second memory 35 are divided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but one region of the same memory may be used as the first memory 34 and the second memory 35.

한편, 상기 주파수발진부(38)는 마이크(36)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 또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화부를 통해 전달되는 제1메모리(34)의 음성신호를 CTCSS발생부(40)로부터 발생된 CTCSS 톤주파수와 합성하여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oscillator 38 is a CTCSS generated from the CTCSS generating unit 40 to the voice signal of the first memory 34, which is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or the analog-digital change unit input from the microphone 36, the phone Output by combining with tone frequency.

상기 변조부(42)는 상기 음성신호와 CTCSS 톤주파수의 합성 신호를 무선 송신 가능한 주파수로 변조하여 출력한다.The modulator 42 modulates the synthesized signal of the voice signal and the CTCSS tone frequency to a frequency capable of wireless transmission and outputs the modulated signal.

상기 송신증폭부(44)는 상기 변조부(42)를 통해 변조된 송신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듀플렉서(10)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송신 시 상기 PTT스위치(46)의 스위칭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 주파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송신증폭부(44)는 제어부(30)의 제어신호(미 도시함)에 따라서 PTT스위치(46)의 동작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송신증폭부(44)는 마이크(36)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송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PTT스위치(46)를 누른 경우에만 송출되도록 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송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PTT스위치(46)의 동작여부에 상관없이 송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amplifier 44 amplifies and transmits the modulated transmission frequency signal through the modulator 42 to the duplexer 10, and the user uses the switching function of the PTT switch 46 during transmission. The transmit frequency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Here, the transmission amplifier 44 may select the operation of the PTT switch 46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not shown) of the controller 30. That is, the transmission amplifier 44 transmit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36 only when the PTT switch 46 is pressed, and the PTT switch when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memory is to be transmitted. (46) can be sent regardless of operation.

제어부(30)는 상기 CTCSS검출부(26)로부터 검출된 톤주파수를 분석한 결과 음성신호의 중계요청이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우선 제2메모리(35)에 접근하여 설정상태를 확인한다. 설정상태 확인결과 중계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30)는 상기 음성신호의 중계 요청에 포함된 음성신호가 상기 제2오디오필터(28)를 거쳐 제1메모리(34)에 저장되도록 상기 스위치부(20)와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32)를 제어한다.When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relay request of the voice signal is receiv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one frequency detected by the CTCSS detector 26, first, the controller 30 accesses the second memory 35 and checks the setting state. When it is set to perform a relay function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etting state, the control unit 30 stores the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relay request of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second audio filter 28 in the first memory 34. 20 and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32 are controlled.

여기서 음성신호의 중계요청은 예를 들어 교신하고자 하는 수신무전기(3)와 전파통달 거리를 벗어나는 위치에 있는 송신무전기(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로서, 이러한 음성신호의 중계요청에는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의 중계를 요청한다는 중계요청코드가 포함된다. The relay request of the voice signal is, for example, a signal transmitted from a receiving radio 3 to communicate with and a transmitting radio 1 located at a position outside the radio communication distance, and the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relay request of the voice signal. And a relay request code for requesting relay of the voice signal.

이때 상기 중계요청코드는 각기 다른 CTCSS 코드 중 적어도 2개를 반복적으로 번갈아 전송하는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무전기는 전송하는 음성신호와 함께 도 3에 도시된 CTCSS 코드 중 기 설정된 두 개의 CTCSS 코드를 번갈아 전송할 수 있는데, 중계무전기(2)의 제어부(30)는 CTCSS검출부(26)로부터 검출된 이러한 CTCSS 코드 패턴을 분석하여 음성신호 중계를 요청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relay request code may be formed in a pattern of repeatedly transmitting at least two of different CTCSS codes repeatedly. For example, the transmitting radio may alternately transmit two preset CTCSS codes among the CTCSS codes shown in FIG. 3 together with the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the control unit 30 of the relay radio 2 detects from the CTCSS detecting unit 26. By analyzing the CTCSS code patter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ignal is a request for relaying a voice signal.

또한 상기 음성신호의 중계요청에는 송신무전기(1)를 특정하는 송신무전기고유번호와, 수신무전기(3)를 특정하는 수신무전기고유번호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송신무전기고유번호와 수신무전기고유번호는 송신무전기(1)와 수신무전기(3)가 1:1 교신을 하고자 할 때 필요한 정보이다. 즉,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는 많은 무전기들 중에서 교신할 대상을 특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송신무전기고유번호와 수신무전기고유번호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송신무전기고유번호와 수신무전기고유번호는 상기 CTCSS 톤주파수의 반복 패턴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지만, 송신무전기(1)가 문자 형태의 정보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부(미 도시함)를 포함하는 경우, 그 문자전송부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무전기고유번호와 수신무전기고유번호를 전송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계무전기(2)는 문자형태의 송신무전기고유번호와 수신무전기고유번호를 추출하여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는 문자추출부(미 도시함)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문자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송신무전기고유번호와 수신무전기고유번호는 추후에 사용하기 위해 제2메모리(35)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ay request of the voice signal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radio unique number specifying the transmission radio (1), and a reception radio unique number specifying the reception radio (3). The unique number of the transmitting radio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receiving radio are information required when the transmitting radio 1 and the receiving radio 3 want to perform 1: 1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specify the target of communication among a large number of radios using the same frequency ban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above-mentioned transmit radio unique number and receive radio unique number. The transmission radio unique number and the reception radio unique number may be transmitted using a repeating pattern of the CTCSS tone frequency, but the transmission radio 1 includes a character transmission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character.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unit may transmit the unique number of the transmission radio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receiving radio. In this case, the relay radio 2 may further include a character extracting unit (not shown) capable of extracting a transmitting radio unique number and a receiving radio unique number in a character form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radio number to the control unit 30. The transmit radio unique number and the receive radio unique number extracted by this may be stored in the second memory 35 for later use.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메모리(34)에 음성신호를 저장한 후에, 그 저장된 음성신호가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32)를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 되어 수신무전기(3)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30)는 상기 제1메모리(34)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제어부(30)내부에 마련된 타이머(미 도시함)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전송할 수도 있고, 또한 중계무전기(2)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를 기다려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상기 음성신호와 함께 상기 송신무전기고유번호와 수신무전기고유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30 stores the voice signal in the first memory 34, and then the stored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through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32 and transmitted to the reception transceiver 3. Control as possible. Here, the control unit 30 may transmit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 after a predetermined time passes by using a timer (not shown)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30, and further, the relay transceiver 2 You can also wait when the) is not used.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0 may transmit the transmission radio unique number and the reception radio unique number together with the voice signal.

여기서, 상기 수신무전기(3)는 중계무전기(2)로부터 중계되어 전송된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그 음성신호를 수신하였다는 수신확인신호를 중계무전기(2)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확인신호는 도 3에 도시된 CTCSS 코드 중 적어도 두개 의 반복패턴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그 CTCSS 코드는 상기 CTCSS검출부(26)에 의해 검출되어 중계무전기(2)의 제어부(30)로 전송된다. 이에 제어부(30)는 수신확인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무전기(3)로부터 수신이 확인된 음성신호가 제1메모리(34)에서 삭제되도록 하고, 그 수신확인신호가 다시 송신무전기(1)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Here, when the reception radio 3 receives the voice signal relayed and transmitted from the relay radio 2, the reception radio 3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indicating the reception of the voice signal to the relay radio 2. Here, the acknowledgment signal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t least two repeating patterns of the CTCSS codes shown in FIG. 3, wherein the CTCSS codes are detected by the CTCSS detection unit 26 to control the control unit 30 of the relay transceiver 2. Is sent). In response to the acknowledgment signal, the control unit 30 deletes the received audio signal from the reception radio 3 from the first memory 34, and transmits the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transmission radio 1 again. To control.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수신무전기(3)로부터 수신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어부(30)는 상기 제1메모리(34)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삭제할 수 있다. 이는 추가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음성신호를 저장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Even when the acknowledgment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reception transceiver 3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30 may delete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 This is to secure a space for additionally storing a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중계시스템의 동작흐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flow of the radio re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송신무전기(1)는 중계무전기(2)로 음성중계의 요청을 하고자 하는 경우 필요한 설정을 수행하는데(S10), 그 필요한 설정에는 음성신호의 중계를 요청한다는 중계요청코드의 설정이 포함되고, 무전기를 특정하여 1:1 교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송신무전기(1)를 특정하는 송신무전기고유번호 및 수신무전기(3)를 특정하는 수신무전기고유번호의 설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First, the transmitting radio 1 performs a necessary setting when requesting a voice relay to the relay radio 2 (S10). The necessary setting includes setting of a relay request code for requesting relay of a voice signal. In the case of 1: 1 communication by specifying the radio, setting of the transmission radio unique number specifying the transmission radio 1 and the reception radio identification number specifying the reception radio 3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중계요청코드는 적어도 2개의 CTCSS 코드의 반복 패턴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송신무전기고유번호 및 수신무전기고유번호는 문자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lay request code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peating pattern of at least two CTCSS codes, and the transmit radio unique number and the receive radio unique number may be configured in character form.

이렇게 설정된 정보와 함께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음성신호중계요청을 하면(S11) 이러한 음성신호의 중계 요청을 받은 중계무전기(2)는 중계요청코드를 분 석하여 중계요청된 신호임을 확인한다(S12).When the voice signal relay request including the voice signal is performed together with the set information (S11), the relay transceiver 2 receiving the request for the relay of the voice signal analyzes the relay request code and confirms that the relay request signal is performed (S12). .

이때 중계무전기(2)는 중계허용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3). 판단결과 중계허용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중계무전기(2)는 송신무전기(1)로부터 수신된 중계요청신호를 종료처리한다(S14).At this time, the relay transceiver 2 determines whether the relay allow mode is set (S13).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ay allow mode is not set, the relay radio 2 terminates the relay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radio 1 (S14).

판단결과 중계허용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중계무전기(2)는 음성신호의 중계요청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1메모리(34)에 저장한다(S15).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ay allow mode is set, the relay transceiver 2 converts the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relay request of the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stores it in the first memory 34 (S15).

송신무전기(1)로부터 수신이 완료된 후 중계무전기(2)는 제1메모리(34)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수신무전기(3)로 전송하는데(S16), 이때 수신무전기(3)로 전송되는 신호에는 송신무전기고유번호 및 수신무전기고유번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수신무전기(3)로 전송되는 신호에 송신무전기고유번호 및 수신무전기고유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중계무전기(2)는 CTCSS 코드의 반복패턴을 이용하여 수신무전기(3)에 중계되어 전송되는 신호임을 알릴 수 있다.After the reception from the transmission radio 1 is completed, the relay radio 2 converts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reception radio 3 (S16), where the reception radio 3 The signal transmitted to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t radio unique number and a receive radio unique number. When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radio 3 does not include the transmitting radio unique number and the receiving radio unique number, the relay radio 2 is relayed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radio 3 using the repeating pattern of the CTCSS code. Can be informed.

수신무전기(3)는 수신된 음성신호가 중계되어 전송된 것임을 확인하는 경우에는(S18) 수신이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알리는 수신확인신호(ACK 신호)를 중계무전기(2)로 전송한다(S19). 이때 중계무전기(2)로부터 수신한 송신무전기고유번호 및 수신무전기고유번호가 상기 수신확인신호(ACK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When the reception radio 3 confirms that the received voice signal is relayed and transmitted (S18), the reception radio 3 transmits an acknowledgment signal (ACK signal) indicating that the reception is normal to the relay radio 2 (S19).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radio unique number and the reception radio unique number received from the relay 2 may be included in the acknowledgment signal (ACK signal).

한편 중계무전기(2)는 수신무전기(3)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하거나(S19) 또는 소정의 시간동안 ACK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S17), 제1메모리(34)에 저장된 음성신호 중 수신무전기(3)로 전송된 음성신호를 삭제한다(S20).On the other hand, when the relay transceiver 2 receives the ACK signal from the reception radio 3 (S19) or does not receive the ACK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S17), the reception radio of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first memory 34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to (3) is deleted (S20).

또한 중계무전기(2)는 수신무전기(3)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S21) 그 ACK 신호를 송신무전기(1)로 전달하고(S22), 이에 송신무전기(1)는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표시를 하여(S23) 송신무전기(1)의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relay radio 2 receives an ACK signal from the reception radio 3 (S21), the relay radio 2 transmits the ACK signal to the transmission radio 1 (S22). A notice is displayed (S23) so that the user of the transmitting radio 1 can know.

이상으로 송신무전기(1)로부터 중계무전기(2)를 거쳐 수신무전기(3)로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송신무전기(1)의 음성신호전송에 대응하여 수신무전기(3)로부터 중계무전기(2)를 거쳐 송신무전기(1)로 음성신호가 전달되는 과정 역시 전술한 과정에 대응될 수 있다.In the above, a process of transmitting a voice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radio 1 to the receiving radio 3 via the relay radio 2 has been described. In response to the voice signal transmission of the transmission radio 1, a process of transmitting a voice signal from the reception radio 3 to the transmission radio 1 via the relay radio 2 may also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invention may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and their equivalent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파통달거리를 벗어나는 곳에 위치한 무전기와 교신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전파의 반사 특성상 교신불능 지역에 위치한 무전기와 교신하고자 하는 경우, 중계무전기를 통한 교신이 이루어짐으로써 전파통달거리 등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통신가능거리가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mmunicating with a radio located outside a radio communication distance, or when communicating with a radio located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is impossible due to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a radio wave, a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relay radio.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substantially has the effect of exte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Claims (7)

중계기능을 수행하는 중계무전기로 음성신호의 중계를 요청하는 송신무전기와;A transmission radio for requesting relay of a voice signal to a relay radio performing a relay function; 상기 송신무전기로부터 상기 음성신호의 중계를 요청받는 경우 수신무전기로 상기 요청받은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중계무전기와;A relay radio for transmitting the requested voice signal to a receiving radio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signal is requested from the transmitting radio; 상기 중계무전기를 통해 상기 송신무전기의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음성신호의 수신을 알리는 수신 확인 신호를 상기 중계무전기를 통해 상기 송신무전기로 전송하는 수신무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음성 중계 시스템.When receiving a voice signal of the transmitting radio through the relay radio, a radio transceiver comprising a reception radio for transmitting a reception confirmation signal indicating the reception of the voice signal to the transmitting radio through the relay radio system.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신무전기가 전송하는 상기 음성신호의 중계 요청에는,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의 중계를 요청한다는 중계요청코드와, 송신무전기를 특정하는 송신무전기고유번호와, 수신무전기를 특정하는 수신무전기고유번호가 포함되고,The request for relaying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radio includes a voice signal to be transmitted, a relay request code for requesting relay of the voice signal, a transmission radio unique number for specifying the transmission radio, and a reception radio. The receiving radio unique number, 상기 중계무전기는 상기 음성신호를 중계하여 상기 수신무전기로 전달하고자 할 때 상기 송신무전기고유번호와 상기 수신무전기고유번호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음성 중계 시스템.And the relay radio transmits the transmission radio unique number and the reception radio unique number together when the relay signal is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ption radio by relaying the voice signal.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중계요청코드는 각기 다른 CTCSS 코드 중 적어도 2개를 반복적으로 번갈아 전송하는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음성 중계 시스템.The relay request code is a walkie talkie voice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attern for repeatedly transmitting at least two of the different CTCSS code. 송신무전기 및 수신무전기 간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음성 중계 무전기에 있어서,In the voice relay radio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 transmitting radio and a receiving radio, 상기 송신무전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의 중계 요청을 검출하는 중계요청검출부와;A relay request detector for detecting a relay request of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radio; 상기 음성신호가 저장되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voice signal; 상기 중계요청검출부로부터 상기 음성신호의 중계요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음성신호의 중계 요청에 포함된 음성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수신무전기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한 후에, 상기 송출된 음성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무전기로부터 상기 음성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확인신호가 상기 송신무전기로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중계 무전기.When a relay request of the voice signal is detected from the relay request detector, the voice signal included in the relay request of the voice signal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radio.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reception acknowledgment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radio when receiving an acknowledgment signal indicating that the voice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reception radio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수신무전기로부터 상기 수신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중계 무전기.And the controller deletes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acknowledgment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reception radio for a predetermined tim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중계 기능의 작동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중계 허용 모드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It further includes a relay allow mode setting unit for setting whether or not to operate the relay func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계요청검출부로부터 상기 송신무전기가 전송한 음성신호의 중계요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중계허용모드설정부에 의해 중계 기능이 작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중계 기능이 작동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수신무전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중계 무전기.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 relay function is set to be activated by the relay allow mode setting unit when a relay request of a voice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radio is detected from the relay request detector, and determines that the relay function is operated. And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ption radio when se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An analog-digital converting unit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무전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때에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성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상기 수신무전기로 송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중계 무전기.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nalog-digital converter to convert the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when storing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radio into the storage unit, and transmits the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receiving radio. If you want to control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to the voice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a voice re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convert to an analog signal.
KR1020070001360A 2007-01-05 2007-01-05 Voice relay walkie-talkie and voice relay system using the walkie-talkie KR200800644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360A KR20080064435A (en) 2007-01-05 2007-01-05 Voice relay walkie-talkie and voice relay system using the walkie-talk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360A KR20080064435A (en) 2007-01-05 2007-01-05 Voice relay walkie-talkie and voice relay system using the walkie-talk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435A true KR20080064435A (en) 2008-07-09

Family

ID=3981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360A KR20080064435A (en) 2007-01-05 2007-01-05 Voice relay walkie-talkie and voice relay system using the walkie-talki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4435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598B1 (en) 2015-05-26 2016-11-0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A portable radio transceiver with two independent antenna which has radio broad casting
KR20190042252A (en) 2017-10-16 2019-04-24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Push to talk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relay
KR20220088287A (en) * 2020-12-18 2022-06-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Radio Transceiver Having Functionality of Repea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therein
KR102467528B1 (en) 2022-08-16 2022-11-16 주식회사 중앙디앤엠 Multifunction walkie-talkie for forest fir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598B1 (en) 2015-05-26 2016-11-0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A portable radio transceiver with two independent antenna which has radio broad casting
KR20190042252A (en) 2017-10-16 2019-04-24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Push to talk terminal device for performing relay
KR20220088287A (en) * 2020-12-18 2022-06-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ortable Radio Transceiver Having Functionality of Repeat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therein
KR102467528B1 (en) 2022-08-16 2022-11-16 주식회사 중앙디앤엠 Multifunction walkie-talkie for forest fi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5158B1 (en) Dual mode mobile phone operating as a two-way radio
US5867794A (en) Audio-output for a portable radio telephone utilizing a vehicle's AM/FM radio
US6216017B1 (en) Separable cellular telepho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497906B2 (en) Remote control of mobile radio systems through portable radio systems
US5553117A (en) Vehicular communications system
JP2003517251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wo transmitting antennas
KR20080064435A (en) Voice relay walkie-talkie and voice relay system using the walkie-talkie
US8260197B2 (en) Radio repeating system, radio repeating apparatus, radio terminal operating method and radio repeating method
JPH05308323A (en) Radio telephone system
KR1006580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transmitting frequency of a wireless set
KR100626839B1 (en) The system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KR1008396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Call of Radiotelegraph
KR2006012210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frequency modula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1586126B1 (en) Simplex transceiver repeater combined handheld radio
KR10071034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Three-Way Calling of Mobile Terminal
KR100594053B1 (en) How to generate a warning sound when the phone is released from the wireless earphone in the mobile phone operating the Bluetooth wireless earphone
KR2002004988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ninal able to local are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KR200205563Y1 (en) Hands-free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442596B1 (en) Receiver/transmitter apparatus capable of selecting antenna depending on transmission/reception power strength
KR100251780B1 (en) Method for changing automatically service area for digital cordless telephone having paper
JP2989574B2 (en) Cordless telephone
KR0148812B1 (en) Output amplifier for car and portable unit
KR100781781B1 (en)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in radiotelegraph
KR20140017407A (en) Wifi two way radio
KR200261793Y1 (en) Radio for inter-operating hands-f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