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380A - Methods and system for 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 Google Patents

Methods and system for 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380A
KR20080064380A KR1020070001208A KR20070001208A KR20080064380A KR 20080064380 A KR20080064380 A KR 20080064380A KR 1020070001208 A KR1020070001208 A KR 1020070001208A KR 20070001208 A KR20070001208 A KR 20070001208A KR 20080064380 A KR20080064380 A KR 20080064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ervice
distributed
management system
group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2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48289B1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엠피에스리서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피에스리서치(주) filed Critical 엠피에스리서치(주)
Priority to KR102007000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289B1/en
Publication of KR2008006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2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ethod and a system for 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are provided to offer a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function to a user by configuring a user service group as a classified structure so that many lower level service groups can be created and controlled. A group service is created by registering a p2p 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and a service profile to a distribution group management table. The p2p 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is made up of a mobile terminal, a distribution group management table and a distribution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the service profile defines p2p based mobile multimedia service that a service manager will provide to a group ID, a manager ID, a group level and a group. The service profile provided from a specified service group is registered as a group member through admission of a group service manager. A group member requires activation of group service to the group service manager. The group service manager sets up a group communication call to the group members through the distribution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performs the p2p 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A multi 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s supported without service disruption during movement by exchanging a changed IP address mutual to each terminal to configure a new connection in real time.

Description

무선망에서 피투피 기반의 확장성 있는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ethods and System for 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wireless network {Methods and System for 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도 1: 본 발명에 따른 P2P 기반의 다자간 그룹통신서비스 관리구조1: P2P based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본 발명에 따른 P2P기반의 다자간 그룹통신 서비스관리 프로토콜Figure 2: P2P-based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시작인의 다자간 그룹통신 서비스관리 알고리즘3 is a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algorithm of a group initi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본 발명에 따른 그룹통신서비스 참가자의 서비스관리 알고리즘4 is a service management algorithm of a group communication service particip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본 발명에 따른 계층적 그룹서비스 관리구조 Fig. 5: Hierarchical group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본 발명에 따른 계층적 그룹서비스 관리를 위한 계층적 그룹관리 테이블Figure 6: Hierarchical group management table for hierarchical group servic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본 발명에 따른 P2P기반의 계층적 다자간 그룹서비스 구성 사례7: Example of P2P-based hierarchical multi-party group servi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최근 반도체기술 및 디지털 통신기술의 발달로 IEEE 802.11n WLAN, IEEE 802.16 WiMAX와 B3G/4G등의 광대역 무선통신망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차세대 광대역 무선통신망은 인터넷 올아이피 (All-IP)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아피 기반의 차세대 무선통신망에서 사용자들은 이동 중에도 원격 멀티미디어 교육, 비디오 회의, 온라인 게임 등의 다양한 IP기반의 다자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다. 더구나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차세대 무선통신망에서 이동단말들은 VoIP나 다자간 비디오 회의등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위해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 (Client/Server) 방식이 아니라 P2P(Peer-to-Peer) 방식으로 통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Looking at the relate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IEEE 802.11n WLAN, IEEE 802.16 WiMAX, and B3G / 4G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digital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ext generatio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expected to provide various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s by applying the Internet All-IP technology. In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users will be able to use various IP-based multi-media services such as remote multimedia education, video conferencing, and online games on the go. Moreo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mobile terminals in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e with P2P (Peer-to-Peer) method rather than the existing client / server method to support real-time multimedia services such as VoIP and multi-party video conferencing. It is expected to.

기존 인터넷 포털에서 제공하는 채팅등의 다자간 그룹통신서비스는 P2P 방식이 아니며 제공되는 서비스도 서비스 제공자, 즉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 제공되며 사용자가 직접 생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더구나 이동단말이 이동할 경우 이동성관리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서비스 중단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 IETF XCON 워킹그룹에서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회의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이나 회의구조 등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IETF XCON에서 개발하고 있는 회의구조 (Conference Architecture)는 중앙집중식 회의서버 (Conference Server)구조이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회의에 참여할 경우 확장성에 문제가 있다. 더구나 무선망에서의 다자간 서비스관리 문제는 고려하지 않는다.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chat provided by existing Internet portals are not P2P, and the services provided are provided by service providers, that is, ISPs (Internet Service Providers), and are not user-generated. 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moves, service management may occur because mobility management is not provided. The IETF XCON Working Group is currently developing a data model and conference structure to support multi-party multimedia conferencing services. However, the conference architecture developed by IETF XCON is a centralized conference server structure, which causes a problem of scalability when many users participate in the conference. Moreover, the issue of multilateral servi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is not considered.

한편으로 이동단말이 이종 혹은 동종 무선망을 이동할 경우 P2P방식으로 매 듭없는 (Seamless) 핸드오버를 지원하고자 하는 이동성관리기술이 개발되었다. 대표적인 국제표준 기술로 IETF에서 개발한 SIP 및 SCTP-ADDIP와 미국 MIT 대학에서 개발한 TCP Migrate,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엠피에스 리서치의 SMMP등을 들 수가 있다. P2P 방식의 이동성관리 기술은 기존 망기반구조 (Network Infrastructure)의 변경없이 단대단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n the other hand, mobility management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support seamless handover with P2P method when mobile terminals move heterogeneous or homogeneous wireless networks.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standard technologies include SIP and SCTP-ADDIP developed by IETF, TCP Migrate developed by MIT University, and SMMP developed by MS Research in Korea. P2P mobility management technology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because it can provide end-to-end mobility without changing existing network infrastructure.

그러나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기 P2P 방식의 이동성관리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다자간 실시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 네트워크 기반구조를 변경할 필요없이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서비스 확장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P2P 기반의 이동성관리 기술을 적용한 경우 그룹통신에 참여한 이동단말들이 빈번하게 이동할 경우 다자간 P2P통신설정을 변경해야 하므로 커다란 시그널링 오버헤드 (Signaling Overhead)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많은 사용자가 참가한 경우에는 심각한 성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if a multi-party real-time mobile multimedia service is to be provided based on the P2P mobility management technology, a handover function can be provided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network infrastructure, but there may be a problem in service scalability. . When P2P-based mobility management technology is applied, a large signaling overhead may occur because multi-party P2P communication settings need to be changed when mobile terminals participating in group communication frequently move. In particular, serious performance degradation may occur when a large number of users participate in the multilateral mobile multimedia servi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망에서 PDA, 노트북, 인터넷폰 또는 스마트 폰 등의 이동단말 사용자들이 다양한 무선망간을 이동할 때 서비스 중단 (Service Disruption)없이 실시간 다자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확장성있게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부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users such as PDA, notebook, Internet phone or smart phone in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interruption when moving between various wireless networks ( Its purpose is to provide P2P-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function that can create and manage real-time multi-media multimedia service without service disrup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서비스 그룹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며, 주어진 그룹서비스에 대해 기능이 첨가된 다양한 많은 하위그룹서비스들이 쉽게 생성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확장성 있는 그룹통신 서비스관리기능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reate a multi-party mobile multimedia service by hierarchically configuring a user service group, and to enable a user to easily create and manage a variety of subgroup services having a function added to a given group service. To provide scalab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계는 서비스 관리 시작인과 참여자를 구별하고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시작인의 호스트에서 제공될 수 있게 함으로써 P2P 기반의 다자간 멀티미디어 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동단말의 빈번한 이동에 따른 과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데 목적이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nage a multi-party mobile multimedia service by identifying a service management starter and a participant and allowing the mobile multimedia service to be provided at a host of the start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excessive signaling overhead due to frequent movement of a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2P 기반의 서비스 이동성 관리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WiFi, WiMAX, CDMA, GSM등의 다양한 무선망간을 이동할 때에도 무선망 종류에 독립적으로 서비스 중단없이 상기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기능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P2P-based service mobility management technology, even when the user moves between various wireless networks such as WiFi, WiMAX, CDMA, GSM,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function without interruption of service independently of the type of wireless network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만든 서비스가 사용자의 이동단말에서 P2P 방식으로 그룹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되게 함으로써 현재 웹 2.0에서 제공되는 UCC (User Created Contents)를 한 단계 발전시킨 이동 UCS (User Created Service) 기능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vice created by a user to a group service subscriber in a peer-to-peer manner in a mobile terminal of a user. The mobile UCS (User Created Service) is one step further from UCC (User Created Contents) currently provided in Web 2.0. ) To provide functionality.

본 발명에서는 무선망에서 이동단말이 이동 할 때에도 서비스 중단 (Service Disruption)없이 실시간 다자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확장성있게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2P-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at can generate and manage a multi-media multimedia service in real time without service disruption even when a mobile terminal moves in a wireless networ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by at least one embodiment, where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idea and its core composi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시한 도면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P2P 기반의 다자간 그룹통신서비스 관리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2P 기반의 다자간 그룹통신 서비스관리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룹 시작인의 다자간 그룹통신 서비스관리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룹통신서비스 참가자의 서비스관리 알고리즘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층적 그룹서비스 관리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층적 그룹서비스 관리를 위한 계층적 그룹관리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P2P기반의 계층적 다자간 그룹서비스 구성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1 illustrates a P2P based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P2P based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algorithm of a group initi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service management algorithm of a group communication service particip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hierarchical group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hierarchical group management table for hierarchical group servic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2P-based hierarchical multi-party group servi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P2P 기반의 다자간 그룹통신서비스 관리구조를 보여준다. 다자간 그룹통신서비스 관리구조는 크게 그룹서비스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분산그룹관리테이 블과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관리하는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 및 이동단말에서 지역적으로 그룹서비스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지역그룹관리테이블과 그룹서비스관리프로토콜로 구성된다. 그룹서비스관리 프로토콜은 상기 분산그룹관리테이블 및 지역그룹관리테이블을 참조하여 다자간 이동 그룹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운영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1 shows a P2P based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The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largely includes a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for storing group service management information, a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s, and a regional group management table for storing group service management information locally in a mobile terminal. And group service management protocols. The group service management protocol is a protocol for efficiently creating and operating a multi-party mobile group multimedia service with reference to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and the regional group management table.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다자간 그룹서비스관리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다양한 상용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아니면 기존의 SIP Proxy/Registrar 서버, DNS서버, LDAP 서버등을 확장하거나 혹은 전용 P2P 서버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본 특허에서는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의 구현방안은 취급하지 않는다.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은 분산환경하에서 다자간 통신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이다.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은 분산형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들이 그룹화하여 다양한 사용자 기반의 이동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는 그룹화 정보를 제공한다.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은 그룹 ID, 관리인, 시작인, 멤버리스트, 서비스프로화일, 그룹수준 및 위치정보로 구성되어있다.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is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that stores and manages multilateral group service management information.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building various commercial distributed database systems, extending existing SIP Proxy / Registrar servers, DNS servers, LDAP servers, or dedicated P2P servers. This patent does not deal with the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is a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for managing multilateral communication service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is organized hierarchically and provides grouping information for users to group and configure various user-based mobile services.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consists of group ID, manager, starter, member list, service profile, group level and location information.

본 특허에서 서비스 그룹이란 이동 비디오 회의 같은 특정한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등록한 사용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그룹 ID는 특정 서비스 그룹을 나타내는 확인자 (Identifier)이다. 관리인은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창조하고 서비스운영에 대해 총괄적인 책임과 권한을 갖는 사용자이다. 서비스 그룹 관리인은 그룹에서 제공하는 이동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프로화 일(Service Profile)을 정의한다. 서비스프로화일에는 응용서비스의 기능과 응용프로그램의 특성등이 명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다자간 비디오 회의, 원격 다자간 온라인 게임, 다자간 문자 채팅, 다자간 비디오 공유등 다양한 실시간 이동 멀티미디어 응용프로그램의 특징이 서비스 프로화일에 명시된다. 그룹서비스 시작인 (Initiator)은 그룹서비스관리자 (Manager)로부터 인증 및 운영권한을 위임받아 그룹서비스를 시작하고 운영하는 사용자이다. 그룹시작인은 그룹멤버 중 누구도 가능하며 그룹관리자에 의해 지정된다. 그러나 효과적이고 간단한 그룹서비스운영을 위해 대부분의 경우 단지 한 명의 그룹시작인이 허용된다. 그러나 특수한 경우 여러 명의 시작인 존재할 수 있다. In this patent, a service group means a set of users who register with a specific mobile multimedia service such as mobile video conferencing. The group ID is an identifier representing a specific service group. The custodian is the user who creates mobile multimedia services and has overall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for service operations. The service group manager defines a service profile for the mobile multimedia appli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group. The service profile specifies the function of the application servi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tion. For example, features of various real-time mobile multimedia applications, such as multi-party video conferencing, remote multi-line online gaming, multi-party text chat, and multi-party video sharing, are specified in the service profile. Group service initiator (Initiator) is a user who starts and operates a group service by being authorized by the group service manager. The group initiator can be any group member and is designated by the group administrator. However, only one group initiator is allowed in most cases for effective and simple group service operation. However, in special cases, multiple starters can exist.

멤버리스트는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 리스트를 포함한다. 계층적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인 경우 그룹에 속한 하위그룹 리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들은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참조하여 특정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 위치정보는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룹 시작인의 현재 지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며 선택사항이다. 지역그룹관리테이블은 단말간의 이동중에도 단대단 끊김없는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다자간 그룹통신에 참가하고 있는 그룹멤버 및 멤버의 현재 IP 주소와 서비스품질 (QoS) 요구사항등의 정보를 지역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고속 임시정보 저장소이다. The member list contains a list of users belonging to the group. In case of hierarchical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subgroup list information included in group is included. Users can refer to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to participate in a service for a specific field of interest. Th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e current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group starter providing the service and is optional. The regional group management table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IP address and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of group members and members participating in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in order to maintain end-to-end seamless service even while moving between terminals. It is a fast temporary information store.

도 2는P2P기반의 다자간 그룹통신 서비스관리 프로토콜을 보인다. 다자간 그룹통신 서비스관리 시스템은 크게 분산그룹관리테이블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에 있는 그룹응용서비스와 지역그룹관리테이 블이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은 그룹의 확인자인 그룹 ID와 그룹의 시작인을 나타내는 시작인 ID 및 그룹의 멤버를 나타내는 멤버 ID 리스트와 그룹이 제공하는 응용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프로화일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사용자 A는 다자간 비디오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그룹인 그룹 1의 시작인이다. 다자간 비디오 회의서비스는 사용자 A의 호스트에서 제공된다. 사용자 A의 호스트에는 그룹 1의 멤버정보를 포함하는 지역그룹관리테이블이 있다. 사용자 A 호스트가 그룹비디오 회의서비스를 수행할 능력이 없을 경우 분산형 서비스관리시스템 혹은 다른 사이트에서 호스트 A의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2 shows a P2P based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protocol. The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generally includes a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a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it, a group application service and a local group management table in the user terminal. As mentioned above,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includes a group ID that is an identifier of a group, an ID that is a starter of a group, a member ID list that represents a member of a group, and a service profile indicating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group. In FIG. 2, User A is the starter of Group 1, a service group that provides a multi-party video conferencing service. Multi-party video conferencing services are provided at User A's host. The host of user A has a regional group management table that contains member information of group 1. If user A's host is not capable of performing group video conferencing services, a distributed service management system or other site may provide host A's application services.

도 2에서 사용자 A는 먼저 현재 호스트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자간응용서비스의 특징을 분산그룹관리테이블에 등록한다. 사용자 B, C, D는 그룹 1의 서비스 프로화일을 참조하여 그룹서비스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그룹 1에 등록한다. 도 1에서 사용자 A, B, C, D는 이동단말 A, B, C, D를 각각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이동단말 A, B, C, D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게 된다. 사용자 A는 그룹 1에 속한 사용자들과 다자간 그룹통신 (이 경우에는 다자간 비디오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기를 원할 때 단말 A에서 제공할 응용서비스를 시작한 후 단말 A에서 제공할 서비스 프로화일과 단말 A의 현재 IP주소를 담은 그룹콜설정요청메시지①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보낸다.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①을 수신한 후 분산그룹관리테이블에 등록된 그룹 1 멤버들에게 그룹콜설정요청메시지②를 그룹멤버인 B, C 및 D에 전달한다. 이때 그룹콜설정요청메시지에는 그룹 ID, 시작인의 UserID, 현재 접속점 IP 주소, 서비스프로화일등이 포함된다. In FIG. 2, user A first regist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party application service that can be provided by the current host in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Users B, C, and D register with group 1 when they want to participate in group service by referring to service profile of group 1. In FIG. 1, it is assumed that users A, B, C, and D use mobile terminals A, B, C, and D,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s A, B, C, and D belong to the same group. When user A wants to provide multi-group group communication (in this case, multi-party video conferencing) service with users belonging to group 1, user A starts an application service to be provided by terminal A, and then the service profile to be provided by terminal A and current status of terminal A Send the group call setup request message ① containing the IP address to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fter receiving ①,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sends a group call setup request message ② to group 1 members B, C, and D to the group 1 members registered in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At this time, the group call setup request message includes a group ID, a user ID of the starter, an IP address of the current access point, and a service profile.

그룹멤버들은 그룹서비스에 참가하기를 원할 경우 이동단말의 현재 IP주소와 기타 QoS 요구사항등을 담은 그룹콜설정응답메시지③을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보낸다.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멤버들로부터 받은 서비스 참가여부와 멤버들의 현재 IP 주소를 담은 응답메시지④를 그룹통신 시작인인 사용자 A에게 전달한다. 이후 그룹멤버들은 그룹 시작인 A와 P2P 방식으로 동작하면서 A가 운영하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응용서비스에 참가한다.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그룹콜설정응답메시지③를 참조하여 단대단 이동성 관리를 위해 그룹멤버들의 현재 IP 주소등을 그룹관리시스템에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이동단말간에 양방향 화살표 굵은 선은 P2P 방식의 데이터 통신을 표시한다. If the group members want to participate in the group service, the group members send a group call setup response message ③ including the current IP address of the mobile station and other QoS requirements to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wards the response message④ containing the participation in the service received from the members and the member's current IP address to user A, the group communication initiator. The group members then participate in the multi-media multimedia application service operated by A while operating in a P2P manner with A, the group's start.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may store the current IP addresses of group members in the group management system for end-to-end mobility management by referring to the group call setup response message ③. In FIG. 1, thick double-headed arrows between mobile terminals indicate data communication of a P2P method.

여기서 그룹통신 시작인 A는 그룹통신에 대한 다자간 그룹통신의 운영과 관리를 담당한다. 기존의 웹 기반의 중앙집중식 인터넷 포탈과는 달리 그룹멤버들은 P2P방식으로 그룹 시작인이 제공하는 그룹통신 서비스에 참가한다. 사용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비디오 회의외에도 실시간 스포츠, 온라인 게임, 온라인 강의등의 다양한 다자간 멀티미디어 응용서비스에 능동적으로 참가할 수 있다. 물론 그룹 멤버가 한 사람인 경우 1:1 통신이 가능하다. Here, A, the group communication starter, is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multilateral group communication for the group communication. Unlike existing web-based centralized internet portals, group members participate in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provided by group initiators in a peer-to-peer manner. In addition to the video conferencing mentioned above, us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multi-media multimedia application services such as real-time sports, online games, and online lectures. Of course, 1: 1 communication is possible when there is only one group member.

무선망에서 멤버가 이동할 경우 이동한 이동단말은 변경된 IP주소를 시작인에게 즉시 직접 통보한다. 도 1에서 단말 D가 이동한 경우 이동 후 접속한 새로운 IP 주소를 주소갱신메시지에 담아 그룹 시작인 A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송부한다. 시작인 A는 지역 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수정하고 이후 D와는 이동 후 변경된 IP 주소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그룹 시작인의 단말이 이동한 경우에 는 시작인이 현재 그룹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멤버들에게 변경된 IP주소를 통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말이 이동하더라고 이동멤버와 운용자 간에 핸드오버로 인한 서비스 중단없이 다자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When a member moves in the wireless network, the mobile terminal immediately informs the initiator of the changed IP address. In FIG. 1, when the terminal D moves, the new IP address connected after the transfer is sent to the group starter A and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in the address update message. Starter A modifies the contents of the local group management table and then sends data to the changed IP address after moving with D. When the terminal of the group initiator moves, the initiator informs all members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group communication of the changed IP address. By doing so, even if the terminal moves, the multi-party multimedia service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interruption of service due to handover between the mobile member and the operator.

이와 같이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이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할 때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시작인과 이동단말 사이에 일대다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다자간 서비스가 시작인의 호스트에서 제공되게 함으로써 P2P 기반의 다자간 멀티미디어 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동단말의 빈번한 이동에 따른 과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As such, when a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sets up a group communication call with group members and performs a P2P-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a multi-party mobile multimedia service establishes a one-to-many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initiator and the mobile terminal, By providing the host at the initiator, it is possible to reduce excessive signaling overhead due to frequent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which may occur in P2P based multi-party multimedia communication.

본 특허와 기존 인터넷 포털에서 제공하는 채팅등의 다자간 그룹통신서비스와의 차이점은 그룹통신 서비스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즉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져서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현재 웹 2.0에서 제공되는 UCC (User Created Service)를 한 단계 발전시킨 UCS (User Created Service)개념이다. 두 번째 차이점은 이러한 사용자가 만든 서비스가 사용자의 이동단말에서 P2P 방식으로 그룹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된다는 것이다. 특히 이동중에도 P2P 방식의 이동성관리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종 혹은 동종 무선망간을 이동중에도 연결의 끊김 없이 비디오 회의등의 다자간 그룹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한다. 세번 째 차이점은 뒤에서 언급할 계층적 그룹관리 테이블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이동응용서비스 그룹에 참여할 수 있게하는 서비스 확장성을 제공한다. The difference between this patent and a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such as chat provided by an existing Internet portal is that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s not provided by an Internet service provider, that is, an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but is made and provided by a user. This is a UCS (User Created Service) concept that takes the next level of UCC (User Created Service) available in Web 2.0. The second difference is that the services created by these users are provided to the group service subscribers in a P2P manner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by providing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of P2P method while moving, users can perform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uch as video conferencing without disconnection even when moving between heterogeneous or homogeneous wireless networks. The third difference is that by applying the hierarchical group management tab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ervice extensibility is provided for users to participate in various mobile application service groups.

도 3은 그룹 시작인의 다자간 그룹통신서비스관리 알고리즘이다. 먼저, 그 룹서비스를 시작하고자 하는 시작인은 그룹서비스 관리인에게 해당 그룹서비스의 시작을 위한 인증(Authentication)을 요청한다. 여기서 Radius 혹은 Diameter등의 국제표준 인증서버를 활용할 수도 있다. 시작인은 서비스프로화일을 참고하여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으로부터 다자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제공에 필요한 응용서비스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룹 참여을 원하는 사용자들은 그룹에서 제공하는 서비스프로화일을 참고하여 분산그룹관리테이블에 등록한다. 시작인은 그룹통신서비스를 시작하기위해 먼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그룹콜설정요청메시지를 보낸다.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이동단말로부터 그룹콜설정요청을 수신 후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그룹에 등록된 모든 이동단말에 그룹통신 콜 시작인을 대신하여 콜설정요청메시지를 보낸다. 이때 만약 그룹멤버가 사용자가 아니라 하위그룹인 경우 계층적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참조하여 모든 하위계층에 속한 모든 하위그룹을 순환적으로 (Recursively) 파악하여 각각의 하위그룹에 속한 모든 그룹멤버 사용자들에게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한다.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으로부터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수신한 이동단말은 참가 여부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서비스 시작인에게 콜설정응답메시지를 보낸다. 그룹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으로부터 받은 응답을 참고하여 QoS등을 조정한 후 그룹통신에 참가하고자 하는 모든 이동단말과 P2P 방식으로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수행한다. 3 is a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algorithm of a group initiator. First, the initiator who wants to start the group service requests the group service manager to authenticate for the start of the group service. You can also use international standard authentication servers such as Radius or Diameter. A starter can download an application service program necessary for providing a multilateral multimedia service from a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by referring to a service profile. Users who want to join the group register in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by referring to the service profile provided by the group. The initiator first sends a group call setup request message to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to start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After receiving the group call setup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refers to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and sends a call setup request message to all mobile terminals registered in the group on behalf of the group communication call originator. If the group member is not a user but a subgroup, refer to the hierarchical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to recursively identify all subgroups belonging to all sub hierarchies to all group member users belonging to each subgroup. Sends a group call setup message.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group call setup message from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sends a call setup response message to the group service initiator through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The group service initiator performs multi-party mobile multimedia communication in a peer-to-peer manner with all mobile terminals that want to participate in group communication after adjusting QoS, etc., based on the response received from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만약 그룹통신에 참여한 이동단말이 이동한 경우 그룹에 참가한 다른 이동단말들에게는 이동사실을 통보할 필요없이 단지 그룹시작인에게 이동후 사용할 새로 운 IP주소를 알려준다. 그룹시작인은 지역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갱신하여 이동후에는 변경된 IP주소와 P2P 통신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동단말의 이동에 따른 P2P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만약 이동단말이 모든 그룹 참가 사용자들과 개별적으로 P2P 통신을 설정해서 다자간 통신서비스를 수행한다면 이동성관리를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엄청나게 크질 수 있다. 그룹서비스 시작인이 이동한 경우에는 그룹통신에 참가한 모든 단말에 변경된 IP주소를 통보한다. 만약 그룹 시작인이 빈번하게 이동시에는 이동에 따른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무시할 수 없지만 모든 단말간에 1:1 통신경로가 설정된 P2P 방식의 다자간 통신경우보다는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작다. 일반적으로 그룹서비스 시작인은 M:N 그룹통신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CPU 성능이나 메모리 용량이 큰 이동단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구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위해 자주 이동하지 않는 시스템에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시작인은 지역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수정함으로써 그룹멤버로부터 그룹통신 서비스 참여 중단이나 재참가등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If the mobile terminal participating in the group communication moves, other mobile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group do not need to be informed of the fact of the movement, but simply inform the group initiator of the new IP address to be used after the movement. The group initiator updates the contents of the regional group management table so that P2P communication with the changed IP address is made after the move. In this way, P2P signaling overhead due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station can be reduced. If a mobile terminal performs a multi-party communication service by separately setting up P2P communication with all group participating users, signaling overhead for mobility management can be enormous. When the group service initiator has moved, all the terminals participating in the group communication are notified of the changed IP address. If the group initiator frequently moves, the signaling overhead according to the movement cannot be ignored, but the signaling overhea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P2P type multi-party communication in which a 1: 1 communication path is established between all terminals. In general, group service initiators should be able to manage M: N group communication, so it is preferable to use mobile terminals with large CPU performance or memory capacity. desirable. In addition, the Initiator manages the participation of group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group member or reentry by modifying the contents of the regional group management table.

도 4는 그룹통신서비스 참가자의 서비스관리 알고리즘이다. 도 4에서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서비스 시작인으로부터 콜 설정요청 메시지가 도착하면 참가자는 시작인의 현재 IP 주소 및 서비스프로화일을 지역그룹관리테이블에 저장한다. 그리고 시작인으로 부터의 보안과 QoS 요구사항을 확인한뒤 지원가능하면 콜설정응답메시지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으로 보내고 그렇지 않으면 참가자가 제공가능한 QoS 요구사항을 응답메시지에 실어서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 으로 전달한다.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콜설정응답메시지를 그룹시작인에게 전달한다. 이 때 그룹시작인은 참가자가 보낸 QoS 요구사항에 대한 가부사항을 결정하여 확인메시지를 참가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확인응답은 선택사항으로 취급된다. 이후 그룹참가자와 시작인은 현재 접속중인 IP를 사용하여 P2P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4 is a service management algorithm of a group communication service participant. In FIG. 4, when a call establishment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group service initiator through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the participant stores the initiator's current IP address and service profile in the regional group management table. After checking the security and QoS requirements from the initiator, if possible, the call setup response message is sent to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Otherwise, the QoS requirements that the participant can provide are included in the response message to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To pass.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wards the call setup response message to the group initiator. At this point, the group initiator can determine whether the participant has sent the QoS requirements and deliver an acknowledgment message to the participant. This acknowledgment is treated as optional. Afterwards, the group participants and the initiators exchange data using P2P method using the currently connected IP.

만약 단말의 이동으로 인하여 IP 주소가 변경된 경우 이동단말은 변경사실을 주소갱신메시지를 사용하여 곧바로 그룹시작인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통보한다. 변경된 IP주소를 담은 주소갱신메시지를 수신한 시작인은 지역그룹관리테이블에 변경된 IP 주소를 반영한다. 이 후 시작인과 참가인은 변경된 IP 주소를 사용하여 P2P 방식으로 통신함으로써 이동단말의 이동에 대해 매듭없는 핸드오버 즉 이동성관리가 지원된다. 주소갱신메시지를 수신한 분산그룹서비스관리 시스템은 변경된 IP주소를 분산그룹관리테이블에 반영하여 이동단말이 변경된 IP주소를 사용하여 다른 멤버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If the IP address is chang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immediately informs the group initiator and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of the change using an address update message. The initiator who receives the address update message containing the changed IP address reflects the changed IP address in the local group management table. After that, the starter and the participant communicate by P2P method using the changed IP address, so that handover, that is, mobility management, is supported for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receiving the address update message reflects the changed IP address in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communicate with other members using the changed IP address.

도 4에서 참가자가 그룹서비스 참가를 잠시동안 중단할 때에는 서비스 참여 중단메시지를 시작인에게 보낸다. 도 3에서 시작인은 중단메시지를 받으면 해당 이동단말과의 통신을 잠시 중단한다. 참가자가 그룹통신을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 재참가메시지를 시작인에게 보낸다. 이때 만약 참가자의 이동단말의 IP 주소가 변경되었으면 참가자는 변경된 IP 주소를 재참가메시지에 함께 송부한다. 도 3에서 시작인은 재참가메시지를 수신하면 지역그룹관리테이블의 관련 내용을 변경한 뒤 이동단말과의 통신을 재개한다. In FIG. 4, when the participant stops participating in the group service for a while, the service participation stop message is sent to the starter. In FIG. 3, when the starter receives a stop message, the starter temporarily stops communication with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If a participant wishes to resume group communication, send a re-entry message to the initiator. At this time, if the IP address of the participant's mobile terminal is changed, the participant sends the changed IP address to the reentry message. In FIG. 3, when the starter receives the reentry message, the initiator changes the relevant contents of the regional group management table and resume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도 5는 계층적 그룹서비스 관리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모든 사용자는 뿌리 그룹에 속하며 뿌리 그룹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할 권한을 갖는다, 도 5의 계층적 그룹서비스관리 구조에서 하위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상위그룹에서 제공하는 그룹서비스에 자동적으로 참가가 허용되지만 상위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하위그룹에서 제공하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에 자동으로 참여돼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2nd 수준 그룹의 다자간 비디오 공유서비스 그룹에 등록한 사용자는 3rd 수준그룹의 실시간 다자간 비디오 회의 그룹에는 참가가 허용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계층적 서비스를 참고하여 융통성있게 서비스그룹을 창조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 뿌리 그룹의 서비스프로화일을 참조하여 특정한 다자간 이동 응용서비스를 스스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그룹에 반드시 등록하여야 하며 소스코드등을 포함하여 상세한 프로그램사양을 서비스프로화일에 공개하여야한다. 일반적으로 그룹서비스를 구현하기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다양한 이동단말에 플랫폼에서 동작될 수 있도록 플랫폼 독립적인 프로그래밍언어를 사용하여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shows a hierarchical group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All users belong to the root group and have the authority to use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root group. In the hierarchical group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of FIG. 5, users belonging to the lower group are automatically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group service provided by the upper group, Users belonging to a group do not automatically participate in the multilateral multimedi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d by subgroups. For example, a user registered in a 2nd level multi-party video sharing service group is not allowed to participate in a 3rd level real-time multi-party video conferencing group. Users can flexibly create service groups by referring to hierarchical services provided by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s. A user may create and use a specific multilateral mobile application service by referring to a service profile of a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root group. In this case, the user must be registered in the relevant group, and detailed program specifications including the source code must be disclosed in the service profile.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o develop a program used to implement a group service using a platform independent programming language so that various mobile terminals can be operated on a platform.

도 6은 도 5의 계층적 서비스 관리를 실현한 계층적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보여준다. 계층적 관리 테이블은 서비스그룹을 계층적으로 용이하게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룹 관리자는 그룹이 제공하는 서비스, 컨텐츠, 참가규칙등 그룹의 운영과 관리를 담당하는 사용자이다. 그룹 시작인은 그룹관리자로부터 권한을 받아 현재 그룹서비스를 시작하고 운영을 담당하는 사 용자이다. 예를들어 실시간 이동형 다자간 비디오 회의 서비스를 운영할 경우 관리자는 서비스를 규정하고 관리한다. 시작인은 그룹의 멤버로써 특정 시점에서 비디오 회의를 시작하고 진행하는 사용자를 말한다. FIG. 6 shows a hierarchical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for realizing hierarchical service management of FIG. 5. Hierarchical management tables make it easy to create and manage service groups hierarchically. As mentioned above, a group manager is a user who manages and manages the group such as services, contents, and participation rules provided by the group. The group initiator is a user who starts the current group service and is in charge of operation by receiving authority from the group administrator. For example, if you run a real-time mobile multi-party video conferencing service, the administrator defines and manages the service. A starter is a member of a group who refers to a user who starts and conducts a video conference at a specific point in time.

그룹은 특정 주제나 서비스에 대해 관심있는 사용자들에 의해 역동적으로 생성되며 활동이 없을 경우 소멸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 사용자들이 서비스그룹에 등록을 신청하여 자유롭게 참가할 수 있다. 이동단말의 지역그룹관리테이블에는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참조하여 그룹시작인 위치나 현재 상태등을 나타내는 프레전스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룹수준 (Group Level)에 한계를 두지 않으므로써 사용자는 특수화되고 아주 세부적인 다양한 서비스 그룹을 자유롭게 생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커다란 서비스 확장성 (Service Extensibility)이 제공된다. Groups are dynamically created by users who are interested in a particular topic or service and are destroyed when there is no activity. The mobile terminal users can freely participate by applying for registration in the service group. The local group management table of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the presence information indicating the group start position or the current state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And by not limiting the Group Level, the user can freely create a variety of specialized and highly detailed service groups, thus providing great service extensibility.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이 시작인으로부터 콜설정요청메시지를 참조하여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갱신한 후 그룹에 가입한 멤버들에게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할 때 도 6에서 보인바와 같이 만약 그룹멤버가 사용자가 아니라 하위그룹인 경우에는 하위계층에 속한 모든 사용자들을 파악하여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한다. 만약 그 하위그룹의 멤버가 멤버 사용자가 아니라 하 하위 그룹인 경우에는 다시 하 하위계층에 속한 모든 사용자들을 파악하여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한다. 모든 하위그룹의 모든 사용자들은 이러한 방법으로 순환적으로 (Recursively) 파악된다.When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updates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by referring to the call setup request message from the initiator, and then delivers the group call setup message to the members who have joined the group, as shown in FIG. In case of a subgroup instead of a user, all users belonging to the lower hierarchy are identified and the group call setup message is delivered. If the member of the subgroup is not a member user but a lower subgroup, all the users belonging to the lower subclass are identified again and the group call setting message is transmitted. All users in all subgroups are identified recursively in this way.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무선망에서 P2P 기반의 확장성 있는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은 IEEE 802.11 무선 랜, IEEE 802.16 무선 맨외 유사한 다른 무선 랜/맨, 무선 메쉬망이나 무선 멀티홉 망, 무선 센서 망 및 셀룰러 망등 다양한 이종 무선망 및 동종망이 연결된 차세대 유무선 융합 망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7은 P2P기반의 계층적 다자간 그룹서비스 구성 사례를 보인다.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the wireless network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IEEE 802.11 wireless LAN, IEEE 802.16 wireless network other similar WLAN / man, wireless mesh network or wireless multi-hop network, wireless It can be applied to the next generation wired / wireless converged network connected with various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and homogeneous networks such as sensor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7 shows an example of P2P-based hierarchical multi-party group service configuration.

도 7에서 뿌리그룹은 두개의 2nd 수준 그룹인 그룹 2와 3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룹 2는 두개의 3rd 수준 그룹인 그룹 4와 5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계층적 그룹은 분산그룹관리테이블에 의해서 관리된다. 도 7에서 각 그룹의 관리인이 시작인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각 그룹에서 시작인이 제공하는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별표로 표시되어있다. 각 그룹은 그룹 관리인이 정의한 서비스프로화일에 의해 다자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7에서 각 하위 그룹멤버는 상위그룹에 자동으로 참가가 허용되나 상위그룹 멤버는 하위그룹에 등록해야만 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5의 멤버 J, K, L은 I가 제공하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외에 그룹 2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그룹 2의 멤버 M, N은 그룹 5에 참가할 수 없다. In FIG. 7, the root group includes two 2nd level groups, groups 2 and 3, and the group 2 includes two 3rd level groups, groups 4 and 5. These hierarchical groups are managed by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s. In FIG. 7, the manager of each group plays the role of a starter, and the multi-party mobile multimedia service provided by the starter in each group is indicated by an asterisk. Each group provides multi-media multimedia service by service profile defined by group manager. In FIG. 7, each subgroup member is automatically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upper group, but the upper group member may register only in the lower group. For example, members J, K, and L of Group 5 may participate in services provided by Group 2 in addition to the multi-media multimedia services provided by I. However, members M and N of group 2 cannot participate in group 5.

도 7에서 그룹 2의 시작인은 사용자 A이며 그룹 4의 시작인도 사용자 A이다. 여기서 사용자 A는 그룹 2 멤버 전체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며 아울러 특정 소그룹인 그룹 4에 별도로 동일한 그룹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그룹 서비스프로화일 변경없이 다양한 수준의 그룹구성이 가능하게한다. 이러한 그룹과 서비스간에 독립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한 가지 서비스가 여러계층에 걸쳐 소그룹 별로 운영하게 함으로써 그룹서비스관리에 융통성 (Flexibility)을 제공한다. 그리고 각각의 그룹멤버들은 P2P방식으로 그룹통신을 수행하며 물론 멤버가 이동할 경우 이동멤버와 서비스 시작인간에 매듭없는 핸드오버가 지원된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계층적 서비스관리 구조는 분산환경에서 다자간 실시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 관리에 커다란 서비스 확장성과 사용자 그룹구성에 대한 융통성을 부여한다. In FIG. 7, the starter of group 2 is user A and the starter of group 4 is user A. Here, user A may provide services to all group 2 members, and may also provide the same group service separately to a specific small group, group 4. In other words, various levels of group composition are possible without changing the group service profile. By creating an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se groups and services, one service can be managed in small groups across multiple layers, providing flexibility in group service management. In addition, each group member performs group communication in a P2P manner, and of course, when a member moves, no handover is supported between the mobile member and the service starter. In conclusion, this hierarchical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provides great service scalability and flexibility for user group composition in multi-level real-time mobile multimedia service management in distributed environment.

무선망에서 P2P 기반의 확장성 있는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발명을 요약하면, 무선망에서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생성, 운영 및 관리를 위한 P2P 기반의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a) 무선망에서 이동단말과 분산그룹관리테이블 및 분산그룹관리테이블 관리를 위한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관리구조와 분산그룹서비스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그룹서비스 관리인이 그룹 ID, 관리인 ID, 그룹수준 (Group Level)과 그룹에서 제공할P2P기반의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정의하는 서비스 프로화일 (Service Profile)을 분산그룹관리테이블에 등록하여 그룹서비스를 생성하는 수단; b) 그룹에 참가할 사용자가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검색하여 특정 서비스 그룹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화일을 검토하고, 그룹서비스 관리인에게 그룹에 가입을 요청하고, 그룹서비스 관리인이 가입을 승인하여 그룹멤버로 등록하는 수단; c) 그룹 멤버가 그룹서비스관리인에게 그룹서비스의 활성화를 요청하고 그룹서비스관리인은 요청을 검토하여 요청한 그룹멤버를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으로 지정하고,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수단; d) 그룹멤버나 시작인의 이동단말이 이동 중 망접속점이 변경될 경우에 변경된 IP 주소를 서로간에 교환하여 새로운 연결을 실시간에 구축함으로써 이동 중 서비스 중단없이 다자간 그룹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단 및 상기 이동단말이 이동시 그룹멤버가 진행중인 다자간 그룹 서비스 참여를 일시 중단하거나, 재 참여를 요청할 시 그룹멤버의 그룹서비스 참여를 허용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져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 In the wireless network, in a P2P-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the gener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multi-party mobile multimedia services, a) Wireless network In order to perform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and P2P-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structure composed of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terminal,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and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the group service manager has group ID, manager ID, Means for creating a group service by registering a service profile defining a group level and a P2P based mobile multimedia service to be provided in a group in a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b) A user who participates in the group searches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to review the service profile provided by a specific service group, requests the group service manager to join the group, and the group service manager approves the registration to register as a group member. Way; c) The group member requests the group service manager to activate the group service, and the group service manager reviews the request and designates the requested group member as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and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through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Means for establishing a group communication call with the group members and performing a P2P 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d) means for supporting a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of service by interrupting service movement by establishing a new connection in real time by exchanging changed IP addresses with each other when the network access point of a group member or a starter is changed during the movement;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moves, the group member suspends participation in the multilateral group service in progress, or when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re-participation, it is a means for allowing the group member to participate in the group service.

상기 분산그룹관리테이블에 등록하여 그룹서비스를 생성하는 수단은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며 관리하고, 그룹수준이 하위인 그룹 서비스는 상위 그룹 서비스 프로화일을 확장하여 생성하며, 하위 그룹 멤버는 상위그룹 멤버에 자동으로 등록되게하며, 그룹수준에 한계를 두지 않음으로써 다양한 서비스그룹이 융통성있고 확장성있게 생성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수단은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시작인과 이동단말 사이에 일대다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다자간 서비스가 시작인의 호스트에서 제공되게 함으로써 P2P 기반의 다자간 멀티미디어 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동단말의 빈번한 이동에 따른 과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ans for generating a group service by registering in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configures and manages a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hierarchically, and a group service having a lower group level is generated by extending an upper group service profile, and a lower group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s automatically registered to the upper group members, and by limiting the group level is made of a means to support the flexible and scalable creation and management of various service groups,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The means for establishing group communication call with group members and performing P2P 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is to establish one-to-many communication path between starter and mobile terminal and establish multi-way service. P2P-based multiparty by allowing it to be served from the initiator's host Characterized in that to reduce the excessive signaling overhead according to the frequent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that can occur in a multimedia communication.

상기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수단은 그룹 시작인이 시작인의 서비스프로화일과 현재 IP주소 및 지리적인 위치를 담은 그룹콜설정요청메시지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송신하며,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 템은 콜설정요청메시지를 참조하여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갱신한 후 그룹에 가입한 멤버들에게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수단은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수신한 그룹멤버들은 현재 이동 단말의 접속점 IP주소와 그룹 서비스 참가 여부를 담은 그룹콜설정응답메시지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보내고,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멤버들로부터 받은 서비스 참가여부와 멤버들의 현재 IP 주소를 담은 응답메시지를 그룹통신 시작인에게 전달하여 그룹시작인과 그룹멤버들이 P2P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sets up a group communication call with group members through a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means for performing P2P-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include a service profile of the initiator of the group initiator, a current IP address, and a geographical area. The group call setup request message containing the location is sent to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updates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with reference to the call setup request message, and then sends it to the members who have joined the group.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p call setting message is delivered, wherein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establishes a group communication call with the group members through a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means for performing a P2P-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The group members who receive the message are the group containing the access point IP address of the mobile terminal and whether to participate in the group service. The setup response message is sent to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sends a response message containing the service participation from the members and the member's current IP address to the group communication initiator so that the group initiator and the group members receive the response message. It is characterized by communicating in a P2P manner.

상기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콜설정요청메시지를 참조하여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갱신한 후 그룹에 가입한 멤버들에게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은 만약 그룹멤버가 사용자가 아니라 하위그룹인 경우 계층적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참조하여 모든 하위계층에 속한 모든 하위그룹을 순환적으로 (Recursively) 파악하여 각각의 하위그룹에 속한 모든 그룹멤버 사용자들에게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상기 그룹멤버나 시작인의 이동단말이 이동 중 망접속점이 변경될 경우에 변경된 IP 주소를 서로간에 교환하여 새로운 연결을 실시간에 구축함으로써 이동 중 서비스 중단없이 다자간 그룹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단은 이동한 이동단말은 변경된 IP주소를 시작인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즉시 송부하고, 시작인은 지역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수정하여 변경된 IP 주소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그룹 시작인의 단말이 이동한 경우에는 시작인이 현 재 그룹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멤버들에게 변경된 IP주소를 통보하여, 단말이 이동하더라고 이동멤버와 시작인간에 서비스 중단없는 이동성관리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updates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by referring to the call setup request message and then transmits the group call setup message to the members who have joined the group. In this case, the group call setting message is delivered to all group member users belonging to each subgroup by recursively grasping all subgroups belonging to all sub hierarchies by referring to the hierarchical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When the network access point of the group member or the starter is changed during the movement, the means for supporting the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of the service is established by exchanging the changed IP addresses with each other and establishing a new connection in real time. One mobile terminal immediately sends the changed IP address to the initiator and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In other words, the initiator modifies the contents of the regional group management table and sends the data to the changed IP address.If the terminal of the group initiator is moved, the initiator has changed the IP address to all members currently participating in group communication. By notifying, even if the mobil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mobility management without interruption of service between the mobile member and the starter.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PDA, 노트북, 인터넷폰 또는 스마트 폰 등의 이동단말 사용자들이 WiFi, WiMAX, CDMA, GSM등의 다양한 무선망간을 이동할 때 확장성있는 이동 서비스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들이 직접 다양한 실시간 이동 멀티미디어를 생성하게 하는 작용효과가 있음으로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scalable mobile service management when mobile terminal users such a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PDAs, laptops, Internet phones or smart phones move between various wireless networks such as WiFi, WiMAX, CDMA, and GSM.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is very high because they have the effect of directly generating various real-time mobile multimedia.

본 발명은 무선망에서 PDA, 노트북, 인터넷폰 또는 스마트 폰 등의 이동단말 사용자들이 다양한 무선망간을 이동할 때 서비스 중단 (Service Disruption)없이 실시간 다자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확장성있게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P2P 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기능을 부여하는 작용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2P-based system that can create and manage multi-media multimedia services in real time without service disruption when mobile terminal users such as PDA, notebook, Internet phone or smart phone move between various wireless networks in wireless network. Has the effect of granting th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생성하는 방법에서 사용자 서비스 그룹을 계층적으로 구성하며, 주어진 그룹서비스에 대해 기능이 첨가된 다양한 많은 하위그룹서비스들이 쉽게 생성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확장성 있는 그룹통신 서비스관리기능을 제공하는 작용효과가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 user service group hierarchically in a method for creating a multi-party mobile multimedia service, and to allow a user to easily create and manage a variety of subgroup services having a function added to a given group service. It provides a scalab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법에서 서비스 관리 시작인과 참여자를 구별하고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시작인의 호스트에서 제공되게 함으로써 P2P 기반의 다자간 멀티미디어 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동단말의 빈번한 이동에 따른 과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작용효과가 있다..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tinguish between a service management initiator and a participant in a method of managing a multi-party mobile multimedia service, and to enable a mobile multimedia service to be provided by a host of a mobil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excessive signaling overhead due to frequent move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P2P 기반의 서비스 이동성 관리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WiFi, WiMAX, CDMA, GSM등의 다양한 무선망간을 이동할 때에도 무선망 종류에 독립적으로 서비스 중단없이 상기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기능을 제공하는 작용효과가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P2P-based service mobility management technology, even when the user moves between various wireless networks such as WiFi, WiMAX, CDMA, GSM,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function without service interruption independently of the type of wireless network It provides a working effect.

Claims (14)

무선망에서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생성, 운영 및 관리를 위한 P2P 기반의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In the P2P-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method for the gener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multi-party mobile multimedia service in a wireless network, 무선망에서 이동단말과 분산그룹관리테이블 및 분산그룹관리테이블 관리를 위한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 P2P 기반의 그룹통신 서비스관리구조와 분산그룹서비스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그룹서비스 관리인이 그룹 ID, 관리인 ID, 그룹수준 (Group Level)과 그룹에서 제공할 P2P기반의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정의하는 서비스 프로화일 (Service Profile)을 분산그룹관리테이블에 등록하여 그룹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In order to perform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and P2P-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structure composed of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terminal,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and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in wireless network, group service manager is group ID and manager. Creating a group service by registering a service profile defining an ID, a group level, and a P2P-based mobile multimedia service to be provided in a group in a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그룹에 참가할 사용자가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검색하여 특정 서비스 그룹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화일을 검토하고, 그룹서비스 관리인에게 그룹에 가입을 요청하고, 그룹서비스 관리인이 가입을 승인하여 그룹멤버로 등록하는 단계;Searching a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to review a service profile provided by a specific service group, requesting a group service manager to join a group, and registering the group as a group member by a group service manager; 그룹 멤버가 그룹서비스관리인에게 그룹서비스의 활성화를 요청하고 그룹서비스관리인은 요청을 검토하여 요청한 그룹멤버를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으로 지정하고,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The group member requests the group service manager to activate the group service. The group service manager reviews the request and designates the requested group member as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is the group member through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Establishing a group communication call with each other and performing a P2P 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그룹멤버나 시작인의 이동단말이 이동 중 망접속점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IP 주소를 서로간에 교환하여 새로운 연결을 실시간에 구축함으로써 이동 중 서비스 중단없이 다자간 그룹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계; 및 When the network access point of the group member or the starter is changed during the movement, exchanging the changed IP addresses with each other to establish a new connection in real time to support the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of the service during the movement; And 상기 이동단말이 이동시 그룹멤버가 진행중인 다자간 그룹 서비스 참여를 일시 중단하거나, 재 참여를 요청하는 등의 회의관리를 실시간에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방법.P2P-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meeting management in real time, such as suspending the ongoing multi-party group service participation or request to re-engagement when the mobile terminal move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분산그룹관리테이블에 등록하여 그룹서비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관리하고, 그룹수준이 하위인 그룹 서비스는 상위 그룹 서비스 프로화일을 확장하여 생성하며, 하위 그룹 멤버는 상위그룹 멤버에 자동으로 등록 되게하며, 그룹수준에 한계를 두지 않음으로써 다양한 서비스그룹이 융통성있고 확장성있게 생성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방법.In the step of creating a group service by registering in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is hierarchically organized and managed. The group service having a lower group level is created by extending the upper group service profile, and the lower group member is a parent. P2P 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method consisting of automatically registering with group members and supporting various service groups in a flexible and scalable manner by not limiting the group leve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시작인과 이동단말 사이에 일대다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다자간 서비스가 시작인의 호스트에서 제공될 수 있게 함으로써 P2P 기반의 다자간 멀티미디어 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동단말의 빈번한 이동에 따른 과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단계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방법.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starter establishes a group communication call with group members through a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performs a P2P 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 a one-to-many communication between the starter and the mobile terminal. P2P-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consisting of reducing excessive signaling overhead due to frequent movement of mobile terminals that can occur in P2P-based multi-media multimedia communication by setting up a route and enabling a multi-party service to be provided at a host of a initiator. How to manage your service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그룹 시작인이 서비스 프로화일과 현재 IP주소 및 지리적인 위치를 담은 그룹콜설정요청메시지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송신하며,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콜설정요청메시지를 참조하여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갱신한 후 그룹에 가입한 멤버들에게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방법.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sets up a group communication call with group members through a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performs a P2P-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The group initiator starts a service profile, a current IP address, and a geographical location. The group call setup request message is sent to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updates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by referring to the call setup request message, and then sends a group call setup message to the members who have joined the group. P2P-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livering.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수신한 그룹멤버들은 현재 이동 단말의 접속점 IP주소와 그룹 서비스 참가 여부를 담은 그룹콜설정응답메시지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보내고,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멤버들로부터 받은 서비스 참가여부와 멤버들의 현재 IP 주소를 담은 응답메시지를 그룹통신 시작인에게 전달하여 그룹시작인과 그룹멤버들이 P2P 방식으로 통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방법.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starter establishes a group communication call with group members through a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performs a P2P-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The group members receiving the group call setup message are current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Sends a group call setup response message including IP address and group service participation to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starts a group communication message including whether the service is received from members and the member's current IP address. P2P-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mmunicating to the group initiator and group members in a P2P mann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콜설정요청메시지를 참조하여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갱신한 후 그룹에 가입한 멤버들에게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는 만약 그룹멤버가 사용자가 아니라 하위그룹인 경우 계층적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참조하여 모든 하위계층에 속한 모든 하위그룹을 순환적으로 (Recursively) 파악하여 각각의 하위그룹에 속한 모든 그룹멤버 사용자들에게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방법.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updates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by referring to the call setup request message and then delivers the group call setup message to the members who have joined the group. In this case, P2P consists of referencing hierarchical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and recursively grasping all subgroups belonging to all sub hierarchies and delivering group call setup message to all group member users belonging to each subgroup. 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그룹멤버나 시작인의 이동단말이 이동 중 망접속점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IP 주소를 서로간에 교환하여 새로운 연결을 실시간에 구축함으로써 이동 중 서비스 중단없이 다자간 그룹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계는 이동한 이동단말은 변경된 IP주소를 시작인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즉시 송부하고, 시작인은 지 역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수정하여 변경된 IP 주소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그룹 시작인의 단말이 이동한 경우에는 시작인이 현재 그룹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멤버들에게 변경된 IP주소를 통보하여, 단말이 이동하더라고 이동멤버와 시작인간에 서비스 중단없는 이동성관리를 지원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방법.When the mobile terminal of the group member or the starter is changed during the movement, the step of supporting the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of the service is established by exchanging the changed IP addresses with each other and establishing a new connection in real time. The terminal immediately sends the changed IP address to the initiator and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the initiator modifies the contents of the regional group management table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hanged IP address. P2P-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consisting of the step of supporting the mobility management without interruption of service between the mobile member and the starter, even if the terminal is moved, the starter notifies all members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group communication by changing the IP address. How to manage your services. 무선망에서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생성, 운영 및 관리를 위한 P2P 기반의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P2P 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the gener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multi-party mobile multimedia service in wireless network, 무선망에서 이동단말과 분산그룹관리테이블 및 분산그룹관리테이블 관리를 위한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관리구조와 분산그룹서비스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그룹서비스 관리인이 그룹 ID, 관리인 ID, 그룹수준 (Group Level)과 그룹에서 제공할P2P기반의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정의하는 서비스 프로화일 (Service Profile)을 분산그룹관리테이블에 등록하여 그룹서비스를 생성하는 수단과,In order to perform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and P2P 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structure consisting of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terminal,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and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in wireless network, group service manager is group ID and manager. Means for creating a group service by registering a service profile defining an ID, a group level, and a P2P-based mobile multimedia service to be provided in a group in a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그룹에 참가할 사용자가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검색하여 특정 서비스 그룹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화일을 검토하고, 그룹서비스 관리인에게 그룹에 가입을 요청하고, 그룹서비스 관리인이 가입을 승인하여 그룹멤버로 등록하는 수단과,Means to search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to review the service profile provided by a specific service group, ask the group service manager to join the group, and the group service manager approves the subscription to register as a group member; , 그룹 멤버가 그룹서비스관리인에게 그룹서비스의 활성화를 요청하고 그룹서비스관리인은 요청을 검토하여 요청한 그룹멤버를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으로 지 정하고,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수단과,The group member requests the group service manager to activate the group service. The group service manager reviews the request and designates the requested group member as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is the group member through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Means for establishing a group communication call and performing a P2P 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그룹멤버나 시작인의 이동단말이 이동 중 망접속점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IP 주소를 서로간에 교환하여 새로운 연결을 실시간에 구축함으로써 이동 중 서비스 중단없이 다자간 그룹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단 및 Means for supporting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of service by interrupting service movement by establishing new connection in real time by exchanging changed IP addresses with each other when network access point of group member or starter is changed while moving. 상기 이동단말이 이동시 그룹멤버가 진행중인 다자간 그룹 서비스 참여를 일시 중단하거나, 재 참여를 요청하는 등의 회의관리를 실시간에 수행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P2P-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means for performing meeting management in real time, such as suspending participation in multi-party group service, or requesting re-participa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progress.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분산그룹관리테이블에 등록하여 그룹서비스를 생성하는 수단은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관리하고, 그룹수준이 하위인 그룹 서비스는 상위 그룹 서비스 프로화일을 확장하여 생성하며, 하위 그룹 멤버는 상위그룹 멤버에 자동으로 등록되게하며, 그룹수준에 한계를 두지 않음으로써 다양한 서비스그룹이 융통성있고 확장성있게 생성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The means for creating a group service by registering in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is to organize and manage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hierarchically.The group service whose group level is lower is created by extending the upper group service profile, and the lower group member is the upper level. P2P-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which is a means of automatically registering with group members and supporting various service groups in a flexible and scalable manner by not limiting the group level.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수단은 다자간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시작인과 이동단말 사이에 일대다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다자간 서비스가 시작인의 호스트에서 제공되게 함으로써 P2P 기반의 다자간 멀티미디어 통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동단말의 빈번한 이동에 따른 과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establishes a group communication call with group members through a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means for performing P2P-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s a one-to-many communication between a multi-media mobile multimedia service initiator and a mobile terminal. P2P-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which consists of a means to reduce excessive signaling overhead due to frequent movement of mobile terminals by establishing a route and having the multi-party service provided by the initiator's host. system.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수단은 그룹 시작인이 시작인의 서비스 프로화일과 현재 IP주소 및 지리적인 위치를 담은 그룹콜설정요청메시지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송신하며,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콜설정요청메시지를 참조하여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갱신한 후 그룹에 가입한 멤버들에게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itiator sets up a group communication call with group members through a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means for performing a P2P-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includes a service profile of the initiator of the group initiator, a current IP address, and a geographical area. The group call setup request message containing the location is sent to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updates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by referring to the call setup request message and then sends the group to the members who have joined the group. P2P 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composed of means for delivering call setup messages.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그룹통신 서비스 시작인은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그룹멤버들과 그룹통신콜을 설정하고 P2P 기반의 그룹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수단은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수신한 그룹멤버들은 현재 이동 단말의 접속점 IP주소와 그룹 서비스 참가 여부를 담은 그룹콜설정응답메시지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보내고,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멤버들로부터 받은 서비스 참가여부와 멤버들의 현재 IP 주소를 담은 응답메시지를 그룹통신 시작인에게 전달하여 그룹시작인과 그룹멤버들이 P2P 방식으로 통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Th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starter establishes a group communication call with group members through a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means for performing P2P-based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eans that the group members receiving the group call setting message are current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Sends a group call setup response message including IP address and group service participation to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starts a group communication message including whether the service is received from members and the member's current IP address. P2P-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the steps of communicating to the group initiator and group members in a P2P manner.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11, 상기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은 콜설정요청메시지를 참조하여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갱신한 후 그룹에 가입한 멤버들에게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은 만약 그룹멤버가 사용자가 아니라 하위그룹인 경우 계층적 분산그룹관리테이블을 참조하여 모든 하위계층에 속한 모든 하위그룹을 순환적으로 (Recursively) 파악하여 각각의 하위그룹에 속한 모든 그룹멤버 사용자들에게 그룹콜설정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updates the contents of the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by referring to the call setup request message and then transmits the group call setup message to the members who have joined the group. In this case, P2P consists of a means of recursively identifying all subgroups belonging to all sublayers by referring to the hierarchical distributed group management table and delivering group call setting messages to all group member users of each subgroup. 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그룹멤버나 시작인의 이동단말이 이동 중 망접속점이 변경된 경우에 변경된 IP 주소를 서로간에 교환하여 새로운 연결을 실시간에 구축함으로써 이동 중 서비스 중단없이 다자간 그룹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단은 이동한 이동단말은 변경된 IP주소를 시작인과 분산그룹서비스관리시스템에 즉시 송부하고, 시작인은 지역그룹관리테이블의 내용을 수정하여 변경된 IP 주소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그룹 시작인의 단말이 이동한 경우에는 시작인이 현재 그룹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멤버들에게 변경된 IP주소를 통보하여, 단말이 이동하더라고 이동멤버와 시작인간에 서비스 중단없는 이동성관리를 지원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P2P기반의 실시간 이동 그룹통신 서비스 관리 시스템.When the group member or the starter's mobile terminal changes its network access point while moving, the means for supporting multi-party group communication service without interruption of service by moving the changed IP address to each other and establishing a new connection in real time is moved. The terminal immediately sends the changed IP address to the initiator and the distributed group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the initiator modifies the contents of the regional group management table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hanged IP address. P2P-based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composed of means for supporting mobility management without interruption of service between mobile member and starter even if terminal moves by notifying the changed IP address to all members currently participating in group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KR1020070001208A 2007-01-05 2007-01-05 Methods and System for 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KR1008482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208A KR100848289B1 (en) 2007-01-05 2007-01-05 Methods and System for 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208A KR100848289B1 (en) 2007-01-05 2007-01-05 Methods and System for 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380A true KR20080064380A (en) 2008-07-09
KR100848289B1 KR100848289B1 (en) 2008-10-10

Family

ID=3981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208A KR100848289B1 (en) 2007-01-05 2007-01-05 Methods and System for 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28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265B1 (en) * 2008-12-01 2011-08-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2P services, and a recording mediu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a method for exchanging data in a peer node constituting a P2P network
WO2012064122A2 (en) * 2010-11-10 2012-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personal network
KR101397018B1 (en) * 2012-12-27 2014-05-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a wi-fi direct connection among multip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5625B (en) * 2013-12-19 2019-02-22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LTE clus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08541A1 (en) * 2001-11-10 2003-11-06 Jeff Musa Handheld wireless conferencing technology
KR100508650B1 (en) * 2002-11-19 2005-08-18 주식회사 휴림인터랙티브 Method for establishing tcp/ip session using extended 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peer to peer service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WO2004107124A2 (en) * 2003-05-27 2004-12-09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action in a peer-to-peer environment
US7567987B2 (en) * 2003-10-24 2009-07-28 Microsoft Corporation File sharing in P2P group shared spa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265B1 (en) * 2008-12-01 2011-08-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2P services, and a recording mediu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a method for exchanging data in a peer node constituting a P2P network
WO2012064122A2 (en) * 2010-11-10 2012-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personal network
WO2012064122A3 (en) * 2010-11-10 201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personal network
KR101397018B1 (en) * 2012-12-27 2014-05-2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a wi-fi direct connection among multip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289B1 (en) 200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2618B (en) A node and method to provide and keep real-time up-to-date data in a distributed hash table
EP26498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ntrol plane to manage domain-based security and mobility in a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Wang et al. Survey on mobile social networking in proximity (MSNP): approaches, challenges and architecture
EP2541848A1 (en) Service routing method and service network
KR20050053898A (en)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session initiation protocol capable of providing mobility using lifelong number
Kitanov et al. State of the art: Fog computing for 5G networks
KR100848289B1 (en) Methods and System for P2P-Based Scalable Real-Time Mobil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Wei et al. Decvi: Adaptive video conferencing on open peer-to-peer networks
Granda et al. Autonomic platform for synchronous e-training in dispersed organizations
JP2006211406A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network,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used for the communication system
US9167543B2 (en) Synchronization of mobile client multicast
CN113766436B (en) Wireless intercom method and system
Ippisch et al. An android framework for opportunistic wireless mesh networking
Pal Evaluating the impact of network loads and message size on mobile opportunistic networks in challenged environments
CN102752883B (en) A kind of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means of communication based on point to point network
Yu et al. A distributed architecture of video conference using P2P technology
Lavi et al. MaGMA: mobility and group management architecture for real‐time collaborative applications
Zhu Support mobile and distributed applications with named data networking
Li et al. A multimedia service migration protocol for single user multiple devices
Kang et al. A Mobile Community Service Platform Promoting Ubiquitous Collaboration
Naor et al. Mobile real-time group communication service
Tran et al. Named Data Networking Based Disaster Response Support System over Edge Computing Infrastructure. Electronics 2021, 10, 335
Engelstad et al. Middleware supporting adaptive services in on-demand ad hoc networks
Naor et al. A scalable framework for mobile real-time group communication services
Li et al. A Service Discovery Architecture based on Anycast in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