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672A -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672A
KR20080063672A KR1020070000341A KR20070000341A KR20080063672A KR 20080063672 A KR20080063672 A KR 20080063672A KR 1020070000341 A KR1020070000341 A KR 1020070000341A KR 20070000341 A KR20070000341 A KR 20070000341A KR 20080063672 A KR20080063672 A KR 20080063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te
predetermined
saving mod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3672A/ko
Publication of KR20080063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task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정한 절전모드에서는 전원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절전모드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정하여, 시스템 동작중에 시스템의 절전 모드를 확인한 결과, 미리 정한 절전 모드가 되는 경우 미리 정한 전원만 인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슬롯, 절전모드, 전원제어

Description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도 1은 일반적인 컴퓨터 블럭도
도 2는 각 제어부를 세부적으로 표현한 컴퓨터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참고된 컴퓨터 시스템 블록도
도 4는 상기 도 3을 보완한 컴퓨터 시스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원관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미리 정한 절전모드에서는 특정 접속수단에게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및 관련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각각의 전원 관리 상태(S0-S5)는 다음과 같다.
S0 : PC가 사용 중인 상태로 정상적으로 동작 되는 상태이다.
S1 : 시스템의 모든 상태를 보존한 채 슬립(Sleep) 모드로 들어가는 것으로, CPU 캐쉬와 시스템 캐쉬는 보존되지 않는다.
S3 : 상기 S1과 같은 상태이지만 메모리의 정보를 제외한 모든 하드웨어의 정보를 잃어버린다.
S4 : 모든 하드웨어를 멈춘 슬립 모드이다. 전원을 거의 모두 차단하기 때문에 다시 사용을 위해서는 조금 기다려야 한다.
S5 : 소프트웨어적으로 꺼진 상태입니다. 단 AC전원 코드는 삽입된 상태이다.
부연하여 설명한다.
S0 : 전원이 켜져 있고 완벽하게 작동할 수 있다.
S1 시스템이 낮은 전원 모드(휴면 모드)에 있습니다. CPU 전원은 오프상태지만, RAM은 켜져 있고 계속해서 새로 고쳐진다.
S3 : RAM을 사용한 일시 중단(대기 모드)이다. 대부분의 구성 요소가 종료되나, RAM은 계속해서 작동한다.
S4 : 디스크를 사용한 일시 중단(절전 모드)이다. 메모리의 내용이 디스크 드라이브에 스와핑되었다가 시스템이 깰 때 RAM에 다시 로드된다.
S5 전원이 꺼져 있는 상태이다.습니다.
상기와 같이 정의된 전원관리 상태에서, Microsoft Windows* 2000 및 Windows Server 2003과 같은 일부 새로운 ACPI (Advanced Configuration Power Interface Specification) 인식 운영 체제에서는 전원이 꺼진 상태(S5)에서 원격으로 깨우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며 대기 모드(S3) 및 절전 모드(S4)와 같은 중간 상태에서 원격으로 Wake-up의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와 같이 정의된 전원관리 상태에서, 종래에는 메모리 소켓 모두에게 전원이 인가되어 불필요한 전원 소모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미리 정한 특정 전원 관리 상태에서는 미리 정한 전원만이 시스템에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AMT (Active Management Technology)가 적용된 Motherboard에서 미리 정한 전원관리 상태 (예를 들어 S4/S5 상태)를 감지하여, DIMM (Dual Inline Memory Module) 접속수단들, 예를 들어 Socket들중 특정 스켓만을 동작시켜야 하는 스펙을 만족시키면서 대기 상태시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회로 제어를 제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는, 메모리부; 복수개의 접속 수단 (slots); 및 시스템이 미리 정한 전원관리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접속 수단중 미리 정한 접속 수단으로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또한 시스템이 미리 정한 전원관리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 상기 복수개의 접속 수단중 미리 정한 접속 수단으로의 전원이 스위칭되는 스 위칭부;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로써, 미리 정한 전원관리 상태가 되는 경우, 제어부에서는 상기 상태를 스위칭부에 알려 주어 해당 접속수단으로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한다.
하나의 실시예로써, 미리 정한 전원관리 상태는 디스크를 사용하는 절전 모드로써 CPU 및 RAM은 OFF 상태이나 원격으로 네트웍을 Wake-up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관리 방법은,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절전모드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정하는 단계;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시스템의 절전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미리 정한 절전모드가 되는 경우 미리 정한 전원만 인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작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컴퓨터 블럭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스템을 제어하는 CPU(15), 다양한 LAN 카드 또는 메모리 모듈등이 삽입되는 슬롯(14), HDD/RAM/ROM등의 메모리(16) 및 디스플레이 수단인 LCD (17)등이 버스 또는 데이터라인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전원(Power Supply)(10)에는 일반적인 전원 소오스인 교류전압을 정류하는 AC Adaptor(11)와, 시스템에 내장되어 보조전원으로 사용되는 Battery(12) 및 상기 전원들과 연결되어 입력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Converter(13)를 포함한다.
즉, Notebook PC를 비롯한 대부분의 휴대형 기기는 전원 source인 AC Adapter(10) 혹은 보조 전원인 배터리(12)를 구비한다.
도 2는 각 제어부를 세부적으로 표현한 컴퓨터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처리 장치 (CPU) (20)와, 상기 CPU와 접속되며 접속수단인 슬롯(Slots)(21) 및 메모리 (23)를 제어하는 North Bridge (22)와, 데이터, 예를 들어 각종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그램등에 의거 동작/처리되는 자료등이 저장되어 있는 HDD (26) 및 상기 HDD에 저장된 데이터등이 로딩(Loading)되는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27) 및 제어 칩 (Control Chip)등이 탑재되는 메인보드(미도시)를 제어하는 ICH (Input/Output Control Hub) (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은 HDD(26)로부터 Reading되어 플래시 메모리 (27)에 저장된 데이터를, 메모리 일종인 DRAM RAM (23)으로 Loading하여 동작하게 하는 동작 프로그램인 Driver를 저장하고 있는 레지스터(20a)를 포함하는 CPU(20)와; 상기 CPU와 접촉되어 메모리 bus 입출력 조절 기능을 담당하는 제 1 칩셋(North bridge)(MCH) (22)과; 주변장치인 키보드 제어부 (28) 및 전원 버튼 (29)등의 입출력 기능을 관리하는 제 2 칩셋(South bridge)(ICH)(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ICH (25)에는 입출력 제어부 (24)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에서 CPU, 제 1칩셋/제 2 칩셋을 모두 포함하여 제어부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29)는 배터리(29a) 및 AC전원(29b)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참고된 컴퓨터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37)로써 CPU(30), North-Bridge (31) 및 South-Bridge (32)가 구성되며, 상기 South-Bridge의 제어에 의거 전압 조정기 (33)로 부터 각 접속수단(34)인 Slot 0 - Slot 3 (34a-34d)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전압 조정기에서의 출력전압 VCC는 시스템의 각 로직들에 인가되는 전원이며, VTT는 I/O (Input/Output)를 위한 전원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AMT를 활성화 시에, S0-S5상태중 SLP_S4에서 Slot 0 - Slot 3을 모두 동작시켜 DDR(Double Data Rate)2 코어 전원인 VCC_DDR (1.8V) 및 DDR2 Termination 전원인 VTT_DDR (0.9V)를 모두 On 시키게 되어 대기상태의 소비전력이 증가 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을 보완한 컴퓨터 시스템 블록도이다.
특히 상기 도 4는 미리 정한 특정 전원관리 상태, 예를 들어 S4상태에서 원격으로 네트웍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해당 메모리의 슬롯에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47)로써 CPU(40), North-Bridge (41) 및 South-Bridge (42)가 구성되며, 상기 South-Bridge의 제어에 의거 전압 조정기 (43)로 부터 각 접속수단(44)인 Slot 0 - Slot 3 (44a-44d)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South-Bridge의 제어에 의거 전압 조정기 (43)로 부터의 출력 전압이 스위칭 되는 스위칭부 (4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인 원격에서 네트웍을 관리하기 위해 특정 모듈, 예를 들어 ME (Management Engine Module) (41a)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AMT 기술은 단지 DDR2 메모리의 Slot 0만 동작시키면 되기 때문에, Slots 1/2/3에는 전원을 Off시켜도 무방하다.
그러나, SLP_S4#은 AMT가 Enable되게 되면 S4/S5 특성이 바뀌어, SLP_S4#은 S4/S5 상태에서도 De-assert된 상태 (3.3V)로 있게 된다. 따라서 ACPI S4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새로운 신호인 S4_STATE# (49)을 사용하여 Slots 1/2/3 (44b-44d)의 메모리 전원을 Off 시키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한다.
물론, 이경우에는 SLP_S4# (48)에 의거 Slot 1 (44a)에는 전원이 인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원관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절전 모드에 따라 복수의 레벨(S0-S5)로 정한다.
사용자가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중에, 제어부는 시스템의 절전 모드를 확인한다. (S 502, S 503).
상기 확인 결과, 미리 정한 절전모드인 S4가 되는 경우, 특정 슬롯에만 전원이 인가 되도록 제어한다. (S 504, S 505).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시스템이 절전모드 상태에서 네트웍 관리 (ME)등을 수행하는 경우, 모든 모듈 또는 디바이스에 전원을 인가할 필요없이 특정 모듈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효과적으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드라이버, 예를 들어 HDD에 저장되는 상태의 절전 모드로 써 CPU 및 RAM은 OFF 상태로 유지하며, 원격으로 네트웍의 Wake-up이 가능한 상태에서, 특정 부분, 예를 들어 마이콤 또는 관리 모듈에만 전원을 인가하고 그 이외 장치에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정한 특정 전원 관리 상태에서는 미리 정한 전원만을 시스템에 인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AMT (Active Management Technology)가 적용된 Motherboard에서 미리 정한 전원관리 상태 (예를 들어 S4/S5 상태)를 감지하여, DIMM (Dual Inline Memory Module) 접속수단들, 예를 들어 Socket들중 특정 스켓만을 동작시켜야 하는 스펙을 만족시키면서 대기 상태시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메모리부;
    복수개의 접속 수단; 및
    시스템이 미리 정한 전원관리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접속 수단중 미리 정한 접속 수단으로만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시스템이 미리 정한 전원관리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 상기 복수개의 접속 수단중 미리 정한 접속 수단으로의 전원이 스위칭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미리 정한 전원관리 상태가 되는 경우, 제어부에서는 상기 상태를 스위칭부에 알려 주어 해당 접속수단으로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미리 정한 전원관리 상태는 디스크를 사용하는 절전 모드로써 CPU 및 RAM은 OFF 상태이나 원격으로 네트웍을 Wake-up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5.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절전모드에 따라 복수의 레벨로 정하는 단계;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시스템의 절전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미리 정한 절전모드가 되는 경우 미리 정한 전원만 인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KR1020070000341A 2007-01-02 2007-01-02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80063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341A KR20080063672A (ko) 2007-01-02 2007-01-02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341A KR20080063672A (ko) 2007-01-02 2007-01-02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672A true KR20080063672A (ko) 2008-07-07

Family

ID=3981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341A KR20080063672A (ko) 2007-01-02 2007-01-02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36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44Y1 (ko) * 2017-07-14 2018-07-06 (주)제스트전자 사물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 전원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44Y1 (ko) * 2017-07-14 2018-07-06 (주)제스트전자 사물 인터넷 기반의 컴퓨터 전원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0588B2 (en) Forcing core low power states in a processor
US7437575B2 (en) Low power mode for device power management
US7430673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computing platform
CN101470509B (zh) 计算机系统的控制方法、该计算机系统及笔记本电脑
JP3168471U (ja) サスペンド中の電力消費削減が可能なコンピューターマザーボード
JP3974510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131427A1 (en) Power management states
US9411402B2 (en) Power control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KR101815239B1 (ko)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대기전력 최적화 장치 및 방법
CN101943941B (zh) 信息处理装置及其功率控制方法
US2009030039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7222253B2 (en) Dynamic power control for reducing voltage level of graphics controller component of memory controller based on its degree of idleness
KR101692538B1 (ko) Gpio 포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장치 및 방법
CN111741518A (zh) 一种WiFi芯片电路及WiFi装置
US20110099389A1 (en) Stand-by power system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EP28435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20278542A1 (en) Computer system and sleep control method thereof
US9612652B2 (en)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by power management link
US9323307B2 (en) Active display processor sleep state
KR101753338B1 (ko) Pwm 제어 신호를 이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단계적인 대기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1978323B1 (ko) Gpio 포트를 활용한 효율적인 전력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10060923A1 (en) Port Power Control
US9207742B2 (en) Power saving operating method for an electronic device by disabling a connection port to a touch device before the touch device enters power-saving mode
KR20080063672A (ko)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012114A (ko) 전원공급장치 내장형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