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574A -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2574A
KR20080062574A KR1020060138527A KR20060138527A KR20080062574A KR 20080062574 A KR20080062574 A KR 20080062574A KR 1020060138527 A KR1020060138527 A KR 1020060138527A KR 20060138527 A KR20060138527 A KR 20060138527A KR 20080062574 A KR20080062574 A KR 20080062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enture
groove
fixing devic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요섭
Original Assignee
이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요섭 filed Critical 이요섭
Priority to KR1020060138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2574A/ko
Publication of KR2008006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5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7Telescopic anchoring, i.e. using spring biased de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치근에 심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스크류부분과, 스크류부분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결합몸통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유니트와, 결합몸통부분과 끼움 결합될 수 있게 하부가 열린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아암을 갖는 결합구 및 결합구의 결합아암과 끼움결합될 수 있는 중공을 갖으며 일정길이 연장되어 착탈대상 틀니가 결합되는 결합바를 구비한다. 이러한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에 의하면, 고정유니트와 결합구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고, 적용 부품 수가 줄어들며, 고정 유니트 상호간의 식립위치에 따라 결합바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작업이 좋은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artificial tee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결합바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구가 적용된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고정유니트 111: 스크류부분
113: 결합몸통부분 120, 220: 결합구
122: 결합홈 125: 결합아암
130: 고정용 링 140: 결합바
본 발명은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치근에 식립되는 인공치근을 이용하여 틀니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란 인공적인 치아를 갖는 보철물을 말한다.
틀니는 부분틀니와 전체틀니로 구분할 수 있고 자연 치아의 결손 부위가 일부 일 때는 부분틀니를 적용하고, 상악 또는 하악에 잔존하는 자연치아가 전무한 경우에 전체틀니를 적용한다.
최근에는 인공 치근을 식립하여 틀니를 착탈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357420호에는 틀니와의 결합용 지대주를 갖으며 잇몸 속에 심는 인공치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인공치근은 지대주를 통해서만 틀니와 국부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틀니와 지대주와의 결합위치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지대주와 틀니와의 국부적인 결합력이 강하게 요구되어 틀니의 착탈시 많은 힘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틀니와 지대주와의 결합위치가 반드시 일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공치근의 식립시 정밀성이 요구되어 시술상의 어려움이 있고, 식립된 인공치근에 대응하여 틀니를 성형해야하기 때문에 틀니와 인공치근 상호간의 결합자유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 출원 제2005-0041585호를 통해 착탈이 용이한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를 제안한 바 있고 이에 대한 개선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틀니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한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성이 좋은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는 치근에 심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스크류부분과, 상기 스크류부분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결합몸통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유니트와; 상기 결합몸통부분과 끼움 결합될 수 있게 하부가 열린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아암을 갖는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의 결합아암과 끼움결합될 수 있는 중공을 갖으며 일정길이 연장되어 착탈대상 틀니가 결합되는 결합바;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유니트의 상기 결합몸통부분은 상기 스크류부분의 상면 중앙부분에서 일정높이로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부분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는 제2부분으로 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의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제2부분이 수용되는 제1홈부분과 상기 제1홈 부분의 하부에 서 상기 제1홈 부분 보다 내경이 확장되되 상기 제1부분과의 사이에 고정용 링이 구속되게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된 제2홈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바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장치(100)는 고정 유니트(110), 결합구(120) 및 결합바(140)를 구비한다.
고정유니트(110)는 스크류부분(111)과 결합몸통부분(113)으로 되어 있다.
스크류부분(111)은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부분(111)은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종단으로 향할 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식각에 의해 삽입될 수 있게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부분(111)의 나사선 구조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스크류부분(111)의 상면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부분은 렌치와 같은 조임기구를 이용하여 조일 수 있게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몸통부분(113)은 스크류부분(111)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중앙부분에서 일정길이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몸통부분(113)은 스크류부분(111)의 상면 중앙부분에서 일정높이로 연장 된 제1부분(113a)과, 제1부분(113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제1부분(113a)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는 제2부분(113b)으로 되어 있다.
제1부분(113a)은 후술하는 고정용 링(140)이 삽입되어 제2부분(113b)이 결합구(120)의 결합홈(122)으로부터 이탈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제2부분(113b)은 제1부분(113a) 상부에서 연장된 구형상을 측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면처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결합구(120)는 두개 이상의 고정유니트(110)를 상호 이격되게 치근에 식립할 때 고정 유니트(110) 상호간을 결합바(140)를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구조되어 있다.
결합구(120)는 결합몸통부분(113)이 삽입에 의해 끼움 결합될 수 있게 하부가 열린 결합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하나의 결합아암(125)이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구(120)의 결합홈(122)은 고정 유니트(110)의 결합몸통부분(113)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1홈부분(122a)과 제2홈부분(122b)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홈부분(122a)은 고정 유니트(110)의 결합몸통부분(113)의 제2부분(113b)이 수용되되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2부분(113b)의 볼록 곡면에 대응되는 반구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홈부분(122b)은 제1홈 부분(122a)의 하부에서 제1홈부분(122a) 보다 내경이 확장되되 결합몸통 부분(113)의 제1부분(113a)과의 사이에 고정용 링(130)이 구 속되게 수용될 수 있게 환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열려있다.
여기서 제1홈부분(122a)내에 삽입되는 제2부분(113b)의 유동가능한 회동각도는 제1부분(113a)과 제2홈부분(122b) 사이의 이격 폭에 의해 결정된다.
고정용 링(130)은 오링 또는 C링 등이 적용되면 된다.
결합아암(125)은 설치대상 구강구조에 대응되게 결합구(120)의 외주면에 대한 연장방향을 약간 휘어질 수 있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결합구(120)는 의료용 스테인레스 소재 또는 타이타늄소재로 형성된다. 결합구(120)가 타이타늄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등급 1 내지 3으로 분류된 타이타늄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강에 고정장치(100)를 설치할 때 구강구조에 대응되게 이격되게 설치된 고정유니트(110)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따라 결합구(120)의 결합아암(125)이 휘어질 수 있다.
결합아암(125)은 속이 채워진 형태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바(140)는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결합구(120)의 결합아암(125)이 삽입될 수 있게 중공(142)을 갖는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결합바(140)는 고정유니트(110)의 설치간격에 따라 필요한 길이 만큼 잘라서 사용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고정장치(100)의 설치과정의 일 예를 두 개의 고정유니트(110)를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스크류 부분(111)의 식립위치가 결정되면 결정된 식립위치에 각각 고정유니트(110)의 스쿠류부분(111)을 통해 식립한다.
다음은 스크류부분(111)의 이격거리에 의해 요구되는 길이를 갖는 결합바(140)를 준비한 다음 결합바(140)의 양단에서 중공을 통해 결합구(120)의 결합아암(125)을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용 링(130)이 삽입된 각 결합구(120)의 결합홈(122)을 통해 결합몸통부분(113)에 끼움 결합한다. 이 과정에서 결합몸통부분(113)의 제2부분(113b)이 결합홈(122)의 제2홈부분(122b) 내에 있는 고정용 링(130)을 간섭에 의해 이완시키면서 진입된 후 제1부분(113a)에 고정용 링(130)이 진입되면 고정용 링(130)은 복원되면서 결합구(120)와 고정유니트(110)가 상호 결합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열리되 반원형으로 형성된 끼움홈(311)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클립(311)을 갖는 틀니(300)를 결합바(130)에 착탈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3개 이상의 고정유니트(110)를 식립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아암(125)이 결합구(220)로부터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 것을 적용하면 된다.
이러한 결합구(220)의 결합홈은 앞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다.
결합구(220)에 형성된 결합아암(225) 상호간의 이격 각도는 90도 이상 180도 이하에서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결합구(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에 있는 고정유니트(110)에는 두개의 결함아암(225)을 갖는 결합구(220)를 장착하고, 나머지 양측의 고정유니 트(110)에는 한개의 결합아암(125)을 갖는 결합구(120)를 적용하여 결합바(140)로 상호 연결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는 결합바(140)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스쿠류부분(111)의 설치위치에 대한 제약을 완화시킴으로써 원하는 이격간격으로 스크류부분(111)을 치근에 식립할 수 있고, 결합바(140)를 식립된 스크류부분(111)의 이격거리에 대응되게 요구되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시술성이 좋은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고정유니트(111)와 결합구(120)를 끼움 결합에 의해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좋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에 의하면, 고정유니트와 결합구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고, 적용 부품 수가 줄어들며, 고정 유니트 상호간의 식립위치에 따라 결합바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작업이 좋은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치근에 심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스크류부분과, 상기 스크류부분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결합몸통부분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유니트와;
    상기 결합몸통부분과 끼움 결합될 수 있게 하부가 열린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아암을 갖는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의 결합아암과 끼움결합될 수 있는 중공을 갖으며 일정길이 연장되어 착탈대상 틀니가 결합되는 결합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니트의 상기 결합몸통부분은 상기 스크류부분의 상면 중앙부분에서 일정높이로 연장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부분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는 제2부분으로 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의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제1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제2부분이 수용되는 제1홈부분과 상기 제1홈 부분의 하부에서 상기 제1홈 부분 보다 내경이 확장되되 상기 제1부분과의 사이에 고정용 링이 구속되게 수용될 수 있게 형성된 제2홈부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바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KR1020060138527A 2006-12-29 2006-12-29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KR20080062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527A KR20080062574A (ko) 2006-12-29 2006-12-29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527A KR20080062574A (ko) 2006-12-29 2006-12-29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574A true KR20080062574A (ko) 2008-07-03

Family

ID=3981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527A KR20080062574A (ko) 2006-12-29 2006-12-29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25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298B1 (ko) * 2011-04-26 2013-03-05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298B1 (ko) * 2011-04-26 2013-03-05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0628B2 (ja) 歯科用アタッチメントアッセンブリ及び方法
EP0592412B1 (en)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a member in replacement of part of a set of teeth
KR10097945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048439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US5620321A (en) Orthodontic appliance
EP2934367B1 (en) Abutment
IL268492A (en) Fixation unit for a dental device
KR20100051585A (ko) 치과용 앵커 장치 및 방법
WO2001095825A1 (en) Dental implant abutment
EP2346435B1 (en) Superstructure for a dental implant
US9072567B2 (en) Super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56357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KR100678708B1 (ko)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JP2008149121A (ja) 人工歯根
KR20080062574A (ko)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JP2010252902A (ja) インプラント
KR200428099Y1 (ko) 인공치아 시술용 픽스츄어드라이버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0392276Y1 (ko) 치과용 임플란트
JP5538463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20110015953A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KR200286847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200231270Y1 (ko) 인공치근
KR102464622B1 (ko) 나사-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의 장착 보조기구
TW201722367A (zh) 牙植體與包含具有抗轉動的上連接部的跨膜套筒的假體組件之套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