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1621A -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1621A
KR20080061621A KR1020060136551A KR20060136551A KR20080061621A KR 20080061621 A KR20080061621 A KR 20080061621A KR 1020060136551 A KR1020060136551 A KR 1020060136551A KR 20060136551 A KR20060136551 A KR 20060136551A KR 20080061621 A KR20080061621 A KR 20080061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user
internet
wireless telephon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13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1621A/ko
Publication of KR2008006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96Translation of addresses of the same type other than IP, e.g. translation from MAC to MAC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 전화(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유선 전화 및 무선 전화 번호로 등록시켜 사용함으로써 VOIP를 위한 별도의 전용단말 없이 VOIP를 사용할 수 있는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상폰, VOIP, 클라이언트

Description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Offering System Of Virtual Terminal For VOIP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상폰 서비스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단말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라이언트 단말 20 : 가상폰 서비스 서버
210 : 접속 제어 모듈 220 : 절체 제어 모듈
230 : 데이터 베이스 모듈 240 : 호 제어 모듈
250 : 과금 처리 모듈
본 발명은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 전화(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가 가능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유선 전화 및 무선 전화 번호로 등록시켜 사용함으로써 VOIP를 위한 별도의 전용단말 없이 VOIP를 사용할 수 있는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유선 전화 및 무선 전화 만이 사용되었으나,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인터넷망을 이용한 VOIP의 사용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VOIP는 기존의 인터넷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시설장비나 비용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유무선 전화망과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한 연동이 가능하여 저렴한 통신비용으로 통화가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 단말과 인터넷 전화를 위한 별도의 가입자 번호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전화 가입자가 아닌 경우 인터넷 전화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터넷 전화를 위한 별도의 전용 IP 단말을 사용함으로써 설치된 곳에서만 이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와 가입자에 상관없이 해당 가입자에게 과금되는 과금의 유동성 제한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 또는 무선 전화 사용자에게 가상폰 서비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 넷이 되는 어느 곳에서도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 등록에 의해 인터넷 전화 사용이 가능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은 유선통신망, 무선통신망 및 인터넷 망과 연동되어 인터넷 전화를 제공하는 인터넷 전화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여 가입자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고, 접속된 사용자의 등록된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와 연동 되어 과금을 수행하고,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절체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와 연동되어 인터넷 전화의 착발신을 제어하는 가상폰 서비스 서버와 상기 가상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가상폰 서비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여 가입자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고, 인터넷 전화 사용 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모듈과 상기 인터넷 전화 사용 모드 설정에 따라 유/무선 전화 절체 또는 사용 유지를 제어하는 유/무선 전화 절체 제어 모듈과 가입자 정보, 가입자의 유/무선 전화번호 및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과 사용자의 IP주소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에 매핑시켜 착 발신 호를 제어하는 호 제어 모듈 및 사용자의 인터넷 전화 사용에 따른 유/무선 전화번호로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체 제어 모듈은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가 절체되도록 제어하여 인터넷 전화의 착 발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 전화 사용이 유지되면서 인터넷 전화가 발신 전용으로 이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과금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의 교환기와 연동하여 인터넷 전화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로 과금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상폰 서비스 서버는 이동통신사 서버와 연동되어 이동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 연동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단말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의 가상폰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설정한 서비스 설정 모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착 발신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로 인터넷 전화 사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단말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가상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한 인증 및 서비스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상기 인증 및 서비스 설정 정보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는 단계와상기 설정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서비스 설정 모드에 따른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절체 정보를 전송하고 과금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구성 단계는 서비스 설정 모드가 유선 또는 무선 전화 사용 유지 모드인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발신 전용으로 설정되거나, 유선 또는 무선 전화 절체 모드인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착 발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설정 모드가 유선 또는 무선 전화 절체 모드인 경우 절체모드 만료시 절체 정보 복구 메세지를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발신 단계는 정보 제공 서버의 부가 서비스 연동 모듈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전화망의 부가 서비스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과금 단계는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한 전화 사용에 따른 과금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과금 기록을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전송하여 유선 또는 무선 번호로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VOIP는 인터넷 망을 이용한 클라이언트 단말 사이에서는 무료로 전화 사용이 가능하지만,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단말과 통화하는 경우 유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인터넷 망에 접속한 사용자가 유선 단말과 통화를 원하는 경우 유선전화인 경우 인터넷망과 연동되는 게이트웨이(GW)를 통해 PSTN에 접속되어 교환기를 통해 원하는 유선 단말과 통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무선 단말과 통화를 원하는 경우 망연동장치(IWF), 라우터(PDSN)을 통해 무선 전화망과 접속되어 교환기(MSC) 또는 제어기(BSC)를 거쳐 기지국을 통해 무선 단말과 통화가 이루어진다. VOIP와 유선 또는 무선 단말과의 연동은 통신업 상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핵심에서 벗어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상폰 서비스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은 유선통신망, 무선통신망 및 인터넷 망과 연동되어 인터넷 전화를 제공하는 인터넷 전화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여 가입자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고, 접속된 사용자의 등록된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와 연동 되어 과금을 수행하고,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절체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와 연동되어 인터넷 전화의 착발신을 제어하는 가상폰 서비스 서버(20)와 상기 가상폰 서비스 서버(20)에 접속하여 가상폰 서비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상폰 서비스 서버(20)는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여 가입자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고, 인터넷 전화 서비스 설정 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모 듈(210)과 상기 인터넷 전화 사용 모드 설정에 따라 유/무선 전화 절체 또는 사용 유지를 제어하는 절체 제어 모듈(220)과 가입자 정보, 가입자의 유/무선 전화번호 및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230)과 사용자의 IP주소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에 매핑시켜 착 발신 호를 제어하는 호 제어 모듈(240) 및 사용자의 인터넷 전화 사용에 따른 유/무선 전화번호로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처리 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체 제어 모듈(220)은 사용자가 자신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에 대해 절체모드를 설정할 경우 유선 또는 무선 전화로의 호 흐름이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서비스 종료시 절체 복구 메세지를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전송하여 절체가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호 제어 모듈(240)은 클라이언트 단말이 접속한 IP주소와 데이터 베이스 모듈(230)에 설정으로 저장된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를 매핑시켜 호가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만일, 절체 모드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로 착신된 호를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의 교환기는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단말로 호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에 매핑된 IP주소의 클라이언트 단말과 호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과금 처리 모듈(250)은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한 인터넷 전화 사용 시간에 따른 과금을 기록하여 저장하고,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의 교환기에 상기 과금 기록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로 과금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가상폰 서비스 서버(20)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의 부가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이동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 연동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란, 음성 및 문자메세지(SMS), 부재 중 전화 정보 및 통화 이력정보 등 유선 또는 무선 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의 부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메세지(SMS)를 송수신 하는 경우, 수신의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 가상폰 서비스 서버가 상기 SMS를 부가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해 두었다가 클라이언트 단말이 온(ON) 상태가 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도록 전송이 제어될 수 있으며, 송신의 경우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텍스트로 작성된 SMS를 부가 서비스 연동 모듈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의 부가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가상폰 단말 서비스의 절체 모드가 설정된 동안 수신된 SMS 및 부재중 전화, 음성 메세지 등을 가상폰 서비스 서버가 상기 SMS등 부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상폰 서비스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환경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은 PC, 노트북 등 인터넷 망을 통해 VOIP 서비스 가 가능한 단말은 무엇이나 가능하고, 가상폰 서비스 프로그램을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가상폰 서비스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모든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써, 가상폰 서비스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에 내장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실행이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단말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단말 제공 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10)의 가상폰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폰 서비스 서버(20)에 접속한다.(S110)
만일, 사용자가 가상폰 서비스에 가입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라면 접속 제어 모듈(210)을 통해 가상폰 서비스를 위한 인증 및 서비스 설정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상기 인증 및 서비스 설정 정보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설정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서비스 설정 모드에 따른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절체 정보를 전송하고 과금 방식을 결정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설정 모드는 절체모드와 유지모드 중 선택될 수 있으며, 절체모드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사용을 중단시켜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통한 착/발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모드이며, 유지모드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 사용을 유지시켜 클라이언트 단말(10)은 발신 전용이 되도록 제어하는 모드를 말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서비스 설정 모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 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착 발신한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절체모드인 경우 등록된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사용이 중단되고 모든 착 발신은 VOIP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수행되어진다. 이를 위해, 가상폰 서비스 서버(20)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의 IP주소를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로 매핑시켜 유무선 전화망을 통해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로 착 발신된 호가 클라이언트 단말(10)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S120 단계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은 착발신 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 단말(10)이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상폰 서비스 서버(20)의 부가서비스 연동 모듈이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의 부가서비스 서버와 연동되어 유선 또는 무선 단말에 제공될 부가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클라이언트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가상폰 서비스가 종료한 경우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로 인터넷 전화 사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한다.(S130)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폰 서비스 서버의 과금 처리 모듈(250)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한 전화 사용 기록 및 부가서비스 이용 기록을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된 기록을 사용자가 설정한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로 과금하기 위해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의 교환기로 전송한다. 상기 기록을 토대로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의 교환기는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로 과금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절체모드를 설정하여 절체모드가 만료된 경우 절체 복구 메세지를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전송하여 절체를 복구하여 유선 또는 무선 전화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절체모드 만료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이 로그-오프(Log off)될 때마다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절체모드를 해제하고, 클라이언트 단말(10)이 로그-온(Log on)될 때마다 절체모드가 설정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절체모드를 시간, 일, 월, 년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 때 절체모드 만료란, 설정된 기간의 만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해외의 출장등으로 인해 수일에서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해외에서 체류하는 경우 설정 기간 동안 가상폰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 단말(10)을 로그-오프(Log off)하더라도 절체모드가 만료되지 않은 경우라면, 유선 또는 무선 전화에 대한 절체는 유지되고,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로 수신되는 모든 부가서비스 정보가 가상폰 서비스 서버(20)로 전송된다. 이 후,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 단말(10)을 로그-온(Log on)하면 상기 가상폰 서비스 서버(20)에 전송된 부가 서비스 정보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에 전송된다.
예를 들어, SMS인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10)이 로그 오프 상태이더라도 절체모드가 만료되진 않았기 때문에 유선 또는 무선 전화에 대한 절체가 유지되고, SMS는 가상폰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 후, 클라이언트 단말(10)이 로그 온 상태가 되면 상기 가상폰 서비스 서버(20)에 저장된 SMS가 클라이언트 단말(10)에 송출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인터넷 전화(VOIP)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인터넷 전화(VOIP) 전용단말이나 전용 전화번호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이 가능한 곳이라면 가상폰 서비스 프로그램 설치를 통해 인터넷 전화(VOIP) 사용이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인터넷 전화(VOIP) 이용시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절체가 가능하여 교환기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유선통신망, 무선통신망 및 인터넷 망과 연동되어 인터넷 전화를 제공하는 인터넷 전화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여 가입자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고, 접속된 사용자의 등록된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와 연동 되어 과금을 수행하고,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절체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와 연동되어 인터넷 전화의 착발신을 제어하는 가상폰 서비스 서버와;
    상기 가상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가상폰 서비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폰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여 가입자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고, 인터넷 전화 사용 모드 설정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모듈과;
    상기 인터넷 전화 사용 모드 설정에 따라 유/무선 전화 절체 또는 사용 유지를 제어하는 유/무선 전화 절체 제어 모듈과;
    가입자 정보, 가입자의 유/무선 전화번호 및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 관리 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과;
    사용자의 IP주소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에 매핑시켜 착 발신 호를 제어하는 호 제어 모듈 및;
    사용자의 인터넷 전화 사용에 따른 유/무선 전화번호로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제어 모듈은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가 절체되도록 제어하여 인터넷 전화의 착 발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 전화 사용이 유지되면서 인터넷 전화가 발신 전용으로 이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의 교환기와 연동하여 인터넷 전화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로 과금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폰 서비스 서버는
    이동통신사 서버와 연동되어 이동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 연동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6.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의 가상폰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설정한 서비스 설정 모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착 발신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로 인터넷 전화 사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가상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한 인증 및 서비스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상기 인증 및 서비스 설정 정보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를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서비스 설정 모드에 따른 유선 또는 무선 전화의 절체 정보를 전송하고 과금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단말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구성 단계는
    서비스 설정 모드가 유선 또는 무선 전화 사용 유지 모드인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발신 전용으로 설정되거나, 유선 또는 무선 전화 절체 모드인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착 발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단말 제공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설정 모드가 유선 또는 무선 전화 절체 모드인 경우 절체모드 만료시 절체 정보 복구 메세지를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단말 제공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발신 단계는
    정보 제공 서버의 부가 서비스 연동 모듈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전화망의 부가 서비스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단말 제공 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단계는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한 전화 사용에 따른 과금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과금 기록을 유선 또는 무선 전화망에 전송하여 유선 또는 무선 번호로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단말 제공 방법.
KR1020060136551A 2006-12-28 2006-12-28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61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551A KR20080061621A (ko) 2006-12-28 2006-12-28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551A KR20080061621A (ko) 2006-12-28 2006-12-28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621A true KR20080061621A (ko) 2008-07-03

Family

ID=3981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551A KR20080061621A (ko) 2006-12-28 2006-12-28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16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323B1 (ko) * 2013-04-05 2014-08-22 (주) 새론에스엔씨 Ip망을 이용한 무료통화시스템
KR20160139767A (ko) * 2015-05-28 2016-12-07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이기종 시스템 연동 방법 및 장치
CN114827099A (zh) * 2022-04-14 2022-07-29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VoIP通信的内线通话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275A (ko) * 2000-08-01 2002-02-08 주식회사 한디지털 인터넷 전화국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20020033247A (ko) * 2000-10-30 2002-05-06 신재만 사용자 중심의 인터넷 전화국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43537A (ko) * 2001-11-28 2003-06-02 권보경 공중전화망(pstn망)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전화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98794A (ko) * 2005-09-15 2005-10-12 최철 인터넷 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275A (ko) * 2000-08-01 2002-02-08 주식회사 한디지털 인터넷 전화국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20020033247A (ko) * 2000-10-30 2002-05-06 신재만 사용자 중심의 인터넷 전화국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43537A (ko) * 2001-11-28 2003-06-02 권보경 공중전화망(pstn망)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전화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98794A (ko) * 2005-09-15 2005-10-12 최철 인터넷 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323B1 (ko) * 2013-04-05 2014-08-22 (주) 새론에스엔씨 Ip망을 이용한 무료통화시스템
KR20160139767A (ko) * 2015-05-28 2016-12-07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이기종 시스템 연동 방법 및 장치
CN114827099A (zh) * 2022-04-14 2022-07-29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VoIP通信的内线通话方法和系统
CN114827099B (zh) * 2022-04-14 2023-10-31 厦门亿联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VoIP通信的内线通话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0631B2 (en) Cable telephony network supporting roaming VoIP terminals
CN101375584B (zh) 在网关上针对VoIP呼叫的呼叫屏蔽
US20060177029A1 (en) Virtual multi-line telephone service
CN101897172A (zh) 用于因特网通信环境和移动通信环境之间呼叫建立的方法和装置
CN101529935A (zh) 有条件路由对固定电话号码进行的呼叫的方法
CN103475794B (zh) 一种基于VoIP/IM技术的通信系统及其漫游通信方法
KR100680662B1 (ko) 해외 로밍 자동 착신전환 시스템 및 해외 로밍 방법
EP1816842A1 (en) Digital cable network telephone service provider supporting local wireless networks
KR20080061621A (ko) 인터넷 전화를 위한 가상 단말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4918B1 (ko) 적응적 과금 시스템 및 적응적 과금 처리 방법
EP1672899B1 (en) A method for deciding the network over which a communication should be routed
KR20080113871A (ko) 브이오아이피 부재중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44011B1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휴대전화와 pc 사이의 통신 서비스제공 시스템
KR100456826B1 (ko) 방문국 가입 휴대전화의 렌탈형 국제 이동통신 로밍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1179485B1 (ko) 로밍 요금 절감을 위한 로밍 시스템 및 로밍 제어 방법
KR101001210B1 (ko) 사설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선불카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24295A (ko) IP-PBX시스템과 VoIP서비스를 이용한 콜센터호스팅서비스
KR102153219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이 제거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착신된 메시지 및 착신 전화 번호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7868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한도 통신 요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뎀을 온/오프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048269B1 (ko)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08340B1 (ko)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착신전환장치 및 그 방법
KR101605688B1 (ko) 무료통화기능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GB2453520A (en) Personal telephone call router
JP5402689B2 (ja) 通信方法
JP2006025228A (ja) 最適着信者選択通話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