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537A - 전원전압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전압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537A
KR20080060537A KR1020060134747A KR20060134747A KR20080060537A KR 20080060537 A KR20080060537 A KR 20080060537A KR 1020060134747 A KR1020060134747 A KR 1020060134747A KR 20060134747 A KR20060134747 A KR 20060134747A KR 20080060537 A KR20080060537 A KR 20080060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drop
supply voltag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7195B1 (ko
Inventor
김장환
김병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95B1/ko
Publication of KR2008006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7/04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4106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 강하에 이용되는 회로부품 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전원전압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직류 제 1 전원전압을 발생함과 아울러 궤환된 직류 제 2 전원전압의 크기에 비례되는 강하조절전압을 발생하는 DC/DC 변환기; 상기 강하조절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직류 제 1 전원전압를 소모시켜 상기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강하부; 및 상기 전압 강하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센싱하여 센싱한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상기 DC/DC 변환기로 궤환시키는 전압 센싱부를 포함한다.
변환기, 액정표시장치, 전압강하, 직류전압

Description

전원전압 공급장치{Voltage source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형성되는 픽셀의 등가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전원전압 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전압 공급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전원전압 공급장치 110, 210: DC/DC 변환기
120: 저강하 출력소자 220: 전압 강하부
230: 전압 센싱부 212: 전압강하 조절부
300: 액정표시장치 310: 액정표시패널
320: 데이터 구동부 330: 게이트 구동부
340: 감마기준전압 발생부 350: 백라이트 어셈블리
360: 인버터 370: 공통전압 발생부
380: 게이트구동전압 발생부 390: 타이밍 컨트롤러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등의 전자기기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전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비디오신호에 따라 액정셀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며, 그리고 액정셀마다 스위칭소자가 형성된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소자의 능동적인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동영상 구현에 유리하다. 이러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스위칭소자로는 도 1과 같이 주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한다)가 이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디지털 입력 데이터를 감마기준전압을 기준으로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DL)에 공급함과 동시에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GL)에 공급하여 액정셀(Clc)을 충전시킨다.
TF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GL)에 접속되고,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DL)에 접속되며, 그리고 TFT의 드레인전극은 액정셀(Clc)의 화소전극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일측 전극에 접속된다.
액정셀(Clc)의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Vcom)이 공급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TFT가 턴-온될 때 데이터라인(DL)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을 충전하여 액정셀(Clc)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캔펄스가 게이트라인(GL)에 인가되면 TFT는 턴-온(Turn-on)되어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사이의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라인(DL) 상의 전압을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공급한다. 이때 액정셀(Clc)의 액정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하여 배열이 바뀌면서 입사광을 변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픽셀들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다수의 기능 소자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기능 소자들은 전원전압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전압들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전원전압들을 공급하는 종래의 전원전압 공급장치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는 종래의 전원전압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원전압 공급장치(100)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직류 제 1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DC/DC 변환기(110)와, DC/DC 변환기(110)로부터 직류 제 1 전원전압를 입력받아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저강하 출력소자(LDO : Low Drop Out)(120)를 구비한다.
DC/DC 변환기(11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압 5V 또는 12V를 직류 변환시켜 직류 제 1 전원전압 3.3V를 액정표시장치로 출력한다.
저강하 출력소자(LDO)(120)는 DC/DC 변환기(110)로부터 출력된 직류 제 1 전원전압 3.3V를 강하시켜 직류 제 2 전원전압 1.8V 내지 2.8V를 액정표시장치로 출 력한다.
이와 같은 저강하 출력소자(LDO)(120)는 다수의 커패시터, 증폭기, 다수의 저항들 및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복잡한 회로구성을 갖음과 아울러 비교적 큰 부피를 갖고, 또한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원전압 공급장치는 액정표시장치 등에 실장되어 많은 점유면적을 차지하고 제품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압 강하에 이용되는 회로부품 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전원전압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로부품 수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제품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점유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원전압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원전압 공급장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직류 제 1 전원전압을 발생함과 아울러 궤환된 직류 제 2 전원전압의 크기에 비례되는 강하조절전압을 발생하는 DC/DC 변환기; 상기 강하조절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직류 제 1 전원전압를 소모시켜 상기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출력하 는 전압 강하부; 및 상기 전압 강하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센싱하여 센싱한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상기 DC/DC 변환기로 궤환시키는 전압 센싱부를 포함한다.
상기 직류 제 1 전원전압은 3.3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류 제 2 전원전압은 1.8V 내지 2.8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C/DC 변환기는, 상기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직류 제 1 전원전압을 발생하는 전원전압 발생부; 및 상기 궤환된 직류 제 2 전원전압의 크기에 비례되는 상기 강하조절전압을 발생하는 전압강하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강하 조절부는, 소정의 기준전압과 상기 궤환된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대응되는 상기 강하조절전압를 상기 전압 강하부로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강하부는, 상기 상기 강하조절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직류 제 1 전원전압 3.3V를 소모시켜 상기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센싱부는, 상기 전압 강하부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 1 및 제 2 저항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전압 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전압 공급장치(200)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직류 제 1 전원전압을 발생함과 아울러 궤환된 직류 제 2 전원전압의 크기에 비례되는 강하조절전압(DCV)을 발생하는 DC/DC 변환기(210)와, DC/DC 변환기(210)로부터 공급된 강하조절전압(DCV)의 크기에 따라 DC/DC 변환기(210)로부터 출력된 직류 제 1 전원전압를 소모시켜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강하부(220)와, 전압 강하부(220)로부터 출력된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센싱하여 센싱한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DC/DC 변환기(210)로 궤환시키는 전압 센싱부(230)를 구비한다.
DC/DC 변환기(210)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직류 제 1 전원전압을 발생하는 전원전압 발생부(211)와, 궤환된 직류 제 2 전원전압의 크기에 비례되는 강하조절전압(DCV)을 발생하는 전압강하 조절부(212)를 구비한다.
전원전압 발생부(211)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압 5V 또는 12V를 직류 변환시켜 직류 제 1 전원전압 3.3V를 출력한다.
전압강하 조절부(212)는 소정의 기준전압(Vref)이 인가되는 비반전(+) 입력단, 전압 센싱부(230)에 접속된 반전(-) 입력단, 전압 강하부(220)에 접속된 출력단을 갖는 비교기(212-1)로 이루어진다.
비교기(212-1)는 비반전(+) 입력단을 통해 입력된 소정의 기준전압(Vref)과 전압 센싱부(230)를 통해 궤환된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대응되는 강하조절전압(DCV)를 전압 강하부(220)로 출력한다. 이 강하조절전압(DCV)는 전압 강하부(220)의 전압 소모량을 결정한다.
전압 강하부(220)는 비교기(212-1)의 출력단에 접속된 베이스, 전원전압 발 생부(211)의 출력단에 접속된 컬렉터 및 전압 센싱부(230)와 직류 제 2 전원전압의 출력단에 공통 접속된 이미터를 갖는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된다.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는 비교기(212-1)로부터 베이스에 입력되는 강하조절전압(DCV)의 크기에 따라 컬렉터로 인가된 직류 제 1 전원전압 3.3V를 소모시켜 이미터를 통해 직류 제 2 전원전압 1.8V 내지 2.8V를 출력한다.
전압 센싱부(230)는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에 접속된 출력노드(N1)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저항들(R1, R2)로 이루어지며, 저항들(R1, R2) 사이에는 센싱된 직류 제 2 전원전압 1.8V 내지 2.8V가 걸리는 센싱노드(N2)가 위치된다. 이 센싱노드(N2)는 비교기(212-1)의 반전(-) 입력단에 접속되어, 센싱된 직류 제 2 전원전압 1.8V 내지 2.8V가 비교기(212-1)의 반전(-) 입력단으로 궤환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압강하 조절부(212)는 전압 센싱부(230)를 통해 궤환된 직류 제 2 전원전압의 변화에 따라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의 전압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줌으로써, 전압 강하부(220)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 제 2 전원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전압 공급장치는 복잡한 회로 구성과 큰 부피를 갖는 저강하 출력소자(LDO)를 채용하지 않고, 하나의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1)만을 이용하여 직류 제 2 전원전압 1.8V 내지 2.8V를 공급함으로써, 회로 구성을 간소화시키고 부피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제품의 제조 비용을 대폭 감소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원전압 공급장치(200)가 채용되는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부피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원전압 공급장치가 채용된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액정표시장치(300)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이 대응되게 교차되며 그 교차부에 액정셀(Clc)을 구동하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TFT : 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된 액정표시패널(310)과, 액정표시패널(310)의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320)와, 액정표시패널(310)의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에 스캔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330)와, 감마기준전압을 발생하여 데이터 구동부(320)에 공급하기 위한 감마기준전압 발생부(340)와, 액정표시패널(310)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350)와, 백라이트 어셈블리(350)에 교류 전압 및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인버터(360)와, 공통전압(Vcom)을 발생하여 액정표시패널(310)의 액정셀(Clc)의 공통전극에 공급하기 위한 공통전압 발생부(370)와, 게이트 하이전압(VGH)과 게이트 로우전압(VGL)을 발생하여 게이트 구동부(330)에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구동전압 발생부(380)와, 데이터 구동부(320) 및 게이트 구동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39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300)는, 직류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전 압 공급장치(200)를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310)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다. 액정표시패널(310)의 하부 유리기판 상에는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과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이 직교된다.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과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의 교차부에는 TFT가 형성된다. TFT는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 상의 데이터를 액정셀(Clc)에 공급하게 된다. TF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에 접속되며, TFT의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접속된다. 그리고 TFT의 드레인전극은 액정셀(Clc)의 화소전극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에 접속된다.
TFT는 게이트라인들(GL1 내지 GLn) 중에서 자신의 게이트단자에 접속된 게이트라인을 경유하여 게이트단자에 공급되는 스캔펄스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TFT의 턴-온시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 중에서 TFT의 드레인단자에 접속된 데이터라인 상의 비디오 데이터는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공급된다.
데이터 구동부(320)는 타이밍 컨트롤러(39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구동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에 공급하며,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390)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샘플링하여 래치한 다음 감마기준전압 발생부(340)로부터 공급되는 감마기준전압을 기준으로 액정표시패널(310)의 액정셀(Clc)에서 계조를 표현할 수 있는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시켜 데이터라인들(DL1 내지 DLm)들에 공급한다. 이러한 데이터 구동부(320)는 전원전압 공급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제 1 전원전압 3.3V에 의 해 구동된다.
게이트 구동부(330)는 타이밍 컨트롤러(39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구동 제어신호(GDC)와 게이트쉬프트클럭(GSC)에 응답하여 스캔펄스 즉, 게이트펄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게이트라인(GL1 내지 GLn)들에 공급한다. 이때, 게이트 구동부(330)는 게이트구동전압 발생부(38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하이전압(VGH)과 게이트 로우전압(VGL)에 따라 각각 스캔펄스의 하이레벨전압과 로우레벨전압을 결정한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부(330)는 전원전압 공급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제 1 전원전압 3.3V에 의해 구동된다.
감마기준전압 발생부(340)는 고전위 전원전압(VDD)을 공급받아 정극성 감마기준전압과 부극성 감마기준전압을 발생하여 데이터 구동부(320)로 출력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350)는 액정표시패널(310)의 후면에 배치되며, 인버터(360)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과 전류에 의해 발광되어 광을 액정표시패널(310)의 각 픽셀로 조사한다.
인버터(360)는 내부에 발생되는 구형파신호를 삼각파신호로 변화시킨 후 삼각파신호와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전압(VCC)을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비례하는 버스트디밍(Burst Dimming)신호를 발생한다. 이렇게 내부의 구형파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버스트디밍신호가 발생되면, 인버터(360) 내에서 교류 전압과 전류의 발생을 제어하는 구동 IC(미도시)는 버스트디밍신호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350)에 공급되는 교류 전압과 전류의 발생을 제어한다.
공통전압 발생부(370)는 고전위 전원전압(VDD)을 공급받아 공통전압(Vcom)을 발생하여 액정표시패널(310)의 각 픽셀에 구비된 액정셀(Clc)들의 공통전극에 공급한다.
게이트구동전압 발생부(380)는 고전위 전원전압(VDD)을 인가받아 게이트 하이전압(VGH)과 게이트 로우전압(VGL)을 발생시켜 게이트 구동부(330)에 공급한다. 여기서, 게이트구동전압 발생부(380)는 액정표시패널(310)의 각 픽셀에 구비된 TFT의 문턱전압 이상이 되는 게이트 하이전압(VGH)을 발생하고 TFT의 문턱전압 미만이 되는 게이트 로우전압(VGL)을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된 게이트 하이전압(VGH)과 게이트 로우전압(VGL)은 각각 게이트 구동부(330)에 의해 발생되는 스캔펄스의 하이레베전압과 로우레벨전압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타이밍 컨트롤러(390)는 텔레비젼 수상기나 컴퓨터용 모니터 등의 시스템에 구비된 영상처리용 스케일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부(320)에 공급하고, 또한 클럭신호(CLK)에 따라 수평/수직 동기신호(H,V)를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 제어신호(DDC)와 게이트 구동 제어신호(GDC)를 발생하여 각각 데이터 구동부(320)와 게이트 구동부(330)에 공급한다. 여기서, 데이터 구동 제어신호(DDC)는 소스쉬프트클럭(SSC), 소스스타트펄스(SSP), 극성제어신호(POL) 및 소스출력인에이블신호(SOE) 등을 포함하고, 게이트구동 제어신호(GDC)는 게이트스타트펄스(GSP) 및 게이트출력인에이블(GOE)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390)는 전원전압 공급장치(200)로부터 공급된 직류 제 2 전원전압 1.8V 내지 2.8V에 의해 구동된다.
전원전압 공급장치(20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압 5V 또는 12V 를 직류 변환시켜 직류 제 1 전원전압 3.3V와 직류 제 2 전원전압 1.8V 내지 2.8V를 발생한다. 여기서, 직류 제 1 전원전압 3.3V는 데이터 구동부(320)와 게이트 구동부(330)로 공급되고, 직류 제 2 전원전압 1.8V 내지 2.8V는 타이밍 컨트롤러(390)로 공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압 강하에 이용되는 회로부품 수를 최소화시키고, 이로 인해 제품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자신이 채용되는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등에서의 점유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직류 제 1 전원전압을 발생함과 아울러 궤환된 직류 제 2 전원전압의 크기에 비례되는 강하조절전압을 발생하는 DC/DC 변환기;
    상기 강하조절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직류 제 1 전원전압를 소모시켜 상기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강하부; 및
    상기 전압 강하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센싱하여 센싱한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상기 DC/DC 변환기로 궤환시키는 전압 센싱부
    를 포함하는 전원전압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제 1 전원전압은 3.3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제 2 전원전압은 1.8V 내지 2.8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전압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DC 변환기는,
    상기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직류 제 1 전원전압을 발생하는 전원전압 발 생부; 및
    상기 궤환된 직류 제 2 전원전압의 크기에 비례되는 상기 강하조절전압을 발생하는 전압강하 조절부
    를 포함하는 전원전압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강하 조절부는,
    소정의 기준전압과 상기 궤환된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대응되는 상기 강하조절전압를 상기 전압 강하부로 출력하는 비교기
    를 포함하는 전원전압 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하부는,
    상기 상기 강하조절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직류 제 1 전원전압을 소모시켜 상기 직류 제 2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는 전원전압 공급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센싱부는,
    상기 전압 강하부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 1 및 제 2 저항
    을 포함하는 전원전압 공급장치.
KR1020060134747A 2006-12-27 2006-12-27 전원전압 공급장치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87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747A KR101287195B1 (ko) 2006-12-27 2006-12-27 전원전압 공급장치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747A KR101287195B1 (ko) 2006-12-27 2006-12-27 전원전압 공급장치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537A true KR20080060537A (ko) 2008-07-02
KR101287195B1 KR101287195B1 (ko) 2013-07-16

Family

ID=3981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747A KR101287195B1 (ko) 2006-12-27 2006-12-27 전원전압 공급장치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036A (ko) * 2013-06-28 2015-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9347A (ko) * 2015-12-30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7418A (en) 1991-05-02 1994-10-18 Robert Clavel Hybrid power supply for converting an alternating input signal into a direct output signal
US5592072A (en) * 1995-01-24 1997-01-07 Dell Usa, L.P. High performance dual section voltage regulator
KR100278096B1 (ko) 1997-07-10 2001-01-15 윤덕용 혼합형 레귤레이터
US6404174B1 (en) 2000-10-27 2002-06-11 Adtran, Inc. Circuit for in-system programming of memor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036A (ko) * 2013-06-28 2015-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9347A (ko) * 2015-12-30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및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195B1 (ko)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917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213810B1 (ko) 액정표시소자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26351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70015695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26471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6544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37201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70107906A (ko) 광검출 장치,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25208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87195B1 (ko) 전원전압 공급장치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49336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KR10128652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83217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327875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254802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70071725A (ko) 액정표시소자의 구동 장치
KR20080061210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20133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245924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63737A (ko) 액정표시소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118607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70063635A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102017B1 (ko) 액정 표시 패널의 게이트-온 전압 발생 방법 및 장치
KR20050033279A (ko) 공통전압 발생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70093266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